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6940B1 - 진공단열 패널 및 진공단열 패키징 - Google Patents

진공단열 패널 및 진공단열 패키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940B1
KR101896940B1 KR1020170081686A KR20170081686A KR101896940B1 KR 101896940 B1 KR101896940 B1 KR 101896940B1 KR 1020170081686 A KR1020170081686 A KR 1020170081686A KR 20170081686 A KR20170081686 A KR 20170081686A KR 101896940 B1 KR101896940 B1 KR 10189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acuum
outer body
rib
inne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70081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진공단열 패널 및 진공단열 패키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은 일면이 개방된 몸체를 가지며, 내부면을 따라 복수의 제1 리브가 형성되는 제1 패널; 제1 패널의 개방된 면을 덮는 형태로 제1 패널에 결합되어 결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면을 따라 복수의 제2 리브가 형성되는 제2 패널; 및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체 내부의 진공도를 제어하는 진공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단열소재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진공단열 패널 및 진공단열 패키징{VACUUM ISOLATION PANEL AND PACKAGING}
본 발명은 온도유지가 필요한 제품의 운송 또는 보관에 사용되는 진공단열 패널 및 진공단열 패키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효율화의 관점에서 단열을 보강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결과, 최근에는 미네랄 울, 발포폴리스티렌, 압출발포폴리스티렌, 셀룰로오스 등의 전통적인 단열재가 아닌 VIPs(Vacuum insulation Panels), GFPs(Gas-filled Panels) 등의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VIP는 흄드실리카(fumed silical) 등 심재(core)가 외피로 감싸진 형태를 가지는 단열재이며, GFP는 진공대신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아르곤, 크립톤 및 제논 등을 적용한 것이다. 특히 VIP(이하, 진공단열 패널)의 경우 두께가 얇고 단열 성능이 일반 단열재보다 높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공단열 패널은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복합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봉지체에 심재로서 연속 기포 경질 플라스틱 발포제나 무기물 등을 수납하고 내부를 감압한 후에, 둘레를 이루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히트실링하여 제조되고 있다(특허문헌 1,2 참고).
그런데 이러한 기존 진공단열 패널은 외피재의 두께가 매우 얇아(일반적으로 8~10㎛)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외피재 파손에 매우 취약하다. 예컨대 못과 같은 것에 의해 외피에 구멍이 생기는 경우 단열성능이 크게 저하된다.
한편, 최근 콜드체인 시장(식품이나 의약품 무역 증가와 냉장 보관 운송 기술의 발전으로 신선도가 중요한 화물을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는 유통체계를 의미함)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바, 진공단열 패널을 조립하여 화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진공단열 패키징을 제작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진공단열 패키징의 경우 진공단열 패널의 측부끼리 접합하여 패키징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접합 부위의 히트플로우(Heat Flow) 현상에 의해 패키징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9361호 (2015.08.05 공개)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597775호(2016.02.19 등록)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하며 파손 발생시에도 용이하게 복구가 가능한 진공단열 패널 및 진공단열 패키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이 개방된 몸체를 가지며, 내부면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1 리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1 패널(단열소재로 형성됨); 제1 패널의 개방된 면을 덮는 형태로 제1 패널에 결합되어 결합체를 형성하고, 내부면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2 리브가 형성되는 제2 패널(단열소재로 형성됨); 제1 리브와 제2 리브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리브 및 제2 리브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각기둥 형태의 내부 셀이 연접한 구조를 갖는 심재; 및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체 내부의 진공도를 제어하는 진공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진공단열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체 내부에는 아르곤, 크립톤 및 제논이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심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심재는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각기둥 형태의 내부 셀이 연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 부위를 밀봉시키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결합 부위에 밀착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패널의 내부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지지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패널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 지지보스와 상응하는 위치에 제2 지지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체가 형성될 때 제1 지지보스 및 제2 지지보스가 상호 지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결합체에서 상기 제1 지지보스의 상단은 소정 정도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보스의 하단은 소정 정도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 지지보스의 하단이 제1 지지보스의 상단 인입 부분에 삽입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의 외부면들 중 1 이상에는 외측으로 제1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의 외부면들 중 1 이상에는 내측으로 제1 수용부 - 제1 수용부가 형성된 외부면은 제1 돌출부가 형성된 외부면과는 다름 - 가 형성되고, 하나의 결합체의 제1 수용부가 다른 하나의 결합체의 제1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됨으로써, 1 이상의 결합체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일체형의 몸체를 가지며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리브를 포함하는 외부몸체; 상부가 개방된 일체형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몸체와 결합체를 형성하는 내부몸체; 상기 결합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패널; 및 상기 외부몸체 또는 내부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사이 공간의 진공도를제어하는 진공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몸체, 내부몸체 및 덮개패널은 단열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몸체는, 상부 테두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외부몸체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절곡부와;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리브를 포함하는 진공단열 패키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의 상기 제1 리브 및 제2 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심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심재는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각기둥 형태의 내부 셀이 연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패널은, 