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371B1 - 2-factor auth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sonic wave - Google Patents
2-factor auth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sonic wa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5371B1 KR101865371B1 KR1020160183752A KR20160183752A KR101865371B1 KR 101865371 B1 KR101865371 B1 KR 101865371B1 KR 1020160183752 A KR1020160183752 A KR 1020160183752A KR 20160183752 A KR20160183752 A KR 20160183752A KR 101865371 B1 KR101865371 B1 KR 1018653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ltrasonic signal
- finger
- signal
- fingerprint
- ultrason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 G06K9/0004—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 G06K2009/00932—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이중 인증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중 인증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접촉상태를 감지하는 압전센서부 및 압전센서부로부터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압전센서부를 통해 손가락 방향으로 제1 초음파 신호 및 제1 초음파 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초음파 신호를 방출시키고, 제1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지문 인식 및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지정맥 인식을 하며,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ual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sonic waves. A double authent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ezoelectric sensor unit for sensing a contact state of a finger of a user and a finger sensor for detecting a contact of a finger from the piezoelectric sensor unit with a first ultrasonic signal and a first ultrasonic signal A second ultrasonic signal having a frequency is emitted and a finger of the finger is recognized by using the reflected signal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the reflection signal of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authenticating the user by using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및 지정맥을 동시에 인증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이중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sonic waves for simultaneously authenticating a user's fingerprint and finger vein using ultrasonic waves.
사람마다 고유한 생체정보는 사람에게 분리될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Biometric information unique to each pers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not be separated by a person.
지문인식의 경우에는 습기나 이물질이 손가락에 묻어 있는 경우나, 손가락 피부의 훼손과 변형이 있는 경우 등 잦은 인증 오류가 지적되었고, 지문 겉면이 쉽게 위조 및 복사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fingerprint recognition, frequent authentication errors such as when moisture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on the finger or when the finger skin is damaged or deformed are pointed out, and the fingerprint can easily be forged and copied.
한편, 지정맥 인증기술은 근적외선을 손가락에 투과시켜 정맥 패턴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혈관내부를 인증하기 때문에 위변조가 불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죽은 사람의 지정맥 패턴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ique is a technique of recognizing a vein pattern by transmitting near infrared rays to a finger. Because it authenticates the inside of the blood vessel, it can not be tampered with, and if necessary, it can utilize the finger vein pattern of the dead person.
그러나 지정맥 인증기술에는 두 가지 단점이 있는데, 첫 번째는 여전히 오인식의 가능성이고, 두 번째는 두 지정맥의 유사성을 비교시 절대기준이 아닌 상대기준으로 비교하기 때문에 정확한 인식을 방해하는 편차 요인이 작용할 수 있다.However, there are two disadvantages to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technology. First,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of false recognition. Second, the similarity of the two fingerprints is compared with the relative standard rather than the absolute standard. Lt; / RTI >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오인식률이 낮은 사용자 인식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user recognition technology that is more accurate and has a low recognition rat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통한 이중 인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이중 인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n ultrasonic wave which performs double recognition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and finger vein recognition to ensure stable and accurate user authentic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초음파만을 이용하여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하드웨어 구조를 단순화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이중 인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n ultrasonic wave to simplify a hardware structure by performing fingerprint recognition and fingerprint recognition using only ultrasonic wav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이중 인증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접촉상태를 감지하는 압전센서부 및 상기 압전센서부로부터 상기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압전센서부를 통해 상기 손가락 방향으로 제1 초음파 신호 및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초음파 신호를 방출시키고,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의 지문 인식 및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의 지정맥 인식을 하며, 상기 지문 인식 및 상기 지정맥 인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ual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iezoelectric sensor unit for sensing a contact state of a finger of a user, and a piezoelectric sensor unit for sensing a contact of the finger from the piezoelectric sensor unit, Wherein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having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are emitted in the finger direction and the fingerprint recognition of the finger and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using the reflection signal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finger of the finger using a reflection signal and authenticating the user using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he finger vein recognition.
