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7597B1 -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597B1
KR101897597B1 KR1020170077245A KR20170077245A KR101897597B1 KR 101897597 B1 KR101897597 B1 KR 101897597B1 KR 1020170077245 A KR1020170077245 A KR 1020170077245A KR 20170077245 A KR20170077245 A KR 20170077245A KR 101897597 B1 KR101897597 B1 KR 101897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remote controller
signal
unit
remo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숙
박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텍
Priority to KR102017007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5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59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를 자율 선택하여 드론에 연결 시키거나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가 드론에 강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드론을 조종하는 조종자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드론과 드론을 조종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드론에 탑재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와 드론을 무선 연결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mote controller for drone steering which allows a driver to control a dron to be changed by either one of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being autonomously selected and connected to a dron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being forcedly connected to a dron Connection system.
The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a dron and a dron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light and at least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And a connection device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drones.

Description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0002]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 [

본 발명은 드론에 리모트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를 자율 선택하여 드론에 연결 시키거나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가 드론에 강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드론을 조종하는 조종자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nnecting a remote controller to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autonomously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and connecting the remote controller to a drone or forcing one of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to be forcedly connected to a dr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manipulation that allows a manipulator who controls a drone to be changed.

일반적으로 드론이라 함은, 고정익 형태 또는 회전익 형태로 구성되는 모든 무인 항공기의 총칭이며, 군사 목적으로 개발되고 사용되던 초기의 용도와는 달리 점차 다양한 분야로 활용영역이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Generally, a dron is a generic name of all unmanned aerial vehicles composed of a fixed wing type or a rotor wing type, and unlike the initial use that was developed and used for military purposes, the drones are gradually becoming wider in various fields.

드론을 제어하는 방식으로는 드론에 조종 장치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원격 조종하는 직접 제어 방식 및 기설정된 경로를 자동 비행시키는 자동 제어 방식이 이용 가능하나, 드론을 이용한 송전 선로 또는 통신 선로 가설 등의 각종 작업, 수색정찰 등의 사용자에 의한 실시간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직접 제어 방식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rones, a direct control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the drones by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o the drones or an automatic control method of automatically flying the predetermined path can be used. However, a transmission line or a communication line using the dr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 control method be used in a situation where real-time correspondence by the user is required such as various operations such as search and reconnaissance.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등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7411호의 “드론 제어 방법 및 시스템”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7217호의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6531호의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드론 제어 방법”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8839호의 “드론 컨트롤러”가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As an invention relating to an apparatus, a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a dron, there is disclosed a dro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7411 and a dron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terminal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37217,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16531 entitled " Dron Control System and Dron Control Method ",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028839 entitled " Dron Controller "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7411호의 “드론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는 사용자 단말기로서 누구나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비용이 절약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드론을 조종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7217호의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에는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로 개인이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드론을 원격 무선제어하므로 유지와 운용 비용이 저렴한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7411 entitled " Dron Control Method & System " discloses a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dron with a simple operation,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37217, entitled " Dron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Terminal ", is a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in which a dron is remotely controlled by using a smart phone carried by an individual, An invention relating to a control method has been proposed.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6531호의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드론 제어 방법”에는 드론의 현 상태 정보가 지상 제어 시스템을 통해 지상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되며 드론의 현 상태 정보가 시각적으로 간단하게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고 안전하게 드론을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8839호의 “드론 컨트롤러”에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고, 파지한 손만을 이용하여 컨트롤할 수 있으며, 드론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조작 및 회전시키는 조작을 레버를 통해 동시에 수행 가능한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Also,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16531 entitled " Dron Control System and Dron Control Method ",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a drone is transmitted to a user on the ground via a ground control system, The invention is related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enabling a user to easily and safely operate a dron by being outputted simply,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028839 discloses a "dron controller"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manipulation for raising or lowering a dron and a manipulation for rotating a dron through a lev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하나의 조종 장치로 하나의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등에 관한 기술들로써, 조종 장치를 이용한 드론의 원격 조종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는 문제와 조종 가능한 거리 내에서도 조종 장치와 드론, 상호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드론의 정밀한 조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으며, 조종 장치와 드론 상호 간의 통신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해결하는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iques are related to devices, methods, systems, and the like for controlling one dron with one control device. The problem is that the remote controllable distance of the dron using the control device is limit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 and the drone becomes longer, the drone's precise control becomes difficult.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control device and the drone can not provide a solution to the communication failur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이 가지는 드론의 원격 조종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드론의 정밀한 조종이 가능하며, 조종 장치와 드론 상호 간의 통신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의 문제를 해결 가능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등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remote controllable distance of the drone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is limit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control the drone precisely an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mmunication failure betwe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drone An apparatus, a method, a system, and the like are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7411호(2016. 04. 26)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17411 (Apr. 26, 201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7217호(2016. 07. 01)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37217 (June, 201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6531호(2016. 10. 1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16531 (Oct. 10, 201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8839호(2017. 03. 1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8839 (Mar. 14, 2017)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The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조종 장치를 이용한 드론의 원격 조종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고,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mote controllable distance of the drones using the control device was limited,

