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2117B1 - Shopping cart with infant boarding - Google Patents

Shopping cart with infant boar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117B1
KR101912117B1 KR1020170100945A KR20170100945A KR101912117B1 KR 101912117 B1 KR101912117 B1 KR 101912117B1 KR 1020170100945 A KR1020170100945 A KR 1020170100945A KR 20170100945 A KR20170100945 A KR 20170100945A KR 101912117 B1 KR101912117 B1 KR 101912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arding
shopping cart
frame
board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
Priority to KR1020170100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1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11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4Adaptations for transporting children; Mounting of toys for the children
    • B62B3/1444Transporting devices mounted on the shopping c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7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collapsible shopping tro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pping cart allowing infant boa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arding unit having cars or the like having various character shapes to catch the attention of infants is rotated and adjusted upwards and downwards through a separate variable unit and allowed to overlap forwards and rearwards during shopping cart storage, and thus the volume thereof during storage can be minimized for space utilization improvement. The rotational adjustment of the boarding unit is easily possible even with a small force based o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variable unit, a pneumatic operation, or an elastic operation of a spring, and thus even women with infants can easily use the shopping cart. A separate buffer uni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unit and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boarding unit when the shopping cart is moved, and thus comfortable boarding can be provided for infants. 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boarding unit is provided in a main body frame, and thus a variable operation of the boarding unit can be stably realized.

Description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Shopping cart with infant boarding}Shopping cart with infant boarding function {Shopping cart with infant boarding}

본 발명은 쇼핑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릭터 형상의 자동차 또는 자전거로 이루어진 탑승유닛을 갖는 쇼핑카트의 구조 개선을 통해 쇼핑카트를 보관시 상기 탑승유닛의 가변조절을 통해 서로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보관시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유아가 편안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한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pping c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pping cart having a character-shaped automobile or a bicy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capable of minimizing the volume during storage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and allowing infants to ride comfortably.

일반적으로, 쇼핑카트는 대형 마트 또는 대형 할인점 등의 매장에서 구입한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하기 위한 운반장치의 하나로,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다량으로 구매할 때 쇼핑을 즐기는 구매자가 편리하게 쇼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쇼핑을 위한 보조수단의 하나이다.Generally, a shopping cart is a kind of transportation device for carrying and moving articles purchased from a store such as a large-sized mart or a large discount store. When a large quantity of various kinds of articles are purchased, a shopper who enjoys shopping can conveniently shop The state is one of the secondary means of shopping.

이러한 쇼핑카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쇼핑카트는 구매한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하부에 배치되어 바스켓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쇼핑카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캐스터로 구성된다.The structure of the shopping cart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as follows. The shopping cart includes a basket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 purchased object, a fram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ket and supporting the basket, And a caster for smoothly moving the caster.

이에, 구매자들은 쇼핑카트를 밀며 대형 마트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구매할 물건을 선택하고, 구매확정된 다수의 물품을 바스켓에 적재하며, 물품이 적재된 쇼핑카트를 계산대로 이동시켜 적재된 물품의 대금을 계산한다.Accordingly, the buyers push the shopping cart, move inside the large-sized mart, select the items to be purchased, load a plurality of items that have been purchased in the basket, move the shopping cart loaded with the articles to the counter, .

이렇게 다양한 물품을 쇼핑하는 대형 마트 또는 할인점의 이용 대상은 제한이 없으나, 가족단위 이용 대상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There are no limitations on the use of a large-scale shopping mall or discount store that sells a variety of goods, but a large proportion of the family unit is used.

그러나 이때 사용하는 종래 쇼핑카트는 그 기능적인 측면에서 구매물품을 적재하는 본연에 기능은 충실히 수행하나, 어린아이들과 함께 쇼핑을 즐기는 가족단위 구매자들은 함께 나온 어린아이들의 흥미과 재미를 유도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어린아이들이 쉽게 지쳐 떼를 쓰면서 쇼핑을 망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hopping carts used in this case faithfully carry out the functions of loading the purchased goods from the functional aspect thereof, but the family unit purchasers who enjoy shopping with the young children did not induce the interest and fun of the young children who came together, This caused the problem that young children were easily exhausted and spoiled shopping.

