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282B1 - Cart Robot - Google Patents
Cart Rob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2282B1 KR101872282B1 KR1020170064154A KR20170064154A KR101872282B1 KR 101872282 B1 KR101872282 B1 KR 101872282B1 KR 1020170064154 A KR1020170064154 A KR 1020170064154A KR 20170064154 A KR20170064154 A KR 20170064154A KR 101872282 B1 KR101872282 B1 KR 1018722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t
- driving
- robot
- motor
- ax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3—One motor drives one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62B5/0073—Measuring a for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62B5/0076—Remotely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카트 로봇은,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구동 로봇과, 상기 구동 로봇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카트 손잡이를 구비하는 카트를 포함하고, 카트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할 수 있는 측정 센서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카트 손잡이를 잡고 상기 카트가 이동하길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카트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로봇이 구동하여 상기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카트를 이동시킨다. The cart robot includes a driving robot that is moved by a motor and a c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ing robot and has a cart handle that can be held by a user and includes a measurement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force applied to the cart handle And when the user holds the cart handle and pushes or pulls the cart hand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art wants to move, a force applied to the handle by the driving robot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cart handle To move the cart.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카트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물품을 수송하기 위한 카트형 로봇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병원 등 의료 환경에서는 간호 물품 등의 운송을 위한 간호 카트가 이용되는데, 간호 카트의 무게 등으로 인해 간호 카트를 끌고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간호사의 피로를 유발하고 있다. Generally, in a medical environment such as a hospital, a nurse cart for transportation of nursing articles is used, and by dragging and moving the nurse cart due to the weight of the nurse cart, the nurse is fatigued.
인력에 의존한 작업을 회피하기 위하여, 병원 내 물류 운송을 위한 카트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 In order to avoid labor-dependent work, cart robots are being developed for the transportation of goods in hospitals.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카트 로봇은 주로 저장된 병원 내 경로 맵(map)을 이용하여 자동 주행하도록 고안되고 있다. However, the cart robo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mainly designed to run automatically using a stored route map in a hospital.
로봇의 자동 주행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병원 전체 경로 환경을 로봇이 이동할 수 있게 재창출해야 한다. 또한, 로봇에 맞는 의료 인프라 및 의료 보조기를 설계하여 완전 교체를 하여야 한다. In order to construct a system for automatic running of the robot, the entire path environment of the hospital should be regenerated so that the robot can move. In addition, the medical infrastructure and medical assistant suitable for the robot should be designed and completely replaced.
단순히 물류 수송로 역할이 제한되어 있는 물류 수송 로봇을 적용하기 위하여, 시스템 구축에 막대한 기술과 비용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중소형 의료 환경에서는 쉽게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In order to apply a logistics transportation robot, which has a limited role as a logistics transportation route, a huge amount of technology and costs are required to construct a system, and thus it is difficult to easily apply it in a small and medium medical environment.
아울러, 종래기술에 따른 물류 수송 로봇은 이동에 필요한 궤적이 커서 좁은 침상 사이 등 좁은 장소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In addition,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robot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large trajectory required for movement, and accessibility to a narrow place such as a narrow bed is very poor.
카트 로봇을 조이스틱 등에 의한 수동 조작형으로 설계할 수 있으나, 조이스틱 등과 같은 직관적이지 않은 조종 장치를 이용해 수동 조작하기 위해서는 간호사 등 사용자가 조종 장치의 조작에 숙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간호 카트로부터 일정 정도 떨어져 조작을 하여야 하므로, 상황별로 즉각적인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The cart robot can be designed as a manual operation type using a joystick or the like, but a user such as a nurse must be skilled in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ion device in order to perform a manual manipulation using a non-intuitive manipulation device such as a joystick. In addition, since the user has to operate the nurse cart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nurse car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deal with each situation immediately.