조종 장치와 드론, 상호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드론의 정밀한 조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으며,As the distances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drone become longer, the drone's precision control becomes more difficult,

조종 장치와 드론, 상호 간의 통신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드론이 추락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ones fall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drones, and therefore, a solution to this problem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드론; 상기 드론을 조종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 상기 드론에 탑재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와 드론을 무선 연결하는 연결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을 제시한다.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light;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ones; A connection device mounted on the dron and wirelessly connecting any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with the drone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ones.

또한, 상기 연결 장치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채널 수신부; 상기 채널 수신부에 수신되는 하나의 신호 또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신호를 드론에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채널 수신부에 수신되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신호를 선택하는 자율 선택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강제 선택 신호 전송 기능을 가지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채널 수신부에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에 포함되는 강제 선택 신호를 강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hannel receiv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remote controller; A selector for selecting one of the signals or the plurality of signals received by the channel receiver;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selected by the selecting unit to the drones; Wherein the selection unit has an autonomous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 signal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a plurality of signals received by the channel reception unit, And the selection unit forcibly selects a forcible selection signal included in one or more signals received by the channel reception unit.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은,In the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드론을 조종하기 유리한 위치에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드론의 조종 권한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드론의 원격 조종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드론의 정밀한 조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발생하였고,The remote controller, which is advantageous for controlling the drones among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is configured to be given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so that the remote controllable distance of the drones is limited, and at the same time, the drones can be precisely controlled However,

드론의 조종이 어려워진 리모트 컨트롤러를 대신하여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가 드론의 조종 권한을 강제로 가져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종 장치와 드론, 상호 간의 통신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드론의 추락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Another remote controller can be forced to take control of the dron instead of the remote controller which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ron, so that even i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drones is interrupted, the dron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Respective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의 자율 선택 기능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의 강제 선택 기능을 나타내는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nomous selection function of a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rced selection function of a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드론(100)에 리모트 컨트롤러(110)를 연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nnecting a remote controller (110) to a drone (100)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01) 및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02)가 구비되는 드론(100); 상기 드론을 조종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상기 드론(100)에 탑재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어느 하나와 드론(100)을 무선 연결하는 연결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 dron 100 having a communication unit 10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control unit 102 for controlling a flight;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ones; A connection device mounted on the drones 100 and wirelessly connecting the drones 100 to any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110; And a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rone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01) 및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02)가 구비되는 드론(100) 및 상기 드론(100)을 조종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0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dron 100 having a control unit 102 for controlling the flight, And at least one remote controller (110) capable of controlling the robot (100).