하부가 개방된 몸체를 가지며 내부면을 따라 복수의 제3 리브가 형성되는 상부패널과; 상부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을 따라 복수의 제4 리브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상기 내부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및 내부몸체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 부위를 밀봉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 또는 덮개패널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한 쿨링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쿨링패드는, 기체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채워지는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소재의 기공에는 흡열물질이 담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은 리브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패널 결합체에 진공제어밸브를 형성시킴으로써, 패널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패널의 일부 파손시에도 파손된 부분을 복구한 후에 진공제어밸브를 통해 진공감압 시킬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진공단열 패널 내부에 심재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심재 자체가 외압으로부터 진공단열 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심재는 리브들에 의해 지지되므로 외피와 심재의 접촉면에서의 열전달로 인한 단열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심재를 다각기둥 형태의 내부 셀이 연접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리브들이 공기통로의 역할을 겸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용이한 진공형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진공단열 패키징은 이중벽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리브를 형성하고 내부벽에 진공제어밸브를 형성시킴으로써, 패키징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패키징의 외부벽의 일부 파손시에도 파손된 부분을 복구한 후에 진공제어밸브를 통해 진공감압 시킬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진공단열 패키징 내부에 심재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심재 자체가 외압으로부터 진공단열 패키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심재는 리브들에 의해 지지되므로 외피와 심재의 접촉면에서의 열전달로 인한 단열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진공단열 패키징의 몸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이중벽 구조체이므로, 히트플로우(Heat Flow) 현상으로 인한 단열성능 저하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심재를 다각기둥 형태의 내부 셀이 연접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리브들이 공기통로의 역할을 겸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용이한 진공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진공단열 패키징의 외부몸체 외면에 탈부착 가능한 쿨링패드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온도를 저감시켜 필요열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단열 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진공단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 및 그 결합방법을 모사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키징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진공단열 패키징에서 덮개패널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진공단열 패키징과, 진공단열 패키징의 일면에 부착되는 쿨링패드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고 있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은 단열이 필요한 컨테이너, 단열 용기, 건축단열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공단열 패널(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진공단열 패널(100)은 제1 패널(110), 제2 패널(120) 및 진공제어밸브(130)를 포함한다.
제1 패널(110)은 일면이 개방된 몸체를 갖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패널(110)은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패널(110)은 박스형 이외에도 삼각기둥형, 오각기둥형, 그 외 정형화되지 않은 형태(예컨대 "ㄱ","ㄴ","ㄷ"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1에서는 제1 패널(110)의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 도 2에서는 제1 패널(110)의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패널(110)의 각 면의 모서리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널(110)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제1 리브(111)가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리브(111)는 제1 패널(110)의 모든 내부면에 걸쳐 격자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111)는 제1 패널(110)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제1 리브(111)는 패널 내부에 진공을 형성함에 있어서 공기 통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2 패널(120)은 제1 패널(110)의 개방된 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패널(110)과 마찬가지로 제2 패널(120)의 각 면의 모서리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널(120)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제2 리브(121)가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리브(121)는 제1 리브(111)와 마찬가지로 제2 패널(120)의 내부면 전면에 걸쳐 격자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브(121)는 제2 패널(120)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제2 리브(121)는 패널 내부에 진공을 형성함에 있어서 공기 통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은 플라스틱 소재, 아크릴 소재, 폴리카보네이트 소재, 금속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이 서로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은 열전도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 리브(111,121)는 제1,2 패널(110,1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 패널(110,120)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사출 성형 등을 이용하여 제1,2 리브(111,121)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은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결합체를 이룰 수 있다(도 1,2에서는 박스형 결합체를 도시하고 있음). 이 때,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의 결합 방식은 특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은 볼트-너트 등의 통상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기계적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은 결합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식이나 웰딩(용접) 등의 방식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
