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904B1 - nozzle for drip coffee - Google Patents
nozzle for drip coffe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4904B1 KR101884904B1 KR1020170066777A KR20170066777A KR101884904B1 KR 101884904 B1 KR101884904 B1 KR 101884904B1 KR 1020170066777 A KR1020170066777 A KR 1020170066777A KR 20170066777 A KR20170066777 A KR 20170066777A KR 101884904 B1 KR101884904 B1 KR 1018849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nozzle
- collecting
- drip coffee
- water vap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39 instant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5—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heated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립 커피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간 온수 가열기를 통해 가열된 온수를 이용할 때, 온수 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한 유량의 변동을 방지하여 드립 커피의 추출품질을 높이기 위한 드립 커피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순간 온수 가열기를 통해 가열된 온수 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한 유량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드립 커피용 노즐에 있어서, 순간 온수 가열기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과 연결되어 온수 및 수증기를 공급받기 위한 연결단이 상단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으로 관통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내의 수증기를 기포형태로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포집부를 통해 수증기가 기포형태로 포집되어 제거된 온수를 하단의 배출 홀을 통해 배출하되, 수증기가 제거된 온수가 임시 저장될 수 있는 수용부를 제공함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온수 공급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배출되는 유량이 일정한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for drip coffe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zzle for drip coffee which prevents the fluctuation of the flow rate due to steam generated in the hot water when the hot water heated through the instant hot water heater is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for coffee.
The nozzle for drip coffee for preventing the fluctuation of the flow rate due to the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hot water heated through the instantaneous hot water hea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zzle for drip coffee is connected to a supply pipe extending from the instantaneous hot water heater, A collecting par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a coupling part penetrating through the coupling end, and a collecting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to collect water vapor in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coupling end in the form of bubbles, And the hot water from which water vapor has been removed can be temporarily stored, so that the amount of hot water supplied by the water vapor And a nozzle portion having a constant flow rate regardless of variations of the nozzle portion .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립 커피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간 온수 가열기를 통해 가열된 온수를 이용할 때, 온수 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한 유량의 변동을 방지하여 드립 커피의 추출품질을 높이기 위한 드립 커피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for drip coffe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zzle for drip coffee which prevents the fluctuation of the flow rate due to steam generated in the hot water when the hot water heated through the instant hot water heater is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for coffee.
최근들어 쉽고 간단한 인스턴트 커피보다 조금 번거로운 점이 있더라도 보다 풍부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원두커피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eat increase in the demand for coffee beans that can feel richer flavor and aroma even though it is a bit more troublesome than simple and simple instant coffee.
원두커피의 추출은 크게 에스프레소 방식, 드립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에스프레소 방식은 고압으로 단시간에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Extraction of coffee bean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espresso type and drip type, and espresso type is a method of extracting coffee at a high pressure in a short time, and thus expensive equipment is required.
드립 방식은 필터에 분쇄된 원두를 담은 후 일정한 양의 온수를 원을 그리듯이 일정한 시간차로 반복하여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장비의 가격이 매우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드립 방식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The drip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coffee is extracted by repeatedly pouring the pulverized beans into the filter and then repe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hot water 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o circulate the water. The equipment has a very cheap price. In general, .
반면, 드립 방식은 물의 양 및 물을 붓는 형태 및 시간에 따라 추출되는 커피의 맛과 향을 비롯한 커피의 추출 품질이 크게 달라지는 단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drip system has drawbacks in that the extraction quality of coffee, including the amount of water, the shape of pouring water, and the taste and aroma of coffee extracted according to time, greatly vary.
이에 따라, 드립 커피 특유의 맛과 향을 살리면서 일정한 품질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공급되는 물의 유량과 물을 붓는 형태 및 시간이 항상 일정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0684호 "핸드드립 커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커피드립기"가 개발되었다.Accordingl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50684 "Hand Drip Coffee Device ", which is a type of drip coffee, And an automatic coffee drip machine using the same "were developed.
반면, 종래의 자동커피머신기는 온수 탱크에 일정량 이상의 온수를 지속적으로 보관하고 있음에 따라, 온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불필요한 전기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automatic coffee machine ha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electric energy is consumed in ord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ince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is constantly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이에 따라, 순간 온수 가열기를 통해 온수가 필요할 때, 즉시 물을 가열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었으나, 순간 온수 가열기에 의해 공급되는 온수는 가열되는 과정에서 수증기가 발생하여 온수 내에 수증기가 섞여서 배출됨으로 인하여 온수와 수증기가 불규칙적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when hot water is required through the instantaneous hot water heater, the water is immediately heated and used. However, the hot water supplied by the instantaneous hot water heater generates steam in the process of heating and water vapor is mixed with the hot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hot water and water vapor are irregularly discharged.
