KR101859725B1 - Clip device for cable - Google Patents
Clip device for c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9725B1 KR101859725B1 KR1020160165329A KR20160165329A KR101859725B1 KR 101859725 B1 KR101859725 B1 KR 101859725B1 KR 1020160165329 A KR1020160165329 A KR 1020160165329A KR 20160165329 A KR20160165329 A KR 20160165329A KR 101859725 B1 KR101859725 B1 KR 1018597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harness
- fixing
- balance body
- fixing clip
- cli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경로에 따라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와이어 하네스의 간섭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전기적인 배선과, 도어류의 개폐 및 엔진 계통 등에 와이어링 및 케이블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이어링 및 케이블은 차량의 엔진룸 또는 차체에 배치되는 각종 전기부품에 접속되기 때문에 그 배선수가 많아 내부 패널 등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 그로 인한 미관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와이어링이 서로 뒤엉켜 단선이나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general, electric wiring,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and an engine system are applied to the inside of a vehicle, such as wiring and cables. Such wiring and cables are connected to various electric parts arranged in an engine room or a vehicle body of a vehicle.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wires is large and the number of wires is not fixed to the inner panel or the like, Or fire may occur.
따라서, 이러한 와이어링 및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고정 클립에 의해 일정량의 묶음 단위로 차량의 내부 패널 등에 고정 배치된다. 즉, 차량에 구비되는 와이어링은 차량의 내부 패널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클립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차량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정렬 배치된다.Therefore, such wiring and cables are generally fixedly arranged on the inner panel of the vehicle or the like in a bundle unit by a fixed clip. That is, the wiring provided in the vehicl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clip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panel of the vehicle, thereby being efficiently arranged and arranged inside the vehicle.
와이어링 고정클립은, 걸림후크의 상측에서 좌우 양측으로 벌려지는 지지판에 대고서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지지판에 고정한 후, 고정후크를 차체패널에 조립하게 된다.The wire fixing clip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by using an adhesive tape on a support plate spread on both sides of the engagement hook from the upper side of the engagement hook, and then the fixing hook is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panel.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와이어링 고정클립은, 케이블의 배선경로에 따라 방향을 변경할 수 없으므로, 호환성이 저하됨은 물론 케이블을 고정한 상태에서는 케이블의 배선경로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wiring fixing clip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can not change the direction along the wiring path of the cable, the compatibility is deteriorated and the wiring path of the cable can not be changed in a state where the cable is fixed.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7448호(등록일:2004년03월31일)에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7448 (filed on March 31, 2004) discloses a "wire harness fixing band cable structur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경로에 따라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와이어 하네스의 간섭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ne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harness fixing clip device capable of easily changing a direction along a wiring path of a wire harness and fixing the wire harness,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는, 차체 또는 상기 차체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링 밸런스 본체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와 다른 와이어 하네스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링 밸런스 본체에 탈착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과,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을 상기 링 밸런스 본체에 결합할 때 결합방향을 특정각도로 변경가능하도록 상기 링밸런스 본체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방향 변경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ip device for fixing a wire harness, comprising: a ring balance body selectively detachably attached to a vehicle body or a wire harness to be wired to the vehicle body; and a wire harness A wire harness fixing clip fixed to the ring balance main body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ring balance main body; and a wire harness fixing clip for fixing the wire harness fixing clip to the ring balance main body, And a coupling direction change coupl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units.
또한, 상기 링 밸런스 본체는, 링 형태를 가지도록 분할 형성되는 제1수용부재와, 상기 제1수용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할된 상기 제1수용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1수용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기 제1수용부재를 고정하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ing balance main body may include a first receiving member that is dividedly formed to have a ring shape, a first connecting member tha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ceiving member and connects the divided first receiving members, And a first fastening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using member and fixing the first housing memb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수용부재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감소되도록 제1연결부재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may be bent inwar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은,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되도록 링 형태로 분할 형성되는 제2수용부재와, 상기 제2수용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할된 상기 제2수용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2수용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기 제2수용부재를 고정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 harness fixing clip may include a second receiving member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insert the wire harness,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ceiving member and connecting the divided second receiving members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and fixing the second housing memb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수용부재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감소되도록 제2연결부재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nnection member may be bent inwar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결합방향 변경결합부는, 상기 링 밸런스 본체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돌기부재와, 상기 링 밸런스 본체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부재가 탈착되도록 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착홈부의 내면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탈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ing direction changing and coupling unit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member protruding from one of the ring balance body and the wire harness fixing