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740B1 - Advanced water-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dvanced water-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9740B1 KR101879740B1 KR1020180008072A KR20180008072A KR101879740B1 KR 101879740 B1 KR101879740 B1 KR 101879740B1 KR 1020180008072 A KR1020180008072 A KR 1020180008072A KR 20180008072 A KR20180008072 A KR 20180008072A KR 101879740 B1 KR101879740 B1 KR 1018797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primary
- water
- treated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혐기조의 후단에 무산소조와 호기조를 반복하여 설치함으로써 하폐수 중의 유기물 및 질소, 인의 처리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는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혐기조와, 혐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1차 무산소조와, 1차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1차 호기조와, 1차 호기조의 내부에 공기를 폭기시키기 위한 1차 폭기수단과, 1차 호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에 잔존하는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2차 무산소조와, 2차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간헐적으로 폭기시키는 2차 호기조와, 2차 호기조에 설치되어 물과 슬러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막과, 2차 호기조에 공기를 폭기시키기 위한 2차 폭기수단과, 1차 호기조에서 상기 1차 무산소조로 활성슬러지를 반송하기 위한 내부반송부를 구비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waste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capable of enhancing treatment effects of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in wastewater by repeatedly providing an anoxic tank and an oxic tank at the downstream of an anaerobic tank.
The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naerobic tank for removing phosphorus in incoming water to be treated, a primary anoxic tank for removing nitrate nitrogen from the treated water flowing from the anaerobic tank, A primary aerobic tank for aerating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primary aerobic tank, a primary aerobic tank for aerating the air into the primary aerobic tank, a primary aerobic unit for aerating the inside of the primary aerobic tank, and a nitrification tank for removing nitrogenous nitrogen remaining in the water to be treated, A secondary anoxic tank for intermittently aeration of air into the water to be treated flowing from the secondary anoxic tank, a separation membrane for separating water and sludge installed in the secondary anoxic tank, A secondary aeration means, and an inner carry portion for carrying the activated sludge from the primary aerobic tank to the primary anoxic tank.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혐기조의 후단에 무산소조와 호기조를 반복하여 설치함으로써 하폐수 중의 유기물 및 질소, 인의 처리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고도 수처리라 함은 질소와 인을 함유한 하/폐수에서, 유기물뿐만 아니라 질소와 인 성분도 동시에 제거하는 향상된 정수처리방법을 말한다. 질소의 제거는 호기성 분위기하에서 폐수 내의 질소화합물을 질산성 질소로 전환하는 질산화공정 및 무산소 분위기하에서 질산성 질소를 질소 기체로 환원시키는 탈질공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통상 생물학적으로 이루어지는 인의 제거는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의 대사활동에 의해 인을 방출시키고, 호기성 상태에서 미생물로 하여금 인을 과잉으로 섭취하게 한 후 이를 슬러지로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Advanced water treatment refers to an improved water treatment method that simultaneously removes not only organic matter but also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bottom and wastewater containing nitrogen and phosphorus. The removal of nitrogen is carried out through a nitrification process for converting nitrogen compounds in wastewater into nitrate nitrogen in an aerobic atmosphere and a denitrification process for reducing nitrate nitrogen to nitrogen gas under anaerobic atmosphere. Releasing phosphorus by metabolic activity of microorganisms, allowing the microorganisms in the aerobic state to consume excess phosphorus, and then removing the phosphorus with sludge.
최근 급속도로 오염되고 있는 공공수역의 수질개선 대책으로 수질환경 기준이 점차 강화되어가고 있으며, 최종 방류수역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기물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질소, 인 등)의 제거가 매우 중요하다.Recently, water quality standards are being strengthened as a measure to improve water quality in public water bodies that are rapidly polluted. 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final discharge water, it is very important to remove not only organic substances but also nutrients (nitrogen, phosphorus, etc.).
특히, 수중의 질소와 인 화합물은 그 자체가 오염물질로서 수자원 가치 상실에도 원인이 되지만 조류 증식에 필요한 영양물질로 이용되어 수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In particular, nitrogen and phosphorus compounds in water are pollutants themselves, which cause loss of water value, but they are used as nutrients necessary for algal growth and cause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이와 같이 호소 및 연근해의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질소와 인에 대한 적절한 제거가 절실히 필요하나, 중소규모 처리시설의 경우 하수도달시간이 대규모 처리장에 비하여 매우 짧고, 유입 수량의 변동이 일간, 주간 및 계절에 따라 매우 커서 질소 및 인이 함께 제거되는 처리가 어려운 반면, 높은 수준의 방류 수질의 유지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나, 종래 중소규모 폐수 처리장의 경우 대부분 유기물질과 부유물질 제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을 뿐, 질소와 인의 영양염류에 대한 처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In this way, adequate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which cause eutrophication of lake and coastal waters is desperately needed. However, in case of small and medium scale treatment facilities, the sewage month time is very short compared with large scale treatment plants, It is difficult to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together. However, it is often necessary to maintain a high level of discharge water quality. 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small-scal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most of them focus on removing organic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Nitrogen and phosphorus nutrients are rarely treated.
