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3253B1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253B1
KR101903253B1 KR1020160177827A KR20160177827A KR101903253B1 KR 101903253 B1 KR101903253 B1 KR 101903253B1 KR 1020160177827 A KR1020160177827 A KR 1020160177827A KR 20160177827 A KR20160177827 A KR 20160177827A KR 101903253 B1 KR101903253 B1 KR 101903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connector
main
handle
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4105A (en
Inventor
이창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7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253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328,103 priority patent/US11344170B2/en
Priority to PCT/KR2017/009062 priority patent/WO2018038474A1/en
Priority to CN201780052085.XA priority patent/CN109640770A/en
Priority to AU2017314626A priority patent/AU2017314626B2/en
Priority to EP17843894.1A priority patent/EP3488748B1/en
Priority to JP2019506196A priority patent/JP6755382B2/en
Priority to RU2019108309A priority patent/RU2698843C1/en
Publication of KR2018007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253B1/en
Priority to US17/704,891 priority patent/US11889973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흡입 모터의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메인 피씨비; 상기 메인 피씨비를 수용할 수 있는 핸들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피씨비는, 복수의 패드와,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패드와 접촉되기 위한 복수의 커넥팅 핀과,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슬릿 삽입 돌기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main PCB capable of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of the suction motor; A handle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main PCB; And a connector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main PCB in a process of coupling the handle portion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PCB includes a plurality of pads and slits,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lits, and slit insertion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slits.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The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or wipes dust or foreign matter in the area to be cleaned and performs cleaning.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Such a vacuum cleaner can be divided into a manual vacuum cleaner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the user directly moves the vacuum cleaner, and an automatic vacuum cleaner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traveling on its own.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manual cleaner can be classified into a canister-type cleaner, an upright-type cleaner, a handy-type cleaner, and a stick-type clean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leaner.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7088호(등록일 2012.03.08.)에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27088 (registered on March 23, 2012), which is a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 hand-held vacuum cleaner.

상기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흡입관과, 기류 생성기, 원심 분리 장치, 전원 및 핸들을 포함한다. The hand held vacuum cleaner includes a suction tube, an air flow generator, a centrifuge, a power source, and a handle.

상기 핸들에는 흡입 모터와 배터리에 연결되는 피씨비가 위치될 수 있다. The handle may have a PC connected to the suction motor and the battery.

그런데, 선행문헌에 의하면, 상기 핸들의 상측에 기류 생성기가 위치되고, 하측에 전원이 위치되므로, 상기 핸들의 내부 공간이 협소한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피씨비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피씨비 설치를 위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airflow generator is positioned above the handle and the power source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handle is narrow, and the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PCB is complicated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to install the PC.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피씨비가 조립된 핸들부와 커넥팅 핀을 구비하는 본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조립 시간이 줄어드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assembling time is reduced in a process of connecting a main body having a handle with a main PCB and a connecting pi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피씨비가 조립된 핸들부와 커넥팅 핀을 구비하는 본체가 연결된 상태에서 메인 피씨비의 패드와 커넥팅 핀 간의 오조립에 따른 패드 간의 쇼트가 방지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a short circuit between pads due to erroneous assembly between a pad having a main PCB and a connecting pin is prevented while a main body having a handle portion with a main PCB and a connecting pin is connected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 내에 메인 피씨비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a main PCB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hand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는,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메인 피씨비와, 상기 메인 피씨비를 수용할 수 있는 핸들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본체에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메인피씨비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에 상기 제1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motor, a main PCB capable of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of the main body, a handl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ain PCB, And a connector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main PCB in a process of coupling the handle portion to the main body.
The handle portion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body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main PCB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sliding of the handle portion to the body.

상기 메인 피씨비는, 복수의 패드와,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패드와 접촉되기 위한 복수의 커넥팅 핀과,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슬릿 삽입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메인 피씨비와 상기 커넥터의 결합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Wherein the main PCB includes a plurality of pads and slits, the conn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for contacting the plurality of pads, and a slit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lits,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릿이 복수의 패드에서 인접하는 두 패드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서, 두 패드 간의 쇼트가 방지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lit is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pads in a plurality of pads, a short between the two pads can be prevented.

상기 커넥터는, 서로 이격되는 제 1 커넥팅 바디 및 제 2 커넥팅 바디와,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팅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와,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팅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피씨비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 삽입 돌기는 상기 피씨비 수용 공간에 위치되므로, 메인 피씨비가 피씨비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패드와 복수의 핀이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The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ody and a second connecting bod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onnecting bod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a second connecting body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the slit inserting protrusion is located in the PC accommodating space, so that the plurality of pads and the plurality of pins can stably contact the main PCB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main PCB into the PC accommodating space.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의 양면에 복수의 패드가 위치되고, 각 커넥팅 바디에 각각 복수의 커넥팅 핀이 구비되므로, 메인 피씨비의 일면에 위치한 복수의 패드가 어느 한 커넥팅 바디의 커넥팅 핀에 연결되어 신호 전달이 가능하므로, 연결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pad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PCB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are provided on each connecting body, a plurality of pad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PCB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ns of one connecting body Since signal transmission is possible, connec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메인 피씨비가 슬릿을 포함하고, 커넥터에 슬릿 삽입 돌기가 형성됨에 따라서 메인 피씨비와 커넥터의 결합 정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main PCB includes the slit and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onnector, the coupling accuracy between the main PCB and the connector is improved.

또한, 커넥터가 두 개의 커넥팅 바디를 포함하고, 두 개의 커넥팅 바디 사이의 피씨비 수용 공간에 메인 피씨비가 삽입되고, 상기 슬릿 삽입 돌기가 상기 메인 피씨비의 슬릿에 수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상기 메인 피씨비와 상기 커넥터의 고정을 위한 후크와 같은 추가적인 고정수단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or includes two connecting bodies, the main PCB is inserted into the PCB accommodating space between the two connecting bodies, and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is received in the slit of the main PCB, There is an additional advantage that additional fixing means, e.g.

또한, 상기 핸들부가 상기 본체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므로, 상기 메인 피씨비를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과정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in PCB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during the sliding of the handle part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rocess for connecting the main PCB to the connector is unnecessary.

또한, 메인 피씨비를 구성하는 일 피씨비의 양면에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일 피씨비를 두 개의 커넥팅 바디 사이에 삽입함에 따라서, 일 피씨비의 양면의 패드 중 일면의 패드가 커넥팅 핀에 연결되기만 하면 신호 전달이 가능하므로, 메인 피씨비와 커넥터의 연결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a pa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one frame constituting the main PCB and the one frame is inserted between the two connecting bodies, if the pad on one side of the pad on one side of the fram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nection accuracy between the main PCB and the connector.

또한, 메인 피씨비가 두 개의 피씨비로 구분된 상태에서 핸들 바디 내에 수용되므로, 메인 피씨비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in PCB is accommodated in the handl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CB is divided into two PCBs, the size of the main PCB can be reduced.

또한, 두 개의 피씨비를 피시피 커넥터에 연결한 상태에서 메인 피씨비 조립체를 핸들 바디의 수용 공간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가 상기 핸들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피씨비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구조 및 두 개의 피씨비를 상기 핸들 바디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고, 사용자의 조립 과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ain PCB assembly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body in a process of inserting the main PCB assembly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handle body with the two PCBs connected to the PCB connector. Accordingly,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two PCBs to each other and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two PCBs to the handle body are simplified, and the assembly process of the user is facili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서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피씨비 유닛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메인 피씨비 유닛의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메인 피씨비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피씨비 커넥터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커넥터의 평면도.
도 15는 메인 피씨비 유닛이 커넥터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제 2 피씨비와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바디의 사시도.
도 18은 핸들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는 핸들 바디에 메인 피씨비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20은 핸들 바디에 메인 피씨비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파워 피씨비가 지지 리브에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도 20의 상태에서 핸들 커버 및 조작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핸들부가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portion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CB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the main cover unit of Fig.
Figs. 10 and 1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main dish unit of Fig. 8;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C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PCB un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econd PCB and a connector are connected.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andle;
19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unit coupled to the handle body;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PCB is seated on the support rib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unit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Fig.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cover and the operating portion are engaged in the state of Fig. 20; Fig.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state where the assembly of the handle por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 a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2.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의 앞쪽에 결합되는 흡입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2)로 안내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unit 5 coupled to a front side of the main body 2. The suction unit 5 can guide air containing dust to the main body 2.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핸들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에서 상기 흡입부(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3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 handle portion 3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portion 5 from the main body 2.

