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647B1 - Management system for fuel cell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for fuel ce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9647B1 KR101879647B1 KR1020160119909A KR20160119909A KR101879647B1 KR 101879647 B1 KR101879647 B1 KR 101879647B1 KR 1020160119909 A KR1020160119909 A KR 1020160119909A KR 20160119909 A KR20160119909 A KR 20160119909A KR 101879647 B1 KR101879647 B1 KR 1018796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cell
- cell stack
- characteristic value
- value
- output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74—Current
- H01M8/04589—Current of fuel cell st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49—Electric variables other electric variables, e.g. resistance or impedan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측정되는 지표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의 교체 시기, 고장 발생여부, 고장 발생 가능성과 같은 사항을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예측하도록 함으로써, 연료전지 이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은 수소를 포함하는 연료를 공급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연료전지 셀이 복수로 구성되는 연료전지 스택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변압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부;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대응되게 구성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표를 측정하는 검출부; 및 상기 지표의 측정을 위해 검출부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값을 산출하며, 미리 저장된 기준특성값과 비교하여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특성값을 상기 기준특성값과 비교 가능한 비교특성값으로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and easily predict factors such as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fuel cell stack, the occurrence of a failure, and the possibility of a failure by using the indicator measured from the fuel cell stack to grasp the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cell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utilization efficiency.
The fuel ce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el cell stack having a plurality of fuel cell cells that receive fuel containing hydrogen and produce electric power, and a fuel cell stack connected to the fuel cell stack, A fuel cell comprising: A detector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fuel cell stack and measuring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of the fuel cell stack; And controll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tection unit and the fuel cell stack to measure the indicator, calculating a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using the indicator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comparing the measured characteristic value with a previously stored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And a controller for converting the characteristic value into a comparative characteristic value that can b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in order to analyze the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측정되는 지표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의 교체 시기, 고장 발생 여부, 고장 발생 가능성과 같은 사항을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예측하도록 함으로써, 연료전지 이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state of a fuel cell stack using an indicator measured from a fuel cell sta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fuel cell utilization efficiency.
연료전지는 다른 에너지원을 대체하여 전기 에너지 및 열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급격한 전력 사용의 증가로 인한 전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중소형 자가발전 시설로 이용되거나, 차량과 같은 이동체의 동력원으로서 연료전지가 이용되고 있다.Fuel cell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that can generate electricity and heat energy by replacing other energy sources.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fuel cell has been used as a small-sized self-power generation facility or as a power source of a moving object such as a vehicle in order to solve a power shortage due to an abrupt increase in electric power consumption.
이러한 연료전지는 수소 또는 수소를 추출할 수 있는 물질을 원료로 주입하면 수소와 산소 반응에 의해 열과 전기를 생산하고, 물을 배출하여 대기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연료전지는 연료만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경우 소형화가 용이하여, 원하는 발전용량의 증감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사용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Such a fuel cell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a material capable of extracting hydrogen or hydrogen is injected as a raw material, heat and electricity are produced by hydrogen and oxygen reaction, and water is discharged to prevent air pollution. Particularly, when the fuel cell can continuously supply only fuel, it is easy to miniaturize, and the desired power generation capacity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하지만, 연료전지는 기존에 사용되던 배터리, 엔진, 재생에너지 발전장치들과 다른 특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다른 관리방법이 필요함에도 연료전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없어 연료전지 이용 효율이 저하되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fuel cell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the existing battery, engine,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pparatuses, and thus requires different management methods, there is no way to efficiently manage the fuel cell, It is true.
