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387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0387B1 KR101850387B1 KR1020110054165A KR20110054165A KR101850387B1 KR 101850387 B1 KR101850387 B1 KR 101850387B1 KR 1020110054165 A KR1020110054165 A KR 1020110054165A KR 20110054165 A KR20110054165 A KR 20110054165A KR 101850387 B1 KR101850387 B1 KR 1018503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
- circuit board
- module component
- module
- cover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도전 패턴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모듈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장착부에 장착되고 도전 패턴부를 구비하는 모듈부품과,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도전 패턴부와 접촉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모듈부품의 도전 패턴부과 접촉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슬림화가 가능한 모듈부품의 접속구조를 가진다.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a circuit board having a conductive pattern portion, a cover member form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module component is mounted, A first protrusion that is mounted on the cover member and inter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cover member and contacts the conductive pattern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And a connecting member including a second protruding portion to be brought into contact therewith,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increasing the productivity, and hav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module component capable of being slim.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he terminal can move And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이 개량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ortions of the terminal may be improved.
특히, 종래의 경우 카메라모듈과 같은 모듈부품을 쉴드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모듈부품에 전도성 테이프를 붙여 쉴드부재에 점착시켰고 이는 테이프 부착을 위한 공정비 및 재료비의 증가를 가져왔다.In particular,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a module component such as a camera module to a shield member in the related art, a conductive tape is attached to the module component and adhered to the shield member,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process cost and material cost for tape attachment.
따라서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의 개량의 하나로, 상기와 같은 모듈부품을 쉴드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고려될 수 있다.Accordingly, as one of the structural parts of the terminal, a structu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bove-described modular parts to the shield member can be considered.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슬림화가 가능한 모듈부품의 접속구조를 가지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provides a mobile terminal having a module component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simplify a process, increase productivity, and be slim.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며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으로부터 리세스되고 기설정된 패턴으로 노출되는 도전 패턴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독립적인 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모듈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장착부에 장착되고 기설정된 패턴으로 노출되는 도전 패턴부를 구비하는 모듈부품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도전 패턴부와 접촉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모듈부품의 도전 패턴부과 접촉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한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a circuit board built in the terminal body, an insulating layer formed to cover one surface, and a conductive pattern portion recessed from the insulating layer and expo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 cover member form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a mounting portion on which a module component configured to perform an independent function is mounted, and a conductive pattern portion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over member and expo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second protrusion which is mounted on the cover member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cover member and has a first protrusion contacting the conductive pattern part of the circuit board and a second protrusion contacting the conductive pattern part of the module component As shown in Fig.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장착부는, 상기 모듈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모듈부품의 외곽을 감싸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over member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module component is seated, and a fixing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portion of the module component.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모듈부품에는 연성회로기판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통과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a flexible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module component, and a groove through which the flexible circuit board can pass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art.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접속부재의 일면에서 일정 각도로 세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erected at an angle at one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그 세워진 각도가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ember so that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re deformed may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ing.