즉, 상기 흡입부(5)와 상기 핸들부(3) 사이에 상기 본체(2)가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main body 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ion 5 and the handle portion 3.

상기 본체(2)는,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는 직접 결합되거나 중간의 매개부재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include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12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10.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may be directly coupled or indirectly connected by an intermediary intermediate member.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ough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 각각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즉, 상기 각 바디(10, 12)는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are opened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That is, each of the bodies 10 and 12 may include an upper opening and a lower opening.

그리고, 상기 흡입부(5)의 중앙부가 대략적으로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의 경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부(5)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uction unit 5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 such that a central portion of the suction unit 5 is locat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부(5)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dust separator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5. [

상기 먼지 분리부는, 일 예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 1 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바디(10)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한다. The dust separator may include a first cyclone unit 110 capable of separating dust by a cyclone flow. At this time, the first body 10 includes the first cyclone part 110.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Air and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5 are spirally mov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first cyclone part 11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먼지 분리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 2 싸이클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먼지 분리부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는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st sepa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yclone unit 130 for separating dust from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again. At this time,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cyclone unit 110 so that the size of the dust separator is minimized.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clone bodies arranged in parallel.

다른 예로서, 상기 먼지 분리부가 단일의 싸이클론부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ust separating portion has a single cyclone portion, and in this case,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can als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각 싸이클론부(110, 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역할을 한다. The first body 10 serves as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cyclone portions 110 and 130.

상기 본체(2)는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측을 개폐하는 바디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16)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디(1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에는 상기 바디 커버(16)의 회전을 위하여 조작하는 버튼(18)이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body cover 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10. The body cover 16 can open / close the first body 10 by rotating operation. The first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18 for operating the body cover 16 to rotate.

상기 바디 커버(16)의 힌지(162)는 배터리 하우징(60)에 구비된 힌지 결합부(62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hinge 162 of the body cover 16 may be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620 of the battery housing 60.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바디(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130 may be located within the first body 10.

상기 제 1 바디(10) 내에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을 가이드하는 먼지 저장 가이드(12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 커버(16)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A dust storage guide 124 for guiding the storage of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10. The dust storage guide 124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yclone part 130 and can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cover 16. [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는 상기 제 1 바디(10) 내부의 공간을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123)로 구획할 수 있다. The dust storage guide 124 includes a first dust storage part 121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part 110 is stored in the first body 10, And a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in which the dust separated in the storage unit 130 is stored.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의 내부 공간이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3)이고,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와 상기 제 1 바디(10) 사이 공간이 제 1 먼지 저장부(121)이다. The inner space of the dust storage guide 124 is the second dust storage part 123 and the space between the dust storage guide 124 and the first body 10 is the first dust storage part 121.

상기 바디 커버(16)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3)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The body cover 16 may open / close the first dust storage part 121 and the second dust storage part 123 together.

상기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 모터(20)와,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motor 20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battery 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20.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2 바디(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먼지 분리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상방에 위치된다. The suction motor 20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body 12. [ At least a part of the suction motor 20 may be located above the dust separator. Accordingly, the suction motor 2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body 10.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20 may communicate with an outlet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2)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와 연결되는 배출 가이드(28)와, 상기 배출 가이드(28)와 연통되는 유동 가이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guide 28 connected to the second cyclone unit 130 and a flow guide 22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guide 28.

일 예로 상기 배출 가이드(28)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배출 가이드(28)의 상측에 위치된다. For example, the discharge guide 28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cyclone unit 130, and the flow guide 22 is positioned above the discharge guide 28.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부에 위치된다. At least a part of the suction motor 20 is located inside the flow guide 22.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기 흡입 모터(20)를 관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dust separating portion can pass through the suction motor 20. [

상기 흡입 모터(20)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가 바로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할 수 있어,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 모터(20) 간의 유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When the suction motor 20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cyclone unit 13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can flow directly toward the suction motor 20, The flow path between the dust separating portion and the suction motor 20 can be minimized.

상기 흡입 모터(20)는 회전 동작하는 임펠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00)는 샤프트(2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0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The suction motor 20 may include a rotating impeller 200. The impelle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202. The shaft 202 is disposed so as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샤프트(202)의 연장선(임펠러(200)의 회전축이라고도 할 수 있음)은 상기 제 1 바디(1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200)의 회전축과 상기 먼지 분리부의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발생되는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The extension of the shaft 202 (which may be referred to as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200) can pass through the first body 10. At this time,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200 and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generated in the first cyclone portion 110 of the dust separation portion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 즉,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하는 경로가 줄어들고, 공기의 방향 변화가 줄어들 수 있어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h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ng unit, that is, the air discharged upwar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toward the suction motor 20 is reduced, and the directional change of the air is reduced And the flow loss of the air is reduced.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경우, 흡입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의 사용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When the flow loss of air is reduced, the suction force can be increased and the use time of the battery 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20 can be increased.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상기 흡입 모터(20)의 하측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 모터 하우징(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각 모터 하우징(26)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motor housing 26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20 and a lower motor housing 27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20 have. The suction motor 20 is accommodated in each of the motor housings 26 and the flow guide 22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upper motor housing 26.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바디(12)와 이격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w guide 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motor housing 26.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w guide 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ody 12.

따라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외주면은 제 1 공기 유로(232)를 형성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바디(12)의 내주면은 제 2 공기 유로(234)를 형성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guide 2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motor housing 26 form a first air passage 23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guide 2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 Thereby forming a second air passage 234.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공기 유로(232)를 따라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동하고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공기 유로(234)를 따라 유동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공기 유로(234)는 배기 유로 역할을 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flows to the suction motor 20 along the first air channel 232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20 flows through the second air channel 234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second air passage 234 serves as an exhaust passage.

상기 핸들부(3)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30)과, 상기 핸들(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하우징(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3 may include a handle 30 for grasping the user and a battery housing 60 disposed below the handle 30.

상기 핸들(30)은 상기 흡입 모터(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handle 30 may be located behind the suction motor 20.

방향에 대해서 정의하면, 상기 청소기(1)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5)가 위치되는 방향이 전방이고, 상기 핸들(30)이 위치하는 방향이 후방이다.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unit 5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suction motor 20 in the cleaner 1 is for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30 is positioned is with the rear.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와 상기 배터리(40)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배치 높이 또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40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first body 10. Therefore, the suction motor 20 and the battery 40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rrangement height may be differently arrang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0)가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고,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청소기(1) 전체적으로 무게가 고르게 분배된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청소기(1)의 앞쪽과 뒤쪽에 무게가 무거운 구성이 분산되어 배치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므로, 청소기(1)의 무게 중심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20 having a heavy weight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handle 30 and the battery 40 having a heavy weight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30, So that the entire weight of the vacuum cleaner 1 is evenly distributed. When the user grasps the handle 30 and performs clea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waving the wrist. In other words, since heavy components are distribut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cleaner 1, they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1 can be prevented from leaning to one side.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핸들(30)의 상방에는 아무런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핸들(30)의 상면은 상기 청소기(1)의 상면 일부 외관을 형성한다. The battery 40 is positioned below the handle 30 and the suction motor 2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handle 30 so that there is no configuration above the handle 3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30 forms an outer surface of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1.

따라서, 상기 핸들(30)을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청소기(1)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ourse of using the handle 30,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1 can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user's arm.

상기 핸들(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 1 연장부(310)와,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상측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handle 30 includes a first extension 310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apable of being held by a user, a second extension 310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310 toward the suction motor 20, (320).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320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연장부(31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부분(사용자의 손바닥이 접촉할 수 있는 부분)으로써, 그립부라고도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may be referred to as a grip part, which is a part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a part where the user's palm can touch).