고도 수처리 방법 중 분리막 생물반응조(MBR, membrane bioreactor) 공정은 미세한 크기의 기공을 갖는 분리막을 응용하여 하수를 정화하는 기술로써 이 과정에서 마이크로 단위 이하 수준의 입자성 오염물질을 완벽히 걸러낼 수 있으며, 오염정화에 필요한 미생물의 유실을 방지하여 생물학적 처리 능력이 극대화됨으로써 일반 공정에 비해 2.5~3배정도 처리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또한 기존의 생물학적 하수처리공정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도 적용이 가능하고, 더불어 자동화가 용이하며 운전이 간편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MBR (membrane bioreactor) process is a technology to purify wastewater by applying a membrane with fine pore size. In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particulate pollutants at the level of micro or less, By preventing the loss of microorganisms necessary for the purification of pollutants, the biological treatment capacity is maximized and the processing speed is 2.5 to 3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general process.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hich can be applied without major changes in the existing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and is easy to operate and easy to operate.
특히, 분리막의 선택에 따라 처리수질을 필요로 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의 물 재이용에 대한 정책적 배려와 발 맞추어 소규모 중수시설에서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Particularly, since the quality of treated wat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membrane, it is used in a small scale heavy water facility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consideration for the recent water reuse.
분리막 생물반응조 공정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는 잉여 슬러지의 발생량이 기존의 방식보다 훨씬 적고 이것이 MBR 시스템의 장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점 때문에 인의 제거 측면에서는 불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 제거 측면에서의 약점을 보완하고 고도의 질소 및 인 동시 제거용 MBR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The wastewater advanced treatment system using the membrane bioreactor process is known to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removal of phosphorus because the amount of surplus sludge generated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is is accepted as an advantage of the MBR system.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MBR system for simultaneous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which overcomes the weaknesses in the phosphorus removal aspec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혐기조의 후단에 무산소조와 호기조를 반복하여 설치함으로써 하폐수 중의 유기물 및 질소, 인의 처리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which is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ect of treating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in wastewater, by providing an anoxic tank and an oxic tank repeatedly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anaerobic tank. ha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는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혐기조와; 상기 혐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1차 무산소조와; 상기 1차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1차 호기조와; 상기 1차 호기조의 내부에 공기를 폭기시키기 위한 1차 폭기수단과; 상기 1차 호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에 잔존하는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2차 무산소조와; 상기 2차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간헐적으로 폭기시키는 2차 호기조와; 상기 2차 호기조에 설치되어 물과 슬러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막과; 상기 2차 호기조에 공기를 폭기시키기 위한 2차 폭기수단과; 상기 1차 호기조에서 상기 1차 무산소조로 활성슬러지를 반송하기 위한 내부반송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comprising: an anaerobic tank for removing phosphorus in incoming water; A primary anoxic tank for removing nitrate nitrogen in the water to be treated flowing from the anaerobic tank; A primary anoxic tank for nitrifying nitrogen by aerating the air into the water to be treated flowing from the primary anoxic tank; A primary aeration means for aerating the inside of the primary oxic tank; A secondary anoxic tank for removing nitrate nitrogen remaining in the water to be treated flowing from the primary oxic tank; A secondary aerobic tank for intermittently aerating air into the water to be treated flowing from the secondary anoxic tank; A separation membrane installed in the secondary oxic tank to separate water and sludge; A secondary aeration means for aerating the air to the secondary oxic tank; And an inner conveyor for conveying the activated sludge from the primary oxic tank to the primary anoxic tank.
상기 혐기조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를 상기 2차 무산소조에 간헐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수간헐공급부;를 더 구비한다.And an influent intermittent supply unit for intermittently supplying the water to be treated to the anaerobic tank to the secondary anoxic tank.
상기 1차 폭기수단은 상기 1차 호기조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과, 상기 산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와 상기 산기관을 연결하는 공기공급라인을 구비한다.The primary aeration means includes an air diffuser installed in the primary aerobic tank, a blower for supplying air to the diffuser, and an air supply line for connecting the blower and the diffuser.
