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7571B1 - Ventilator with air cleaner - Google Patents

Ventilator with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571B1
KR101897571B1 KR1020160000992A KR20160000992A KR101897571B1 KR 101897571 B1 KR101897571 B1 KR 101897571B1 KR 1020160000992 A KR1020160000992 A KR 1020160000992A KR 20160000992 A KR20160000992 A KR 20160000992A KR 101897571 B1 KR101897571 B1 KR 101897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filter
housing
purif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81944A (en
Inventor
홍현진
박찬정
김형태
김종민
최영광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571B1/en
Priority to PCT/KR2017/000110 priority patent/WO2017119721A1/en
Priority to CN202010199748.4A priority patent/CN111365806B/en
Priority to US16/067,853 priority patent/US10888811B2/en
Priority to CN201780005729.XA priority patent/CN108474573B/en
Publication of KR2017008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9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57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24F3/160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고 환기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고 실내 공기청정기로 사용할 수도 있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실내로 토출시키는 제1 공기정화유닛 및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의 전원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플러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과 체결되어 창호에 장착되는 제2 공기정화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lean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which can be mounted on and detached from a window and can be used as a ventilator or an indoor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irst air purifier unit for sucking outdoor air and purifying the outdoor air and discharging the indoor air to the room; And a second air purifying unit connected to the power plug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lug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clean-compatible ventil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air cleaner.

Description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VENTILATOR WITH AIR CLEANER}[0001] VENTILATOR WITH AIR CLEANER [0002]

본 발명은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에 장착되어 환기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고 실내에 배치하여 공기청정기로 사용할 수도 있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which is mounted on a window and can be used as a ventilating apparatus or an indoor air purifier.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건물의 창호나 벽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고 실외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도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Generally, a ventila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window or a wall of a building, and functions to ventilate the room air, purify the outdoor air, and introduce it into the room.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환기장치는 창호나 벽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 간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기 기능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성이 낮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system is fixedly installed on a window or a wall so that only the ventilation function for circulating air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oom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apparatus is low.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환기장치는 외기를 실내로 도입시키는 외기 도입부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내기 배출부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므로, 실내 환기용 외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워서 장치의 사용성이 낮다.Further, since the conventional ventilating apparatus is constituted by a single unit including an outside air introducing unit for introducing the outside air into the room and an inside air discharging unit for discharging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it is difficult to perform functions other than for indoor air ventilation, .

이와 같이 창호나 벽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환기장치는 국내 공개특허 제2014-0110454호에 개시되어 있다.A conventional ventilation apparatus fixedly installed on a window or a wall as described abov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11045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창호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고 환기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고 실내 공기청정기로 사용할 수도 있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t least some of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which can be mounted on and detached from a window and used as a ventilator,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실내로 토출시키는 제1 공기정화유닛 및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의 전원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플러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과 체결되어 창호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과 독립적으로 공기정화동작을 수행하는 제2 공기정화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 및 제2 공기정화유닛은, 일측에 공기흡입부와 타측에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공기흡입부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는 프리필터부 및 상기 프리필터부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는고,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공기흡입부를 개폐하는 흡입 루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공기토출부를 개폐하는 토출 루버를 구비하며, 상기 흡입 루버와 상기 토출루버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작동모터와, 작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흡입 루버 또는 상기 토출 루버로 전달하는 링크부재에 의해 개폐 동작되고, 상기 흡입 루버는, 실내 공기 정화시에는 상기 공기흡입부를 개방하고, 실내 공기 정화 정지시에는 상기 공기흡입부를 폐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토출 루버는, 실내 공기 정화시에는 상기 공기토출부를 개방하고, 실내 공기 정화 정지시에는 상기 공기토출부를 폐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irst air purifier unit for sucking outdoor air and purifying the outdoor air and discharging the indoor air to the room; And an outlet for connecting the power plug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plug and is coupled to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to be mounted on a window, And a second air purifying unit that performs an air purifying operation independently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wherein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each include a housing having an air suction part on one side and an air discharge part on the other side, A pre-filter unit provided between the air intake unit and the blowing fan, and a blower unit provided between the pre-filter unit and the blowing fan, Wherei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includes a suction lou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air suction unit,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includes a discharge lou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air discharge unit, and the suction louver and the discharge Wherein the louver is operated to open and close by an operating mot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 link member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operating motor to the suction louver or the discharge louver, The indoor unit is opened and the air suction unit is closed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discharge louver opens the air discharge unit when indoor air is cleaned, The air discharge port is closed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Can be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과 제2 공기정화유닛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서로 체결되어 창호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이 실외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2 공기정화유닛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may be arran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nd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cleans the outdoor air So that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can operate to discharge the room air outdoors.

삭제delet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 가능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air purifier can be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필터프레임; 및 상기 필터프레임에 장착되는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air purifier includes: a filter frame capable of being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n air purifying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fram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필터부는, 상부 권취롤러; 상기 상부 권취롤러의 하방에 구비되는 하부 권취롤러; 및 상기 상부 권취롤러와 하부 권취롤러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롤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pre-filter section includes: an upper winding roller; A lower winding roller provided below the upper winding roller; And a roll filter wound around the upper winding roller and the lower winding roller and rotating.

여기서, 상기 롤필터는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2겹으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roll filter may be provided in two layers in front of the blowing fan.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 및 제2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롤필터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먼지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may include a dust tray provided below the roll filter and capable of being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에 구비되는 먼지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제2 공기정화유닛에 구비되는 먼지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dust tray provided in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may be drawn out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dust tray provided in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drawn out to one side of the housing .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먼지트레이에는 상기 롤필터의 표면을 브러싱(Brushing)하는 브러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dust tray may be provided with a brush member for brushing the surface of the roll filter.