즉, 온수탱크를 이용할 때와 같이 온수만 배출되지 않고,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까지 함께 배출되어 온수가 일정하게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only hot water is not discharged as in the case of using a hot water tank, and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eating water is discharged together, so that hot water is not constantly supplied.
특히, 일정한 유량의 물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한 드립 커피에서는 수증기에 의한 유량의 변화는 커피 추출 품질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에 따라, 순간 온수 가열기를 이용하면서, 일정한 유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drip coffee where it is important to supply a constant flow rate of water, since the change in the flow rate due to the water vapo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coffee extraction, it is necessary to use an instantaneous hot water heater,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순간 온수 가열기를 이용하되, 수증기에 의한 유량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드립 커피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zzle for drip coffee that uses a hot water heater and prevents a change in flow rate due to water vap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온수의 유량이 증가되더라도 배출되는 유량이 일정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드립 커피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zzle for drip coffee for maintaining a constant flow rate of discharged hot water even when the flow rate of hot water is increa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은 순간 온수 가열기를 통해 가열된 온수 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한 유량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드립 커피용 노즐에 있어서, 순간 온수 가열기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과 연결되어 온수 및 수증기를 공급받기 위한 연결단이 상단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으로 관통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내의 수증기를 기포형태로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포집부를 통해 수증기가 기포형태로 포집되어 제거된 온수를 하단의 배출 홀을 통해 배출하되, 수증기가 제거된 온수가 임시 저장될 수 있는 수용부를 제공함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온수 공급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배출되는 유량이 일정한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ozzle fo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zzle for drip coffee for preventing fluctuation of a flow rate due to water vapor generated in hot water heated through an instantaneous hot water heater, A body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and having a connection end for receiving hot water and steam, a coupling part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body and penetrating through the connection end, and a hot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 water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water vapor in the form of bubbles and a hot water which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collects water vapor in the form of bubbles through the collecting part and discharges the hot water through the discharge hole at the lower e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hot water supplied by the water vapor, And a nozzle unit having a constant flow rate.
또한, 상기 포집부는 하향으로 첨단부가 형성된 포집몸체와 상기 포집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단과 각 체결단 사이에 위치하여 온수 및 수증기가 배출되는 복수 개의 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collecting body having a downwardly directed tip portion and a plurality of slot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body and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fastening ends and the fastening ends fastened to the fastening unit and discharging hot water and steam. .
또한, 상기 포집부가 몸체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슬롯이 노출되는 면적이 조절되며, 슬롯이 노출되는 면적에 따라 배출되는 온수와 수증기의 배출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collecting part into the coupling part of the collecting part, an area of the slot is exposed, and discharge pressure of hot water and steam discharge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slot is controlled.
또한, 상기 결합부의 하측 내주면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어 슬롯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를 하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long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to guide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lot downward.
또한, 상기 체결단은 상기 포집몸체의 상단에 외주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롯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와 수증기가 하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e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body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ot water and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slot can be discharged downward.
또한,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수용부 내로 공급되는 온수 및 수증기에 의해 내부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to prevent the internal pressure from increasing due to hot water and steam suppli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에 의하면, 순간 온수 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온수 내의 수증기를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온수만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nozzle fo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vapor in the hot water heated by the instantaneous hot water heater is collected and removed, so that only hot water can be suppl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에 의하면, 공급되는 온수를 수용부 내에 임시 저장하되, 자중에의해 일정량의 온수만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급되는 유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배출되는 유량이 일정하도록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nozzle fo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t water to be supplied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only a predetermined amount of hot water is discharg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discharged flow rate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fluctuation of the supplied flow rate There is a sustaina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을 분해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의 몸체 및 포집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의 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수증기를 촬영한 사진.