상기 1차 폭기수단은 상기 1차 폭기수단은 상기 1차 호기조와 연결되는 유출라인과, 상기 유출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1차 호기조 내부의 처리대상수 중 일부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와 연결되는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1차 호기조의 내부로 연장되는 재유입라인과, 상기 재유입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1차 호기조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과, 상기 개폐밸브와 연결되는 공기공급라인과, 상기 공기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의 개방시 상기 개폐밸브를 통과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블로워를 구비한다. Wherein the primary aeration means comprises an outflow line connected to the primary oxic tank, a circulation pump installed in the outflow line for circulating a part of the water to be treated in the primary oxic tank, A re-inflow line connected to the on-off valve and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primary oxic tank, and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re-inflow line, And an ai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open / close valve, and a blow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line to inject air into the water to be treated passing through the open / close valve when the open / close valve is opened.
상기 개폐밸브는 내부에 처리대상수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입구는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유로의 출구는 상기 재유입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공기공급라인이 상기 유로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유로의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제 1테이퍼부와, 상기 제 1테이퍼부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유로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2테이퍼부와, 상기 제 2테이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테이퍼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미세한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톱니들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제 1테이퍼부와 밀착되며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의 압력에 의해 후퇴가 가능한 이동헤드부와, 상기 이동헤드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로드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바디와, 상기 삽입홈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로드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바디의 외경을 교대로 확장 및 축소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부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상기 지지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유로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바디를 지지하는 서포트바를 구비한다. Wherein an opening of the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an outlet of the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re-inflow line, and the ai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inlet side of the flow path A first tapered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formed so as to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toward the rear; a first tapered portion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an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teeth formed on the second tapered portion to form a fine vortex in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tapered portion, and a plurality of teeth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apered portion, A support body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 receiving a rear end of the connection rod, the support body being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flang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ody for alternately expanding and contracting an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body; a flange screwed to a rear end of the housing; And a support bar connecting the flange and the support body to support the support body such that the support body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low pa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물학적 공정과 분리막 공정을 결합시킴으로써 생물학적 공정을 통해 유기물, 질소, 인을 처리하고, 분리막 공정을 통해 부유물질의 제거를 강화시키고 양질의 수질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biological process with a separation membrane process to treat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through a biological process, enhance the removal of suspended matters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process, and ensure a high quality water.
또한, 본 발명은 혐기조의 후단에 무산소조와 호기조를 반복하여 설치함으로써 하폐수 중의 유기물 및 질소, 인의 처리효과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treating effect of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wastewater by repeatedly providing the anoxic tank and the oxic tank at the downstream of the anaerobic tank.