삭제delet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이 체결된 경우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의 전원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를 구비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may include an outlet to which the power plug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is connected when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is engag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유닛 및 제2 공기정화유닛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의 외곽을 둘러싸고 내측에 상기 공기정화부와 상기 프리필터부가 수용되는 팬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an guide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and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owing fan and has the air purifying unit and the pre-filter unit inside thereof.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팬가이드는 상기 프리필터부 및 상기 공기정화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송풍팬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송풍팬의 외곽에서 상기 프리필터부의 외곽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an guide may extend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pre-filter section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blowing fan to guide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section and the air purifying section to the blowing fan.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팬가이드는, 내측에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팬케이싱부; 내측에 상기 공기정화부가 배치되는 정화필터케이싱부; 및 내측에 상기 프리필터부가 배치되는 프리필터케이싱부;를 구비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fan guide may include: a fan casing portion having the blowing fan disposed therein; A purifying filter casing unit in which the air purifying unit is disposed inside; And a pre-filter casing portion having the pre-filter portion disposed inside thereof.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창호에 설치되어 환기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고 실내 공기청정기로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범위가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it can be installed in a window and used as a ventilation device or as an indoor air purifier,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se range of the device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가 창호에 설치된 모습을 실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가 창호에 설치된 모습을 실외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가 창호에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에 포함되는 제1 공기정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공기정화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 공기정화유닛의 공기정화부 및 먼지트레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 공기정화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에 포함되는 제2 공기정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 공기정화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2 공기정화유닛의 공기정화부 및 먼지트레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제2 공기정화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도 4에 도시된 제1 공기정화유닛에 포함되는 제1 팬가이드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및 (b)는 도 8에 도시된 제2 공기정화유닛에 포함되는 제2 팬가이드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n indoor air-cleaning venti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window. FIG.
FIG. 2 is a rear view of the air cleaner-use ventilator shown in FIG. 1 installed on a window from outsid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ntilating apparatus for air cleaning shown in FIG. 1 is separated from a window.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included in the ventilation apparatus for air cleaning shown in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shown i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ir purifier and the dust tray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shown in FIG. 4 are separated.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shown i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included in the ventilation apparatus for air cleaning shown in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shown in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purifying unit and a dust tray of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shown in FIG. 8 separated. FIG.
1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shown in Fig.
12 (a) and 12 (b)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an guide included in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shown in FIG. 4;
13 (a) and 13 (b)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fan guide included in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shown in FIG. 8;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1 to 3,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air clean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100)는 제1 공기정화유닛(101) 및 제2 공기정화유닛(102)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an air clean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a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10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가 열린 공간에 장착가능한 독립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may be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open space of the window 1. [

이러한 제1 공기정화유닛(101)은 일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타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can suck air to one side and purify it, and then discharge the air to the other side.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은 창호(1)에 장착된 경우 실외측에 배치되는 실외측면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면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air to the side of the room disposed on the indoor side after the air is sucked and cleaned by the outdoor side disposed on the outdoor side when mounted on the window 1.

여기서, 상기 창호(1)는 창문 및 출입문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실내와 실외 간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현관문, 방 창문, 거실 창문 및 베란다 창문 등을 의미한다.
Here, the window (1) is a concept including a window and a door, which means an entrance door, a window, a living room window, and a veranda window in which air can flow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상기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가 열린 공간에 장착가능한 독립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102 may be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open space of the window 1 as shown in FIGS.

이러한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마찬가지로 일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타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The second air purifier unit 102 can suck and purify air to one side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other side as in the first air purifier unit 101.

일 실시예에서,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반대로, 창호(1)에 장착된 경우 실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면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실외측에 배치되는 실외측면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as opposed to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sucks air to the side of the room disposed on the indoor side when it is mounted on the window 1, As shown in Fig.

이러한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서로 독립적으로 공기정화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can perform the air purifying operatio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즉,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제2 공기정화유닛(102) 각각은 일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타측으로 토출시키면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may have an air purifying function for purifying the room air while sucking and purifying the air to one side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other sid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된 상태로 창호(1)에 장착될 수 있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102 may be arran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nd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and fastened to the window 1 .

한편,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제2 공기정화유닛(102)이 서로 체결되어 창호(1)에 장착된 경우, 제1 공기정화유닛(101)은 실외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고,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102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mounted on the window 1,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101 purifies the outdoor air,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102 can discharge indoor air to the outsid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100)는 서로 독립적으로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제2 공기정화유닛(102)을 구비하며, 이러한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제2 공기정화유닛(102)을 창호(1)에서 분리하고 실내에 배치하여 작동시키는 경우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제2 공기정화유닛(102)이 서로 독립된 2대의 공기청정기를 구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air clean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a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capable of independently perform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When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are separated from the window 1 and placed in the room for operation,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 Can constitute two independent air cleaners.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100)는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제2 공기정화유닛(102)이 서로 체결되어 창호(1)나 벽체에 설치되어 환기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제1 공기정화유닛(101)이 실외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도입시키는 외기 도입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공기정화유닛(102)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ir purify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e window 1 or the wall,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can function as an outside air introducing portion for purifying outdoor air and introducing the outdoor air into the room,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can function as an air purifying uni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discharging function.