본 명세서는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이동 가능하며, 이동에 필요한 직관적인 수동식 조종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카트 로봇을 제공한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cart robot that is movable without much effort and can provide an intuitive manual control interface necessary for move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구동 로봇과, 상기 구동 로봇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카트 손잡이를 구비하는 카트를 포함하고, 카트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할 수 있는 측정 센서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카트 손잡이를 잡고 상기 카트가 이동하길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카트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로봇이 구동하여 상기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카트를 이동시키는 카트 로봇에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robot comprising: a driving robot moving by a motor; and a cart connected to the driving robot and having a cart handle capable of being held by a user, And the driving robot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cart handle so that when the user holds the cart handle and pushes or pulls the cart hand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art wants to move, To move the cart in the direction of a force applied to the cart robo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트 손잡이는 상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난간형 손잡이이고, 상기 측정 센서는 상기 상판의 아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난간형 손잡이를 통해 상기 상판에 전달되는 힘을 감지하는 6축 힘-토크 센서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rt handle is a handrail-type handl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and the measurement sensor is dispos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upper plate to sense a force transmitted to the upper plate through the railing handle It is a six-axis force-torque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로봇은, 상기 구동 로봇이 병진 운동, 회전 운동 및 병진회전 운동의 전방향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robot include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driving robot in all directions of translational motion, rotational motion, and translational rotational mo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제1 모터와 제2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차동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 바퀴가 구동하여, 상기 구동 로봇의 주행 및 조향이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And a driving wheel driven by a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wherein the driving wheels are driven by differential driving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nd the driving robot is driven and stee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서로 중첩되어 형성되며 각각 상기 제1 모터와 제2 모터에 의해 제1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과 수직한 제2 축(axis)과, 상기 제2 축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1 축과 오프셋(offset)된 제3 축(axis)이 정의되고, 상기 구동 바퀴는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shaft and a second shaft that are form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rotate about a first axis by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a third axis parallel to the second axis and offset from the first axis are defined and the drive wheel is rotated about the third axis, d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1 교차축 기어와, 상기 제1 교차축 기어와 마주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2 교차축 기어와, 상기 제1 교차축 기어와 상기 제2 교차축 기어에 동시 치합되는 교차축 기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달 기어 및 상기 전달 기어의 평행축 기어부와 치합되며, 상기 구동 바퀴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cross shaft gear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a second cross shaft gear facing the first cross shaft gea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And a second gear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gear, And a driving gear for rotating the driving wheel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모터와 상기 제2 샤프트는 각각 타이밍 벨트에 의해 연결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motor, the first shaft, the second motor, and the second shaft are connected by a timing belt,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 로봇은 상기 구동 로봇을 구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조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 손잡이에 의한 조종 모드 및 조종 장치에 의한 조종 모드로 모드 전환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rt robot further includes a separate control device capable of driving the driving robot, and the mode can be switched to the control mode by the cart handle and the control mode by the control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판 위에는 상기 상판에 간섭하지 않으며,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데스크 판이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k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pper plate and to be placed on the upper pl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로봇은 수직 몸체부와 상기 수직 몸체부에 수평한 수평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상기 수평 몸체부 위에 형성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robot includes a vertical body portion and a horizontal horizontal body portion on the vertical body portion, and the cart is formed on the horizontal body por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트는 상기 구동 로봇으로부터 분리 교체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rt is detachable from the driving robo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 로봇은, 상기 구동 로봇과 교체되는 카트를 인식시킬 수 있는 무선 인식 장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rt robot includes a wireless recognition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cart to be replaced with the drive robo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카트 로봇의 구동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구동 로봇의 구동부를 여러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카트 로봇의 병진 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카트 로봇의 회전 운동 및 병진회전 운동을 나타내는 도면니다.
도 10은 카트 로봇의 카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구동 로봇과 카트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카트에 구비된 힘-토크 센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카트의 상판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카트의 카트 손잡이에 의한 카트 로봇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구동 로봇과 보행 보조기가 연결된 도면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car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driving robot of a cart robot.
5 to 7 are views showing the driving unit of the driving robot from various angles.
8 is a view showing the translational motion of the cart robot.
9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al motion and the translational rotational motion of the cart robot.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rt of the cart robot.
1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driving robot and the cart are connected.
12 is a view showing a force-torque sensor provided in the cart.
13 is a view showing an upper plate portion of the cart.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driving state of the cart robot by the cart handle of the cart. Fig.