또한, 본 발명은 미세기포 형태로 공기를 호기조에 폭기함으로써 산소전달효율을 높여 폭기량을 감소시키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oxygen transfer efficiency by aeration of air into the aerobic tank in the form of minute bubbles,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bubbles and saving energ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적용된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of waste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wastewater shown in FIG. 1,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cessed portion applied to FIG. 3,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는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혐기조(10)와, 혐기조(1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1차 무산소조(20)와, 1차 무산소조(2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1차 호기조(30)와, 1차 호기조(30)의 내부에 공기를 폭기시키기 위한 1차 폭기수단과, 1차 호기조(3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에 잔존하는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2차 무산소조(40)와, 2차 무산소조(4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간헐적으로 폭기시키는 2차 호기조(50)와, 2차 호기조(50)에 설치되어 물과 슬러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막(55)과, 2차 호기조(50)에 공기를 폭기시키기 위한 2차 폭기수단과, 1차 호기조(30)에서 1차 무산소조(20)로 활성슬러지를 반송하기 위한 내부반송부를 구비한다. 1 and 2, an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of waste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처리대상수인 하수 또는 폐수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처리 장치 즉 스크린 또는 침사조 등을 거쳐 유량조정조(1)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유량조정조(1)는 처리대상수의 유입량 및 오염부하를 균등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wage or wastewater to be treated is not shown but may be introduced into the
유량조정조(1)의 내부에는 펌프(3)가 설치되어 처리대상수를 혐기조(10)로 유입시킨다. 펌프(3)는 연결라인(5)을 통해 유량조정조(1)의 처리대상수를 혐기조(10)로 유입시킨다. A
혐기조(10)는 유량조정조(1)의 후단 즉, 생물학적 공정 전단에 설치되어 유량조정조(1)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인을 제거한다. The
혐기조(10)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입농도의 3~4배까지 인을 방출시킨다. 혐기조(10)에는 균등한 분배를 위한 교반장치로서 구동모터(미도시),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임펠러(11)가 설치된다.The
1차 무산소조(20)는 혐기조(10)의 후단에 설치되어 혐기조(1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한다. 처리대상수는 혐기조(10)와 1차 무산소조(20) 사이에 형성된 격벽(13)의 상부에 마련된 유출홀(미도시)을 통해 1차 무산소조(20)로 유입된다.The primary
1차 무산소조(20)에는 균등한 분배를 위한 교반장치가 설치된다. 교반장치는 1차 무산소조(2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임펠러(21)로 이루어진다.The primary anoxic tank (20) is provided with an agitator for even distribution. The stirring device is composed of a driving motor (not show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1차 무산소조(20)는 산소농도가 극히 낮은 무산소 조건으로 운영되어 혐기조(1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변화시켜 대기중으로 방출시켜 제거한다. 이러한 탈질반응은 슈도모나스(Pseudomonas),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바실러스(Bacillus) 등과 같은 탈질미생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imary
1차 호기조(30)는 1차 무산소조(20)의 후단에 설치되어 1차 무산소조(2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킨다. 이와 동시에 유기물의 제거와 과잉의 인이 섭취된다. The primary
처리대상수는 1차 무산소조(20)와 1차 호기조(30) 사이에 형성된 격벽(23)의 상부에 마련된 유출홀(미도시)을 통해 1차 호기조(30)로 유입된다.The treatment target water flows into the primary
1차 호기조(30)에는 내부에 공기를 폭기시키기 위한 1차 폭기수단이 구비된다. The primary
1차 폭기수단은 1차 호기조(30)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60)과, 산기관(60)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61)와, 블로워(61)와 산기관(60)을 연결하는 공기공급라인(62)을 구비한다. 공기공급라인(62)에는 밸브(63)가 설치된다. The primary aeration means includes an
내부반송부는 1차 호기조(30)에서 1차 무산소조(20)로 활성슬러지를 반송한다. 이를 위해 내부반송부는 1차 호기조(30)와 1차 무산소조(20)를 연결하는 내부반송관(33)과, 내부반송관(33)과 연결되어 1차 호기조(30)의 활성슬러지 중 일부를 1차 무산소조(20)로 펌핑하는 펌프(31)로 이루어진다.The inner carry section carries the activated sludge to the primary anoxic tank (20) in the primary aerobic tank (30). To this end, the internal return section includes an
이러한 내부반송부에 의해 1차 무산소조(20)에 필요한 미생물의 적절한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the microorganisms necessary for the primary
2차 무산소조(40)는 1차 호기조(30)의 후단에 설치되어 1차 호기조(3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에 잔존하는 질산성 질소를 제거한다. 처리대상수는 1차 호기조(30)와 2차 무산소조(40) 사이에 형성된 격벽(35)의 상부에 마련된 유출홀(미도시)을 통해 2차 무산소조(40)로 유입된다.The second anoxic tank (40)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primary oxic tank (30) to remove nitrate nitrogen remaining in the water to be treated flowing from the primary oxic tank (30). The treatment target water flows into the secondary
2차 무산소조(40)에는 균등한 분배를 위한 교반장치가 설치된다. 교반장치는 2차 무산소조(4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임펠러(41)로 이루어진다.The secondary anoxic tank (40) is provided with a stirring device for even distribution. The stirring apparatus includes a driving motor (not show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2차 무산소조(40)에서 미생물의 내생호흡에 의해 다시 탈질반응을 일으켜 미처리된 질산성 질소를 추가로 제거하므로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denitrification reaction is again caused by the endogenous respiration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second
2차 무산소조(40)에서 미생물의 영양원 확보를 위해 유입수간헐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입수간헐공급부는 혐기조(10)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 일부를 2차 무산소조(40)에 간헐적으로 공급한다. An inflow water intermittent supply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for securing a nutrient source of microorganisms in the
유입수간헐공급부는 연결라인(5)에서 분기되어 2차 무산소조(40)로 연장되는 분기라인(7)과, 분기라인(7)에 설치되는 밸브(9)를 구비한다. 밸브(9)는 간헐적으로 분기라인(7)을 개방시켜 처리대상수가 간헐적으로 2차 무산소조(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밸브(9)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The inflow water intermittent supply section includes a
