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930B1 - Connector apparatus with block type combin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nector apparatus with block type combina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3930B1 KR101873930B1 KR1020170022753A KR20170022753A KR101873930B1 KR 101873930 B1 KR101873930 B1 KR 101873930B1 KR 1020170022753 A KR1020170022753 A KR 1020170022753A KR 20170022753 A KR20170022753 A KR 20170022753A KR 101873930 B1 KR101873930 B1 KR 1018739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nector
- base
- guide groove
- coup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를 제 2 커넥터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를 제 2 커넥터의 수직 상부에서 제 2 커넥터 방향으로 삽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 2 커텍터의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제 1, 2 커넥터의 결합 과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like coupling structure that allows a first connector to be easily inserted into a second connector. Since the first connector is inser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rather tha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커넥터를 제 2 커넥터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that allows a first connector to be easily inserted into a second connector.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전자 기기는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및 멀티미디어 기능이 요구되고 있고, 고성능의 운영체제, CPU, 주변장치 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부응하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다양한 보드가 필요하고, 그 보드들 간의 기능 연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때, 각 보드들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해 주는 부품소재를 커넥터라 한다. 커넥터는 전원, 컴퓨터, 보조 하드웨어와 같은 부품들, 또는 다른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 내의 다른 전기 부품들 사이에서 전기 또는 전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laptops are rapidly developing, and various applications and multimedia functions are required. High-performance operating systems, CPUs, and peripheral devices are required. These electronic devices require various boards to add various functions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s, and func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boards is most important. At this time, the component material that connects the electric signals of the respective boards is called a connector. The connector is configured to provide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 signals between the power source, components such as a computer, auxiliary hardware, or other electrical components within an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system.
도 1은 종래 보드 대 보드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보드 대 보드 커넥터(1000)는 제 1 커넥터(1100)와, 제 2 커넥터(1200)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 1 커넥터(1100)는 대략 직방형의 제 1 하우징(1110)과, 제 1 하우징(111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삽입되는 복수의 제 1 터미널(1120)과, 제 1 하우징(11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결합단자(1130)를 포함한다. 제 2 커넥터(1200)는 제 1 하우징(1110)이 삽입되는 제 2 하우징(1210)과, 제 2 하우징(121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삽입되되 제 1 터미널(112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2 터미널(1220)과, 제 2 하우징(12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되 제 1 결합단자(11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단자(1230)를 포함한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board-to-board connector.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board-to-
이러한 종래 보드 대 보드 커넥터는 제 2 커넥터(1200)의 수직 상부에 제 1 커넥터(1100)가 위치된 후 제 1 커넥터(1100)가 제 2 커넥터(1200)에 삽입 결합되므로, 제 1 커넥터(1100)를 제 2 커넥터(1200)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 1, 2 커넥터(1100, 1200)에 구비되는 제 1, 2 터미널(1120, 1220)은 제 1, 2 하우징(1110, 1210)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제 1, 2 터미널(1120, 1220)의 개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커넥터를 제 2 커넥터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that allows a first connector to be easily inserted into a second connec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판 형상의 원판부가 구비되는 제 1 베이스와, 상기 원판부의 내부에 위치되되 그 외주연은 상기 원판부의 외주연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터미널을 갖는 제 1 커넥터; 및 일측에 상기 원판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안내홈이 형성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 1 터미널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 2 터미널을 갖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부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2 터미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first base having a disc-shaped disc portion, a first base disposed inside the disc portion and having a first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 portion, connector; And a second base extending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and being exposed in the first terminal direction while being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base,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disk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또한,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은 상기 원판부가 수용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 1 연장측부와, 상기 제 1 연장측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 2 연장측부와, 상기 제 2 연장측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는, 상기 원판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안내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안내홈에 상기 원판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스토퍼 방향으로 정회전되면, 상기 원판부의 역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groove may have a central portion formed in an arc shape to accommodate the disk portion, a first extended side portion located at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second extended side portion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to face the first extended side portion And a stopper provided at a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second extended side portion, wherein the first base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isk portion, and the disk portion is provided in the guide groove And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isk is limited when the extension is positively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topper while the disk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Lt; / RTI >
또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스토퍼 방향으로 정회전되면, 상기 제 1 연장측부 또는 상기 제 2 연장측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원판부와 접촉되는 상기 제 2 터미널의 단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의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의 역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extension portion is rotated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stopper, the latch portion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disk portion 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extended side portion or the second extended side portion, And a locking guide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locking portion of the disk portion so that the lock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thereby limit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isk portion.