관련하여, 진공단열 패널(100)은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 부위를 밀봉시키는 실링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실링부(150)의 일 구체예가 도시되어 있다. 실링부(150)는 탄성부재(151)와 가압부재(152)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탄성부재(151)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의 결합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력을 갖는 것을 전제로 하여 탄성부재(151)의 소재는 특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결합 부위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152)는 탄성부재(151)를 가압하도록 탄성부재(15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재(152)는 탄성부재(151)와 마찬가지로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재(152)는 적당한 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가압부재(152)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51) 및 가압부재(152)는 볼트-너트 등의 통상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의 결합 부위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110)의 개방된 면의 테두리에 탄성부재(151)가 결합하고, 탄성부재(151)의 상부에 가압부재(152)의 하부면이 탄성부재(151)를 가압하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152)의 상부면은 제1 패널(120)의 하부면 테두리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의 결합 부위가 실링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는 달리 탄성부재(151) 및 가압부재(152)는 두 쌍 이상이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110)의 개방된 면의 테두리에 제1 탄성부재-제2 탄성부재-가압부재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는 제1 패널(110)의 개방된 면의 테두리에 제1 탄성부재-제1 가압부재-제2 탄성부재-제2가압부재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의 결합부위를 실링시키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탄성부재 및 가압부재가 배치 및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패널(110)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제1 지지보스(112)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패널(120)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제2 지지보스(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2 지지보스(112,122)는 높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높이 방향이란 제1,2 패널(110,12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면과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1 패널(110)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제1 지지보스(112)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패널(120)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제2 지지보스(122)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 지지보스(112,122)는 상호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의 결합체의 내구성을 강화시킨다. 제1 지지보스(112) 및 제2 지지보스(122)의 개수는 특정되지 않는다. 관련하여 도 2에서는 각각 5개의 제1 지지보스(112) 및 제2 지지보스(122)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2 지지보스(112,122)의 개수는 그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패널(110)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제1 지지보스(112)가 형성되고, 제2 패널(120)의 내부면에는 제1 지지보스(112)와 상응하는 위치에 제2 지지보스(1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이 결합하여 결합체가 형성될 때, 제1 지지보스(112) 및 제2 지지보스(122)가 상호 지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보스(112)의 상단은 소정 정도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지지보스(122)의 하단은 소정정도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 지지보스(122)의 하단이 제1 지지보스(112)의 상단의 인입 부분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1,2 지지보스(112,122)가 상호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이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결합체를 이루는 경우, 상기 결합체의 속은 비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결합체의 내부를 감압시켜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결합체는 진공단열 패널(100)로 기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체는 속이 빈 구조를 갖게 되므로, 종래 진공단열 패널에서 발생하는 외피와 심재의 접촉면에서의 열전달로 인한 단열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2 패널(110,120)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1,2 리브(111,112)나 제1,2 지지보스(112,122)는 진공단열 패널(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므로, 예기치 않은 외력으로부터 진공단열 패널(100)이 파손될 가능성이 보다 줄어든다.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의 결합체의 내부를 진공형성 시키기 위하여, 제1 패널(110) 또는 제2 패널(120)에는 진공제어밸브(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 에서는 제1 패널(110)의 측부에 진공제어밸브(130)를 형성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진공제어밸브(130)의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공제어밸브(130)는 상기 결합체 내부의 진공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외부에 위치한 진공펌프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진공제어밸브(130)는 진공펌프 등과 연결되었을 때만이 배기 가능하도록 동작하고, 진공펌프 등이 연결되지 않았을 때에는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진공제어밸브(130)는 체크밸브(check valv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100)은 진공제어밸브(130)를 통해 상시적으로 진공단열 패널(100) 내부의 진공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단열 패널(100)이 외력 등에 의해 일부 파손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파손된 부분을 복구한 후에는 진공제어밸브(130)를 통해 다시 결합체 내부에 진공을 형성시킬 수 있는 바(재진공 가능), 재사용이 가능하다. 종래 진공단열 패널이 파손된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한 바, 그대로 폐기 처분되는 것과는 다르다.
한편, 진공단열 패널(100)의 내부에는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아르곤(Ar), 크립톤(Kr) 및 제논(Xe)이 충진될 수 있다. 즉, 진공단열 패널(100)은 GFPs(Gas-filled panels) 단열 패널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진공제어밸브(130)는 가스 충진 밸브로 기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진공단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진공단열 패널(100)은 제1 패널(110), 제2 패널(120), 진공제어밸브(130) 및 심재(1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패널(110), 제2 패널(120) 및 진공제어밸브(130)는 전술한 구체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동일한 부호를 병기함).
본 구체예에 있어서, 진공단열 패널은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20)의 결합체 내부에 배치되는 심재(140)를 포함한다. 심재(140)는 진공단열 패널의 내구성을 보완하며, 나아가 단열성을 보완할 수 있다. 심재(140)가 없는 경우에 진공단열 패널은 외부 압력 등에 의해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생길 수 있다. 예컨대 높은 중량을 갖는 물체가 위에 놓여졌을 때, 상기 물체의 하중이 진공단열 패널을 변형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구체예에서와 같이 심재(140)가 제1,2 패널(110,120)의 결합체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고중량 물체의 하중에 보다 견디기 용이한 구조를 갖게 된다. 나아가 심재(140) 역시 단열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결합체의 단열성을 보완할 수도 있다.
