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986B1 - Controller for Solenoid valve - Google Patents
Controller for Solenoid val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5986B1 KR101915986B1 KR1020110134272A KR20110134272A KR101915986B1 KR 101915986 B1 KR101915986 B1 KR 101915986B1 KR 1020110134272 A KR1020110134272 A KR 1020110134272A KR 20110134272 A KR20110134272 A KR 20110134272A KR 101915986 B1 KR101915986 B1 KR 1019159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solenoid valve
- supplied
- switching circuit
- external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전자밸브 제어장치는, 외부전원이 냉장고에 공급되면 충전되고 외부 전원이 입력되지 않으면 방전되는 캐패시터; 상기 냉장고에 공급된 외부전원 또는 상기 캐패시터로부터 방전되는 전원이 입력되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방향 전환회로;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전원의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잠그고 제2 방향이면 개방하는 전자밸브; 및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의 출력 전원의 방향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전자밸브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정전시에도 냉장실 냉기 보존을 위해 개방되어야 하는 전자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어 냉장실에 보관된 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solenoid val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acitor charged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supplied to a refrigerator and discharged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not input; A power source direction switching circuit which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or from the capacitor and outputs power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A solenoid valve which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and is locked when the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is the first direction and is opened when the power source i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output power of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according to whether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or not and whether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electromagnetic valve to be opened for preservation and prevent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from being deteriorated.
Description
정전 대비용 시스템 가동을 위한 전자밸브를 제어장치 및 전자밸브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o a control device for a solenoid valve for operating the electrostatic charge system and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 등을 냉동 또는 냉장보관하기 위해 온도에 따라 상변화 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작동유체가 기화될 때 냉장고 내부의 열을 기화열로 흡수하여 냉장고 내부를 냉각시키며, 외부에서 액화하여 흡수한 열을 발산하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refrigerator utilizes a working fluid that changes phase by temperature in order to refrigerate or store foods, etc., and absorbs the heat inside the refrigerator into the refrigerator when the working fluid is vaporized to cool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t is a device which repeatedly performs the operation of radiating one heat.
냉장고에서 사용중인 전형적인 구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각사이클을 작동유체가 순환하면서 냉장고 내부를 냉각시킨다. 본체의 후방 하부영역에 압축기가 배치되고 냉동실의 후벽에는 냉동실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가 배치된다.A typical structure used in a refrigerator is a refrigeration cycle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inflator and an evaporator. A compressor is disposed in a rear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and an evaporator for heat exchange with air in the freezing chamber is disposed on a rear wall of the freezing chamber.
이와 같은 냉장고의 작동은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압축기가 정상작동을 하는 경우에는 내부 온도가 유지되도록 지속적으로 냉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문제되지 않으나, 정전이 되거나 압축기의 고장과 같이 냉각사이클에 문제가 생겨 냉각이 중단되는 경우 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such a refrigerator is not a problem because cold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when the power is normally supplied and the compressor operates normall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e cooling cycle such as a power failure or a failure of the compress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rises.
특히, 식품이 변질되기 쉬운 냉장실의 온도는 쉽게 상승하게 되어 음식물이 상하는 문제가 있어 정전에 대비하여 냉장실의 온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which is prone to deterioration of the food, rises easily, and the food is broken, and a technique for preventing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rom being lowered in preparation for a power failure is required.
정전 대비용 시스템 가동을 위한 전자밸브를 정상적으로 외부전원이 공급시 상기 전자밸브를 잠그고 정전시에도 상기 전자밸브를 작동하여 개방시키는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operating the solenoid valve for operating the electrostatic charge system and normally closing the solenoid valve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supplied,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전자밸브 제어장치는, 외부전원이 냉장고에 공급되면 충전되고 외부 전원이 입력되지 않으면 방전되는 캐패시터; 상기 냉장고에 공급된 외부전원 또는 상기 캐패시터로부터 방전되는 전원이 입력되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방향 전환회로;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전원의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잠그고 제2 방향이면 개방하는 전자밸브; 및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의 출력 전원의 방향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A solenoid val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acitor charged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supplied to a refrigerator and discharged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not input; A power source direction switching circuit which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or from the capacitor and outputs power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A solenoid valve which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and is locked when the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is the first direction and is opened when the power source i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microcomputer for detecting the supply of the external power and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output power of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according to whether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와 상기 전자밸브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전원차단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밸브는,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중단되기 이전의 개폐상태를 유지하는 래치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power cut-off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pow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circuit and the solenoid valve, wherein the solenoid valve uses a latch valve that maintains the open / close state before the supply of power is stopped .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자밸브가 상기 외부전원 또는 상기 캐패시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 후에 상기 전원차단회로가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와 상기 전자밸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전자밸브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있다. Wherein the microcomputer cut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ource direction switching circuit and the solenoid valve after the solenoid valve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or the capacitor, So as not to be controlled.
