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536B1 - Plate pack type separator for separating fluid in vessel - Google Patents
Plate pack type separator for separating fluid in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6536B1 KR101876536B1 KR1020160141865A KR20160141865A KR101876536B1 KR 101876536 B1 KR101876536 B1 KR 101876536B1 KR 1020160141865 A KR1020160141865 A KR 1020160141865A KR 20160141865 A KR20160141865 A KR 20160141865A KR 101876536 B1 KR101876536 B1 KR 1018765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plates
- flow path
- fluid
- pack ty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01D17/045—Breaking emulsions with coales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유체의 액적들이 합쳐지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베셀의 다상유체분리를 위한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가 소개된다.
이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지지프레임과, 장착공간에 경사지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로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유체의 흐름시 액적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배플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A plate pack type separator for multiphasic fluid separation of vessels is introduced which can increase the effect of merging fluid droplets.
The separator of the plate pack type includes a support frame for providing a mounting space and a plurality of plates spaced obliquely and spaced from each other in a mounting space. A flow passage for moving the fluid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is formed. A plurality of baffles in which liquid droplet growth occurs can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트에 배플을 형성하여 유체의 액적(droplet)들이 합쳐지는(coalescing) 효과를 증대하여 liqht liquid 와 heavy liquid 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키는 베셀의 다상유체분리를 위한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 of a plate pack type, in which a baffle is formed on a plate to increase the coalescing effect of the fluid droplets, thereby improv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liqht liquid and the heavy liquid, To a separator of a plate pack type.
일반적으로 액체-액체(liquid-liquid) 분리, 특히 워터(water)와 오일(oil)의 분리는 화학공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취급된다. 이는 화학공정의 다운스트림(downstream) 공정의 설계와 운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워터가 제거되지 않은 오일이 다운스트림으로 유입되면, 후단공정에 예상외의 성능저하 및 장치의 부식을 초래할 수 있다. In general, liquid-liquid separation, especially the separation of water and oil,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chemical processes. This is because it greatly influences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downstream process of the chemical process. If the unwatered oil is introduced downstream, it can lead to unexpected performance degradation and corrosion of the equipment in the downstream process.
유수 분리를 위한 종래 분리기에서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팩(plate pack)이 제안된 바 있다. 이들 복수의 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에는 유체가 이동되면서 분리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유체 중에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액체(Heavy liquid droplet, solid particle 포함)는 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분리가 이루어지고, 유체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액체(Light liquid droplet)는 플레이트의 하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분리가 이루어진다. In a conventional separator for oil-water separation, a plate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are arranged at an angle to be inclined has been proposed. The fluid is moved to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and separated. For example, relatively heavy liquids (including heavy liquid droplets and solid particles) are separat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light liquid droplets in the fluid are separated .
그런데, 종래 분리기의 경우, 유체가 복수의 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을 이동하면서, 유체의 비중에 의해서만 분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무거운 액체와 가벼운 액체 간에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수 분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eparator, since the fluid is separated only b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luid while moving between the platelets, separation between the heavy liquid and the light liquid may not be properly performed, Performance may be degraded.
이에, 유체의 액적들이 합쳐지는 효과를 향상시켜 유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improving the effect of combining droplets of a fluid to improve the water separ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유체의 액적들이 합쳐지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베셀의 다상유체분리를 위한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plate pack type separator for multi-phase fluid separation of vessel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 of aggregation of fluid droplet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low of flui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베셀의 다상유체분리를 위한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장착공간에 경사지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로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유체의 흐름시 액적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배플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te pack type separator for separating multiphasic fluid of a vessel,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 providing a mounting space; And a plurality of baffles disposed on the mounting space at an angle to each other, wherein a plurality of baffl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late, And can be formed spaced apart.