상기 제 1 연장부(310)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손이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길이 방향(도 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 1 연장부(310)에서 상기 흡입부(5)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hand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3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2) while the user holds the first extending portion 310, A movement restricting unit 312 may be provided. The movement restricting part 312 may extend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toward the suction part 5. [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 2 연장부(3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상방에 위치되고, 나머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하방에 위치된다.The movement limiter 312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xtension 320.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first extension 310 is held, some of the fingers are positioned above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312 and the remaining fingers are positioned below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312.

일 예로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 사이에 상기 이동 제한부(312)가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31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dex finger and the stop finger.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unit 5 can pass the wrist of the user while the user grasps the first extension 310. [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나는 경우, 사용자의 팔이 펴진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은 사용자의 팔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기(1)를 밀거나 당길 때 필요한 사용자의 힘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part 5 passes over the wrist of the user,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part 5 in the state where the user's arm is extended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user's arm, . Therefore, in this state, the us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force required by the user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30 and pushes or pulls the vacuum cleaner 1 is minimized.

상기 핸들(30)은 조작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390)는 상기 제 2 연장부(320)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90)를 통하여 흡입 모터(20)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390)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 모터(20)의 온 명령 및 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90)를 통하여, 상기 흡입 모터(20)가 온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20)의 흡입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handle 30 may include an operating portion 390. For example, the operating portion 390 may be dispos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320. A control command of the suction motor 20 can b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39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90 may be used to input an on command and an off command of the suction motor 20. Further,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20 can be adjus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390 in a state where the suction motor 20 is turned on.

상기 조작부(390)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부(390)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operating portion 39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user. The operating portion 390 may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312 with respect to the handle 30.

상기 조작부(390)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쉽게 상기 조작부(390)를 조작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39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movement restricting unit 312.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operating unit 390 with his / her thumb while holding the first extension 310.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310)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조작부(390)가 위치되므로,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때, 의도하지 않게 상기 조작부(390)가 조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Since the operating portion 390 is loca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310 whe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310 is gripp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rated.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은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housing 6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0.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The battery 40 may be removably received in the battery housing 60.

일 예로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의 하방에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6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attery 40 may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housing 60 from below the battery housing 60.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의 후면과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후면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60)과 상기 제 1 연장부(310)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housing 6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310 may form a continuous surface. Therefore, the battery housing 60 and the first extending portion 310 can have a sense of unity.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1)를 바닥에 놓을 때 상기 배터리(40)가 바닥에 놓일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battery 40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housing 60. Therefore, when the vacuum cleaner 1 is placed on the floor, the battery 40 can be placed on the floor.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40)를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서 바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battery 40 can be separated from the battery housing 60 directly.

또한, 상기 배터리(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배터리(40)의 하면이 청소기(1)의 외부의 공기와 직접 접촉할 수 있어 상기 배터리(4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4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40 can directly contact the air outside the cleaner 1, so that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40 can be improved .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를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522)를 가지는 필터 기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522)는 일 예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구(522)는 링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3,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chanism 50 having an air outlet 522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20 is discharged. The air outlet 5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for example,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us, the air outlet 522 can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ring.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제 2 바디(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ilter mechanism (5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 That is, the filter mechanism 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12.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제 2 바디(12)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본체(2) 내부로 인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된다. A part of the filter mechanism (50)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body (12) in a state where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body (2). Therefore, a part of the filter mechanism 5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2, and the other part protrudes outside the main body 2.

상기 본체(2)의 높이는 상기 핸들(3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main body 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handle 30. Therefore, the filter mechanism 50 can protrude upward from the main body 2 and can easily separate the filter mechanism 50 while the user holds the filter mechanism 50.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상측에 상기 공기 배출구(522)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The air outlet 522 is positioned above the filter mechanism 50 in a state where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 Therefo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20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청소기(1)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과정에서, 공기 배출구(522)에서 배출된 공기가 사용자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cleaning using the cleaner 1,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522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user side.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프리 필터(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은 상기 프리 필터(29)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pre-filter 29 for filter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motor 20. The prefilter (29) can be located in the flow guide (22). In addition, the pre-filter 29 may be seated in the upper motor housing 26 and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motor housing 26. That is, the upper motor housing 26 may include a filt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pre-filter 29.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서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의 사시도이다.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handle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핸들부(3)는, 핸들 바디(332)와, 상기 핸들 바디(332)를 커버하는 핸들 커버(334)를 포함할 수 있다. 6 and 7, the handle portion 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ndle body 332 and a handle cover 334 that covers the handle body 332. As shown in FIG.

상기 핸들 바디(332)는,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일부 및 제 2 연장부(320)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핸들 커버(334)는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320)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한다. The handle body 332 defines a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310 and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320. The handle cover 334 defines a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310 and a remaining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320.

즉, 상기 핸들 바디(332)에 상기 핸들 커버(334)가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핸들 바디(332)와 상기 핸들 커버(334)가 상기 제 1 연장부(310)와 제 2 연장부(320)을 형성한다. That is, when the handle cover 334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332, the handle body 332 and the handle cover 334 ar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310 and 320, .

상기 핸들 바디(332)는 상기 핸들(30)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을 형성할 수 있다. The handle body 332 may form the battery housing 60 as well as the handle 30.

상기 핸들부(3)는 상기 핸들부(3)를 상기 본체(2)에 결합시키기 위한 본체 결합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결합부(70)는 상기 핸들(30)과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을 연결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3 may further include a main body coupling portion 70 for coupling the handle portion 3 to the main body 2.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70 may connect the handle 30 and the battery housing 60.

상기 핸들부(3)는, 상기 흡입 모터(20)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피씨비(main PCB) 유닛(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는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부(320)의 내부 공간에 인입될 수 있다. The handle unit 3 may further include a main PCB unit 340 for controlling the suction motor 20. [ The main PCB unit 34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for example.

상기 본체(2)는, 커넥터(400)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supporting portion 136 for supporting the connector 400.

상기 커넥터(400)는 상기 본체(2)에 내에 구비되는 상기 흡입 모터(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400)는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00)는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를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커넥터(400)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or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motor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2. In addition, the connector 4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CB unit 340. The connector 4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PCB unit to the suction motor 20. That is, the connector 400 may include a signal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상기 본체(2)는 상기 커넥터 지지부(136)에 상기 커넥터(40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400)가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 리브(13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rib 136a for preventing the connector 400 from being separated upward when the connector 400 is supported on the connector supporting portion 136. [

상기 분리 방지 리브(136a)는 상기 커넥터 지지부(136)와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지지부(136)와 상기 분리 방지 리브(136a) 사이 공간으로 상기 커넥터(400)가 인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넥터(400)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지지부(136)에 슬라이딩 안착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36a is formed apart from the connector supporting portion 136. [ The connector 400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connector support portion 136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36a. For example, the connector 400 may be slidably mounted on the connector support portion 136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커넥터 지지부(136) 및 상기 분리 방지 리브(136a)는 일 예로 상기 제 2 바디(12)에 구비될 수 있다. The connector supporting portion 136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36a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body 12, for example.

상기 본체(2)는, 본체 단자(80)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3)는 핸들 단자(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단자(90)를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include a main body terminal 80 and the handle portion 3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terminal 90. The handle terminal 9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CB unit 340.

상기 본체 단자(80)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8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 단자(80)는, 상기 핸들부(3)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핸들 단자(9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body terminal 80 may be installed on the cover member 80 coupled to the main body 2. [ The main body terminal 80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terminal 90 when the handle portion 3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

상기 본체 단자(80)에는 복수의 전선(141, 14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선(141, 142)은 상기 본체 단자(80)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 단자(80)에 연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141 and 142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erminal 80. The plurality of electric wires 141 and 142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erminal 80 from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erminal 80.