이에,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629호 "쇼핑카트"가 제안되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1629, "Shopping Cart" has been proposed.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629호는 아이들이 타고 놀 수 있는 모형완구와, 일측에 상기 모형완구와 결합되고 타측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모형완구 후방 및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바스켓으로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1629 comprises a model toy that can be played with children, a frame coupled to the model toy on one side and a handle on the other side, and a basket fixed to the rear of the toy and the frame .

따라서 상기 모형완구에 아이들을 태운 상태로 쇼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아이에게도 만족스러운 쇼핑 결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by allowing the user to enjoy the shopping with the children on the toy, it is possible to induce satisfactory shopping results not only for adults but also for young children.

그러나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629호는 모형완구의 구성만큼 커진 자체 부피 및 쇼핑카트 간에 겹쳐지지 않는 구조적 문제로 인해 쇼핑카트 보관시 대형마트 또는 할인점의 내부공간을 상당부분 차지하여 공간활용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Korean Utility Model No. 20-0271629, which is a conventional Korean Utility Model No. 20-0271629, occupies a large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a large-sized mart or discount store when storing a shopping cart due to a self-volume which is as large as that of a model toy,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629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16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유아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다양한 캐릭터 형상의 자동차 등으로 이루어진 탑승유닛을 별도의 가변유닛을 통해 상,하 회전 조절하여 쇼핑카트를 보관시 서로 전,후로 겹쳐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시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pping car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for minimizing the volume of a storage space and improving space utilization by allowing the storage space to overlap with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e shopping cart.

또한, 가변유닛의 유압이나 공압 작동 또는 스프링의 탄성 작동을 통해 작은 힘으로도 쉽게 탑승유닛의 회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아를 동반하는 여성들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Further, since the rotation of the loading unit can be easily controlled even with a small force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the pneumatic operation of the variable unit, or the elastic operation of the spring,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And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탑승유닛의 하부에 별도의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쇼핑카트 이동시 탑승유닛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가 편안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for allowing an infant to comfortably ride by allowing a shock absorber to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boarding unit to absorb a shock transmitted to a boarding unit when the shopping cart is moved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체프레임에 탑승유닛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탑승유닛의 가변 동작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for allowing a variable operation of a boarding unit to be stably implemented by providing a stopper for limiting a rotation angle of a boarding unit to a body frame. It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기 쇼핑카트는,As a specific means for accomplishing the above object,

하부에 틀체가 형성되고, 상기 틀체의 일단에 한 쌍의 연장바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장바 단부에 손잡이가 마련된 본체프레임;A body frame having a fram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pair of extension bars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frame body, and a handle at the ends of the pair of extension bars;

상기 틀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구름 동작을 통해 상기 본체프레임을 이동하는 캐스터;A casto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and moving the main frame through a rolling motion;

상기 틀체의 상부에서 후방이 축설되어 상,하 회전하며, 유아를 태우기 위한 좌석을 제공하는 탑승유닛; 및A riding unit which rotates upward and downwar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body to provide a seat for burning an infant; And

상기 틀체와 탑승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쇼핑카트들이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탑승유닛을 상,하 회전시켜 상기 틀체의 상부 전방에 소정구간 빈공간을 마련하는 가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variable unit provided between the frame and the boarding unit and rotating the boarding unit up and down so as to overlap the shopping carts to provide a predetermined interval empty space in front of the frame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프레임의 연장바에는 사용자의 가방을 걸어놓기 위한 가방걸이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extension bar of the main body frame may further include a bag hanger for hanging a user's bag.

상기 가변유닛은,The variable-

일단이 상기 틀체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승유닛의 하부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길이 가변되어 상기 탑승유닛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hin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unit and is variable in length by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to provide a force necessary to rotate the boarding unit .