특히, 연료전지는 내부저항, 온도, 연료에 포함된 수소의 순도, 연료의 공급 압력과 같이 다양한 요소에 의해 출력전압의 변동이 크게 발생하거나, 파손이 발생한다. 때문에 높은 출력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연료전지의 운영을 위해서는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 및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관리방법이 요구된다.In particular, the output voltage of the fuel cell varies greatly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internal resistance, the temperature, the purity of hydrogen contained in the fuel, and the supply pressure of the fuel, or breakage occurs. Therefore, a management method that accurately grasps the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the fuel cell stack is required for stable operation of the fuel cell while maintaining a high outpu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측정되는 지표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의 교체 시기, 고장 발생 여부, 고장 발생 가능성과 같은 사항을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예측하도록 함으로써, 연료전지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and easily predict factors such as a replacement timing of a fuel cell stack, a failure occurrence, and a possibility of a failure by grasping the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using an indicator measured from the fuel cell stack Thereby improving the fuel cell utilization effici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은 수소를 포함하는 연료를 공급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연료전지 셀이 복수로 구성되는 연료전지 스택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변압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부;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대응되게 구성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표를 측정하는 검출부; 및 상기 지표의 측정을 위해 검출부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값을 산출하며, 미리 저장된 기준특성값과 비교하여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특성값을 상기 기준특성값과 비교 가능한 비교특성값으로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uel ce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el cell stack having a plurality of fuel cell units that receive fuel containing hydrogen and produce electric power;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voltage output from the fuel cell; A detector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fuel cell stack and measuring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of the fuel cell stack; And controll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tection unit and the fuel cell stack to measure the indicator, calculating a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using the indicator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comparing the measured characteristic value with a previously stored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And a controller for converting the characteristic value into a comparative characteristic value that can b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in order to analyze the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상기 기준특성값 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값 또는 상기 비교특성값은 상기 연료전지 스택 또는 상기 연료전지 셀의 출력전류에 따른 출력전압의 크기 또는 출력전압의 변동값을 그래프, 수식으로 나타낸 것이거나, 미리 지정되는 임의의 출력전류값에 대응되는 출력전압의 크기 또는 출력전압의 변동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or the characteristic value or the comparison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may be expressed by a graph or an equation by a magnitude of an output voltage or a variation of an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 output current of the fuel cell stack or the fuel cell cell , A magnitude of an output volta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utput current value or a variati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상기 기준특성값은 연료전지 셀 하나에 대해 상기 출력전류에 대응되는 출력전압 또는 출력전압의 변동값을 산출한 것이고, 상기 비교 특성값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값을 연료전지 셀 하나당 특성값으로 환산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is obtained by calculating a variation value of an output voltage or an output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current for one fuel cell cell and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is a characteristic value per fuel cell cell Converted value.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부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연결되는 시험부하; 상기 시험부하와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연결 또는 단절시키기 위한 스위치;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개회로 전압 또는 상기 시험부하의 단자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계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detection unit comprises: a test load connected to the fuel cell stack; A switch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test load and the fuel cell stack; A voltmeter for measuring an open circuit voltage of the fuel cell stack or a terminal voltage of the test load, and a thermomete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uel cell stack.
상기 기준 특성값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includes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출력전류에 대한 상기 비교 특성값에 의한 출력전압의 크기와 상기 기준 특성값에 의한 출력전압의 크기 차이 또는 상기 비교 특성값에 의한 출력전압의 변동값 또는 상기 기준 특성값에 의한 출력전압의 변동값이 상기 기준치에 의해 정의되는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based on the comparison characteristic value and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based on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or the variati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based on the comparison characteristic value, The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is analyzed by determining whether a variati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is within a range defined by the reference valu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부저항을 산출하고, 상기 내부저하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를 산출하며, 상기 출력전압 또는 상기 출력전압의 변동값은 상기 출력전류를 상기 시험부하에 인가되는 전류로 나눈값에 대한 로그값에 상기 상수를 곱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n internal resistance of the fuel cell stack using a value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calculates a constant determined by the internal degradation, and the variati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or the output voltage is the output current Is divid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test load, and is multiplied by the constant.