상기 캐패시터의 방전은, 0.1초 내지 5초 동안 지속될 수 있다.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may last from 0.1 second to 5 seconds.
상기 마이컴은,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이 제1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캐패시터를 방전시켜 상기 전자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이 제2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Wherein the microcomputer controls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solenoid valve is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and discharges the capacitor when the external power is not suppli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so that the supplied power is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전자밸브는, 냉장고의 열사이펀의 순환유로에 설치될 수 있다.The solenoid valve may be installed in a circulating flow path of the heat siphon of the refrigerator.
상기 냉장고에 입력된 전원을 정류하여 DC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캐패시터 및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에 공급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converter for rectifying the power input to the refrigerator, converting the power into DC power, and supplying the DC power to the capacitor and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밸브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제1 방향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잠그고, 제2 방향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개방되고,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외부전원을 캐패시터에 충전하고, 상기 외부전원을 제1 방향으로 상기 전자밸브에 공급하여 상기 전자밸브를 잠그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작동 단계; 및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캐패시터가 방전하고, 상기 캐패시터에서 방전되는 전원을 제2 방향으로 상기 전자밸브에 공급하여 상기 전자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solenoid valve, wherein the solenoid valve is closed when power is applied in a first direction, opened when power is applied in a second direction, Charging the capacitor and supply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solenoid valve in a first direction to lock the solenoid valve; And discharging the capacit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power is not supplied, supplying power to the solenoid valve in a second direction to open the solenoid valve.
상기 제1 작동단계의 상기 전자밸브를 잠그는 단계는,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전자밸브 사이에 개재되어, 작동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전자밸브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출력하는 전원방향 전환회로를 이용하며,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에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전자밸브로 제1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밸브가 잠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locking the solenoid valve in the first operation step comprises the steps of: intervening between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solenoid valve, switching the power direction to output the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solenoid valve in the first direction, A step of a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using a circuit, supplying the external power to the solenoid valve in a first direction, and locking the solenoid valve.
상기 전자밸브는,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중단되기 이전의 개폐상태를 유지하는 래치밸브이고, 상기 제1 작동 단계는, 상기 전자밸브를 잠그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로부터 상기 전자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olenoid valve is a latch valve that maintains an open / close state before the supply of power is stopped when the supply of power is stopped, and the first operation step includes, after the step of locking the solenoid valve, And a step of disconnec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ource.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에 작동전원 인가를 중단할 수 있다. After the step of disconnecting the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circuit may be stopped from operating power supply.
상기 제1 작동단계는, 상기 전자밸브가 잠겨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자밸브가 개방상태이면 상기 전자밸브를 잠그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전자밸브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전자밸브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The first operation step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olenoid valve is locked and locking the solenoid valve when the solenoid valve is in an open state and if the solenoid valve is in a locked state,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단계에서 상기 캐패시터의 방전은, 0.1초 이상 5초 이하의 범위에서 지속될 수 있다.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scharging of the capacitor in the second operation step may be continued in a range of 0.1 seconds to 5 seconds.
본 발명의 전자밸브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정전시에도 냉장실 냉기 보존을 위해 개방되어야 하는 전자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어 냉장실에 보관된 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electromagnetic valv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electromagnetic valve which is opened to preserve the cold storag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even during a power failure, so that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또한, 밸브의 잠금 또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소모가 적고 밸브가 과열되지 않다. In addition, since the power supply is not continuously supplied in order to maintain the locked or open state of the valve, power consumption is low and the valve is not overheated.
도 1은 냉장고의 냉각사이클 및 열사이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밸브 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전자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밸브의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밸브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hows a refrigerator cycle and a heat siphon.
