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022B1 - Multi Green Vertical Planter - Google Patents
Multi Green Vertical Pla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8022B1 KR101878022B1 KR1020150166593A KR20150166593A KR101878022B1 KR 101878022 B1 KR101878022 B1 KR 101878022B1 KR 1020150166593 A KR1020150166593 A KR 1020150166593A KR 20150166593 A KR20150166593 A KR 20150166593A KR 101878022 B1 KR101878022 B1 KR 1018780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len
- water
- flowerpot
- vertical
- po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60011 Cocos nucife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1218 seed cultur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3621 irrigation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34 energy con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720 Malnutri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176 Nicotiana taba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343 nutrient deficienc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54 plant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과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직 벽면의 설치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가뭄과 혹한기 생육의 안정성을 위하여 토심의 확장, 관수시설의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건축물, 방음벽 등의 외장으로서의 벽면녹화 기반 화분, 도심형 다층 구조 수직 농장 기반 화분, 실내 인테리어 및 실내 간이 농장 활용 기반 화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구조적 특성을 가진 다목적 화분과 식물농장 등 다양한 활용성에 따른 설치 옵션으로 물받이(200), 종자배양판(300), 그리고 이러한 화분의 특성을 배가시키기 위하여 화분의 후면에 외부식생매트를 설치하는 벽면녹화 설치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vertical flowerpot for multi-layer structure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multi-purpose flowerpot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oil depth and easy installation of irrigation water for the stability of drought and cold weather, I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multi-purpose pollen and plantation farms with structural characteristics to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wall-surface greening-based pollen as an exterior of building, soundproof wall, urban multi-layered structure, vertical farm-based pollen, indoor interior, The installation option is a water surface (200), a seed culture plate (300), and an external vegetation mat on the rear side of the pot to doub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적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우리나라 기후와 다양한 식물의 생육환경에 적합한 구조로 다양한 설치 형태를 갖출 수 있어 활용적으로도 1) 건축물, 방음벽 등의 외장으로서의 벽면녹화 기반 화분 2) 도심형 다층 구조 수직 농장 기반 화분 3) 실내 인테리어 및 실내 간이 농장 활용 기반 화분 등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과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variously in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climate of Korea and the growth environment of various plants and can be used variously as a functionally installed one. Therefore, it can be used for: 1) a wall-veneering-based pollen as an exterior of a building, a soundproof wall, etc. 2) Vertical plant-based pots 3) indoor multi-purpose multi-purpose pots and multi-purpose pots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nterior pots and indoor pots.
세계는 급속도로 도시화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세계인구의 65%가 도시에 밀집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화로 인해 사람들과 녹지공간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고, 각종 산업 및 건축물, 자동차로 인한 인위적 열에 의한 도시열섬현상이 악화되고 있다. 이로 인한 에어컨의 수요, 도시오염이 증가됨으로써 쾌적하지 않은 환경이 조성될 뿐 아니라, 강수량의 패턴이 변경되기도 한다. 사실상, 도시의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는 지름길은 도시 내 녹지면적의 확대이나, 공간 확보라는 측면에서 현실적 한계에 부딪치는 것이 사실이다. The world is rapidly urbanizing, and by 2025, 65% of the world's population is expected to be concentrated in cities. Due to urbanization, the distance between people and the green space is getting far away, and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caused by artificial heat caused by various industries, buildings, and automobiles is getting worse. As a result of this, the demand for air conditioners and city pollution increase, which not only creates an unpleasant environment, but also changes the pattern of precipitation. In fact, it is true that the shortcut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city is confronted with realistic limitations in terms of enlargement of the green area in the city and securing of the space.
이에 벽면 녹화는 생태건축의 일환으로 소규모 식재공간만으로도 토지의 종적이용을 통하여 절대적인 식물의 총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녹지 공간 확보와 유사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도시 미기상 (지상 10m 이하의 지표면층(atmospheric surface layer)에서 일어나는 비교적 짧은 기상 환경 조건이나 상태 및 변화 과정 등을 총칭) 조절 등의 녹지기능 외에도 도시경관 개선과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도 매우 바람직한 녹화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주진희 등, 건국대 녹색기술융합학과 2014)As a part of ecological architecture, wall vegetation can increase the total amount of plants through the longitudinal use of land with only a small planting space, and it is similar to the effect of securing green space. It is also a very desirable means of greening, in terms of urban landscape improvement and energy conservation, in addition to greenery functions such as the control of urban microclimate (a relatively short weather environment condition or condition and change process occurring at an atmospheric surface layer of less than 10m above the ground) (Ju Jin Hee et al., Konkuk University Green Technology Convergence Department, 2014)