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측정되는 지표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의 교체 시기, 고장 발생 여부, 고장 발생 가능성과 같은 사항을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예측하도록 함으로써, 연료전지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fuel ce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asps the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by using the indicator measured from the fuel cell stack, thereby accurately and easily detecting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fuel cell stack, the occurrence of a fail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uel cell utiliz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 특성 검출 및 이를 통한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전류밀도에 따른 셀전압 그래프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연료전지 스택 온도별 전류밀도에 따른 셀전압 그래프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 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el cell characteristic detection and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ell voltage graph according to a current density.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ell voltage graph according to the current density according to the fuel cell stack temperature.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tate analysis process of the fuel cell stack.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other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nd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to b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explana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brief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uel ce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10), 연료전지부(20), 검출부(22) 및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연료전지(20)의 출력단 또는 배터리(10)에는 부하(90)가 연결될 수 있다.1, a fuel ce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배터리(10)는 외부전력 또는 연료전지부(20)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충전된 전력을 부하(90)의 연결시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10)는 충방전 및 부하의 연결을 위한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10)는 납축전지, 금속산화물전지와 같은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터리(10)는 다른 전력원 예를들어, 태양전지, 풍력발전기, 수력발전기 또는 다른 방식이나 종류의 연료전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과 배터리(10)가 혼용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연료전지부(20)와 배터리(10)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의 예를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하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연료전지부(2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어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DC 컨버터(26)를 통해 부하(90) 또는 배터리(10)에 공급한다. 이러한 연료전지부(20)는 수소 또는 수소를 추출할 수 있는 연료를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사용된 연료를 재순환시켜 사용된 연료에 포함되어 있는 잔여 수소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재순환장치(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 스택은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다른 형태의 전극을 가지는 연료전지일 수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연료전지의 상세한 구조와 동작원리는 공개된 기술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uel cell unit 20 is 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DC 컨버터(26)는 연료전지(21)로부터 생산된 전력의 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외부회로 또는 배터리(10)에 전달한다. 또한, DC 컨버터(26)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연료전지(21)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이러한 DC 컨버터(26)는 벅-부스트(Buck-boost)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80)로부터 전달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에 의해 벅-부스트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연료전지(21)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벅-부스트(Buck-boost)회로는 일례로 제시된 것일뿐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DC converter 26 boosts or reduces the voltage of the electric power produced from the
제어부(80)는 연료전지(21)와 DC 컨버터(26)의 동작을 제어하며, 연료전지21)를 구성하는 스택(S)의 지표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의해 내부저항 또는 시험부하전류를 산출하고, 이를 미리 산출된 기준 특성값과 비교하여 연료전지(21)의 출력상태를 분석하여, 연료전지 스택(S)의 고장발생 예측, 상세점검의 필요 여부와 같은 사항을 예측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분석결과 또는 예측정보를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장치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출력부와 통신장치가 생략되었으나, 용이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출력부는 소형 액정표시장치, 차량내 각종 표시장치를 통해 구현이 가능하며, 통신장치는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장치, USB와 같은 유선통신 장치를 통해 구현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80)는 검출부(22)를 제어하여 연료전지스택(S)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지표를 측정하고, 이를 연산하여 연료전지스택(S)의 특성값 또는 셀특성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특성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 특성값과 비교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한편, 제어부(80)는 연료전지(21)의 이용 상태에 따라 연료전지의 출력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는 연료전지(21)의 현재 동작온도에서의 연료전지(21)의 출력전류에 따른 전압강하를 미리 산출된 전압강하와 비교하여 연료전지(21)의 상태에 따라 정상출력, 제한출력 및 출력중지와 같은 출력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단계는 필요에 따라 더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3단계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80)는 연료전지(21)의 이용상태에서 주 동작 온도에 따른 일반적인 전압강하만 나타나는 경우 정상출력을 유지하도록 DC 컨버터(26)를 제어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전압강하보다 큰 상태에서 순시적인 전압강하가 미리 정해진 제1비율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출력되는 전류를 제한하는 제한출력이 이루어지도록 DC 컨버터926)를 제어하며, 순시적인 전압강하가 미리 정해진 제2비율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연료전지(21)의 보호를 위해 부하와의 연결을 해제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도 2는 본 발명의 연료전지 특성 검출 및 이를 통한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전류밀도에 따른 셀전압 그래프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연료전지 스택 온도별 전류밀도에 따른 셀전압 그래프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fuel cell characteristic detection and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ell voltage graph according to current density.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ell voltage graph according to the current density for each fuel cell stack temperatur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스택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측정하고, 이를 미리 정해진 연산방법에 따라 연산하여 연료전지 스택(S)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정상운전 여부, 고장발생여부, 수명예측과 같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연료전지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2 to 4, the fuel cel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n indicator indicativ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el cell stack and calculates the current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alculation method And the fuel cell manage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by performing analysis such as normal operation, failure occurrence, and life prediction.