상기 드론(100)은 고정익 또는 회전익 형태로 구성되고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해 원격 조종되는 무인 항공기로써, 상기 통신부(101)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1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 가능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10) 등의 외부 기기로 신호를 전송 가능하며, 리모트 컨트롤러(11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어부(102)에 의해 비행이 제어된다.The drone 100 is a wing-like or rotor-shaped unmanned airplane that is remotely controlled by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110 and is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10 by the communication unit 101, The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controller 110 and the fligh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2 on the basis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10.

특히, 본 발명의 드론(100)은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자율 선택 또는 강제 선택된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해서 제어되되, 선택되는 리모트 컨트롤러(110)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그 특성상 드론을 이용한 송전 선로 또는 통신 선로 가설, 넓은 범위의 수색정찰 등의 분야에서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으나, 레저용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In particular, the drone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ed remote controller 110 can be changed while being controlled by one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by autonomous selection or forcibly selected one remote controller 110 , Its effect can be maximized in fields such as transmission line or communication line hypothesis using a drone and a wide range of search and reconnaissance, but i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eisure.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상기 드론(1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드론(100)을 원격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써, 드론(100)을 조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전용 단말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론(100)을 조종 가능하도록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The remote controller 110 is a component that allows the user to remotely control the drones 100 by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rones 100. The remote controller 110 may be a dedicated terminal used for controlling the drones 1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separate application so as to be able to control the drones 100.

즉,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드론(100) 및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110)와 각각 양방향 통신되기 위한 통신 기능이 구비되고, 드론(100)을 조종하기 위한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드론(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표시가 가능한 한 기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각각이 다른 종류의 기기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That is,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drones 100 and the other remote controllers 110, and is capable of inputting signals for controlling the drones 100, And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may be constituted by different kinds of apparatuses,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10. [

이때, 드론(100)을 조종하기 위한 신호라 함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상기 드론(100)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 신호 및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드론(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드론(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라 함은,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각각에 드론(100)과의 연결 또는 미연결 상태를 통보하는 연결 신호와 미연결 신호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신호가 더 포함되어도 무방하다.The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ones 100 may include a connection signal for connecting the remote controller 110 to the drones 100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r 110 to control the drones 100. [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ones 100 may include a connection signal for notifying the connection or unconnected state of the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with respect to the drones 100, And signals other than those may be further included.

다만,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드론(100)을 제어에 동시에 관여하는 것은 드론(100)의 정상적인 비행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드론(100)을 동시에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자율 선택 또는 강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만이 신호 입력을 통해 드론(100)을 직접 제어 가능하고, 자율 선택 또는 강제 선택되지 않은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드론(100)의 제어에 관여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된다.Since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simultaneously participate in the control of the drones 100 may cause a serious problem in the normal flight of the drones 100,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can autonomously select or forcibly select only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110 to directly control the drones 100 through signal input, The other remote controller 110 that is not forcibly selected is configured to be unable to participate in the control of the drone 100. [

즉,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동시에 드론(100)에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 중 자율 선택 또는 강제 선택된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만이 드론(100)에 연결 및 제어가 가능해지는 구성이며, 드론(100)의 제어에 관한 제3자의 개입을 방지하고자, 드론(100)에 연결 및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각각은 드론(100)에 기등록된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transmit signals to the drones 100 at the same time, only one remote controller 110 selected by autonomous selection or forced selection can be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drones 100 Each of the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that can be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drones 100 is connected to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110 registered in the drones 100 in order to prevent intervention of a third party Or more.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은 상기 드론(100)에 탑재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어느 하나와 드론(100)을 무선 연결하는 연결 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he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drones 100, and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110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And a connection device (120).

상기 연결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모두 수신하나 그 중 하나의 신호만을 선택하는 구성요소로써,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하나의 신호만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그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10)를 선택하나,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동시에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어느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만이 드론(100)에 연결되어 드론(100)의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한다.The connection device 120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all signals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but selects only one of the signals, and when only one signal is transmitted from one remote controller 110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at the same time, one of the signals is selected so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Only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connected to the drones 100 so that the drones 100 can be controlled.