이때, 상기 복수의 배플 간 이격거리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간 이격거리 대비 2~5배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baffles may be in the range of 2 to 5 times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또한, 상기 배플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간 이격거리 대비 0.2~0.3배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baffle may be in the range of 0.2 to 0.3 times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또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장착공간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측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장착공간에서 타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 배치되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lates may include a first plate disposed to be inclined and spaced in one direction in the mounting space; And a second plate arranged to be laterally offset from the first plate in an oblique direction in the mounting space.
또한, 상기 유로는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유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단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유로;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하단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하단부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path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low path formed vertically between an upper end of the first plate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And a third flow path formed vertically between a lower end of the first plate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plate.
또한, 상기 제 1 유로의 하측에는 상기 유체 중에서 헤비 액체(heavy liquid) 흐름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로의 상측에는 상기 유체 중에서 상기 헤비 액체보다 비중이 가벼운 라이트 액체(light liquid)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heavy liquid flow is formed in the fluid below the first flow path, and a light liquid flow is formed in the fluid above the first flow path, the light liquid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the heavy liquid in the fluid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플을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유체의 액적(droplet)들이 합쳐지는(coalescing)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액적의 분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baff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alescing effect of the droplets of the fluid without disturbing the flow of the flui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ximiz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수 분리 성능의 향상을 통해 장치의 크기를 작게하여 경제적인 설계를 할 수 있게 하고, 다운스트림 프로세스 유닛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apparatus by improving the oil-water separating performance, to make the economical design,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ownstream process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의 플레이트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의 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 의 "B-B"부분에서 바라본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가 장착된 베셀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 의 "C-C"부분에서 바라본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ate pack typ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portion "A"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portion of a plate of a plate pack typ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plate of a separator of a plate pack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the plate viewed in the section "BB" in Fig.
6 is a view showing a vessel equipped with a plate pack typ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eparator of a plate pack type as viewed from the "CC" portion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many aspects of the claimed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for clarity.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its various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nd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not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의 플레이트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or of a plate pack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e pack typ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셀의 다상유체분리를 위한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10)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지지프레임(100)과, 배플(220)이 마련된 복수의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plate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100)은 복수의 프레임이 사각 틀 형태로 조립되어, 내측으로 복수의 플레이트(21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00)은 복수의 플레이트(210)를 지지하기 위해 사각 틀 형태로 제공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지지프레임(100)은 복수의 플레이트(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100)은 원통형 또는 반구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Specifically, the