2 is a view showing a solenoid-operated valv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show the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7 are diagram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trol apparatus for a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전자밸브(130)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동일한 도면번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도 1은 냉장고의 냉각사이클(15) 및 열사이펀(20)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는 냉장고 본체(10)와 냉장고를 냉각시키는 냉각사이클(15) 및 열사이펀(20)이 도시되어 있다.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상기 냉장고 본체(10)는 격벽(13)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11)과 냉장실(12)로 구분되며, 상기 냉장고 본체(10) 내부의 냉각을 위해 냉각사이클(15)을 구비한다.The
상기 냉각사이클(15)은 압축기(17)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작동유체를 압축하며 응축기(18)에서 액체상태로 변화시킨다. 상기 액체상태로 변한 상기 작동유체를 팽창기(19) 및 증발기(16)에서 감압팽창을 통해 기체상태로 상변화시킴으로써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주변의 온도가 낮아진다. The
이러한 냉각사이클(15)의 증발기(16)를 상기 냉동실(11)에 설치하여 상기 냉동실(11)을 냉각하고 그 냉기로 상기 냉장실(12)의 온도를 유지한다. 상기 냉각사이클(15)이 지속적으로 상기 냉장고 본체(10) 내부를 냉각하기 위해서는 상기 압축기(17)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인가해야 하므로, 정전 시에는 상기 압축기(17)의 작동이 멈추게 되어 상기 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The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냉각사이클(15)이 작동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냉동실(11)에는 상변화 물질과 같은 냉기를 저장하는 소재를 구비하여 미리 저장해둔 냉기를 이용하여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The
그러나, 냉장실(12)의 경우 온도가 냉동실(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상기와 같은 상변화 물질을 이용하기 어려워 온도가 쉽게 상승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11)의 냉기를 이용하여 상기 냉장실(12)의 온도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열사이펀(20)을 이용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열사이펀(thermosiphon, 20)이란 온도에 따라 상이 변화하며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냉매를 이용하며, 중력에 의해 냉기를 흡수한 냉매가 아래로 내려와 기체상태로 변화하는 원리로 상부의 냉기를 하부로 전달한다. 즉, 열사이펀은 냉매의 상변화 원리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기적 에너지 없이 열을 전달하는 장치이다.A thermosiphon (20) is a refrigerant that absorbs and discharges heat by changing its phas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The refrigerant that absorbs cold air by gravity moves downward and changes to a gaseous state. . That is, the heat siphon is a device that transfers heat without using any additional electrical energy using the phase change principle of the refrigera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사이펀(20)의 일부는 상기 냉장실(12)에 위치하고 일부는 상기 냉동실(11)에 위치하며 상기 냉동실(11)과 상기 냉장실(12)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열을 교환한다. 상기 열사이펀(20)은 응축부(21), 증발부(22), 제1 연결관(24) 및 제2 연결관(25)을 포함한다. 1, a part of the
상기 응축부(21)는 냉동실(11)에 위치하며 상기 냉매가 액화되어 냉기를 흡수한다. 증발부(22)는 상기 냉장실(12)에 위치하며 상기 냉매가 기화하는 상기 증발부의 출구 및 상기 응측관의 입구를 연결한다.The
상기 제1 연결관(24)은 상기 증발부(22)로부터 상기 응축부(21)로 상기 냉매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상기 제2 연결관(23)은 상기 응측부의 출구과 상기 증발부의 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응축부(21)로부터 상기 증발부(22)로 상기 냉매가 이동하도록 안내한다.The
상기 열사이펀(20)은 상기 냉장고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에는 그 내부의 냉매가 유동하지 않고 냉동실에 위치하여 열을 방출하고 냉기를 보존해야 하므로, 열사이펀의 순환 구조에 밸브(29)를 구비하여 상기 냉매의 순환을 막는다. 상기 밸브(29)는 상기 열사이펀(20)의 어디에 위치해도 상기 냉매의 순환을 막을 수 있다. 다만, 냉매가 냉동실에 액화되어 머무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관(23)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refrigerator is normally operated, the
상기 밸브(29)는 바이메탈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방법도 이용가능하나, 상기 냉장고의 신뢰성을 위해서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전자밸브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전자밸브는 유량을 제어하는 ON/OFF 동작이 전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솔레노이드 코일 속의 무빙코어가 위치하는 구조이다.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이 형성되고, 자기장에 의해 상기 무빙코어가 움직여 전자밸브(130)를 개폐함으로써 유량을 제어한다.The solenoid valv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moving core in the solenoid coil is placed in the ON / OFF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electronically.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a magnetic field is formed, and the moving core moves by the magnetic field to open and close the
전자밸브(130)의 개폐는 전원이 공급되야 가능하다. 따라서, 전원이 공급될 때 닫는 작동은 가능하나 정전시와 같이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개방하는 동작이 문제된다. 정전시에 냉장실(12)의 온도 유지를 위해 상기 열사이펀(20)의 냉매가 순환되도록 상기 전자밸브(130)가 개방되어야한다. 본원발명은 정전시에도 전자밸브(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Opening and closing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밸브(130)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캐패시터(110), 전원방향 전환회로(120), 전자밸브(130), 마이컴(140) 및 전원차단회로(150)가 개시되어 있다. 2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a
캐패시터(capacitor)(110)는 두 도체판 사이의 공간에 전기장을 모으는 장치이다. 두 개의 도체판과 그 사이에 절연체가 개재되며 각 판의 표면과 절연체의 경계부분에 전하가 비축된다. 상기 캐패시터(110)의 용량이 클 수록 많은 전하를 비축할 수 있으며, 캐패시터(110)의 용량은 양표면에 모이는 전하량은 상기 판의 크기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한다. A
본 발명의 캐패시터(110)는 정상적으로 외부전원이 입력될 때 전하를 비축하였다가, 정전시 비축된 전하를 방출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캐패시터(110)는 냉장고 전체를 가동시킬 정도의 에너지를 비축하기 어렵고, 용량이 커질수록 캐패시터(110)의 가격이 상승하여 전체 비용이 증가하므로 최소한의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때, 상기 캐패시터(110)에 직류전원이 공급되야 하므로 외부전원이 교류인 경우 정류해야할 필요가 있다. 정류기는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된 회로로서, 양과 음으로 변화하는 교류전류를 한가지 방향만 갖는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소자나 장치이다. 정류기(16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교류를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 가능하다. At this time, since DC power must be supplied to the
전자밸브(130)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라고도 하며, 솔레노이드 코일(136, 도 3 및 도 4참조) 속의 무빙코어(137, 도 3 및 도 4 참조)가 위치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6)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이 형성되고 자기장에 의해 상기 무빙코어(137)가 움직여 전자밸브(130)를 개폐함으로써 유량을 제어한다.3 and 4) in the solenoid coil 136 (see FIGS. 3 and 4) and the solenoid coil 136 (see FIGS. 3 and 4) A magnetic field is formed and the moving