또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스토퍼와 가까워지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원판부의 중심에서 상기 스토퍼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ortion is rotated so as to be close to the stopper, the extension portion is positioned eccentrical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opper at the center of the disk portion.
또한,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 길이는 상기 원판부의 반원에 해당하는 외주연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폭은 상기 원판부의 지름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inner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outer peripher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micircle of the circular plate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extended por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plate portion. Thereby providing a connector device.
또한, 상기 제 1 연장측부와 상기 제 2 연장측부는 상기 제 2 베이스 내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1 연장측부와 상기 제 2 연장측부를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된 후 상기 제 1 터미널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extension side and the second extension side are arranged diagonally inside the second base and the second terminal is arranged diagonally along the first extension side and the second extension side, And then contacted with the first terminal.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는, 제 1 측부, 상기 제 1 측부의 일측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는 제 2 측부, 상기 제 1 측부의 타측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는 제 3 측부 및 상기 제 2 측부와 상기 제 3 측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4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제 2 측부와 상기 제 4 측부 사이의 모서리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second base includes a first side, a second side project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side to the upper side, a third side project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And a fourth sid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side portion, wherein the guide groove is recessed at an edge between the second side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do.
또한,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은 그 중앙에 호 형상으로 위치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베이스 내부에 상기 중앙부와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중앙터미널과, 상기 중앙터미널의 양측에 한 쌍의 상기 연장측부와 대향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터미널을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연장터미널의 단부는 상기 연장측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원판부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연장터미널의 단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groove includes a central portion positioned at an arc in the center thereof and a pair of extended side portions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pair of extension terminals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center terminal so as to face the pair of extension sides, wherein the ends of the pair of extension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extension side And the first terminal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 end of the extension terminal when the original plat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또한, 한 쌍의 상기 연장측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에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연장터미널은 경사진 한 쌍의 상기 연장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터미널은 경사진 한 쌍의 상기 연장터미널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pair of extension terminals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ago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inclined extension sides, And the terminal is inserted in a diagonal direction along a pair of inclined extension terminals.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부는 빈 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안내홈과 마주보는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는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을 따라 제 1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개방부의 반대 방향과 마주보는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는 제 2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된 후 상기 제 1 개방부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ase has a hollow space, and a first opening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pace portion facing the guide groov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groove, And the second terminal is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after the second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space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the second terminal is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Lt; / RTI >
또한, 상기 중앙터미널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의 상기 제 2 개방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도록 결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terminal, and a coupling guide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portion of the second base to couple the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앙터미널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삽입고정부와, 상기 삽입고정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안내부는 상기 제 2 개방부의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n insertion fix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center terminal and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insertion fix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recesse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portion at a position facing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또한, 상기 결합안내부는 상기 제 2 개방부에서 멀어질수록 그 내부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안내부의 내부 형상을 따라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upling guide portion is formed so that its inner cross-sectional area becomes wider as it gets further away from the second open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coupling guide portion Lt; / RTI >
또한, 상기 원판부의 외주연을 따라 오목하게 터미널안내부가 형성되되, 상기 터미널안내부는 울퉁불퉁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안내부에 끼워지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홀의 내주연은 상기 터미널안내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terminal guide portion is formed concave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k portion, the terminal guide portion is formed ruggedly, and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to be fitted to the terminal guide portion, Wherein the terminal guiding part is formed to be rugg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erminal guiding part.
또한, 상기 제 1 커넥터는 복수 개가 병렬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병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ors are coupled in parallel,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ors are coupled in parallel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first connectors.