상기 복수의 전선(141, 142)은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모터(2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전선(141)와, 상기 흡입부(5)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2 전선(14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lectric wires 141 and 142 are connected to the suction motor 20 by a pair of first electric wires 141 connected to the suction motor 20 to supply power to the suction motor 20, And a pair of second wires 142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복수의 전선(141, 142)는 상기 본체(2)에 구비된 패킹(138)을 관통한 후에 상기 본체(2) 내로 인입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lectric wires 141 and 142 may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 after passing through the packing 138 provided in the main body 2. [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단자와 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 단자가 분리되고, 본체에서 별도의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서, 본체 단자(80)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ignal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 terminal for power suppl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at a separate position in the main body, the size of the main body terminal 80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large.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와 결합되기 위한 바디 결합부(30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2)는 상기 바디 결합부(304)와 결합되기 위한 핸들 결합부(139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바디 결합부(304)와 상기 핸들 결합부(139a)에 의해서 상기 본체(2)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3 may include a body coupling portion 304 for coupling with the main body 2. The main body 2 includes a handle coupling portion 139a for coupling with the body coupling portion 304, ). The handle portion 3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2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body coupling portion 304 and the handle engagement portion 139a.

그리고, 상기 핸들부(3)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과 상기 커넥터(400)가 연결되고, 상기 핸들 단자(90)가 상기 본체 단자(80)와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handle unit 3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 main PCB unit 340 and the connector 400 are connected and the handle terminal 9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terminal 80 Can be connected.

이하에서는 메인 피씨비 유닛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main PCB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피씨비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메인 피씨비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메인 피씨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피씨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CB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CB unit of FIG. 8, and FIGS. 10 and 1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main PCB unit of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C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피씨비 유닛(340)은, 메인 피씨비(341)를 포함할 수 있다. 8 to 12, the main firmware unit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firmware 341.

상기 제 2 연장부(320)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상기 메인 피씨비(341)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피씨비(341)는 복수의 피씨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피씨비(341)는 제 1 피씨비(342)와 제 2 피씨비(3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PCB 34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CBs so that the main PCB 341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extensions 320. That is, the main PCB 341 may include a first PCB 342 and a second PCB 344.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는 세워진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PCB 342 and the second PCB 344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a standing state. The first PCB 342 and the second PCB 344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 사이에는 두 피씨비(342, 344)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348)가 위치될 수 있다. One or more connection terminals 348 for connecting the two PCBs 342 and 344 to each oth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CB 342 and the second PCB 344.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은,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를 연결하기 위한 피씨비 커넥터(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PCB unit 340 may further include a PC connector 350 for connecting the first PCB 342 and the second PCB 344.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는 기구적으로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를 연결할 수 있다. The PCB connector 350 may mechanically connect the first PCB 342 and the second PCB 344.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는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이 상측에 안착될 수 있는 커넥터 바디(35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CB connector 350 may include a connector body 351 on which the first PCB 342 and the second PCB 344 can be seated on the upper side.

상기 커넥터 바디(351)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는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or body 35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PCB connector 35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pacers 352 for maintaining the first PCB 342 and the second PCB 344 apart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하면(351a)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ne or more spacers 352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351a of the connector body 351.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 1 피씨비(342) 및 상기 제 2 피씨비(344)와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35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피씨비(342, 344)에는 상기 결합 돌기(353)가 결합되기 위한 돌기 결합부(346, 3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 결합부(346, 347)는 홈이거나 홀일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PCBs 342 and 344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ne or more spacers 352. Each of the PCBs 342 and 344 may be provided with protrusion coupling portions 346 and 347 for coupling the coupling protrusions 353. The projection-engaging portions 346 and 347 may be grooves or holes.

본 명세서에서 서로 결합된 피씨비 커넥터(350)와 상기 메인 피시비(341)를 메인 피씨비 조립체라 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PC connector 350 and the main PCB 341 coupled to each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 main PCB assembly.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돌기(353)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돌기 결합부(346, 34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351)가 상기 제 1 피씨비(342) 및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의 폭은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or body 351 is connected to the first PCB 342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353 of the PCB connector 350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coupling parts 346 and 347 of the PCBs 342 and 344. [ And the width of the one or more spacers 35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or body 351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CB 344.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폭 방향 단부(351b, 351c)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pacer 35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widthwise ends 351b and 351c of the connector body 351.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돌기(353)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돌기 결합부(346, 34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351)가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nnector body 351 is connected to the first PCB 342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353 of the PCB connector 350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coupling parts 346 and 347 of the PCBs 342 and 344. [ The height of the main PCB unit 340 can be reduced when the second PCB 344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CB 344.

물론,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돌기(353)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돌기 결합부(346, 34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351)가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상면과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when the connector protrusion 353 of the PCB connector 350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coupling parts 346 and 347 of the PCBs 342 and 344, the connector body 351 is inserted into the first PCB 34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CB 34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가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폭 방향 단부(351b, 351c)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돌기(353)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돌기 결합부(346, 34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의 폭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one or more spacers 352 are spaced apart from the widthwise ends 351b and 351c of the connector body 351, the coupling protrusions 353 of the connector 350 may be spaced apart 342, and 344, the width of the main PCB unit 340 can be reduced.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가 복수의 스페이서(352)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스페이터(352)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When the PC connector 350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rs 352, a plurality of spatters 352 may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351.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는 상기 핸들 바디(332)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후크(35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CB connector 350 may include a coupling hook 357 for coupling with the handle body 332.

이때, 상기 결합 후크(357)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hook 357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onnector body 351.

상기 결합 후크(357)에 의한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와 상기 핸들 바디(332)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결합 후크(357)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하면(351a)에는 보강 리브(35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351a of the connector body 35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351a and 352b in order to prevent the coupling hook 357 from being damag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PC connector 350 and the handle body 332 by the coupling hook 357. [ A reinforcing rib 354 may be provided.

상기 보강 리브(354)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하면(351a)에서 돌출되며, 상기 결합 후크(357)와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를 연결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rib 354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351a of the connector body 351 and may connect the coupling hook 357 and the one or more spacers 352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만약,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가 복수의 스페이서(352)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 리브(354)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352) 중 상기 결합 후크(357)와 가장 가까운 스페이서(352)와 상기 결합 후크(357)를 연결할 수 있다. If the PC connector 350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rs 352, the reinforcing ribs 354 are spaced apart from the spacers 352 closest to the coupling hooks 357 of the plurality of spacers 352, The coupling hook 357 can be connected.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청소기(1)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370)가 설치될 수 있다.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CBs 342 and 344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370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vacuum cleaner 1.

도 11에는 일 예로 상기 제 2 피씨비(344)에 상기 발광부(370)가 설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발광부(370)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에는 상기 발광부(370)가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엘이디(LED)(371, 372, 373)를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In FIG. 11, for example, the second PCB 344 includes the light emitting unit 370. The light emitting unit 370 may include one or more LEDs. For example, in FIG. 11, the light emitting unit 370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371, 372, and 37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351.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엘이디(371, 372, 373)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40)의 잔량, 상기 흡입 모터(20)의 흡입력의 세기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40 and the intensity of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20 can be displayed using the plurality of LEDs 371, 372, and 373.

상기 커넥터 바디(351)에는 상기 복수의 엘이디(371, 372, 373)에서 조사된 광이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광 개구(355)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onnector body 35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apertures 355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EDs 371, 372 and 373 passes.

상기 복수의 광 개구(355)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와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광 개구(355)는 상기 복수의 엘이디(371, 372, 373)와 정렬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optical openings 35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351. When the PC connector 350 is connected to the PCBs 342 and 344, 355 may be aligned with the plurality of LEDs 371, 372, 373.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가 상기 복수의 엘이디(371, 372, 373)에서 조사되는 광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52)는 인접하는 두 광 개구(375)의 사이 영역에 위치된다. The one or more spacers 352 are located in an area between two adjacent light apertures 375 so that the one or more spacers 352 do not interfere with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EDs 371, 372, 373 .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352)가 상기 각 엘이디(371, 372, 373)에서 조사된 광과 간섭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두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광 간의 상호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스페이서(352)는 인접하는 두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광의 경로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In this case, the spacer 35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ight emitted from the respective LEDs 371, 372, and 373, and also serves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adjacent two LEDs. That is, the spacer 352 serves to divide the path of the light irradiated by the adjacent two LEDs.