상기 전자밸브(130)는 일 방향으로 흐르는 유로를 열고 닫는 2방향 밸브도 있으나, 여러 방향의 유체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3방향 밸브 및 4방향 밸브도 있다. Although the
본 발명에서 일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2방향 밸브를 이용할 수 있으며, 3방향 밸브를 이용할 수도 있다. 3방향 밸브를 이용하는 경우 한쪽 방향의 유로는 필요 없으므로 실제 제품에서는 막혀진 것으로 출시된다. 다만, 3방향 밸브를 이용하면 상기 열사이펀에 냉매를 주입구로 이용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wo-way valve can be used for controlling the fluid flow in one direction, and a three-way valve can also be used. When a three-way valve is used, the one-way flow path is not necessary, so it is released as a clogged product in actual products. However, if a three-way valve is used, refrigerant can be used as an injection port for the thermal siphon.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밸브(130)는 전원이 인가되어야 작동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전원이 입력되면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상태를 유지하는 힘이 사라지면서 반대로 닫힘 또는 열림 상태로 변화한다. 이러한 전자밸브(130)는 특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원이 계속 인가되어야하므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태가 상대적으로 장시간인 장치에 적합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예를 들면 짧은 시간만 개방되는 경우에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원이 필요한 타입의 밸브를 이용하고, 반대로 평소에 개방되어 있다가 짧은 시간 폐쇄하는 경우에는 폐쇄를 위해 전원이 필요한 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valve is open only for a short time, a valve requiring a power supply is used to maintain the open state. On the contrary, if the valve is open normally and then closed for a short time, a valve requiring power supply for closing can be used .
본원 발명에서는 열사이펀(20)은 정전시에만 이용되므로 전자밸브(130)는 평소에는 닫혀있다가 정전시에만 개방되어야 한다. 그러나, 닫힌 상태유지를 위해 전원이 인가되는 타입은 정전시에는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반대로 평소에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원을 계속 전자밸브(130)에 공급해야한다면 에너지 소모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ermal siphon 20 is used only during a power failure, the
따라서, 본원발명에서 개방/폐쇄 상태를 변경하는 순간에만 전원이 인가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영구자석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밸브를 전자밸브(130)로 이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래치밸브 타입의 전자밸브(130)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전자밸브(130)는 전원을 적게 사용하고 계속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전자밸브(130)가 과열되는 문제가 해소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ower is applied only when the open / close state is changed and the power is not applied, the latch valve that maintains the state by the permanent magnet can be used as the
상기 전자밸브(130)는 유체 유입구(133), 유체 유출구(134), 솔레노이드 코일(136), 전원 입력부(131, 132), 무빙코어(137) 및 상기 무빙코어(137)의 주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135)로 구성된다. The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6)에 전기를 공급하면 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6)에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자기장의 방향이 변화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6)에 의해 형성된 자기력은 상기 영구자석에 의한 자기력보다 강해 상기 무빙코어(137)를 움직인다. When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상기 무빙코어(137)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무빙코어(137) 주변의 자기장에 의해 자화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제1 전원 입력부(131)에 (+)가 인가되고 제2 전원 입력부(132)에(-)가 인가되면, 상기 무빙코어(137)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힘을 받아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측으로 이동한 무빙코어(137)는 상기 유체 유출구(134)를 개방하여 상기 유체 유입구(133)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 유출구(134)로 배출된다. 즉 개방 상태가 된다. The moving
영구자석(135)은 내측(135a)과 외측(136b)이 다른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무빙코어(137)의 주변에 배치된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무빙코어(137)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The
도 4는 상기 래치밸브(13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와 반대방향의 전원이 상기 전원 입력부(131, 132)로 인가되면 상기 도 3과 반대방향의 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무빙코어(137)는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체 유출구(134)를 폐쇄한다.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상기 전자밸브(130)는 잠금상태가되며, 무빙코어(137)는 상기 도 3에서와 반대방향으로 자화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6)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상기 영구자석(135)에 의해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The
상기 무빙코어(137)는 상기 유체 유출구(134)를 샘 없이 폐쇄하기 위해 단부(137b)에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를 구비하여 상기 유체 유출구(134)를 밀폐할 수 있다. The mov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전자밸브(130)는 전원이 입력되는 방향에 따라 개폐여부가 달라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원 입력부(131)에 (-)가 입력되고 제2 전원 입력부(132)에 (+)가 입력될 때 전자밸브(130)가 닫히고,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원 입력부(131)에 (+)가 입력되고 제2 전원 입력부(132)에 (-)가 입력되면 전자밸브(130)가 개방된다. 도 6은 상기 전자밸브(130)가 닫히 후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전자밸브(130)는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전자밸브(130)의 개폐를 위해서는 상기 제1 전원 입력부(131)와 상기 제2 전원 입력부(132)에 입력되는 전원의 방향을 바꿔 줄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는 상기 외부전원 공급부(100)와 상기 전자밸브(1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자밸브(130)으로 입력되는 전원의 방향을 변환시켜 준다.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는 상기 냉장고에 공급된 외부전원 또는 상기 캐패시터(110)로부터 방전되는 전원이 입력되고, 이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출력을 위해 신호가 입력되며, 신호에 따라 연결상태가 변화하면서 전류의 방향이 바뀐다. The power source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로서 전자석을 이용하여 회로의 연결상태를 변화시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전원 또는 상기 캐패시터(110)와 연결된 한 쌍의 단자(121, 122)와 상기 전자밸브(130)와 연결된 한 쌍의 단자(123, 124) 그리고 신호입력부(125)를 포함한다.As the power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는 마이컴(140)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방향이 달라진다.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의 상기 신호 입력부(125)와 상기 마이컴(140)이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신호 입력부(125)로 신호를 입력한다. The power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단자(121)가 (+)이고 제2 단자(121)가 (-)인 전원이 인가되며, 제 1방향은 제3 단자(123)에 (-)가 제4 단자(124)에 (+)가 출력되는 것으로 정하고, 제3 단자(123)에 (+)가 제4 단자(124)에 (-)가 출력되는 것으로 정한다.The power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전자밸브(130)와의 연결상태에 따라 반대로 정해질 수도 있다.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revers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solenoid valve (130).