또한 상기 압전센서부는, 2차원 평면에서 어레이로 배열되며 일정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압전소자 및 상기 복수의 압전소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압전소자를 진동 절연시키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ezoelectric senso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arranged in an array in a two-dimensional plane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filler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and vibrationally insulating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신호 및 상기 제2 초음파 신호가 방출되는 시간을 서로 다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to have different emission time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의 투과력보다 제2 초음파 신호의 투과력이 높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to be higher tha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 중 상기 손가락의 골(valley) 및 마루(ridge)에서 생성되는 음향 임피던스 차이를 이용하여 지문 인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perform fingerprint recognition using a difference in acoustic impedance generated from a valley and a ridge of the finger among the reflected signals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 중 상기 손가락의 지정맥 특징점을 이용하여 지정맥 인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finger vein using the finger vein feature points of the finger among the reflected signals of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혈관의 두께, 모세혈관의 연결상태 및 판막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특징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지정맥 특징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etect at least one of the finger vein feature points by setting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of the blood vessel,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apillari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alve.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이중 인증 방법은 이중 인증 장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접촉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중 인증 장치가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손가락 방향으로 제1 초음파 신호 및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초음파 신호를 방출하는 단계, 상기 이중 인증 장치가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의 지문 인식 및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의 지정맥 인식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이중 인증 장치가 상기 지문 인식 및 상기 지정맥 인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dual authentication method using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a contact state of a user with respect to a finger of the double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detecting, when the double authentication apparatus detects contact of the finger, The second authentication device transmits a fingerprint of the finger and a reflection signal of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using a reflection signal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to emit a second ultrasonic signal having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the finger of the finger and authenticating the user using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he finger vein recognition.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이중 인증 장치 및 방법은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통한 이중 인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The dual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stable and accurate user authentication by performing double recognition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and finger vein recognition.
또한 초음파만을 이용하여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하드웨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Further, fingerprint recognition and finger vein recognition are performed using only ultrasonic waves, so that the hardwar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인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ual authent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ezoelectric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iezoelectric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ouble authentic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ual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the appended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indicated otherwis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obvious or understand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인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ual authent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인증 장치(10)는 이중 인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한다. 