지지프레임(100)에는 복수의 플레이트(210)가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100)에는 플레이트(210)의 단부가 끼워지는 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지지프레임(100)에는 복수의 플레이트(210)가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이들 복수의 플레이트(210)와 측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또 다른 복수의 플레이트(21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에는 복수의 플레이트(210) 사이로 액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지지프레임(100)은 후술하는 베셀의 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베셀의 형상/형태에 따라, 지지프레임(100)은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복수의 플레이트(210)는 지지프레임(100)의 장착공간에서 일방향으로 일정각도(예를 들면, +30°~ +60°) 경사지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플레이트(211)와, 제 1 플레이트(211)와 좌우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장착공간에서 타방향으로 일정각도(예를 들면, -30°~ -60°)경사지게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플레이트(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 1 플레이트(211) 및 제 2 플레이트(212)는 "V"자 형태로 지지프레임(100)의 장착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이들 제 1 플레이트(211) 및 제 2 플레이트(212)는 지지프레임(100)의 장착공간 내에서, 분리기의 측방향으로 교대로(번갈아) 이격 배치되어 유로를 제공하는 플레이트 어셈블리(200)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유체는 제 1 플레이트(211) 및 제 2 플레이트(212)의 사이공간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uid can be moved upward or downward in the space between the
유로는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복수의 플레이트(210) 사이로 형성되는 제 1 유로(W1)와, 이웃하는 플레이트(210)(제 1 플레이트(211) 및 제 2 플레이트(212))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유로(W2)와, 이웃하는 플레이트(210)(제 1 플레이트(211) 및 제 2 플레이트(212))의 하단부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 유로(W3)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low path is constituted by a first flow path W1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이때, 제 1 유로(W1)의 하측에는 유체 중에서 워터와 같은 헤비 액체(heavy liquid, solid particle 포함) 흐름이 형성될 수 있고, 제 1 유로(W1)의 상측에는 유체 중에서 헤비 액체보다 비중이 가벼운 오일과 같은 라이트 액체(light liquid)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헤비 액체는 제 1 유로(W1)의 하측, 다시 말해 플레이트(210)의 상면에서 플레이트(210)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3 유로(W3)를 통해 지지프레임(100)의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라이트 액체는 제 1 유로(W1)의 상측, 다시 말해 플레이트(210)의 하면에서 플레이트(210)의 경사진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1 유로(W1)를 통해 지지프레임(100)의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low of heavy liquid (including solid particles) such as water in the flui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low path W1.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low path W1, A light liquid flow such as oil can be formed. The heavy liquid is moved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의 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 의 "B-B"부분에서 바라본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plate of a plate pack typ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rear view of a plate viewed from a portion "B-B" of FIG.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플레이트(210)의 하면에는 복수의 배플(220)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배플(220)은 유체(F)의 액적(droplet)들이 합쳐지는(coalescing) 효과를 증대시켜, 액적의 분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컨대, 유체(F: Light liquid droplet, Heavy liquid droplet, solid particle 포함) 중에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라이트 액체(예를 들면, 오일)는 제 1 유로(W1)를 이동하면서 배플(220) 주위에서 응집력에 의해 서로 합쳐져 성장(D)될 수 있는 바, 배플(220)에서 성장한 라이트 액체는 플레이트(210)의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헤비 액체와 분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to 5,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복수의 배플(220)을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형성하면, 라이트 액체가 플레이트(210)의 하부를 따라 올라가다가 배플(220) 주위에서 합쳐지면서 (coalescing) 성장(D)되므로, 복수의 배플(220)이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수 분리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여기서, 복수의 배플(220) 간 이격거리(d1)는 복수의 플레이트(210) 간 이격거리(d2) 대비 2~5배 범위로 설계될 수 있다. 복수의 배플(220) 간 이격거리(d1)가 복수의 플레이트(210) 간 이격거리(d2) 대비 2배 미만이면, 복수의 배플(220) 간 이격거리(d1)가 너무 가까워지므로 가벼운 액체(liquid liquid)가 합쳐질 (coalescing)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지고, 이미 합쳐진 가벼운 액체들이 플레이트(210)를 따라 올라가는 흐름도 배플(220)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고, 복수의 배플(220) 간 이격거리(d1)가 복수의 플레이트(210) 간 이격거리(d2) 대비 5배 초과이면, 복수의 배플(220) 간 이격거리(d1)가 너무 멀어지므로 액적 들 간 합쳐지는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Here, the spacing distance d1 between the plurality of
배플(220)의 높이(h1)는 복수의 플레이트(210) 간 이격거리(d2) 대비 0.2~0.3배 범위로 설계될 수 있다. 배플(220)의 높이(h1)가 복수의 플레이트(210) 간 이격거리(d2) 대비 0.2배 미만이면, 배플(220)의 높이(h1)가 너무 낮아 액적 들 간 합쳐지는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배플(220)의 높이(h1)가 복수의 플레이트(210) 간 이격거리(d2) 대비 0.3배 초과이면, 배플(220)의 높이(h1)가 너무 높아 액체의 흐름이 배플(220)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다.The height h1 of the
