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7469B1 -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 Google Patents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469B1
KR101937469B1 KR1020140052364A KR20140052364A KR101937469B1 KR 101937469 B1 KR101937469 B1 KR 101937469B1 KR 1020140052364 A KR1020140052364 A KR 1020140052364A KR 20140052364 A KR20140052364 A KR 20140052364A KR 101937469 B1 KR101937469 B1 KR 101937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iston rod
valve
piston
flow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3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5284A (en
Inventor
김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05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469B1/en
Publication of KR2015012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2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46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밸브로 구비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밸브 사이에 결합되며, 자기력에 의해 스풀을 승강시켜 작동실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작동실과 상기 피스톤밸브의 사이에 연통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며, 내부에 메인밸브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압챔버와, 상기 피스톤밸브의 상부와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상기 메인밸브의 승강을 통해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의 유체를 상호 이동시키는 메인유로와, 상기 작동실과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압축챔버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배압챔버를 통해 상기 인장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보조유로 및, 상기 배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 및 상기 제1보조유로와 상기 피스톤밸브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장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제1보조유로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압축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보조유로를 포함한다.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cylinder filled with a fluid, a piston rod compressing and tensioning the cylinder in the cylinder, and a cylinder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piston rod to divide the cylinder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 tension chamber A solenoid coupled between the piston rod and the pisto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rating chamber by raising and lowering the spool by a magnetic force, and a soleno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rating chamber, wherein the solenoid is disposed between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piston valve A back pressure chamber in which the main valve is divided and formed in a communicated state and in which a main valve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 piston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and the tension chamber, A main flow path for reciprocally moving the compression chamber and the fluid in the tension chamber through the main chamber, A first auxiliary flow path connecting the burrs to the compression chamber and opening only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to allow the fluid in the compression chamber to move to the tension chamber through the piston valve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And a pair of second auxiliary flow paths connecting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and the piston valve and being opened only during a tensile stroke of the piston rod to mov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to the compression chamber do.

Description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체크밸브들을 이용해 보조유로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하드한 감쇠력과 소프트한 감쇠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apable of selectively applying a hard damping force and a soft damping force 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uxiliary flow paths using check valves during compression and tensioning, To an absorber.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자동차 등의 이동수단에 설치되며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 및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다.Generally, a shock absorber is mounted on a moving means such as an automobile, and absorbs and buffers vibrations and shocks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during traveling, thereby improving ride comfort.

이러한, 쇽업소버는 실린더의 내부에 압축 및 인장 행정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 로드와, 이 피스톤 로드에 결합된 상태로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밸브 등으로 구성된다.The shock absorber is constituted by a piston rod provided inside the cylinder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compressed and tensioned, and a piston valve which is located inside the cylinder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piston rod and generates a damping force.

한편, 쇽업소버는 감쇠력을 낮게 설정시 노면의 요철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감쇠력이 높게 설정시 차체의 자세 변화가 억제되어 조종 안정성이 향상되는 특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amping force is set to a low value, the shock absorber absorbs the vibration caused by the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to improve the ride qual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damping force is set high, the attitude of the vehicle body is suppressed.

따라서, 종래의 차량에는 차량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감쇠력 특성이 다르게 설정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가 적용되고 있다.Therefore,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different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a vehicle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vehicle.

이와 같은 종래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솔레노이드의 스풀이 보조적인 유로를 폐쇄하여 높은 감쇠력(Hard Mode)을 발생시키고, 반대로 스풀이 보조적인 유로를 개방하여 낮은 감쇠력(Soft Mode)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uch a conventional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the spool of the solenoid closes the auxiliary flow path to generate a high damping force (Hard Mode), and conversely, the spool opens the auxiliary flow path to generate a low damping force (Soft Mode) Lt; / RTI >

그런데, 종래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솔레노이드의 단락(fail safe) 발생시 스풀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지 않게 되므로, 감쇠력 조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when the solenoid fails, the spool is not moved to the set position,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stability of damping force control.