상기 가변유닛은,The variable-

상기 가변유닛은,The variable-

탄성 작동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하되,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elastic means for operating elastically,

탄성수단은,The elastic means,

상기 틀체에 체결되며, 중간에 고정핀이 마련된 연결관;A connection pipe fastened to the frame body and having a fixing pin in the middle;

상기 연결관의 양단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마감캡;A finishing cap hinged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ipe;

상기 연결관 내에서 그 일단이 고정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마감캡에 고정된 비틀림탄성력을 갖는 탄성스프링;An elastic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xing pin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inishing cap in the coupling tube;

상기 탑승유닛의 하부에 결속된 결속관; 및A coupling pipe boun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unit; And

양단에 마감캡에 고정되는 연결바가 마련되며, 탑승유닛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회동핀을 포함하여 구성하되,And a pivot pin having a connecting bar fixed to the finishing cap at both ends thereof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unit,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탑승유닛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rce necessary to rotate the boarding unit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승유닛에는,In the present invention,

쇼핑카트 이동과정에서 좌석에 탑승한 유아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buffer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absorb an impact transmitted to an infant in a seat during a shopping cart moving process.

상기 완충유닛은,The buffer unit includes:

상기 탑승유닛의 일단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탄성체 및A pair of elastic member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boarding unit,

상기 한 쌍의 탄성체 단부에 이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상기 틀체에 맞닿는 결속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coupling bar fixed to the pair of elastic bodies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lastic bodies and contacting the frame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바 사이에는,In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bars,

회전하는 탑승유닛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stopper may be further provided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evolving boarding unit.

상기 연장바에는, In the extension bar,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바스켓이 고정되며, 상기 바스켓에는 사용자의 가방을 걸기 위한 가방걸이가 더 구비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A basket for loading articles purchased by the user is fixed, and the basket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g hanger for hanging a user's bag.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는 그 구조개선을 통해 보관시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opping cart having the infant rid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shopping cart when storing.

또한, 작은 힘으로도 탑승유닛의 회전 작동이 가능하여 유아를 동반하는 여성들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loading unit even with a small force, so that women with infants can easily use the apparatus.

또한, 쇼핑카트 이동시 탑승유닛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유아가 편안하게 탑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fant can ride comfortably by absorb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boarding unit when the shopping cart is moved.

또한, 탑승유닛의 가변동작을 제한하여 안정적인 동작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a stable operation structure can be realized by restricting the variable operation of the board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중 가방걸이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중 바스켓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중 가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중 가변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a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ag rack is applie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ket in a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unit of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unit of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orage state of a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100)는 본체프레임(110)과, 캐스터(120)와, 탑승유닛(130) 및 가변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4, a shopping cart 100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rame 110, a caster 120, a boarding unit 130, Unit 140 as shown in FIG.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본 발명의 기본 틀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The main body frame 110 is a constituent means that serves as a basic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그 하부에 마름모 형상의 틀체(111)가 형성되고, 상기 틀체(111)의 일단에 한 쌍의 연장바(113)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장바(113) 단부에 손잡이(115)가 마련된다.The main body frame 110 is formed with a rhomboid body 111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pair of extension bars 113 protruded upward at one end of the frame body 111, A handle 115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handle 113.

이에,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15)를 잡고 본 발명의 쇼핑카트(100)를 이동한다.Thus, the user holds the handle 115 to move the shopping c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틀체(111)는 그 길이를 탑승유닛(130) 보다 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틀체(111)에 탑승유닛(130)이 전체적으로 균형을 맞추어 탑승유닛(130)에 유아가 탑승시 전복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The frame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projects the length of the frame 111 rearward from the boarding unit 130 so that the boarding unit 130 is entirely balanced with the frame 111 so that the boarding unit 130 is overturned So that the phenomen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한편, 상기 캐스터(120)는 본 고안의 쇼핑카트(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수단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ster 120 is a constituent means for allowing the shopping c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easily moved.

상기 캐스터(120)는 상기 틀체(1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구름 동작하여 쇼핑카트(100)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caster 12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111 so that the caster 120 can roll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and move the shopping cart 100.

여기서, 상기 캐스터(120)는 일반적으로 물품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된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caster 120 is a known technique for generally allowing an article to be conveniently mov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탑승유닛(130)은 상기 틀체(111)의 상방에 구비되며, 후방이 특체(111)에 축설되어 전방이 상,하 회동되게 구성된다.Meanwhile, the boarding unit 130 is provided above the frame 111,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arding unit 130 is formed in the special body 111 so as to rotate forward and downward.

