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862B1 - Watering Apparatus for managing of Garden - Google Patents
Watering Apparatus for managing of Gard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3862B1 KR101863862B1 KR1020160162673A KR20160162673A KR101863862B1 KR 101863862 B1 KR101863862 B1 KR 101863862B1 KR 1020160162673 A KR1020160162673 A KR 1020160162673A KR 20160162673 A KR20160162673 A KR 20160162673A KR 101863862 B1 KR101863862 B1 KR 1018638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se
- drain hole
- water
- outer hose
- inner ho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부호스에 대해 회전 가능한 외부호스가 구비되되, 외부호스의 회전에 의해 내부호스의 제1배수구멍과 외부호스의 제2배수구멍이 상호 어긋난 상태에서는 외부로 물이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이 상호 연통시에는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을 통해 외부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원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정원관리가 가능한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apparatus for practical garden mainten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apparatus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which comprises an outer hos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hose, wherein the first drainage hole of the inner hose and the second drainage When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water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apparatus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capable of efficient garden management because wate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일반적으로 정원은 대개 주택의 외부공간을 실용적, 심미적 목적으로 처리한 뜰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주거문화의 반영일뿐만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의 생활문화와 가치체계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장소라고 할 수 있다. 정원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계단, 담과 울타리, 문과 창문, 구조물, 테라스, 건물, 벤치, 물, 잔디와 지피류, 수목과 화초류, 조명, 조각, 기타 장식품 등이 있다. Generally, a garden usually refers to a yard where the exterior space of the house is treated for practical and aesthetic purpose. It is not only a reflection of the residential culture, but also a place where the life culture, .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garden are stairs, fences and fences, doors and windows, structures, terraces, buildings, benches, water, lawns and trees, trees and flowers, lights, sculptures and other ornaments.
상기와 같은 정원은 휴식과 치유의 공간일 뿐만 아니라 관광자원으로 가치가 높아 성장가능성이 큰 산업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누구나 쉽게 조성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실용정원'과 '이지가든(Easy Garden)'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The above-mentioned gardens are one of the industries that have high growth potential due to high value as tourism resources as well as resting and healing spaces.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 lot of 'Practical Garden' and 'Easy Garden' Garden 'is being actively developed.
상기와 같은 정원에는 식물에 물 공급이 매우 중요한데, 수도관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연결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일정시간 동안 그리고 매일 반복적으로 자동으로 개방함으로써 정원의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스프링쿨러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프링쿨러가 등록특허 제10-1284817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In such a garden, it is very important to supply water to plants.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garden plants by connecting a solenoid valve to a water pipe and automatically opening the solenoid valve repeatedly and automatical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every day is used, and a sprinkler or the like is used have. Such a sprinkler is disclosed in Patent No. 10-12848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상기 특허문헌 1은 호스부재와; 상기 호스부재 일단 쪽에 고정되는 노즐부재와; 상기 노즐부재의 출구를 통해 분사되는 액체가 수직으로 충돌하도록 마련된 평탄면을 구비하여 상기 노즐부재의 출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웨이트부재와; 상기 평탄면에 충돌된 액체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여 분사하도록 상기 노즐부재와 웨이트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일단을 통해 상기 노즐부재의 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분사부재와; 상기 노즐부재와 웨이트부재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분사부재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웨이트부재를 상기 노즐부재에 고정시키는 클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노즐부재와 웨이트부재의 외주에는 각각 체결홈이 마련되고, 상기 클램핑부는 열린 고리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체결홈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물 공급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시간 및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정원의 환경에 따라 정원의 구간별로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따라서, 간단한 물 공급 구조를 통해 효율적으로 정원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a means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garden through a simple water supply structur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내부호스에 대해 회전 가능한 외부호스가 구비되되, 외부호스의 회전에 의해 내부호스의 제1배수구멍과 외부호스의 제2배수구멍이 상호 어긋난 상태에서는 외부로 물이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이 상호 연통시에는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을 통해 외부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원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정원관리가 가능한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nal hose which is provided with an outer hose rotatable with respect to an inner hose, When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water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capable of efficient garden management because wate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또한, 외부호스의 회전정도에 따라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의 연통 범위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정원환경에 따라 물 배수량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that allows the user to control the water drainage amount according to the garden environment by adjusting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outer hose will b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는, 양단이 개방형성되며 그 내측에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되되, 그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1배수구멍이 형성되는 내부호스; 및 상기 내부호스가 삽입설치되도록 양단이 개방형성되며, 그 측면에 상기 다수의 제1배수구멍에 각각 대응되는 제2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외부호스;를 포함하되,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opened, a space is formed therein so that water can move, and a plurality of first An inner hose in which a drain hole is formed; And an outer hose having opposite ends opened to insert the inner hose therein and having second drain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drain 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상기 외부호스는 상기 내부호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호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이 상호 어긋난 상태에서는 외부로 물이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이 상호 연통시에는 상기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을 통해 외부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outer hos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hose, so that when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are mutually offset by the rotation of the outer hose, water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And when the second drain hol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ater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또한, 서로 다른 호스의 연결설치를 가능하게하되, 내부에 물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내부호스 및 외부호스가 연결되는 제1연결관과, 또 다른 내부호스 및 외부호스가 연결되는 제2연결관으로 구성되는 호스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se may further include a body having a water transfer passage formed therein, a first connection pipe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body, the first hose being connected to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And a hose connecting member composed of an inner hose and a second connecting pipe to which the outer hose is connected.