그리고, 종래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단락(fail safe) 발생시 하드한 감쇠력 구현을 위해 저전류(0.3A)에서 하드 감쇠력을 형성시키고, 고정류(1.6A)에서 소프트한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있지만, 차량에서 상시 작동하는 소프트 모드가 고전류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전류 제어(PWM: pulse width modulation) 과정에서 많은 전력 소모와 고음이 발생하였다.A conventional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forms a hard damping force at a low current (0.3 A) and a soft damping force at a fixed current (1.6 A) in order to realize a hard damping force when a fail safe occurs, Since the soft mode, which always operates in the vehicle, occurs at a high current, a lot of power consumption and high frequency are generated in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process of the solenoi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특1998-0002962호(1998년 03월 3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감쇠력 가변식 완충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98-0002962 (Mar. 30, 1998), which discloses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를 이용해 배압챔버의 압력을 조절함과 아울러,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체크밸브들을 이용해 보조유로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하드한 감쇠력과 소프트한 감쇠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전류별 감쇠력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ultaneously control hardness damping force and soft damping force 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by using a solenoid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auxiliary flow paths by using check valves during compression and tension stroke, And to provide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apable of ensuring linearity of damping for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락(fail safe) 발생시 탄성부재를 이용해 스풀을 차단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의 구동력 상실시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제어시 전력 소모와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device capable of securing safety even 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is lost by returning the spool to the shutoff position by using the elastic member when a fail safe occurs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on noise during solenoid control Which is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밸브로 구비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밸브 사이에 결합되며, 자기력에 의해 스풀을 승강시켜 작동실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작동실과 상기 피스톤밸브의 사이에 연통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며, 내부에 메인밸브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압챔버와, 상기 피스톤밸브의 상부와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상기 메인밸브의 승강을 통해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의 유체를 상호 이동시키는 메인유로와, 상기 작동실과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압축챔버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배압챔버를 통해 상기 인장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보조유로 및, 상기 배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 및 상기 제1보조유로와 상기 피스톤밸브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장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제1보조유로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압축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보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cylinder filled with a fluid, a piston rod compressing and tensioning the cylinder in the cylinder, and a cylinder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piston rod to divide the cylinder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 tension chamber A solenoid coupled between the piston rod and the pisto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rating chamber by raising and lowering the spool by a magnetic force, and a soleno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rating chamber, wherein the solenoid is disposed between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piston valve A back pressure chamber in which the main valve is divided and formed in a communicated state and in which a main valve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 piston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and the tension chamber, A main flow path for reciprocally moving the compression chamber and the fluid in the tension chamber through the main chamber, A first auxiliary flow path connecting the burrs to the compression chamber and opening only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to allow the fluid in the compression chamber to move to the tension chamber through the piston valve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And a pair of second auxiliary flow paths connecting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and the piston valve and being opened only during a tensile stroke of the piston rod to mov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to the compression chamber .

여기서, 상기 메인밸브는 상기 배압챔버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밸브의 상부와 상기 배압챔버와 연통되도록 제1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밸브바디 및, 상기 배압챔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바디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valve is installed in the back pressure chambe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 valve body is formed in the back pressure chamber so that the first passage hole is vertically communicat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And a first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alve body downward.

또한,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상기 메인유로 또는 상기 피스톤밸브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 위치로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alve body is preferably raised to the open position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main passage or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during the compression stroke and the tensile stroke of the piston rod.

또한, 상기 제1보조유로와 상기 제1통과홀에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행정시 개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장 행정시 폐쇄되는 제1체크밸브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보조유로들에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장 행정시 개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행정시 페쇄되는 제2체크밸브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uxiliary passage and the first passage hole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first check valves which are opened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and closed during a ten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And a second check valve which is opened during a tensile stroke of the piston rod and which is closed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또한, 상기 제1체크밸브들과 상기 제2체크밸브들은 상기 스풀이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제1보조유로의 연결 부위를 폐쇄하는 경우, 폐쇄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메인유로를 통해서만 유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check valves and the second check valves may be switched to a closed state when the spool close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operation chamber and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so that the fluid is moved only through the main flow path desirable.