또한, 상기 원판부의 일면에는 제 1 볼록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의 타면에는 제 1 오목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의 일면에는 제 2 볼록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의 타면에는 제 2 오목결합부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제 1 커넥터가 병렬로 배열될 때,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 1 커넥터 중 일 제 1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볼록결합부가 타 제 1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오목결합부에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 2 커넥터가 병렬로 배열될 때,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 2 커넥터 중 일 제 2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볼록결합부가 타 제 2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오목결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first convex coupling par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isk part, a first concave coupling part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isk part, a second convex coupling par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When the first connector is arranged in parallel, a first convex coupling part provided on one first connector of the pair of adjacent first connectors is provided on the other first connector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ors are arranged in parallel, a second convex coupling part provided on one second connector of the pair of adjacent second connectors is inserted into the other second connector The second concave engaging portion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ave engaging portion.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를 제 2 커넥터의 수직 상부에서 제 2 커넥터 방향으로 삽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 2 커텍터의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제 1, 2 커넥터의 결합 과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Since the first connector is inser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rather tha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
또한, 제 1 커넥터의 원판부가 제 2 커넥터의 안내홈에 삽입된 후 정회전 되면, 걸림부가 걸림안내부에 걸림 결합되므로, 별도의 복잡한 구성 없이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에 견고하게 걸림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부가 걸림안내부에 삽입되는 순간, 작업자는 클릭감을 느끼게 되므로, 작업자는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에 견고하게 결합되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original plate of the first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n rotated forward, the latch is engaged with the latch guide so that the first connector is securely engaged with the second connector without any complicated configuration It is effective. Further, since the operator feels a click feeling when the latch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uide portion, the operator can easily know that the first connector is firm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또한, 제 2 터미널이 제 2 베이스에 삽입될 때, 제 2 터미널과 연결된 결합부의 돌출부는 별도의 복잡한 구성 없이 단순 끼움 결합으로 제 2 베이스의 결합안내부에 견고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Also, when the second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ase, the protrusion of the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portion of the second base firmly without a complicated configuration.
또한, 복수 개의 제 1 커넥터는 간단한 구조로 상호 병렬로 결합되고, 복수 개의 제 2 커넥터는 간단한 구조로 상호 병렬로 결합되므로, 제 1, 2 커넥터를 간단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제 1, 2 터미널의 개수를 자유롭게 증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or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imple structure mutually in parallel,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or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imple structure mutually in parallel,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an be easily coupled, It is possible to freely increase /
도 1은 종래 보드 대 보드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의 제 1 베이스와 제 1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터미널, 결합부 및 제 2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 간의 결합 각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에 결합된 제 1 커넥터가 외부로 분리되지 않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복수 개의 제 1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복수 개의 제 2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board-to-board connector.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 first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base and a first terminal of a first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lik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base included in a second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second terminal, a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plate provided in a second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 9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A 'of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cross-section of a second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surface of a second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angle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first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to a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first connector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of the connector device having the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eparated to the outside.
1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plurality of first connectors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ors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10: 도 13 도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의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 기판과 결합되는 제 1 커넥터(100)와, 제 2 기판과 결합되되 상기 제 1 커넥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커넥터(200: 도 6 도시)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2 to 4, a connector device 10 (shown in FIG. 13)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of, for example, And a second connector 200 (shown in FIG. 6) coupled to the second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제 1 커넥터(100)는 제 1 베이스(110) 및 제 1 터미널(120)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제 1 플레이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제 1 베이스(110)는 원판 형상의 원판부(112)와, 원판부(112)의 일측에서 그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장부(114)는 원판부(112)의 중심에서 후술하는 스토퍼(218d)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된다. 그 결과, 연장부(114)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제 1 측벽부(114a)는 원판부(112)의 외주연 일측에서 그 하부로 연장되고, 연장부(114)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되는 제 2 측벽부(114b)는 원판부(112)의 외주연 타측에서 제 1 측벽부(114a)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그 하부로 연장된다.The