이를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연료전지 관리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S)의 특성을 검출하여 스택(S) 전체 또는 스택(S)을 구성하는 셀(C : C1 내지 Cn)의 상태 분석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연료전지부(20)의 연료전지(21)는 일정한 출력전압 및 전력을 얻기 위해 복수의 셀(C)을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연료전지 스택(S)을 구성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S)을 복수로 구비하여 사용목적에 적합한 출력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연료전지(21)에 대해 연료전지 관리시스템은 연료전지(21)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연료전지 스택(S)에 대해, 스택(S)별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22)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2)는 연료전지 스택(S)과 연료전지 스택(S)의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 검출부(22)는 연료전지 스택(S)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S)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검출부(22)가 복수의 연료전지 스택(S)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연결된 연료전지 스택(S)의 특성을 검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연료전지 스택(S)과의 연결은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2, the fuel cell management system det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el cell stack S and performs a state analysis of the entire stack S or the cells C: C1 to Cn constituting the stack S . More specifically, the
검출부(22)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연료전지 스택(S)의 초기전압인 개회전압(OCV : Open Circuit Voltage), 부하전류 및 부하전압을 측정한다. 특히, 검출부(22)를 통해 제어부(80)가 확인할 수 있는 부하전류 및 부하전압은 특성 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저항값을 가지는 시험부하(R1)과 같은 저항성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한 시험 부하일 수 있으며, 검출부(22)는 심험부하(R1)와, 시험부하(R1)와 연료전지 스택(S)의 연결을 위한 스위치(S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검출부(22) 내에서 시험부하(R1)와 스위치(S1)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출부(22)는 연료전지 스택(S)이 부하(90) 또는 배터리(10)와 연결되지 않은 개회로 상태에서 연료전지 스택(S)과 시험부하(90)가 스위치(S1)의 동작에 따라 직렬로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The
또한,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검출부(22)에는 각 연료전지스택(S)의 단자전압, 시험부하전압 또는 이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압계, 전류계, 연료전지스택(S)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압계, 전류계 또는 온도계는 연료전지 스택(S)별로 구비되지 않고, 공용으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연료전지 스택(S) 및 검출부(22)에 연결되어 있용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제어부(80)는 검출부(22)를 제어하여 연료전지 스택(S)의 특성을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스택(S)의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정상운전 여부, 고장발생 여부와 같은 관리 관련 사항을 분석함과 아울러 현재 스택(S) 상태에 따른 출력전압 또는 출력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게 된다.The
이러한 연료전지의 관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S)의 특성을 검출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는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개회로 전압(OCV)를 측정하게 된다. 이 OCV는 부하가 연결되지 않고, 연료전지(21)가 동작하는 상태의 연료전지 스택(S)의 단자전압을 의미하며, 연료전지 스택(S)의 이론적인 출력전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80)는 검출부(22)에 구성된 스위치(S1)를 온상태로 전환하여 시험부하(R1)가 연료전지 스택(S)과 직렬로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때 시험부하(R1)의 양단전압인 시험부하전압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80)는 연료전지 스택(S)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며, 시험부하전압과 시험부하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시험부하전류를 산출하며, 이를 이용하여 연료전지스택(S)의 내부저항을 산출하게 된다.The management of such a fuel cell starts from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el cell stack S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이와 같이 현재온도, 개회로전압, 시험부하전압, 시험부하전류가 산출되면, 이를 미리 정해진 수식에 대입하여 출력전류에 따른 전압변동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urrent temperature, the open circuit voltage, the test load voltage, and the test load current are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ubstituted into a predetermined formula to calculate the voltage vari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current.
구체적으로 제어부(80)는 수학식 1과 같은 수식에 측정된 지표 및 이를 통해 산출된 개회로 전압, 시험부하전압 및 내부 저항을 대입하여 출력전류의 변동에 따른 스택전압의 변동값을 산출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Vstack는 연료전지 스택(S)의 출력전압 변동값이며, i는 출력전류, io는 시험부하전류이다. A는 상수값으로 내부저항과 연료전지 스택(S)의 온도를 통해 산출되는 값이다. 여기서, 제어부(80)는 전술한 시험부하전압, 시험부하전류, 개회로전압에 의해 내부저항을 산출할 수 있으며, 시험부하전류도 시험부하전압과 시험부하의 저항값에 의해 산출이 가능하다.Here,? Vstack is the output voltage variation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S, i is the output current, and io is the test load current. A is a constant value that is calculated through the internal resistan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fuel cell stack (S). Here, the
상수 A는 측정된 연료전지 스택(S)의 온도와 산출된 내부저항을 수학식 2에 대입하여 산출하게 된다.The constant A i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fuel cell stack S and the calculated internal resistance into the equation (2).