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모듈부품은 상기 회로기판과 같은 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접속부재의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 같은 돌출방향을 가질 수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the module component is mounted to the mounting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ircuit board, and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may have the same projec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모듈부품은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 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접속부재의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 반대되는 돌출방향을 가질 수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the module component is mounted to the mounting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ircuit board,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member may have protruding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안착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재의 제2 돌출부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모듈부품과 접촉할 수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proj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can contact the module component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와 같이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모듈부품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protrusion when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module component through the through hole as described above.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모듈부품은 카메라모듈, 스피커모듈, 모터모듈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the module component may be any one of a camera module, a speaker module, and a motor module.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슬림화가 가능한 모듈부품의 접속구조를 가진다.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dule component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simplify the process,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be sli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접속부재, 커버부재 및 모듈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회로기판, 접속부재 및 커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모듈부품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모듈부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4의 A-A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3의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접속부재, 커버부재 및 모듈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회로기판, 접속부재 및 커버부재 및 모듈부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oard, a connecting member, a cover member, and a module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e parts are disassembled in a state where the circuit board,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ver member are combined in Fig. 4;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e parts are coupled in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in Fig.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oard, a connecting member, a cover member, and a module compon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3;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oard, the connecting member, the cover member, and the module component are combined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unless the configuration is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which forms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ted by the first o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camera 121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 acoustic output 15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unit 152 (see FIG. 2) and may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akerphone mode in a call.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talking and the like, a broadcast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A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The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touch pad 135 operates in correlation with the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접속부재, 커버부재 및 모듈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oard, a connection member, a cover member, and a module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1, 102), 회로기판(200), 커버부재(300), 접속부재(400) 및 모듈부품(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단말기 본체(101, 102)는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루는 각종 부품들이 배치된다.The
상기 회로기판(200)은, 상기 단말기 본체(101, 102)에 내장되며,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절연층(210)과 상기 절연층(210)으로부터 리세스되어 기설정된 패턴으로 노출되는 도전 패턴부(220)를 구비한다.The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로기판(200)은 도전층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절연층(Solder resist layer, 210)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층(210)은 일면에서 리세스되어 아래에 적층된 도전층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데, 노출되는 특정 패턴 형상의 도전층(Solder resist open, SR Open)은 도전 패턴부(220)를 이룬다.In detail, the
상기 도전 패턴부(220)에 후술하는 접속부재(400)의 제1 돌출부(411)가 접촉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회로기판(20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는 독립적인 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모듈부품(500)이 장착되는 장착부(320)를 구비한다.The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회로기판(200)은 마운트된 전자회로를 포함하고, 이 회로는 전자파 장애(EMI)와, 전자 방해 잡음(RFI)에 민감하다. 특히, 전자 방해 잡음은 단말기 내의 간섭원 또는 외부 간섭원으로부터 발생하므로, 이러한 간섭을 차단하고 전기적 소자(240)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차폐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차폐구조의 하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커버부재(300)가 고려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도금이 필요없는 스테인레스나 티타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프레스 공법을 이용하여 단계별 성형작업에 의해 가공된다.In general, the
상기 커버부재(300)는 전기적 소자(240)들을 감싸도록 차폐구역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재(300)는 각 전기적 소자(240)들을 덮도록 형성되어 SAR(전자파 인체 흡수율, Specific Absorption Rate)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상기 모듈부품(500)은, 상기 커버부재(300)의 장착부(320)에 장착되고 기설정된 패턴으로 노출되는 도전 패턴부(510)를 구비한다. 상기 도전 패턴부(220)를 통하여 상기 모듈부품(500)은 외부로부터의 신호와 내부로부터의 신호를 입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상기 모듈부품(500)은 여러 가지의 부품들이 조립되어 독립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부품을 말하고 카메라모듈, 스피커모듈, 진동모터모듈(이동 단말기의 진동 모드 작동 모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부품(500)에는 카메라모듈이 사용되었다.The
상기 접속부재(400)는 상기 회로기판(200)과 상기 커버부재(300)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커버부재(300)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기판(200)의 도전 패턴부(220)와 접촉하는 제1 돌출부(411)와 상기 모듈부품(500)의 도전 패턴부(220)과 접촉하는 제2 돌출부(4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접속부재(400)는 상기 회로기판(200)의 도전 패턴부(220)와 결합하는 제1 프레임부(410)에 제1 돌출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300)의 장착부(320)와 결합하는 제2 프레임부(420)에 제2 돌출부(421)가 형성된다.The
