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098B1 - Car body for for multi-purpose freight car - Google Patents
Car body for for multi-purpose freight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8098B1 KR101918098B1 KR1020170044346A KR20170044346A KR101918098B1 KR 101918098 B1 KR101918098 B1 KR 101918098B1 KR 1020170044346 A KR1020170044346 A KR 1020170044346A KR 20170044346 A KR20170044346 A KR 20170044346A KR 101918098 B1 KR101918098 B1 KR 1019180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bulk
- car
- vehicle
- mounting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20—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forwarding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 B61D45/007—Fixing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61F3/02—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 B61F3/04—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with driven axles or wheels
- B61F3/06—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with driven axles or wheels with three or more ax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용 화차 차체에 관한 것으로; 차체 바디의 중앙에 벌크수송용기의 적재시 사일로 하화설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체 바디에는 벌크수송용기 또는 컨테이너를 적재시 상기 차체 바디에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바디에 벌크시멘트를 수송하기 위한 벌크수송용기 및 컨테이너를 선택적으로 적재할 수 있어 화차를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화차의 활용성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ar body for a car,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vehicle so as to utilize a silo warming facility when the bulk transportation container is loaded and at least on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bulk transportation container or the container to the vehicle body when the container is loaded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ulk carrier container and a container for transporting bulk cement to a body of a vehicle can be selectively loaded, so that a car can be used for multipurpose use, and thus the utilization of a car can be enhan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목적용 화차 차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화차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벌크시멘트를 수송하기 위한 벌크수송용기 및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어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벌크수송용기 및 컨테이너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되는 고정장치를 구비한 다목적용 화차 차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ar body,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car body for a multi-purpose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car body having a bulk transportation container and a container for transporting bulk c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car body having a fixing device that is automatically fixed by the weight of the container.
일반적으로 화물열차(화차;貨車)는 화물 수송을 위한 철도 차량으로 이루어진 열차를 의미한다.Generally, a freight train (freight car) means a train composed of railway vehicles for cargo transportation.
현재, 우리 나라에서 운행중인 화차는 유개화차(有蓋貨車), 무개화차(無蓋貨車), 평판화차, 조차(槽車), 컨테이너화차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유개화차란 화차의 적재함에 지붕이 있는 화차를 말하고, 무개화차란 적재함에 지붕이 없는 화차를 지칭하는 것으로 유개화차에 적재하지 못하는 장척화물(長尺貨物)이나 특대화물(特大貨物) 또는 무연탄, 광석, 철근 등과 같이 화물이 비에 젖거나 인화의 우려가 없는 화물을 적재하여 운송하며, 무개화차에는 일반차와 호퍼차(hopper car), 자갈차 등도 포함된다. Currently, there are various kinds of wagons in operation in our country, such as wagons, unlined wagons, flat wagons, container wagons, container wagons, and the like. A freight car refers to a freight car that does not have a roof in the loading car. It means that the cargo is free from rain such as long cargo or oversized cargo or anthracite, ore, Or cargo that is not likely to be ignited, and the unoccupied car also includes general car, hopper car, and gravel car.
한편, 다목적 철도화차로 곡물 및 팔레트 화물을 운반하거나, 트레일러 및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는 차량이 미국 등록특허 US 제5038687호(참고문헌 1), US 제05611285호(참고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5009호(참고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59020호(참고문헌 4) 등이 제안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a vehicle capable of transporting grain and pallet cargo by a multi-purpose railway car, or transporting a trailer and a container is disclosed in US Patent No. 5038687 (Reference 1), US 05611285 (Reference 2) No. 0945009 (Reference 3), Korean Patent No. 1359020 (Reference 4), etc. have been proposed.