또한, 상기 내부호스 및 외부호스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호스 및 외부호스의 끝단 개방부를 폐쇄하는 마감캡과, 상기 마감캡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호스 및 외부호스가 연결되는 제3연결관으로 구성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nishing cap which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and closes an end opening of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which is extended to one side of the finishing cap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And a closing member formed of a tube.
또한, 상기 외부호스에는 상기 내부호스에 대하여 상기 외부호스의 독립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회전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uter hose is provided with a rotation operation unit for guiding the outer hose to rotate independently of the inner hose.
또한, 상기 외부호스에는 상기 제2배수구멍이 형성된 그 내측에서 상기 외부호스의 내주면을 둘러싸며 위치하여 상기 제1배수구멍을 통해 유출되는 물이 상기 내부호스와 외부호스의 이격공간을 통해 이동하지 않고 제2배수구멍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내부호스와 외부호스의 이격공간을 씰링처리하는 씰링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씰링돌기에는 상기 제1배수구멍을 통해 유출되는 물이 상기 제2배수구멍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배수구멍에 대응되는 이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hose may sur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hose at the inner side where the second drain hole is formed, so that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may not mov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And a sealing protrusion for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to move to the second drain hole, wherein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is moved to the second drain hole in the sealing protrusion And a mov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ain hole is formed.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호스에 대해 회전 가능한 외부호스가 구비되되, 외부호스의 회전에 의해 내부호스의 제1배수구멍과 외부호스의 제2배수구멍이 상호 어긋난 상태에서는 외부로 물이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이 상호 연통시에는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을 통해 외부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원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정원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drain hole of the inner hose and the second drain hole of the outer hose are offset from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outer hose, When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water is allowed to flow out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so that wate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according to the garden environment So that efficient garden management can be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의 회전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외부호스의 회전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를 이용한 선택적인 섹션별 물 공급 상태를 보인 설명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3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rotating process of the outer hos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operation part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selective supply of water for each section us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의 회전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외부호스의 회전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다.FIG. 3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rotating process of the outer ho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는 내부호스(100), 외부호스(20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S. 1 to 4, a water supply apparatus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 내부호스(100)는 양단이 개방형성되며 그 내측에 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측은 통상의 수도꼭지(10)와 결합되며, 타측은 후술할 마감부재(4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호스(100)의 측면에는 그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제1배수구멍(11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제1배수구멍(110)은 간단하게는 "I"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물이 넓게 퍼지는 것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상기 외부호스(200)는 상기 내부호스(100)가 삽입설치되도록 양단이 개방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호스(200)와 동일하게 일측은 통상의 수도꼭지(10)와 결합되며, 타측은 후술할 마감부재(4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호스(200)는 상기 내부호스(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외부호스(200)의 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제1배수구멍(110)에 각각 대응되는 제2배수구멍(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외부호스(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배수구멍(110)과 제2배수구멍(210)이 상호 어긋난 상태에서는 외부로 물이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1배수구멍(110)과 제2배수구멍(210)이 상호 연통시에는 상기 제1배수구멍(110)과 제2배수구멍(210)을 통해 외부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외부호스(200)에는 상기 내부호스(100)에 대하여 외부호스(200)의 독립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회전조작부(220)가 구비되는데, 상기 회전조작부(2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90도 정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조작부(220)는 그 회전각도에 따라 외부호스(200)의 회전범위를 결정하게 되는데, 제1배수구멍(110)과 제2배수구멍(210)이 일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약 45도 정도 회전시에는 제1배수구멍(110)과 제2배수구멍(210)이 절반정도 연통이 이루어지며, 약 90도 정도 회전시에는 제1배수구멍(110)과 제2배수구멍(210)이 상호 완전하게 어긋나도록 위치하게 된다.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회전조작부(22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배수구멍(110)과 제2배수구멍(210)의 연통 범위가 결정되는데, 이로 인하여, 회전조작부(2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물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또한, 상기 회전조작부(220)는 호스연결부재(300)에 구비되는 스토퍼(340)에 의해 그 회전범위가 결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상기 외부호스(200)에는 상기 제2배수구멍(210)이 형성된 그 내측에서 외부호스(200)의 내주면을 둘러싸며 위치하여 상기 내부호스(100)에 밀착 형성되는 씰링돌기(23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씰링돌기(230)는 상기 제1배수구멍(110)을 통해 유출되는 물이 상기 내부호스(100)와 외부호스(200)의 이격공간을 통해 이동하지 않고 제2배수구멍(210)으로 이동하도록 내부호스(100)와 외부호스(200)의 이격공간을 씰링처리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1배수구멍(110)을 통해 유출되는 물이 상기 제2배수구멍(210)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2배수구멍(210)에 대응되는 이동홀(231)이 형성된다.A