상기 접속부재(400)의 제1 돌출부(411)와 상기 제2 돌출부(421)는 서로 반대되는 돌출방향을 가진다. 이는 본 실시예의 모듈부품(500)인 카메라모듈이 후방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로서 회로기판(200)과 반대 방향에서 접속부재(400)와 결합되고 각 방향에 대응하여 제1 돌출부(411)와 제2 돌출부(421)를 형성하였기 때문이다.The first projecting
상기 제1 돌출부(411)와 상기 제2 돌출부(421)는 상기 접속부재(400)의 일면에서 일정 각도(a)로 세워져 형성되고,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그 세워진 각도가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와 같이 제1 돌출부(411)와 제2 돌출부(421)가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완충성에 의한 전기적 소자(240)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회로기판(200)과의 양호한 접촉성을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상기 제1 돌출부(411)와 상기 제2 돌출부(421)의 일단은 보다 확실한 접촉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뾰족하게 형성하거나 테두리를 제거하여 라운드 면을 형성할 수 있다.One end of the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접속부재(400)는 점용접(spot welding)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접속부재(400)가 일체화 된 상태를 쉴드부재로 총칭하기도 한다.The
도 5는 도 4에서 회로기판, 접속부재 및 커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모듈부품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모듈부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A-A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e parts are disassembled in a state where the circuit board,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ver member are combined in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e parts are combined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재(300)의 장착부(320)는, 상기 모듈부품(500)이 안착되는 안착부(321)와, 상기 모듈부품(500)의 외곽을 감싸는 고정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부재(400)의 제2 프레임부(4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또한 상기 고정부(322)는 복수의 고정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돌기 사이의 공간에 상기 모듈부품(500)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5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Further, the fixing
상기 커버부재(300)의 안착부(321)에는 관통구멍(321a)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재(400)의 제2 돌출부(421)는 상기 관통구멍(321a)을 통하여 돌출된다.A through
이 때 상기 제2 돌출부(421)는 상기 제1 돌출부(411)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 돌출부(421)가 모듈부품(500)과 접속하기 위해서는 장착부(320)의 두께(t)만큼의 길이가 더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이 상태에서 상기 모듈부품(500)이 상기 커버부재(300)의 장착부(320)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돌출부(421)는 모듈부품(500)의 도전 패턴부(220)와 접촉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모듈부품(500)은 상기 장착부(320)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도 8은 도 3의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접속부재, 커버부재 및 모듈부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회로기판, 접속부재 및 커버부재 및 모듈부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oard, a connecting member, a cover member, and a module compon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3,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ircuit board, Fig.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실시예에서 모듈부품(500')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되는 스피커모듈로서 상기 스피커모듈은 상기 회로기판(200)과 같은 방향에서 장착부(320')에 장착되므로 상기 접속부재(400')의 제1 돌출부(411')와 상기 제2 돌출부(421')는 서로 같은 돌출방향을 가진다.In this embodiment, the module component 500 'is a speaker modul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peaker modul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32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본 실시예의 경우도 커버부재(300')의 장착부(320')는, 상기 모듈부품(500)이 안착되는 안착부(321')와, 상기 모듈부품(500')의 외곽을 감싸는 고정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320 'of the cover member 300' includes a seating portion 321 'on which the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장착부(320')에 형성되는 고정부(322')가 상기 접속부재(400')의 제2 프레임부(42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가이드부(323)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322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320' of the cover member 300 'serves to guide the second frame portion 420'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또한 상기 고정부(322')는 복수의 고정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Further, the fixing portion 322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and the fixing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고정돌기는 좌우에 각각 2개가 형성되고 상하에 각각 길게 1개가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모듈의 각 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피커모듈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Each of the fixing protrusions is formed with two left and right protrusions, and each of the fixing protrusions is formed with a long on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contacts each side of the speaker modu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speaker module.
이 때 상기 회로기판(200)의 접속방향과 상기 스피커모듈의 접속방향이 동일하므로 상기 제2 돌출부(421')는 상기 제1 돌출부(411')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Since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모듈이 상기 커버부재(300')의 장착부(320')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돌출부(421')는 상기 스피커모듈의 도전 패턴부(미도시)와 접촉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피커모듈은 상기 장착부(320')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speaker modul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320 'of the cover member 300'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421 'contacts the conductive pattern portion (not shown) of the speaker module, do. The speaker module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320 'by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상술한 설명에서 제2 돌출부의 방향이 제1 돌출부의 방향과 같거나 다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2 돌출부는 양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rojection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first projection, but the second projection may be formed in both directions.
또한 커버부재에 여러개의 장착부를 형성하고 접속부재에 이에 대응하는 여러개의 제2 프레임부를 형성하여 여러 개의 모듈부품을 동시에 장착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mount a plurality of module parts at the same time by forming a plurality of mounting parts on the cover member and forming a plurality of second frame parts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arts on the cover member.