이때,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연결 장치(120)가 모두 수신하는 신호라 함은,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상기 드론(100)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 신호를 의미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and received by all of the connection devices 120 preferably means a connection signal for connecting the remote controller 110 to the drones 100 .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채널 수신부(121) 및 상기 채널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하나의 신호 또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device 120 includes a channel receiving unit 121 for receiving one or more signals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and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either one signal or a plurality of signals received by the channel receiving unit 121 And a selection unit 122 for selecting one of them.

상기 채널 수신부(121)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수신 채널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택부(122)는 채널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신호가 하나이면 그 신호를 선택하나, 채널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신호가 복수 개이면 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만이 드론(100)에 연결되어 드론(100)의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한다.The channel receiver 121 is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reception channels so as to receive al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The selector 122 selects the signal received by the channel receiver 121 Only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110 of the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is selected by the drones 100 and 100. In this case, So that the drones 100 can be controlled.

상기 선택부(122)가 상기 채널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 중의 하나로써, 상기 선택부(122)는 채널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신호를 선택하는 자율 선택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lecting unit 122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signals received by the channel receiving unit 121. The selecting unit 122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signals received by the channel receiving unit 121, And has an autonomous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 signal having the strongest intensity.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를 이용하여 드론(100)을 원격 조종하는 경우, 원격 조종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는 문제와 리모트 컨트롤러(110)와 드론(100) 상호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드론(100)의 정밀한 조종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각각은 상호 간에 수십 미터 이상 거리가 벌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부(122)는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각각과 드론(100) 상호 간의 거리 간격에 따라 시시각각 세기가 변하는 신호들 중 가장 강한 세기를 가지는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현재 드론(100)의 위치와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드론(100)에 연결되어 드론을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When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used to remotely control the drone 100, the remote controllable distance is limit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110 and the drone 100 becomes longer,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several tens of meters or more. As shown in FIG. 2, The selector 122 selects a signal having the strongest intensity among the signals having different temporal angular intensitie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s 100, And the remote controller 110 located closest to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connected to the dron 100 so that the dron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선택부(122)가 상기 채널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 중의 하나로써,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강제 선택 신호 전송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택부(122)는 상기 채널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에 포함되는 강제 선택 신호를 강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controller 110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forced selection signal as one of a plurality of signals selected by the selector 122 from the plurality of signals received by the channel receiver 121 , The selecting unit 122 forcibly selects a forced selection signal included in one or more signals received by the channel receiving unit 121. [

상기 강제 선택 기능은 상기 선택부(122)의 자율 선택 기능에 의하여 드론(100)을 제어 중인 리모트 컨트롤러(110)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상황 변화가 발생하여 드론(100)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을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강제로 가져감으로써, 제어력 상실로 인한 드론(100)의 추락 및 작업 중단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기능이다.The forced selection function may cause the user of the remote controller 110, which is controlling the drones 100 by the autonomous selection function of the selection unit 122, to have various types of situation changes, causing a problem in the control of the drones 100 The other remote controller 110 forcibly controls the control of the drones 100 to prevent an accident such as a drop of the drones 100 due to the loss of control power and an interruption of operation .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상황 변화에 의하여 드론(100)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것이 예상되는 사용자는 즉시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강제 선택 신호를 드론(1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선택부(122)는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강제 선택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10)를 선택하여 드론(100)에 관한 제어가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control of the drone 100 due to various state changes, or a user who is expected to cause a problem, immediately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to another user, The selection unit 122 selects a remote controller 110 for transmitting the forced selection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and transmits the forced selection signal to the drones 100 )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이때, 상기 채널 수신부(121)에 복수 개의 강제 선택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122)는 강제 선택 신호 중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강제 선택 신호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forcible selection signals are simultaneously received by the channel receiving unit 121, the selecting unit 122 may select a forcible selection signal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forcible selection signals.