본원 발명의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는 상기 마이컴(140)으로 부터 신호 입력부(125)에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2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In the power
도 5는 제1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상태의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제2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상태의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를 도시한 것이다. 5 shows a power source
도 5는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다가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순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외부전원이 냉장고에 공급되면, 상기 제1 단자(121)와 상기 제2 단자(122)를 통해 외부전원이 입력된다. 이때 외부전원이 교류이면 상기 정류기(160)에 의해 직류로 정류되어 입력된다. 5 shows an operation state at the moment when external power is not supplied but external power is supplied. First,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external power is input through the
상기 신호 입력부(125)는 상기 마이컴(140)으로 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마이컴(140)은 외부전원 공급부(10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냉장고에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신호 입력부(125)에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신호 입력부(125)에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방향 변환회로의 스위치(126, 127) 방향이 바뀐다. The
상기 전원방향 변환회로(120)의 일 예로서 상기 스위치(126, 127)에 인접한 스위치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코일에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입력부(125)에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스위치코일에 전류가 흘러 상기 스위치(126, 127)의 위치가 변화하여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 내부의 연결상태가 변화한다.As an example of the power source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신호 입력부(125)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121a)와 제4 단자(124)가 연결되고 제2 단자(122a)와 제3 단자(123)가 연결되도록 스위치(126, 127)의 위치가 바뀐다. 따라서,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 상기 전자밸브(130)에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이 제1 방향이 되고, 상기 전자밸브(130)는 잠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ignal is input to the
반대로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외부전원 공급부(100)로 부터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 입력부(125)로 신호를 인가하지 않는다. 상기 신호가 없으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단자(121b)와 제3 단자(123)가 연결되고, 제 2 단자(122b)와 제4 단자가 연결(124)되도록 상기 스위치(126, 127)의 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 상기 전자밸브(130)에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이 제2 방향으로 바뀌게 되어 상기 전자밸브(130)는 개방된다.On the contrary, the
상술 한 바와 같이 마이컴(140)은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의 신호 입력부(125)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신호 입력부(125)로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스위치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스위치(126, 127)의 위치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움직여 상기 전자밸브(130)에 제1 방향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반대로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신호를 상기 신호 입력부(125)로 인가하지 않고, 상기 스위치코일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상기 스위치(126, 127)의 위치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움직여 상기 전자밸브(130)에 제2 방향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external power is not supplied, the
상기 전원차단회로(150)는 상기 전자밸브(130)로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의 연결을 끊어 상기 전자밸브(1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는 상기 외부전원 공급부(100)와 상기 전자밸브(130)사이에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전원 공급부(100)와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 사이,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와 상기 전자밸브(1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cut-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전원차단회로(150)가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와 상기 전자밸브(130) 사이에 개재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Hereinafter, the power-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와 상기 전자밸브(13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의 연결 또는 차단은 상기 신호 입력부(153)에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The power
상기 신호 입력부(153)에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스위치(154)는 제1 단자(151)과 제2 단자(152) 사이의 연결을 끊어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와 상기 전자밸브(130) 사이를 차단하며, 이러한 전원차단회로(150)의 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If no signal is input to the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에서 상기 스위치(154)의 위치를 변화시키는데 이용되는 스위치코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140)으로 부터 상기 신호 입력부(153)로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치코일에 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위치가 개방된다. A switch coil us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반대로 상기 신호 입력부(153)로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스위치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닫혀 상기 전자밸브(130)와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와 연결된다. On the contrary, if no signal is applied to the
마이컴(140)은 상기 전자밸브(130)가 개방 또는 닫히는 상태로 변화한 후에 전원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아도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전원차단회로(150)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전자밸브(130)에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전원을 차단하면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전자밸브(13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상기 외부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상기 전자밸브(130)가 폐쇄될 때에는 상기 외부전원이 상기 전자밸브(130)에 공급되므로 상기 전자밸브(130)가 과열될 우려가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차단회로(150)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밸브(1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When the external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and the