이에 따라 카메라모듈, 스피커모듈, 진동모터모듈을 각각 또는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camera module, the speaker module, and the vibration motor module may be respectively mounted or used simultaneously.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And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Claims (11)
상기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며,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으로부터 리세스되고 기설정된 패턴으로 노출되는 도전 패턴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차폐구역이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독립적인 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모듈부품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장착부에 장착되고 기설정된 패턴으로 노출되는 도전 패턴부를 구비하는 모듈부품;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접속부재의 일면에서 일정 각도로 세워지도록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모듈부품의 도전 패턴부와 접촉하여,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모듈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이동 단말기.A terminal body;
A circuit board embedded in the terminal main body and having an insulating layer formed to cover one surface thereof and a conductive pattern portion recessed from the insulating layer and expo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 cover member having a shielding portion formed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a mounting portion to which a module component for performing an independent function is mounted;
A module component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over member and having a conductive pattern portion expo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a connecting member mounted on the cover member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cover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And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be erected at an angle 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a conductive pattern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a conductive pattern portion of the module component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electrically connects the circuit board and the module component, .
상기 커버부재의 장착부는, 상기 모듈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모듈부품의 외곽을 감싸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over member includes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module component is seated, and a fixing portion that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dule component.
상기 모듈부품에는 연성회로기판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통과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dule part is connected to a flexible circuit board and the fixing part is formed with a groove through which the flexible circuit board can pass.
상기 안착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재의 제2 돌출부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모듈부품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proj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module component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그 세워진 각도가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formed of an elastic member so that the angle of the protrusion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a degree of pressing.
상기 모듈부품은 상기 회로기판과 같은 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접속부재의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 같은 돌출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dule component is mounted to the mounting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ircuit board,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member have the same protruding direction.
상기 모듈부품은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 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접속부재의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 반대되는 돌출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dule component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ircuit board,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member have protruding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protrusion is longer than the first protrusion.
상기 모듈부품은 카메라모듈, 스피커모듈, 모터모듈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7 to 10,
Wherein the module component is any one of a camera module, a speaker module, and a motor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54165A KR101850387B1 (en) | 2011-06-03 | 2011-06-03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54165A KR101850387B1 (en) | 2011-06-03 | 2011-06-03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134933A KR20120134933A (en) | 2012-12-12 |
| KR101850387B1 true KR101850387B1 (en) | 2018-05-31 |
Family
ID=4790305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5416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0387B1 (en) | 2011-06-03 | 2011-06-03 |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5038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036319A1 (en) * | 2018-08-13 | 2020-0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ual contact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215017A (en) * | 2006-02-10 | 2007-08-23 | Sharp Corp | Electronic equipment with camera |
-
2011
- 2011-06-03 KR KR1020110054165A patent/KR10185038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215017A (en) * | 2006-02-10 | 2007-08-23 | Sharp Corp | Electronic equipment with camera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036319A1 (en) * | 2018-08-13 | 2020-0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ual contact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
| US11031717B2 (en) | 2018-08-13 | 2021-06-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ual contact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134933A (en) | 2012-12-1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86752B1 (en) | Mobile terminal | |
| JP5508456B2 (en) | Mobile terminal | |
| US8947882B2 (en)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 US8891806B2 (en) | Mobile terminal | |
| KR101437991B1 (en) | Mobile terminal | |
| US10757239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art and earphone jack assembly | |
| KR20150076961A (en) |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 |
| KR101659024B1 (en) | Mobile terminal | |
| US10804047B2 (en) | Mobile terminal | |
| KR101850387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641486B1 (en) | Mobile terminal | |
| US8345448B2 (en) | Mobile terminal having noise shielding structure for electronic circuit board | |
| KR101984578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474440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804915B1 (en) | Mobile terminal | |
| KR20150015116A (en) |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 CN115022754B (en) | Speakers and electronic devices | |
| KR101789536B1 (en) | Mobile terminal | |
| KR20120119327A (en) | Mobile terminal | |
| KR101789537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604753B1 (en) | Portable terminal | |
| JP2008010981A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 KR101484537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1980708B1 (en) | Mobile terminal | |
| KR20150067671A (en) |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4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