상기 각 피씨비(342, 344)는, 파워 피씨비(Power PCB)(380)를 지지하기 위한 연장부(343, 3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43, 345)는 상기 파워 피씨비(380)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경사면(343a, 345a)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PCBs 342 and 344 may include extensions 343 and 345 for supporting a power PCB 380. The extension portions 343 and 345 may include inclined surfaces 343a and 345a for supporting the power PCB 380 in an inclined state.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파워 피씨비(380)와 연결되기 위한 제 1 연결 단자(349)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PCB 342 and the second PCB 344 may hav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349 connected to the power PCB 380.

도 11에는 일 예로 상기 제 1 연결 단자(349)가 상기 제 1 피씨비(342)의 제 1 연장부(343)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In FIG. 11,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349 is located at the first extension 343 of the first PCB 342.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20)에 설치되는 커넥터(400)와 연결될 수 있다. Either the first PCB 342 or the second PCB 344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400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이하에서는 일 예로 상기 커넥터(400)가 상기 제 2 피씨비(344)에 연결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nector 4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CB 344 as an example.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은, 상기 각 피씨비(342, 344)와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상측을 커버하는 피씨비 커버(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PCB unit 340 may further include a PCB cover 360 covering the PCBs 342 and 344 and the PCB connector 350.

상기 피씨비 커버(360)는,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부(361)와, 상기 상면부(361)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362, 3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CB cover 360 includes an upper surface portion 361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PCB connector 350 and a pair of side surface portions 362 and 363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361 can do.

상기 한 쌍의 측면부(362, 363)는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를 커버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피씨비(342, 344) 상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The pair of side portions 362 and 363 cover not only the PC connector 350 but also a part of the upper portions of the PCBs 342 and 344.

상기 한 쌍의 측면부(362, 363)에 의해서,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와 연결된 각 피씨비(342, 344)가 상기 핸들(3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pair of side portions 362 and 363 can prevent the PCBs 342 and 344 connected to the PC connector 350 from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handle 30.

상기 피씨비 커버(360)는 상기 커넥터 바디(351)의 복수의 광 개구(355)를 커버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광 개구(355)를 통과한 광이 상기 피씨비 커버(360)를 투과할 수 있도록, 상기 피씨비 커버(360)에는 복수의 광 투과부(3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광 개구(355)와 동일하며, 상기 복수의 광 개구(355)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The cover 360 covers a plurality of light apertures 355 of the connector body 351. A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s 364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360 so tha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light apertures 355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ver 360. [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s 364 is equal to the plurality of light openings 355 and is arranged to face the plurality of light openings 355.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는 상기 피씨비 커버(360)의 상면부(361)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s 364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361 of the cover 360.

상기 피씨비 커버(360)에서 적어도 복수의 광 투과부(364)는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At least a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s 364 in the cover 360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한편, 상기 제 2 피씨비(344)는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접촉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PCB 344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pad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connector.

상기 복수의 접촉 패드는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양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ntact pads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CB 344.

상기 복수의 접촉 패드는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제1면(3440a)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패드(3442)와, 상기 제 1 패드(3442)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패드(34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드(3442)와 상기 제 2 패드(3444)는 일 예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plurality of contact pads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pad 3442 provided on a first surface 3440a of the second PCB 344 and a second pad 3444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pad 3442. [ ). The first pad 3442 and the second pad 3444 are spaced horizontally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복수의 접촉 패드는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제1면(3440a)의 반대면인 제2면(3440b)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 3 패드(3443)와, 상기 제 3 패드(3443)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4 패드(34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패드(3443)와 상기 제 4 패드(3445)는 일 예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plurality of contact pads may include one or more third pads 3443 provided on a second surface 3440b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3440a of the second PCB 344, And a fourth pad 3445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3443. The third pad 3443 and the fourth pad 344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 2 피씨비(344) 상에서 상기 제 1 패드(3442)와 상기 제 3 패드(344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패드(3444)와 제 4 패드(3445)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The first pad 3442 and the third pad 3443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second PCB 344 and the second pad 3444 and the fourth pad 3445 are opposed to each other .

상기 제 2 피씨비(344)에는 정위치에서 상기 제 2 피씨비(344)와 상기 커넥터(400)가 결합되기 위한 슬릿(3441)이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PCB 344 may be provided with a slit 3441 for coupling the second PCB 344 and the connector 4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슬릿(3441)은 상기 제 1 패드(3442)와 상기 제 2 패드(3444)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슬릿(3441)은 상기 제 3 패드(3443)와 상기 제 4 패드(3445) 사에도 위치된다. 상기 슬릿(3441)은 상기 복수의 패드가 형성되는 제 2 피씨비(344)의 일 단부가 절개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slit 3441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ad 3442 and the second pad 3444. Therefore, the slit 3441 is also located on the third pad 3443 and the fourth pad 3445. The slits 3441 may be formed by cutting one end of the second PCB 344 in which the plurality of pads are form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며, 도 15는 메인 피씨비 유닛이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 2 피씨비와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13,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main PCB uni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nnector is connected.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커넥터(400)는, 제 1 커넥팅 바디(410)와,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410)와 이격되는 제 2 커넥팅 바디(420)와,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410)와 상기 제 2 커넥팅 바디(420)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430)를 포함할 수 있다. 13 to 16, the connector 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ody 410, a second connecting body 4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ng body 410, And a connecting body 430 connecting the connecting body 4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420.

상기 제 2 피씨비(344)가 상기 커넥터(40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커넥터(400)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연결 바디(430)는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410)와 상기 제 2 커넥팅 바디(420)의 하측을 연결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body 4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ody 4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420 so that the second PCB 344 is coupled to the connector 400 from above to below the connector 400. [ Can be connected.

따라서,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410)와 상기 제 2 커넥팅 바디(420)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피씨비(344)가 수용되기 위한 피씨비 수용 공간(450)이 정의된다. Therefore, a space 450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PCB 344 is defin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ody 4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420.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410)에서 상기 제 2 커넥팅 바디(420)를 바라보는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 1 커넥팅 핀(442)과, 상기 제 1 커넥팅 핀(442)과 이격되는 제 2 커넥팅 핀(4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팅 핀(442)과 상기 제 2 커넥팅 핀(443)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first connecting pin 442 and a second connecting pin 443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ng pin 442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410 facing the second connecting body 420 May be provided. The first connecting pin 442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443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2 커넥팅 바디(420)에서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410)를 바라보는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 3 커넥팅 핀(444)과, 상기 제 3 커넥팅 핀(444)과 이격되는 제 4 커넥팅 핀(4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커넥팅 핀(444)과 상기 제 4 커넥팅 핀(445)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One or more third connecting pins 444 and a fourth connecting pin 444 spaced apart from the third connecting pin 444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420 facing the first connecting body 410 May be provided. The third connecting pin 444 and the fourth connecting pin 445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 커넥팅 핀(442)과 상기 제 3 커넥팅 핀(444)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넥팅 핀(443)과 상기 제 4 커넥팅 핀(445)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pin 442 and the third connecting pin 444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second connecting pin 443 and the fourth connecting pin 445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상기 각 커넥팅 핀(442 내지 445)의 일부는 상기 각 커넥팅 바디(410, 420)의 내부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각 커넥팅 바디(410, 420)에서 상기 피씨비 수용 공간(450)으로 돌출될 수 있다. A part of each of the connecting pins 442 to 445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ing bodies 410 and 420 and the other part is protruded from the connecting bodies 410 and 420 into the PC accommodating space 450 .

상기 각 커넥팅 핀(442 내지 445)은 일 예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전도체로서 상기 각 커넥팅 핀(442 내지 445)이 상기 각 커넥팅 바디(410, 420)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서 상기 각 커넥팅 바디(410, 42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Each of the connecting pins 442 to 445 is an elastically deformable conductor. The connecting pins 442 to 445 are protruded from the connecting bodies 410 and 420, respectively, And 420, respectively.

또는, 상기 각 커넥팅 핀(442 내지 445)는 전도체로서 상기 각 커넥팅 바디(410, 420)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each of the connecting pins 442 to 445 may be provided as a conductor and fixed to each of the connecting bodies 410 and 420.

상기 피씨비 수용 공간(450)에는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슬릿(3441)에 삽입되기 위한 슬릿 삽입 돌기(41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lit 3441 of the second PCB 344 may be provided with a slit insertion protrusion 412 in the PC accommodating space 450.