상기 호스연결부재(300)는 서로 다른 호스의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호스의 연결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내부호스(100)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내부호스(100) 및 외부호스(200)가 연결되는 제1연결관(320)과, 또 다른 내부호스(100) 및 외부호스(200)가 연결되는 제2연결관(330)으로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호스연결부재(300)에는 회전조작부(220)를 회전시에 회전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스토퍼(3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상기 마감부재(400)는 상기 내부호스(100) 및 외부호스(200)의 끝단에 결합되어 내부호스(100) 및 외부호스(200)의 끝단 개방부를 마감처리함으로써, 내부호스(100) 및 외부호스(200)의 끝단 개방부를 통해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내부호스(100) 및 외부호스(200)의 끝단 개방부를 폐쇄하는 마감캡(410)과, 상기 마감캡(410)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호스(100) 및 외부호스(200)가 연결되는 제3연결관(420)으로 구성된다.The
이하에서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를 이용한 선택적인 섹션별 물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tional section-by-section water supply method using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호스연결부재(300)를 통해 연결설치되는 각각의 외부호스(200)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제1배수구멍(110)과 제2배수구멍(210)이 연통되지 않은 상태 즉, 어긋난 상태에서는 제2배수구멍(210)을 통해 외부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회전조작부(220)를 조작하여 제1배수구멍(110)과 제2배수구멍(210)이 연통된 상태에서는 제2배수구멍(210)을 통해 외부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5 and 6,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dividually rotate each of the
본 발명은 정원의 환경에 따라, 특정 섹션(section)에 물의 공급이 필요하거나, 특정 섹션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야 할 경우, 개별적으로 외부호스(200)의 회전을 조작하여 필요한 섹션에만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S3 섹션에는 물의 공급이 필요하고, S2 섹션에는 물이 공급되지 말아야 할 경우, S2 섹션에 해당하는 외부호스(200)를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S1,S3 섹션에만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ly of water to a specific section is required or the supply of water to a specific section is not required, the rotation of the
즉, 본 발명은 외부호스(200)의 개별적인 조작을 통해 섹션별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섹션별로 효율적인 정원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for each section through the individual operation of the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내부호스 110: 제1배수구멍
200: 외부호스 210: 제2배수구멍
220: 회전조작부 230: 씰링돌기
231: 이동홀 300: 호스연결부재
310: 몸체 320: 제1연결관
330: 제2연결관 400: 마감부재
410: 마감캡 420: 제3연결관100: Inner hose 110: First drainage hole
200: outer hose 210: second drain hole
220: rotation operation part 230: sealing projection
231: moving hole 300: hose connecting member
310: body 320: first connector
330: second connection pipe 400: closing member
410: Finishing cap 420: Third connection pipe
Claims (5)
상기 내부호스가 삽입설치되도록 양단이 개방형성되며, 그 측면에 상기 다수의 제1배수구멍에 각각 대응되는 제2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외부호스;
서로 다른 호스의 연결설치를 가능하게하되, 내부에 물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내부호스 및 외부호스가 연결되는 제1연결관과, 또 다른 내부호스 및 외부호스가 연결되는 제2연결관으로 구성되는 호스연결부재; 및
상기 내부호스 및 외부호스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호스 및 외부호스의 끝단 개방부를 폐쇄하는 마감캡과, 상기 마감캡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호스 및 외부호스가 연결되는 제3연결관으로 구성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호스는 상기 내부호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호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이 상호 어긋난 상태에서는 외부로 물이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이 상호 연통시에는 상기 제1배수구멍과 제2배수구멍을 통해 외부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호스에는 상기 제2배수구멍이 형성된 그 내측에서 상기 외부호스의 내주면을 둘러싸며 위치하여 상기 제1배수구멍을 통해 유출되는 물이 상기 내부호스와 외부호스의 이격공간을 통해 이동하지 않고 제2배수구멍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내부호스와 외부호스의 이격공간을 씰링처리하는 씰링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씰링돌기에는 상기 제1배수구멍을 통해 유출되는 물이 상기 제2배수구멍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배수구멍에 대응되는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호스에는 상기 내부호스에 대하여 상기 외부호스의 독립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회전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호스연결부재에는 상기 회전조작부를 회전시에 회전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
An inner hose in which both ends are opened, a spac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so that water can be moved, and a plurality of first drain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nner hose;
An outer hose having both ends opened so that the inner hose is inserted and formed and second drain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drain 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and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body, a second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to which an external hose is connected; And