또한 벽면녹화는 옥상녹화와 함께 과밀화된 기존도시의 녹지 확보와 생물의 서식공간 확보 그리고, 건축물의 냉난방 에너지 절감 및 미시기후의 조절, 이산화탄소 흡수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특히, 옥상녹화에 비해 입면녹화가 이산화탄소 흡수나 산소 발생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wall-screening has various effects such as securing the green space of the existing city which is overcrowded along with the rooftop greening, securing the habitat of living creatures, reducing energy of heating and cooling of buildings, controlling micro climate and absorbing carbon dioxide.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the greening of the facade compared to the rooftop greening is very high in carbon dioxide absorption and oxygen production.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면, 세계 각지의 도시 지역에 빌딩형 식물 공장이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팜드히어(FarmedHere), 더 플랜트(The Plant), 싱가포르의 스카이그린스(Sky Greens), 스웨덴의 플랜타곤(Plantagon), 등이 바로 그 곳이다. 유기농의 채소 등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농장에서 식탁까지의 거리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나타난 현상이다. 또한 미래의 식량난과 농경지 부족에 대한 해결책도 그 배경이 된다. 이의 핵심기술 중 하나가 벽면녹화의 시스템이다. 다층 구조 시설을 통한 식물 재배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같은 면적에 더 많은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도심지역이나 아파트 실내 등 좁고 비싼 땅에서 농장 운영이 가능해진다.(Newsweek, 2013.5.20.)On the other hand, building plant factories are increasing in urban areas around the world. FarmedHere, The Plant, Sky Greens in Singapore, and Plantagon in Sweden are among the most popular places in the world. As the demand for organic vegetables increases,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the distance from the farm to the table. It also provides solutions for future food shortages and agricultural land shortages. One of its core technologies is the system of wall-screening. It is possible to cultivate plants through multi-story facilities, thereby allowing more crops to grow on the same area. This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farms in narrow and expensive landscapes, such as in urban areas or in apartment buildings. (Newsweek, May 20, 2013)
현재 실외 녹화는 저관리 영구적 식생환경이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다시 말해 인공지반 녹화, 특히 벽면 녹화의 식생환경에 대한 가장 큰 장애요소는 관수 및 영양공급(토심)이다. 식물이 생장하는 데 있어 최소 생육 토심이 있어야 하고, 일반 평지에 비해 수직 벽은 강수량이 낮으므로 이 부분을 해결하는 것이 관건이다.At present, outdoor management is the key to maintaining a low-maintenance permanent vegetation environment. In other words, irrigation and nutrient supply is the biggest obstacle to the vegetation environment of artificial soil, especially wall surface. In order for the plant to grow, there must be a minimum growth depth and the vertical wall is lower in precipitation compared to the plain level.
기존의 벽면녹화 방법 유형을 살펴보면 와이어형과 메쉬형은 감고 올라가는 덩굴 식물만을 대상으로 하고, 초기 녹화율을 기대하기 힘들고 ‘환경부 고시 생태면적률 지침’에서도 최대 10미터까지만 생태면적으로 인정된다. 반면 플랜터형은 무한대로 생태면적으로 인정받지만 관수부족과 플랜터 자체의 밀폐성으로 인해 뿌리가 썩어 식물이 고사하는 단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패널형은 식물의 뿌리안착이 어려워 초기에 많은 고사율을 보인다.If you look at the existing wall screening methods,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arly rate of greening and the vine plants that are moving up and down the wire type and the mesh type are recognized as the ecological area only up to 10 meters in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Notification Eco Area". On the other hand, the planter type is recognized as an ecological area infinitely, but due to the lack of watering and the airtightness of the planter itself, the roots are decayed and the plants are damaged. And the panel type shows a lot of early failure rate due to the difficulty of plant root settlement.
이런 문제점으로 벽면녹화의 무수한 장점을 뒤로 하고 열악한 생육환경, 그로 인한 생육 불안정으로 벽면녹화의 실효성, 특히 실외 벽면녹화부분에서 많은 의문을 가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It is a reality that there are many questions in the field of greening of walls due to the unfavorable growth environment, the unstable growth due to the myriad advantages of the wall greening, especially the outdoor wall greening.
다층구조로 적은 면적에 많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적층을 위한 설비가 간편하여야 한다. 설비의 간소화를 위한 필수 사항은 하부 화분이 상부 화분으로 인해 광량의 방해를 받지 않아야 하고, 관수시설의 설치가 용이해야 한다. In order to cultivate a large number of plants in a small area with a multi-layer structure, facilities for lamination should be simple. The essential requirement for the simplification of the facility is that the lower pollen should not be disturbed by the light quantity due to the upper pollen, and the installation of the irrigation facilities should be easy.
그리고 현재 수직농장에 있어서는 고가의 설비비로 인한 초기 투자비가 수직 농장의 장점을 퇴색시키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직 농장은 물론 가정의 좁은 베란다 등에서 농장을 꾸밀 수 있기 위해서는 간편한 설치가 필수 요소이다. And now, in vertical farms, the initial investment cost due to expensive equipment costs is fading the advantages of vertical farms. For this reason, simple installation is essential to be able to decorate the farms on the narrow veranda of the home as well as the vertical far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인공지반 중 벽면(입면)이라는 열악한 상황 속에서 최대한 토심을 확보하고 관수를 용이하게 하며, 설치를 위한 여러 부자재를 최소화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cure the maximum depth of a floor, facilitate watering, and minimize various auxiliary materials for installation in a harsh situation such as a wall surface (elevation) of artificial ground.
