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644B1 -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3644B1 KR101913644B1 KR1020170030981A KR20170030981A KR101913644B1 KR 101913644 B1 KR101913644 B1 KR 101913644B1 KR 1020170030981 A KR1020170030981 A KR 1020170030981A KR 20170030981 A KR20170030981 A KR 20170030981A KR 101913644 B1 KR101913644 B1 KR 1019136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ssage
- code
- hash value
- value
- matrix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0—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 H04L9/304—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based on error correction codes, e.g. McEl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11: 공개키 저장부 112: 오류 벡터 생성부
113: 메시지 암호화부 114: 메시지 암호화 전송부
115: 해시 값 생성부 116: 인덱스 추출부
117: 벡터 생성부 118: 변환 해시 값 생성부
119: 해시 값 보정부 120: 데이터 수신 장치
Claims (16)
- "1"과 "0"의 코드 값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k x k(k는 자연수) 크기의 이진 정칙 행렬 S, t(t는 자연수)비트의 코드에 대한 오류 정정 능력을 가지면서 "1"과 "0"의 코드 값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k x n(n은 자연수) 크기의 생성 행렬 G 및 "1"과 "0"의 코드 값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n x n 크기의 순열 행렬 P가 곱해진 공개키 Kpub(Kpub=SGP)가 저장되어 있는 공개키 저장부;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할 k비트의 크기를 갖는 원본 메시지 m을 선정된(predetermined)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고, 상기 해시 값으로부터 해밍 무게(Hamming Weight)가 t이면서, "1"과 "0"의 코드 값으로 구성된 크기가 n인 오류 벡터 e를 생성하는 오류 벡터 생성부;
상기 원본 메시지 m에 대해 상기 공개키 Kpub와 상기 오류 벡터 e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암호화 메시지 c를 생성하는 메시지 암호화부; 및
상기 암호화 메시지 c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암호화 전송부
를 포함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암호화부는
상기 원본 메시지 m에 상기 공개키 Kpub를 곱하여 결과 값 c'을 생성하고, 상기 결과 값 c'과 상기 오류 벡터 e에 대해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메시지 c를 생성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벡터 생성부는
상기 원본 메시지 m을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해시 값을 생성하는 해시 값 생성부;
상기 해시 값으로부터 상기 오류 벡터 e 상에 t개의 "1"의 코드 값이 삽입될 위치를 지시하는 t개의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는 인덱스 추출부; 및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이 지시하는 위치에 "1"의 코드 값을 삽입하고, 나머지 위치에 대해 "0"의 코드 값을 삽입함으로써, "1"과 "0"의 코드 값으로 구성된 크기가 n인 상기 오류 벡터 e를 생성하는 벡터 생성부
를 포함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추출부는
상기 해시 값을 구성하는 복수의 "1"과 "0"의 코드 값들을 log2n개의 코드 값들 별로 그룹화하여 log2n개의 코드 값들이 포함되어 있는 t개의 그룹들을 생성한 후, 상기 t개의 그룹들 별로, 상기 t개의 그룹들 내에 포함되어 있는 log2n개의 코드 값들을 십진수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t개의 그룹들을 통해 변환된 t개의 십진수들을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로 추출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벡터 생성부는
상기 해시 값의 크기가 tlog2n보다 작은 경우,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최종 해시 값의 크기가 tlog2n을 초과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추가 해시 값의 개수만큼 상기 원본 메시지 m에 대해 순환 시프트(cyclic shift)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변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 메시지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환 해시 값을 생성하는 변환 해시 값 생성부; 및
상기 해시 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 해시 값을 조합하여 조합 해시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조합 해시 값을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최종 해시 값으로 결정하는 해시 값 보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추출부는
상기 최종 해시 값이 결정되면, 상기 최종 해시 값으로부터 상기 오류 벡터 e 상에 t개의 "1"의 코드 값이 삽입될 위치를 지시하는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는
메모리 상에 상기 이진 정칙 행렬 S, 상기 생성 행렬 G 및 상기 순열 행렬 P를 상기 공개키 Kpub에 대응하는 개인키로 저장하고 있고, 상기 암호화 메시지 c가 수신되면, 상기 암호화 메시지 c에 대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순열 행렬 P의 역행렬 P-1을 곱하여 cP-1을 연산하고, 상기 생성 행렬 G를 기초로 상기 cP-1에 대한 오류 정정을 수행하여 상기 원본 메시지 m과 상기 이진 정칙 행렬 S가 곱해진 mS를 연산한 후 상기 mS에 대해 상기 이진 정칙 행렬 S의 역행렬 S-1을 곱하여 상기 원본 메시지 m을 복호화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는