여기서, R은 연료전지 스택(S)의 내부저항, T는 연료전지 스택(S)의 온도이며, α와 F는 미리 정해지는 상수값이다.Here, R is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fuel cell stack S, T is the temperature of the fuel cell stack S, and? And F are constant values determined in advance.
한편,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어부(80)는 연료전지 스택(S)의 특성값으로 출력전류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변동값을 산출하게 되고, 이를 미리 산출되어 저장되는 기준 특성값과 비교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분석하게 된다.In this way, the
좀 더 구체적으로 기준 특성값은 실제 사용되는 연료전지 셀과 동일한 셀을 실험하여 출력전류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량을 산출한 것으로, 연속적인 값으로 표현되는 그래프, 이에 대한 수식 또는 미리 지정된 임의의 전류값에 대한 전압값의 변동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속적인 그래프로 표현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료전지 스택(S)의 특성값 또한 그래프로 표현하는 경우 도 3과 같은 그래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같은 전류에 대한 출력전류의 크기는 기준 특성값의 그래프에 나타난 값과 달라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i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output current by experimenting with the same cell as the actually used fuel cell. The graph is expressed by a continuous value, a formula thereof, And the variation value of the voltage value with respect to the value. That is, when a continuous graph is expressed, it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FIG. Similarly,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S may have a graph form as shown in FIG. 3, but the magnitude of the output current with respect to the same current is different from the value shown in the graph of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특히, 이러한 기준 특성값은 연료전지 셀에 대해 마련되는 반면, 연료전지 스택(S)에 대해 작성된 특성값은 복수의 연료전지 셀을 포함하여 비교를 하기 위해 산출된 특성값을 비교가 가능한 비교 특성값으로 변환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is provided for the fuel cell stack, while the characteristic value created for the fuel cell stack S includes a plurality of fuel cell cells, and the calculated characteristic values for comparison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Value.
이를 위해 제어부(80) 전술한 특성값을 연료전지 셀의 수인 n으로 나누어 연료전지 셀(C) 하나의 값으로 환산한 비교 특성값을 산출하게 된다.To this end, the
그리고, 산출된 비교특성값을 기준 특성값과 비교하여 전압변동의 크기를 확인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Then, the calculated comparison characteristic value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and the size of the voltage fluctuation is checked to check the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80)는 비교 특성값에 의해 확인되는 출력전류(i)에 대응되는 출력전압값(Vstack/n)을 미리 산출된 기준 특성값에 의해 산출되는 출력전류 대비 출력전압값과 비교하게 된다. 즉, 출력전류가 같은 값으로 지정될 때 출력전압값이 기준 특성값에 기재된 출력전압값에 비해 낮은 값인 경우 연료전지 스택(S)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효율저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80)는 기준 특성값 대비 비교 특성값의 출력전압이 미리 지정된 비율 이상으로 차이가 있는 경우 고장 발생 또는 효율저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이러한 분석이 이루어지면 제어부(80)는 이와 같은 효율저하 또는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발생되는 연료전지 스택(S)의 정보와 이에 대한 분석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연료전지 스택(S)의 상태 확인 또는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When such an analysis is performed, the
또한, 제어부(80)는 이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S)이 기준 특성값과 비교하여 같은 출력전류에 비해 전압이 크게 저하되는 경우 출력전류의 크기를 제한하여, 배터리(10)가 모자란 출력분을 부담하게 함으로써, 연료전지 스택(S)이 과도한 전력을 출력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The
도 5는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 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tate analysis process of the fuel cell stack.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 분석 과정은 기준 특성값 산출단계(S10), 연료전지 스택의 지표 측정 단계(S20),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값 산출단계(S30), 비교 특성값 산출단계(S40) 및 특성값 비교 단계(S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lculating a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S10, measuring an indicator of the fuel cell stack S20, calculating a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S30, A comparison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ion step S40 and a characteristic value comparison step S50.