이중 인증 장치(1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중 인증 장치(10)는 압전센서부(110), 제어부(120), 출력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압전센서부(11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접촉상태를 감지한다. 이 때, 압전센서부(110)는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즉, 압전센서부(110)는 손가락이 접촉되면서 눌러지는 힘에 의해 신축되어 전압을 일으켜 손가락의 접촉상태를 감지하고, 역으로 전압이 인가되면 신축으로 인한 진동으로 소정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압전센서부(110)는 방출된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압전센서부(110)는 복수의 압전소자(111) 및 충진재(113)를 포함한다. 복수의 압전소자(111)는 2차원 평면에서 어레이로 배열되며, 일정 높이를 가진다. 복수의 압전소자(111)는 각각 진동에 용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기둥부(pillar)와, 기둥부의 상면 및 하면에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전극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둥부는 PZT, PST, Quartz, (Pb, Sm)TiO3, PMN(Pb(MgNb)O3), PVDF 또는 PVDF-TrFe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전극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인 Cu, Ag, Mo 또는 이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113)는 복수의 압전소자(111) 사이에 형성되어 복수의 압전소자(111)를 진동 절연시킨다. 충진재(113)는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제어부(120)는 압전센서부(110)로부터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압전센서부(110)를 통해 손가락 방향으로 제1 초음파 신호 및 제2 초음파 신호를 방출한다. 즉,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복수의 압전센서(111)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교류 전압을 인가시켜 기둥부가 상하로 진동하면서 제1 초음파 신호 및 제2 초음파 신호를 외부로 방출한다. 여기서, 제2 초음파 신호는 제1 초음파 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주파수 대역이 높아 제1 초음파 신호의 투과력보다 높은 투과력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초음파 신호 및 제2 초음파 신호가 방출되는 시간을 서로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제1 초음파 신호 및 제2 초음파 신호가 서로 간에 간섭되지 않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제어부(120)는 제1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지문 인식을 한다. 제어부(120)는 압전센서부(110)를 통해 수신된 제1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 중 손가락의 골(valley) 및 마루(ridge)에서 생성되는 음향 임피던스 차이를 이용하여 지문 인식을 한다. 제어부(120)는 반사 신호의 강도가 낮게 생성된 부분이 지문의 마루와 맞닿는 압전소자이고, 반사 신호의 강도가 높게 생성된 부분이 지문의 골과 맞닿는 압전소자라고 판단하여 지문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산출된 지문 패턴을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 지문 패턴과 비교하여 동일한 지문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한다. 여기서, 기준 지문 패턴은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 패턴일 수 있다.The
제어부(120)는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지정맥 인식을 한다. 제어부(120)는 압전센서부(110)를 통해 수신된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 중 손가락의 지정맥 특징점을 이용하여 지정맥 인식을 한다. 즉, 제어부(120)는 혈관의 두께, 모세혈관의 연결상태 및 판막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특징점으로 설정하여 지정맥 특징점을 검출한다. 제어부(120)는 검출된 지정맥 특징점을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 지정맥 특징점과 비교하여 동일한 지정맥 특징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한다. 여기서, 기준 지정맥 특징점은 등록된 사용자의 지정맥 특징점일 수 있다.The
여기서, 제어부(120)는 지문 인식에서 인증된 사용자와 지정맥 인식에서 인증된 사용자가 동일할 경우, 인증 확인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지문 인식에서 인증된 사용자와 지정맥 인식에서 인증된 사용자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인증 미확인신호를 생성한다. Here, if the user authenticated in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he authenticated user in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re the same, the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모두 인증받아야만 사용자 인증 확인을 받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can be authenticated only when bo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re authenticated.