15 is a view showing a driving robot and a walking aiding device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action are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 로봇(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카트(20)가 구동 로봇(10)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 로봇(1)은 병원 등에서 간호사가 약품이나 혈액 등 간호 용품을 이송할 수 있는 간호 카트 로봇(1)이다. The
카트 로봇(1)은, 모터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구동 로봇(10)과, 구동 로봇(10)에 연결되는 카트(20)를 포함한다.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로봇(10)은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 몸체부(11)와, 상기 수직 몸체부(11)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평 몸체부(12)를 포함하여, 대략 "ㄴ" 자의 형태를 가진다. 1, the
수직 몸체부(12)의 상단에는 모니터(13)가 구비된다. 모니터(13)는 충전 상태, 현재 속도 등 구동 로봇(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거나, 구동 로봇(10)의 프로그램 입력 등을 위한 UI 장치로 이용된다. 다만, 모니터(13)가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구동 로봇(10)과 유무선 통신하는 PC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A monitor (13)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ody part (12). The
카트(20)는 대략 구동 로봇(10)의 수평 몽체부(20)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수평 몸체부(20) 위에 배치된다. The
카트(20)는 구동 로봇(10)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구동 로봇(10)에 연결되는 카트(20)를 교체할 수 있다. 다만, 카트(20)과 구동 로봇(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병원 내에는 카트(20)를 상하 운동시키는 수동식 리프트 장치가 배치되어, 구동 로봇(10)을 카트(20)의 보관 위치로 이동시킨 후 리프트 장치를 이용해 카트(20)를 구동 로봇(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A manual lifting device for vertically moving the
구동 로봇(10)은 무선 인식 장치의 일종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장치(15)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ID 카드를 RFID 장치(15)에 태그하여 카트 로봇(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원을 등록시킬 수 있으며, (카트 교체형의 경우) 카트(20)에 내장 또는 부착된 ID 카드(미도시)를 RFID 장치(6)에 태그하여 구동 로봇(10)에 연결되는 카트(20)를 등록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아울러, RFID 장치(6)는 카트 로봇(1)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데도 이용된다. 카트 로봇(1)을 위한 충전 스테이션 등 카트 로봇(1)이 대기하는 위치 또는 주요 사용 거점에도 RFID 장치(6)와 태그할 수 있는 ID 인식 장치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카트 로봇(1)을 대기 장소로/로부터 이동시킬 때, RFID 장치(6)에 태그하여, 카트 로봇(1)의 위치를 등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RFID device 6 is also used to confir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카트 로봇(1)의 위치, 카트 로봇(1)에 대한 사용자 및/또는 연결된 카트(20)의 정보는 병원 내 관리 컴퓨터로 전송되어, 컨트롤 룸에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로봇(10)의 사시도이다.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driving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몸체부(12)의 하단에는 두 개의 구동부(100)가 구비된다. 수평 몸체부(12)의 모서리 부근에는 별도 구동력을 제공하지 않는 볼 캐스터(101)가 구비된다. 볼 캐스터(101)는, 구동 로봇(10)이 전방향성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 로봇(10)을 지지한다. As best shown in FIG. 4, two
수평 몸체부(12)의 후단에는 오목부(14)가 형성되며, 오목부(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로봇(10)의 후단에 배치되어 구동 로봇(10)에 의해 견인되는 이동 보조기 등이 설치되는 경우 그 설치를 용이하게 해준다. A
수평 몸체부(12)의 상단에는 카트(20)가 연결될 수 있는 제1 연결부(310)와 이동 보조기가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부(320)가 형성된다. A
수직 몸체부(11)의 내부에는 구동부(100), 모니터(13) 및 카트(20)의 측정 센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공급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A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력 공급부(2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와 다른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한다.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the
수직 몸체부(11) 내부에는 구동부(100)의 모터를 제어하고, 조종 장치 내지 모니터(13)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컴퓨터가 형성된다.A control computer for controlling the motor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로봇(10)은 구동부(100)에 의해 병진 운동, 회전 운동 및 병진회전 운동의 전방향성 이동이 가능하다. The driving
도 5 내지 도 7은 구동부(100)를 여러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5 to 7 are views showing the
구동부(100)는 수평 프레임(12)에 결합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를 포함한다.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는 수직 프레임(10)으로 연장되어, 전력 공급부(200) 및 제어 컴퓨터와 연결된다. The driving
제1 모터(121)의 모터축(123)과 제2 모터(122)의 모터축(124)은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프레임(110)의 하단으로 연장된다. The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와 소정 거리만큼 오프셋(offset)된 위치에는 제1 샤프트(141)와 제2 샤프트(142)가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샤프트(142)는 제1 샤프트(141)에 비해 대경(大徑)으로 제1 샤프트(141)는 중공의 제2 샤프트(142)를 관통해 배치된다. 제1 샤프트(141)와 제2 샤프트(142)는 서로 중첩되어 형성되며, 프레임(110)에 대해 수직한 제1 축(axis)(A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제1 샤프트(141)는 제2 샤프트(142)에 비해 길이가 길며, 제1 샤프트(141)의 양단은 제2 샤프트(142)의 밖으로 노출된다. 제1 샤프트(141)의 일단은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샤프트(142)는 제1 샤프트(14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The
프레임(110)에 인접하여 제1 샤프트(141)에는 제1 회전 드럼(151)이 형성되고, 제2 샤프트(142)에는 제2 회전 드럼(152)이 형성된다. A