clip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detachable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protrusions, wherein the detachment recess is formed to be detachable and the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etachment recess to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경로에 따라 결합방향(0˚, 90˚, 180˚, 270˚)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하네스의 간섭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clip device for fixing a wire har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coupling direction (0 °, 90 °, 180 °, 270 °) according to the wiring path of the wire harness, It is possible to reduce noise caus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wire harn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 밸런스 본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방향 변경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ip apparatus for fixing a wire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ip apparatus for fixing a wire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lip apparatus for fixing a wire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ring balanc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wire harness securing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direction change coup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lip device for fixing a wire har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ip apparatus for fixing a wire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ip apparatus for fixing a wire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 clip device for fixing a wire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 밸런스 본체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방향 변경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ring balanc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wire harness fixing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Sectional view showing a joining direction changing jo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100)는 와이어 하네스 작업시 교차되는 와이어 하네스(1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링 밸런스 본체(110)와,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과, 결합방향 변경결합부(130)를 포함한다.1 to 6, a wire harness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100)는 결합방향 변경결합부(130)를 이용하여 링 밸런스 본체(110)에 결합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의 결합방향을 다양하에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의 결합방향을 와이어 하네스(10)의 배선경로에 따라 0˚, 90˚, 180˚, 270˚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 wire harness
링 밸런스 본체(110)는 차체 또는 차체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1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결합방향 변경결합부(130)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이 결합된다. 이러한, 링 밸런스 본체(110)는 링 형태를 가지도록 분할 형성되는 제1수용부재(111)와, 분할된 제1수용부재(111)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113)와, 제1수용부재(111)를 결합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115)를 포함한다.The wire
제1수용부재(111)는 분할된 일측이 제1연결부재(113)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분할된 타측이 제1체결부재(115)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제1수용부재(111)는 와이어 하네스(10)를 고정하고자 할 때 제1연결부재(113)를 중심으로 하여 타측이 개방되고, 와이어 하네스(10)가 내부로 인입되면 개방되었던 타측이 제1체결부재(115)를 통해 밀폐 결합된다.One side of the
또한, 제1수용부재(111)는 제1연결부재(113)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감소하도록 제1연결부재(113)가 형성되는 일측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절곡부위에서 제1연결부재(113)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One side of the
제1체결부재(115)는 제1수용부재(111) 중 어느 하나의 타측에 형성되는 걸림슬롯과, 이 걸림슬롯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다른 하나의 제1수용부재(111)의 타측에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리브를 구비한다.The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은 결합방향 변경결합부(130)에 의해 링 밸런스 본체(110)에 결합되며, 링 밸런스 본체(110)에 고정되는 와이어 하네스(10)와 다른 와이어 하네스(1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게 된다.The wire
이를 위하여,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은, 와이어 하네스(10)가 삽입되도록 링 형태로 분할 형성되는 제2수용부재(121)와, 제2수용부재(121)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할된 제2수용부재(121)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123)와, 제2수용부재(1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재(125)를 구비한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은 링 밸런스 본체(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o this end, the wire
구체적으로, 제2수용부재(121)는 분할된 일측이 제2연결부재(123)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분할된 타측이 제2체결부재(125)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제2수용부재(121)는 와이어 하네스(10)를 고정하고자 할 때 제2연결부재(123)를 중심으로 하여 타측이 개방되고, 와이어 하네스(10)가 내부로 인입되면 개방되었던 타측이 제2체결부재(125)를 통해 밀폐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divided
제2연결부재(123)는 제2수용부재(121)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할된 제2수용부재(121)를 연결하도록 ">"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2수용부재(121)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2연결부재(123) 길이가 감소하도록 제2연결부재(123)이 일체로 형성되는 일측이 내부로 절곡 형성된다.The second connecting
제2체결부재(125)는 제2수용부재(121) 중 어느 하나의 타측에 형성되는 걸림슬롯과, 이 걸림슬롯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다른 하나의 제2수용부재(121)의 타측에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리브를 구비한다.The second fastening
결합방향 변경결합부(130)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을 링 밸런스 본체(110)에 결합할 때 결합방향을 특정각도로 변경가능하도록 링 밸런스 본체(110)와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 사이에 구비된다.The coupling direction changing and
이러한, 결합방향 변경결합부(130)는 링 밸런스 본체(1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부재(131)와,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탈착돌부(133)를 포함한다.The coupling direction
고정돌기부재(131)는 탈착돌부(13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탈착돌부(133)에 결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외면에 걸림홈(131a)이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돌기부재(131)는 4각 형태로 형성되며, 3각 또는 5각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여기서, 고정돌기부재(131)를 4각으로 형성되면 와이어 하네스(10)의 배선경로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의 결합방향을 0˚, 90˚, 180˚, 270˚ 등으로 90˚씩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부재(131)를 5각형 이상으로 형성하면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의 결합방향을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탈착돌부(133)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에서 돌출 형성되며, 고정돌기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탈착홈부(133a)가 형성된다. 또한, 탈착돌부(133)는 탈착홈부(133a)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부재(131)의 결합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탈착홈부(133a)의 내면에 걸림돌기(133b)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돌기(133b)는 고정돌기부재(131)의 걸림홈(131a)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100)는, 상호 근접하도록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1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와이어 하네스(10)의 배선방향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120)의 결합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The wire harness fixing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100)는 와이어 하네스(10)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하네스(10)이 간섭으로 인한 소음(Noise), 진동(Vibration), 잡음(Harshness) 등을 줄일 수 있다. 즉, NVH 개선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wire harness fix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고정클립 110 : 링 밸런스 본체