다만, 정전상태에서는 상기 캐패시터(110)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자밸브(130)에 공급하므로, 상기 캐패시터(110)의 용량은 제한적이어서 일정시간 경과되면 더이상 상기 전자밸브(13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바, 상기 전원차단회로(150)의 스위치(154)는 도 7과 같이 닫힌 상태로 두더라도 문제되지 않는다.However, sinc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상기 전원차단회로(150)도 상기 마이컴(14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전자밸브(130)가 폐쇄된 후에 상기 전원차단회로(150)로 신호를 가해 상기 전자밸브(13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The
즉, 상기 외부전원 공급부(100)에서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하고 상기 전자밸브(130)의 작동이 완료될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신호 입력부(153)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전원차단회로(150)에 인가하여 상기 전자밸브(13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That is, after the power supply from the external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밸브(130)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8의 순서도를 따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외부전원의 공급여부에 따라 상기 마이컴(140)이 이 상기 전자밸브(130)에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 및 상기 전원의 인가 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자밸브의 개폐를 결정한다.Next, a control method of the
먼저 외부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외부전원을 캐패시터(110)에 충전하고, 상기 외부전원을 제1 방향으로 상기 전자밸브(130)에 공급하여 상기 전자밸브(130)를 잠그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작동 단계(S20 내지 S46)를 수행한다.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external power is supplied (S10). Charg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capacitor (110) and supply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valve (130) in a first direction to lock the electromagnetic valve (1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supplied 1 operation steps (S20 to S46).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캐패시터(110)가 방전하고, 상기 캐패시터(110)에서 방전되는 전원을 제2 방향으로 상기 전자밸브(130)에 공급하여 상기 전자밸브(130)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 작동 단계(S50 내지 S72)를 수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power is not supplied, the
즉, 제1 작동단계는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밸브(130)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2 작동단계는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전자밸브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at is, the first operation step relates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먼저 외부전원이 공급될 때의 제1 작동단계에 대해 살펴본다. 외부전원이 공급되면 캐패시터(110)에 충전(S20)하고, 전자밸브(130) 상태가 잠금상태인지 판단한다. 상기 전자밸브(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반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이상 잠금/열림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잠금상태인 경우에는 더 이상 상기 전자밸브(130)에 전원을 가할 필요 없다. First, a first operation step when external power is supplied will be described. When external power is supplied, the
상기 전자밸브(130) 상태가 잠금상태인지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밸브(130)의 잠금여부 상태를 직접적으로 센싱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밸브(130)의 잠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또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밸브(130)가 열리는 동작 수행시 1을 입력하고 상기 전자밸브(130)가 닫히는 동작 수행시 0으로 입력하여 상기 전자밸브(130)의 작동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Or 1 is input when performing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상기 변수에 1 또는 0을 입력하는 방법의 일 예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에 작동전원을 인가한 후에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자밸브(130)가 잠금 상태로 작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변수에 1을 입력한다. 상기 제2 작동 단계에서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에 작동전원을 인가하지 않으면 상기 변수에 0을 입력한다. An example of a method of inputting 1 or 0 into the variable is as follows.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applying the operating power to the power
정전 상태에서 막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자밸브(130) 상태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전자밸브(130)를 잠그어야 한다. When the membrane external power is supplied in the electrostatic condition, the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에 작동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의 스위치(126, 127)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도록 한다(S30). 상기 작동전원은 상기 마이콤에서 상기 신호 입력부(S125)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면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 마이컴(140)에서 인가되는 신호가 작동전원이 될 수 있다.The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이때,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전원차단회로(150)에는 신호를 입력하지 않아 OFF상태로 둔다(S32). 상기 전원차단회로(150)가 OFF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밸브(130)와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 사이가 연결되어 상기 전자밸브(130)에 전원이 공급된다. At this time, the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가 ON상태이고 상기 전원차단회로(150)가 OFF상태에서는 제1 방향으로 전원이 출력(S34)되고 상기 전자밸브(130)는 잠금상태가 된다(S36). When the power
상기 전자밸브(130)가 잠긴 후에는 상기 전원차단회로(150)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전원차단회로(150)를 ON 상태가되도록 마이컴(140)에서 제어하고(S40), 상기 전원차단회로(15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54)가 개방되어 상기 전자밸브(13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42). 상기 전자밸브(130)가 잠금상태가 된 후에는 상기 전자밸브(130)에 더 이상 전원을 인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전자밸브(130)의 잠금상태는 유지된다(S44). After the