또한, 상기 배압챔버의 외부 두께 내에는 상기 메인유로와 연결되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밸브바디의 테두리측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단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thickness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ssage, and an insertion end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valve body so a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in the guide groove.

또한, 상기 작동실의 상부에는 상기 제1보조유로가 수평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풀의 하단에는 승강을 통해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제1보조유로의 연결 부위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돌기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chamber, and an opening / closing projection for opening / closing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operation chamber and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is protruded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pool .

또한, 상기 개폐돌기의 측면에는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id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bottom.

또한, 상기 작동실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돌기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부 걸림턱과 하부 걸림턱이 상하로 이격 위치되며, 상기 개폐돌기는 상기 상부 걸림턱과 상기 하부 걸림턱으로부터 이격 위치시 상기 작동실의 개방시키고, 하부로 이동시 상기 하부 걸림턱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작동실을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chamber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jaws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protrusions are located between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opping jaw to close the operation chamber when moving downward.

또한, 상기 개폐돌기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 상실시 탄성력에 의한 상승에 의해 상기 상부 걸림턱의 하단에 밀착되어,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제1보조유로를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 closing projec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opping jaw by the rise of the solenoid due to the elastic force when the driving force is lost, thereby closing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또한, 상기 작동실의 내부에는 상기 스풀의 하단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스풀의 복귀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의 내부에 더 작은 직경으로 중첩 배치되며, 압축력을 작용시켜 상기 스풀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제3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econd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pool upwardly and acting on the returning elastic force of the spool, and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second elastic member so as to overlap with a smaller diameter, And a third elastic member for limiting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spool by operating the second elastic member.

또한, 상기 작동실의 하부에는 상단이 상기 제1탄성부재의 상단을 지지하고, 하단이 상기 제2탄성부재와 상기 제3탄성부재를 각각 지지하는 플러그가 더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에는 상기 배압챔버와 상기 작동실에 연통되도록 제2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 plug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chamber, the upper end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nd supporting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And a second passa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ion chamber.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를 이용해 배압챔버의 압력을 조절함과 아울러,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체크밸브들을 이용해 보조유로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하드한 감쇠력과 소프트한 감쇠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전류별 감쇠력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pressure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by using a solenoid and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auxiliary flow paths by using check valves during compression and tension strokes to simultaneously realize hard damping force and soft damping force, Can be secured.

또한, 단락(fail safe) 발생시 탄성부재를 이용해 스풀을 차단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의 구동력 상실시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제어시 전력 소모와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by returning the spool to the cutoff position by using the elastic member when a fail safe occurs, safety can be ensured even 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is lost, and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on noise can be reduced when the solenoid is controll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의 압축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의 인장 행정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1 is a front sectional view for showing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1 showing part A in detail.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ompression stroke state of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tension stroke state of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FIG. 1 is a front sectional view for showing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FIG. 1 in detail.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단통식 쇽업소버 구조에 적용하는 경우, 실린더(10)와, 피스톤로드(20)와, 솔레노이드(Solenoid, 30)와, 피스톤밸브(40)를 포함한다.1 and 2,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er 10, a piston rod 20, a solenoid 30, And a piston valve (40).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는 배압챔버(100)와, 메인밸브(200)와, 메인유로(300)와, 제1보조유로(400)와, 제2보조유로(500-1, 500-2)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 pressure chamber 100, a main valve 200, a main passage 300, a first auxiliary passage 400, a second auxiliary passage 500-1 , 500-2).

상기한 구성들 중, 실린더(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 작동용 유체(오일 등)가 충전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the cylinder 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hat forms a space therein, and the operating fluid (oil or the like) is filled in the cylinder 10.