상기 메모리 상에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를 추가로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원본 메시지 m의 복호화가 완료되면, 상기 복호화된 원본 메시지 m을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복호 해시 값을 생성하고, 상기 복호 해시 값으로부터 t개의 "1"의 코드 값이 삽입될 위치를 지시하는 t개의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t개의 인덱스 값들을 기초로 "1"과 "0"의 코드 값으로 구성된 크기가 n인 복호화 오류 벡터 z를 생성한 후 상기 암호화 메시지 c와 상기 복호화 오류 벡터 z에 대해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여 제1 검증 값을 생성하고, 상기 복호화된 원본 메시지 m에 대해 상기 공개키 Kpub를 곱하여 제2 검증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검증 값과 상기 제2 검증 값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호화된 원본 메시지 m에 대해 무결성이 확인된 것으로 판단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 "1"과 "0"의 코드 값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k x k(k는 자연수) 크기의 이진 정칙 행렬 S, t(t는 자연수)비트의 코드에 대한 오류 정정 능력을 가지면서 "1"과 "0"의 코드 값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k x n(n은 자연수) 크기의 생성 행렬 G 및 "1"과 "0"의 코드 값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n x n 크기의 순열 행렬 P가 곱해진 공개키 Kpub(Kpub=SGP)가 저장되어 있는 공개키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할 k비트의 크기를 갖는 원본 메시지 m을 선정된(predetermined)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고, 상기 해시 값으로부터 해밍 무게(Hamming Weight)가 t이면서, "1"과 "0"의 코드 값으로 구성된 크기가 n인 오류 벡터 e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본 메시지 m에 대해 상기 공개키 Kpub와 상기 오류 벡터 e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암호화 메시지 c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 메시지 c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메시지 c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메시지 m에 상기 공개키 Kpub를 곱하여 결과 값 c'을 생성하고, 상기 결과 값 c'과 상기 오류 벡터 e에 대해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암호화 메시지 c를 생성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벡터 e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메시지 m을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해시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해시 값으로부터 상기 오류 벡터 e 상에 t개의 "1"의 코드 값이 삽입될 위치를 지시하는 t개의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이 지시하는 위치에 "1"의 코드 값을 삽입하고, 나머지 위치에 대해 "0"의 코드 값을 삽입함으로써, "1"과 "0"의 코드 값으로 구성된 크기가 n인 상기 오류 벡터 e를 생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해시 값을 구성하는 복수의 "1"과 "0"의 코드 값들을 log2n개의 코드 값들 별로 그룹화하여 log2n개의 코드 값들이 포함되어 있는 t개의 그룹들을 생성한 후, 상기 t개의 그룹들 별로, 상기 t개의 그룹들 내에 포함되어 있는 log2n개의 코드 값들을 십진수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t개의 그룹들을 통해 변환된 t개의 십진수들을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로 추출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벡터 e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해시 값의 크기가 tlog2n보다 작은 경우,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최종 해시 값의 크기가 tlog2n을 초과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추가 해시 값의 개수만큼 상기 원본 메시지 m에 대해 순환 시프트(cyclic shift)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변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 메시지를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환 해시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해시 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 해시 값을 조합하여 조합 해시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조합 해시 값을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최종 해시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해시 값이 결정되면, 상기 최종 해시 값으로부터 상기 오류 벡터 e 상에 t개의 "1"의 코드 값이 삽입될 위치를 지시하는 상기 t개의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는
메모리 상에 상기 이진 정칙 행렬 S, 상기 생성 행렬 G 및 상기 순열 행렬 P를 상기 공개키 Kpub에 대응하는 개인키로 저장하고 있고, 상기 암호화 메시지 c가 수신되면, 상기 암호화 메시지 c에 대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순열 행렬 P의 역행렬 P-1을 곱하여 cP-1을 연산하고, 상기 생성 행렬 G를 기초로 상기 cP-1에 대한 오류 정정을 수행하여 상기 원본 메시지 m과 상기 이진 정칙 행렬 S가 곱해진 mS를 연산한 후 상기 mS에 대해 상기 이진 정칙 행렬 S의 역행렬 S-1을 곱하여 상기 원본 메시지 m을 복호화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는
상기 메모리 상에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를 추가로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원본 메시지 m의 복호화가 완료되면, 상기 복호화된 원본 메시지 m을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선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복호 해시 값을 생성하고, 상기 복호 해시 값으로부터 t개의 "1"의 코드 값이 삽입될 위치를 지시하는 t개의 인덱스 값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t개의 인덱스 값들을 기초로 "1"과 "0"의 코드 값으로 구성된 크기가 n인 복호화 오류 벡터 z를 생성한 후 상기 암호화 메시지 c와 상기 복호화 오류 벡터 z에 대해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여 제1 검증 값을 생성하고, 상기 복호화된 원본 메시지 m에 대해 상기 공개키 Kpub를 곱하여 제2 검증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검증 값과 상기 제2 검증 값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호화된 원본 메시지 m에 대해 무결성이 확인된 것으로 판단하는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방법. -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30981A KR101913644B1 (ko) | 2017-03-13 | 2017-03-13 |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30981A KR101913644B1 (ko) | 2017-03-13 | 2017-03-13 |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04363A KR20180104363A (ko) | 2018-09-21 |
| KR101913644B1 true KR101913644B1 (ko) | 2018-10-31 |
Family
