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7828B1 - 모래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모래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828B1
KR101907828B1 KR1020180052991A KR20180052991A KR101907828B1 KR 101907828 B1 KR101907828 B1 KR 101907828B1 KR 1020180052991 A KR1020180052991 A KR 1020180052991A KR 20180052991 A KR20180052991 A KR 20180052991A KR 101907828 B1 KR101907828 B1 KR 10190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water
screen
cyclone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이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익 filed Critical 이재익
Priority to KR1020180052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8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using centrifugal force
    • B03B5/34Applications of hydro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급된 골재에서 입자가 큰 자갈을 분리하는 모래 채취 장치와, 상기 모래 채취 장치에서 분리된 입자가 작은 모래와 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와,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분리된 모래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모래 채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는, 일측부에 투입구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펌프가 연결된 측부공급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배출구가 위치되며, 상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가 형성되어 분급몸체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이클론 본체와,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부배출구의 하측이면서 스크린몸체의 하부에서 다수의 스크린판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스크린판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스크린몸체의 전후 양측에 진동스프링이 형성되면서 스크린몸체의 일측에 진동모터가 형성되는 탈수스크린과, 상기 상부배출구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잔토와 물을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침전수배출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가 공급되어 모래분급몸체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플로팅밸브가 장착된 침천수공급구가 모래분급몸체와 연결되는 리사이클링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선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래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래 채취 장치 {Sand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탈수스크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모래의 선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래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래채취작업에서 최종적으로 모래를 선별하는데 사용되는 모래 선별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모래와 물이 혼합된 상태의 물모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와,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순환관(21)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된 사이클론(20)과, 상기 순환관(2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물모래를 상기 사이클론(20)으로 공급하는 펌프(30)와, 상기 저장탱크(10)와 사이클론(20)의 사이에 구비된 탈수스크린(40)과, 상기 탈수스크린(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탈수스크린(40)에 의해 선별된 모래를 배출하는 이송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10)는 일측에 연결된 공급관(60)을 통해 내부로 물과 모래가 혼합된 물모래가 공급된다.
상기 사이클론(20)은 상기 펌프(30)에 의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물모래가 공급되면, 내부에서 물모래가 원심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물모래에 포함된 미분(미세한 흙 입자)은 일부의 물과 함께 측면에 연결된 배수관(22)을 통해 배수되고, 미분이 제거된 물모래는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23)를 통해 상기 탈수스크린(4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모래 선별 장치는, 입자별로 모래를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았고, 탈수스크린이 일체로 되어 있어 고장 시 수리 및 교체가 어려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9595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입자별로 모래를 선별하며, 탈수스크린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여 고장 및 수리에도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모래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래 채취 장치는, 공급된 골재에서 입자가 큰 자갈을 분리하는 모래 채취 장치와, 상기 모래 채취 장치에서 분리된 입자가 작은 모래와 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와,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분리된 모래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모래 채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는, 일측부에 투입구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펌프가 연결된 측부공급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배출구가 위치되며, 상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가 형성되어 분급몸체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이클론 본체와,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부배출구의 하측이면서 스크린몸체의 하부에서 다수의 스크린판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스크린판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스크린몸체의 전후 양측에 진동스프링이 형성되면서 스크린몸체의 일측에 진동모터가 형성되는 탈수스크린과, 상기 상부배출구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잔토와 물을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침전수배출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가 공급되어 모래분급몸체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플로팅밸브가 장착된 침천수공급구가 모래분급몸체와 연결되는 리사이클링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선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측부공급구는 상기 펌프와 연결된 측부공급관에 형성되며, 상기 측부공급관에는 플랜지가 더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는 플랜지 몸체와, 상기 플랜지 몸체에 내부에 설치되는 제1오링과, 상기 제1오링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오링과, 상기 제1오링과 상기 제2오링의 사이에 설치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고무재질의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리벳머리와, 상기 리벳머리의 하단에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리벳몸체와, 상기 리벳몸체의 하단에 마름모꼴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는 접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리벳몸체의 사이에는 원형 형태의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재의 내측 하단 모서리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재의 접힘 시,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의 하부에는 상기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의 방지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래 채취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이클론 본체에 연결된 공급관에도 거름망이 더 설치되어 입자 분리를 이중으로 수행할 수가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지틀에 구비되어 모래에서 물을 탈수시키는 스크린판들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연결된 스크린판 간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하여 스크린판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래 채취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래 선별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호퍼부 높이 조절 시 작동도.
도 4는 도 2의 호퍼부의 높이 조절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기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고정부재에 의한 다수의 스크린판 고정 시 도면.
도 8은 도 7의 고정부재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래 선별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호퍼부 높이 조절 시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2의 호퍼부의 높이 조절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이클론 분리기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고정부재에 의한 다수의 스크린판 고정 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고정부재의 확대도이다.