심재(140)는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각기둥 형태의 내부 셀이 연접한 구조를 갖는다. 심재(140)는 플라스틱 소재, 발포 플라스틱 소재, 아크릴 소재, 폴리카보네이트 소재, 금속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심재(140)는 열전도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재(140)는 다각기둥 형태의 내부 셀이 연접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다각기둥은 삼각기둥, 사각기둥, 육각기둥 등 제한되지 않는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심재(140)의 상하부면은 제1,2 패널(110,120)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1,2 리브(111,121)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도 4 참고). 따라서 별도의 결합부재가 요구되지 않고, 심재(140)가 제1,2 패널(110,120)의 결합체 내부에 견고히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리브(111)의 높이는 제1 패널(1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심재(140)가 배치될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제2 리브(121) 역시 제2 패널(1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리브(111)의 높이가 제1 패널(1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을 전제로 한다면 제2 리브(121)의 높이는 제2 패널(120)의 높이와 상응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구체예에서 심재(140)는 제1,2 리브(111,121)에 의해 지지되므로, 종래 진공단열 패널에서와 같이 심재가 외피와 밀착하는 경우에 비해 외피(제1,2 패널)와의 총 접촉면이 적다. 외피와 심재의 접촉면에서의 열전달로 인한 단열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유다. 나아가 심재(140)는 다각기둥 형태의 내부 셀이 연접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1,2 리브(111,121)들이 공기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2 패널(110,120)의 결합체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공기통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다. 예를 들어, 제1,2 리브(111,121)가 격자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2 리브(111,121)와 심재(140) 사이에는 복수의 공기통로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2 리브(111,121)들 사이의 간격과 심재(140)의 내부 셀 사이에 복수의 통로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공기통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각 통로들이 연통될 수 있는 바, 제1,2 패널(110,120)의 결합체 내부에 진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간단한 구조를 통해 진공단열 패널 내부의 용이한 진공형성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널 및 그 결합방법을 모사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진공단열 패널은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진공단열 패널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진공단열 패널에서 제1,2 패널의 결합체의 외부면들 중 1 이상에는 제1 돌출부(160A, 160B)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의 외부면들 중 1 이상에는 내측으로 제1 수용부(170A, 17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수용부(170A, 170B)가 형성된 외부면은 제1 돌출부(160A, 160B)가 형성된 면과는 다를 수 있다.
결합체의 외부면들에 형성된 제1 돌출부(160A, 160B) 및 제1 수용부(170A, 170B)는 복수의 진공단열 패널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5에는 제1 진공단열 패널(100A), 제2 진공단열 패널(100B), 제3 진공단열 패널(100C)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제1 진공단열 패널(100A)의 측면에는 제2 진공단열 패널(100B)과 제3 진공단열 패널(100C)이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공단열 패널(100A)의 하나의 측면에는 제1 돌출부(160A)가 형성되고, 다른 측면에는 제1 수용부(17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진공단열 패널(100B)의 하나의 측면에는 제1 돌출부(160B)가 형성되고, 다른 측면에는 제1 수용부(17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진공단열 패널(100B).의 제1 돌출부(160B)가 제1 진공단열 패널(100A)의 제1 수용부(170A)로 삽입됨으로써, 제1,2 진공단열 패널(100A, 100B)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제3 진공단열 패널에 형성된 제1 수용부(미도시)로 제1 진공단열 패널(100A)의 제1 돌출부(160A)가 삽입됨으로써, 제1,3 진공단열 패널(100A, 100C)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복수의 진공단열 패널이 상호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돌출부(160A, 160B)의 외형은 제1 수용부(170A, 170B)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돌출부(160A, 160B)가 제1 수용부(170A, 170B) 내에 삽입되었을 때 남는 공간이 없도록 딱 들어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돌출부(160A, 160B)와 제1 수용부(170A, 170B)의 결합 부위에는 별도의 코팅재나 보강재가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돌출부(160A, 160B) 및 제1 수용부(170A, 170B)를 통해 복수의 진공단열 패널을 블록 결합 하듯이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진공단열 패널의 크기(사이즈)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돌출부(160A, 160B)가 제1 수용부(170A, 170B)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진공단열 패널들이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위가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복수의 진공단열 패널들의 측면을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는 방식에 비해 결합부위에서의 히트브리지(Heat Bridge, 열교현상)로 인한 단열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 패키징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 패키징은 온도유지가 필요한 제품의 운송용 패키징, 보관용 패키징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진공단열 패키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진공단열 패키징(2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공단열 패키징(200)은 외부몸체(210), 내부몸체(220), 덮개패널(230) 및 진공제어밸브(240)를 포함한다.