그리고 원판부(112)의 외주연을 따라 후술하는 제 1 터미널(120)이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터미널안내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원판부(112)의 양 측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되는 제 1 볼록결합부(112a) 및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오목결합부(112b)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The
제 1 터미널(120)은 원판부(112)의 터미널안내부(113)에 위치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 1 터미널(120)의 중앙은 원판부(112)의 터미널안내부(113)에 끼워지도록 결합홀(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터미널(120)과 제 1 베이스(110)는 인서트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터미널안내부(113)의 외주연은 울퉁불퉁하게 형성되고, 이와 맞닿는 결합홀(121)의 내주연은 터미널안내부(1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울퉁불퉁하게 형성된다. 이는 도 6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1 터미널(120)의 외주연은 원판부(112)의 외주연보다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제 1 터미널(120)의 외주연은 원판부(112)의 외주연을 따라 그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터미널(120)은 연결돌출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돌출부(124)는 제 1 터미널(120)의 외주연 하측에서 연장부(114)의 내부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The
제 1 플레이트(150)는 연장부(114)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순히 제 1 베이스(110)를 지지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종 전자 부품들이 실장되는 제 1 기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플레이트(150)의 상면에는 연장부(114)를 관통한 연결돌출부(124)가 삽입되도록 연결삽입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의 제 1 베이스와 제 1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base and a first terminal of a first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lik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베이스(110)의 원판부(112)에는 그 외주연을 따라 오목하게 터미널안내부(113)가 형성된다. 이때, 터미널안내부(113)는 울퉁불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터미널안내부(113)와 결합되는 제 1 터미널(120)의 결합홀(121)의 내주연은 터미널안내부(113)의 울퉁불퉁한 형상에 대응되도록 울퉁불퉁하게 형성된다. 그 결과, 제 1 터미널(120)의 터미널안내부(113)는 제 1 베이스(110)의 터미널안내부(113)에 걸린 상태로 임의로 흔들리거나 회전되지 않게 되어, 제 1 터미널(120)은 원판부(112)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5, a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econd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 And a second base provided on the second connector of the connector devic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커넥터(200)는 제 2 베이스(210) 및 제 2 터미널(220)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결합부(230: 도 8 도시) 및 제 2 플레이트(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제 2 베이스(210)는 대략 직사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테두리를 따라 제 1 측부(210a), 제 1 측부(210a)의 일측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는 제 2 측부(210b), 제 1 측부(210a)의 타측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는 제 3 측부(210c) 및 제 2 측부(210b)와 제 3 측부(210c)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4 측부(210d)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측부(210a)에는 후술하는 제 2 플레이트(250)의 제 2 삽입부(252)와 결합되도록 제 2 결합부(21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측부(210b)와 제 4 측부(210d) 사이의 모서리에 원판부(112)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안내홈(218)이 형성된다. 즉 안내홈(218)은 제 1 측부(210a)를 기준으로 하여 제 2 베이스(210)를 대각선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가상선(L)을 따라 제 2 베이스(210)의 상부 모서리에 경사진 상태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218)은 그 중앙에 원판부(112)가 수용되도록 내주연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부(218a)와, 중앙부(218a)의 일측에 제 2 측부(210b)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 연장측부(218b)와, 중앙부(218a)의 타측에 제 4 측부(210d)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장측부(218b)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재 2 연장측부(218c)와, 상기 재 2 연장측부(218c)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스토퍼(218d)를 포함한다.The
그리고 제 2 베이스(21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구성되는 공간부(211a)와, 안내홈(218)과 마주보는 공간부(211a)의 일측에 안내홈(218)의 내주연을 따라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개방부(211b)와, 상기 제 1 개방부(211b)의 반대 방향과 마주보는 공간부(211a)의 타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개방부(211c)를 포함한다.The inside of the
그리고 제 2 베이스(210)의 양 측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되는 제 2 볼록결합부(214a) 및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오목결합부(214b: 도 16 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 2 볼록결합부(214a)는 제 2 베이스(2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되, 가상선(L)의 반대 방향 대각선을 따라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오목결합부(214b)는 제 2 베이스(210)의 타 측면에 형성되되 제 2 볼록결합부(214a)와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제 2 볼록결합부(214a)와 제 2 오목결합부(214b)의 기능은 도 1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A second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터미널, 결합부 및 제 2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terminal, a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plate provided in a second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8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in FIG.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2 터미널(220)은 제 2 베이스(210) 내부에 삽입되어 제 1 터미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터미널(222)과, 중앙터미널(222)의 일측에 후술하는 제 2 플레이트(250)의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연장터미널(224)과, 중앙터미널(222)의 타측에 제 1 연장터미널(224)과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 2 연장터미널(226)을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터미널(222)의 중앙에는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터미널(2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장터미널(224)의 단부에는 제 2 연장터미널(226) 방향으로 이탈방지부(224a)가 돌출 형성되고, 제 2 연장터미널(226)의 단부에는 제 1 연장터미널(224) 방향으로 걸림부(226a)가 돌출 형성된다.8 and 9, the
결합부(230)는 제 2 터미널(220)에 결합된 상태로 제 2 베이스(210)에 결합되어 제 2 터미널(220)이 제 2 베이스(2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중앙터미널(222)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삽입고정부(232)와, 삽입고정부(23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터미널(228)은 삽입고정부(232)를 관통하여 제 2 베이스(210)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결합부(230)와 제 2 터미널(220)은 상호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The