본 발명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종적, 횡적 무한 확장 가능하며, 상하의 결합, 또는 후면순환구와 친환경 식생매트를 결합하여 식물의 생육에 절대적인 토심을 확보하도록, 관수시설 설비를 다른 부자재 없이 최대한 용이하게 하여 폭넓은 이용을 할 수 있도록, 가정이나 농산품 생산 현장에서도 손쉽게 설치하고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By utiliz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longitudinally extend the inflatable plant to the maximum extent without any other auxiliary materials so as to secure an absolute depth of field by combining top and bottom joints or rear-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at the home or agricultural product production site so that it can be widely u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화분을 종적과 횡적으로 용이하게 무한 연장할 수 있도록 횡축화분연결고리(150a), 횡축화분연장홀(150b), 종축화분연결홈(151a), 종축화분연결돌기(151b), 보조적으로 화분연결홀(152)이 있으며, 화분 후면에 후면순환구(110)를 두어 식물 생육 최소 토심 및 관수 문제를 해결하였고, A transverse
설치 시 벽면은 바닥보다 강수량이 적은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화분후면에 다량의 수분과 식물영양제를 보유할 수 있는 고분자 흡수제(311)와 다공성 인공토인 펄라이트(312)가 첨가된 외부식생매트(310)를 배치하여 벽면에 흐르는 물을 저장 할 수 있고, 이를 후면순환구(110)를 통하여 화분에 공급 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 order to reinforce the disadvantage that the wall surface has less precipitation than the floor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
이와 더불어 외부식생매트(310)가 토양의 역할을 하여 식물 생육 토심 연장의 목적도 달성된다. In addition, the
화분 후면에 후면순화구(110)로 화분 내부의 양분과 흙, 또는 물이 빠져나가지 않고, 식생매트의 양분과 물이 화분 내부로 들어올 수 있고, 또한 화분 내부의 식물 뿌리만 식생매트로 활착될 수 있도록 후면순환구(110) 안쪽으로 사선유도판(111)을 두어 흙과 수분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The nutrients, soil, or water inside the pollen does not escape through the rear purifying pot (110) on the back of the pollen, and the nutrients and water of the vegetation mat can enter the inside of the pollen, and only the plant roots inside the polle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soil and moisture by placing a
또한 배수구를 화분 전면(102)과 하부(120)에 두고, 하단 화분의 흙과 박히는 형태로 밀착될 수 있도록 돌출된 하부배수구겸저장소(121b)로 이루어져 하단 화분과의 토심을 연결하였다.Also, a drain port is disposed in the
또한 화분 하부에 물저장소(121a,121b)를 두어 평소 수분을 저장해 두었다가 화분의 수분 부족 시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a water reservoir (121a, 121b) is placed at the lower part of the flowerpot to store moisture in the flowerpot.
적층 설치 시 문제시되는 하부 시설 광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화분의 앞면을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하단화분광유도판,101)로 하였고, In order to solve the shortage of light quantity in the lower facility which is a problem in the lamination installation, the front side of the pollen was narrowed to the lower part (lower pollen mineral plate, 101)
다른 부자재가 필요 없는 간단하고 다양한 설치를 위하여 화분걸이부(140)는 사다리꼴홈을 두어 각파이프 또는 원형파이프 등으로 화분을 걸 수 있게 하였고, 그리고 나사걸이부(141)가 있으며, For easy and various installation without any other auxiliary materials, the
후면에 종 또는 횡으로 농수관(401)을 설치할 수 있도록 종축농수관연결부(130)와 횡축농수관연결부(131)가 있으며,There is a vertical axis water
더불어 위 농수관연결부 중심에 관수홀(132)이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 환경에 맞게 다른 고정 부자재 없이 관수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re is an irrigation hole (132)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of the above-mentioned agricultural water pipes, so that irrigation facilities can be install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without any other fixed parts.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과 설치방법에 따르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purpose pollen and installation method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수직 벽에 설치되는 화분으로 수직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식물의 생육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수와 배수, 토심의 문제, 화분의 설치와 관리의 용이성과 다양한 활용성까지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It is a pollen installed on a vertical wall. It provides a structure for solving irrigation, drainage, and soil problems that have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growth of plants in a vertical environment, and ease of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pollen and various applications.
농수관을 화분 후면에 배치하고 그 뒤를 외부식생매트가 감싸서 겨울철 실외에서도 관수가 가능하여 4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 기후에서 수목의 생육에 안정을 기할 수 있어 기존의 벽면녹화 기술의 가장 큰 문제점인 식물의 겨울철 고사를 해결하고,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growth of trees in the climate of Korea, which has four seasons, because it is possible to plant irrigation water outside the winter because the outer surface of the irrigation water pipe is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flowerpot. In the winter,
선식재하여 뿌리를 화분에 안정화시킨 후 그 상태로 바로 설치 가능해져서 식물의 고사율을 획기적으로 줄였으며, After the roots are stabilized in the pollen,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m directly in that state,
횡축화분연결고리, 횡축화분연결홈, 종축화분연결홈, 종축화분연장돌기, 화분연결홀을 통해 종적 및 횡적으로 화분을 안정적으로 결합, 확장 가능하며 수직 벽면 설치가 다른 연결부재 없이 용이해졌으며, The poles can be stably combined and extend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rough the transverse pollen linkage, the transverse pollen connection grooves, the longitudinal pollen connection grooves, the longitudinal pollen extension projections, and the pollen connection holes, and the vertical wall installation is facilitated without any other connection member,
또한 이로 인해 식물 고사 시 교체가 수월하고, 유지관리의 편의성도 증대되며,This also facilitates the replacement of plant damage and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하부 배수구의 종적 밀착 결합과 후면의 후면순환구와 식생매트 설치를 통한 토심 증가로 외부 벽면녹화 시에 문제시 되는 생육 토심 미달, 그로 인한 영양 부족, 관수시설 설비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under-growing under-growth, nutritional deficiencies and irrigation equipment difficulties caused by the longitudinal close-fitting of the lower drainage port and the increase in the depth of the rear wall and the vegetation mat installation,
식생매트 설치 시 벽에서 타고 내려오는 빗물도 관수로 이용 가능하고, 또한 하부 물 저장소를 통해 가뭄을 극복할 수 있으며, Rainwater falling down from the wall can be used as irrigation water when installing the vegetation mat, and drought can be overcome through the lower water reservoir.