외부몸체(210)는 상부가 개방된 몸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외부몸체(21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삼각기둥형, 오각기둥형, 그 외 정형화되지 않은 형태 등 다양한 형태(예컨대 "ㄱ","ㄴ","ㄷ"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몸체(210)의 각 면의 모서리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몸체(2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의 단열재가 상호 결합하여 몸체의 면을 이루는 방식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몸체(210)에는 이음 부위에서 발생 가능한 히트 플로우(heat flow)가 발생할 여지가 적어 단열 성능과 관련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외부몸체(210)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제1 리브(211)가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리브(211)는 외부몸체(210)의 모든 내부면에 걸쳐 격자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211)는 외부몸체(210)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제1 리브(211)는 패키징 내부에 진공을 형성함에 있어서 공기 통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내부몸체(220)는 외부몸체(210)와 마찬가지로 상부가 개방된 몸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내부몸체(220)는 외부몸체(2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형태임을 전제로 하여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삼각기둥형, 오각기둥형, 그 외 정형화되지 않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몸체(220)는 외부몸체(2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내부몸체(220)의 크기(사이즈)는 외부몸체(210)보다 작게 형성된다. 내부몸체(220)가 외부몸체(210)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몸체(210)의 내부면과 내부몸체(220)의 외부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공간)이 존재한다. 내부몸체(210)의 각 면의 모서리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몸체(2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외부몸체(21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단열재가 상호 결합하여 몸체의 면을 이루는 방식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몸체(220)에는 이음 부위에서 발생 가능한 히트 플로우(heat flow)가 발생할 여지가 적어 단열 성능과 관련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내부몸체(220)는 절곡부(221)와 제2 리브(222)를 포함한다. 절곡부(221)는 내부몸체(22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곡부(221)는 내부몸체(220)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외부몸체(210)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몸체(220)가 외부몸체(210)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몸체(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정도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절곡부(221)와 외부몸체(210)의 결합 방식은 특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절곡부(221)와 외부몸체(210)는 볼트-너트 등의 통상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기계적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외 결합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식이나 웰딩(용접) 등의 방식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
내부몸체(220)의 외부면에는 복수의 제2 리브(222)가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리브(222)는 제1 리브(211)와 마찬가지로 내부몸체(220)의 외부면 전체에 걸쳐 격자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브(222)는 내부몸체(220)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제2 리브(222)는 패키징 내부에 진공을 형성함에 있어서 공기 통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외부몸체(210) 및 내부몸체(220)는 플라스틱 소재, 아크릴 소재, 폴리카보네이트 소재, 금속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외부몸체(210) 및 내부몸체(220)는 열전도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 리브(211,222)는 외부몸체(210), 내부몸체(2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몸체(210) 및 내부몸체(220)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사출 성형 등을 이용하여 제1,2 리브(211,2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처럼, 내부몸체(220)가 외부몸체(21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외부몸체(210) 및 내부몸체(220)는 이중벽 구조를 갖는 결합체를 형성한다(도 6에서는 박스형 결합체를 도시하고 있음). 그리고 덮개패널(230)은 상기 결합체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외부몸체(210), 내부몸체(220) 및 덮개패널(230)은 플라스틱 소재, 아크릴 소재, 폴리카보네이트 소재, 금속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외부몸체(210), 내부몸체(220) 및 덮개패널(230)이 서로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외부몸체(210), 내부몸체(220) 및 덮개패널(230)은 열전도도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 리브(211,222)는 외부몸체(210) 및 내부몸체(2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몸체(210) 및 내부몸체(220)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사출 성형 등을 이용하여 제1,2 리브(211,2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외부몸체(210)의 내부면과, 내부몸체(220)의 외부면에는 각각 지지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보스는 앞서 설명한 진공단열 패널(100)에서의 제1,2 지지보스(112,122)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외부몸체(210)와 내부몸체(220)가 결합하여 이중벽 구조를 갖는 결합체를 이루는 경우, 상기 결합체에서 외부몸체(210)와 내부몸체(220) 사이의 간격 내지 공간은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공간의 내부를 감압시켜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결합체는 진공단열 패키징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결합체는 속이 빈 구조를 갖게 되므로, 종래 진공단열 패키징에서 발생하는 외피와 심재의 접촉면에서의 열전달로 인한 단열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외부몸체(210) 및 내부몸체(220)에 형성된 제1,2 리브(211,222)나 제1,2 지지보스는 진공단열 패키징(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므로, 예기치 않은 외력으로부터 진공단열 패키징(200)이 파손될 가능성이 보다 줄어든다.
한편, 덮개패널(230)과 관련하여, 도 7은 도 6의 진공단열 패키징(200)에서 덮개패널(230)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덮개패널(230)은 상부패널(231), 하부패널(232), 실링부(233)를 포함한다.