모래 채취 장치는, 공급된 골재에서 입자가 큰 자갈을 분리하는 모래 선별 장치와, 상기 모래 선별 장치에서 분리된 입자가 작은 모래와 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와,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분리된 모래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래 선별 장치는, 골재가 공급되는 호퍼부(1)와, 상기 호퍼부(1)로 제공된 골재에서 입자가 큰 자갈을 분리하는 원통부(2)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부(1)는 골재를 공급받는 곳으로,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부(12)와, 상기 바닥판(11)과 상기 공급부(12) 사이에 설치된 높이조절부(13,14,15)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1)은 상기 공급부(12)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사각 형태를 한다. 상기 공급부(12)는 상기 바닥판(11)의 상부에 설치되어 골재를 공급받는 부분으로, 골재를 공급받기 위한 형태라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높이조절부(13,14,15)는 상기 바닥판(11)과 상기 공급부(1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12)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13,14,15)는 상기 바닥판(11)의 상부에 설치된 제1회전부재(131,141,151)와, 상기 공급부(12)의 하부에 설치된 제2회전부재(132,142,152)와, 상기 제1회전부재(131,141,151)와 상기 제2회전부재(132,142,152)에 지지되어 설치된 실린더(13,14,15)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13,14,15)는 상기 공급부(12)에 골재 공급 시 상기 공급부(12)의 높이가 낮아지고, 상기 공급부(12)에 제공된 골재를 상기 원통부(2)로 이송 시 상기 공급부(12)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한다. 이러한 실린더(13,14,15)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포크레인 등의 버킷장치로 골재를 퍼 올리거나 사람이 직접 골재를 퍼 올릴 수 있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급부(12)에 골재가 찬 정도에 따라 공급부(12)가 점점 높아지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실린더(13,14,15)는 제1실린더(13)와, 상기 제1실린더(13)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2실린더(14)와, 상기 제1실린더(13)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3실린더(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린더(13)는 상기 바닥판(11)에 대해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린더(13)의 일단은 상기 바닥판(11)의 상단에 설치된 제1a회전부재(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13)의 타단은 상기 공급부(12)의 하단에 설치된 제2a회전부재(13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실린더(13)의 일단은 후술할 원통부(2)에 근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13)의 타단은 상기 공급부(12)의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실린더(14)는 상기 제1실린더(13)의 좌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11)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실린더(14)의 일단은 상기 바닥판(11)의 상단에 설치된 제1b회전부재(1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14)의 타단은 상기 공급부(12)의 하단에 설치된 제2b회전부재(14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14)는 후술할 제3실린더(15)와 동일 선상에 설치된다.
상기 제3실린더(15)는 상기 제1실린더(13)의 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11)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3실린더(15)의 일단은 상기 바닥판(11)의 상단에 설치된 제1c회전부재(1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3실린더(15)의 타단은 상기 공급부(12)의 하단에 설치된 제2c회전부재(1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14)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실린더(14)와 제3실린더(15)는 제1실린더(13)의 길이방향에 대해 대칭이며, 제2실린더(14)와 제3실린더(15)는 바닥판(11)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1실린더(13)와 후술할 원통부(2)의 거리는 제2실린더(14)와 후술할 원통부(2)의 거리보다 가깝고, 제1실린더(13)와 후술할 원통부(2)의 거리는 제3실린더(15)와 후술할 원통부(2)의 거리보다 가깝다.
이러한 제1실린더(13) 및 제2실린더(14) 및 제3실린더(15)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지만, 설계사양에 따라 유압식 이중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1회전부재(1a,2a,3a) 및 제2회전부재(1b,2b,3b) 및 제3회전부재(1c,2c,3c)는 제1실린더(13) 및 제2실린더(14) 및 제3실린더(15)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로 구성되지만, 설계사양에 따라 유압식 힌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호퍼부(1)로 공급된 골재는 원통부(2)로 이동한다. 상기 호퍼부(1) 내의 골재를 상기 원통부(2)로 이송은 상기 실린더(13,14,15)에 의해 이루어진다. 골재 이송 시, 상기 제1실린더(13)가 상하 이동을 하여 상기 호퍼부(1)의 내부에 진동을 가하여 골재가 후술할 원통부(2)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원통부(2)는 상측일편이 사면형이 프레임(19)의 일측에 구동모터를 장착하고, 직상측 프레임에 벨트로 연결한 감속기를 설치하며, 상기 감속기의 체인을 상기 프레임(19)의 상부 중앙에 설치한 베어링에 풀리와 같이 조립한 기어에 연결한다.