제 2 플레이트(250)는 제 2 베이스(210)를 지지하도록 결합부(23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 1 플레이트(150)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제 2 베이스(210)를 지지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종 전자 부품들이 실장되는 제 2 기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은 제 2 플레이트(250)와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연결터미널(228)이 제 2 플레이트(250)에 결합되어,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은 제 2 플레이트(250)의 대각선 방향으로 제 2 플레이트(250)에 고정된다.The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cross-section of a second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a second connector of the connector device having the connector shown in Fig.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커넥터(20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제 2 터미널(220)과 결합부(230)는 상호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그리고 제 2 터미널(220)의 연결터미널(228)은 제 2 플레이트(250)에 결합된다. 이후, 제 2 터미널(220)은 제 2 베이스(210)의 공간부(211a)로 삽입되는데, 이때, 제 2 터미널(220)의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은 제 2 베이스(210)의 제 2 개방부(211c)를 통하여 공간부(211a)로 삽입된 후 제 1 개방부(211b) 방향으로 노출된다. 여기서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은 제 1, 2 연장측부(218b, 218c) 방향으로 안내되어,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은 제 1, 2 연장측부(218b, 218c)를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된 후 제 1 개방부(211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Referring to FIGS. 6 to 11,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한편, 제 2 터미널(220)이 제 2 베이스(210)의 공간부(211a)로 삽입되면, 제 2 터미널(220)과 연결된 결합부(230)의 삽입고정부(232)는 제 2 개방부(211c)를 통하여 공간부(211a)로 삽입되고, 결합부(230)의 돌출부(234)는 제 2 개방부(211c)의 돌출부(234)와 마주보는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안내부(212)에 삽입된다. 이때, 결합안내부(212)는 제 2 개방부(211c)에서 멀어질수록 그 내부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돌출부(234)는 상기 결합안내부(212)의 내부 형상을 따라 대응 형성되어, 돌출부(234)는 결합안내부(212)에 억지 끼움 결합된다. 이처럼 결합부(230)는 볼트 등의 복잡한 결합 수단 없이 단순 끼움 결합으로 제 2 베이스(21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 간의 결합 각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angle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플레이트(250)에 지지되는 제 2 터미널(220)은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 1 연장터미널(224)과 제 2 연장터미널(226)은 특정 각도, 예를 들면 45°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므로, 제 1 터미널(120)이 제 2 터미널(220)에 삽입될 때, 제 1 터미널(120) 또한 경사진 각도로 제 2 터미널(220)의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 사이로 삽입된다. 10 and 12, the
이처럼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100)의 제 1 터미널(210)을 제 2 커넥터(200)의 수직 상부에서 제 2 커넥터(200) 방향으로 삽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 2 커넥터(200)의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제 1 커넥터(100)를 제 2 커넥터(200)에 삽입 결합시키는 과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nserting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upling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가 제 2 커넥터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first connector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to a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커넥터(100)는 제 2 커넥터(200)의 안내홈(218)에 제 2 베이스(2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된다. 이어서 제 1 커넥터(100)의 원판부(112)가 제 2 커넥터(200)의 안내홈(218)에 블록형으로 끼움 결합된다. 그러면 원판부(112)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1 터미널(120)이 제 2 커넥터(200)의 안내홈(218)에 형성된 제 1 개방부(211b)로 삽입된다. 이때, 제 2 커넥터(200)의 안내홈(218)에는 제 2 터미널(220)의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이 제 2 베이스(2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은 제 1 개방부(211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터미널(120)이 제 1 개방부(211b)로 삽입되면 제 1 터미널(120)은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에 접촉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 1, 2 연장터미널(224, 226)의 단부에는 이탈방지부(224a)와 걸림부(226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판부(112)가 안내홈(218)에 삽입되면, 이탈방지부(224a)와 걸림부(226a)가 원판부(112)를 감싸게 되어, 원판부(112)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이 상태에서 제 1 베이스(110)가 스토퍼(218d) 방향으로 정회전되는데, 이때, 제 1 베이스(110)의 원판부(112)는 안내홈(218)의 내주연을 따라 정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베이스(110)의 제 2 측벽부(114b)가 스토퍼(218d)에 충돌되면, 원판부(112)의 정회전이 저지된다. 그 순간, 원판부(112)는 역회전 또한 제한된다. 그리고 원판부(112)의 역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 1 연장측부(218b) 또는 재 2 연장측부(218c)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원판부(112)와 접촉되는 제 2 터미널(220)의 단부에 걸림부(226a)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판부(112)의 상기 걸림부(226a)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걸림부(226a)가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안내부(122)가 오목하게 형성된다.In this state, the
이처럼 제 1 베이스(110)의 원판부(112)가 제 2 베이스(210)의 안내홈(218)에 삽입된 후 정회전 되면, 걸림부(226a)가 걸림안내부(122)에 걸림 결합되므로, 별도의 복잡한 구성 없이 제 1 베이스(110)가 제 2 베이스(21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부(226a)가 걸림안내부(122)에 삽입되는 순간, 작업자는 클릭감을 느끼게 되므로, 작업자는 제 1 베이스(110)가 제 2 베이스(210)에 견고하게 결합되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한편,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100)를 대각선 방향으로 제 2 커넥터(200)에 삽입시킨 후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제 1 커넥터(100)가 제 2 커넥터(200)에 삽입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180° 회전시킨 후, 이를 대각선 방향으로 제 2 커넥터(200)에 삽입시킨 다음, 제 1 커넥터(100)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터미널(120)의 걸림안내부(122)는 제 2 터미널(220)의 걸림부(226a)가 아니라 이탈방지부(224a)에 걸림 위치된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에 결합된 제 1 커넥터가 외부로 분리되지 않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first connector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of the connector device having the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eparated to the outside.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2 커넥터(200)의 안내홈(218)의 내주연 길이는 제 1 커넥터(100)의 원판부(112)의 반원에 해당하는 외주연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제 2 커넥터(200)의 안내홈(218)에 구비되는 스토퍼(218d)는 제 2 측벽부(114b)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d) 만큼 원판부(112)의 상부를 일부 덮도록 연장된다. 이에 따라, 원판부(112)가 안내홈(218)을 따라 스토퍼(218d) 방향으로 이동되면, 원판부(112)는 제 2 베이스(210)의 수직 상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원판부(112)는 걸림부(226a)에 걸림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 2 베이스(210)의 대각선 방향으로의 이동 또한 제한되어, 제 1 커넥터(100)는 제 2 커넥터(200)에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다.13 and 14, the inner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복수 개의 제 1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복수 개의 제 2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plurality of first connectors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block-typ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cross-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ors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first and second connector structures.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10)가 적용되는 전자 제품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이 복수 개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의 개수를 자유롭게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15 and 16,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 electronic product to which a