2차 호기조(50)는 2차 무산소조(40)의 후단에 설치되어 2차 무산소조(4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간헐적으로 폭기시킨다. 처리대상수는 2차 무산소조(40)와 2차 호기조(50) 사이에 형성된 격벽(43)의 상부에 마련된 유출홀(미도시)을 통해 2차 호기조(50)로 유입된다.The second aerobic tank (50) is installed at the downstream of the secondary anoxic tank (40) to intermittently aerate the air into the water to be treated flowing from the secondary anoxic tank (40). The treatment target water flows into the secondary
2차 호기조(50)는 혐기, 호기 상태를 거친 활성 슬러지의 벌킹(bulking) 현상 및 부상(rising)을 방지하고 인의 재방출을 막기 위해 간헐적으로 폭기를 실시한다. The secondary
2차 호기조(50)가 폭기조건 즉, 호기상태로 운영될 경우 미생물에 의한 인의 과잉섭취와 암모니아성 질소가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는 산화가 일어나며, 비포기 조건 즉, 무산소 상태로 운영될 경우 탈질소화에 관련된 미생물에 의해 질산성 질소가 질소가스로 환원되면서 질소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포기조건과 비포기조건을 교대로 반복시킴으로써 인의 과잉섭취와 질산화, 탈질소화를 유도하여 질소와 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2차 폭기수단에 의해 2차 호기조(50)에 공기가 간헐적으로 폭기된다. Air is intermittently aerated to the secondary
2차 폭기수단은 2차 호기조(50)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65)과, 산기관(65)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67)와, 블로워(67)와 산기관(65)을 연결하는 공기공급라인(68)과, 블로워(67)를 주기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타이머(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공급라인(68)에는 밸브(69)가 설치된다. The secondary aeration means includes an
잔류 유기물질을 제거하고 물과 슬러지를 고액분리시키기 위해 2차 호기조(50)에 분리막(55)이 설치된다. A
분리막(55)은 침지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막(55)을 통해 슬러지와 분리된 물, 즉 처리수는 방류관(5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생물학적 공정과 분리막 공정을 결합시킴으로써 생물학적 공정을 통해 유기물, 질소, 인을 처리하고, 분리막 공정을 통해 부유물질의 제거를 강화시키고 양질의 수질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treat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through a biological process by combining a biological process and a separation membrane process, enhance the removal of suspended matters through a separation membrane process, and ensure a high quality water.
또한, 본 발명은 혐기조의 후단에 무산소조와 호기조를 반복하여 설치함으로써 하폐수 중의 유기물 및 질소, 인의 처리효과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treating effect of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wastewater by repeatedly providing the anoxic tank and the oxic tank at the downstream of the anaerobic tank.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3 to 5 show an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of wastew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1차 폭기수단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1차 폭기수단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3 to 5, except for the primary aeration means,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of Fig. 1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only the primary aeration means will be described below.
도시된 1차 폭기수단은 미세기포 형태로 공기를 1차 호기조(30)에 공급함으로써 산소전달효율을 높여 폭기량을 감소시키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The illustrated primary aeration means can supply air to the primary
1차 폭기수단은 1차 호기조(30)와 연결되는 유출라인(70)과, 유출라인(70)에 설치되어 1차 호기조(30) 내부의 처리대상수 중 일부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73)와, 순환펌프(73)와 연결되는 연결라인(75)과, 연결라인(75)과 연결되는 개폐밸브(80)와, 개폐밸브(80)와 연결되어 1차 호기조(30)의 내부로 연장되는 재유입라인(76)과, 재유입라인(76)과 연결되어 1차 호기조(30)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77)과, 개폐밸브(80)와 연결되는 공기공급라인(79)과, 공기공급라인(79)과 연결되어 개폐밸브(80)를 통과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블로워(78)를 구비한다. The primary aeration means includes an
펌프(73)는 유출라인(70)을 통해 1차 호기조(30) 내부의 처리대상수의 일부를 펌핑한다. 펌프(73)를 통해 펌핑된 처리대상수는 연결라인(75) 및 개폐밸브(80) 그리고 재유입라인(76)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산기관(77)을 통해 1차 호기조(30)로 다시 유입된다. The
블로워(78)가 작동하면 공기공급라인(79)을 통해 공기가 개폐밸브(80)의 내부로 주입되어 개폐밸브(80)를 통과하는 처리대상수와 혼합된다. When the
본 발명에 적용된 개폐밸브(80)는 처리대상수가 통과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처리대상수 중으로 혼입된 공기를 미세한 기포로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opening / closing
개폐밸브(80)는 내부에 처리대상수가 통과하는 유로(82)가 형성된 하우징(81)과, 하우징(81)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82)의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제 1테이퍼부(83)와, 제 1테이퍼부(83)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하우징(81)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82)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2테이퍼부(84)와, 상기 제 2테이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테이퍼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미세한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톱니들(85)과, 하우징(81)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헤드부(87)와, 이동헤드부(87)의 후면에 결합되는 연결로드(90)와, 하우징(81)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결로드(90)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지지바디(91)와, 지지바디(91)에 설치되어 연결로드(90)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97)와, 지지바디(91)의 외경을 교대로 확장 및 축소시키기 위해 지지바디(91)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부(93)와, 하우징(81)의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플랜지(105)와, 플랜지(105)와 지지바디(91)를 연결하는 서포트바(107)를 구비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하우징(81)은 내부에 처리대상수가 통과하는 유로(82)가 형성된다. 하우징(81)의 전단은 연결라인(75)과 결합되므로 하우징(81)의 유로(82) 입구는 연결라인과(75) 연결된다. 그리고 하우징(81)의 후단은 재유입라인(76)과 결합되므로 하우징(81)의 유로(82) 출구는 재유입라인(76)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연결라인(75)의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101)와 하우징(81)의 전단에 형성된 플랜지(100)가 볼트와 너트로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81)의 후단에 결합된 플랜지(105)와 재유입라인(76)의 전단에 형성된 플랜지(109)가 볼트와 너트로 결합된다. In the