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nozzle fo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nozzle fo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or 4 is a view showing a body and a collecting part of a nozzle fo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hotograph of water vapor captured by a collecting part of a nozzle fo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을 분해 도시한 분해단면도이고,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의 몸체 및 포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의 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수증기를 촬영한 사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ozzle fo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nozzle fo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or 4 is a cross- FIG. 5 is a photograph of a water vapor trapped by a trapping portion of a drip coffee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또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을 도시한 것이며, 순간 온수 가열기를 통해 가열된 온수 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102)에 의한 유량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드립 커피용 노즐에 있어서, 순간 온수 가열기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과 연결되어 공급관으로부터 온수 및 수증기를 공급받기 위한 연결단(11)이 상단에 형성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11)으로 관통되는 결합부(2)와 상기 결합부(2)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단(11)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로부터 온수 내의 수증기를 기포(102)형태로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3)와 상기 몸체(1)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포집부(3)를 통해 수증기가 기포(102)형태로 포집되어 제거된 온수(100)를 하단의 배출 홀(41)을 통해 배출하되, 수증기가 제거된 온수(100)가 임시 저장될 수 있는 수용부(42)를 제공함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온수 공급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배출되는 유량이 일정한 노즐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illustrate a nozzle fo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zzle for drip coffee for preventing the fluctuation of the flow rate due to the
상기 포집부(3)는 하향으로 첨단부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어, 온수(100) 및 수증기(101)가 포집부(3)의 표면으로 공급되면서 온수(100)가 포집부(3)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흐르게 된다.The
이때, 하향으로 첨단부가 형성된 상기 포집부(3)의 표면이 경사진 형태이나, 하향으로 공급되는 온수(100) 및 수증기(101)는 코안다효과에 의해 포집부(3)의 표면에 밀착되며, 밀도가 높은 온수(100)는 자체 하중에 의해 경사진 포집부(3)의 표면을 따라 내려가게되며, 온수(100) 내에 섞여있다 대기압과의 차이에 의해 팽창되어 부피가 증가한 수증기(101)에 의한 기포(102)는 하측으로 흐르는 온수(100)로부터 자체 부력에 의해 상향으로 올라가려는 성질이 의해 포집부(3)의 상단으로 모이게 된다.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또한, 수증기에 의한 다른 기포와 합쳐지며 점점 더 큰 기포(102)를 형성하게 되며, 기포가 터지면서 수증기는 온수(100)로부터 분리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air bubbles combine with other bubbles due to water vapor to form larger and
또한, 상기 포집부(3)는 하향으로 첨단부가 형성됨에 따라, 하향으로 갈수록 온수가 접촉하는 포집부(3)의 표면적이 줄어들면서, 포집부(3)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온수(100)의 두께가 더욱 두꺼워지며, 온수(100)에 포함되어있는 수증기 또는 기포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력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또, 상기 포집부(3)의 첨단부는 표면을 따라 흐르는 온수가 포집부(3)로부터 저항 없이 이탈되도록 유도하여 하부의 수용부(42)에 적재될 때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도 발생시키게 된다.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collecting
특히, 펌프 및 가열에 의해 소정의 압력을 가진 상태로 공급되는 온수 내의 수증기(101)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 의해 압축된 상태이며, 온수 및 압축된 수증기(101)가 포집부(3)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대기압과의 압력차이에 의해 압축된 수증기(101)가 팽창하면서 부피가 커지게 되며, 부피가 커진 수증기(101)는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부(3)의 상단에 기포(102)형태로 포집된다.Particularly, the
상기와 같이, 포집부(3)의 상단에 일정 크기 이상으로 수증기(101)에 의한 기포(102)가 포집되면, 자연적으로 기포는 터지면서 대기중으로 온수 내의 수증기(101)가 제거되며, 상기 몸체(1)의 상단에는 수용부(42) 내로 공급되는 온수(100) 및 수증기(101)에 의해 내부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관통 홀(12)이 형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또한, 상기 몸체(1)와 노즐부(4)의 결합은 끼움결합, 볼트 및 너트에 의한 결합, 나사결합 등 다양한 형태가 실시될 수 있으나, 상기 몸체(1)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상기 노즐부(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표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몸체(1)와 노즐부(4)의 결합면을 통해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과 같은 밀폐수단(4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fluid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mating surfaces of the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부(3)는 하향으로 첨단부가 형성된 포집몸체(31)와 상기 포집몸체(31)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2)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단(32)과 각 체결단(32) 사이에 위치하여 온수 및 수증기가 배출되는 복수 개의 슬롯(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4, the
또한, 상기 포집부(3)의 복수 개의 체결단(32)이 상기 결합부(2)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연결단(11)으로 공급되는 온수 및 수증기는 상기 체결단(32) 사이에 배치된 슬롯(33)을 통해 배출된다.As 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포집부(3)가 몸체(1)의 결합부(2)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슬롯(33)이 결합부(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조절되며, 슬롯(33)이 노출되는 면적에 따라 배출되는 온수와 수증기의 배출압력이 조절된다.The area of the
즉, 결합부(2)의 하측으로 슬롯(33)의 노출되는 면적이 커질 경우, 온수 및 수증기가 통과하여 배출되는 슬롯(33)의 단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배출압력이 낮아지고, 슬롯의 노출면적이 작아질 경우, 온수 및 수증기가 통과하여 배출되는 슬롯(33)의 단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배출압력이 높아지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area of the
이때, 상기 슬롯(33)의 단면적이 기 설정된 크기 이하를 가질 경우, 배출압력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온수 및 수증기가 포집부(3)의 표면으로 공급되지 않고, 외측으로 단순 분사될 수도 있음에 따라, 상기 결합부(2)의 하측 내주면을 따라 경사면(2a)이 형성되어 슬롯(33)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를 하향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단(32)은 상기 포집몸체(31)의 상단에 외주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롯(33)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와 수증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하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4,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용 노즐의 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수증기를 촬영한 사진으로써,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온수가 포집부(3)로 공급된 이후 우측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수증기가 기포(102)형태로 포집되며, 포진된 기포(102)가 터지면서 온수로부터 수증기가 제거된다.FIG. 5 is a photograph of water vapor captured by the collecting part of the drip coffee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5, after the first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이와 같이 포집부(3)에 의한 수증기의 포집과 제거가 반복되면서 수증기에 의해 물의 공급유량이 변동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rapping and removing of the water vapor by the trapp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therefore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claims set forth to cover many of such variations.