상부패널(231)은 하부가 개방된 몸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부패널(231)은 외부몸체(210)와 내부몸체(220)의 결합체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됨을 전제로 하여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삼각기둥형, 오각기둥형, 그 외 정형화되지 않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패널(231)의 각 면의 모서리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패널(231)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제3 리브(231a)가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리브(231a)는 상부패널(231)의 모든 내부면에 걸쳐 격자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리브(231a)는 상부패널(231)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패널(232)은 상부패널(231)의 하부에 결합된다. 하부패널(232)의 각 면의 모서리는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패널(231)과 하부패널(232)의 결합 방식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그 외 접착제 도포 방식이나 용접 방식도 가능함). 하부패널(232)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제4 리브(미도시)가 형성된다. 제4 리브는 제3 리브(231a)와 동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패널(232)의 하부면에는 삽입부(232a)가 형성된다. 삽입부(232a)는 하부패널(232)의 바닥면을 이루되 하방향으로 소정 정도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삽입부(232a)는 내부몸체(220)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됨으로써 덮개패널(230)과 결합체가 보다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실링부(233)는 덮개패널(230)과 결합체(외부몸체 및 내부몸체)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 부위를 밀봉시킨다. 실링부(233)는 탄성부재(233a)와 가압부재(233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탄성부재(233a)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몸체(220)의 절곡부(221)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력을 갖는 것을 전제로 하여 탄성부재(233a)의 소재는 특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결합 부위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233b)는 탄성부재(233a)를 가압하도록 탄성부재(233a)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재(233b)는 탄성부재(233a)와 마찬가지로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재(233b)는 적당한 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가압부재(233b)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도 7에서와 같이 가압부재(233b)는 하부패널(232)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홀(232b)을 통해 하부패널(232)과 결합할 수 있다. 실링부(233)는 볼트-너트 등의 통상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내부몸체(220)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몸체(220)의 상부 테두리에 탄성부재(233a)가 결합하고, 탄성부재(233a)의 상부에 가압부재(233b)의 하부면이 탄성부재(233a)를 가압하는 형태로 결합하며, 가압부재(233b)의 상부면은 하부패널(232)의 하부면 테두리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몸체(210) 및 내부몸체(220)의 결합체와 덮개패널(230)의 결합 부위가 실링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는 달리 탄성부재(233a) 및 가압부재(233b)는 두 쌍 이상이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부몸체(220)의 상부면 테두리에 제1 탄성부재-가압부재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내부몸체(220)의 상부면 테두리에 제1 탄성부재-제1 가압부재-제2 탄성부재-제2 가압부재-덮개패널 순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결합체와 덮개패널(230)의 결합부위를 실링시키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탄성부재 및 가압부재가 배치 및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진공제어밸브(240)는 외부몸체(210)와 내부몸체(220) 사이의 간격 내지 공간을 진공형성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몸체(210) 또는 내부몸체(220)에 형성될 수 있다. 진공제어밸브(240)의 형성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덮개패널(230)을 덮었을 때에 진공제어밸브(24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몸체(220)의 내부면에 진공제어밸브(2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제어밸브(240)는 외부몸체(210)와 내부몸체(220) 사이의 간격 내지 공간의 진공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외부에 위치하는 진공펌프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제어밸브(240)는 앞서 진공단열 패널(100)에서 설명하였던 진공제어밸브(13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진공단열 패키징(200)에서 외부몸체(210)와 내부몸체(220) 사이의 간격 내지 공간에는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아르곤(Ar), 크립톤(Kr) 및 제논(Xe)이 충진될 수 있다. 즉, 진공단열 패키징(200)은 GFPs(Gas-filled panels) 단열 패키징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진공제어밸브(130)는 가스 충진 밸브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진공단열 패키징(200)은 진공제어밸브(240)를 통해 상시적으로 진공단열 패키징(200) 내부의 진공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단열 패키징(200)이 외력 등에 의해 일부 파손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파손된 부분을 복구한 후에는 진공제어밸브(240)를 통해 다시 패키징 내부에 진공을 형성시킬 수 있는 바(재진공 가능), 재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몸체(210)와 내부몸체(220) 사이의 간격 내지 공간에는 심재가 배치될 수 있다. 심재는 진공단열 패키징(200)의 내구성을 보완하며, 나아가 단열성을 보완할 수 있다. 심재가 없는 경우에 진공단열 패키징(200)은 내부에 보관시킨 물체가 높은 중량을 갖거나, 진공단열 패키징(200)의 상부에 높은 중량을 갖는 물체가 놓여졌을 때, 상기 물체의 하중에 의해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구체예에서와 같이 심재가 외부몸체(210)와 내부몸체(220) 사이의 간격 내지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고중량 물체의 하중에 보다 견디기 용이한 구조를 갖게 된다. 나아가 심재 역시 단열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진공단열 패키징(200)의 단열성을 보완할 수도 있다. 상기 심재는 앞서 설명한 진공단열 패널(100)의 심재(14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는 바,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심재는 외부몸체(210) 및 내부몸체(220)에 형성된 제1,2 리브(211, 222)에 의해 지지되므로, 심재와 외피(외부몸체 또는 내부몸체)와의 총 접촉면이 적다. 외피와 심재의 접촉면에서의 열전달로 인한 단열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유다. 나아가 상기 심재는 다각기둥 형태의 내부 셀이 연접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1,2 리브(211,222)들이 공기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진공단열 패널(100)에 대한 설명에서 한 바 있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6의 진공단열 패키징(200)과, 진공단열 패키징의 일면에 부착되는 쿨링패드(260)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진공단열 패키징(200)은 외부몸체(210) 또는 덮개패널(230)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한 쿨링패드(260)를 더 포함한다. 쿨링패드(260)는 외부온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진공단열 패키징(300)의 온도유지 성능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쿨링패드(260)는 몸체(261)와, 몸체 내부에 채워지는 다공성 소재(262)를 포함한다. 몸체(261)는 플레이트 형 또는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체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투과성 소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체투과성 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체투과성 소재의 예로는 부직포, 중공섬유를 비롯하여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 소재가 있다.