그리고, 탑승유닛(130)에는 유아를 태우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되, 바람직하게는 유아가 탑승 가능한 좌석(131)이 구비된다.The boarding unit 13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burning the infant, preferably a seat 131 on which the infant can ride.

상기 탑승유닛(130)은 그 외관 형상은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자동차나 자전거, 물고기 등 다양한 캐릭터 형상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boarding unit 130 may be various character shapes such as a car, a bicycle, and a fish so as to induce an interest of a child.

한편, 상기 가변유닛(140)은 상기 틀체(111)와 탑승유닛(1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쇼핑카트(100)들이 전,후로 겹쳐질 수 있도록 길이 가변을 통해 상기 탑승유닛(130)을 회전시켜 상기 틀체(111)의 상방에 소정구간 빈공간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variable unit 140 is provided between the frame body 111 and the boarding unit 130. The variable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130 through a variable length so that the shopping carts 100 can be overlapped before and after. So as to provide a predetermined sp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111.

상기 가변유닛(140)은 그 일단이 상기 틀체(111)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승유닛(130)의 하부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One end of the variable unit 140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frame 111 and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unit 140 is hinged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unit 130.

이때, 상기 가변유닛(140)은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길이 가변되어 상기 탑승유닛(130)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완충쇼바(141)로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ariable unit 140 may be composed of a shock absorber 141 which is variable in length by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and provides a force necessary to rotate the boarding unit 130.

이에, 본 발명의 쇼핑카트(100)를 보관하기 위해 상기 탑승유닛(130)의 단부를 소정높이 들어올리면, 어느 일정 구간에서 상기 완충쇼바(141)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탑승유닛(130)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자동으로 힌지회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end of the boarding unit 130 is lift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store the shopping c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rding unit 130 is rotated by a pushing force of the buffering shoe 141 The user automatically rotates the hinge to a desired position.

한편, 상기 탑승유닛(130)에는 본 발명의 쇼핑카트(10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좌석(131)에 탑승한 유아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유닛(160)이 더 구비된다.The loading unit 1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unit 160 to absorb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infant on the seat 131 in the course of moving the shopping c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완충유닛(160)은 상기 탑승유닛(130)의 일단 하부에 한 쌍의 탄성체(161)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탄성체(161) 단부에는 이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상기 틀체(111)에 맞닿는 결속바(163)가 구비된다.The buffering unit 160 is provided with a pair of elastic bodies 161 at one end of the boarding unit 130 and is fix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elastic bodies 161 so as to be connected thereto, A binding bar 163 is provided.

이에, 상기 본체프레임(110)을 통해 탑승유닛(130)으로 전달되는 충격은 상기 완충유닛(160)이 소정부분 충격을 흡수하여 유아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충유닛(160)은 탑승유닛(130)의 힌지회동을 통한 가변동작시 동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된 가변동작 및 가변동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boarding unit 130 through the main body frame 110 absorbs a predetermined partial impact of the shock-absorbing unit 160 so that the infant can safely ride. In addition, the shock absorber 160 absorbs impac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inge unit 130 during the variable operation, thereby minimizing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stable variable operation and the variable operation.

한편, 상기 한 쌍의 연장바(113) 사이에는, 스토퍼(117)가 더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 stopper 117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bars 113.

상기 스토퍼(117)는 회전하는 탑승유닛(1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The stopper 117 serves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boarding unit 130. [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117)를 통해 탑승유닛(1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탑승유닛(130)이 힌지회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머무르도록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stri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boarding unit 130 through the stopper 117, so that the boarding unit 130 is hinged to stay at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중 가방걸이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 5 is a side view of a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ag rack is appli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연장바(113)에는 사용자의 가방을 걸어놓기 위한 가방걸이대(118)가 더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5, the extension bar 113 of the main body frame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g hanger 118 for hanging a user's bag.

이에, 본 발명의 쇼핑카트 사용자는 상기 가방걸이대(118)에 사용자의 가방 또는 쇼핑바구니를 걸어놓아 편안한 쇼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user of the shopping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ng a user's bag or a shopping basket on the bag hanger 118 to enjoy comfortable shoppin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중 바스켓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ket in a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바스켓(150)은 구매한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수단이다.The basket 150 is a constituent means for providing a space for loading the purchased goods.