여기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제2 공기정화유닛(102)이 서로 체결되어 창호(1)나 벽체에 설치되는 경우, 일 예로, 실외 공기를 실내 공간의 상부로 유입시켜 실내 공기가 상하로 순환할 수 있도록 제1 공기정화유닛(101)이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case where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102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e window 1 or the wall, for example,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space,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so that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can be circulated up and d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100)를 구성하는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4 to 11,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102 constituting the air cleaning combined air ventil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정화유닛(101)은 하우징(110), 송풍팬(120), 프리필터부(130), 공기정화부(140), 제1 팬가이드(191), 먼지트레이(150) 및 브러시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4 to 7,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includes a housing 110, a blowing fan 120, a pre-filter unit 130, an air purifying unit 140, A guide 191, a dust tray 150, and a brush member 160.

또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마찬가지로 하우징(110), 송풍팬(120), 프리필터부(130), 공기정화부(140), 먼지트레이(150) 및 브러시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8 to 11,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includes a housing 110, a blowing fan 120, a pre-filter unit 130, An air cleaning unit 140, a dust tray 150, and a brush member 160. [

한편,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제1 팬가이드(191)와 형태가 다른 제2 팬가이드(19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air purifier unit 102 may include a second fan guide 192 having a different shape from the first fan guide 191 of the first air purifier unit 101.

상기 하우징(110)은 제1 공기정화유닛(101) 및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외관을 구성하며, 후술할 송풍팬(120), 프리필터부(130), 공기정화부(140) 및 먼지트레이(150)가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The housing 110 constitutes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and includes a blowing fan 120, a pre-filter unit 130, an air purifying unit 140, And the dust tray 150 are accommodated.

이러한, 하우징(110)은 일측(전면 또는 후면)에 외부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부(112)를 구비할 수 있고, 타측(후면 또는 전면)에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n air intake part 112 on one side (front or back) of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housing 110 and on the other side (rear or front) And an air discharge unit 116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은 공기흡입부(112)가 하우징(1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고 공기토출부(116)가 하우징(1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may include an air suction unit 112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an air discharge unit 116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

이와 반대로,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공기흡입부(112)가 하우징(1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공기토출부(116)가 하우징(1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 air discharging portion 116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여기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 및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하우징(110)의 공기 흡입 및 토출 방향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120)의 회전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air sucking and discharging directions of the housing 110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are determined by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lowing fan 12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Can be determin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에는 공기흡입부(112)를 개폐하는 흡입 루버(113)가 구비될 수 있다. Also,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louver 1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suction part 112.

상기 흡입 루버(113)는 제1 공기정화유닛(101)이 작동될 때 공기흡입부(112)를 개방하고,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작동이 정지되면 공기흡입부(112)를 폐쇄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The suction louver 113 opens the air suction part 112 whe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is operated and closes the air suction part 112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is stopped So that foreign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housing 110.

일 예로, 흡입 루버(113)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작동모터(114)와, 작동모터(114)의 동력을 흡입 루버(113)에 전달하는 링크부재(115)에 의해 개폐 동작할 수 있다. The suction louver 113 is operated by an operation motor 114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a link member 115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operation motor 114 to the suction louver 113. [ can do.

이러한 흡입 루버(113)는 제1 공기정화유닛(101)이 창호(1)에 장착된 경우 실외에 배치될 수 있다. Such a suction louver 113 can be disposed outdoors whe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is mounted on the window 1.

그리고,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하우징(110)의 공기토출부(116)에는 그릴이 구비될 수도 있다. The air discharge unit 116 of the housing 110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may be provided with a grill.

한편, 일 실싱예에서, 제2 공기정화유닛(102)에는 공기토출부(116)를 개폐하는 토출 루버(116)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ingle-chamber type air conditioner, the second air purifier unit 102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louver 1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discharge unit 116.

상기 토출 루버(116)는 제2 공기정화유닛(102)이 작동될 때 공기토출부(116)를 개방하고,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작동이 정지되면 공기토출부(116)를 폐쇄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The discharge louver 116 opens the air discharge portion 116 when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102 is operated and closes the air discharge portion 116 whe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102 is stopped So that foreign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housing 110.

일 예로, 토출 루버(116)는 상기 흡입 루버(113)와 마찬가지로 작동모터(114)와 링크부재(115)에 의해 개폐 동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charge louvers 116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motor 114 and the link member 115 in the same manner as the suction louver 113.

즉, 일 실시예에서, 토출 루버(116) 및 흡입 루버(11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at is, in one embodiment, the discharge louver 116 and the suction louver 113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토출 루버(116)는 제2 공기정화유닛(102)이 창호(1)에 장착된 경우 실외에 배치될 수 있다. This discharge louver 116 can be disposed outdoors when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102 is mounted on the window 1.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100)가 창호(1)에 설치되어 실내 환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되는 경우,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공기흡입부(112)와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공기토출부(116)가 실외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공기토출부(116)와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공기흡입부(112)가 실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air clean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window 1 and is used to perform an indoor ventilation operation, the air intake part 112 (first air purifying unit) And the air discharging portion 116 of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can be disposed outdoors and the air discharging portion 116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The air suction portion 112 can be disposed indoors.

상기 송풍팬(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공기가 공기흡입부(112)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된 후 공기토출부(116)를 통해 다시 하우징(1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air blowing fan 12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housing 110 through the air suction part 112 and then through the air discharging part 116 to the housing 11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air flow so a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송풍팬(12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날개의 회전속도(RPM) 조절을 통해 풍속을 조절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팬(Fan)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lowing fan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onfigured as a variety of known fan devices capable of adjusting the wind spe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blades.