그리고 후면순환구 및 전면 배수구를 통해 화분의 통기성까지 확보하여 자연지반에서 생육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The ventilation of the pollen can be secured through the rear circulation hole and the front drain, and the same effect as that of growing in the natural ground can be obtained.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이 수직 농장으로 이용될 경우 화분에 종자배양판을 결합하여 일체로 식물이 생육할 수 있게 되어 별도로 이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In addition, when the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vertical farm, it is possible to combine a seed culture plate with a flower pot to allow the plant to grow as a whole,
관수홀과 후면 순환구를 이용하여 전통농업에 비해 95%나 에너지 등을 절감할 수 있어 농업 신기술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에어로팜스 기술(식물의 뿌리에 직접적으로 분무하는 방식으로 수분과 양분을 공급 Newsweek, 2013.5.20.)도 적용 가능하다.Using the irrigation holes and the rear circulation sphere, it is possible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95% compared to traditional agriculture. Aeroparesis technology used as a new agricultural technology (supplying water and nutrients by spraying directly to the roots of plants) , 2013.5.20.) Are also applicable.
그리고 본 발명으로 기존보다 설치에 따른 부자재가 대폭 없어지고 현재 농가에서 흔히 쓰고 있는 농수관을 이용할 수 있는 이유로 인해 농장의 종적 팽창을 도모 가능하며, 도심의 수직농장과 가정의 소규모 농장까지 이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farms vertically due to the fact that the auxiliary materials according to installation are largely eliminated from the existing ones and the agricultural water pipes commonly used at the present farmhouses can be used. Also, the use range of the vertical farms in the city center and the small- Can be enlarged.
또한 이로 인해 건물외벽에 벽면녹화가 용이해져 미적인 효과, 생태환경 개선은 물론 외벽 보호 및 단열 효과로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처럼 에너지 절약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다.In addition, it will facilitate the greening of walls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thus contributing to aesthetic effect, ecological environment improvement, as well as energy conservation like passive house due to the exterior wall protection and insulation effect.
우리나라 현 제도인 환경부 고시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과 설치방법인 플랜터형 벽면녹화는 생태면적률 인정에 있어 그 설치 높이 제한이 없으므로, 본 발명이 건물의 외부벽면 녹화로 활용될 경우 법적 용적률이 늘어나 건축 시행에 있어 큰 이익이 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ulti-purpose pollen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present system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installation height in recognition of the ecological area rate, The increase in the legal volume ratio can be a great benefi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의 일실시예로 식물을 식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의 단위화분을 여러 측면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의 후면순환구를 떼어내어 부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의 물받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과 물받이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과 조립가능한 종자배양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과 종자배양판을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의 설치방법 실시예로 외부식생매트 설치 구성을 보인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의 설치에 따른 수분이동경로와 뿌리이동경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의 실외 설치 시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의 실외 설치 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을 각파이프에 걸어 설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을 원형파이프에 걸어 설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을 스크류나사로 벽에 걸어 설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pollen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lants are planted.
FIGS. 2A to 2E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unit pots of a multi-purpose pot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aspects.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pot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rear circulation hol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tray of a multi-purpose pot for a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pot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a water tray.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pollen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ssembled seed culture plate.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multi-purpose pollen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nd a seed cultur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external vegetation mat a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installing a multipurpose pollen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tate 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movement path and a root movement path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multi-purpose pollen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multi-purpose pot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plan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multi-purpose pot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utdoors.
9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multi-purpose pollen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each pipe.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multi-purpose pollen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circular pipe.
FIG. 9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multi-purpose pollen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all with a screw threa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form just described, and tha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encompass ordinary variations and equivalents of the described for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의 종축 설치의 일 실시예로 수목을 식재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100)과 물받이(200), 종자배양판(300) 그 결합상태를 다양한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pot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은 수직 벽에 설치되는 화분으로 수직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식물의 생육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수와 배수, 토심의 문제, 화분의 설치와 관리의 용이성과 다양한 활용성까지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The multi-purpose pollen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len installed on a vertical wall, and has a problem of irrigation, drainage, and soot which have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growth of plants in a special environment of vertical, To provide a structure to solve.
단위 화분(100)은 크게 기능을 중심으로 식재공간(100a), 배수구(102,120), 물저장소(121a,121b), 후면순환구(110), 화분걸이부(140,141), 농수관연결부(130,131)로 대별된다.The
식재공간(100a)은 도 1에서 참고하는 바와 같이 하단화분광유도판(101)이 위치하여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하부에 연결된 화분본체(100)의 일조량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1, the
또한 정면에서 화분(100)은 식재된 식물에 완벽하게 가려 보이지 않게 되어 실제 숲과 같은 장면을 연출할 수 있다. Also, the flowerpot (100) on the front side is completely hidden from the planted plant, and it can produce a scene like a real forest.