상기 슬릿 삽입 돌기(412)는 상기 제 1 커넥팅 핀(442)과 상기 제 2 커넥팅 핀(443)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릿 삽입 돌기(412)는 상기 제 3 커넥팅 핀(444)과 제 4 커넥팅 핀(445) 사이 영역에 위치된다.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412 may be locat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in 442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443. Therefore,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412 is positioned in the area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pin 444 and the fourth connecting pin 445.

상기 슬릿 삽입 돌기(412)는 상기 연결 바디(430)에서 상기 피씨비 수용 공간(450)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슬릿 삽입 돌기(412)는 상기 연결 바디(430)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s 412 may protrude from the connection body 430 into the space 450 for accommodating the PCB. For example,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41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connection body 430.

또는, 상기 슬릿 삽입 돌기(412)는 상기 각 커넥팅 바디(410, 4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다른 하나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슬릿 삽입 돌기(412)는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410)와 제 2 커넥팅 바디(420)를 연결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s 412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connecting bodies 410 and 420 and protrude toward the other. Alternatively,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412 may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body 4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420.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410)와 제 2 커넥팅 바디(420) 중 어느 하나에는 도 6에서 설명된 분리 방지 리브(136a)가 안착되는 돌기 안착부(41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에는 일 예로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410)에 돌기 안착부(414)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On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410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420 may be provided with a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414 o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136a described in FIG. 6 is mounted. In FIG. 13,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body 410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414.

한편, 상기 제 2 피씨비(344)는 상기 커넥팅 바디(40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피씨비 수용 공간(450)에 수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PCB 344 may be accommodated in the PCB accommodating space 450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body 400 downward.

상기 제 2 피씨비(344)가 상기 피씨비 수용 공간(45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릿 삽입 돌기(412)가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슬릿(3441)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412 may be inserted into the slit 3441 of the second PCB 344 while the second PCB 344 is received in the PCB accommodating space 450.

이와 같이 상기 슬릿 삽입 돌기(412)가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슬릿(3441)에 수용된 상태는, 상기 제 2 피씨비(344)가 상기 커넥터(400)에 정상적으로 연결되는 상태이다. The state where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s 412 are received in the slits 3441 of the second PCB 344 is such that the second PCB 344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400. [

이 상태에서 도 16과 같이 상기 각 패드(3442 내지 3445)가 각 커넥팅 핀(442 내지 445)에 정위치에서 접촉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pads 3442 to 3445 contact the connecting pins 442 to 445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릿 삽입 돌기(412)가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슬릿(3441)에 수용되어 각 패드(3442 내지 3445)가 각 커넥팅 핀(442 내지 445)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제 2 피씨비(344)와 커넥터(400)의 오조립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s 412 are received in the slits 3441 of the second PCB 344 and the pads 3442 to 3445 contact the respective connecting pins 442 to 445, The second PCB 344 and the connector 400 are prevented from being misassembled.

또한, 상기 제 2 피씨비(344)와 커넥터(400)의 오조립이 방지됨에 따라서 인접하는 두 패드가 일 커넥팅 핀에 의해서 연결됨에 따른 쇼트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second PCB 344 and the connector 400 are prevented from being misassembled, a short circuit due to the connection of two adjacent pads by the one connecting pin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커넥팅 바디(410, 420)의 사이에 제 2 피씨비(344)가 삽입되고, 상기 슬릿 삽입 돌기(412)가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슬릿(3441)에 수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 2 피씨비(344)와 상기 커넥터(400)의 고정을 위한 후크와 같은 추가적인 고정수단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The second PCB 344 is inserted between the two connecting bodies 410 and 420 so that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s 412 are received in the slits 3441 of the second PCB 344 There is an advantage that additional fixing means such as the second PCB 344 and hooks for fixing the connector 400 are not need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커넥팅 핀(442)과 제 3 커넥팅 핀(444)은 동일한 역할을 하고, 제 2 커넥팅 핀(443)과 제 4 커넥팅 핀(445)은 동일한 역할을 한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ng pin 442 and the third connecting pin 444 play the same rol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443 and the fourth connecting pin 445 play the same role.

또한, 상기 제 2 피씨비(344)에서 제 1 패드(3442)와 제 3 패드(3443)는 동일한 역할을 하고, 제 2 패드(3444)와 제 4 패드(3445)는 동일한 역할을 한다. The first pad 3442 and the third pad 3443 play the same role in the second PCB 344 and the second pad 3444 and the fourth pad 3445 play the same role.

따라서, 상기 제 2 피씨비(344)의 양면에 패드(3442 내지 3445)가 구비되고, 제 2 피씨비(344)를 두 개의 커넥팅 바디(410, 420) 사이에 삽입함에 따라서, 제 2 피씨비(344)의 양면의 패드(3442 내지 3445) 중 일면의 패드(3442 내지 3445)가 커넥팅 핀(442 내지 445)에 연결되기만 하면 신호 전달이 가능하므로, 제 2 피씨비(344)와 커넥터(400)의 연결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ads 3442 to 3445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CB 344 and the second PCB 34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CB 344 as the second PCB 344 is inserted between the two connecting bodies 410, The signal can be transmitted only when the pads 3442 to 3445 on one side of the pads 3442 to 3445 on both sides of the connector 3442 to 3445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ns 442 to 445, Can be improved.

이때, 상기 제 2 피씨비(344)와 커넥터(400)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슬릿 삽입 돌기(412)에 쐐기를 형성하고, 상기 슬릿(3441)에 쐐기 결합을 위한 추가적인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wedge in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412 and to form an additional groove for wedge coupling in the slit 3441 so as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econd PCB 344 and the connector 400 .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핸들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핸들 바디에 메인 피씨비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핸들 바디에 메인 피씨비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파워 피씨비가 지지 리브에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의 상태에서 핸들 커버 및 조작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handle, FIG. 19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body unit coupled to a handle body, FIG.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cover and the operation uni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state of FIG. 20. FIG.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cover is seated on the support rib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unit is coupled to the body.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핸들부가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assembly is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 바디(332)에는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3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322)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연장부(320) 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8 to 22, the handle body 332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322 for receiving the main PCB unit 340 therein. The receiving space 322 is a space formed substantially in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320.

상기 핸들 바디(332)는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을 지지하는 서포터(3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body 332 may include a supporter 324 for supporting the main PCB unit 340.

상기 서포터(324)는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이 안착되는 안착면(324a)과, 상기 안착면(324a)에 안착된 제 1 피씨비(342)를 지지하는 제 1 리브(324b)와, 상기 안착면(324a)에 안착된 제 2 피씨비(344)를 지지하는 제 2 리브(324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er 324 includes a seating surface 324a on which the main PCB unit 340 is seated, a first rib 324b supporting a first PCB 342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24a, And a second rib 324c that supports a second PCB 344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24a.

상기 각 리브(324b, 324c)는 상기 안착면(324a)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ribs 324b and 324c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324a.

상기 제 1 리브(324b)와 상기 제 2 리브(324c)에 의해서, 상기 서포터(342)에 지지된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이 도 16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first rib 324b and the second rib 324c can prevent the main plate unit 340 supported by the supporter 342 from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상기 제 1 리브(324b)와 상기 제 2 리브(324c)는 메인 피씨비 조립체를 상기 핸들 바디(332)의 수용 공간(322)에 수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의 인입을 가이드한다. The first rib 324b and the second rib 324c guide the main PCB assembly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main PCB assembly in the accommodating space 322 of the handle body 332. [

상기 핸들 바디(332)는 상기 피씨비 커버(360)의 복수의 광 투과부(364)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3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body 332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27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s 364 of the cover 360 are inserted.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가 상기 복수의 삽입홀(32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는 상기 핸들(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에 의해서 복수의 엘이디(371, 372, 373)에서 조사되는 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s 36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30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s 364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27. [ Therefor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plurality of LEDs 371, 372, and 373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the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s 364 by the user.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복수의 광 투과부(364)가 상기 복수의 삽입홀(327)에 삽입되므로,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상기 복수의 삽입홀(327)을 통하여 상기 메인 피씨비(34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Since the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s 364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27 in the present embodiment, external moisture or foreign matter is moved toward the main PCB 341 through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27 Can be prevented.