도 4 내지 도 11에는 송풍팬(120)이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방향으로 토출하는 축류팬으로 구성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심팬, 측류팬 및 사류팬 등 다양한 타입의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4 to 11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the blowing fan 120 is configured as an axial flow fan that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the air in the axial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centrifugal fan, a side flow fan, And the like.

상기 프리필터부(130)는 공기흡입부(112)와 송풍팬(120)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흡입부(112)로 흡입된 공기 중의 비교적 큰 먼지를 여과할 수 있다. The pre-filter uni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air suction unit 112 and the blowing fan 120 and can filter relatively large dust in the air sucked into the air suction unit 112.

일 실시예에서, 프리필터부(130)는 송풍팬(120)의 상단 높이에 배치되는 상부 권취롤러(132)와, 송풍팬(120)의 하단 높이에 배치되는 하부 권취롤러(134) 그리고, 상부 권취롤러(132)와 하부 권취롤러(134)에 벨트형태로 권취되어 회전하는 롤필터(13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filter unit 130 includes an upper wind-up roller 132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blowing fan 120, a lower wind-up roller 134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blowing fan 120, And a roll filter 136 wound in a belt form on the upper take-up roller 132 and the lower take-up roller 134 and rotated.

여기서, 상기 롤필터(136)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통과하는 공기 중의 비교적 큰 먼지를 여과할 수 있다. Here, the roll filter 136 is made of a breathable material through which air passes, and can filter a relatively large dust in air passing through it.

이와 같은 구성에서, 롤필터(136)는 상부 권취롤러(132) 및 하부 권취롤러(13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roll filter 136 can b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upper take-up roller 132 and the lower take-up roller 134.

또한, 일 실시예에서, 롤필터(136)는 상부 권취롤러(132) 및 하부 권취롤러(134)에 벨트형태로 권취된 구조를 통해 송풍팬(120)의 전방(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에 2겹으로 구비될 수 있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roll filter 136 is disposed in front of the blowing fan 120 (in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sucked) through a structure wound in a belt form on the upper winding roller 132 and the lower winding roller 134 Two layers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2겹으로 구비된 롤필터(136)는 먼지를 2중으로 여과할 수 있으므로, 먼지 여과성능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roll filter 136, which is provided in two layers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of being excellent in dust filtering performance since dust can be filtered in a double manner.

상기 공기정화부(140)는 프리필터부(130)와 송풍팬(120)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 악취,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제거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140 is provided between the pre-filter unit 130 and the blower fan 120 to remove fine dust, odors, bacteria, viruses, and the like in the air.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부(140)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탈 가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ir purifier 140 may be removable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S. 6 and 10.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부(140)는 슬라이드되어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필터프레임(142)과, 필터프레임(142)에 장착되는 공기정화필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the air purifier 140 includes a filter frame 142 that is slidabl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an air filter 144 that is mounted to the filter frame 142 .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에는 필터프레임(142)이 하우징(110) 내부로 인입되는 필터장착부(118)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mount 118 through which the filter frame 142 is drawn into the housing 110.

여기서, 공기정화필터(144)는 필터프레임(142)에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Here, the air filter 144 may be mounted on and separated from the filter frame 142.

일 예로, 공기정화필터(144)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악취,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헤파(HEPA)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단일 필터 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필터가 중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air purifying filter 144 may be a HEPA filter capable of removing fine dust, odors, bacteria, and viruses in the passing ai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 plurality of filters having various functions may be superimposed.

이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필터프레임(142)을 인출하여 공기정화필터(144)를 용이하게 교체 및 청소할 수 있으며, 공기정화필터(144)를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필터프레임(142)에서 공기정화필터(144)를 제거한 후 필터프레임(142)만 하우징(110)에 인입시킨 채로 제1 공기정화유닛(101) 및 제2 공기정화유닛(102)을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easily replace and clean the air purifying filter 144 by pulling out the filter frame 142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air purifying filter 144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may be used while only the filter frame 142 is drawn into the housing 110 after the air purifying filter 144 is removed from the filter frame 142 .

상기 제1 팬가이드(191)는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송풍팬(120), 프리필터부(130) 및 공기정화부(14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The first fan guide 191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supports the blowing fan 120, the pre-filter unit 130 and the air purifying unit 140 It is a structure.

이러한 제1 팬가이드(191)는 도 12 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20), 프리필터부(130) 및 공기정화부(140)의 외곽을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롤필터(136), 공기정화필터(144) 및 송풍팬(120)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first fan guide 191 integrally surrounds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blowing fan 120, the pre-filter unit 130, and the air purifying unit 140 as shown in FIGS. 12 (a) and 12 (b) So that leakage of air flowing into the roll filter 136, the air filter 144, and the blowing fan 120 can be minimized.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1 팬가이드(191)는 내측에 송풍팬(120)이 결합되는 팬케이싱부(194)와, 내측에 프리필터부(130)가 결합되는 프리필터케이싱부(195)와, 내측에 공기정화부(140)가 결합되는 정화필터케이싱부(196)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fan guide 191 may include a fan casing unit 194 having a blowing fan 120 coupled to the inside thereof and a prefilter casing unit And a purge filter casing unit 196 to which the air purifier 140 is coupled.

여기서, 제1 팬가이드(191)의 팬케이싱부(194), 프리필터케이싱부(195) 및 정화필터케이싱부(196)는 모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Here, the fan casing portion 194, the pre-filter casing portion 195, and the purge filter casing portion 196 of the first fan guide 191 can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즉, 제1 팬가이드(191)는 송풍팬(120)의 외곽을 둘러싸는 중공형 덕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기정화필터(144) 및 롤필터(136)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송풍팬(120)의 공기흡입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fan guide 191 may have a hollow duct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owing fan 120, and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ir filtering filter 144 and the roll filter 136, 120 in the direction of air suction.