1 : 몸체
2 : 결합부
3 : 포집부
4 : 노즐부
11 : 연결단
12 : 관통 홀
31 : 포집몸체
32 : 체결단
33 : 슬롯
41 : 배출 홀
42 : 수용부
43 : 밀폐수단
100 : 온수
101 : 수증기
102 : 기포1: Body
2:
3: Collection section
4:
11: Connection end
12: Through hole
31: collecting body
32: fastening end
33: Slot
41: discharge hole
42:
43: Sealing means
100: Hot water
101: Water vapor
102: Bubble
Claims (6)
순간 온수 가열기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과 연결되어 온수 및 수증기를 공급받기 위한 연결단이 상단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으로 관통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내의 수증기를 기포형태로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포집부를 통해 수증기가 기포형태로 포집되어 제거된 온수를 하단의 배출 홀을 통해 배출하되, 수증기가 제거된 온수가 임시 저장될 수 있는 수용부를 제공함으로써, 수증기에 의한 온수 공급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배출되는 유량이 일정한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하향으로 첨단부가 형성된 포집몸체와;
상기 포집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단과;
각 체결단 사이에 위치하여 온수 및 수증기가 배출되는 복수 개의 슬롯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슬롯으로 배출된 온수는 포집부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흐르며, 수증기는 포집부의 상단에 모여 기포 형태로 포집되어 대기중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노즐.
A nozzle for drip coffee for preventing fluctuation of a flow rate due to water vapor generated in hot water heated through an instantaneous hot water heater,
A body connected to a supply pipe extending from the instantaneous hot water heater and having a connection end for receiving hot water and steam;
An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center of the body and penetrating through the connecting end;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water vapor in the form of bubbles in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connecting end,
And a water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water vapor in the form of bubbles through the collecting part and discharging the removed hot water through the discharge hole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so that hot water from which water vapor has been removed can be temporarily stored, A nozzle unit having a constant flow rate regardless of variations in the hot water supply amount,
The collecting part
A collecting body formed with a tip portion downwardly;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body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slots positioned between the fastening ends to discharge hot water and steam,
The hot water discharged into the slots flows downward along the surface of the collecting part, and the water vapor collects at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part and is collected in the form of bubbles and removed into the atmosphere.
Nozzle for drip coffee.
상기 포집부가 몸체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슬롯이 노출되는 면적이 조절되며, 슬롯이 노출되는 면적에 따라 배출되는 온수와 수증기의 배출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노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rea of the slot exposed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depth of the trapping part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of the collecting part, and discharge pressure of hot water and steam discharged according to an area of the slot is controlled.
Nozzle for drip coffee.
상기 결합부의 하측 내주면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어 슬롯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를 하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노즐.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long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to guide the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lot downwardly
Nozzle for drip coffee.