전원차단회로(150)에 의해 상기 전자밸브(130)에 더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의 상태는 OFF상태이든 ON 상태이든 상기 전자밸브(130)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바, 상기 전자밸브(130)에 가하는 작동전원도 차단하여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를 OFF상태로 만든다(S46).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에 공급되는 작동전원도 차단하여 에너지를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Since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만약 상기 전자밸브(130) 상태가 잠금상태이면, 외부전원 공급이 중단될 때까지 상기 전자밸브(130)에 전원공급을 중단하여(S42) 잠금 상태가 유지(S44)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차단회로(150)는 ON상태로 유지하고(S40)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는 OFF상태(S46)로 둔다. If the
다음으로 전원공급이 중단되었을 때의 상기 제2 작동 단계에 대해 살펴본다. 정전상태이므로, 상기 전자밸브(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캐패시터(110)를 방전(S50)하여 상기 전자밸브(130)에 공급하는 전원으로 이용한다.Next, the second operation step when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will be described. An external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에 신호를 인가하지 않아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를 OFF상태(S60)로 두면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으로 전원이 출력된다(S64). 이때, 상기 전원차단회로(150)도 OFF상태로 두어(S62) 상기 전자밸브(130)로 제2 방향으로 흐르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If the power
제2 방향의 전원에 의해 상기 전자밸브(130)는 개방된다(S66).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캐패시터(110)는 방전이 완료되어 상기 전자밸브(130)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된다(S70). 상기 캐패시터(110)는 상기 전자밸브(130)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에 상응하는 분량의 전하를 충전하며, 예를 들면 상기 0.1초 내지 5초 정도 상기 전자밸브(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의 캐패시터(110)를 사용할 수 있다. The
상기 전자밸브(130)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상기 전자밸브(130)는 다시 외부전원이 공급되어 제1 방향의 전원이 공급되기 전까지 개방상태를 유지한다(S72).Even if power supply to the
각 장치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이로 갈음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has been given in the description of the device, and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밸브(130)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정전시에도 냉장실 냉기 보존을 위해 개방되어야 하는 전자밸브(130)를 작동시킬 수 있어 냉장실에 보관된 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또한, 밸브의 잠금 또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소모가 적고 밸브가 과열되지 않다. In addition, since the power supply is not continuously supplied in order to maintain the locked or open state of the valve, power consumption is low and the valve is not overheated.
이처럼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냉장고 본체 11: 냉동실
12: 냉장실 13: 격벽
15: 냉각사이클 16: 증발기
17: 압축기 18: 응축기
19: 팽창기
20: 열사이펀 21: 응축부
22: 증발부 29: 밸브
100: 외부전원 공급부 110: 캐패시터
120: 전원방향 전환회로 130: 전자밸브
140: 마이컴 150: 전원차단회로10: Refrigerator body 11: Freezer
12: refrigerator compartment 13:
15: Cooling cycle 16: Evaporator
17: compressor 18: condenser
19: Inflator
20: heat siphon 21: condensation part
22: evaporator 29: valve
100: external power supply 110: capacitor
120: pow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circuit 130: solenoid valve
140: Micom 150: Power cut-off circuit
Claims (13)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냉동실의 냉기를 이용하여 냉장실의 온도 저하를 늦추는 열 사이펀;
외부전원이 냉장고에 공급되면 충전되고 외부 전원이 입력되지 않으면 방전되는 캐패시터;
상기 냉장고에 공급된 외부전원 또는 상기 캐패시터로부터 방전되는 전원이 입력되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방향 전환회로;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전원의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잠그고 제2 방향이면 개방하는 전자밸브; 및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의 출력 전원의 방향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열 사이펀을 순환하는 냉매의 유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 cooling cycle which is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inflator and an evaporator and compresses the working fluid by using the compressor when external power is supplied;
A heat siphon that slows dow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using the cold air of the freezing compartment if no external power is supplied;
A capacitor charged when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and discharged when the external power is not input;
A power source direction switching circuit which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or from the capacitor and outputs power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A solenoid valve which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and is locked when the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is the first direction and is opened when the power source i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nd a microcomputer for detecting the supply of the external power and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output power of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according to whether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Wherein the electromagnetic valve opens / closes a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heat siphon.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와 상기 전자밸브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전원차단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밸브는,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중단되기 이전의 개폐상태를 유지하는 래치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wer cutoff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and the solenoid valve,
Wherein the solenoid valve includes:
Wherein the latch valve is a latch valve that maintains an open / closed state before the power supply is stopped.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자밸브가 상기 외부전원 또는 상기 캐패시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 후에 상기 전원차단회로가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와 상기 전자밸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전자밸브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3. The method of claim 2,
The microcomputer,
After the solenoid valve is operated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or the capacitor, the power cutoff circuit interrupt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ource direction switching circuit and the solenoid valve so that power is not applied to the solenoid valve .