제1 모터(121)의 회전축(123)과 제1 회전 드럼(151)에는 제1 타이밍 벨트(timing belt)(131)가 연결되고, 제2 모터(122)의 회전축(124)과 제2 회전 드럼(152)에는 제2 타이밍 벨트(132)가 연결된다. A
제1 모터(121)가 구동하여 회전축(123)이 회전하면, 제1 타이밍 벨트(131)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어 제1 샤프트(141)가 제1 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 모터(122)가 구동하여 회전축(124)이 회전하면, 제2 타이밍 벨트(132)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어 제2 샤프트(142)가 제1 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샤프트(141)와 제2 샤프트(142)의 회전은 각각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When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는 제1 샤프트(141)와 제2 샤프트(142)를 감싸도록 제1 샤프트(141)와 제2 샤프트(142)와 고정되는 연결 블록(140)을 포함하고, 연결 블록(140)에는 구동 바퀴(150)가 형성된다. 6, the driv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축(A1)과 수직하게 제1 축(A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축(axis)(A2)가 정의되고, 제2 축(A2)과 평형하면서 제1 축(A1)과는 오프셋된 제3 축(A3)이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바퀴(150)는 제3 축(A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구동 전달축과 듀얼 오프셋(dual-offset)된 배치를 가진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second axis (axis) (A 2) defined extending from the first axis (A 1) and to a first axis perpendicular (A 1), while the equilibrium with a second axis (A 2) A third axis A 3 offset from the first axis A 1 is def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바퀴(150)는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한다. 이때,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의 차동 구동에 의해 구동 바퀴(150)가 구동하여, 구동 로봇(10)의 주행 및 조향이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교차축 기어(143)(예를 들어, 베벨 기어)가 제1 샤프트(141)의 하측 단부에서 제1 샤프트(141)에 연결되고, 제2 교차축 기어(144)가 제2 샤프트(142)의 하측 단부에서 제2 샤프트(142)에 연결된다. 제1 교차축 기어(143)는 제2 교차축 기어(144)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6 and 7, a first cross shaft gear 143 (e.g., a bevel gear) is connected to the
연결 블록(140)에는 제2 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달 기어(145)가 구비된다. 전달 기어(145)는 교차축 기어부(예를 들어, 베벨 기어)(146)와 평행축 기어부(예를 들어, 평기어)(147)의 2중 기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기어(145)의 교차축 기어부(146)는 아래 위로 배치되는 제1 교차축 기어(143)과 제2 교차축 기어(144)에 동시 치합된다. 6 and 7, the cross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바퀴(150)에는 구동 바퀴(150)와 결합되어 제3 축(A3)을 중심으로 구동 바퀴(150)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148)가 구비된다. 7, the
구동 기어(148)는 평행축 기어이며, 전달 기어(1450)의 평행축 기어부(147)와 치합된다. The
구동부(100)에서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의 모터축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샤프트(141)와 제2 샤프트(142)가 제1 축(A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When rotated in the
제1 샤프트(141)와 제2 샤프트(14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교차축 기어(143)는 제2 교차축 기어(144)와 전달 기어(145)의 치합 관계에 의해, 전달 기어(145)는 제2 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전달 기어(145)가 회전하게 되면, 그와 치합된 구동 기어(148)와 구동 바퀴(150)가 제3 축(A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즉,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의 모터축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면, 구동 바퀴(150)가 축 회전하는 주행이 이루어진다. That is, when the motor shafts of the
반대로,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의 모터축이 서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샤프트(141)와 제2 샤프트(142)가 제1 축(A1)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만약,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의 출력이 동일하다면, 제1 교차축 기어(143)과 제2 교차축 기어(144)이 제공하는 힘이 제2 축(A2)을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이 되어, 전달 기어(145)는 회전하지 못한다. Conversely, when the motor shafts of the
전달 기어(145)가 회전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1 샤프트(141)와 제2 샤프트(142)가 제1 축(A1)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와 연결된 연결 블록(140)이 제1 샤프트(141)와 제2 샤프트(142)의 회전 방향으로 함께 제1 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연결 블록(140)에 고정된 구동 바퀴(150)가 제1 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향이 이루어진다. When the
위에서는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가 동일 방향 및 출력으로 동작하여 구동 바퀴(150)가 주행 또는 조향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1 모터(121)와 제2 모터(122)의 모터 축 회전 방향 및 출력을 적절히 조절하면, 구동 바퀴(150)가 주행 및 조향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로봇(10)은 상술한 동일 구조의 구동부(100)를 수평 몸체부(12)의 양 측에 두 개 구비한다. 두 개의 구동부(100)의 주행 및/또는 조향 구동을 통해 구동 로봇(10)(카트 로봇(1))은 병진 운동, 회전 운동 및 병진회전 운동의 전방향성 이동이 가능하다. The driving
도 8은 카트 로봇(1)의 병진 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translational motion of the
카트 로봇(1)은 두 개의 구동부(100)의 구동 바퀴(150)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한 뒤 주행시킴으로써, 전단이 전방으로 향하는 모듈 로봇(1)의 자세를 그대로 유지한채 위치 이동하는 "병진 운동"이 가능하다. The
도 4과 같이 두 구동부(100)의 구동 바퀴(150)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 바퀴(150)가 주행 운동하도록 각 구동부(100)의 모터를 제어하면 카트 로봇(1)은 전진 또는 후진한다. When the motor of each driving
