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0017B1 - 진공단열 복합패널 - Google Patents

진공단열 복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017B1
KR101870017B1 KR1020160023222A KR20160023222A KR101870017B1 KR 101870017 B1 KR101870017 B1 KR 101870017B1 KR 1020160023222 A KR1020160023222 A KR 1020160023222A KR 20160023222 A KR20160023222 A KR 20160023222A KR 101870017 B1 KR101870017 B1 KR 10187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reinforcing panel
vacuum
panel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844A (ko
Inventor
강성호
김동래
이남수
원정환
단정현
김천수
장성욱
이재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6002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01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0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은, 심재와, 상기 심재를 둘러싸는 봉지부재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에 적층방식으로 결합되는 보강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봉지부재는, 상기 심재의 표면에 적층되는 융착층과, 상기 융착층 표면에 적층되는 차단층과, 상기 차단층의 표면에 적층되는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부착되는 플로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단열 복합패널 {Vacuum insulating complex panel}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부재로 사용 가능하도록 단열성과 내충격성이 개선된 진공단열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표면에 플로킹처리된 진공단열재와 보강패널이 일체로 결합된 진공단열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진공단열재는 단열재 내부를 진공처리함으로써 단열재 내부의 대류 현상을 차단시켜 기존 유/무기 단열재 대비 다섯 배 이상의 우수한 단열성능을 나타내도록 하는 소재이다.
이러한 진공단열재는 크게 심재(core material), 상기 심재를 감싸는 다층필름 구조의 봉지부재(sealing member)와, 상기 봉지부재 내로 유입되는 가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가스 흡착제(getter)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봉지부재는 진공단열재의 진공도 유지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로서, 특히 진공단열재 내부의 진공도를 일차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통기성이 낮아야 한다. 만약, 통기성이 높은 재료로 봉지부재가 제작되는 경우 제품의 장기간 사용시에 외부의 가스 및 수분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진공도를 떨어뜨리게 되어 결국 단열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봉지부재는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됨에 따라 쉽게 수축될 수 있도록 일정 수준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봉지부재가 연성을 갖는 경우 내충격성이 낮아 건축용으로는 사용이 적합하지 아니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진공단열재는 내구연한이 10 내지 15년으로 비교적 짧고 내충격성이 크게 요구되지 아니하는 냉장고용 단열부재 등으로만 적합할 뿐, 30년 이상의 긴 내구연한과 큰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건축용 단열부재로는 적합하지 아니하다는 단점이 있다.
KR 10-2012-0033168 A
본 발명은 우수한 표면 강도를 가져 내충격성이 뛰어나고 장기 내구성이 우수하며, 파열강도가 현저히 개선되어 건축용으로 활용 가능한 진공단열 복합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은, 심재와, 상기 심재를 둘러싸는 봉지부재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에 적층방식으로 결합되는 보강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봉지부재는, 상기 심재의 표면에 적층되는 융착층과, 상기 융착층 표면에 적층되는 차단층과, 상기 차단층의 표면에 적층되는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부착되는 플로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강패널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강패널은, 상기 진공단열재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일체로 부착되는 제1 보강패널과 제2 보강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보강패널은 건축내장재이고, 상기 제2 보강패널은 건축외장재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보강패널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패널은 상기 진공단열재의 상면과 측면을 덮되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제1 보강패널 상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플로킹부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인견, 면사 분말, 가죽 분말 및 금강석 분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를 정전기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층 표면에 부착시키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킹부에 사용되는 소재는 길이가 0.01 내지 100mm이고 굵기가 0.01 내지 1000 데니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은, 우수한 표면 강도를 가져 내충격성이 뛰어나고 장기 내구성이 우수하며, 파열강도가 현저히 개선되어 건축용으로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에 포함되는 진공단열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축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에 포함되는 진공단열재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은, 심재, 봉지부재 및 가스 흡착제로 구성된 진공단열재와 이 진공단열재의 단열성 기능을 강화하거나 내충격성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요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진공단열재의 단열성 혹은 내충격성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요소들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보강패널 혹은 플로킹부가 있을 수 있으나, 진공단열재의 단열성 혹은 내충격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은, 기존의 진공단열재보다 단열성이 높고 내충격성이 강화되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건축용 단열부재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은, 