하단화분광유도판(101)에 넓게 위치한 전면배수구(102)는 관수량이 하부배수구(120)를 통한 배수량이 초과되어 화분 위로 넘칠 수 있는 흙과 물을 잡아주어 하부배수구(120)의 보완 기능을 하는 동시에, 하부에 연결된 단위화분(100)으로 물을 균등하게 공급하게 한다.The front drainage port (102) located on the lower pollen light guide plate (101) has a function of catching soil and water that can overflow the pots due to the drainage amount exceeding the lower drainage port (120) And the water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단위 화분의 하부에는 하부배수구(120)와 하부물저장소(121a)와 하부배수구겸물저장소(121b)로 구성된다. And a lower drain port 120, a
수직 벽면의 특수한 환경에서 관수가 부족할 시를 대비하여 하부배수구(120)와 별개로 하부물저장소(121a)와 하부배수구겸물저장소(121b)를 두어 가뭄 등에 있어 화분의 수분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식물의 고사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The
또한 하부물저장소(121a)와 하부배수구겸물저장소(121b)는 하단으로 역사다리꼴의 돌출된 구조로 하단 화분(100)의 토양에 박히는 방법으로 연결되어 종축으로 연결된 화분들의 토심을 일체시켜 연장시키는 역할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바람직한 실시 예로 도 7에서 참고하는 바와 같이 내부코코넛매트(160)을 깔고 식물을 화분에 식재하여 하부물저장소(121a)와 하부배수구겸물저장소(121b)로 토양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inner coconut mat 160 may be laid down and plants may be planted in pots to prevent the soil from mixing with the
화분(100)의 양 측면에는 화분지지대(103)가 위치하여 식물의 식재작업 시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화분이 평지에서 바로 설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pollen support (103)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ollen (100)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pollen can stand directly on the ground so as to facilitate planting work and the like.
화분지지대(103)에는 횡축화분연결고리(150a)와 횡축화분연결홀(150b), 종축화분연결홈(151a)과 종축화분연결돌기(151b), 하부연결레일(153)이 위치하여 있다.The
횡축화분연결고리(150a)와 횡축화분연결홀(150b)는 횡축으로 화분연결 시에 고리로 거는 방식으로 화분과 화분이 상하 방향으로 조립 후 좌우로 분리될 수 없게 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The transverse
더불어 종축화분연결홈(151a)과 종축화분연결돌기(151b)는 종축으로 화분연결 시에 종축화분연결돌기(151b)가 종축화분연결홈(151a)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어느 정도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도 9의 실시 예처럼 연결 시 편의성 내지 안정성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axis
또한 화분지지대(103)의 하부 안쪽으로 위치한 하부연결레일(153)은 레일구조로 도 5와 같이 화분(100)과 물받이(200)를 서랍방식으로 넣고 빼기 쉽도록 되어 있다. The lower connecting
바람직한 실시 예인 도 7을 참고하는 바와 같이 화분 후면의 후면순환구(110)는 화분 안쪽에 사선유도판(111)을 두어 내부에서 아래로 흐르는 수분과 토양을 화분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대신에 외부의 양분과 수분은 화분 내부로 후면순환구(110)를 통하여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As shown in FIG. 7, the
특히 벽을 타고 내려오는 빗물을 후면순환구(110)를 통해 화분(100)에서 공급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수직면에서의 한계인 낮은 강수량을 극복하고 오히려 평지보다 더 많은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는 것으로 수직 벽면 설치 시에 필수적인 것이다.Particularly, the fact that the rainwater falling down the wall can be supplied from the
또한 도 7과 같이 식물의 뿌리가 후면순환구(110)를 통하여 화분(100) 후면에 위치한 외부식생매트(310)로 활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roots of the plant can be moved to the
이에 따라 외부식생매트(310)의 두께와 성분으로 식생환경에서 중요 요소인 화분의 토심을 무한대로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thickness and the composition of the
도 6은 바람직한 실시 예로의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후면에 위치한 후면순환구(110)를 중심으로 외부식생매트(310)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이다. FIG. 6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uter
외부식생매트(310)는 코코넛 섬유로 엮어 압축하여 소량의 천연고무 접착제로 고정한 것으로, 외부식생매트(310)의 고유한 수분 보유 능력과 양분 보유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코코넛 매트 사이에 자신의 부피 200배 이상의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화학물질인 고분자흡수제(311)와 고온 열을 가하여 암석을 부풀린 펄라이트와 같은 가벼운 다공성 인공토(312)를 첨가한다. The
상기 외부식생매트(310)의 구성에 첨가로 식물영양제를 도포하여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composition of the
도 7을 참고하면, 화분(10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성장하여 후면순환구(110) 통하여 외부식생매트(310)로 활착되어 외부식생매트(310)를 토양으로 삼아 식물이 성장하며 요구되는 더 많은 수분과 영양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7, roots of the plant cultivated in the
또한 관수홀(132)과 후면순환구(110)를 통하여 직접 식물의 뿌리로 다양한 방법으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그 한 예가 영양제가 첨가된 수분을 미세한 수증기 형태로 분무하여 식물의 뿌리에 공급하는‘에어로 팜스’기술이다.In addition, water and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plants can be supplied in various ways directly to the roots of the plants through the
더불어 도 5a 와 도 5b 와 같이 화분(100)을 식물 농장으로 활용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분(100)은 ‘구’형태의 종자 배양홈(301)과 순환홀(302)이 있는 종자배양판(300)을 화분(100)에 결합하여 종자를 배양할 수 있다. 5A and 5B, the
*배양홈(301)에 종자를 떨어뜨리는 형식으로 심고, 종자는 순환홀(302)을 통해 수분과 영양을 공급 받고, 다시 순환홀(302)을 통해 뿌리가 토양으로 자라는 방법이다. The seeds are planted in the
이는 종자를 별도로 배양한 후 화분에 이식하는 기존의 방식을 일원화 하는 것으로 수직농장의 관리와 수확을 효율화할 수 있다.This can streamline the management and harvesting of vertical farms by unifying the existing methods of cultivating the seeds and then transplanting them into pollen.