도 4에 도시된 상태와 수직하게 두 구동부(100)의 구동 바퀴(150)가 측방으로 향하도록 조향한 뒤, 구동 바퀴(150)가 주행 운동하도록 각 구동부(100)의 모터를 제어하면 카트 로봇(1)은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motors of the driving
두 구동부(100)의 구동 바퀴(150)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 배치되도록 조향한 뒤, 구동 바퀴(150)가 주행 운동하도록 각 구동부(100)의 모터를 제어하면 카트 로봇(1)은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대각선 이동 가능하다. The
회전 반경이 필요치 않은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카트 로봇(1)은 회전 반경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도 좁은 침상 사이를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어, 병원 내 작업 지원 장치로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The
도 9는 카트 로봇(1)의 회전 운동 및 병진회전 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al motion and the translational rotational motion of the
도 4와 같이 두 구동부(100)의 구동 바퀴(150)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두 구동부(100)의 구동 바퀴(150)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제어하면, 카트 로봇(1)은 두 구동부(100)의 사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하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I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아울러, 카트 로봇(1)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도중, 두 개의 구동부(100)의 구동 바퀴(150)를 동일한 사선 방향으로 조향하면서 카트 로봇(1)의 회전 중심의 외측에 위치한 구동부(100)의 모터 출력을 더 높이면, 카트 로봇(1)은 그 진행 방향에 대해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병진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Whe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는 두 개의 모터의 출력을 연계하여 동작하므로 적은 모터 출력으로도 이동에 필요한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타이밍 벨트에 의한 듀얼 오프셋 구조로 구동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써, 로봇의 크기 및 공간 제약을 회피할 수 있다. Since the
아울러, 모터의 차동 구동이라는 간단한 제어 방식에 의해 카트 로봇(1)이 전방향성 이동 가능하므로, 병원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작업 지원 인프라를 비교적 저가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도 10은 구동 로봇(10)과 결합되는 간호 카트(20)의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카트(20)는 복수의 수납장(411)을 구비하여 약품 내지 혈액 등 물픔을 적재할 수 있는 카트 몸체부(410)와, 카트 몸체부(4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판부(430) 및 카트 몸체부(410)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판부(420)를 포함한다. The
상판부(430)는 상판부(430)의 중앙에 걸쳐 배치되는 상판(432)과 상기 상판(432)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카트 손잡이(433) 및 상판(432)의 위를 덮어 간호 차트 등 각종 물건을 얹을 수 있는 데스크 판(431)을 포함한다. The
카트 손잡이(433)는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간호 카트와 마찬가지로 카트 손잡이(433)는 상판(43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난간형 손잡이이다. Like the conventional nursing cart, the
카트(20)가 구동 로봇(10)에 대해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하판부(420)에는 구동 로봇(10)의 수평 몸체부(12)의 위에 형성된 결합 홈 형태의 제1 연결부(310)에 체결될 수 있는 결합 돌기(421)가 제1 연결부(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도 11은 제1 연결부(결합 홈)(310)과 결합 돌기(421)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11 shows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upling groove) 310 and th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홈(310)에는 결합 홈(310)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 홈(31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또는 삽입될 수 있는 스프링 플런지(311)가 형성되어 있다. 11, a
이에 대응하여, 결합 돌기(421)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스프링 플런지(311)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 홈(422)이 형성되어 있다. Corresponding to this, a coupling groove 422 is formed in the
카트(20)를 구동 로봇(10)의 수평 몸체부(12)에 얹으면, 결합 돌기(421)가 결합 홈(310)에 삽입되며, 삽입 과정에서 결합 돌기(421)는 스프링 플런지(311)를 결합 홈(310)의 반경 외측으로 밀면서 삽입된다. When the
결합 돌기(421)가 결합 홈(310)에 완전히 삽입되어 체결 홈(422)이 스프링 플런지(311)의 위치에 위치하면, 스프링 플런지(311)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결합 홈(310)의 반경 내측으로 복귀하여 체결 홈(422)에 체결된다. When the engaging
스프링 플런지(311)와 체결 홈(422)의 체결력은 카트 로봇(1)이 이동하는 동안 혹시 모를 사고에 의해 카트(20)가 구동 로봇(10)으로부터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카트(20)와 구동 로봇(10)의 주된 고정력은 카트(400)의 자중이며, 스프링 플런지(311)와 체결 홈(422)이 카트(20)와 구동 로봇(10)의 주된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카트(20)를 리프트 장치를 이용해 구동 로봇(10)으로부터 들어올리면 다른 수단 없이 결합 돌기(421)의 형상에 의해 스프링 플런지(311)가 작동하면서 결합 돌기(421)와 결합 홈(310)이 서로 분리된다. The tightening force of the
구동 로봇(10)은 카트 보관 장소 내지 충전 위치 등으로 이동할 때 필요한 별도의 조종 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조종 장치는 구동 로봇(1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조이스틱 형태의 조종 장치일 수 있다. The driving
카트(20)가 연결된 경우에도 카트 로봇(1)은 상기 조종 장치에 의해 구동 로봇(10)을 동작시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조종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간호사 등 사용자는 조종 장치의 조작에 숙련되어야 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은 앞서 밝힌 바 있다. Even whe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 로봇(10)은 난간형 카트 손잡이를 가지는 카트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가장 직관성을 주는 방법인, 사용자가 카트 손잡이를 잡고 카트가 이동하길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어 카트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방식을 통해 카트 로봇(10)에 대한 조종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he