120 :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130 : 결합방향 변결결합부
131 : 고정돌기부재 133 : 탈착돌부100: fixing clip for wire harness fixing 110: ring balance body
120: wire harness fixing clip 130: coupling direction changing coupling part
131: fixing projection member 133: detachment projection
Claims (4)
상기 링 밸런스 본체는, 링 형태를 가지도록 분할 형성되는 제1수용부재;
상기 제1수용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할된 상기 제1수용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수용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기 제1수용부재를 고정하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용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감소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가 형성되는 일측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
A ring balance body selectively detachably attached to a vehicle body or a wire harness wired to the vehicle body; A wire harness fixing clip selectively fixed to the wire harness and the other wire harness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ring balance body; And a coupling direction changing and coupl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ring balance body and the wire harness fixing clip so that the coupling direction can be changed to a specific angle when the wire harness fixing clip is coupled to the ring balance body,
The ring balance body includes: a first receiving member that is formed so as to have a ring shape;
A first connecting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member and connecting the divided first housing members; And
And a first fastening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using member and fixing the first housing memb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member, on whic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s bent inward so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is reduced.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은,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되도록 링 형태로 분할 형성되는 제2수용부재;
상기 제2수용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할된 상기 제2수용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수용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기 제2수용부재를 고정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수용부재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2연결부재 길이가 감소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측이 내부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harness fixing clip may include: a second receiving member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wire harness is inserted;
A second connecting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and connecting the divided second housing members; And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member and fixing the second housing memb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is reduced.
상기 결합방향 변경결합부는, 상기 링 밸런스 본체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돌기부재; 및
상기 링 밸런스 본체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부재가 탈착되도록 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착홈부의 내면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탈착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coupling direction changing and engaging portion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member protruding from one of the ring balance body and the wire harness fixing clip and having an engagement groov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of the ring balance body and the wire harness fixing clip and formed with a detachment groove for detachment of the fixing protrusion member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etachment groove for insertion into the locking groove A detachable projection;
And a wire harness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wire harnes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65329A KR101859725B1 (en) | 2016-12-06 | 2016-12-06 | Clip device for c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65329A KR101859725B1 (en) | 2016-12-06 | 2016-12-06 | Clip device for cabl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53557A Division KR101940130B1 (en) | 2018-05-10 | 2018-05-10 | Clip device for cable |
| KR1020180053558A Division KR101940131B1 (en) | 2018-05-10 | 2018-05-10 | Clip device for cab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59725B1 true KR101859725B1 (en) | 2018-05-18 |
Family
ID=6245358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653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9725B1 (en) | 2016-12-06 | 2016-12-06 | Clip device for cab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59725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04316B1 (en) * | 2012-10-31 | 2014-06-05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height and angle adjustable hose holder for automobile |
-
2016
- 2016-12-06 KR KR1020160165329A patent/KR1018597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04316B1 (en) * | 2012-10-31 | 2014-06-05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height and angle adjustable hose holder for automobi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155246B2 (en) | Grommet | |
| KR101940130B1 (en) | Clip device for cable | |
| KR101495512B1 (en) | Reverse-Assemblying Preventing Clip for Fixing Cable | |
| JP2014209409A (en) | Wiring harness and connector member | |
| CN103282813A (en) | Optical connector | |
| US9263823B2 (en) | Lever connector | |
| US7251409B2 (en) | Cable strain relief design for limited space through-hole applications | |
| KR101940131B1 (en) | Clip device for cable | |
| US7154052B2 (en) | Device plate for mounting a communications device to a raceway | |
| KR101859725B1 (en) | Clip device for cable | |
| KR102290432B1 (en) | Fix clip for wire harness | |
| KR102192229B1 (en) | Wire harness fixing module | |
| CN112825422A (en) | Cable binding device | |
| CN106764271A (en) | Display device | |
| KR101820143B1 (en) | Wiring connector | |
| JP7211769B2 (en) | wire harness fixture | |
| JP2017143707A (en) | Band clip and wiring harness with the same | |
| JPH11329574A (en) | Connector equipped with wire holder | |
| CN105981248B (en) | Annex arrangement on flange member | |
| KR200288596Y1 (en) | Versatile clip for fixing a wire hareness | |
| KR20090073836A (en) | Panel Mount Connector Assembly | |
| CN207732166U (en) | Robot | |
| JP2003336619A (en) | Terminal fixing device for control cable | |
| JP7746915B2 (en) | Wire harness fixing device and wire harness | |
| KR101830435B1 (en) | Wiring conn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5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