다공성 소재(262)는 몸체(261) 내부에 채워지는 것으로 표면에 복수의 기공들이 형성된 소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공성 소재(262)의 예로는 제올라이트, 메조기공 실리카(sponge mesoporous silica), 다공성 금속소재 등이 있다.
다공성 소재(262)의 기공에는 흡열물질(263)이 담지된다. 흡열물질(263)은 예컨대 물과 반응하여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한다. 흡열물질(263)의 예로는 무기염;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산성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인산수소 2암모늄, 메타바나드산 암모늄, 염화암모늄, 브롬화암모늄, 요오드암모늄 등의 무기암모늄염; 또는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질산금속염; 및 우레아(요소) 등이 있으며, 상기 나열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쿨링패드(260)의 몸체(261) 배면에는 진공단열 패키징(200)과의 탈부착 가능하도록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고무계 접착제, 아크릴 수지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광학계 접착제, 가열성 접착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쿨링패드(260)는 진공단열 패키징(200)이 배치된 공간에서의 외부온도를 저감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진공단열 패키징(200)이 고온건조한 환경에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쿨링패드(260)를 진공단열 패키징(200)에 부착한 후, 쿨링패드(260)에 물을 공급하면 내부에 몸체(261) 내부에 채워진 다공성 소재(262)에 담지된 흡열물질(263)들이 반응하여 흡열반응을 일으킨다. 구체적으로 흡열물질(263)들이 기화하면서 흡열반응을 일으키면서 진공단열 패키징(200)의 주변 온도를 2~5℃ 가량 저감시키게 되며, 흡열물질(263)의 기화로 발생하는 기화열은 기체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몸체(2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단열 패키징(200)의 외부온도를 저감시켜 진공단열 패키징(200)의 필요열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바, 보다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진공단열 패널 110: 제1 패널
120: 제2 패널 130: 진공제어밸브
140: 심재 150: 실링부
200: 진공단열 패키징 210: 외부몸체
220: 내부몸체 230: 덮개패널
240: 진공제어밸브 260: 쿨링패드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된 일체형의 몸체를 가지며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리브를 포함하는 외부몸체;
    상부가 개방된 일체형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몸체와 결합체를 형성하는 내부몸체;
    상기 결합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패널; 및
    상기 외부몸체 또는 내부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사이 공간의 진공도를 제어하는 진공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몸체, 내부몸체 및 덮개패널은 단열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몸체는, 상부 테두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외부몸체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절곡부와; 외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리브를 포함하는 진공단열 패키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외부몸체의 내부면 전체에 걸쳐 격자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리브는 내부몸체의 외부면 전체에 걸쳐 격자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진공단열 패키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지지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몸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제1 지지보스와 상응하는 위치에 제2 지지보스가 형성되어, 제1 지지보스 및 제2 지지보스가 상호 지지하는 형태를 갖는 진공단열 패키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의 상기 제1 리브 및 제2 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심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심재는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각기둥 형태의 내부 셀이 연접한 구조를 갖는 진공단열 패키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패널은, 하부가 개방된 몸체를 가지며 내부면을 따라 복수의 제3 리브가 형성되는 상부패널과; 상부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을 따라 복수의 제4 리브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상기 내부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및 내부몸체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 부위를 밀봉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진공단열 패키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리브는 상부패널의 내부면 전체에 걸쳐 격자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4 리브는 하부패널의 상부면 전체에 걸쳐 격자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진공단열 패키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내부몸체의 절곡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가압하도록 탄성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하부패널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해 하부패널과 결합하는 진공단열 패키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사이의 공간에는 아르곤(Ar), 크립톤(Kr) 및 제논(Xe)이 충진되는 진공단열 패키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 또는 덮개패널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한 쿨링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쿨링패드는, 기체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채워지는 다공성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소재의 기공에는 흡열물질이 담지되는 진공단열 패키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쿨링패드의 몸체 배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는 진공단열 패키징.