또한, 일 실시에에서, 정화필터케이싱부(196)의 일측에는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필터프레임(142)이 인출 및 인입되기 위한 인출입홈(198)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ne side of the purge filter casing portion 196 may be provided with a draw-out groove 198 for drawing out the filter frame 142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이와 같은 제1 팬가이드(191)는 내측에 프리필터부(130), 공기정화부(140) 및 송풍팬(120)이 배치되는 일체형의 공기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송풍팬(12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롤필터(136) 및 공기정화필터(144)를 우회하는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first fan guide 191 is formed by a single air flow path in which the pre-filter unit 130, the air purifying unit 140 and the air blowing fan 120 are disposed insid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eakage of air from the air blown through the roll filter 136 and the air purifying filter 144. [

한편, 제2 공기정화유닛(102)에는 상기 제1 팬가이드(191) 대신 제2 팬가이드(192)가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102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an guide 192 instead of the first fan guide 191.

상기 제2 팬가이드(192)는 제1 팬가이드(191)와 마찬가지로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송풍팬(120), 프리필터부(130) 및 공기정화부(14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Like the first fan guide 191, the second fan guide 192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of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and the blower fan 120, the pre-filter unit 130, And supports the air purifier 140.

이러한 제2 팬가이드(192)는 도 13 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20), 프리필터부(130) 및 공기정화부(140)의 외곽을 일체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롤필터(136), 공기정화필터(144) 및 송풍팬(120)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13 (a) and 13 (b), the second fan guide 192 integrally surrounds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blowing fan 120, the pre-filter unit 130, and the air purifying unit 140 So that leakage of air flowing into the roll filter 136, the air filter 144, and the blowing fan 120 can be minimized.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2 팬가이드(192)는 제1 팬가이드(191)와 마찬가지로, 내측에 송풍팬(120)이 결합되는 팬케이싱부(194)와, 내측에 프리필터부(130)가 결합되는 프리필터케이싱부(195)와, 내측에 공기정화부(140)가 결합되는 정화필터케이싱부(19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정화필터케이싱부(196)의 일측에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필터프레임(142)이 인출 및 인입되기 위한 인출입홈(198)을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an guide 192 has a fan casing portion 194 in which a blowing fan 12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an guide 191, and a free filter portion The purge filter casing unit 196 may include a prefilter casing unit 195 to which the purge filter casing unit 196 is coupled and a purge filter casing unit 196 to which the air purifier unit 140 is coupled. 110 may be provided with a draw-out groove 198 for drawing out and drawing the filter frame 142.

또한, 이러한 제2 팬가이드(192)는 제1 팬가이드(191)와 마찬가지로, 팬케이싱부(194), 프리필터케이싱부(195) 및 정화필터케이싱부(196)가 모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송풍팬(120)의 외곽을 둘러싸는 중공형 덕트 구조로 구성되며 공기정화필터(144) 및 롤필터(136)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송풍팬(120)의 공기흡입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fan guide 19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an casing portion 194, the pre-filter casing portion 195 and the purge filter casing portion 196 in a manner similar to the first fan guide 191 And is formed of a hollow duct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owing fan 120 and extends in the air suction side direction of the blowing fan 12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ir filtering filter 144 and the roll filter 136 .

일 실시예에서, 제1 팬가이드(191)와 제2 팬가이드(192)의 차이점은 팬케이싱부(194), 프리필터케이싱부(195) 및 정화필터케이싱부(196)가 형성된 배치구조의 방향성이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an guide 191 and the second fan guide 192 is that the fan casing portion 194, the prefilter casing portion 195, and the purge filter casing portion 196 are formed. Directional.

다시 말해, 제1 팬가이드(191)는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하우징(110)의 전면 및 후면 방향을 기준으로, 정화필터케이싱부(196)의 전단에 팬케이싱부(194)가 구비되고 정화필터케이싱부(196)의 후단에 프리필터케이싱부(195)가 에 구비된다. In other words, the first fan guide 191 has a fan casing portion 194 at the front end of the purge filter casing portion 196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housing 110 of the first air purifier unit 101 And a pre-filter casing portion 195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urge filter casing portion 196. [

이와 반대로, 제2 팬가이드(192)는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하우징(110)의 전면 및 후면 방향을 기준으로, 정화필터케이싱부(196)의 전단에 프리필터케이싱부(195)가 구비되고 정화필터케이싱부(196)의 후단에 팬케이싱부(194)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an guide 192 has a prefilter casing portion 195 at the front end of the purge filter casing portion 196, with reference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housing 110 of the second air purifier unit 102. [ And a fan casing portion 194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urifying filter casing portion 196. [

이와 같은 제1 팬가이드(191) 및 제2 팬가이드(192)의 구조를 통해, 제1 공기정화유닛(101) 및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롤필터(136) 및 공기정화필터(144)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송풍팬(120)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first fan guide 191 and the second fan guide 192,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are connected to the roll filter 136 and the air purifying filter 144 can be configured to flow to the blowing fan 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100)는 필터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송풍팬(120)으로 흡입되게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에 의한 송풍팬(120)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ventilation device 100 for air purify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to be sucked into the blowing fan 120 to minimize the contamination of the blowing fan 120 by the contaminated air have.