상기 바스켓(150)은 상기 연장바(113)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바스켓(150)은 상방으로 개방된 함체의 형상으로 그 내부에 물건 적재를 위한 공간부가 마련된다.The basket (150) is fixed to the extension bar (113). At this time, the basket (150) has a shape of a box opened upward and a space for loading objects is provided in the basket (150).

이때, 상기 바스켓(150)에는, 사용자의 가방을 걸기 위한 가방걸이(153)가 더 구비된다. 이에, 상기 바스켓(150)에는 구매한 물품 외에도 사용자의 가방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쇼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basket 15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g hanger 153 for hanging a user's bag. In addition to the purchased items, the basket 150 can be hung on the user's bag so that the user can enjoy shopping more comfortably.

이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는 그 구조개선을 통해 보관시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탑승유닛에 유아가 편안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탑승유닛의 가변 동작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hopping cart having the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mbination structure can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shopping cart when the shopping cart is stored, And the variable operation of the boarding unit can be stably implemented. The operation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board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100)는 유아를 동반한 사용자가 쇼핑을 즐길 때 주로 사용한다.The shopping cart 100 having the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used when a user with infants enjoys shopping.

즉, 상기 탑승유닛(130)을 틀체(111)와 평행을 이루도록 가변시킨 후, 상기 탑승유닛(130)의 좌석(131)에 유아를 탑승하도록 한 후, 쇼핑을 위해 이동하면 유아는 쇼핑하는 과정에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듯한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는 편안하게 쇼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fter changing the boarding unit 130 to be parallel with the frame 111, the infant is boarded on the seat 131 of the boarding unit 130, and if the boarding unit 130 is moved for shopping, It gives the driver the pleasure of driving a car, and allows the user to enjoy shopping comfortably.

이후, 구매물품을 모두 구입하여 쇼핑을 종료하면, 사용자는 탑승유닛(130)을 가변조절하여 쇼핑카트(100)들을 서로 겹쳐지도록 보관한다.After purchasing all purchased items and terminating the shopping, the user adjusts the boarding unit 130 to store the shopping carts 100 so as to overlap each other.

본 발명의 쇼핑카트(100)를 보관하기 위한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탑승유닛(130)의 단부를 들어올리면, 상기 탑승유닛(130)은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길이가변이 이루어지는 완충쇼바(141)가 제공하는 힘을 전달받아 힌지회전한다.When the end of the boarding unit 130 is lifted up, the board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buffering shoe 141, which is variable in length by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And receives a force to rotate the hinge.

이때, 상기와 같이 탑승유닛(130)이 회전 작동하는 과정에서 그 완충쇼바(140)는 소정의 힘만 부여하여 방향성만 부여하더라도 유압이나 공압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상부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통상적으로 유아를 동반하는 여성들도 쉽게 사용 가능하게 될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loading unit 130 as described above, the shock absorber 140 is provided with only a predetermined force so that the upper shock absorber 140 can be automatically pivo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ion, Will be readily available to women with infants.

또한, 상기 탑승유닛(130)의 힌지회전 반경은 스토퍼(117)에 의해 제한된다.Further, the radius of the hinge rotation of the boarding unit 130 is limited by the stopper 117.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100)는 보다 안정적으로 탑승유닛(130)의 가변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적 특징이 있다.Accordingly, the shopping cart 10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al characteristic in which the variable operation of the boarding unit 130 is performed more stably.

이후, 상기 탑승유닛(130)이 소정구간 힌지회전하면, 상기 틀체(111)의 전방 상부에는 소정공간 빈 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빈 공간부를 이용하여 탑승유닛(130)이 구비된 쇼핑카트(100)들을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한다.Thereafter, when the boarding unit 130 is hing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frame 111, and a shopping cart 100 ) To overlap each other.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는 보관중에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유아의 안정된 탑승 및 탑승유닛의 가변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shopping cart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volume of the shopping cart during storage, thereby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and stable operation of the infant and variable operation of the boarding unit can be stably per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중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hopping cart having the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중 가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중 가변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unit of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ngeable unit of a shopping cart having a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hopping cart having an infant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100)의 가변유닛(140)은 연결관(241), 마감캡(245), 탄성스프링(247) 및 회동핀(248)로 된 탄성수단(240)으로 구성할 수 있다.7 to 9, a variable unit 140 of a shopping cart 100 having a child board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pipe 241, a finishing cap 245, And an elastic means 240 composed of a pin 247 and a pivot pin 248.