상기 캐패시터의 방전은,
0.1초 내지 5초 동안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of the capacitor,
Wherein the refrigerator is maintained for 0.1 to 5 seconds.
상기 마이컴은,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이 제1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캐패시터를 방전시켜 상기 전자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이 제2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computer,
When the external power is supplied, controls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solenoid valve is the first direction,
And controls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so that the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solenoid valve is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external power is not supplied.
상기 전자밸브는,
냉장고의 열사이펀의 순환유로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enoid valve includes:
Wherein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in a circulating flow path of heat siphon of the refrigerator.
상기 냉장고에 입력된 전원을 정류하여 DC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캐패시터 및 상기 전원방향 전환회로에 공급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verter for rectifying the power input to the refrigerator, converting the power to DC power, and supplying the DC power to the capacitor and the power direction switching circuit.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34272A KR101915986B1 (en) | 2011-12-14 | 2011-12-14 | Controller for Solenoid valve |
| US13/625,353 US9897365B2 (en) | 2011-12-14 | 2012-09-24 | Refrigerator, thermosyphon, and solenoid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EP12187589.2A EP2604957B1 (en) | 2011-12-14 | 2012-10-08 | Refrigerator, thermosyphon, and solenoid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201210417044.5A CN103162488B (en) | 2011-12-14 | 2012-10-26 | Refrigerator, thermal siphon and magnetic val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34272A KR101915986B1 (en) | 2011-12-14 | 2011-12-14 | Controller for Solenoid valv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67575A KR20130067575A (en) | 2013-06-25 |
| KR101915986B1 true KR101915986B1 (en) | 2018-11-07 |
Family
ID=4886337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1342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15986B1 (en) | 2011-12-14 | 2011-12-14 | Controller for Solenoid valv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1598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39529B1 (en) * | 2011-12-14 | 2020-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ler for Solenoid valve |
| CN105091502B (en) * | 2015-09-23 | 2017-09-19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Break prompt device and refrigerator |
| CN111380495B (en) * | 2020-03-27 | 2022-06-28 | 江苏集萃有机光电技术研究所有限公司 | Electromagnetic valve control circuit, film thickness gauge control method and film thickness gaug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246226A (en) * | 2001-02-16 | 2002-08-30 | Nippon Seiki Kk | Electromagnet unit and solenoid valve using it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53266A (en) * | 1994-03-17 | 1995-10-03 | Hitachi Ltd | Freezer refrigerator |
-
2011
- 2011-12-14 KR KR1020110134272A patent/KR10191598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246226A (en) * | 2001-02-16 | 2002-08-30 | Nippon Seiki Kk | Electromagnet unit and solenoid valve using i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67575A (en) | 2013-06-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604957B1 (en) | Refrigerator, thermosyphon, and solenoid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US11660934B2 (en) | Startup control systems and methods to reduce flooded startup conditions | |
| US3866433A (en) | Auxiliary refrigeration power means | |
| RU2456516C2 (en) | Method to operate refrigerating unit, comprising parallel joined evaporators, and refrigerating unit | |
| EP2549210A2 (en) | Refrigerator | |
| US11454436B2 (en) | Refrigerator having variable speed compres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2418143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 KR101915986B1 (en) | Controller for Solenoid valve | |
| US10132548B2 (en) | Secondary cooling path in refrigerator | |
| KR101884350B1 (en) | Controller for Solenoid valve | |
| US948246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wo energy level settings for a refrigerator hot water heater | |
| KR102139529B1 (en) | Controller for Solenoid valve | |
| KR100557438B1 (en)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
| US20170067683A1 (en) | Mechanical refrigerator | |
| JP2002162148A (en) | Cool storage type cold insulation cabinet | |
| JPH0623634B2 (en) | Cool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 |
| CN115978870B (en) | refrigerator | |
| CN115978869B (en) | Refrigerator with independent ice making evaporator | |
| KR100595437B1 (en) | Refrigerator | |
| JP2004118781A (en) | Vending machine cooling system | |
| RU2032867C1 (en) | Refrigerating machine control system | |
| CN102741625A (en) | Refrigeration device and refrigerating machine therefor | |
| CN101071671B (en) | Circuit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electricity-controlled magnet | |
| WO2020244584A1 (en) | Instant cooling system for drinking water and partitioned refrigerating system | |
| EP2817573A1 (en) | A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nt recovery and recharge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11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