상기 먼지트레이(150)는 롤필터(136)의 하방에 구비되어, 롤필터(136)에 포집되어 낙하하는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The dust tray 150 is provided below the roll filter 136 and can store the dust that is caught by the roll filter 136 and drops.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에 구비되는 먼지트레이(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타측(전면)으로 인출 가능할 수 있고, 제2 공기정화유닛(102)에 구비되는 먼지트레이(1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하우징(110)의 일측(전면)으로 인출 가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ust tray 150 provided i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can be drawn out to the other sid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6,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The dust tray 150 provided in the second air purifier unit 102 can be drawn to one sid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of the second air purifier unit 102 as shown in FIG.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 및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먼지트레이(150)가 인출 및 인입되는 트레이 장착홈(119)이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a tray mounting groove 119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to draw the dust tray 150 thereinto. .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공기정화유닛(101) 및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먼지트레이(150)에 저장된 먼지의 무게 또는 적재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먼지트레이(150)에 저장된 먼지 제거 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102 are provided with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weight or stack height of dust stored in the dust tray 150, And a function of informing the user of the dust removal time stored in the dust removal unit 150.

상기 브러시부재(160)는 먼지트레이(150)에 구비되며, 롤필터(136)의 회전에 따라 롤필터(136)의 표면을 브러싱(Brushing)할 수 있다. The brush member 160 is provided in the dust tray 150 and can brush the surface of the roll filter 136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ll filter 136.

일 실시예에서, 브러시부재(160)는 먼지트레이(150)가 하우징(110)에 인입된 경우 롤필터(136)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롤필터(136)의 회전에 의해 롤필터(136)의 표면을 브러싱함으로써 롤필터(136)에 포집된 먼지를 모을 수 있다. The brush member 160 is provided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 filter 136 when the dust tray 150 is drawn into the housing 110 so that the roll filter 136 is rotated by the roll filter 136, The dust collected in the roll filter 136 can be collected by brushing the surface of the filter 136.

이때, 브러시부재(160)에 의해 모인 먼지는 낙하하여 먼지트레이(150)에 저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ust collected by the brush member 160 can be dropped and stored in the dust tray 150.

이러한 브러시부재(160)는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작동시 롤필터(136)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brush member 160 perform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leaning the roll filter 136 during operation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공기정화유닛(101)이 작동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루버(113)가 개방되고 송풍팬(120)이 회전하여, 공기가 공기흡입부(112)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되어 롤필터(136) 및 공기정화필터(144)를 통과한 후 공기토출부(116)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the suction louver 113 is opened and the blowing fan 120 is rotated as shown in FIG. 7, and air is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part 112 The air is sucked into the housing 110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ing portion 116 after passing through the roll filter 136 and the air filtering filter 144.

이러한 제1 공기정화유닛(10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에 설치된 경우 공기흡입부(112)가 실외에 배치되고 공기토출부(116)가 실내에 배치되어,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실내로 도입시킬 수 있다. 1 and 2,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is disposed outside the air intake unit 112 and the air discharge unit 116 is disposed inside the window 1, The outdoor air can be sucked and purified,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room.

또한, 이러한 제1 공기정화유닛(101)은 창호(1)에서 분리되어 실내에 배치되어 작동되는 경우 실내 공기를 공기흡입부(112)를 통해 흡입하여 정화한 후 공기토출부(116)를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is detached from the window 1 and is disposed in the room and operated,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unit 112 to be purified, and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116 And can be used as an air cleaner for purifying the indoor air by discharging it to the room again.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은 하단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플러그(170)를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may include a power plug 170 for supplying power to the lower end thereof.

여기서, 전원플러그(170)에 연결된 전선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외부로 길게 인출될 수 있다.
Here,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power plug 1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may be extended to the outside if necessary.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제2 공기정화유닛(102)이 작동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루버(116)가 개방되고 송풍팬(120)이 회전하여, 공기가 공기흡입부(112)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되어 롤필터(136) 및 공기정화필터(144)를 통과한 후 공기토출부(116)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11, the discharge louver 116 is opened and the blowing fan 120 is rotated, so that the air is sucked into the air suction unit 112, The air can be sucked into the housing 110 through the air filter 116 and the air filter 114 after passing through the roll filter 136 and the air filter 144.

이러한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에 설치된 경우 공기흡입부(112)가 실내에 배치되고 공기토출부(116)가 실외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1 and 2, the second air purifier unit 102 is disposed in the room when the air suction unit 112 is installed in the window 1 and the air discharge unit 116 is disposed outside the room, Indoor air can be suck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여기서,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여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2 공기정화유닛(102)이 창호(1)에 설치되어 실내 환기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공기정화필터(144)를 필터프레임(142)에서 제거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102 is installed in the window 1 to perform the indoor ventilation function, the air cleaning filter 144 is installed in the filter frame 120. [ (142).

이때,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 송풍팬(12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롤필터(136)는 제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air blowing fan 120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dust contained in the room air, the roll filter 136 is preferably not removed.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 및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프리필터부(130)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리필터부(130)도 공기정화부(14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10)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re-filter unit 1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The pre-filter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housing 110 just like the air purifier 140. [

한편, 이러한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창호(1)에서 분리되어 실내에 배치되어 작동되는 경우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마찬가지로 실내 공기를 공기흡입부(112)를 통해 흡입하여 정화한 후 공기토출부(116)를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청정기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when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is separated from the window 1 and is disposed in the room and operated,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unit 112 and cleaned like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through the air discharging portion 116 to be used as an air cleaner for purifying indoor air.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2 공기정화유닛(102)도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마찬가지로 하단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플러그(17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원플러그(170)에 연결된 전선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길게 인출될 수 있다.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plug 170 for supplying power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plug 170 The electric wire can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과 제2 공기정화유닛(102)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체결되어 창호(1)에 설치되는 경우, 제1 공기정화유닛(101) 은 제2 공기정화유닛(102)을 매개로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1 and 2, whe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102 are installed on the window 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ir purifying unit 101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via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2 공기정화유닛(102)은 제1 공기정화유닛(101)이 체결된 경우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전원플러그(170)가 연결되는 콘센트(180)를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includes an outlet 180 to which the power plug 170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is connected when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101 is fastened, .