이때, 상기 연결관(241)은 내부가 중공된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연결관(241)은 그 중간에 고정핀(243)이 마련되며, 상기 틀체(111)에 체결 고정되게 구성된다.The connection pipe 241 is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and the connection pipe 241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243 in the middle thereof and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rame body 111.

한편, 상기 연결관(241)을 틀체(111)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정핀(243)과 함께 결합되는 별도의 고정바(241a) 등을 이용하여 틀체(111)에 체결 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nection pipe 241 may be fixed to the frame body 111 by means of a separate fixing bar 241a coupled with the fixing pin 243, .

또한, 상기 연결관(241)은 그 양단에 마감캡(245)이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핀(243)과 마감캡(245) 사이에는 비틀림탄성력을 갖는 탄성스프링(247)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247)은 상기 연결관(241) 내에서 그 일단이 상기 고정핀(24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마감캡(245)에 고정된다.An elastic spring 247 having a torsional elastic force is connected between the fixing pin 243 and the finishing cap 245 so that the connection pipe 241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ipe 241 in a hinge- do. One end of the elastic spring 247 is fixed to the fixing pin 243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pring 247 is fixed to the finishing cap 245 in the coupling tube 241.

상기 회동핀(248)은 그 양단에 연결바(249)가 마련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연결바(249)는 상기 마감캡(245)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며, 이때 회동핀(248)은 탑승유닛(130)의 저면에 탄성 지지력을 가지게 구성된다.The connecting pin 249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cap 245. The connecting pin 249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cap 245, And has an elastic supporting for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30.

이에, 상기 탑승유닛(130)을 틀체(111)와 평행하게 가변하면, 상기 마감캡(245)과 회동핀(248)은 연결관(24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 과정에서 상기 탄성스프링(247)은 비틀림 동작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갖게 된다.When the boarding unit 130 is parallel to the frame 111, the finishing cap 245 and the pivoting pin 248 are rotated about the connecting pipe 241, 247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by a twisting motion.

즉, 상기 탑승유닛(130)을 틀체(111)와 평행을 이루도록 가변시킨 후, 상기 탑승유닛(130)의 좌석(131)에 유아를 탑승하도록 한 후, 쇼핑을 위해 이동하면 유아는 쇼핑하는 과정에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듯한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는 편안하게 쇼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fter changing the boarding unit 130 to be parallel with the frame 111, the infant is boarded on the seat 131 of the boarding unit 130, and if the boarding unit 130 is moved for shopping, It gives the driver the pleasure of driving a car, and allows the user to enjoy shopping comfortably.

이후, 구매물품을 모두 구입하여 쇼핑을 종료하면, 사용자는 탑승유닛(130)을 가변조절하여 쇼핑카트(100)들을 서로 겹쳐지도록 보관한다.After purchasing all purchased items and terminating the shopping, the user adjusts the boarding unit 130 to store the shopping carts 100 so as to overlap each other.

이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100)를 보관하기 위한 동작을 살펴보면, Hereinafter, an operation for storing the shopping car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탑승유닛(130)의 단부를 들어올리되, 소정의 힘만 부여하여 방향성만 부여하더라도 상기 탑승유닛(130)이 소정의 높이에 이르렀을 때 상기 탄성스프링(247)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탄성복원력이 마감캡(245)과 연결바(249)를 통해 회동핀(248)에 전달되며, 상기 회동핀(248)은 상기 탑승유닛(130)을 밀어 스토퍼(117)가 위치한 곳까지 힌지회전시키게 되는 등 통상적으로 유아를 동반하는 여성들도 쉽게 사용 가능하게 될 것이다.First, when the end of the boarding unit 130 is lifted and only a predetermined force is given to impart directionality, when the boarding unit 130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spring 247 act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ivot pin 248 via the finishing cap 245 and the connecting bar 249. The pivot pin 248 pushes the boarding unit 130 to the stopper 117, Which is usually hinged to the place where the baby is located.