도 12는 데스크 판(431)이 도시 생략된 카트(2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카트(20)의 상판부(430)를 도시한 것이다.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 손잡이(433)에 의한 카트 로봇(1)의 조종이 가능하도록 카트 손잡이(433)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할 수 있는 측정 센서(450)가 형성된다.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 센서(450)는 카트 손잡이(433)를 통해 상판(432)에 전달되는 3축의 힘(Fx, Fy, Fz)과 그로 인한 3축 모멘트(Mx, My, Mz)를 측정하는 비교적 저가의 6축 힘-토크 센서(Force-torque sensor)이다. Th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센서(450)는 상판(432)의 중앙 아래에 배치된다. 데스크 판(431)을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고정되는 핀(434)은 상판(432)을 관통하여 형성되지만 상판(432)을 구속하지 않는다. 카트 손잡이(433)는 데스크 판(431)을 관통하여 형성되지만, 데스크 판(431)이 카트 손잡이(433)를 구속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트 손잡이(433)를 잡고 힘을 가하면 그 힘은 온전히 측정 센서(450)에 전달되어 측정된다. As shown in Fig. 13, the
도 14는 카트 손잡이에 의한 모듈 로봇(1)의 조종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manipulation method of the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카트는 이동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난간형의 카트 손잡이(433)를 두 손으로 파지하면 된다. As shown in Fig. 14, the user generally grasps the handrail
사용자는 카트(20)가 원하는 이용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카트 손잡이(433)에 어떻게 힘을 가하여하는지 직관적으로 알고 있다. 사용자가 카트 손잡이(433)를 잡고 카트(20)가 이동하길 원하는 방향으로 카트 손잡이(433)를 밀거나 당기면, 각 손에 의해 카트 손잡이(433)에 힘(FL, FR)이 가해진다. 양 손에 의한 힘(FL, FR)의 합력(F)이 측정 센서(450)에서 측정된다. 6축 센서인 측정 센서(450)는 합력(F)의 방향 및 크기와 그로 인한 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다. The user intuitively knows how to apply force to the
구동 로봇(10)의 제어부는 해당 힘(F)에 대응하여 힘(F)의 방향대로 구동 로봇(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두 구동부(10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두 구동부(100)는 상술한 주행 및 조향 운동을 일으켜 카트 로봇(1)이 카트 손잡이(433)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대로 이동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driving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매우 적은 힘을 이용해 직관적인 느낌으로 카트 로봇(1)을 조종해 이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steer and move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누구나 익숙한 카트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방법 그대로 카트 로봇(1)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직관적이고 간단한 조종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yone who is a general user can move the
물론, 카트 로봇(1)은 사용자의 성향이나 장소에 따라 조종 장치에 의한 조종 모드와 상기 카트 손잡이에 의한 조종 모드 중 선택적인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조종 모드의 전환은 구동 로봇(10) 또는 조종 장치에 형성된 모드 전환 버튼을 조작하여 이루어진다. Of course, the
카트(20)가 구동 로봇(10)과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카트(20)와 구동 로봇(10)의 전기/신호적 연결은 양 장치에 형성되는 USB 단자(미도시)에 의히 이루어진다. 카트(20)에는 구동 로봇(10)의 RFID 장치(15)에 태그할 수 있는 ID 카드가 내장 또는 부착되어 있다. When the
사용자는 대기 장소에서 구동 로봇(10)을 이동시켜, 카트(20)의 보관 장소로 이동시킨 후, 구동 로봇(10)과 카트(20)의 USB 단자를 연결해 양 장치를 연결시킨다. 사용자는 카트(20)의 ID 카드를 구동 로봇(10)의 RFID 장치(15)에 태그하여, 연결되는 카트(20)를 인식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자신의 ID 카드를 RFID 장치(15)에 태그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인식시킬 수 있다. The user moves the driving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20)와 구동 로봇(10)을 분리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구동 로봇(10)은 별도의 구동력이 없는 이동 보조기를 병원 내에서 견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15는 이동 보조기의 일종인 보행 보조기(500)가 연결된 구동 로봇(10)을 도시한 것이다. Fig. 15 shows a driving
보행 보조기(500)는 몸이 불편한 환자가 몸을 일으키거나 보행을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장치로 별도의 독립한 구동 장치가 없는 수동형 장치이다. The
환자는 보행 보조기(500)를 스스로 밀어 이동시켜야 한다. 하지만, 혼자서 보행 보조기(500)를 이동시키면서 보행하기 어려운 환자의 경우, 보행 보조기(500)를 이동시키는 것 자체가 노동에 해당하는 것으로 오히려 과도한 노동을 통해 증세가 악화될 수 있다. 보행 보조기(500)가 스스로 자율 구동하도록 구동 장치를 고안할 수 있으나, 이에는 매우 많은 자본과 기술이 필요하다. The patient must push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로봇(10)은 보행 보조기(500) 등과 같은 이동 보조기를 견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The driving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로봇(10)은 견인형 장치를 걸어 연결할 수 있는 제2 연결부(320)를 포함하고, 보행 보조기(500)에 제2 연결부(320)에 체결될 수 있는 연결 장치(540)만 간단히 추가함으로써 구동 로봇(10)과 보행 보조기(50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 로봇(1)은 매우 직관적인 조종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카트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므로, 간호 인력의 노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아울러, 카트(20)와 분리 가능한 구동 로봇(10)을 통해 병원 내 물류나 환자의 이송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logistics in the hospital or the transfer of the patient through the
Claims (12)
상기 구동 로봇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카트 손잡이를 구비하는 카트를 포함하고,