기준 특성값 산출단계(S10)는 연료전지의 상태 분석을 위한 기준 특성값이 미리 산출되어 저장되는 단계이다. 이 기준 특성값은 연료전지 스택(S)에 사용된 연료전지 셀과 동일한 셀에 대해 실험적 또는 이론적으로 산출된 값으로, 특정 온도에서 연료전지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따른 출력전압의 크기 또는 출력전압의 변동값을 산출한 것이다. 이 기준 특성값은 수식으로 표현되거나, 연속적인 값의 그래프 또는 임의로 지정되는 몇 개의 전류값에 대한 출력전압의 크기 또는 변동값일 수 있다. 특히, 이 기준 특성값에는 미리 정해지는 기준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기준치를 통해 연료전지의 고장, 효율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기준치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기준 특성값은 제어부(80)에 전달되어 제어부(80)와 연결된 메모리 또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다.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ion step S10 is a step of calculating and storing a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for analyzing the state of the fuel cell in advance.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is a value calculated experimentally or theoretically for the same cell as the fuel cell used in the fuel cell stack S, and may be a value of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current output from the fuel cell at a specific temperature, Is calculated. This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may be expressed as an equation, a graph of continuous values, or a magnitude or variati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for several arbitrarily specified current values. In particular,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may includ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uel cell fails or deteriorates in efficiency through the reference value. Further, the reference values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is transmitted to the
지표 측정 단계(S20)는 상태 분석이 필요한 연료전지 스택(S)의 검출부(22)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스택(S)의 특성값 산출을 위한 지표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이 지표측정 단계(S20)에서 제어부(80)는 상태 분석 대상이 되는 연료전지 스택(S)의 온도를 측정하고, 연료전지 스택의 개회로 전압을 측정한다. 또한, 해당 연료전지 스택(S)과 연결된 검출부(22)의 스위치(S1)를 제어하여 연료전지스택(S)과 시험부하(R1)를 연결하여 시험부하에 인가되는 시험부하전압을 측정하게 된다. The indicator measurement step S20 is a step of measuring an indicator for calculating a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S using the
셀 특성값 산출 단계(S30)는 제어부(80)가 측정된 개회로 전압, 온도 및 시험부하전압을 이용하여 내부저항을 산출하고, 산출된 내부저항에 따라 상수(A)를 산출하여, 상수와 측정된 값들을 수학식1에 적용하여 출력전류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S)의 전압 변동값이 특성값을 산출하게 된다.In the cell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ing step S30, the
비교 특성값 산출 단계(S40)는 제어부(80)가 산출된 특성값과 기준 특성값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산출된 연료전지 스택(S)의 특성값을 변환하여 비교특성값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S)의 특성값은 복수의 연료전지 셀(C)이 직렬 연결된 연료전지 스택(S)에 대해 산출되며, 이를 셀 하나 단위에 대해 산출된 기준 특성값과 비교하기 위해서는 연료전지 스택(S)의 특성값을 셀 단위의 특성값으로 변환해야 한다. 때문에, 제어부(80)는 연료전지 스택(S)의 특성값을 연료전지 스택(S)을 구성하는 연료전지 셀(C)의 수로 나누어 비교특성값을 산출하게 된다.The comparison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ion step S40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comparison characteristic value by converting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S calculated so that the calculated characteristic value can b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S is calculated for the fuel cell stack S in which the plurality of fuel cell cells C are connected in series,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 value with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ed for one unit cell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S must be converted into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cell unit. Therefore, the
특성값 비교 단계(S50)는 제어부(80)가 미리 산출되어 저장된 기준 특성값과산출된 특성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이 특성값 비교 단계(S50)에서 제어부(80)는 기준 특성값과 비교 특성값을 비교하고, 동일한 출력전류에 대한 출력전압의 크기 또는 출력전압의 변동값을 비교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80)는 기준 특성값의 출력전압과 비교특성값의 출력전압 또는 출력전압의 변동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연료전지 스택(S)의 효율저하, 연료전지 스택(S)의 고장 여부와 같은 사항을 판단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를 제어부(80)는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외부장치 또는 타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연료전지 스택(S)의 효율이 저하된 경우 연료전지 스택(S)이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출력전류의 크기 제한을 수행하는 등의 보호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The characteristic value comparison step S50 is a step of comparing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ed and stored in advance by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 / RTI >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re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배터리 20 : 연료전지부
21 : 연료전지 22 : 검출부
26 : DC 컨버터 80 : 제어부
90 : 부하10: Battery 20: Fuel cell unit
21: fuel cell 22:
26: DC converter 80:
90: Load
Claims (7)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대응되게 구성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표를 측정하는 검출부; 및