이후, 상기 탑승유닛(130)이 소정구간 힌지회전하면, 상기 틀체(111)의 전방 상부에는 소정공간 빈 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빈 공간부를 이용하여 탑승유닛(130)이 구비된 쇼핑카트(100)들을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한다.Thereafter, when the boarding unit 130 is hing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frame 111, and a shopping cart 100 ) To overlap each other.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는 보관중에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유아의 안정된 탑승 및 탑승유닛의 가변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shopping cart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volume of the shopping cart during storage, thereby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and stable operation of the infant and variable operation of the boarding unit can be stably perform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쇼핑카트(100)는 가변유닛(140)의 구조 개선을 통해 탑승유닛(130)의 힌지회전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쇼핑카트의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게 개선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shopping c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the hinge rotation operation of the boarding unit 130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unit 140, Respectively.

110 : 본체프레임 111 : 틀체
113 : 연장바 115 : 손잡이
117 : 스토퍼 120 : 스토퍼
130 : 탑승유닛 140 : 가변유닛
141 : 완충쇼바 150 : 바스켓
153 : 가방걸이 160 : 완충유닛
161 : 탄성체 200 : 탄성수단
110: main body frame 111: frame body
113: extension bar 115: handle
117: stopper 120: stopper
130: boarding unit 140: variable unit
141: Buffer Shoba 150: Basket
153: bag hanger 160: buffer unit
161: elastic body 200: elastic means

Claims (8)

대형 마트 및 할인점에서 구매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하기 위한 쇼핑카트에 있어서,
상기 쇼핑카트(100)는,
하부에 틀체(111)가 형성되고, 상기 틀체(111)의 일단에 한 쌍의 연장바(113)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장바(113) 단부에 손잡이(115)가 마련된 본체프레임(110);
상기 틀체(111)의 하부에 구비되며, 구름 동작을 통해 상기 본체프레임(110)을 이동하는 캐스터(120);
상기 틀체(111)의 상부에서 후방이 축설되어 상,하 회전하며, 유아를 태우기 위한 좌석(131)을 제공하는 탑승유닛(130); 및
상기 틀체(111)와 탑승유닛(1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쇼핑카트(100)들이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탑승유닛(130)을 상,하 회전시켜 상기 틀체(111)의 상부 전방에 소정구간 빈공간을 마련하는 가변유닛(140);
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유닛(140)은,
탄성 작동하는 탄성수단(240)으로 구성하되,
탄성수단(240)은,
상기 틀체(111)에 체결 고정되며, 중간에 고정핀(243)이 마련된 연결관(241);
상기 연결관(241)의 양단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마감캡(245);
상기 연결관(241) 내에서 그 일단이 고정핀(24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마감캡(245)에 고정된 비틀림탄성력을 갖는 탄성스프링(247); 및
양단에 마감캡(245)에 고정되는 연결바(249)가 마련되며, 탑승유닛(130)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회동핀(248);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탄성스프링(247)의 탄성에 의해 탑승유닛(130)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1. A shopping cart for loading and moving purchased goods at a large mart and a discount store,
The shopping cart (100)
A pair of extension bars 113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frame body 111 and having a handle 115 at the ends of the pair of extension bars 113, (110);
A caster 120 provided below the frame 111 for moving the main frame 110 through a rolling motion;
A boarding unit 130 which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11 and rotates upward and downward to provide a seat 131 for burning an infant; And
The loading uni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frame 111 and the boarding unit 130 so that the boarding unit 130 is rotated up and down so that the shopping carts 100 can be stacked, A variable unit 140 for providing an empty space;
/ RTI >
The variable unit (14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elastic means (240)
The elastic means (240)
A connection pipe 241 fastened to the frame 111 and provided with a fixing pin 243 in the middle;
A finishing cap 245 hinged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ipe 241;
An elastic spring (247)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xing pin (243)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inishing cap (245) in the connection pipe (241); And
A turning pin 248 provided at both ends with a connecting bar 249 fixed to the finishing cap 245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unit 130;
And,
And provides a force necessary to rotate the boarding unit (130)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24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연장바(113)에는 사용자의 가방을 걸어놓기 위한 가방걸이대(11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bar (113) of the main body frame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g hanger (118) for hanging a bag of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닛(140)은,
일단이 상기 틀체(111)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승유닛(130)의 하부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길이 가변되는 완충쇼바(141)로 구성하되,
완충쇼바(141)를 통해 상기 탑승유닛(130)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unit (140)
A shock absorber 141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rame 111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unit 130 by a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And provides a force necessary to rotate the boarding unit (130) through the shock absorber (141).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유닛(130)에는,
쇼핑카트(100) 이동과정에서 좌석(131)에 탑승한 유아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유닛(1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boarding unit 130,
Wherein the shopping cart (100) further comprises a buffer unit (160) for absorbing an impact transmitted to an infant who rides on the seat (131) during the movement of the shopping cart (10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160)은,
상기 탑승유닛(130)의 일단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탄성체(161) 및
상기 한 쌍의 탄성체(161) 단부에 이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상기 틀체(111)에 맞닿는 결속바(16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ock absorber unit 160,
A pair of elastic members 161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boarding unit 130,
And a binding bar (163) fix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elastic bodies (161) so as to be able to connect them and abutting against the frame body (1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바(113) 사이에는,
회전하는 탑승유닛(1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17)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bars 113,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117)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loading unit (1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113)에는,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바스켓(150)이 더 포함되며, 상기 바스켓(150)에는 사용자의 가방을 걸기 위한 가방걸이(15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탑승기능을 갖는 쇼핑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extension bar 113,
The basket 150 may further include a basket 150 for storing articles purchased by the user. The basket 150 may further include a bag hanger 153 for hanging a bag of a user. .