다만, 다양한 형태의 상황 변화에 의하여 드론(100)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것이 예상되는 사용자가 항상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강제 선택 기능에서 알림 신호 전송 과정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며, 드론에 관한 제어 권한을 부여받지 않은 사용자는 드론의 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는 즉시 강제 선택 신호를 전송하여 드론에 관한 제어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However, since it is not always possible for a user who is expected to cause or experience a problem in the control of the drones 100 due to various state changes, to transmit the notification signal to other users, the notifica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ss in the forcible selection function The user who is not given the control authority for the drone can receive the control authority for the drone by transmitting the forcible selection signal immediately after recognizing that the trouble of the drone has occur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강제 선택 신호에 의하여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어느 하나가 강제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122)의 자율 선택 기능이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강제 선택된 리모트 컨트롤러(110)에는 강제 선택을 해제하는 해제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is forcibly selected by the forced selection signal, the autonomous selection function of the selection unit 122 may be stopped, The remote controller 110 may be configured to activate the cancel function for canceling the forced selection.

이는, 상기 선택부(122)의 자율 선택 기능이 유지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상황 변화에 의하여 드론(100)의 제어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것이 예상되어 드론(100)의 제어 권한을 포기한 사용자의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드론(100)의 제어 권한이 재부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강제 선택된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110)의 강제 선택 신호 전송에 의하여 제어 권한이 상실되지 아니하므로, 강제 선택을 해제하는 해제 기능에 의하여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드론(100)의 제어 권한을 이전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autonomous selection function of the selector 122 is maintained so that it is expected that a problem will arise or arise in the control of the drones 100 due to various state changes, In order to prevent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100 from being re-granted to the controller 110,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forcibly selected remote controller 110 is not lost due to the transmission of the forcible selection signal of the other remote controller 110 And to allow the other remote controller 110 to transfer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100 by the canceling function for canceling the forced selection.

즉, 상기 선택부(122)의 자율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을 이전할 때 별도의 제약이 따르지 않으나, 강제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에 드론(100)의 제어 권한을 이전할 때, 해제 기능에 의하여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을 해제시켜야 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remote controller 110 selected by the autonomous selection of the selector 122 does not have any restriction when transferring the control right regarding the drones 100 to the other remote controllers 110, When the selected remote controller 110 transfers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100 to another remote controll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lected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100 is released by the cancel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강제 선택 신호에 의하여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어느 하나가 강제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122)의 자율 선택 기능은 유지되나, 상기 선택부(122)는 강제 선택 기능의 실행에 드론(100)의 제어 권한을 상실한 리모트 컨트롤러(110)를 드론(100)의 제어 권한을 포기한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식별하여 선택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is forcibly selected by the forced selection signal, the autonomous selection function of the selector 122 is maintained, 12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emote controller 110 that has lost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 100 to execute the forced selection function is identified as the remote controller 110 abandoning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 100 and is not selected.

또한, 상기 선택부(122)에 의한 자율 선택 또는 강제 선택 신호를 전송한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한 강제 선택에 의하여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을 부여받는 리모트 컨트롤러(110),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을 상실하거나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러(110) 각각에는 드론(100)과의 연결 또는 미연결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연결 신호 또는 미연결 신호가 전송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각각에 연결 신호 또는 미연결 신호를 전송하는 알림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controller 110 and the drones 100 to which the control authority regarding the drones 100 are given by the forced selection by the remote controller 110 that has transmitted the autonomous selection or forced selection signal by the selection unit 122, Or the remote controller 110 to which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100 is not given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signal or a non-connection sign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onnection or non-connection state with the drones 100, The connection device 120 has a notification function of transmitting a connection signal or an unconnected signal to each of the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택부(122)에 의한 자율 선택 또는 강제 선택 신호를 전송한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한 강제 선택에 의하여,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상호 간에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이 이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나, 어느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다른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이 이전될 때에는 드론(100)에 관한 제어가 일시적으로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mutua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drones 100 (100) by the forced selection by the remote controller 110 that has transmitted the autonomous selection or forced selection signal by the selection unit 122. [ When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100 is transferred from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110 to the other remote controller 110, the control relating to the drones 100 is transferred May be temporarily lost.