KR1020170081686A 2017-06-28 2017-06-28 진공단열 패널 및 진공단열 패키징 Active KR10189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686A KR101896940B1 (ko) 2017-06-28 2017-06-28 진공단열 패널 및 진공단열 패키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686A KR101896940B1 (ko) 2017-06-28 2017-06-28 진공단열 패널 및 진공단열 패키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112A Division KR102052631B1 (ko) 2018-02-19 2018-02-19 진공단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940B1 true KR101896940B1 (ko) 2018-09-10

Family

ID=6359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686A Active KR101896940B1 (ko) 2017-06-28 2017-06-28 진공단열 패널 및 진공단열 패키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94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656A (ko) * 1996-07-08 2000-04-25 호벤리치 조지 알. 절연 패널
JP3487503B2 (ja) * 2000-02-29 2004-01-19 嘉宏 塩谷 真空防音断熱材
KR200415600Y1 (ko) * 2006-02-22 2006-05-04 임주상 진공단열패널
KR101157935B1 (ko) * 2010-08-26 2012-06-22 이상권 진공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의 진공방법
JP5516451B2 (ja) * 2011-02-21 2014-06-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真空防音パネル
KR20150089495A (ko) * 2014-01-28 2015-08-05 (주)에코메이텍 조립식 패널 및 간격 유지구의 고정위치 산출방법
KR20150089361A (ko) 2014-01-27 2015-08-05 (주)엘지하우시스 진공 단열재
KR101597775B1 (ko) 2014-08-08 2016-02-25 류광남 진공도 제어 유닛을 가지는 진공 단열 박스
JP5938247B2 (ja) * 2012-03-22 2016-06-2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断熱工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656A (ko) * 1996-07-08 2000-04-25 호벤리치 조지 알. 절연 패널
JP3487503B2 (ja) * 2000-02-29 2004-01-19 嘉宏 塩谷 真空防音断熱材
KR200415600Y1 (ko) * 2006-02-22 2006-05-04 임주상 진공단열패널
KR101157935B1 (ko) * 2010-08-26 2012-06-22 이상권 진공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의 진공방법
JP5516451B2 (ja) * 2011-02-21 2014-06-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真空防音パネル
JP5938247B2 (ja) * 2012-03-22 2016-06-2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断熱工法
KR20150089361A (ko) 2014-01-27 2015-08-05 (주)엘지하우시스 진공 단열재
KR20150089495A (ko) * 2014-01-28 2015-08-05 (주)에코메이텍 조립식 패널 및 간격 유지구의 고정위치 산출방법
KR101597775B1 (ko) 2014-08-08 2016-02-25 류광남 진공도 제어 유닛을 가지는 진공 단열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1112B2 (ja) グルーブタイプ真空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120553A1 (en) Honeycomb Structure Element
KR20190001898A (ko) 진공단열 패널
KR101572823B1 (ko) 진공단열패널
JP2013088036A (ja) 断熱箱体、冷蔵庫及び貯湯式給湯器
JP2009092222A (ja) 真空断熱パネルと保温箱
JPH1122050A (ja) 断熱パネル
JP5938247B2 (ja) 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断熱工法
JP2004099145A (ja) 断熱容器
KR101896940B1 (ko) 진공단열 패널 및 진공단열 패키징
JP2005331000A (ja)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蔵庫、並びに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JPWO2014122939A1 (ja) 断熱パネル
JP2013053722A (ja) 真空断熱材及びこれを用いた断熱機器
JP2005207609A (ja) 断熱箱体
JP6382596B2 (ja) 冷蔵庫
JP2015055368A (ja) 真空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JPS62266296A (ja) 断熱体の製造方法
JP6486079B2 (ja) 真空断熱パネルの断熱性能を維持する方法及び冷蔵庫の断熱性能を維持する方法
JP5788714B2 (ja)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KR100664279B1 (ko) 냉장고 캐비넷용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적용한 냉장고 캐비넷의 단열 구조
JP2001141178A (ja) 真空断熱材,断熱容器,断熱容器の製造方法,断熱箱体、および断熱パネル
JP2694356B2 (ja) 断熱構造体
JP2020003210A (ja) 真空断熱パネル及び冷蔵庫
JP6605090B2 (ja) 真空断熱パネル
JP2017106588A (ja) 真空断熱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