유로(82)의 입구 측에 공기공급라인(79)이 연결된다. 공기공급라인(79)은 하우징(81)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단부가 유로(82) 상으로 노출된다. An
하우징(81)의 내주면에는 제 1테이퍼부(83)와 제 2테이퍼부(84)가 형성된다. The first tapered
제 1테이퍼부(83)는 하우징(81)의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의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테이퍼부(84)는 제 1테이퍼부(83)의 후단에서 연장된다. 제 2테이퍼부(84)는 하우징(81)의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82)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tapered
제 2테이퍼부(84)에는 다수의 톱니들(85)이 형성된다. 이러한 톱니들(85)에 의해 제 2테이퍼부(84)를 통과하는 유체에 미세한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유로가 좁아지는 제 2테이퍼부(84)를 처리대상수가 통과시 속도는 빨라지고 압력은 낮아진다. 이와 동시에 톱니들(85)에 의해 미세한 와류가 무수히 발생되므로 처리대상수와 공기의 접촉효율이 높아지고, 큰 기포는 미세하게 쪼개져 미세기포가 형성된다. The second tapered
이동헤드부(87)는 하우징(8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동헤드부(87)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동헤드부(87)의 외주면은 제 1테이퍼부(83)와 밀착된다. 이러한 이동헤드부(87)는 유로를 막고 있으므로 유로(82)의 입구로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면 처리대상수로부터 압력을 받는다. 이때 받는 압력에 의해 이동헤드부(87)는 도 5와 같이 후퇴한다. 이동헤드부(87)가 후퇴하면 이동헤드부(87)의 외주면과 제 1테이퍼부(83)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면서 처리대상수는 틈새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The moving
그리고 이동헤드부(87)의 전면에는 오목한 충돌홈(89)을 형성하여 처리대상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A
연결로드(90)는 이동헤드부(87)의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The connecting
지지바디(91)는 하우징(81)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결로드(90)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바디(91)의 내부에는 삽입홈(95)이 형성된다. 연결로드(90)의 후단부는 지지바디(91)의 삽입홈(95)에 삽입된다. The
탄성부재(97)는 삽입홈(95)에 설치된다. 탄성부재(97)로 용수철을 이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97)의 일측은 연결로드(90)의 후단부와 접촉되어 연결로드(90)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81)의 입구로 처리대상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탄성부재(97)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헤드부(87)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도 4와 같이 유로(82)를 막는다. The
파형부(93)는 지지바디(9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파형부(93)는 지지바디(91)의 외경을 교대로 확장 및 축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파형부(93)는 유로의 단면적을 교대로 변화시켜 지지바디(91)의 주위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큰 변화를 주어 기액 접촉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The
하우징(81)의 후단에는 플랜지(105)가 나사결합된다. 플랜지(105)의 전면에는 나사부(106)가 형성되어 하우징(81)에 결합된다. A
서포트바(107)는 플랜지(105)와 지지바디(91)를 연결한다. 서포트바(107)는 지지바디(91)가 유로(82)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지지바디(91)를 지지한다. 서포트바(107)는 2개 이상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지지바디(91)를 지지한다. The
상술한 제 1폭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미세기포 형태로 공기를 1차 호기조에 폭기함으로써 산소전달효율을 높여 폭기량을 감소시키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폭기수단 역시 도시된 제 1폭기수단과 구성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By the above-described first aera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can aerate the air in the form of minute bubbles into the primary aeration tank, thereby increasing the oxygen delivery efficiency, reducing the amount of breeze and saving energy.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aeration means can als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eration means shown.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1: 유량조정조 10: 혐기조
20: 1차 무산소조 30: 1차 호기조
40: 2차 무산소조 50: 2차 호기조
55: 분리막 1: Flow control tank 10: Anaerobic tank
20: Primary anoxic tank 30: Primary aerobic tank
40: Secondary anoxic tank 50: Secondary aerobic tank
55: membrane
Claims (5)
상기 혐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1차 무산소조와;
상기 1차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1차 호기조와;
상기 1차 호기조의 내부에 공기를 폭기시키기 위한 1차 폭기수단과;
상기 1차 호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에 잔존하는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2차 무산소조와;
상기 2차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간헐적으로 폭기시키는 2차 호기조와;
상기 2차 호기조에 설치되어 물과 슬러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막과;
상기 2차 호기조에 공기를 폭기시키기 위한 2차 폭기수단과;
상기 1차 호기조에서 상기 1차 무산소조로 활성슬러지를 반송하기 위한 내부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1차 폭기수단은 상기 1차 호기조와 연결되는 유출라인과, 상기 유출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1차 호기조 내부의 처리대상수 중 일부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와 연결되는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1차 호기조의 내부로 연장되는 재유입라인과, 상기 재유입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1차 호기조 내부에 설치되는 산기관과, 상기 개폐밸브와 연결되는 공기공급라인과, 상기 공기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의 개방시 상기 개폐밸브를 통과하는 처리대상수 중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블로워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밸브는 내부에 처리대상수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입구는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유로의 출구는 상기 재유입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공기공급라인이 상기 유로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유로의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제 