출력부(130)는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인증 확인신호 또는 인증 미확인신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출력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저장부(140)는 제어부(120)가 사용자 인증을 위한 기준 지문 패턴 및 기준 지정맥 특징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40)는 압전센서부(110)에서 수신된 제1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 및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센서부를 A-A’단면 처리한 도면이고, 도 3(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전센서부를 A-A’단면 처리한 도면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ezoelectric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iezoelectric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ezoelectric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aken along the line A-A ', and FIG. 3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piezoelectric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압전센서부(110. 110a, 110b)는 복수의 압전소자(111, 111a, 111b) 및 충진재(113, 113a, 113b)를 포함한다.1 to 3, the
복수의 압전소자(111, 111a, 111b)는 2차원 평면 상에서 행렬 구조로 어레이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압전소자(111, 111a, 111b)는 1-3 압전 복합체(piezo composite)일 수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둥부(112a, 112d)의 상면 및 하면에 전극(112b, 112c, 112e, 112f)을 배치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plurality of
충진재(113, 113a, 113b)는 복수의 압전소자(111, 111a, 111b) 각각에 대한 진동이 서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단을 한다. 충진재(113, 113a, 113b)는 복수의 압전소자(111, 111a, 111b)가 배치된 사이에 형성되어 에레이를 이룬다.The
한편, 도 3(a)를 참조하면, 압전센서부(110a)는 복수의 압전소자(111a) 및 충진재(113a)를 포함한다. 기둥 형상을 갖는 복수의 압전소자(111a)는 진동 가능한 재로로 형성되는 기둥부(112a)를 포함하며, 기둥부(112a)의 상하에는 전동성을 갖는 전극(112b, 112c)이 배치된다. 충진재(113a)는 압전소자(111a)의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절연시킨다. 도 3(a)에 도시된 압전소자(111a)는 상하면의 전극(112b, 112c)이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갖는다.3 (a), the
도 3(b)를 참조하면, 압전센서부(110b)는 복수의 압전소자(111b) 및 충진재(113b)를 포함한다. 압전센서부(110b)는 복수의 압전소자(111b)와 충진재(113b)가 교대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3(a)의 압전센서부(110a)와 유사하다. 그러나 압전센서부(110b)는 복수의 압전소자(111b)가 사다리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복수의 압전소자(111b)는 기둥부(112d)의 높이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전극(112e, 112f)의 면적이 서로 다르다. Referring to FIG. 3 (b), the
도 3(a) 및 도 3(b)를 비교하면, 복수의 압전소자에 대한 어레이가 동일한 폭에서 총 5개의 압전소자(111a)가 배치되는 도 3(a)의 경우에 비해 도 3(b)는 총 7개의 압전소자(111b)가 배치되므로, 전체적인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압전센서부(110)는 도 3(a)의 압전센서부(110a)의 구조보다 도 3(b)의 압전센서부(110b)의 구조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a) and 3 (b),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3 (a) in which a total of five
여기서, 압전센서부(11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면에 보호층(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복수의 압전소자(111) 상면을 보호할 수 있다. 이 때, 보호층은 초음파가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ouble authentic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중 인증 장치(10)는 사용자의 손가락(200)에 초음파를 방출하여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이중 인증 장치(10)는 안정적이고, 정확한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이중 인증 장치(10)는 압전센서부(110) 위에 손가락(200)이 접촉된다. 이 때, 이중 인증 장치(10)의 단면 일부를 확대 도시한 원을 살펴보면, 압전센서부(110)는 압전소자(111) 및 충진재(113)가 교대로 배치되며, 압전소자(111)의 상면을 통해 제1 초음파 신호(310) 및 제2 초음파 신호(320)가 손가락(200)으로 방출된다. 여기서, 제1 초음파 신호(310)는 손가락(200)의 피부인 지문(230)을 감지하고, 제2 초음파 신호(320)는 손가락(200)의 내부인 지정맥(240)을 감지한다.The
상세하게는, 압전센서부(110)는 제1 초음파 신호(310)를 이용하여 지문(230)의 수많은 골(210)과 마루(220)를 감지한다. 여기서, 지문(230)은 골(210)과 마루(220)가 반복되면서 높이 차를 가진다. 따라서, 압전센서부(110)는 골(210)과 마루(220)의 높이 차를 이용하여 지문(230)을 감지한다. 즉, 압전센서부(110)는 골(210)과 마루(220)에 따른 음향 임피던스 차이로부터 발생되는 제1 초음파 신호(310)의 반사 신호에 대한 세기 또는 반사 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손가락(200)의 지문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In detail, the
또한 압전센서부(110)는 제2 초음파 신호(320)를 이용하여 지정맥(240)의 지정맥 특징점(245)을 감지한다. 여기서, 지정맥 특징점(245)은 혈관의 두께, 모세혈관의 연결상태 및 판막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압전센서부(110)는 지정맥(240) 중 다른 부분과 차별된 특징을 가지는 지정맥 특징점(245)에서 반사되는 제2 초음파 신호(320)의 반사 신호에 대한 세기 또는 반사 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손가락(200)의 지정맥을 감지할 수 있다.Further,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ual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중 인증 방법은 손가락의 지문 및 지정맥을 감지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이중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이중 인증 방법은 사용자 인증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5, a dual authentication method detects fingerprints and finger veins of a finger to perform authentication for a user. Therefore, the double authentication method can reliably and precisely authenticate the user.