상기 체결단은 상기 포집몸체의 상단에 외주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롯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와 수증기가 하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노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end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body so that hot water and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slot can be discharged downward
Nozzle for drip coffee.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수용부 내로 공급되는 온수 및 수증기에 의해 내부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용 노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ody to prevent the internal pressure from being increased by hot water and steam suppli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Nozzle for drip coffe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66777A KR101884904B1 (en) | 2017-05-30 | 2017-05-30 | nozzle for drip coffe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66777A KR101884904B1 (en) | 2017-05-30 | 2017-05-30 | nozzle for drip coffe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84904B1 true KR101884904B1 (en) | 2018-09-11 |
Family
ID=6359640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66777A Active KR101884904B1 (en) | 2017-05-30 | 2017-05-30 | nozzle for drip coffe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84904B1 (en) |
Citation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1990007267A1 (en) * | 1988-12-23 | 1990-07-12 | Dgt-Volmatic A/S | A system for drip irrigation and a drip nozzle |
| JP2000262810A (en) * | 1999-03-15 | 2000-09-26 | Nippon Mitsubishi Oil Corp | Bubble removal system in liquid |
| JP2007517545A (en) * | 2003-12-01 | 2007-07-05 |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 Capsule with foam control function |
| EP1943931A2 (en) * | 2005-06-07 | 2008-07-16 | Nestec S.A. | Froth dispenser with milk vessel, disposable nozzle and drip tray device for recipients of different heights |
| KR20120050684A (en) | 2010-11-11 | 2012-05-21 | 마원준 | Hand drip coffee apparatus and automatic coffee dripper |
| EP2626140A1 (en) * | 2012-02-07 | 2013-08-14 | Süss Microtec Lithography GmbH | A method for non-drip dispensing of a liquid and a nozzle therefore |
| US8784570B2 (en) * | 2008-03-26 | 2014-07-22 | Seb S.A. | Method for cleaning the steam nozzle of 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
| JP2016021990A (en) * | 2014-07-16 | 2016-02-08 | シャープ株式会社 | Discharge nozzle and water hea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
| KR20160082301A (en) * | 2014-12-30 | 2016-07-08 | (주)휴레드 | Dutch coffee maker |
-
2017
- 2017-05-30 KR KR1020170066777A patent/KR10188490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1990007267A1 (en) * | 1988-12-23 | 1990-07-12 | Dgt-Volmatic A/S | A system for drip irrigation and a drip nozzle |
| JP2000262810A (en) * | 1999-03-15 | 2000-09-26 | Nippon Mitsubishi Oil Corp | Bubble removal system in liquid |
| JP2007517545A (en) * | 2003-12-01 | 2007-07-05 |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 Capsule with foam control function |
| EP1943931A2 (en) * | 2005-06-07 | 2008-07-16 | Nestec S.A. | Froth dispenser with milk vessel, disposable nozzle and drip tray device for recipients of different heights |
| US8784570B2 (en) * | 2008-03-26 | 2014-07-22 | Seb S.A. | Method for cleaning the steam nozzle of 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
| KR20120050684A (en) | 2010-11-11 | 2012-05-21 | 마원준 | Hand drip coffee apparatus and automatic coffee dripper |
| EP2626140A1 (en) * | 2012-02-07 | 2013-08-14 | Süss Microtec Lithography GmbH | A method for non-drip dispensing of a liquid and a nozzle therefore |
| JP2016021990A (en) * | 2014-07-16 | 2016-02-08 | シャープ株式会社 | Discharge nozzle and water hea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
| KR20160082301A (en) * | 2014-12-30 | 2016-07-08 | (주)휴레드 | Dutch coffee mak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562716B2 (en) | Device and method for degassing a liquid | |
| KR100402340B1 (en) | Filtration coffee making equipment | |
| CN100407971C (en) | coffee maker | |
| US6158328A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beverages | |
| KR101897569B1 (en) | Coffee extracting apparatus | |
| CN105937179B (en) | Household ironing appliance comprising a filter for retaining scale particles conveyed by steam | |
| US6708599B2 (en) | Coffee maker | |
| ITMO20060030A1 (en) | METHODS AND EQUIPMENT TO GET DRINKS | |
| JP5941062B2 (en) | Double-tank hot water beverage preparation home appliances | |
| KR101884904B1 (en) | nozzle for drip coffee | |
| CN203693348U (en) | Water supplying and gas-liquid separating integrated water storing box | |
| US5602958A (en) | Rechargeable steam generator | |
| KR101463966B1 (en) | Steam trap with multi orifice | |
| HUE025568T2 (en) |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 |
| EP3383661A1 (en) | Continuously refillable ink-jet cartridge | |
| CA2165691A1 (en) | Tea filter pack for automatic brewers | |
| RU2599887C1 (en) | Thermal deaerator | |
| JP3453640B2 (en) | Gas-liquid separator with wet steam wetness control | |
| JP5061702B2 (en) | coffee maker | |
| JP5188831B2 (en) | Vacuum steam heater | |
| JP2006194531A (en) | Steam temperature decreasing device | |
| EP0022911A1 (en) |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device f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 |
| WO2015040175A1 (en) | Method and device for foam extinguishing | |
| KR20090102587A (en) | Noise reduction and fuel saving device of portable hot water boiler | |
| CN112144255B (en) | Iron comprising means for retaining scale particles carried by stea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