A finishing cap which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and closes an end opening of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and a third connecting pipe which is extended to one side of the finishing cap and to which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are connected And a closing member,
Wherein the outer hos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inner hose, so that when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are mutually offset by the rotation of the outer hose, water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And when the second drain hol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ater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The outer hose is located inside the outer hose and surround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hose at the inside thereof and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does not mov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And a sealing protrusion for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se and the outer hose so as to move to the second drain hole, wherein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can be moved to the second drain hole in the sealing protrusion A mov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ain hole is formed,
Wherein the hos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stopp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operation unit when the rotation operation unit is rotated, And a water supply device for water for practical garden managemen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62673A KR101863862B1 (en) | 2016-12-01 | 2016-12-01 | Watering Apparatus for managing of Gard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62673A KR101863862B1 (en) | 2016-12-01 | 2016-12-01 | Watering Apparatus for managing of Garde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63862B1 true KR101863862B1 (en) | 2018-06-01 |
Family
ID=6263509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62673A Active KR101863862B1 (en) | 2016-12-01 | 2016-12-01 | Watering Apparatus for managing of Garde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63862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388213A (en) * | 2020-12-02 | 2021-02-23 | 布莱凯特设备(苏州)有限公司 | Cooling device for welding conveying assembly lin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35781A (en) * | 2001-05-21 | 2002-11-26 | Yuichi Tanaka | Water level-controlling valve |
| KR200306609Y1 (en) * | 2002-12-21 | 2003-03-12 | 김제구 | Variable opening and shutting drain valve member for drops horse of farm produce a water supply system |
| KR101284817B1 (en) | 2010-08-04 | 2013-07-10 | 최유현 | sprinkler |
-
2016
- 2016-12-01 KR KR1020160162673A patent/KR10186386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35781A (en) * | 2001-05-21 | 2002-11-26 | Yuichi Tanaka | Water level-controlling valve |
| KR200306609Y1 (en) * | 2002-12-21 | 2003-03-12 | 김제구 | Variable opening and shutting drain valve member for drops horse of farm produce a water supply system |
| KR101284817B1 (en) | 2010-08-04 | 2013-07-10 | 최유현 | sprinkler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388213A (en) * | 2020-12-02 | 2021-02-23 | 布莱凯特设备(苏州)有限公司 | Cooling device for welding conveying assembly line |
| CN112388213B (en) * | 2020-12-02 | 2022-04-12 | 布莱凯特设备(苏州)有限公司 | Cooling device for welding conveying assembly lin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4901927A (en) | Dual shower head assembly | |
| US8684283B2 (en) | Variable range sprinkler apparatus and variable range sprinkler pattern method | |
| WO2017201848A1 (en) | Oscillating sprinkler with adjustable sprinkling area | |
| US10895065B2 (en) | Single cavity diverter valve | |
| KR20100055514A (en) | Sprink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CN210869134U (en) | Municipal landscape garden irrigation device | |
| US20200068820A1 (en) | Irrigation system | |
| KR101863862B1 (en) | Watering Apparatus for managing of Garden | |
| AU673733B2 (en) | In-ground pop-up sprinkler with above ground hose connection | |
| US4452397A (en) | Irrigation system | |
| CA3078411A1 (en) | Twin boom sprinkler | |
| CN205761893U (en) | Spray area adjustable swing sprinkler | |
| KR102091926B1 (en) | Nozzle assembly for water mist sprayer | |
| KR101194116B1 (en) | The injecting nozzle for agriculture | |
| CN112913653B (en) | Municipal garden irrigation system | |
| CN216452415U (en) | Landscape plant curing means | |
| KR20230028617A (en) | Device for regulating angle of irrigation hose for agriculture | |
| KR20210028782A (en) | Hose connecting unit for agriculture | |
| US20230074078A1 (en) | Irrigation sprinkler | |
| CN214430780U (en) | Garden water spraying device | |
| US6386464B1 (en) | Apparatus for lawn irrigation | |
| KR101104116B1 (en) | Low pressure mist spray nozzle for easy control of spray area | |
| KR101695061B1 (en) | The hose pipe carrier with the locking device for water | |
| JP3082022U (en) | Automatic watering device | |
| KR101024597B1 (en) | Sprinkl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