1테이퍼부와, 상기 제 1테이퍼부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유로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2테이퍼부와, 상기 제 2테이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테이퍼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미세한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톱니들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제 1테이퍼부와 밀착되며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의 압력에 의해 후퇴가 가능한 이동헤드부와, 상기 이동헤드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로드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바디와, 상기 삽입홈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로드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바디의 외경을 교대로 확장 및 축소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부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상기 지지바디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유로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바디를 지지하는 서포트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장치. An anaerobic tank for removing phosphorus in the incoming water to be treated;
A primary anoxic tank for removing nitrate nitrogen in the water to be treated flowing from the anaerobic tank;
A primary anoxic tank for nitrifying nitrogen by aerating the air into the water to be treated flowing from the primary anoxic tank;
A primary aeration means for aerating the inside of the primary oxic tank;
A secondary anoxic tank for removing nitrate nitrogen remaining in the water to be treated flowing from the primary oxic tank;
A secondary aerobic tank for intermittently aerating air into the water to be treated flowing from the secondary anoxic tank;
A separation membrane installed in the secondary oxic tank to separate water and sludge;
A secondary aeration means for aerating the air to the secondary oxic tank;
And an inner conveyor for conveying the activated sludge from the primary oxic tank to the primary anoxic tank,
The primary aeration means includes an outflow line connected to the primary oxic tank, a circulation pump installed in the outflow line and circulating a part of the water to be treated in the primary oxic tank,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ump, An open / close valv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a re-inflow line connected to the on / off valve and extending into the first oxic tank, an air diffusing pipe connected to the re-inflow line and installed in the first oxic tank, And an ai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on / off valve, and a blow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line for injecting air into the water to be treated passing through the on / off valve when the on / off valve is opened,
Wherein an opening of the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an outlet of the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re-inflow line, and the ai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inlet side of the flow path A first tapered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formed so as to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passage as it goes backward; and a second tapered portion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an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teeth formed on the second tapered portion to form a fine vortex in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tapered portion, and a plurality of teeth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apered portion, A support body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 receiving a rear end of the connection rod, the support body being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flang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ody for alternately expanding and contracting an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body; a flange screwed to a rear end of the housing; And a support bar connecting the flange and the support body to support the support body such that the support body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low path.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08072A KR101879740B1 (en) | 2018-01-23 | 2018-01-23 | Advanced water-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08072A KR101879740B1 (en) | 2018-01-23 | 2018-01-23 | Advanced water-tre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79740B1 true KR101879740B1 (en) | 2018-07-18 |
Family
ID=6304900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08072A Active KR101879740B1 (en) | 2018-01-23 | 2018-01-23 | Advanced water-tre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79740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76737A (en) | 2019-12-16 | 2021-06-24 | 주식회사 씨맥 | System for Advanced Treatment of Sewage and Wastewater |
| CN115072876A (en) * | 2022-07-20 | 2022-09-20 | 长春工程学院 | A method for inhibiting bulking of filamentous bacteria sludge by segmented water intake and its application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52777A (en) * | 2003-11-25 | 2005-06-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Filtration tank |