상기 원통(1)의 모래배출구(17)는 상기 원통(1)의 측부에 설치되어 양측이 사면으로 협폭을 이루고 바닥은 배출구 쪽으로 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9)의 상편 양측은 상기 원통(1)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골재 토출구 쪽으로 자갈배출부(18)가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클론 분리기는,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선별하되 사이클론 본체(40)를 통해 잔토와 모래를 분리하고 탈수스크린(30)을 통해 재생 가능한 모래를 입도별로 선별하며 모래를 선별하고 남은 잔여물을 재차 사이클론 본체(40)로 이동시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모래를 선별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사이클론 분리기는,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측 중간에 형성된 투입구(102)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측 측면부에 사이클론 본체(40)가 형성된다.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투입시키기 위해 모래분급몸체(100)의 투입구(102)에 투입로(101)가 연결 형성된다.
사이클론 본체(40)는 공급된 혼합물을 사이클론 본체(40)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일측부에 펌프(42)와 연결된 측부공급구(41)가 형성되되, 측부공급구(41)는 측부공급관(43)에 의해 펌프(42)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42)는 측부공급관(43)에 의해 모래분급몸체(1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된다.
사이클론 본체(40)의 측부공급구(41)는 상기 펌프(42)와 연결된 측부공급관(43)에 형성되며, 상기 측부공급관(43)에는 플랜지가 더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는 플랜지 몸체(500)와, 상기 플랜지 몸체(5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오링(520)과, 상기 제1오링(5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오링(530)과, 상기 제1오링(520)과 상기 제2오링(530)의 사이에는 거름망(510)이 더 설치된다.
사이클론 본체(40)는 하부에 하부배출구(44)가 위치되되 하부배출구(44)는 모래분급몸체(100)의 상부인 스크린판(11)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측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45)가 형성되며, 사이클론 본체(40)는 상하부배출구(44,45)를 통해 각각 잔토와 모래가 용이하게 분리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배출구(45)에는 상부배출관(46)이 연결되고, 모래분급몸체(100)의 하부는 혼합물이 하부로 모이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모래분급몸체(100)의 상부 내측에는 사이클론 본체(40)에 의해 잔토가 일부 분리되어 하부배출구(44)로 배출된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할 수 있도록 탈수스크린(30)이 형성된다.
탈수스크린(30)은 스크린몸체(35)의 내부에 혼합물이 분리되도록 스크린판(11,21)이 형성되되, 하부배출구(44)의 하측에 스크린판의 일단이 위치되며, 스크린몸체(35)의 스크린판(120)이 진동되어 모래와 잔토가 분리되도록 스크린몸체(35)의 전후 양측에 진동연결구(33)가 형성되면서 진동연결구(33)와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측에 진동스프링(32)이 형성되고, 스크린몸체(35)의 일측에 진동모터(34)가 형성된다.
탈수스크린(30)은 지지판 사이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지지틀과, 지지틀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비되는 스크린판(120)을 포함한다.
지지틀에는 스크린판(120)을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프레임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구비되고, 각 고정프레임에는 후술할 고정부재(150)가 끼움 걸림되는 다수의 결합공이 일정간격마다 천공되어 구비되며, 스크린판(120)에는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크린판(120)은 고정부재(150)에 의해 지지틀에 고정되며, 상기고정부재(150)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고무재질의 리벳으로 구성된다.
고정부재(150)는 리벳머리(151)와, 상기 리벳머리(151)의 하단에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리벳몸체(152)와, 상기 리벳몸체(152)의 하단에 마름모꼴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는 접힘부재(153)와, 상기 접힘부재(153)에 형성된 돌기(154)와, 상기 리벳몸체(152) 사이에 형성된 홈(155)을 포함한다.
상기 돌기(154)는 상기 접힘부재(153)의 내측 하단 모서리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홈(155)은 원형 형태를 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접힘부재의 접힘 시 상기 돌기(154)가 상기 홈(155)으로 삽입되어 스크린판(120)과 지지틀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홈(155)의 하부에는 방지판(200)이 더 형성된다. 상기 방지판(200)은 상기 돌기(154)가 상기 홈(155)에 삽입될 시, 상기 돌기(15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지판(200)은 상기 홈(155)의 입구에 서로 이격되어 2개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부재(150)는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스크린판(120)의 고장 수리 시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래 선별 장치는, 특히, 모래 또는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모래 선별 장치에 적합하다.