S410단계에서, 이중 인증 장치(10)는 압전소자(111)에 압력이 감지되었는지 확인을 한다. 즉, 이중 인증 장치(1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접촉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이중 인증 장치(10)는 손가락이 압전소자(111)에 접촉되어 압력이 감지되면 전압을 생성함으로 접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410, the
S420단계에서, 이중 인증 장치(10)는 손가락이 압전소자(111)에 접촉이 되면 제1 초음파 신호 및 제2 초음파 신호를 방출한다. 이중 인증 장치(10)는 제1 초음파 신호 및 제2 초음파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로 신호를 방출한다. 또한 이중 인증 장치(10)는 제1 초음파 신호 및 제2 초음파 신호를 시간차가 발생되도록 방출할 수 있다. In step S420, the
S430단계에서, 이중 인증 장치(10)는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한다. 이중 인증 장치(10)는 제1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지문 패턴을 감지함으로써, 지문 인식을 한다. 이중 인증 장치(10)는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지정맥 특징점을 감지함으로써, 지정맥 인식을 한다. In step S430, the
S440단계에서, 이중 인증 장치(10)는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중 인증 장치(10)는 지문 인식된 지문 패턴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 지문 패턴과 비교하여 동일한 지문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한다. 이중 인증 장치(10)는 지정맥 인식된 지정맥 특징점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 지정맥 특징점과 비교하여 동일한 지정맥 특징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한다. 이 때, 이중 인증 장치(10)는 지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과 지정맥 특징점을 통한 사용자 인증이 모두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인증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인증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step S440,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n the embodiment in which said invention is direct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이중 인증 장치 110, 110a, 110b: 압전센서부
111, 111a, 111b: 압전소자 112a, 112d: 기둥부
112b, 112c, 112e, 112f: 전극 113, 113a, 113b: 충진재
120: 제어부 130: 출력부
140: 저장부 200: 손가락
210: 골 220: 마루
230: 지문 240: 지정맥
245: 지정맥 특징점 310: 제1 초음파 신호
320: 제2 초음파 신호10:
111, 111a, 111b:
112b, 112c, 112e, 112f:
120: control unit 130: output unit
140: storage unit 200: finger
210: Goals 220: Maru
230: fingerprint 240: finger vein
245: finger vein feature point 310: first ultrasound signal
320: second ultrasonic signal
Claims (8)
상기 압전센서부로부터 상기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압전센서부를 통해 손가락 방향으로 제1 초음파 신호 및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초음파 신호를 방출시키고,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의 지문 및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의 지정맥을 인식하며,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모두 인증받으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의 투과력보다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의 투과력이 높고, 상기 제1 초음파 신호 및 상기 제2 초음파 신호가 방출되는 시간이 서로 다르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에 포함된 혈관의 두께, 모세혈관의 연결상태 및 판막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맥 특징점을 감지하여 지정맥 인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이중 인증 장치.A piezoelectric sensor unit for sensing a contact state of a user with a finger; And
A second ultrasonic signal having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the first ultrasonic signal is emitted through the piezoelectric sensor unit in the finger direction when the contact of the finger is detected by the piezoelectric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finger vein fingerprint using the fingerprint of the finger and the reflection signal of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using the reflection signal and authenticating the user if bo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he finger vein authentication are authenticated ,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to be higher tha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the time of emission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inger vein recognition is performed by detecting at least one finger vein feature point included in the reflected signal of the second ultrasound signal, the thickness of the blood vessel, the capillary blood vessel connection stat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alve.