일 실시예에서, 콘센트(180)는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전원플러그(170)는 전선이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하우징(1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하단에 짧게 인출된 상태로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상단에 구비된 콘센트(180)에 결합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utlet 180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102. Here, the power plug 170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draws the electric wire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and draws it out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ir cleaning unit 101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being coupled to the outlet 18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102. [

이와 같이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전원플러그(170)가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콘센트(180)에 연결된 경우, 제2 공기정화유닛(102)의 전원플러그(170)가 연결된 외부 전원이 제1 공기정화유닛(101)의 하우징(110) 내부에서 콘센트(180)에 연결된 전선(미도시)을 통해 제1 공기정화유닛(101)에도 공급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power plug 170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101 is connected to the outlet 180 of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102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plug 170 of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102 is connected The external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101 through the electric wire (not shown) connected to the outlet 180 inside the housing 110 of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101.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1: 창호
100: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101: 제1 공기정화유닛 102: 제2 공기정화유닛
110: 하우징 112: 공기흡입부
113: 흡입 루버 114: 작동모터
115: 링크부재 116: 공기토출부
117: 토출 루버 118: 필터장착부
119: 트레이 장착홈 120: 송풍팬
130: 프리필터부 132: 상부 권취롤러
134: 하부 권취롤러 136: 롤필터
140: 공기정화부 142: 필터프레임
144: 공기정화필터 150: 먼지트레이
160: 브러시부재 170: 전원플러그
180: 콘센트 191: 제1 팬가이드
192: 제2 팬가이드 194: 팬케이싱부
195: 프리필터케이싱부 196: 정화필터케이싱부
198: 인출입홈
1: window
100: Ventilation system combined with air purification
101: first air purification unit 102: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110: housing 112: air intake part
113: Suction louver 114: Operation motor
115: link member 116: air discharge portion
117: discharge louver 118: filter mounting part
119: tray mounting groove 120: blowing fan
130: prefilter 132: upper winding roller
134: lower winding roller 136: roll filter
140: air purifier 142: filter frame
144: air purifying filter 150: dust tray
160: Brush member 170: Power plug
180: outlet 191: first fan guide
192: second fan guide 194: fan casing part
195: prefilter casing unit 196: purge filter casing unit
198: withdrawal entrance

Claims (15)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실내로 토출시키는 제1 공기정화유닛; 및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의 전원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플러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과 체결되어 창호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과 독립적으로 공기정화동작을 수행하는 제2 공기정화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 및 제2 공기정화유닛은,
일측에 공기흡입부와 타측에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공기흡입부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는 프리필터부; 및
상기 프리필터부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는고,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공기흡입부를 개폐하는 흡입 루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공기토출부를 개폐하는 토출 루버를 구비하며,
상기 흡입 루버와 상기 토출루버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작동모터와, 작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흡입 루버 또는 상기 토출 루버로 전달하는 링크부재에 의해 개폐 동작되고,
상기 흡입 루버는, 실내 공기 정화시에는 상기 공기흡입부를 개방하고, 실내 공기 정화 정지시에는 상기 공기흡입부를 폐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토출 루버는, 실내 공기 정화시에는 상기 공기토출부를 개방하고, 실내 공기 정화 정지시에는 상기 공기토출부를 폐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A first air purifying unit for purifying the outdoor air by sucking outdoor air and discharging it to the room; And
A first air purifying unit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and operable to discharge indoor air to the outside of the room and having a receptacle connected to the power plug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power plug, A second air purifier unit coupled to the air purifier unit and mounted on the window, the air purifier unit performing an air purge operation independently of the first air purifier unit;
/ RTI >
The first air pur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unit may include:
A housing having an air suction part on one side and an air discharge part on the other side;
A blowing fa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pre-filter unit provided between the air suction unit and the blowing fan; And
And an air purifier provided between the pre-filter unit and the blower fan,
Wherei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includes a suction lou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suction unit, and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has a discharge lou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discharge unit,
Wherein the suction louver and the discharge louver are respectively operated by an operation mot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 link member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operation motor to the suction louver or the discharge louver,
Wherein the suction louver opens the air suction part when the room air is cleaned and blocks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closing the air suction part when the indoor air is stopped,
Wherein the discharge louver opens the air discharging portion at the time of purifying the indoor air and closes the air discharging portion at the time of stopping the indoor air purging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air purifier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필터프레임; 및
상기 필터프레임에 장착되는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ir-
A filter frame capable of being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nd an air purifying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부는,
상부 권취롤러;
상기 상부 권취롤러의 하방에 구비되는 하부 권취롤러; 및
상기 상부 권취롤러와 하부 권취롤러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롤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
An upper winding roller;
A lower winding roller provided below the upper winding roller; And
And a roll filter wound around the upper winding roller and the lower winding roller and rotat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필터가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2겹으로 구비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roll filter is provided in two layers in front of the blowing fa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 및 제2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롤필터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먼지트레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include a dust tray provided below the roll filter and capable of being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정화유닛에 구비되는 먼지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제2 공기정화유닛에 구비되는 먼지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ust tray provided in the first air cleaning unit is extendable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dust tray provided in the second air cleaning un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to one side of the hou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트레이에는 상기 롤필터의 표면을 브러싱(Brushing)하는 브러시부재가 구비된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ust tray is provided with a brush member for brushing the surface of the roll fil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기정화유닛 및 제2 공기정화유닛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의 외곽을 둘러싸고 내측에 상기 공기정화부와 상기 프리필터부가 수용되는 팬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an guid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of the first air purifying unit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unit an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owing fan and containing the air purifying unit and the pre-filter unit inside the air purifying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팬가이드는 상기 프리필터부 및 상기 공기정화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송풍팬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송풍팬의 외곽에서 상기 프리필터부의 외곽으로 연장된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an guide extends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pre-filter unit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blowing fan so as to guide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unit and the air purifying unit to the blowing fa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팬가이드는,
내측에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팬케이싱부;
내측에 상기 공기정화부가 배치되는 정화필터케이싱부; 및
내측에 상기 프리필터부가 배치되는 프리필터케이싱부;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an guide
A fan casing unit having the blowing fan disposed therein;
A purifying filter casing unit in which the air purifying unit is disposed inside; And
And a pre-filter casing portion in which the pre-filter portion is disposed.
KR1020160000992A 2016-01-05 2016-01-05 Ventilator with air cleaner Active KR1018975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992A KR101897571B1 (en) 2016-01-05 2016-01-05 Ventilator with air cleaner
PCT/KR2017/000110 WO2017119721A1 (en) 2016-01-05 2017-01-04 Air purifying unit and air cleaning/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same
CN202010199748.4A CN111365806B (en) 2016-01-05 2017-01-04 Air cleaning unit and air cleaning/ventil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6/067,853 US10888811B2 (en) 2016-01-05 2017-01-04 Air purifying unit and air cleaning/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same
CN201780005729.XA CN108474573B (en) 2016-01-05 2017-01-04 Air cleaning units and air cleaning/ventilation devices including air cleaning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992A KR101897571B1 (en) 2016-01-05 2016-01-05 Ventilator with air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44A KR20170081944A (en) 2017-07-13
KR101897571B1 true KR101897571B1 (en) 2018-09-12