이를 위하여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0)는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된다. 제 1 커넥터(100)의 개수는 자유롭게 증감 가능하다. 그리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커넥터(100)에는 각각 제 1 볼록결합부(112a)와 제 1 오목결합부(112b)가 구비되어, 제 1 볼록결합부(112a)와 제 1 오목결합부(112b)를 끼움 결합시키면, 복수 개의 제 1 커넥터(1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각각의 제 1 커넥터(100)에는 각각의 제 1 터미널(12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복수 개의 제 1 커넥터(100)를 간단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제 1 터미널(120)의 개수를 자유롭게 증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o this end, first, as shown in FIG. 15, a plurality of
마찬가지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200)는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된다. 제 2 커넥터(200)는 제 1 커넥터(100)와 일대일 결합되도록 제 1 커넥터(1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 2 커넥터(200)에는 각각 제 2 볼록결합부(214a)와 제 2 오목결합부(214b)가 구비되어, 제 2 볼록결합부(214a)와 제 2 오목결합부(214b)를 끼움 결합시키면, 복수 개의 제 2 커넥터(2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각각의 제 2 커넥터(200)에는 각각의 제 2 터미널(22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복수 개의 제 2 커넥터(200)를 간단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제 2 터미널(220)의 개수를 자유롭게 증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Similarly, as shown in Fig. 16, a plurality of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 커넥터 장치
100: 제 1 커넥터 110: 제 1 베이스
112: 원판부 112a: 제 1 볼록결합부
112b: 제 1 오목결합부 113: 터미널안내부
114: 연장부 114a: 제 1 측벽부
114b: 제 2 측벽부 120: 제 1 터미널
121: 결합홀 122: 걸림안내부
124: 연결돌출부 150: 제 1 플레이트
152: 연결삽입부 200: 제 2 커넥터
210: 제 2 베이스 210a: 제 1 측부
210b: 제 2 측부 210c: 제 3 측부
210d: 제 4 측부 211a: 공간부
211b: 제 1 개방부 211c: 제 2 개방부
212: 결합안내부 214a: 제 2 볼록결합부
214b: 제 2 오목결합부 216: 제 2 결합부
218: 안내홈 218a: 중앙부
218b: 제 1 연장측부 218c: 재 2 연장측부
218d: 스토퍼 220: 제 2 터미널
222: 중앙터미널 224: 제 1 연장터미널
224a: 이탈방지부 226: 제 2 연장터미널
226a: 걸림부 228: 연결터미널
230: 결합부 232: 삽입고정부
234: 돌출부 250: 제 2 플레이트
252: 제 2 삽입부10: connector device
100: first connector 110: first base
112:
112b: first concave engaging portion 113: terminal guide portion
114:
114b: second side wall portion 120: first terminal
121: engaging hole 122: engaging guide
124: connection protrusion 150: first plate
152: connection insertion part 200: second connector
210:
210b:
210d:
211b: first opening
212:
214b: second concave engaging portion 216: second engaging portion
218: guide
218b: first
218d: Stopper 220: Terminal 2
222: central terminal 224: first extension terminal
224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226: Second extension terminal
226a: latching portion 228: connection terminal
230: coupling part 232: insertion fixing part
234: protrusion 250: second plate
252:
Claims (16)
일측에 상기 원판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안내홈이 형성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 1 터미널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 2 터미널을 갖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부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2 터미널에 접촉되고,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은 상기 원판부가 수용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 1 연장측부와, 상기 제 1 연장측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 2 연장측부와, 상기 제 2 연장측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는, 상기 원판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안내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안내홈에 상기 원판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스토퍼 방향으로 정회전되면, 상기 원판부의 역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A first base having a disc-shaped disc portion and a first terminal disposed inside the disc portion and having a first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disc portion; And
And a second base extending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and being exposed to the first terminal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base, A second connector having a terminal,
When the disk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e first terminal contacts the second terminal,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groove has a central portion formed in an arc shape to receive the disk portion, a first extended side portion located at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second extended side portion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stopper provided at a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extended side portion,
The first base further comprises an extension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disk portion,
Wherein the disc portion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Wherein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isc portion is restricted when the extension portion is forwardly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topper while the disc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상기 연장부가 상기 스토퍼 방향으로 정회전되면, 상기 제 1 연장측부 또는 상기 제 2 연장측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원판부와 접촉되는 상기 제 2 터미널의 단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의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의 역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extension portion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topper, a latching portion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at is in contact with the disk portion 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extended side portion or the second extended side portion, Wherein a locking guide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locking portion so that the lock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thereby restricting reverse rotation of the original plate portion.
상기 연장부가 상기 스토퍼와 가까워지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원판부의 중심에서 상기 스토퍼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ded portion is positioned so as to be eccentric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opper at the center of the disk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ortion is rotated to come close to the stopper.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 길이는 상기 원판부의 반원에 해당하는 외주연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폭은 상기 원판부의 지름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micircle of the disk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extended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k portion.