본 실시예에서, 배플(220)의 길이는 150 ~ 700mm로 설계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200~450mm로 설계될 수 있고, 배플(220) 간 간격은 50~100mm로 설계되므로, 합쳐진 라이트 액체들이 배플에서 빠져나와 플레이트(210)를 따라 올라갈 수 있게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배플(220)의 길이 및 간격은 플레이트 어셈블리(200)의 길이 및 사이즈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가 장착된 베셀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 의 "C-C"부분에서 바라본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vessel equipped with a plate pack typ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plate pack type separator seen from a portion "C-C"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10')는, 유입구(31) 및 상부유출구(33), 하부유출구(34)가 마련된 베셀(20)에 장착될 수 있다.6 to 7, a plate pack type sepa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보다 자세하게, 베셀(20)은 원통형의 하우징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베셀(20)에는 일정 용량의 유체가 수용 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셀(20)의 상측전방에는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입구(31)가 마련되고, 베셀(20) 상측 후방의 라이트액체 배출이 이루어지는 상부유출구(33)와 하측 후방의 헤비 액체 배출이 이루어지는 하부유출구(34)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베셀(20)의 상측 또는 측벽의 소정 높이에는 유수 분리된 유체(예를 들어, 가스, 워터, 오일...)의 분리 배출되는 분리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베셀(20)에는 유체를 유수 분리하기 위한 장치들, 예를 들면,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10')가 장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10')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지지프레임(100)과, 복수의 배플(220)이 이격 형성된 복수의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여기서, 분리기(10')의 세부 구성,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100) 및 복수의 플레이트(210) 구성은, 상술한 분리기(10)의 지지프레임(100) 및 복수의 플레이트(210)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분리기(10')의 전체적인 형태는, 베셀(20)의 형태에 따라 변경되어 설계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분리기(10')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원통형의 베셀(20)에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parator 10 ', for exampl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플을 형성하여,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유체의 액적들이 합쳐지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액적의분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유수 분리 성능의 향상을 통해 장치의 크기를 줄요 경제적인 설계를 할 수 있게 하고, 다운스트림 프로세스 유닛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ff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combining the droplets of the fluid without disturbing the flow of the fluid, maximiz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droplet, It is possible to have an advantageous advantage such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apparatus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to make the economical design,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ownstream process uni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the material, size and the like of each constituent element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field or can combine or substitute the embodiments in a form not clearly disclo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rang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지지프레임 200 :플레이트 어셈블리
210 :플레이트 211 :제 1 플레이트
212 :제 2 플레이트 220 :배플
W1 :제 1 유로 W2 :제 2 유로
W3 :제 3 유로100: support frame 200: plate assembly
210: plate 211: first plate
212: second plate 220: baffle
W1: first flow path W2: second flow path
W3: 3rd Euro
Claims (6)
상기 장착공간에 경사지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로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복수의 배플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유체의 흐름시 액적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상기 배플의 높이(h1)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간 이격거리(d2) 대비 0.2~0.3배 범위를 만족하는 베셀의 다상유체분리를 위한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A support frame for providing a mounting space; And
And a plurality of plates disposed obliquely and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space,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moves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A plurality of baffle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droplet is grown during the flow of the fluid,
Wherein a height (h1) of the baffle satisfies a range of 0.2 to 0.3 times the separation distance (d2)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상기 복수의 배플 간 이격거리(d1)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간 이격거리(d2) 대비 2~5배 범위를 만족하는 베셀의 다상유체분리를 위한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baffle separation distances (d1)
And separating the bezel in a range of 2 to 5 times the separation distance (d2)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장착공간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측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장착공간에서 타방향으로 경사지게 이격 배치되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셀의 다상유체분리를 위한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plates
A first plate spaced obliquely from the mounting space in one direction; And
And a second plate arranged to be later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being inclined and offset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mounting space.
상기 유로는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유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단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유로;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하단부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하단부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 유로를 포함하는 베셀의 다상유체분리를 위한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5. The method of claim 4,
The flow path
A first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facing up and down;
A second flow path formed vertically between an upper end of the first plate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And
And a third flow path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a lower end of the first plate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plate.