카트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할 수 있는 측정 센서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카트 손잡이를 잡고 상기 카트가 이동하길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카트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로봇이 구동하여 상기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 로봇은, 상기 구동 로봇이 병진 운동, 회전 운동 및 병진회전 운동의 전방향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1 모터와 제2 모터; 상기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차동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 바퀴가 구동하여, 상기 구동 로봇의 주행 및 조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로봇. A drive robot moving by a motor,
And a cart connected to the driving robot and having a cart handle that the user can grasp,
A measurement sensor capable of sensing a force applied to the cart handle is formed,
When the user holds the cart handle and pushes or pulls the cart hand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art wants to move, the driving robot is driven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cart handle Moves the cart,
Wherein the driving robot include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driving robot in all directions of translational motion, rotational motion, and translational rotational mo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And a driving wheel driven by a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Wherein the driving wheels are driven by differential operation between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to drive and steer the driving robot.
상기 카트 손잡이는 상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난간형 손잡이이고,
상기 측정 센서는 상기 상판의 아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난간형 손잡이를 통해 상기 상판에 전달되는 힘을 감지하는 6축 힘-토크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rt handle is a handrail type handl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Wherein the measurement sensor is a six-axis force-torque sensor disposed at a lower center of the upper plate and sensing a force transmitted to the upper plate through the railing-type handle.
상기 구동부는, 서로 중첩되어 형성되며 각각 상기 제1 모터와 제2 모터에 의해 제1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축과 수직한 제2 축(axis)과, 상기 제2 축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1 축과 오프셋(offset)된 제3 축(axis)이 정의되고,
상기 구동 바퀴는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shaft and a second shaft that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rotate about a first axis by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a third axis parallel to the second axis and offset from the first axis are defined,
And the drive wheel rotates about a third axis.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1 교차축 기어;
상기 제1 교차축 기어와 마주하며 상기 제2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2 교차축 기어;
상기 제1 교차축 기어와 상기 제2 교차축 기어에 동시 치합되는 교차축 기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달 기어;
상기 전달 기어의 평행축 기어부와 치합되며, 상기 구동 바퀴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로봇.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cross shaft gear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A second cross shaft gear facing the first cross shaft gea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A transmission gear having a first axis of rotation and a second axis of rotation; a transmission gear having a first axis of rotation and a second axis of rotation;
And a driving gear engaged with the parallel shaft gea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gear and engaged with the driving wheel to rotate the driving wheel.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모터와 상기 제2 샤프트는 각각 타이밍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로봇.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motor, the first shaft, the second motor, and the second shaft are connected by a timing belt, respectively.
상기 구동 로봇을 구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조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 손잡이에 의한 조종 모드 및 조종 장치에 의한 조종 모드로 모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parate control device capable of driving the driving robot,
And the mode can be switched to the steered mode by the cart handle and the steered mode by the steered device.
상기 상판 위에는 상기 상판에 간섭하지 않으며,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데스크 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로봇.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desk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pper plate and on which objects can be placed.
상기 구동 로봇은 수직 몸체부와 상기 수직 몸체부에 수평한 수평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상기 수평 몸체부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로봇.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robot includes a vertical body portion and a horizontal body portion horizontal to the vertical body portion,
Wherein the cart is formed on the horizontal body portion.
상기 카트는 상기 구동 로봇으로부터 분리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로봇.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t is detachable from the driving robot.