| JP2006007073A (en) * | 2004-06-24 | 2006-01-12 | Miike Iron Works Co Ltd | Sewage aeration equipment |
| KR20060103373A (en) * | 2005-03-26 | 2006-09-29 | (주)엔지에스티 | Micro Bubble Generator |
| KR20110114100A (en) * | 2010-04-12 | 2011-10-19 |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 Advanced Waste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Bamboo Biofiltration Membrane |
| KR20130121491A (en) * | 2012-04-27 | 2013-11-06 | 나현호 | Pressure-open type micro bubble hea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bubble including the same |
| KR101617426B1 (en) * | 2015-07-24 | 2016-05-03 | 주식회사 송림 | Advanced water-treating apparatus |
| KR101818996B1 (en) * | 2017-08-10 | 2018-01-16 | 주식회사 도원엔바이로 | Micro Bubble Generator And Advanced Oxidation Process System Using The Microbubble, Low Concentration Ozone, And UV Lamp |
-
2018
- 2018-01-23 KR KR1020180008072A patent/KR1018797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52777A (en) * | 2003-11-25 | 2005-06-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Filtration tank |
| JP2006007073A (en) * | 2004-06-24 | 2006-01-12 | Miike Iron Works Co Ltd | Sewage aeration equipment |
| KR20060103373A (en) * | 2005-03-26 | 2006-09-29 | (주)엔지에스티 | Micro Bubble Generator |
| KR20110114100A (en) * | 2010-04-12 | 2011-10-19 |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 Advanced Waste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Bamboo Biofiltration Membrane |
| KR20130121491A (en) * | 2012-04-27 | 2013-11-06 | 나현호 | Pressure-open type micro bubble hea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bubble including the same |
| KR101617426B1 (en) * | 2015-07-24 | 2016-05-03 | 주식회사 송림 | Advanced water-treating apparatus |
| KR101818996B1 (en) * | 2017-08-10 | 2018-01-16 | 주식회사 도원엔바이로 | Micro Bubble Generator And Advanced Oxidation Process System Using The Microbubble, Low Concentration Ozone, And UV Lamp |
Non-Patent Citations (2)
| Title |
|---|
| 하수도시설기준. 2011. * |
| 한국상수도협회. 하수도시설기준. 2011, pp.415, 546. 1부. *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76737A (en) | 2019-12-16 | 2021-06-24 | 주식회사 씨맥 | System for Advanced Treatment of Sewage and Wastewater |
| KR20210145706A (en) | 2019-12-16 | 2021-12-02 | 주식회사 씨맥 | System for Advanced Treatment of Sewage and Wastewater |
| CN115072876A (en) * | 2022-07-20 | 2022-09-20 | 长春工程学院 | A method for inhibiting bulking of filamentous bacteria sludge by segmented water intake and its application |
| CN115072876B (en) * | 2022-07-20 | 2023-12-08 | 长春工程学院 | A method and application of segmented water inflow to inhibit the expansion of filamentous bacteria sludg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938173B2 (en) | Apparatus for water, wastewater, and waste treatment | |
| KR101884448B1 (en) | advanced water treating apparatus using ozone | |
| CN102083756B (en) | New systems and methods for wastewater treatment | |
| US20130153494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 |
| KR20100078401A (en) | A apparatus and treatment method for wastewater including excrementitious matter of domestic animals, and a production method of liquid fertilizer using the apparatus | |
| KR20090007888A (en) | Immersion Membrane Advance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 |
| KR102094020B1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feeding andintermittent discharge in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 |
| KR101879740B1 (en) | Advanced water-treating apparatus | |
| CN101508484A (en) | Denitrification water treatment system | |
| KR102289941B1 (en) | water treating apparatus for sewage and wastewater | |
| KR20000065883A (en) | A Process for Treatment of Wastewater Using Intermittently Aerated Membrane Bioreactor | |
| KR102032162B1 (en) | Plants For Advanced Treatment using Siphon phenomenon Sequencing Batch Reactor | |
| KR101617426B1 (en) | Advanced water-treating apparatus | |
| IL15519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enhanced solids reduction (esr) | |
| CN111056707A (en) | Anaerobic ammonia oxidation autotrophic nitrogen 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municipal sewage | |
| RU2013382C1 (en) | Sewage water cleaning method and device | |
| CN215516829U (en) | High ammonia nitrogen sewage deep denitrification treatment device | |
| KR100527172B1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nitrogenous waste water of nitrogen and sewage | |
| CN112723566B (en) | A BAF aeration pipe and a method for removing COD by BAF denitrification | |
| KR101634296B1 (en) | Sb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soil microorganism | |
| CN113428978A (en) | Low-carbon-source urban sewage improvement A2O-MBR (membrane bioreactor) combined process and device thereof | |
| CN209721709U (en) | A kind of bioreactor for sewage treatment | |
| CN113443713A (en) | Device and method for advanced denitrification treatment of high ammonia nitrogen sewage | |
| CN219031898U (en) | Enzymatic membrane method A2O sewage treatment system | |
| KR102774007B1 (en) | Sewage 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aerated biofilm rea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