1: 호퍼부 11: 바닥판
12: 공급부 13,14,15: 높이조절부
131,141,151: 제1회전부재 132,142,152: 제2회전부재
13: 제1실린더 131: 제1a회전부재
132: 제2a회전부재 14: 제2실린더
141: 제1b회전부재 142: 제2b회전부재
15: 제3실린더 151: 제1c회전부재
152: 제2c회전부재 2: 원통부
21: 원통 19: 프레임
18: 자갈배출부 17: 모래배출구
30: 탈수스크린 40: 사이클론
50: 리사이클링박스 120: 스크린판
150: 고정부재 151: 리벳머리
152: 리벳몸체 153: 접힘부재
154: 돌기 155: 홈

Claims (5)

  1. 공급된 골재에서 입자가 큰 자갈을 분리하는 모래 선별 장치와, 상기 모래 선별 장치에서 분리된 입자가 작은 모래와 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와,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분리된 모래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모래 채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는,
    일측부에 투입구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펌프가 연결된 측부공급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배출구가 위치되며, 상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가 형성되어 분급몸체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이클론 본체;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부배출구의 하측이면서 스크린몸체의 하부에서 다수의 스크린판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스크린판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스크린몸체의 전후 양측에 진동스프링이 형성되면서 스크린몸체의 일측에 진동모터가 형성되는 탈수스크린; 및
    상기 상부배출구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잔토와 물을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침전수배출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가 공급되어 모래분급몸체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플로팅밸브가 장착된 침천수공급구가 모래분급몸체와 연결되는 리사이클링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측부공급구는 상기 펌프와 연결된 측부공급관에 형성되며,
    상기 측부공급관에는 플랜지가 더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는 플랜지 몸체와, 상기 플랜지 몸체에 내부에 설치되는 제1오링과, 상기 제1오링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오링과, 상기 제1오링과 상기 제2오링의 사이에 설치되는 거름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고무재질의 리벳이고,
    상기 고정부재는 리벳머리와, 상기 리벳머리의 하단에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리벳몸체와, 상기 리벳몸체의 하단에 마름모꼴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는 접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리벳몸체의 사이에는 원형 형태의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재의 내측 하단 모서리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재의 접힘 시,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선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래 채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의 하부에는 상기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의 방지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채취 장치.
KR1020180052991A 2018-05-09 2018-05-09 모래 채취 장치 Active KR10190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91A KR101907828B1 (ko) 2018-05-09 2018-05-09 모래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91A KR101907828B1 (ko) 2018-05-09 2018-05-09 모래 채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828B1 true KR101907828B1 (ko) 2018-10-12

Family

ID=6387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991A Active KR101907828B1 (ko) 2018-05-09 2018-05-09 모래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9449A (en) * 2019-09-19 2021-06-02 Superior Industries Aggregate process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CN113877813A (zh) * 2021-11-18 2022-01-04 江西宏巍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用高效筛沙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66B1 (ko) * 2006-01-20 2006-08-25 김동환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KR101830273B1 (ko) * 2017-05-25 2018-02-20 문정식 친환경 다단집약형 멀티샌드 분리 농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66B1 (ko) * 2006-01-20 2006-08-25 김동환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KR101830273B1 (ko) * 2017-05-25 2018-02-20 문정식 친환경 다단집약형 멀티샌드 분리 농축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9449A (en) * 2019-09-19 2021-06-02 Superior Industries Aggregate process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GB2589449B (en) * 2019-09-19 2024-05-15 Superior Industries Aggregate process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US11992821B2 (en) 2019-09-19 2024-05-28 Superior Industries, Inc. Aggregate process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CN113877813A (zh) * 2021-11-18 2022-01-04 江西宏巍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用高效筛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8818A (ko) 모래 채취 장치
US8869986B2 (en) Screening methods and apparatus
US8807343B2 (en) Scree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500969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and processing bulk materials
CA309400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ding and washing sand
GB2559360B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grading aggregate
KR101711623B1 (ko)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방법
KR101907828B1 (ko) 모래 채취 장치
EP3606674A1 (en) A concrete recovery or reclamation device
US20100282648A1 (en) Vibratory screening apparatus
CN112517364A (zh) 一种用于桥梁建设的施工装置
CN206643072U (zh) 细砂分级分选清洗机
CN113798239B (zh) 硅石的水洗筛选分离及布料系统
KR100552351B1 (ko) 재생 굵은골재 미분 제거장치
EP3950151B1 (en) Material washing system and apparatus
CN209985743U (zh) 一种高效砂石筛分装置
CN216704674U (zh) 矿物分级拣选系统
JPWO2019185489A5 (ko)
KR100533616B1 (ko) 골재 선별 세척장치
CN213557581U (zh) 自动化河砂分级清洗系统
KR100614568B1 (ko) 모래분급장치
CN217664967U (zh) 筛洗脱水回收一体机
CN216068221U (zh) 一种用于塑料颗粒筛选回收的上料机
US202501282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and grading sand
CN212881339U (zh) 一种加气混凝土砌块湿磨机出料口的振动筛分除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