이때, 상기 참고문헌 1은 다목적 철도화차에 관한 것으로, 벌크화물인 곡물과 팔레트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화차이며 이는 도 1을 참고하면 바이퍼 바 20을 이용하여 화차 중앙 하부의 슈트 17로 곡물을 배출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참고문헌 2는 다목적 곡형화차에 관한 것으로, 세미트레일러카 또는 복합운송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는 화차이며, 차체가 곡형으로 되어 세미트레일러 바퀴가 들어가거나 2단의 복합운송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형태가 제안되어 있다. The
다음으로 상기 참고문헌 3은 다목적 화차의 수송용기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무개화차(無蓋貨車) 또는 유개화차(有蓋貨車)에 부착된 수송용기(적재함)를 탈착해서 평판화차나 컨테이너화차에 부착하여 평판화차나 컨테이너화차를 무개화차 또는 유개화차로 사용하고, 수송용기를 탈착한 무개화차 또는 유개화차는 평판화차 또는 컨테이너화차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 가능한 다목적 화차의 수송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Next, Reference 3 refers to a transport container for a multi-purpose car. If necessary, a transport container (loader) attached to a freight car or a freight car is detached and attached to a flat car or a container car A flat container or a container car is used as a freight car or an open car, and a freight car or a freight car detached from the transport container is used as a flat car or a container car.
그리고, 상기 참고문헌 4는 탱크용 수송용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원통형 용기를 컨테이너형 용기의 내부에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원통형 용기에 시멘트 등을 쉽게 충진 하였던 장점과 컨테이너형 용기의 장점인 운송의 편리성을 모두 갖도록 하여 충진 및 하역, 운송을 용이하게 하고 특히, 현장에 다수의 층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의 보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탱크형 수송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The reference 4 relates to a transport container for a tank, which has advantages of easily filling cement and the like in a conventional cylindrical container by inserting a conventional cylindrical container into the container-type container to make it integrally, A tank-type transport container is proposed, which facilitates filling, unloading and transporting, and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load a plurality of layers on site to secure a storage space on the site.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 내지 4에서 제안된 화차들은 각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게 제작됨에 따라 그 용도를 전환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기존의 다목적 화차의 경우에도 곡물 및 팔레트 화물을 운반하거나, 트레일러 및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등 다목적이라도 운영 목적에 맞게 설계 및 제작된 화차에 불과하다.However, since the carts proposed in
아울러, 국내의 벌크시멘트차는 2003년 이후 제작된 차량이 없으며, 2015년 기준 국내 화차는 10773량(내구수명 지난 화차 303량 제외)이며, 이중에서 철도공사 6,647량, 사유화차는 4,126량을 보유하고 있다. 사유화차에서 탱크화차(시멘트화차 포함) 2,289량이 사용년수 21 ~ 25년으로 내구연한 25년에 근접하고 있어서 신규화차 발주가 필요하다. In addition, domestic bulk cement cars do not have vehicles manufactured since 2003, and the number of domestic wagons as of 2015 is 10773 (excluding 303 cars lasting long life). Of these, 6,647 railway works and 4,126 private-owned cars are owned . In privately-owned cars, 2,289 tank cars (including cemented car) are in use for 21 ~ 25 years, which is close to 25 years, so new car ordering is necessary.
그리고, 시멘트 회사는 시멘트 소비가 성수기와 비수기(동절기, 장마기간)가 구분됨에 따라 재정상의 문제로 물류회사에서 임차하여 운행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물류회사는 활용성 측면에서 다목적 화차의 제작을 요구하고 있어, 화차의 사용량을 늘이기 위하여 다목적 화차가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the cement company wants to rent the cement to the logistics company due to financial problems as the peak season and the low season (winter season and the rainy season) are separated. The logistics company requires the production of multi-purpose car in terms of utilization Therefore, a multipurpose wagon is needed to increase the amount of wagons us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벌크시멘트를 수송하기 위한 벌크수송용기 및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어 다목적으로 화차를 사용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화차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벌크수송용기 및 컨테이너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되는 고정장치를 구비한 다목적용 화차 차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lk cargo container and a container for transporting bulk cement, which can be used for multipurpose vehicles, And a fixing device that is automatically fixed by the weight of the bulk container and the container.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such a technical problem,
차체 바디의 중앙에 벌크수송용기의 적재시 사일로 하화설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체 바디에는 벌크수송용기 또는 컨테이너를 적재시 상기 차체 바디에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화차 차체를 제공한다.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vehicle so as to utilize a silo warming facility when the bulk transportation container is loaded and at least on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bulk transportation container or the container to the vehicle body when the container is loaded To provide a multi-purpose car body.