상기 지표의 측정을 위해 검출부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값을 산출하며, 미리 저장된 기준특성값과 비교하여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특성값을 상기 기준특성값과 비교 가능한 비교특성값으로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1. A fuel cell system comprising: a fuel cell stack including a plurality of fuel cell cells that are supplied with fuel containing hydrogen to produce electric power; and a converter connected to the fuel cell stack to convert a voltage output from the fuel cell stack;
A detector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fuel cell stack and measuring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of the fuel cell stack; And
Controll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tection unit and the fuel cell stack to measure the indicator, calculating a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using the indicator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comparing the measured characteristic value with a previously stored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And a controller for converting the characteristic value into a comparative characteristic value that can b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to analyze the state of the battery stack.
상기 기준특성값 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값 또는 상기 비교특성값은
상기 연료전지 스택 또는 상기 연료전지 셀의 출력전류에 따른 출력전압의 크기 또는 출력전압의 변동값을 그래프, 수식으로 나타낸 것이거나,
미리 지정되는 임의의 출력전류값에 대응되는 출력전압의 크기 또는 출력전압의 변동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or the characteristic value or the comparison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A graph or an expression of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or the variation of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output current of the fuel cell stack or the fuel cell,
Wherein the output voltage is a magnitude of an output volta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utput current value or a variati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상기 기준특성값은 연료전지 셀 하나에 대해 상기 출력전류에 대응되는 출력전압 또는 출력전압의 변동값을 산출한 것이고,
상기 비교 특성값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값을 연료전지 셀 하나당 특성값으로 환산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is obtained by calculating a variation value of an output voltage or an output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current for one fuel cell,
Wherein the comparison characteristic value is a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a characteristic value of the fuel cell stack into a characteristic value per one fuel cell cell.
상기 검출부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연결되는 시험부하;
상기 시험부하와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연결 또는 단절시키기 위한 스위치;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개회로 전압 또는 상기 시험부하의 단자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계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unit
A test load connected to the fuel cell stack;
A switch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test load and the fuel cell stack;
A voltmeter for measuring an open circuit voltage of the fuel cell stack or a terminal voltage of the test load;
And a thermomete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uel cell stack.
상기 기준 특성값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And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출력전류에 대한
상기 비교 특성값에 의한 출력전압의 크기와 상기 기준 특성값에 의한 출력전압의 크기 차이 또는
상기 비교 특성값에 의한 출력전압의 변동값 또는 상기 기준 특성값에 의한 출력전압의 변동값이
상기 기준치에 의해 정의되는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For any output current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by the comparison characteristic value and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by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or
A variati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by the comparison characteristic value or a variati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by the reference characteristic value
Wherein the state of the fuel cell stack is analyz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range is defined by the reference valu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부저항을 산출하고, 상기 내부저항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를 산출하며,
연료전지 스택 또는 연료전지 셀의 출력전압 또는 상기 출력전압의 변동값은
상기 출력전압에 따른 출력전류를 연료전지 스택에 연결되는 시험부하에 인가되는 전류로 나눈값에 대한 로그값에 상기 상수를 곱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관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alculating an internal resistance of the fuel cell stack using a value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calculating a constant determined by the internal resistance,
The output voltage of the fuel cell stack or the fuel cell or the variati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And a log value of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n output current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by a current applied to a test load connected to the fuel cell stack, multiplied by the constan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19909A KR101879647B1 (en) | 2016-09-20 | 2016-09-20 | Management system for fuel ce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19909A KR101879647B1 (en) | 2016-09-20 | 2016-09-20 | Management system for fuel cel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31369A KR20180031369A (en) | 2018-03-28 |