즉, 상기 선택부(122)에 의한 자율 선택 방식에 의하여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이 이전되는 경우에는,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이 상실되는 리모트 컨트롤러(110)의 제어 권한 상실 시점으로부터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을 부여받는 리모트 컨트롤러(110)의 드론(100) 제어 시점 사이에 드론(100)에 관한 제어 신호가 끊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강제 선택 신호를 전송한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한 강제 선택에 의하여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이 이전되는 경우에는,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을 부여받는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드론(100)을 제어하는 시점까지 다양한 형태의 상황 변화에 의하여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이 상실되는 리모트 컨트롤러(110)의 드론(100) 제어가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100 is transferred by the autonomous selection method by the selector 122,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remote controller 110,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drone 100 is disconnected between the control point of the drones 100 of the remote controller 110 to which the control authority regarding the drones 100 is given, When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100 is transferred by the forced selection by the remote controller 110, the remote controller 110, which is given the control authority for the drones 100, The control of the drones 100 of the remote controller 110 in which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100 is lost due to the change of the status of the drones 100 may occur.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드론(100)에 구비되는 제어부(102)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드론(100)에 무선 연결되는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변경되면, 기설정된 시간동안 드론(100)이 정지 비행하도록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trol unit 102 included in the drone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remote controller 110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rones 100 of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is changed , So that the drones (100) can be controlled to stop in a predetermined time.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선택부(122)에 의한 자율 선택 방식 또는 강제 선택 신호를 전송한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한 강제 선택 방식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다른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이 이전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을 상실하는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드론(100)이 정지 비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한 드론(100)의 제어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문제로 인한 드론(100)의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02 selects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110 from the remote controller 110 by a forced selection method by the remote controller 110 that has transmitted the forced selection signal or the autonomous selection method by the selector 122 When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100 is transferred to the remote controller 110 of the drones 100 for a preset time from the point at which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110 loses the control authority for the drones 100, So that the control of the drones 100 by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temporarily stopped, so that the drones 1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또한, 상기 제어부(102)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드론(100)에 무선 연결되는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변경되면, 기설정된 시간동안 드론(100)이 진행 방향을 유지하도록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remote controller 110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rones 100 of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is changed, the controller 102 can control the drones 100 to maintain the traveling direction for a preset time period .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선택부(122)에 의한 자율 선택 방식 또는 강제 선택 신호를 전송한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한 강제 선택 방식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다른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이 이전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드론(100)에 관한 제어 권한을 상실하는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드론(100)이 진행 방향을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한 드론(100)의 제어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문제로 인한 드론(100)의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02 selects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110 from the remote controller 110 by a forced selection method by the remote controller 110 that has transmitted the forced selection signal or the autonomous selection method by the selector 122 When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drones 100 is transferred to the remote controller 110 of the drones 100 for a preset time from the point at which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110 loses the control authority for the drones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ones 100 from falling due to a problem that the control of the drones 100 by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temporarily stopped.