이때, 상기 벌크수송용기는 60피트 벌크수송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ulk transport container is a 60-foot bulk transport container.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는 40피트 컨테이너 또는 20피트 컨테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ainer may be a 40-foot container or a 20-foot container.
또한, 상기 차체 바디의 전후 양측 하부에는 3축대차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ree-axle gears are provided on both lower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body.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차체 바디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본체와, 벌크수송용기 또는 컨테이너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삽입되는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provided at an edge of the body body, and a fixing block inserted into a mounting groov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ulk transportation container or the container.
한편, 본 발명은 차체 바디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본체와, 벌크수송용기 또는 컨테이너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삽입되는 끼움돌부가 상향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일면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화차 고정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body comprising: a body rotatably and axially coupled to a mounting portion formed at an edge of a body of a vehicle; a fitting protrusion inserted into a mounting groov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ulk container or the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urpose vehicle carriage fixing apparatus comprising:
이때, 상기 설치부는 상기 차체 바디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설치부의 내부면 양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의 내부면 전방 및 후방에 제1 및 제2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양측에 상기 설치부의 축공에 지지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 일단부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부의 제1 또는 제2지지홈에 지지되는 볼이 탄성 돌출되는 볼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ounting portion is vertically passed through the body body, a shaft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are form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ball spring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elastically projecting a ball supported by the first or second support groove of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do.
아울러, 상기 본체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은 몸체의 상측으로 끼움돌부가 상향돌출되어 벌크수송용기 또는 컨테이너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끼움돌부의 측면에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걸림편이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block is inserted into a mounting groove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bulk transport container or the container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and a receiving part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tting protrusion so that the latching part can protrude and retract .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바디에 벌크시멘트를 수송하기 위한 벌크수송용기 및 컨테이너를 선택적으로 적재할 수 있어 화차를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화차의 활용성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ulk carrier container and a container for transporting bulk cement to a body of a vehicle can be selectively loaded, so that a car can be used for multipurpose use, and thus the utilization of a car can be enhanced.
아울러, 본 발명은 차체 바디 중앙부에 원형의 관통부가 형성되어 사일로의 하화설비를 이용하기에 적합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utilizing a dewatering facility of a silo by forming a circular through-hole at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car body.
또한, 본 발명은 벌크수송용기 및 컨테이너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fixed by the weight of the bulk transport container and the container.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일반적인 화차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화차 차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화차 차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차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화차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화차 고정장치를 차체의 상부로 노출시킨 상태의 평면 및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화차 고정장치를 차체의 하부로 은닉시킨 상태의 평면 및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화차 차체에 벌크수송용기와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Figs. 1 to 4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lorry.
5 is a plan view showing a multi-purpose ca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multi-purpose ca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fixed block constituting the luggage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fixed block constituting a luggage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lap-top fas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ap fastening device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ig. 10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lattice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lug lock device is hidden below the vehicle body.
11 to 13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loading a bulk transportation container and a container on a multi-purpose ca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화차 차체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features of the multi-purpose ca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5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화차 차체(1)는 물류회사의 요구를 반영하여 벌크시멘트 운반을 위하여 컨테이너 용기화된 벌크수송용기(10)와 컨테이너(20)를 선택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5 to 13,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목적용 화차 차체(1)는 차체 바디(100)의 중앙에 벌크수송용기(10)의 적재시 사일로 하화설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관통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차체 바디(100)에는 벌크수송용기(10) 또는 컨테이너(20)를 적재시 상기 차체 바디(100)에 고정하는 고정장치(200)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In the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차체 바디(100)는 벌크수송용기(10) 또는 컨테이너(20)를 적재할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관통부(110)가 형성되어 벌크수송용기(10)를 적재하는 경우 사일로 하화설비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차체 바디(100)는 강도 및 처짐을 고려하여야 제작함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벌크수송용기(10)는 60피트 컨테이너 크기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359020호에 제안된 탱크형 수송용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차의 도착역 인근에 있는 유통기지로의 신속한 운반이 가능하고 사일로 하화설비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탱크형 수송용기는 시멘트 등이 충진되는 원통형 용기와, 그 원통형 용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컨테이너형 용기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안전작업장비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컨테이너(20)는 규격화되어 있는 40피트 컨테이너 또는 20피트 컨테이너이다. 40피트 컨테이너는 대략 길이 12m, 폭 2.4m, 높이 2.6m의 사이즈이고, 20피트 컨테이너는 대략 길이 6m, 폭 2.4m, 높이 2.6m의 사이즈이다. Further, the
따라서, 20피트 컨테이너를 연속적으로 2개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면 40피트 컨테이너의 규격과 일치한다. Thus, two 20-foot containers in a row and two in a longitudinal direction match the specifications of a 40-foot container.