도 9a 내지 도9c는 화분(100)의 여러 수평부재를 이용한 다양한 설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A to 9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installation examples using various horizontal members of the
화분(100)의 후면의 화분걸이부(140)는 각파이프를 기본으로 다양한 수평부재에 화분(1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사다리꼴홈을 두었고, 이 홈의 양 측면이 원형파이프를 지지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화분걸이부(140)의 사다리꼴홈은 홈의 두 측면에서 원형파이프 등을 지지하여 고정할 있어 설치의 안정성을 제공한다.The trapezoidal grooves of the
또한 화분걸이부(140)에 나사걸이부(141)를 두어 스크류나사(412)로 화분(100)을 벽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Also, the
이는 간편한 설치방법으로 가정용이나 실내 인테리어 시 주로 이용될 것이다. This is a convenient installation method and will be mainly used in domestic and indoor interior.
위 설치 방법 시 도 9c와 같은 바람직한 예로 벽에 스티커시트지(413)를 부착한 뒤 스크류 나사(412)를 벽에 고정 후 화분(100)을 설치할 수도 있다. 9C, the
다양한 수평부재를 통하여 화분(100)을 설치하고 더불어 화분(100)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화분(100)의 후면에 종축농수관연결부(130), 횡축농수관연결부(131)를 두어 설치 환경에 따라 농수관(401)을 종축이나 횡축으로 선택하여 설치 가능하다.The
또한 종축농수관연결부(130), 횡축농수관연결부(131) 각각 종축농수관고정돌기(130a), 횡축농수관고정돌기(131a)를 두어 다른 고정 부자재 없이 농수관(401)을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를 쉽게 하였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axis water supply
그리고 도 7과 같이 종축농수관연결부(130), 횡축농수관연결부(131) 가운데 점적버튼(402)을 설치할 수 있는 관수홀(132)을 두었다.As shown in FIG. 7, an
상기 관수홀(132)의 내부에는 사선지붕홀(132a)을 두어 관수홀(132)로의 흙의 유실을 막을 수 있다.A sloping
도 8a와 도 8b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 외부식생매트(310)를 벽에 파스너 및 앙카(411)로 고정하고, 식물의 고사 시 화분(100)의 개별 교체가 용이하도록 화분(100)을 종축으로 3단씩 그 사이 간격을 띄워 연결하여 설치하였다.8A and 8B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화분(100)을 종축으로 결합 시 그 결합력 증가가 필요할 경우 화분(100)의 상부와 하부에 있는 화분연결홀(152)을 통해 나사로 결속하여 설치할 수 있다. When the
종축농수관연결부(130)를 통하여 종축으로 농수관(401)을 가장 상단 화분에 설치하여 화분 배수구를 통하여 하단 화분이 관수되는 구조이다.The
또한 워터컴퓨터로 관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고, 지면에는 트렌치(403)를 두어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지면 속으로 갈 수 있도록 유도하여 혹한기에 빙판이 되는 것을 방지하였다.In addition, a water computer was used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and a trench (403) was placed on the ground to guid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ots into the ground to prevent ice from forming in the coldest perio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을 사각 형태로 예시하였지만, 원통형의 화분이나 반원형의 화분 등, 기타 여러 가지 형태의 화분의 구조 일부에 상기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the multi-purpose pollen for vertical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ified in a quadrangular form, the structure of the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pollen of other various forms such as a cylindrical pollen or a semi- .
따라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100: (단위)화분
100a: 식재공간
101: 하단화분광유도판
102: 전면배수구
103: 화분지지대
110: 후면순환구
111: 사선유도판
112: 화분흙고정돌기
120: 하부배수구
121a: 하부물저장소
121b: 하부배수겸물저장소
130: 종축농수관연결부
130a: 종축농수관고정돌기
131: 횡축농수관연결부
131a: 횡축농수관고정돌기
132: 관수홀
132a: 사선지붕홀
140: 화분걸이부
141: 나사걸이부
150a: 횡축화분연결고리
150b: 횡축화분연결홀
151a: 종축화분연결홈
151b: 종축화분연결돌기
152: 화분연결홀
153: 하부연결레일
160: 내부코코넛매트
200: 물받이
201: 물받이연결레일
202: 물받이이탈방지돌기
300: 종자배양판
301: 배양홈
302: 순환홀
310: 외부식생매트
311: 고분자흡수제
312: 인공토(펄라이트)
400: 각파이프
401: 농수관
402: 옥타팔 점적버튼
403: 배수트렌치
411: 파스너 및 앙카
412: 스크류 나사
413: 스티커 시트지100: (unit) flowerpot
100a: planting space
101: Lower pollen mineral oil plate
102: Front drain
103: Pollen support
110: rear circulation hole
111: Four Seam Line
112: Pollen clay protrusion
120: Lower drain
121a: Lower water reservoir
121b: Lower drainage composting store
130: Longitudinal axis water pipe connection
130a: Longitudinal axis of the agricultural water pipe fixation projection
131: transverse axis water pipe connection
131a: transverse shaft
132: Watering hole
132a: Roof roof hole
140: Flowerpot hangers
141: Screw part
150a: transverse flowerpot connection ring
150b: transverse pot connection hole
151a: longitudinal potted connection groove
151b: longitudinal axis pot connecting projection
152: Pot connection hole
153: Lower connection rail
160: Inside coconut mat
200: water pan
201: Water tray connection rail
202: Water-repellent protrusion
300: seed culture plate
301: culture home
302: Circular hole
310: External vegetation mat
311: Polymeric absorbent
312: artificial soil (pearlite)
400: square pipe
401: Agricultural water pipe
402: octapole drop button
403: drainage trench
411: Fastener and anchor
412: Screw thread
413: Sticker sheet
Claims (12)
화분 전면의 하단화분광유도판에 위치한 전면배수구(102);
화분 후면에 화분을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걸이부(140);
화분 후면에 농수관(401)을 종축 또는 횡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종축농수관연결부(130), 횡축농수관연결부(131);
화분 후면에 뿌리, 양분 및 물의 이동 통로가 되는 사선유도판(111)으로 이루어진 후면순환구(110);