상기 제 1 연장측부와 상기 제 2 연장측부는 상기 제 2 베이스 내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1 연장측부와 상기 제 2 연장측부를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된 후 상기 제 1 터미널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xtended side and the second extended side are arranged diagonally inside the second base,
Wherein the second terminal is arranged in a diago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extended side and the second extended side, and is then contacted with the first terminal.
상기 제 2 베이스는, 제 1 측부, 상기 제 1 측부의 일측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는 제 2 측부, 상기 제 1 측부의 타측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는 제 3 측부 및 상기 제 2 측부와 상기 제 3 측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4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제 2 측부와 상기 제 4 측부 사이의 모서리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base includes a first side, a second sid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side to the upper side, a third side project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to the upper side, And a fourth side 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Wherein the guide groove is recessed at an edge between the second side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일측에 상기 원판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안내홈이 형성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 1 터미널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 2 터미널을 갖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부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2 터미널에 접촉되고,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은 그 중앙에 호 형상으로 위치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베이스 내부에 상기 중앙부와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중앙터미널과, 상기 중앙터미널의 양측에 한 쌍의 상기 연장측부와 대향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터미널을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연장터미널의 단부는 상기 연장측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원판부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연장터미널의 단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A first base having a disc-shaped disc portion and a first terminal disposed inside the disc portion and having a first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disc portion; And
And a second base extending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and being exposed to the first terminal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base, A second connector having a terminal,
When the disk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e first terminal contacts the second terminal,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groove includes a central portion positioned at an arc in the center thereof and a pair of extended side portions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center terminal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base so as to face the center portion and a pair of extension terminals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center terminal so as to face a pair of the extended side portions,
The ends of the pair of extension terminals ar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xtended side,
And the first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extension terminal when the disk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한 쌍의 상기 연장측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에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연장터미널은 경사진 한 쌍의 상기 연장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터미널은 경사진 한 쌍의 상기 연장터미널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pair of the extended side portions are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second base,
The pair of extension terminals are formed to be inclined diagon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inclined extension sides,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inserted in a diagonal direction along a pair of inclined extension terminals.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부는 빈 공간부가 구비되되, 상기 안내홈과 마주보는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는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을 따라 제 1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개방부의 반대 방향과 마주보는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는 제 2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된 후 상기 제 1 개방부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first opening portion is formed along an inner periphery of the guide groove on one side of the space portion facing the guide groove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pac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A second open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rtion and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상기 중앙터미널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의 상기 제 2 개방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도록 결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terminal,
And a coupling guide portion is formed on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base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opening.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앙터미널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삽입고정부와, 상기 삽입고정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안내부는 상기 제 2 개방부의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fix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center terminal and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insertion fixing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guide portion is concave so as to insert the protrusion at a position facing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상기 결합안내부는 상기 제 2 개방부에서 멀어질수록 그 내부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안내부의 내부 형상을 따라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engaging guide portion is formed so that its inner cross-sectional area becomes wider as the engaging guide portion moves away from the second opening portion,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corresponding to an inner shape of the coupling guide portion.