이와 같은 벌크수송용기(10) 또는 컨테이너(20)가 선택적으로 적재되는 차체 바디(100)는 전후 양측 하부에 대차(300)가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대차(300)는 대차프레임과 그 대차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차륜이 차축의 양단에 구비되는 복수의 윤축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상기 대차프레임은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종축지지대(side frame)와, 상기 종축지지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축지지대(cross beam)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ogie frame may include two side-by-side frames arrang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and at least one cross-beam connecting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s.
이와 같은 대차프레임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며, 대차프레임의 중앙에는 대차(300)와 다목적용 화차 차체(1) 사이의 견인력을 전달하는 센터 피봇(center pivot)이 구비될 수 있다.The bogie frame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but may be made of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s required. A center pivot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pulling force between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목적용 화차 차체(1)의 길이는 60피트의 벌크수송용기(10) 또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20)가 적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차체 바디(100)의 전후 양측 하부에 구비되는 대차(300)는 2개의 윤축을 갖는 2축 대차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화물운송에 대한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축중에 대한 개선을 위해 3개의 윤축이 나란히 배치되는 3축 대차를 사용한다.The length of the
그리고, 상기 대차(300)와 차체(1)는 화차의 주행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완충장치가 구비됨은 당연하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이와 같은 다목적용 화차 차체(1)의 차체 바디(100) 가장자리를 따라 컨테이너(20)를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2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장치(200)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차체 바디(100)의 설치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본체(210)와, 벌크수송용기(10) 또는 컨테이너(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착홈(12,22)에 삽입되는 끼움돌부(222)가 상향돌출되어 상기 본체(210)의 일면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블록(220)으로 이루어져 벌크수송용기(10) 또는 컨테이너(20)의 자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고정이 되게 된다. At least one
이때, 상기 설치부(120)는 상기 차체 바디(100)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설치부(120)의 내부면 양측에 축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120)의 내부면 전방 및 후방에 제1 및 제2지지홈(124,125)이 형성된다. The mounting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200)의 본체(210)는 양측에 상기 설치부(120)의 축공(122)에 지지되는 회전축(212)이 구비되고, 본체(210) 일단에는 볼(232)이 스프링(234)에 의해 전단으로 탄성 돌출되는 볼스프링(230)이 설치되어 상기 설치부(120)의 제1 또는 제2지지홈(124,125)에 지지가능하다.The
아울러, 상기 고정장치(200)의 본체(210) 일측에는 접이식 손잡이(214)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210)를 회전축(21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블록(220)이 차체 바디(10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방향전환을 시킬 수 있다. 즉, 손잡이(214)를 이용하여 회전축(212)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으며, 볼스프링(230)의 볼(232)이 상기 설치부(120)의 전후측에 형성되는 제1 또는 제2지지홈(124,125)에 지지되어 회전 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A
한편, 상기 고정블록(220)은 몸체(221)의 상측으로 끼움돌부(222)가 상향돌출되어 벌크수송용기(10) 또는 컨테이너(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착홈(12,22)에 삽입된다. The fixing
이때, 끼움돌부(222)의 측면에는 수용부(224)가 형성되어 걸림편(226)이 출몰가능하게 구비되어 벌크수송용기(10) 또는 컨테이너(20)를 적층시 걸림편(226)에 안착홈(12,22)의 측면이 걸쳐지게 되어 벌크수송용기(10) 또는 컨테이너(2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걸림편(226)은 공지의 구조로서, 내부에 스프링(미도시됨)을 구비하여 수용부(224)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벌크수송용기(10) 또는 컨테이너(20)를 다목적용 화차 차체(1)에 적층시 안착홈(12,2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수용부(224) 내측으로 은닉되었다가 벌크수송용기(10) 또는 컨테이너(20)의 적층이 완료되어 끼움돌부(222)가 안착홈(12,22)에 완전 안착되는 경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돌출되어 지지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고정장치(200)의 고정 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 경우 고정블록(220)의 끼움돌부(222)는 상향하는 상태로서 볼스프링(230)의 볼(232)이 상기 설치부(120)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홈(124)에 지지되어 회전이 방지된다. 이후 손잡이(214)를 잡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본체(210)를 180°회전시키면 고정장치(200)의 고정블록(220)이 다목적용 화차 차체(1)의 하측으로 은닉되며, 이 경우 볼스프링(230)의 볼(232)이 상기 설치부(120)의 후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홈(125)에 지지되어 회전이 방지된다. 9, the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화차 차체(1)에 벌크시멘트 운반을 위하여 컨테이너 용기화된 벌크수송용기(10)와 컨테이너(2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예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다. An example of selectively installing the bulk