상기 핸들 바디(332)는 상기 수용 공간(322)에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부(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body 332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coupling portion 325 coupled to the PC connector 350 in the housing space 322 while the main PCB assembly is received.

상기 커넥터 결합부(325)에는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후크(357)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325a)과, 상기 관통홀(325a)을 관통한 결합 후크(357)가 걸리는 후크 걸림 리브(325b)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onnector engaging portion 325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325a through which the engaging hook 357 of the PC connector 350 penetrates and a hook engaging rib 357 engaging with the engaging hook 357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325a. (325b)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파워 피씨비(380)는 상기 조작부(390)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 1 스위치(382)와 제 2 스위치(3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1 스위치(382)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온 또는 오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상기 제 2 스위치(384)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흡입력 세기 조절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power supply 380 may include a first switch 382 and a second switch 384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operation unit 390. The first switch 382 may receive an on or off command of the suction motor 20 and the second switch 384 may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20, Command can be input.

상기 핸들 바디(332)는 상기 파워 피씨비(38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리브(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326)는 상기 커넥터 결합부(325)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handle body 332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rib 326 for supporting the power PCB 380. The support ribs 326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connector engagement portion 325.

상기 지지 리브(326)는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326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상기 경사면(326a)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위치(382)와 상기 제 2 스위치(384)의 높이는 다르게 된다. The support rib 326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326a for allowing the power PCB 380 to be disposed in an inclined state. Therefore, the height of the first switch 382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switch 384 are different in a state where the power PCB 380 is supported on the inclined surface 326a.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이 상기 핸들 바디(332)에 결합되면, 상기 제 1 피씨(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 사이에 상기 지지 리브(326)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메인 피씨비 유닛(340)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지지 리브(326)에 의해서 메인 피씨비(341)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 리브(326)는 상기 제 1 피씨비(342) 및 제 2 피씨비(344) 각각과 이격된다. When the main PCB unit 340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332, the supporting rib 326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CB 342 and the second PCB 344. The support ribs 326 may be formed on the first PCB 342 and the second PCB 342 to prevent the main PCB 341 from being damaged by the support ribs 326 dur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main PCB unit 340. [ (344).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의 경사 각도는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연장부(343, 345)의 경사면(343a, 345a)의 경사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s 326a of the support ribs 326 may be the sam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s 343a and 345a of the extended portions 343 and 345 of the PCBs 342 and 344.

따라서,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경사면(343a, 345a) 및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이 상기 파워 피씨비(380)를 지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inclined surfaces 343a and 345a of the PCBs 342 and 344 and the inclined surfaces 326a of the supporting ribs 326 can support the power PCB 380.

물론,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에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각 피씨비(342, 344)의 경사면(343a, 345a)이 상기 파워 피씨비(380)와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inclined surfaces 343a and 345a of the PCBs 342 and 344 ar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PCB 380 in a state where the power PCB 380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26a of the support rib 326 It is also possible.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에 접촉된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도 15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 바디(332)는 상기 파워 피씨비(380)를 관통하는 끼움 리브(32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 피씨비(380)에는 상기 끼움 리브(326b)가 관통하기 위한 슬릿(386)이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power PCB 380 contacting the inclined surface 326a of the support rib 326 from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5, the handle body 332 is provided with the power PCB 380 And a penetrating fitting rib 326b. The power PCB 380 may be formed with a slit 386 through which the fitting rib 326b passes.

상기 끼움 리브(326b)는 상기 지지 리브(326)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에 안착되면, 상기 끼움 리브(326b)가 상기 슬릿(386)에 끼워지므로, 상기 파워 피씨비(380)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상기 지지 리브(326)의 경사면(326a)을 따라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fitting rib 326b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upporting rib 326. [ When the power PCB 380 is mounted on the sloping surface 326a of the support rib 326, the fitting rib 326b is fitted in the slit 386. Thus, during the assembly of the power PCB 380, The PCB 380 can be prevented from sliding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326a of the support rib 326. [

상기 핸들 바디(332)는 상기 지지 리브(326)에 안착된 상기 파워 피씨비(380)의 상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스토퍼(3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body 332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topper 328 for preventing upward movement of the power PCB 380 mounted on the support rib 326.

상기 핸들 바디(332)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지지 리브(326)에 안착된 상기 파워 피씨비(38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보스(3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body 332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boss 329 fastened to the power PCB 380 that is seated on the support rib 326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crew.

상기 파워 피씨비(380)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38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ower PCB 380 may have a through hole 381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mber passes.

한편, 상기 조작부(390)는, 상기 핸들 커버(334)에 체결되기 위한 지지 프레임(396)과, 상기 지지 프레임(396)에 결합되는 조작 버튼(39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390 may include a support frame 396 to be fastened to the handle cover 334 and an operation button 391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396.

상기 조작 버튼(391)은 상기 제 1 스위치(382)를 누르기 위한 제 1 푸시부(392)와, 상기 제 2 스위치(384)를 누르기 위한 제 2 푸시부(39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조작 버튼(391)이 두 개의 푸시부(392, 39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button 391 may include a first push portion 392 for pressing the first switch 382 and a second push portion 394 for pressing the second switch 384. [ That is, one operation button 391 may include two push portions 392, 394.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382)와 상기 제 2 스위치(384)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파워 피씨비(380)가 경사지므로,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파지한 상태에서 한 손가락으로 상기 조작 버튼(391)를 조작하여 상기 제 1 스위치(382)를 누르거나 제 2 스위치(384)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Since the power switch 380 is inclined while the first switch 382 and the second switch 384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The user can press the first switch 382 or the second switch 384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391 with a finger. Therefore, the operational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이하에서는 메인 피씨비 유닛(340)과 파워 피씨비(380)의 조립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assembling the main PCB unit 340 and the power PCB 380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핸들 바디(332)의 수용 공간(322)에 상기 피씨비 커버(360)를 인입한 상태에서 상기 피씨피 커버(360)의 광 투과부(364)가 상기 핸들 바디(332)의 삽입홀(327)에 삽입되도록 한다.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364 of the cover 3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62 of the handle body 332 while the cover 360 is drawn into the receiving space 322 of the handle body 332, 327).

그리고, 상기 제 1 피씨비(342)와 상기 제 2 피씨비(344)를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로 연결하여 메인 피씨비 조립체를 완성하고,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를 상기 피씨비 커버(360)와 상기 핸들 바디(332)의 서포터(324) 사이 공간으로 삽입한다. The first and second PCBs 342 and 344 are connected to the PCB connector 350 to complete the main PCB assembly and the main PCB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PCB cover 360 and the handle body 332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ers 324.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피씨비 커버(360)의 한 쌍의 측면부(362, 363)와 상기 서포터(324)의 제 1 및 제 2 리브(324b, 324b)는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의 삽입을 가이드 한다. The pair of side portions 362 and 363 of the cover 360 and the first and second ribs 324b and 324b of the supporter 324 are inserted into the main PCB assembly during the insertion of the main PCB assembly, Guide.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가 상기 핸들 바디(332)의 수용 공간(322)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피씨비 커넥터(350)의 결합 후크(357)가 상기 후크 관통홀(325a)을 관통하여 후크 걸림 리브(325b)에 걸리면,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의 조립은 완료된다.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main PCB assembly into the receiving space 322 of the handle body 332, the engaging hook 357 of the PC connector 350 passes through the hook through hole 325a and the hook engaging rib 325b , The assembly of the main PCB assembly is completed.

이 상태에서 도 20과 같이 상기 파워 피씨비(380)를 상기 지지 리브(326)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파워 피씨비(380)를 상기 핸들 바디(332)에 고정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power PCB 380 can be fixed to the handle body 332 by using the coupling member in a state where the power PCB 380 is seated on the support rib 326 as shown in FIG.

상기 파워 피씨비(380)는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 피씨비(341)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핸들 바디(332)에 고정된다. The power PCB 380 is fixed to the handle body 332 substantially at the same height as the main PCB 341.