또한, 상기 연결 장치(120)는 상기 선택부(122)에서 선택된 신호를 상기 통신부(101)에 전송하는 전송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송부(123)는 상기 선택부(122)에서 선택된 하나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102)에 도달되도록 하여 선택된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해 드론(100)이 제어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nnection unit 120 may include a transmission unit 123 for transmitting the signal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122 to the communication unit 101. The transmission unit 123 may transmit the signal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122 to the communication unit 101,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remote controller 110 to transmit the selected signal so that one signal selected by the selecting unit 122 reaches the controller 102. [

즉,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드론을 조종하는 종래의 방식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통신부에서 수신하여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하나의 드론이 연결되는 일대일 매칭 방식이나,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110)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상기 채널 수신부(121)를 거쳐 통신부(101)로 전송되므로,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10)와 하나의 드론(100)이 연결되는 선택적 일대일 매칭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in a conventional method of controlling a drones using a remote controller, a one-to-one matching method in which a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is received by a communication unit and one dron is connected to one remote controller,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01 via the channel receiving unit 121 so that the remote controller 110 of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110 and the one drone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for the purpose of enabl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sufficiently transf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limita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Further,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100 : 드론 101 : 통신부
102 : 제어부 110 : 리모트 컨트롤러
120 : 연결 장치 121 : 채널 수신부
122 : 선택부 123 : 전송부
100: Drones 101: Communications
102: controller 110: remote controller
120: connection device 121: channel receiver
122: selection unit 123:

Claims (7)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01) 및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02)가 구비되는 드론(100);
상기 드론(100)을 조종 가능한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상기 드론(100)에 탑재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어느 하나와 드론(100)을 무선 연결하는 연결 장치(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연결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채널 수신부(121);
상기 채널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하나의 신호 또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122);
상기 선택부(122)에서 선택된 신호를 상기 통신부(101)에 전송하는 전송부(12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선택부(122)는,
상기 채널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복수 개의 신호 중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신호를 선택하는 자율 선택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
A dron 100 having a communication unit 10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control unit 102 for controlling a flight;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capable of operating the drones (100);
A connection device (120) mounted on the dron (100) and wirelessly connecting the drones (100) to any one of the remote controllers (110); And a control unit,
The connecting device (120)
A channel receiving unit 121 receiving one or more signals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A selector 122 for selecting one signal or a plurality of signals received by the channel receiver 121;
A transmission unit 123 for transmitting the signal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122 to the communication unit 101; And a control unit,
The selection unit (122)
Wherein the controller has an autonomous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 signal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a plurality of signals received by the channel receiving unit (121).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강제 선택 신호 전송 기능을 가지며,
상기 선택부(122)는,
상기 채널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에 포함되는 강제 선택 신호를 강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mote controller (110)
A forced selection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The selection unit (122)
And forcibly selecting a forced selection signal included in one or more signals received by the channel receiving unit (1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각각에 연결 신호 또는 미연결 신호를 전송하는 알림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device (120)
And a notificat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a connection signal or an unconnected signal to each of the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2)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드론(100)에 무선 연결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변경되면,
기설정된 시간동안 드론(100)이 정지 비행하도록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102)
If the remote controlle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rones 100 of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is changed,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trollable to cause the drones (100) to stop flying for a preset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2)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컨트롤러(110) 중 드론(100)에 무선 연결되는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변경되면,
기설정된 시간동안 드론(100)이 진행 방향을 유지하도록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연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102)
When the remote controller 110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rones 100 of one or more remote controllers 110 is changed,
And controlling the drones (100) to maintain the traveling direction for a preset time period.
KR1020170077245A 2017-06-19 2017-06-19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 Active KR101897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245A KR101897597B1 (en) 2017-06-19 2017-06-19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245A KR101897597B1 (en) 2017-06-19 2017-06-19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597B1 true KR101897597B1 (en) 2018-09-13