이때, 도 11은 다목적 화차 차체(1)에 60피트 벌크수송용기(10)를 적재하고 고정장치(200)로 고정하여 사일로 하화설비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다목적 화차 차체(1)에 20피트 컨테이너(20) 및 40피트 컨테이너(20)를 혼용 적재하고 고정장치(200)로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다목적 화차 차체(1)에 20피트 컨테이너(20) 3개를 연속하여 나란히 적재하고 고정장치(200)로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60-ft
즉, 물류회사의 요구에 따라 다목적 화차 차체(1)에 벌크시멘트의 운반을 위하여 컨테이너 용기화된 벌크수송용기(10)와 다양한 사이즈의 컨테이너(20)를 선택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logistics company,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under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화차 차체 10: 벌크수송용기
20: 컨테이너 100: 차체 바디
110: 관통부 120: 설치부
200: 고정장치 210: 본체
220: 고정블록 230: 볼스프링
300: 대차 1: Truck body 10: Bulk transport container
20: Container 100: Body body
110: penetrating part 120: installation part
200: fixing device 210:
220: fixed block 230: ball spring
300: Bogie
Claims (9)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차체 바디에 적재되는 벌크수송용기 또는 컨테이너의 하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대응되도록 차체 바디의 가장자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본체와, 벌크수송용기 또는 컨테이너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삽입되는 끼움돌부가 상향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일면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부는 내부면 양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의 내부면 전방 및 후방에 제1 및 제2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양측에 상기 설치부의 축공에 지지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 일단부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설치부의 제1지지홈 또는 제2지지홈에 지지되는 볼이 탄성 돌출되는 볼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록은 몸체의 상측으로 끼움돌부가 상향돌출되어 벌크수송용기 또는 컨테이너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삽입되며,상기 끼움돌부의 측면에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걸림편이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화차 차체.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vehicle so as to utilize a silo warming facility when the bulk transportation container is loaded and the body body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bulk transportation container or the container to the vehicle body when the container is loaded, In the car body,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 rotatably and axially coupled to a mounting portion formed vertically through an edge of a body of the vehicle so as to correspond to a mounting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ulk container or the container, And a fixing block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protrudes upward,
The mounting portion has shaft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are form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rotation shafts supported on the shaft holes of the mounting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a seating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a ball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groove or the second supporting groove of the mounting portion, A ball spring for elastically protruding is provided,
The fixing block is inserted into a mounting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lk container or container by protruding the fitting protrusion upward from the body, and a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tting protrusion, Wherein the body of the wagon body is provided with a door.
상기 벌크수송용기는 60피트 벌크수송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화차 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lk transport container is a 60-foot bulk transport container.
상기 컨테이너는 40피트 컨테이너 또는 20피트 컨테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화차 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is a 40-foot container or a 20-foot container.