화분끼리 횡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횡축화분연결고리(150a)와 횡축화분연결홀(150b);
종적으로 화분끼리 결합 또는 물받이 받침대를 결합할 수 있는 하부연결레일(153)과 두 개의 화분연결홀(152);
화단 하부배수구(120)와 하단 화분과 토심이 연결되도록 하단으로 내려온 하부물저장소(121a)와 하부배수겸물저장소(121b);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 A lower pollen light guide plate (101) having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the entire surface of the pollen becomes lower;
A front drain port (102) located on the lower pollen mineral plate of the flowerpot front;
A flowerpot hanger 140 for allowing a flowerpot to be installed on the flowerpot rear surface;
A vertical axis water channel connection part 130 and a horizontal axis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art 131 for connecting the agricultural water pipe 401 on the vertical axis or the horizontal axis,
A rear circulation hole 110 made of a four-sided oil guide plate 111 serving as a passage for roots, nutrients, and wat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llen;
A transverse pollen connection hole 150a and a transverse pollen connection hole 150b for allowing the pollen to be transversely engaged with each other;
A lower connection rail 153 and two pot connection holes 152 which are capable of vertically joining pots or water basin supports;
A lower water outlet 121 and a lower drainage pool 121b descending to the lower end so that the lower flower pot and the soi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 RTI >
Multipurpose pots for vertical ...
화분 전면의 하단화분광유도판(101)은 적층 설치 시 문제시되는 하부 시설 광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하단화분광유도판(101)에는 전면배수구(102)가 위치하여 관수 시 물이 화분 밖으로 넘치지 않고 신속히 하단 화분 전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pollen light guide plate 101 on the front side of the flowerpot is formed to be narrowed toward the lower part in order to solve the shortage of the light amount of the lower facility which is a problem in the lamination installation. So that the water can be quickly drain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flowerpot without overflowing the flowerpot during the watering
Multipurpose pots for vertical ...
화분 후면의 화분걸이부(140)는 각파이프를 지지하여 거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사다리꼴 홈을 두어 원형모양의 지지대에 걸 수 있도록 하고 가정에서 쉽게 나사로도 걸 수 있도록 나사걸이부(141)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len hooking portion 140 on the rear side of the pollen bases is constructed so as to support and support the respective pipes, and a trapezoidal groove can be formed so that it can be hooked on a circular support base, and the screwing portion 141 can be easily screwed Characterized by
Multipurpose pots for vertical ...
화분 후면의 농수관연결부는 종축농수관연결부(130), 횡축농수관연결부(131)를 두어 설치 환경에 따라 종축이나 횡축으로 선택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각각 종축농수관고정돌기(130a), 횡축농수관고정돌기(131a)를 두어 다른 고정 부자재 없이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gricultural water pipe on the rear side of the flowerpo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axis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30 and the horizontal axis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31 so that the vertical axis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30a and the vertical axis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30a, And the transverse shaft water tank tube fixing projections 131a are provided to be fixed without any other fixed member, there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Multipurpose pots for vertical ...
종축농수관연결부(130)와 횡축농수관연결부(131)의 가운데 관수버튼을 설치할 수 있는 관수홀(132)을 두고, 관수홀(132)의 내부에는 관수홀로의 흙의 유실을 막기 위해 사선지붕홀(132a)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 irrigation hole 132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axis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art 130 and the horizontal axis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art 131 so that a water supply button can b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hole 132, And a hole (132a)
Multipurpose pots for vertical ...
화분 후면의 후면순환구(110)는 화분 안쪽에 사선유도판(111)을 두어 화분 외부로 흙과 양분 또는 수분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외부의 양분과 수분은 화분 내부로 후면순환구(110)를 통하여 들어올 수 있도록 하고, 뿌리 또한 후면순환구(110)를 통하여 외부식생매트(310)에 활착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circulation hole 110 of the rear part of the flowerpot is provided with a yarn guide plate 111 on the inside of the flowerpot so that soil and nutrients or moisture can not escape to outside the flowerpot and external nutrients and moisture flow into the flowerpot through the rear circular pipe 110 And the roots are also allowed to be attached to the outside vegetation mat 310 through the rear circulation hole 110
Multipurpose pots for vertical ...