일측에 상기 원판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안내홈이 형성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안내홈의 내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 1 터미널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 2 터미널을 갖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부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2 터미널에 접촉되고,
상기 원판부의 외주연을 따라 오목하게 터미널안내부가 형성되되, 상기 터미널안내부는 울퉁불퉁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안내부에 끼워지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홀의 내주연은 상기 터미널안내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A first base having a disc-shaped disc portion and a first terminal disposed inside the disc portion and having a first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disc portion; And
And a second base extending in an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and being exposed to the first terminal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base, A second connector having a terminal,
When the disk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e first terminal contacts the second terminal,
A terminal guiding portion is concavely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k portion, the terminal guiding portion is formed ruggedly,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to be fitted into the terminal guide portion, and an inner periphery of the coupling hole is formed to be rugg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erminal guide portion.
상기 제 1 커넥터는 복수 개가 병렬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병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8, and 14,
Wherein a plurality of said first connectors are coupled in parallel,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nectors are coupled in parallel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first connectors.
상기 원판부의 일면에는 제 1 볼록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의 타면에는 제 1 오목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의 일면에는 제 2 볼록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의 타면에는 제 2 오목결합부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제 1 커넥터가 병렬로 배열될 때,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 1 커넥터 중 일 제 1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볼록결합부가 타 제 1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오목결합부에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 2 커넥터가 병렬로 배열될 때,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 2 커넥터 중 일 제 2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볼록결합부가 타 제 2 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오목결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A first convex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isk portion, a first concave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isk portion,
A second convex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a second concave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When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ors are arranged in parallel, a first convex coupling part provided on a first connector of a pair of mutually adjacent first connectors is inserted into a first concave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first connector ,
When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nectors are arranged in parallel, a second convex coupling part provided on a second connector of a pair of mutually adjacent second connectors is inserted into a second concave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econd connector Wherein the connector-type connector is a connector-type conn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22753A KR101873930B1 (en) | 2017-02-21 | 2017-02-21 | Connector apparatus with block type combina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22753A KR101873930B1 (en) | 2017-02-21 | 2017-02-21 | Connector apparatus with block type combination structur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73930B1 true KR101873930B1 (en) | 2018-07-03 |
Family
ID=6291801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22753A Active KR101873930B1 (en) | 2017-02-21 | 2017-02-21 | Connector apparatus with block type combina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73930B1 (en) |
-
2017
- 2017-02-21 KR KR1020170022753A patent/KR101873930B1/en active Active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8701922B (en) | Electrical connector | |
| US8430679B1 (en) | Rotatable power strip | |
| US6338640B1 (en) | ZIF mobile socket | |
| US7381059B2 (en) | Power supply device with rotatable plug | |
| US8100705B2 (en) | Safety door for a rotatable power supply socket | |
| US7125257B1 (en) | Power supply device with rotatable plug | |
| CN103001047B (en) | Shielded connector | |
| US20170153665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US9535466B2 (en) | Electronic assembly | |
| US20140113497A1 (en) | Waterproof connector | |
| TWI648919B (en) | Socket connector and mobile device | |
| KR20040071603A (en) | Electrical connector | |
| JP2003229201A (en) | Shutter for connector | |
| US9941650B2 (en) | Rotating mechanism and plug using same | |
| TWM538265U (en) | Electrical connector | |
| JP2011134660A (en) | Zif connector | |
| CN112563774A (en) |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 |
| JP4133431B2 (en) | Electrical connection plug | |
| KR101873930B1 (en) | Connector apparatus with block type combination structure | |
| US9172190B2 (en) | Connector | |
| US7114978B2 (en) | Socket connector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distortion | |
| US20140213076A1 (en)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 US9048558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 KR200448813Y1 (en) | Lever-type connector | |
| JP6170780B2 (en) | Waterproof conn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