심재(110)와 이를 둘러싸는 봉지부재(120)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100)와, 상기 진공단열재(100)에 적층방식으로 결합되는 보강패널(200)을 포함하되, 상기 봉지부재(120)는, 상기 심재(110)의 표면에 적층되는 융착층(122)과, 상기 융착층(122) 표면에 적층되는 차단층(124)과, 상기 차단층(124)의 표면에 적층되는 보호층(126)과, 상기 보호층(126)의 표면에 부착되는 플로킹부(128)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단열재(100)는 부피대비 단열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내충격성이 약하여 즉, 작은 충격에도 파손될 우려가 있어 큰 구조적 강도가 요구되는 건축용 단열부재로는 독립적으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보강패널(200)은 금속 등과 같이 표면강도 및 파열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과 같이 진공단열재(100)와 보강패널(200)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면, 높은 단열성과 높은 내충격성을 모두 가질 수 있어 건축용 단열부재로 사용이 적합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보강패널(200)과 진공단열재(100)의 결합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예컨대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그 접착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그라비아, 다이렉트, 리버스,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에 포함되는 진공단열재(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진공단열재(100)는 심재(110) 및 봉지부재(120)로 크게 구분되는데, 상기 봉지부재(120)는 상기 심재(110)의 표면에 적층되는 융착층(122)과, 상기 융착층(122) 표면에 적층되는 차단층(124)과, 상기 차단층(124)의 표면에 적층되는 보호층(126)과, 상기 보호층(126)에 부착되는 플로킹부(128)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단열재(100)의 심재(110)로는 글라스울, 발연실리카(fumed silica) 또는 우레탄 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단열재(100)는 상기 봉지부재(120)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가스흡착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흡착제로는 CaO(생석회), 금속 분말, 생석회와 금속 분말의 혼합물, 실리카겔 또는 제올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봉지부재(120)의 보호층(126)은 최외층으로서 차단층(124)을 보호하고 외부 충격 또는 스크래치로부터 진공단열재(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층(126)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층은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무기물-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배향된 폴리프로필렌(OPP),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 무기물-증착 에틸렌 비닐 알코올, 폴리비닐알코올(PVOH), 무기물-증착 폴리비닐알코올(PVOH), 오모세르(ORMOCER) 및 무기물-증착 오모세르(ORMOCE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증착에 사용되는 무기물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산화물(AlOx), 실리콘(Si) 또는 실리콘 산화물(SiOx)일 수 있으며, 증착 두께는 100 내지 2000Å, 구체적으로 200 내지 1000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층(126)의 두께는 특별한 제한 없이 진공단열재(100)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두께, 예컨대 5 내지 30㎛, 구체적으로 10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차단층(124)은 진공단열재(100)의 통기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단층(124)으로서는 무기물-증착 필름, 알루미늄 박막 또는 오모세르(ORMOCE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물-증착 필름은 무기물-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무기물-증착 에틸렌 비닐 알코올, 무기물-증착 폴리비닐알코올(PVOH) 및 무기물-증착 오모세르(ORMOCE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증착에 사용되는 무기물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산화물(AlOx), 실리콘(Si) 또는 실리콘 산화물(SiOx)일 수 있으며, 증착 두께는 100 내지 2000Å, 구체적으로 200 내지 1000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무기물-증착 필름은 최종 제품의 원가 및 목적하는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층(124)의 두께는 특별한 제한 없이 진공단열재(100)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두께, 예컨대 5 내지 30㎛, 구체적으로 10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융착층(122)은 최내층으로서 상기 봉지부재(120)가 외피재로서 진공단열재(100)에 적용될 경우 외피재 간 열융착을 가능하게 하고 심재(110)와 밀착되어 밀봉제 역할을 하는 층이다. 이러한 융착층(122)의 재질은 진공단열재(100)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PDE) 필름 또는 캐스트 폴리프로필렌(CPP)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융착층(122)의 두께는 특별한 제한 없이 진공단열재(100)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두께, 예컨대 20 내지 100㎛, 구체적으로 30 내지 7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봉지부재(120)는 필요에 따라 특정 특성을 부여하는 부가의 층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층 구조 내의 각 층간 접착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예컨대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그 접착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진공단열재(100)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방식, 예컨대 그라비아, 다이렉트, 리버스,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로킹부(128)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인견, 면사 분말, 가죽 분말 및 금강석 분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를 정전기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층(126) 표면에 부착시키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호층(126)의 표면에 아크릴 및 우레탄과 같은 접착제(127)을 도포한 후, 정전기장을 인가한 상태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소재를 분출시킴으로써 일정하게 상기 소재를 표면상에 부착시킨 다음, 50 내지 