여기서,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는 후술 될 피스톤 밸브(20)에 의해 압축챔버(10a)와 인장챔버(10b)로 구분될 수 있다.The interior of the cylinder 10 may be divided into a compression chamber 10a and a tension chamber 10b by a piston valve 20 to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상기 실린더(10)의 일단과 후술 될 피스톤로드(20)의 일단은,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할 수 있다.One end of the cylinder 10 and one end of the piston rod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perform compression and tensile stroke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side or the wheel side,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실린더(10)의 하단에는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1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oupling portion (not shown) for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side or the wheel side.

이와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복통식 쇽업소버 구조에 적용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abdominal shock absorber structure.

이 경우, 실린더(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내튜브(미도시)와, 상기 내튜브는 외부에 외튜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내튜브는 후술 될 피스톤 밸브에 의해 압축챔버(10a)와 인장챔버(10b)로 구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ylinder 10 may have an inner tube (not shown) forming a space therein, and an outer tube (not shown) may be provided outside the inner tube. The inner tube may be a piston valve And can be divided into a compression chamber 10a and a tension chamber 10b.

또한, 상기 내튜브와 상기 외튜브 간의 저장실과 압축챔버(10a)를 구분하는 바디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A body valve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separate the storage chamber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10a.

솔레노이드(30)는, 피스톤로드(20)와 피스톤밸브(40) 사이에 결합되며, 코일(33)의 자기력에 의해 스풀(31)을 승강시켜 작동실(32)을 개폐시킨다.The solenoid 30 is coupled between the piston rod 20 and the piston valve 40 and moves the spool 31 up and dow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33 to open and close the operating chamber 32.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솔레노이드(3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실(32)을 개폐시켜, 메인 감쇠력의 크기를 낮출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olenoid 30 may open / close the operating chamber 32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o reduce the magnitude of the main damping force.

스풀(31)의 하단에는, 승강을 통해 작동실(32)과 후술 될 제1보조유로(400)의 연결 부위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돌기(31a)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An opening / closing projection 31a for opening / clos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operation chamber 32 and a first auxiliary flow path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laterally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pool 31.

상기 개폐돌기(31a)는, 상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돌기(31a)의 측면에는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protrusion 31a is horizontal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rotrusion 31a, and a slope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rotrusion 31a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bottom.

상기 경사면(31b)은, 하부 걸림턱(32b)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상부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31b can guide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topping jaw 32b to be smoothly moved upward.

작동실(32)은, 솔레노이드(30)의 하부에 일정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실(32) 내에는 스풀(31)의 하단이 승강 가능하게 위치된다.The operation chamber 32 is formed in a lower space of the solenoid 30 and the lower end of the spool 31 is positioned in the operation chamber 32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여기서, 상기 작동실(32)의 내주면에는 스풀(31)의 개폐돌기(31a)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부 걸림턱(32a)과 하부 걸림턱(32b)이 상하로 이격 위치된다.The upper stopping protrusion 32a and the lower stopping protrusion 32b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31a of the spool 31 is positio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chamber 32. [

상기 상부 걸림턱(32a)과 상기 하부 걸림턱(32b)의 사이에는, 상기 개폐돌기(31a)가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는 이동영역이 형성된다.A moving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topping protrusion 32a and the lower stopping stop 32b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 31a can move up and down.

즉, 상기 개폐돌기(31a)가 이동영역 내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면서 소프트 모드(Soft Mode)와 하드 모드(Hard Mode)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That is, the open / close protrusion 31a can be selectively switched between the soft mode and the hard mode while moving upward or downward in the movement area.

이와 같은 상기 개폐돌기(31a)는, 상부 걸림턱(32a)과 하부 걸림턱(32b)으로부터 이격 위치시키는 경우, 작동실(32)의 개방 면적을 증가시켜 소프트한 감쇠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When the opening / closing projection 31a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topping protrusion 32a and the lower stopping stopper 32b, the opening area of the operation chamber 32 can be increased to form soft damping force.

즉, 상기 개폐돌기(31a)의 상면과 하면이 상부 걸림턱(32a)과 하부 걸림턱(32b)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작동실(32)을 통해 후술 될 제1보조유로(400)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rojection 31a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topping protrusion 32a and the lower stopping stopper 32b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flow paths 400, Fluid can move.