상기 차체 바디의 전후 양측 하부에는 3축대차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화차 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ree-axle differential is provided on both lower and rear sides of the body of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44346A KR101918098B1 (en) | 2017-04-05 | 2017-04-05 | Car body for for multi-purpose freight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44346A KR101918098B1 (en) | 2017-04-05 | 2017-04-05 | Car body for for multi-purpose freight ca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13234A KR20180113234A (en) | 2018-10-16 |
| KR101918098B1 true KR101918098B1 (en) | 2018-11-15 |
Family
ID=6413258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44346A Active KR101918098B1 (en) | 2017-04-05 | 2017-04-05 | Car body for for multi-purpose freight ca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18098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191083A (en) * | 1998-12-24 | 2000-07-11 | Asanuma Mieko | Container fixing device |
| JP2014040232A (en) * | 2012-07-25 | 2014-03-06 | Jost-Werke Gmbh | Container lock |
| JP2014129019A (en) * | 2012-12-28 | 2014-07-10 | Nippon Fruehauf Co Ltd | Fastening device for container |
| CN204368149U (en) * | 2014-12-04 | 2015-06-03 |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 80 feet of Flat car special for railway containers |
| KR101530208B1 (en) * | 2013-12-20 | 2015-06-2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ulti-axle freight train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038687A (en) | 1987-08-06 | 1991-08-13 | Bethlehem Steel Corporation | Multipurpose railroad freight car |
| US5611285A (en) | 1992-11-24 | 1997-03-18 | Gunderson, Inc. | Multipurpose railraod well car |
| KR100945009B1 (en) | 2008-03-19 | 2010-03-05 |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purpose freight container |
| KR101359020B1 (en) | 2012-05-29 | 2014-02-0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hipping container of tank shape |
-
2017
- 2017-04-05 KR KR1020170044346A patent/KR10191809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191083A (en) * | 1998-12-24 | 2000-07-11 | Asanuma Mieko | Container fixing device |
| JP2014040232A (en) * | 2012-07-25 | 2014-03-06 | Jost-Werke Gmbh | Container lock |
| JP2014129019A (en) * | 2012-12-28 | 2014-07-10 | Nippon Fruehauf Co Ltd | Fastening device for container |
| KR101530208B1 (en) * | 2013-12-20 | 2015-06-2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ulti-axle freight train |
| CN204368149U (en) * | 2014-12-04 | 2015-06-03 |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 80 feet of Flat car special for railway container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13234A (en) | 2018-10-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463922B2 (en) | Cargo shipping container with top-access roof cover | |
| US9227756B2 (en) | Intermodal transport platform | |
| CN102803054A (en) | Intermodal tank container transportation system, assembly and method | |
| CN106794847A (en) | Compartment auxiliary equipment for freight compartment and the freight compartment with this compartment auxiliary equipment, cargo transfer equipment and cargo transfer method with this freight compartment | |
| US20160145059A1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round line haul | |
| EP1427604B1 (en) | Intermodal transport system for freight | |
| KR20130100576A (en) | Container fixing adaptor of freight car | |
| KR101918098B1 (en) | Car body for for multi-purpose freight car | |
| CN201287921Y (en) | Rack container of transportation car | |
| US20030146616A1 (en) | Adaptor for coverting bulk solids container for fluid transport /storage | |
| CN101898625B (en) | Transportation method and transportation unit of large cargo semi-trailer | |
| CN201924772U (en) | Truck and truck cargo carriage door | |
| CN110386367A (en) | Self-unloading containers for transporting grain and oilseeds | |
| US9321391B2 (en) | Convertible cargo transportation container and convertible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 |
| CN203186876U (en) | Container used for express logistics turnover | |
| CN103661444B (en) | A kind of upper strata moving floor of double-layered transport vehicles rolling stock and using method thereof | |
| CN222408411U (en) | Wagon with detachable carriage | |
| CN211195988U (en) | Mid-axle vehicle transportation device | |
| CN206812870U (en) | With the double-deck trailer for revolving lock bearing | |
| WO2013042038A2 (en) | Bulk material loading arrangement | |
| Savenkov et al. | A New Way of Transporting Cars by Rail | |
| ES2378979T3 (en) | Intermodal freight transport system | |
| Medwid et al. | The transport system of standard road semi-trailers providing for their horizontal-skew transshipment | |
| CN119095756A (en) | Railcar system and cargo transportation method | |
| AU2015100207A4 (en) | Improved Rail Wag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