200℃에서 0.1 내지 30분 동안 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로킹부(128)에 사용되는 소재는 길이가 0.01 내지 100mm이고 굵기가 0.01 내지 1000 데니아의 굵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층(126)의 표면에 플로킹부(128)를 형성시키면, 표면 강도가 증가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제품 불량률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 구현도 가능해지므로 제품의 가치가 올라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진공단열재(100)에 하나의 보강패널(200)이 일체로 부착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진공단열재(100) 양면에 보강패널(20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패널(200)은 진공단열재(100)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일체로 부착되는 제1 보강패널(210)과 제2 보강패널(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진공단열재(100)의 양면에 제1 보강패널(210)과 제2 보강패널(220)이 각각 구비되면, 파열강도가 더욱 향상되어 구조적 강도가 크게 요구되는 건축물에도 사용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공단열재(100)의 양면에 제1 보강패널(210)과 제2 보강패널(220)이 부착되면, 별도의 마감공정 없이 진공단열 복합패널을 벽체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강패널(210)이 건축내장재로 제작되고 제2 보강패널(220)이 건축외장재로 제작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을 조립하는 공정만으로 건축구조물의 벽체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건축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단열 복합패널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진공단열재(100)의 양면에 부착되는 제1 보강패널(210)과 제2 보강패널(220)이 모두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진공단열재(100)의 저면과 상면은 제1 보강패널(210)과 제2 보강패널(22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파손 및 부식의 우려가 없지만, 상기 진공단열재(100)의 측단은 제1 보강패널(210)이나 제2 보강패널(220)에 의해 보호되지 아니하는바 파손이나 부식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보강패널(210)과 제2 보강패널(220)은 하나의 진공단열재(100) 외측면을 모두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강패널(210)은 상기 진공단열재(100)보다 면적이 넓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패널(220)은 상기 진공단열재(100)의 상면과 측면을 덮되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제1 보강패널(210) 상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보강패널(220)이 캡 형상으로 제작되면, 상기 진공단열재(100)의 외측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는바, 진공단열재(100)의 파손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진공단열재(100)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도가 해제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내지 2:
글라스울 또는 발연실리카 재질의 심재를 갖는 12T(12mm 두께)의 진공단열재의 보호층 표면에 나일론을 플로킹 처리하고, 일면에 금속패널을 부착하여 진공단열 복합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
비교예 1은 금속패널을 적용하지 아니하고 플로킹 처리를 하지 아니하였으며, 나머지 진공단열재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또한 비교예 2는 금속패널을 적용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공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진공단열 복합패널 및 진공단열재 자체에 대해서 하기 사항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제시하였다.
- 제품 불량률(%): 외부 충격에 의한 핀홀의 발생 여부에 따라 평가
- 파열강도(N): 내구성 시험용 지그로 외피재에 국부적으로 압력을 가해 외피재가 뚫렸을 때 강도 측정
- 내구성 경시변화(1): 100℃에서 50일 동안 방치 후의 열전도율 변화량 (=10년 내구성)
- 내구성 경시변화(2): 100℃에서 150일 동안 방치후의 열전도율 변화량 (=30년 내구성)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복합패널
14T(mm)
보강패널1T(mm) 금속패널 금속패널 적용 안함 적용 안함
진공단열재
12T(mm)
글라스울
심재 사용
발연실리카
심재 사용
글라스울
심재 사용
발연실리카
심재 사용
플로킹부
1T(mm)
나일론
플로킹
나일론
플로킹
적용 안함 나일론
플로킹
제품 불량률 1% 미만 1% 미만 5% 이상 5% 미만
파열강도(N) 1630 1630 50 70
내구성 경시변화(1) (mW/mK)
(100℃,50일 방치 = 10년 내구성)
△1.5 △1.9 △2.6 △2.3
내구성 경시변화(2) (mW/mK)
(100℃,150일 방치 = 30년 내구성)
△3.1 △3.7 △4.7 △4.3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2의 진공단열 복합패널은 보강패널이 없는 비교예 1 내지 2의 진공단열재 자체에 비해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제품 불량률이 더 낮았고, 장기 사용에 따른 열전도율 상승률이 훨씬 낮아 장기 내구성 면에서도 우수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진공단열재 110 : 심재
120 : 봉지부재 122 : 융착층
124 : 차단층 126 : 보호층
128 : 플로킹부 200 : 보강패널

Claims (14)

  1. 심재와, 상기 심재를 둘러싸는 봉지부재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에 적층방식으로 결합되는 보강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봉지부재는, 상기 심재의 표면에 적층되는 융착층과, 상기 융착층 표면에 적층되는 차단층과, 상기 차단층의 표면에 적층되는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의 표면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의 표면에 부착되는 플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패널은, 상기 진공단열재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일체로 부착되는 제1 보강패널과 제2 보강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보강패널은 건축내장재이고, 상기 제2 보강패널은 건축외장재인 진공단열 복합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진공단열 복합패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패널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패널은 상기 진공단열재의 상면과 측면을 덮되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제1 보강패널 상면에 적층되도록 결합되는 진공단열 복합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킹부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인견, 