Family

ID=5935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992A Active KR101897571B1 (en) 2016-01-05 2016-01-05 Ventilator with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5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22A (en) * 2017-09-18 2019-03-2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Window type air cleaning system
KR102002166B1 (en) * 2017-12-11 2019-07-23 주식회사 엔이알 Filter apparatus for window
KR102186948B1 (en) * 2018-03-16 2020-12-04 김승민 Air purifier for window
KR102081188B1 (en) * 2018-11-05 2020-02-25 주식회사 아지즈 Window-frame-combined Ventilation Cleaner
KR102197834B1 (en) * 2019-06-05 2021-01-04 황재호 Air cleaner
KR102228261B1 (en) * 2019-07-01 2021-03-1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Window ventilation device for deleting fine dust using electric field
KR102081593B1 (en) * 2019-07-25 2020-02-26 주식회사 이루미 Air-cleaner using tubular filter
KR102050298B1 (en) * 2019-07-25 2019-12-02 주식회사 이루미 Air-cleaner with ventilation
KR102228656B1 (en) * 2019-08-30 2021-03-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elf-generated ventilation clean system,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2357712B1 (en) 2020-05-08 2022-02-03 주식회사 세방씨앤에프 Air Cleaning and Circulating Apparatus using Roll type Filter
KR102835315B1 (en) * 2020-12-24 2025-07-1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Air inlet arrangement structure and window frame type air conditio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302B1 (en) * 2005-06-15 2006-09-20 남선산업 (주) Ventilation module window system
KR100715337B1 (en) * 2005-12-30 2007-05-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Blowing structure of packaged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248A (en) * 2005-04-27 2005-08-04 노재용 Window frame strcuture having a ventilation and air cleanness function
KR20110035636A (en) * 2009-09-30 2011-04-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ter unit of air purifier
KR20120029490A (en) * 2010-09-16 2012-03-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Air conditioner having rolled fil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302B1 (en) * 2005-06-15 2006-09-20 남선산업 (주) Ventilation module window system
KR100715337B1 (en) * 2005-12-30 2007-05-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Blowing structure of package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44A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571B1 (en) Ventilator with air cleaner
CN111365806B (en) Air cleaning unit and air cleaning/ventil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70721B1 (en) Air cleaner and ventilator having the same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KR100926761B1 (en) air cleaner
KR102242771B1 (en) Window type Air cleaner
KR101876224B1 (en) Air cleaner
US7048625B2 (en) Clean bench for cleaning atmosphere of partitioned space
JP5800652B2 (en) Air cleaner
KR100708358B1 (en) Blow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JP2013217580A (en) Air-cleaning device
JP2015145737A (en) Air purifier with humidification function
KR102193124B1 (en) Ventilation apparatus
KR101817092B1 (en) Air cleaner
KR20090026981A (en) Door integrated air cleaner
JP2002059028A (en) Air purification equipment
KR100535842B1 (en) Air conditioner
KR200229933Y1 (en) Apparatus for ventilation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JP2015205224A (en) air cleaner
JPH0515718A (en) Outside air admitting type air cleaner
KR102745994B1 (en) dehumidification system
KR102394524B1 (en) Windows and doors type air cleaner with function for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KR101876223B1 (en) 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KR20150077779A (en) Air conditioner
JPH08168622A (en)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8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7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