상기 압전센서부는,
2차원 평면에서 어레이로 배열되며 일정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압전소자; 및
상기 복수의 압전소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압전소자를 진동 절연시키는 충진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이중 인증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ezoelectric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arranged in an array in a two-dimensional plane and having a constant height; And
A filler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to vibrate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And a second authentication device using ultrasonic wav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 중 상기 손가락의 골(valley) 및 마루(ridge)에서 생성되는 음향 임피던스 차이를 이용하여 지문 인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이중 인증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s performed using a difference in acoustic impedance generated in a valley and a ridge of the finger among reflection signals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상기 이중 인증 장치가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면, 손가락 방향으로 제1 초음파 신호 및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초음파 신호를 방출하는 단계;
상기 이중 인증 장치가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의 지문 및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의 지정맥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중 인증 장치가 지문 인식 및 지정맥 인식을 모두 인증받으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의 투과력보다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의 투과력이 높고, 상기 제1 초음파 신호 및 상기 제2 초음파 신호가 방출되는 시간이 서로 다르도록 제어하며,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의 반사 신호에 포함된 혈관의 두께, 모세혈관의 연결상태 및 판막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맥 특징점을 감지하여 지정맥 인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이중 인증 방법.Detecting a contact stat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finger by the double authentication device;
When the double authentication device senses contact of the finger, emitting a first ultrasonic signal in a finger direction and a second ultrasonic signal having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Recognizing the finger vein fingerprint using the fingerprint of the finger and the reflection signal of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using the reflection signal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Authenticating the user if bo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nd finger vein recognition are authenticated by the dual authentication device,
Wherein said releasing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to be higher tha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the time of emission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recognizing comprises:
Detecting a finger vein feature point of at least one of a thickness of a blood vessel included in a reflection signal of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a connection state of a capillary blood vessel, and presence or absence of a valve, thereby performing finger vein recogni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83752A KR101865371B1 (en) | 2016-12-30 | 2016-12-30 | 2-factor auth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sonic wa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83752A KR101865371B1 (en) | 2016-12-30 | 2016-12-30 | 2-factor auth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sonic wav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65371B1 true KR101865371B1 (en) | 2018-06-07 |
Family
ID=6262129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83752A Active KR101865371B1 (en) | 2016-12-30 | 2016-12-30 | 2-factor auth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sonic wav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65371B1 (en) |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27275A (en) * | 2018-09-04 | 2020-03-12 | 한국세라믹기술원 | Transparent panel biometric system using multiple ultrasonic finger scanners |
| KR102116295B1 (en) | 2019-07-31 | 2020-05-29 | 주식회사 베프스 | Ultrasound-based dual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
| WO2020113411A1 (en) * | 2018-12-04 | 2020-06-11 |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 Fingerprint signal processing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fingerprint signal processing method |
| KR102138358B1 (en) | 2019-07-31 | 2020-07-27 | 주식회사 베프스 | Ultrasound-based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and finger vein data build up method |
| WO2021020661A1 (en) * | 2019-07-31 | 2021-02-04 | 주식회사 베프스 | Ultrasound-based dual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and biometric information data processing method |
| KR20210015603A (en) | 2020-01-09 | 2021-02-10 | 주식회사 베프스 | Ultrasound-based dual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
| CN112597845A (en) * | 2020-12-14 | 2021-04-0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
| WO2022065881A1 (en) * | 2020-09-28 | 2022-03-31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Ultrasonic sensor for establishing three-dimensional fingerprint information |
| KR20220042682A (en) * | 2020-09-28 | 2022-04-05 |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 Ultrasonic sensor that builds 3-dimensional fingerprint information |
| CN117928717A (en) * | 2023-12-14 | 2024-04-26 | 华为技术有限公司 | Ultrasonic sensor, sensor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60875A (en) * | 2011-11-30 | 2013-06-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fingerprint |