KR1020170100945A 2017-08-09 2017-08-09 Shopping cart with infant boarding Active KR1019121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945A KR101912117B1 (en) 2017-08-09 2017-08-09 Shopping cart with infant boar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945A KR101912117B1 (en) 2017-08-09 2017-08-09 Shopping cart with infant boar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117B1 true KR101912117B1 (en) 2018-10-29

Family

ID=6410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945A Active KR101912117B1 (en) 2017-08-09 2017-08-09 Shopping cart with infant boar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11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415A (en) * 1998-11-18 2000-05-23 Nippon Alum Co Ltd Truck
JP2002362373A (en) * 2001-06-08 2002-12-18 Taiko:Kk Shopping ca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415A (en) * 1998-11-18 2000-05-23 Nippon Alum Co Ltd Truck
JP2002362373A (en) * 2001-06-08 2002-12-18 Taiko:Kk Shopping c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363B2 (en) Portable universal cart
US6736415B1 (en) Universal cart and interchangeable attachment system
US3290050A (en) Vehicle for transporting a baby
US5876046A (en) Child stroller and infant carrier system
US20020149163A1 (en) Foldable utility cart
US20070045972A1 (en) Modular stroller
US20080088115A1 (en) Wheeled tail platform for a stroller
US5810437A (en) Portable, collapsible child safety seat for use in a shopping cart
GB2259282A (en) A trolley with a foldable seat assembly.
JP2000325126A (en) Suitcase with luggage carrier
JPH04503933A (en) Improved stroller-cum-shopping wheelbarrow
US9027941B2 (en) Portable shopping cart with collapsible basket and seating for multiple children
US20020117820A1 (en)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supporting apparatus
JP2013512820A (en) Rear mounting bike rack
US20080238011A1 (en) Mobile article transporter
US20180273074A1 (en) Shopping cart attachment
KR101912117B1 (en) Shopping cart with infant boarding
CN203402216U (en) Multifunctional cart
RU168969U1 (en) FOLDING TROLLEY
US2395275A (en) Collapsible child's cart
GB2464201A (en) Trolley with rear standing platform for child
US20240199105A1 (en) Multi function, multiple child nesting shopping cart extension and method of use
JPH03128762A (en) Foldable type hand cart
CN201248445Y (en) Multifunctional recreation shopping vehicle
WO2003074342A1 (en) Collapsible bug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