그 다음, 도 21과 같이 상기 핸들 바디(332)에 핸들 커버(334)를 결합시킨 후에 상기 핸들 커버(334)에 상기 조작부(390)를 결합시킬 수 있다. Then, as shown in FIG. 21, after the handle cover 334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332, the operation unit 390 can be coupled to the handle cover 334.

그리고, 도 22와 같이 상기 핸들부(3)를 상기 본체(2)와 정렬시킨 후 상기 핸들부(3)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핸들부(3)가 상기 본체(2)에 고정될 수 있다. 22, when the handle part 3 is aligned with the main body 2 and then the handle part 3 is slid downward, the handle part 3 can be fixed to the main body 2 have.

또한, 상기 메인 피씨비가 두 개의 피씨비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 바디 내에 수용되므로, 메인 피씨비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in PCB is accommodated in the handle body in a state of being divided into two PCBs, the size of the main PCB can be reduced.

특히, 상기 두 개의 피씨비가 평행한 상태 및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핸들 바디에 수용되므로, 메인 피씨비 유닛의 크기가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two PCBs are accommodated in the handle body in a parallel state and a standing state, the size of the main PCB unit is minimized.

또한, 두 개의 피씨비를 피시피 커넥터에 연결한 상태에서 메인 피씨비 조립체를 핸들 바디의 수용 공간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 조립체가 상기 핸들 바디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피씨비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구조 및 두 개의 피씨비를 상기 핸들 바디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고, 사용자의 조립 과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in PCB assembly can be coupled to the handle body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main PCB assembly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handle body with two PCBs connected to the PCB connector,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handle and the two PCBs to the handle body is simplified, and the assembly process of the user is easy.

또한, 상기 핸들부(3)가 상기 본체(2)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피씨비(344)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므로, 상기 제 2 피씨비(344)를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과정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CB 344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during the sliding of the handle 3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 a process for connecting the second PCB 344 to the connector is unnecessary There are advantages.

1: 청소기 2: 본체
5: 흡입부 3: 핸들부
30: 핸들 340: 메인 피씨비 유닛
341: 메인 피씨비 342: 제 1 피씨비
344: 제 2 피씨비 350: 피씨비 커넥터
360: 피씨비 커버
1: Cleaner 2: Body
5: Suction part 3: Handle part
30: Handle 340: Main PC unit
341: Main Fee 342: 1st Fee
344: Second PCB 350: PC connector
360: cover for PC

Claims (12)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흡입 모터의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메인 피씨비;
상기 메인 피씨비를 수용할 수 있는 핸들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피씨비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본체에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피씨비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에 상기 제1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메인 피씨비는, 복수의 패드와,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패드와 접촉되기 위한 복수의 커넥팅 핀과,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슬릿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main PCB capable of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of the suction motor;
A handle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main PCB; And
And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main PCB when the handle por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handle portion is slidably coupled to the body in a first direction,
Wherein the main PCB is coupled to the connector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the sliding of the handle portion to the main body,
The main PCB includes a plurality of pads and slits,
The conn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for contacting the plurality of pads, and a slit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l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복수의 패드에서 인접하는 두 패드 사이 영역에 위치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it is located in a region between two adjacent pads in the plurality of pa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서로 이격되는 제 1 커넥팅 바디 및 제 2 커넥팅 바디와,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팅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와,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팅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피씨비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 삽입 돌기는 상기 피씨비 수용 공간에 위치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ody and a second connecting bod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onnecting bod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a PC accommoda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is located in the FPC accommodation sp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디는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와 상기 제 2 커넥팅 바디의 하측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 피씨비는 상기 피씨비 수용 공간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피씨비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on body connects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Wherein the main PCB is accommodated in the PCB accommodating space from above to below the PC accommodating sp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삽입 돌기는 상기 연결 바디에서 상기 피씨비 수용 공간으로 돌출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connection body to the PCB accommodation sp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삽입 돌기는,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와 제 2 커넥팅 바디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protrudes from on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toward the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삽입 돌기는,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와 제 2 커넥팅 바디를 연결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connects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드는, 상기 메인 피씨비의 제1면에 위치되며 서로 이격되는 제 1 패드 및 제 2 패드와,
상기 메인 피씨비의 제1면과 반대면인 제2면에 위치되며 서로 이격되는 제 3 패드 및 제 4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 1 패드와 상기 제 2 패드 사이 영역 및 상기 제 3 패드와 상기 제 4 패드 사이 영역에 위치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pads include a first pad and a second pad located on a first surface of the main PCB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hird pad and a fourth pad located on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PCB and spaced from each other,
Wherein the slit is locat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nd in a region between the third pad and the fourth pa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드와 상기 제 3 패드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패드와 상기 제 4 패드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pad and the third pad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pad and the fourth pad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팅 핀은, 상기 제 1 커넥팅 바디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는 제 1 커넥팅 핀 및 제 2 커넥팅핀과,
상기 제 2 커넥팅 바디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는 제 3 커넥팅 핀 및 제 4 커넥팅 핀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 삽입 돌기는, 상기 제 1 커넥팅 핀과 상기 제 2 커넥팅 핀 사이 영역 및 상기 제 3 커넥팅 핀과 상기 제 4 커넥팅 핀 사이 영역에 위치되는 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include a first connecting pin and a second connecting pin provided on the first connecting body,
A third connecting pin and a fourth connecting pin provided on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slit insertion protrusion is locat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in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and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pin and the fourth connecting pi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팅 핀과 상기 제 3 커넥팅 핀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커넥팅 핀과 상기 제 4 커넥팅 핀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connecting pin and the third connecting pin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and the fourth connecting pin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피씨비는 서로 이격되는 제 1 피씨비와 제 2 피씨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피씨비와 상기 제 2 피씨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PCB includes a first PCB ratio and a second PCB ratio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erein one of the first PCB and the second PCB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KR1020160177827A 2016-08-25 2016-12-23 Cleaner Active KR1019032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827A KR101903253B1 (en) 2016-12-23 2016-12-23 Cleaner
PCT/KR2017/009062 WO2018038474A1 (en) 2016-08-25 2017-08-18 Vacuum cleaner
CN201780052085.XA CN109640770A (en) 2016-08-25 2017-08-18 Dust catcher
AU2017314626A AU2017314626B2 (en) 2016-08-25 2017-08-18 Vacuum cleaner
US16/328,103 US11344170B2 (en) 2016-08-25 2017-08-18 Vacuum cleaner
EP17843894.1A EP3488748B1 (en) 2016-08-25 2017-08-18 Vacuum cleaner
JP2019506196A JP6755382B2 (en) 2016-08-25 2017-08-18 Vacuum cleaner
RU2019108309A RU2698843C1 (en) 2016-08-25 2017-08-18 Vacuum cleaner
US17/704,891 US11889973B2 (en) 2016-08-25 2022-03-25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827A KR101903253B1 (en) 2016-12-23 2016-12-23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105A KR20180074105A (en) 2018-07-03
KR101903253B1 true KR101903253B1 (en) 2018-10-01

Family

ID=6291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827A Active KR101903253B1 (en) 2016-08-25 2016-12-23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25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475A (en) 1998-07-27 200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Board mounting device
KR100548038B1 (en) * 1999-04-16 2006-01-31 선 마이크로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Memory module and memory module connectors with offset notches to improve insertability and stability
JP2008251767A (en) 2007-03-30 2008-10-16 Buffalo Inc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inted wiring board and edge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JP2014200325A (en) * 2013-04-01 2014-10-27 株式会社マキタ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475A (en) 1998-07-27 200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Board mounting device
KR100548038B1 (en) * 1999-04-16 2006-01-31 선 마이크로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Memory module and memory module connectors with offset notches to improve insertability and stability
JP2008251767A (en) 2007-03-30 2008-10-16 Buffalo Inc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inted wiring board and edge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JP2014200325A (en) * 2013-04-01 2014-10-27 株式会社マキタ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105A (en)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220B1 (en) Cleaner
US11889973B2 (en) Vacuum cleaner
JP7028943B2 (en) Vacuum cleaner
US10542860B2 (en) Cleaner
KR102138214B1 (en) Cleaner
KR101903253B1 (en) Cleaner
KR20180023774A (en) Cleaner
KR102226555B1 (en)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