ID=6372085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30981A Active KR101913644B1 (ko) | 2017-03-13 | 2017-03-13 |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136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42030B1 (ko) | 2018-11-13 | 2019-01-24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메시지에 대한 무결성 검증이 지원되는 부호 기반의 암호화가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1942033B1 (ko) * | 2018-11-19 | 2019-01-24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t+a개의 오류 코드가 삽입된 부호 기반의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가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1974345B1 (ko) * | 2018-12-06 | 2019-05-02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자 서명을 통한 차량 간 보안 통신을 지원하는 커넥티드 차량용 데이터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1942037B1 (ko) * | 2018-12-06 | 2019-01-24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밀키 암호화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자동차 전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CN112054889B (zh) * | 2019-06-06 | 2022-10-18 |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 消息认证码的生成方法及生成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16600298A (zh) * | 2023-05-22 | 2023-08-15 | 北京临近空间飞行器系统工程研究所 | 基于哈希校验的弹地通信数据的校验方法及校验装置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530990A (ja) | 2007-06-22 | 2010-09-16 | サントル ナシオナル ドゥ ラ ルシェルシェサイアンティフィク(セエヌエールエス) | 公開行列に基づき、エラー補正コードのデコーディングを用いて認証を行う方法 |
| JP2011509433A (ja) | 2008-01-11 | 2011-03-24 | フランス・テレコム | 確率的対称暗号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エンティティ |
-
2017
- 2017-03-13 KR KR1020170030981A patent/KR10191364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530990A (ja) | 2007-06-22 | 2010-09-16 | サントル ナシオナル ドゥ ラ ルシェルシェサイアンティフィク(セエヌエールエス) | 公開行列に基づき、エラー補正コードのデコーディングを用いて認証を行う方法 |
| JP2011509433A (ja) | 2008-01-11 | 2011-03-24 | フランス・テレコム | 確率的対称暗号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エンティティ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04363A (ko) | 2018-09-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13644B1 (ko) | 메시지 인증이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 |
| KR101942030B1 (ko) | 메시지에 대한 무결성 검증이 지원되는 부호 기반의 암호화가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 US9906363B2 (en) | Encrypted data verificatio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 KR101091246B1 (ko) | 간단하고 효율적인 원패스 인증 암호화 방법 | |
| KR101913100B1 (ko) | 생성 행렬의 천공에 기초한 암호화키를 사용하는 데이터 암호화 장치 및 방법 | |
| US1027058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dditive homomorphic encryption scheme with operation error detection functionality | |
| EP316756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cure update of code on a memory-constrained device | |
| EP2991264B1 (en) | Encrypted text match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 |
| US10503915B2 (en) | Encrypted text verificatio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 KR102096359B1 (ko) | 거듭 행렬 기반의 비밀키 암호화가 가능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 KR20160109891A (ko) | Puf 기반 암호키 생성 방법 및 장치 | |
| EP2991265B1 (en) | Encrypted text match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 |
| KR102211648B1 (ko) | 신드롬을 기반으로 한 전자 서명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 EP2991266B1 (en) | Encrypted text match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
| KR101894566B1 (ko) | 인증 및 오류 정정이 통합된 부호화가 가능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 |
| KR101978684B1 (ko) | 재생 공격 방지가 가능한 부호 기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 |
| KR101440680B1 (ko) | 중국인 나머지 정리에 기반한 준동형 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
| KR102326527B1 (ko) | 비대칭 암호화 기반의 보안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 KR101942033B1 (ko) | t+a개의 오류 코드가 삽입된 부호 기반의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가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 KR20190058884A (ko) | 생체 정보 기반의 전자 서명이 가능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 US20250047464A1 (en) | Authenticated encryption apparatus, authenticated decryption apparatus, authenticated encryp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
| US20240235811A1 (en) | Authenticated encryption apparatus, authenticated decryption apparatus, authenticated encryp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
| WO2024180612A1 (ja) | 認証暗号化装置、認証復号装置、認証暗号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 |
| JP2009267470A (ja) | 開示制限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