| KR101879647B1 true KR101879647B1 (en) | 2018-07-18 |
Family
ID=6190133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19909A Active KR101879647B1 (en) | 2016-09-20 | 2016-09-20 | Management system for fuel cel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7964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DE102018129659A1 (en) | 2018-11-26 | 2020-05-28 | Audi Ag | Method for operating a fuel cell system and fuel cell vehicle |
| KR102418259B1 (en) * | 2021-06-29 | 2022-07-07 | 지엘홀딩스 주식회사 | Fuel cell failure diagnosis system using variable operating point and the method using it |
| KR102397652B1 (en) * | 2021-06-29 | 2022-05-13 | 지엘홀딩스 주식회사 | Fuel cell failure diagnosis system using variable frequency and the method using it |
| KR102774139B1 (en) * | 2022-10-20 | 2025-03-04 | 에스모빌리티 주식회사 | Special vehicle power conversion device with cell monitoring function to prevent damage to fuel cell stack and a method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195423A (en) * | 1997-08-29 | 1999-07-21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Fuel cell power generator and fuel cell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
| JP2004179003A (en) * | 2002-11-27 | 2004-06-24 | Toyota Motor Corp | Diagnostic device and diagnostic method for fuel cell |
| JP2005332702A (en) * | 2004-05-20 | 2005-12-02 | Nissan Motor Co Ltd | Fuel cell diagnostic device and fuel cell diagnostic method |
| KR20130017055A (en) * | 2011-08-09 | 2013-02-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ctivity measurement method for electrode of fuel cell |
-
2016
- 2016-09-20 KR KR1020160119909A patent/KR1018796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195423A (en) * | 1997-08-29 | 1999-07-21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Fuel cell power generator and fuel cell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
| JP2004179003A (en) * | 2002-11-27 | 2004-06-24 | Toyota Motor Corp | Diagnostic device and diagnostic method for fuel cell |
| JP2005332702A (en) * | 2004-05-20 | 2005-12-02 | Nissan Motor Co Ltd | Fuel cell diagnostic device and fuel cell diagnostic method |
| KR20130017055A (en) * | 2011-08-09 | 2013-02-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ctivity measurement method for electrode of fuel cel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31369A (en) | 2018-03-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2771708B (en) | Degradation degree of power storage element, power storage remaining amount detection device, and power storage element management unit | |
| US9112371B2 (en) | Refresh charging method for an assembled battery constituted from a plurality of lead-acid storage batteries and charging apparatus | |
| KR100754734B1 (en) | Hybrid power supply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 |
| KR101879647B1 (en) | Management system for fuel cell | |
| EP2306581B1 (en) | Abnormality prediction system for secondary batteries | |
| KR101210523B1 (en) | Device for displaying capacity and condition of battery | |
| US9252620B2 (en) |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 |
| US20070202371A1 (en) | Cell voltage detection device and cell system using the same | |
| WO2016012922A1 (en) |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in battery management systems | |
| KR20180122378A (en) | Battery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 |
| KR101516419B1 (en) | Power conversion devices for fuel cell and the control method | |
| KR101530679B1 (en) | Apparatus for energy management considering degration of battery and method thereof | |
| EP2622672A1 (en) | Fuel cell system, method and program of determining cause of negative voltag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 |
| JP7229476B2 (en) | Hydrogen generation system | |
| JP2014127404A (en) | Method for replacing battery pack | |
| US20130288147A1 (en) | Method and regulation apparatus for regulating a fuel cell or a fuel cell stack | |
| KR20140072965A (en) |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balancing battery cell in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
| KR101754404B1 (en) | Fuel cell system for life assessment | |
| CN117836644A (en) |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health of secondary battery, program for estimating state of health of secondary battery, and device for estimating state of health of secondary battery | |
| KR101362740B1 (en) | Method for monitoring of fuel cell stack status | |
| JP2011254585A (en) | Charged state contro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JP2025502012A (en) | Battery capacity predic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JP7412833B2 (en) | Series charging/discharging device with no intermittent current | |
| CN100424919C (en) |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fuel cell | |
| JP4353299B2 (en) | Battery learning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6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