상기 구동 로봇과 교체되는 카트를 인식시킬 수 있는 무선 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로봇.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wireless recognition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cart to be replaced with the driving robo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64154A KR101872282B1 (en) | 2017-05-24 | 2017-05-24 | Cart Rob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64154A KR101872282B1 (en) | 2017-05-24 | 2017-05-24 | Cart Robo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72282B1 true KR101872282B1 (en) | 2018-06-29 |
Family
ID=6278104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64154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2282B1 (en) | 2017-05-24 | 2017-05-24 | Cart Robo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72282B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772269A (en) * | 2018-07-25 | 2020-02-11 | 通用电气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an imaging unit |
| US20220152837A1 (en) * | 2019-04-16 | 2022-05-19 |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 Adaptive robotic nursing assistant |
| CN115140113A (en) * | 2022-03-23 | 2022-10-04 | 北京机电研究所有限公司 | Bidirectional pushing head mechanism of car pusher |
| US11537137B2 (en) * | 2019-06-18 | 2022-12-27 | Lg Electronics Inc. | Marker for space recognition, method of moving and lining up robot based on space recognition and robot of implementing thereof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56855B1 (en) * | 2005-09-12 | 2006-12-13 | 조황 | Wheel mechanism and its driving method for the implementation of automatic mobile device with variable maneuverability |
| KR20070011410A (en) * | 2004-04-30 | 2007-01-24 |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 Cart transport device |
| US8204624B2 (en) | 2005-10-14 | 2012-06-19 | Aethon, Inc. | Robotic ordering and delivery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
| KR101468210B1 (en) * | 2014-04-01 | 2014-12-05 | 박성민 | The drive system carrying cart |
-
2017
- 2017-05-24 KR KR1020170064154A patent/KR1018722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11410A (en) * | 2004-04-30 | 2007-01-24 |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 Cart transport device |
| KR100656855B1 (en) * | 2005-09-12 | 2006-12-13 | 조황 | Wheel mechanism and its driving method for the implementation of automatic mobile device with variable maneuverability |
| US8204624B2 (en) | 2005-10-14 | 2012-06-19 | Aethon, Inc. | Robotic ordering and delivery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
| KR101468210B1 (en) * | 2014-04-01 | 2014-12-05 | 박성민 | The drive system carrying cart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772269A (en) * | 2018-07-25 | 2020-02-11 | 通用电气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an imaging unit |
| CN110772269B (en) * | 2018-07-25 | 2024-04-09 | 通用电气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imaging unit |
| US20220152837A1 (en) * | 2019-04-16 | 2022-05-19 |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 Adaptive robotic nursing assistant |
| US12090629B2 (en) * | 2019-04-16 | 2024-09-17 |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 Adaptive robotic nursing assistant |
| US11537137B2 (en) * | 2019-06-18 | 2022-12-27 | Lg Electronics Inc. | Marker for space recognition, method of moving and lining up robot based on space recognition and robot of implementing thereof |
| CN115140113A (en) * | 2022-03-23 | 2022-10-04 | 北京机电研究所有限公司 | Bidirectional pushing head mechanism of car pusher |
| CN115140113B (en) * | 2022-03-23 | 2024-05-14 | 中国机械总院集团北京机电研究所有限公司 | Bidirectional push head mechanism of car push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208038B2 (en) | Powered patient support apparatus | |
| KR101872282B1 (en) | Cart Robot | |
| JP5951945B2 (en) | Body assistance robot apparatus and system | |
| US10004651B2 (en) | Patient support apparatus | |
| US12261462B2 (en) | Power transfer system with patient transport apparatus and power transfer device to transfer power to the patient transport apparatus | |
| US8499379B2 (en) | Robotic posture transfer assist devices and methods | |
| US8326473B2 (en) | Powered vehicle convoying systems and methods of convoying powered vehicles | |
| JP3601737B2 (en) | Transfer robot system | |
| US12062927B2 (en) | Power transfer system with patient support apparatus and power transfer device to transfer power to the patient support apparatus | |
| US20230277397A1 (en) | Patient support apparatus having motorized wheels | |
| KR101976410B1 (en) | Power Assistive Modular Robot | |
| Guo et al. | Design and evaluation of a motorized robotic bed mover with omnidirectional mobility for patient transportation | |
| KR101814732B1 (en) | Apparatus and system of stand-up assistance device | |
| KR20180044342A (en) | Operating handle | |
| WO2015069186A1 (en) | Retro-fit mobility unit | |
| WO2025207261A1 (en) | Autonomous robot with force sensing user handlebar | |
| Terashima et al. | Hospital Based on Human-Robot | |
| KR20240170238A (en) | Motorized device for gait training tha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walking | |
| KATEVAS et al. | Mobile Robotics and Automation i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6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