상기 제 1 유로의 하측에는
상기 유체 중에서 헤비 액체(heavy liquid) 흐름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로의 상측에는
상기 유체 중에서 상기 헤비 액체보다 비중이 가벼운 라이트 액체(light liquid) 흐름이 형성되는 베셀의 다상유체분리를 위한 플레이트팩 타입의 분리기.6. The method of claim 5,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low path
A heavy liquid flow is formed in the flui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low path
And a light liquid flow is formed in the fluid, the light liquid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the heavy liqui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41865A KR101876536B1 (en) | 2016-10-28 | 2016-10-28 | Plate pack type separator for separating fluid in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41865A KR101876536B1 (en) | 2016-10-28 | 2016-10-28 | Plate pack type separator for separating fluid in vesse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46564A KR20180046564A (en) | 2018-05-09 |
| KR101876536B1 true KR101876536B1 (en) | 2018-07-09 |
Family
ID=6220094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41865A Active KR101876536B1 (en) | 2016-10-28 | 2016-10-28 | Plate pack type separator for separating fluid in vesse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76536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070964A (en) * | 1973-10-24 | 1975-06-12 | ||
| EP0239199B1 (en) * | 1986-02-03 | 1991-07-31 | Filter Plate Company | Separation system using coalescing techniques |
| JP2002210301A (en) * | 2000-11-17 | 2002-07-30 | Big Alpha Co Ltd | Liquid separation apparatus |
| JP2009165906A (en) * | 2008-01-10 | 2009-07-30 | Torao Inoue | Gravitational separation apparatus |
| JP4358906B2 (en) * | 1994-07-29 | 2009-11-04 |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フルーイド セパレイション プロプライエタリィ リミテッド |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
-
2016
- 2016-10-28 KR KR1020160141865A patent/KR1018765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070964A (en) * | 1973-10-24 | 1975-06-12 | ||
| EP0239199B1 (en) * | 1986-02-03 | 1991-07-31 | Filter Plate Company | Separation system using coalescing techniques |
| JP4358906B2 (en) * | 1994-07-29 | 2009-11-04 |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フルーイド セパレイション プロプライエタリィ リミテッド |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
| JP2002210301A (en) * | 2000-11-17 | 2002-07-30 | Big Alpha Co Ltd | Liquid separation apparatus |
| JP2009165906A (en) * | 2008-01-10 | 2009-07-30 | Torao Inoue | Gravitational separation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46564A (en) | 2018-05-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148072B2 (en) | Inlet diverter | |
| US9795898B2 (en) | Cyclonic separator system | |
| JP3546359B2 (en) | Oil-water separator | |
| EP2789396A1 (en) | Vortex separator and separation method | |
| US8182685B2 (en) | Effluent filter cartridge with progressive filtration | |
| WO2015188850A1 (en) | Subsea separator | |
| KR101876536B1 (en) | Plate pack type separator for separating fluid in vessel | |
| US7484627B2 (en) | EIP pack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 |
| US20160008752A1 (en) | Vertical gas/liquid phase separator | |
| US20060054551A1 (en) | Fuel and water separator | |
| RU55636U1 (en) | SEPARATOR GAS-LIQUID VERTICAL VORTEX TYPE | |
| CN108474599B (en) | Oil separator | |
| US6763952B2 (en) | Composite fluid separator | |
| JP5548338B2 (en) | Settling liquid-liquid separator | |
| US20210086107A1 (en) | Sand collection and concentration tank | |
| JP2005069654A (en) | Oil separator | |
| CN104254378B (en) | Wastewater treatment plant | |
| CN116891314A (en) | An oil-water separation and liquid-solid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 |
| RU2579847C2 (en) | Device for separation of mix of light fluid and water and method to this end | |
| EP1125620B1 (en) | Separator | |
| RU2346727C1 (en) | Gas separator of vortex type | |
| RU157602U1 (en) | RECEPTION SEPARATOR FOR INSTALLATION OF INTEGRATED GAS PREPARATION | |
| CN103370115B (en) | Sedimentation type liquid-liquid separator | |
| RU2635159C1 (en) | Vortex-type gas separator | |
| KR102006882B1 (en) | Phase separation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