| KR101672541B1 (en) | 2016-04-15 | 2016-11-04 | 주식회사 뱅크볼 | 3d photographing apparatus checking finger vein and fingerprint at the same time |
-
2016
- 2016-12-30 KR KR1020160183752A patent/KR1018653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60875A (en) * | 2011-11-30 | 2013-06-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fingerprint |
| KR101672541B1 (en) | 2016-04-15 | 2016-11-04 | 주식회사 뱅크볼 | 3d photographing apparatus checking finger vein and fingerprint at the same time |
Cited B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60716B1 (en) * | 2018-09-04 | 2020-09-28 | 한국세라믹기술원 | Transparent panel biometric system using multiple ultrasonic finger scanners |
| KR20200027275A (en) * | 2018-09-04 | 2020-03-12 | 한국세라믹기술원 | Transparent panel biometric system using multiple ultrasonic finger scanners |
| WO2020113411A1 (en) * | 2018-12-04 | 2020-06-11 |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 Fingerprint signal processing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fingerprint signal processing method |
| WO2021020661A1 (en) * | 2019-07-31 | 2021-02-04 | 주식회사 베프스 | Ultrasound-based dual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and biometric information data processing method |
| KR102138358B1 (en) | 2019-07-31 | 2020-07-27 | 주식회사 베프스 | Ultrasound-based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and finger vein data build up method |
| WO2021020662A1 (en) * | 2019-07-31 | 2021-02-04 | 주식회사 베프스 | Ultrasonic-based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and finger vein data construction method |
| KR102116295B1 (en) | 2019-07-31 | 2020-05-29 | 주식회사 베프스 | Ultrasound-based dual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
| KR20210015603A (en) | 2020-01-09 | 2021-02-10 | 주식회사 베프스 | Ultrasound-based dual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
| WO2022065881A1 (en) * | 2020-09-28 | 2022-03-31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Ultrasonic sensor for establishing three-dimensional fingerprint information |
| KR20220042682A (en) * | 2020-09-28 | 2022-04-05 |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 Ultrasonic sensor that builds 3-dimensional fingerprint information |
| KR102445831B1 (en) * | 2020-09-28 | 2022-09-28 | 한국공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Ultrasonic sensor that builds 3-dimensional fingerprint information |
| CN112597845A (en) * | 2020-12-14 | 2021-04-0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
| CN112597845B (en) * | 2020-12-14 | 2024-03-1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
| CN117928717A (en) * | 2023-12-14 | 2024-04-26 | 华为技术有限公司 | Ultrasonic sensor, sensor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
| WO2025124358A1 (en) * | 2023-12-14 | 2025-06-19 | 华为技术有限公司 | Ultrasonic sensor, sensor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65371B1 (en) | 2-factor auth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sonic wave | |
| KR101320138B1 (en) | Fingerprint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101288178B1 (en) |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fingerprint | |
| US11288891B2 (en) | Operating a fingerprint sensor comprised of ultrasonic transducers | |
| KR101899493B1 (en) | Biometric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3d finger vein and method using the same | |
| JP7073323B2 (en) | Spoof detection with ultrasonic subcutaneous probe | |
| US12002282B2 (en) | Operating a fingerprint sensor comprised of ultrasonic transducers | |
| TWI751156B (en) | A piezoelectric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 (pmut) | |
| US20190018123A1 (en) | Defective ultrasonic transducer detection in an ultrasonic sensor | |
| KR10185037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by identifying biometrics | |
| WO2017156854A1 (en) | Detection assembly, touch-control display device, touch positioning method and pressure detection method | |
| US11682228B2 (en) | Ultrasonic fingerprint sensor with a contact layer of non-uniform thickness | |
| US11216632B2 (en) | Ultrasonic fingerprint sensor with a contact layer of non-uniform thickness | |
| US11243300B2 (en) | Operating a fingerprint sensor comprised of ultrasonic transducers and a presence sensor | |
| KR20180061826A (en) |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 |
| KR102161317B1 (en) | Ultrasonic fingerprint sensor embedded glass | |
| KR20190037760A (en) | Piezoelectric ultrasonic transducer, biometr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apparatus | |
| KR20210015603A (en) | Ultrasound-based dual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 |
| KR102116295B1 (en) | Ultrasound-based dual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 |
| KR102138358B1 (en) | Ultrasound-based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and finger vein data build up method | |
| KR102160716B1 (en) | Transparent panel biometric system using multiple ultrasonic finger scanners | |
| KR20190081398A (en) | Biometric apparatus including piezoelectric ultrasonic transduc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apparatus | |
| WO2021020661A1 (en) | Ultrasound-based dual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and biometric information data processing method | |
| CN113544694B (en) |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 |
| KR20200057464A (en) | Wave guide and ultrasonic sensor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