Family

ID=6359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245A Active KR101897597B1 (en) 2017-06-19 2017-06-19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597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10A (en)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스카이텍 A drone system for line installation by using remote controll right transfer
KR20200132038A (en) * 2019-05-15 2020-11-25 주식회사 스카이텍 Dron system for power line inspection that can intercept electromagnetic wave
KR102256892B1 (en) * 2020-11-03 2021-05-27 (주)네온테크 Multi-remote controller auto switching modu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GB2597936A (en) * 2020-08-10 2022-02-16 Bae Systems Plc Vehicle controller
WO2022097762A1 (en) * 2020-11-03 2022-05-12 (주)네온테크 Multi-remote controller auto-switching modu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same
CN115963748A (en) * 2022-11-30 2023-04-14 福建侨龙应急装备股份有限公司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rainage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6571B2 (en) * 2013-02-15 2014-11-04 Disney Enterprises, Inc. Aerial display system with marionettes articulated and supported by airborne devices
KR101617411B1 (en) 2015-08-17 2016-05-18 박시몽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rone
KR101637217B1 (en) 2015-06-26 2016-07-12 유지훈 Method of controlling Drone with bluetooth in smartphone
KR20160116531A (en)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유시스 Dron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rone control
KR20170028839A (en) 2015-09-04 2017-03-14 홍유정 Drone Control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6571B2 (en) * 2013-02-15 2014-11-04 Disney Enterprises, Inc. Aerial display system with marionettes articulated and supported by airborne devices
KR20160116531A (en)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유시스 Dron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rone control
KR101637217B1 (en) 2015-06-26 2016-07-12 유지훈 Method of controlling Drone with bluetooth in smartphone
KR101617411B1 (en) 2015-08-17 2016-05-18 박시몽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rone
KR20170028839A (en) 2015-09-04 2017-03-14 홍유정 Drone Controll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10A (en)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스카이텍 A drone system for line installation by using remote controll right transfer
KR102195803B1 (en) * 2018-12-21 2020-12-28 주식회사 스카이텍 A drone system for line installation by using remote controll right transfer
KR20200132038A (en) * 2019-05-15 2020-11-25 주식회사 스카이텍 Dron system for power line inspection that can intercept electromagnetic wave
KR102245828B1 (en) * 2019-05-15 2021-04-28 주식회사 스카이텍 Dron system for power line inspection that can intercept electromagnetic wave
GB2597936A (en) * 2020-08-10 2022-02-16 Bae Systems Plc Vehicle controller
GB2597936B (en) * 2020-08-10 2024-03-20 Bae Systems Plc Vehicle controller
KR102256892B1 (en) * 2020-11-03 2021-05-27 (주)네온테크 Multi-remote controller auto switching modu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WO2022097762A1 (en) * 2020-11-03 2022-05-12 (주)네온테크 Multi-remote controller auto-switching modu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same
CN115963748A (en) * 2022-11-30 2023-04-14 福建侨龙应急装备股份有限公司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rainage vehicle
CN115963748B (en) * 2022-11-30 2025-05-06 福建侨龙应急装备股份有限公司 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rainage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597B1 (en)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
US11188072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00480B1 (en) Wireless control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0097103A3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CN103576690A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equipment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9047502A1 (en) CONTROL SYSTEM FOR AERIAL VEHICLE WITHOUT DRIVER AND METHOD OF MAKING, GROUND CONTROL DEVICE AND RELAY STATION
KR101720157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N107195167B (en)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plant and the application controlled plant
US10388163B2 (en) Motor vehicle and parking lot for motor vehicles as well as communications system
KR20120006160A (en) Unmanned Vehicle Automatic and Manual Control System Using Smartphone
KR101852851B1 (e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rone
US20190077509A1 (en) Method of far-end control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N106325298A (en) Unmanned plane range extension control system and unmanned plane range extension control method
KR101694115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7074826A (en) Remote control type unmanned aircraft and controlling take-over method of the same
CN112965524B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70027616A (en) System for controlling drone based on of landing platform vehicle, control method and thereof
US10627821B2 (en) Aerial shoot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drone
CN105242687A (en) Remote control method of unmanned plane
KR102195803B1 (en) A drone system for line installation by using remote controll right transfer
KR1019598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CN205545621U (en) A engineer work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KR20190101142A (en) Drone system and drone control method
KR101987242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ystem
KR102169968B1 (en) Drone system capable of mission function and relay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