화분(100)의 양 측면에는 화분지지대(103)가 위치하고, 화분지지대(103) 하부에 하단 화분과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종축화분연결홈(151a)을 두고, 또한 화분물받이(200) 연결 시 하부연결레일(153)을 두어 서랍형태로 물받이(200)를 넣고 빼기 쉽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len support 103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ollen 100 and the longitudinal pollen connection grooves 151a ar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pollen support 103 to be firmly connected to the lower pollen, And the connecting rails (153) are provided to make the water receptacle (200) in a drawer shape easy to put in and take out.
화분(100)의 하부가 하단 화분의 흙과 직접적으로 밀착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하단으로 돌출되어 나온 역사다리꼴 형태의 하부배수겸물저장소(121b)와 물 부족시를 대비하여 물의 여유분을 화분이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물저장소(121a)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drainage combine reservoir 121b having a reverse trapezoidal shape protruding to the lower en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flowerpot 100 can be directly and closely connected to the soil of the lower pot flower, and a flowerpot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a lower water reservoir (121a)
Multipurpose pots for vertical ...
하부물저장소(121a)와 하부배수겸물저장소(121b)로 화분의 흙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 물의 저장량을 늘릴 수 있고 잘 보존될 수 있도록 하부물저장소(121a)와 하부배수겸물저장소(121b)의 상단에 내부코코넛매트(160)를 깔은 후, 토양을 넣고 식물을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다층 구조용 다목적 화분9. The method of claim 8,
The upper part of the lower water reservoir 121a and the lower drainage combo reservoir 121b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water reservoir 121a and the lower drainage combo reservoir 121b so as to increase the storage amount of water by preventing the entering of the potted soil into the lower water reservoir 121a and the lower drainage combo reservoir 121b,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inner coconut mat (160) is laid, the soil is introduced and the plants are planted
Multipurpose pots for vertical ...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6593A KR101878022B1 (en) | 2015-11-26 | 2015-11-26 | Multi Green Vertical Pla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6593A KR101878022B1 (en) | 2015-11-26 | 2015-11-26 | Multi Green Vertical Plant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61483A KR20170061483A (en) | 2017-06-05 |
| KR101878022B1 true KR101878022B1 (en) | 2018-07-12 |
Family
ID=5922272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66593A Active KR101878022B1 (en) | 2015-11-26 | 2015-11-26 | Multi Green Vertical Plan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7802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243672A1 (en) * | 2019-05-31 | 2020-12-03 | Greenwall Ventures, Llc | Vertical growing system |
| CN120548889A (en) * | 2025-07-30 | 2025-08-29 | 内蒙古中天科技有限公司 | An automated smart flowerpot with water volum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functions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60001059Y1 (en) * | 1993-08-18 | 1996-02-07 | 박노홍 | Seedling box (pot) |
| JP2649029B2 (en) * | 1994-02-11 | 1997-09-03 | 日本植生株式会社 | Vegetation mat |
| KR101317471B1 (en) * | 2013-01-08 | 2013-10-10 | (주)유엔씨코리아 | Vertical garden and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20150043771A (en) * | 2013-10-15 | 2015-04-23 | 주식회사 가든포유 | flower pot assembly |
-
2015
- 2015-11-26 KR KR1020150166593A patent/KR1018780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60001059Y1 (en) * | 1993-08-18 | 1996-02-07 | 박노홍 | Seedling box (pot) |
| JP2649029B2 (en) * | 1994-02-11 | 1997-09-03 | 日本植生株式会社 | Vegetation mat |
| KR101317471B1 (en) * | 2013-01-08 | 2013-10-10 | (주)유엔씨코리아 | Vertical garden and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20150043771A (en) * | 2013-10-15 | 2015-04-23 | 주식회사 가든포유 | flower pot assembly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2649029호(1997.9.3. 발행) 1부. *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61483A (en) | 2017-06-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im | Greenwall classification and critical design-management assessments | |
| JP5495198B1 (en) | Cylindrical greening unit | |
| US20120000128A1 (en) |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 |
| US20120085024A1 (en) | Environment-friendly planting device with automatic percolation and irrigation of hermetic liquid | |
| CN201789811U (en) | Terrace type stereoscopic planting device on balcony | |
| US2010004328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with a Planting Module | |
| JP2008048676A (en) | Roof greening system | |
| CN110366988A (en) | A kind of balcony roof organic imitation field production equipment | |
| KR101878022B1 (en) | Multi Green Vertical Planter | |
| Goud et al. | Vertical Forest in multistory residential cum commercial to eliminate pollution by hydroponic method | |
| CN201120818Y (en) | Combined living plant landscape | |
| JP2009165400A (en) | Planting unit, planting unit for greening using the unit, and system thereof | |
| KR101314887B1 (en) | Structure for tree planting of rooftop | |
| KR102814808B1 (en) |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 |
| Bures | A view beyond traditional growing media uses | |
| CN211020163U (en) | Organic field-imitating cultivation equipment on roof of balcony | |
| TWI555467B (en) | Three - dimensional green structure components and three - dimensional greening method | |
| CN222869597U (en) | Epiphyte planting plate capable of temporarily storing water | |
| JP2003310060A (en) | Rooftop garden planter | |
| Ilvitskaya et al. | Regional features of the formation of sustainable tourist buildings of the Russian-Kazakhstan border | |
| JPH05284851A (en) | Surface structure of building | |
| JP2022151424A (en) | Automatic back plane irrigation plant culture method | |
| Yang | Planting green to the sky: vertical greening of existing residential building facades in Gothenburg | |
| JP3100862U (en) | Shelf type rooftop greening equipment | |
| JP3072836U (en) | Cultivation box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6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