면사 분말, 가죽 분말 및 금강석 분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를 정전기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층 표면에 부착시키는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진공단열 복합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킹부에 사용되는 소재는 길이가 0.01 내지 100mm이고 굵기가 0.01 내지 1000 데니아인 진공단열 복합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글라스울 또는 발연실리카로 제작되는 진공단열 복합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각 층은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무기물-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배향된 폴리프로필렌(OPP),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 무기물-증착 에틸렌 비닐 알코올, 폴리비닐알코올(PVOH), 무기물-증착 폴리비닐알코올(PVOH), 오모세르(ORMOCER) 및 무기물-증착 오모세르(ORMOCE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진공단열 복합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산화물(AlOx), 실리콘(Si) 또는 실리콘 산화물(SiOx)인 진공단열 복합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무기물-증착 필름, 알루미늄 박막 또는 오모세르(ORMOCER)인 진공단열 복합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증착 필름은 무기물-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무기물-증착 에틸렌 비닐 알코올, 무기물-증착 폴리비닐알코올(PVOH) 및 무기물-증착 오모세르(ORMOCE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진공단열 복합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산화물(AlOx), 실리콘(Si) 또는 실리콘 산화물(SiOx)인 진공단열 복합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층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PDE) 필름 또는 캐스트 폴리프로필렌(CPP) 필름인 진공단열 복합패널.
KR1020160023222A 2016-02-26 2016-02-26 진공단열 복합패널 Active KR10187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222A KR101870017B1 (ko) 2016-02-26 2016-02-26 진공단열 복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222A KR101870017B1 (ko) 2016-02-26 2016-02-26 진공단열 복합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844A KR20170100844A (ko) 2017-09-05
KR101870017B1 true KR101870017B1 (ko) 2018-06-21

Family

ID=5992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222A Active KR101870017B1 (ko) 2016-02-26 2016-02-26 진공단열 복합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144B1 (ko) * 2018-07-26 2020-10-30 남상민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4294A (ja) * 1998-07-28 2000-02-15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
JP2000507887A (ja) * 1996-03-20 2000-06-27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改良されたフロック加工物品
KR100865199B1 (ko) * 2004-12-07 2008-10-23 파나소닉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및 진공 단열재를이용한 단열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3168A (ko) 2010-09-29 2012-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진공단열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7887A (ja) * 1996-03-20 2000-06-27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改良されたフロック加工物品
JP2000044294A (ja) * 1998-07-28 2000-02-15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
KR100865199B1 (ko) * 2004-12-07 2008-10-23 파나소닉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및 진공 단열재를이용한 단열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844A (ko)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3977C1 (ru) Проставоч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изоляционного остекления
US8961843B2 (en) Core material for vacuum insulatio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00047B1 (ko)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및 이를 포함하는 고성능 진공단열재
KR20150034319A (ko)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306B1 (ko) 가스 차단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다층형 슈퍼 배리어 봉지 부재
KR101394871B1 (ko) 진공단열재용 복합강화 난연성 외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KR101302474B1 (ko) 내충격성 및 불연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봉지부재
JP7077642B2 (ja) 真空断熱材用積層体および真空断熱材
KR101863381B1 (ko) 진공단열재
KR20160017724A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KR20170090889A (ko) 진공 단열재
KR101870017B1 (ko) 진공단열 복합패널
KR101993529B1 (ko) 진공단열패널용 외피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801525B (zh) 真空隔热件和隔热箱
KR20180099442A (ko) 진공단열재 외피재용 적층재 및 이를 포함한 진공단열재 외피재
KR20110072794A (ko)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KR102120810B1 (ko) 진공단열재 외피재용 적층재 및 이를 포함한 진공단열재 외피재
KR101749397B1 (ko) 진공 단열재
KR20170100841A (ko) 진공단열 복합패널
KR101825776B1 (ko) 진공 단열재
KR101521685B1 (ko) 멜라민 수지 경화 발포체로 이루어진 진공단열재용 심재와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7383A (ko)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1559A (ko) 진공 단열재 일체형 복합 패널
KR101808897B1 (ko) 진공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7240A (ko)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