이와 반대로, 상기 개폐돌기(31a)는 하부로 이동시 하부 걸림턱(32b)의 상단에 밀착 위치시키는 경우, 작동실(32)과 후술 될 제1보조유로(400)를 차단하여 하드한 감쇠력을 형성시킨다.On the contrary, when the opening / closing projection 31a is positioned close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opping protrusion 32b when moving downward, the operating chamber 32 and the first auxiliary channel 400 to be described later are blocked to form a hard damping force .

또한, 상기 개폐돌기(31a)는 단락(fail safe) 사고 등에 의해 솔레노이드(30)의 구동력이 상실되는 경우, 후술 될 제2탄성부재(S2)의 압축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protrusion 31a can be moved upward by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S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30 is lost due to a fail-safe accident or the like.

이때, 상기 개폐돌기(31a)는 상부 걸림턱(32a)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작동실(32)과 후술 될 제1보조유로(400)의 연결을 상태를 폐쇄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projection 31a can clo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on chamber 32 and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projection 31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opping step 32a.

특히, 상기 작동실(32)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제2탄성부재(S2)와 제3탄성부재(S3)가 설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a second elastic member S2 and a third elastic member S3 for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in the up-and-down dire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operation chamber 32.

상기 제2탄성부재(S2)는, 스풀(31)의 하단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스풀(31)의 복귀 탄성력을 작용시킨다.The second resilient member (S2) resiliently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spool (31) upward to exert a returning elastic force of the spool (31).

제3탄성부재(S3)는, 제2탄성부재(S2)의 내부에 더 작은 직경으로 중첩 배치되며, 압축력을 작용시켜 상기 스풀(31)의 하강 위치를 제한한다.The third elastic member (S3) is arranged inside the second elastic member (S2) with a smaller diameter, and acts to apply a compressive force to restrict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spool (31).

여기서, 상기 제2탄성부재(S2)와 제3탄성부재(S3)는 상하 방향으로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elastic member S2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S3 use a coil spring for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아울러, 작동실(32)의 하부에는 상단이 전술한 제1탄성부재(S1)의 상단을 지지하고, 하단이 제2탄성부재(S2)와 제3탄성부재(S3)를 각각 지지하는 플러그(8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chamber 32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S1 and the lower end of the plug supports the second elastic member S2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S3, 800 may be further installed.

상기 플러그(800)에는, 후술 될 배압챔버(100)와 작동실(32)에 연통되도록 제2통과홀(8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plug 800 may be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810 through which the back pressure chamber 100 and the operation chamber 3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배압챔버(100)는, 작동실(32)과 피스톤밸브(40)의 사이에 연통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배압챔버(100)의 내부에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메인밸브(20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back pressure chamber 100 is divided and formed between the operating chamber 32 and the piston valve 40 so that a main valve 200 for generating a damping force can be raised and lowered inside the back pressure chamber 100 Respectively.

이를 위한 상기 메인밸브(200)는, 밸브바디(210) 및, 제1탄성부재(S1)로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valve 200 may include a valve body 210 and a first elastic member S1.

상기 밸브바디(210)는, 배압챔버(100)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스톤밸브(40)의 상부와 상기 배압챔버(100)가 연통되도록 제1통과홀(21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The valve body 210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in the back pressure chamber 100. The valve body 210 has a first through hole 212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40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100, do.

여기서, 상기 밸브바디(210)는 피스톤로드(20)의 압축 및 인장 행정시, 후술 될 메인유로(300) 또는 피스톤밸브(40)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 위치로 상승된다.The valve body 210 is lifted to the open position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passage 300 or the piston valve 4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piston rod 20 is compressed and tensioned.

이를 위해, 상기 배압챔버(100)의 외부 두께 내에는 메인유로(300)와 연결되는 가이드홈(1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guide groove 110 may be formed in the outer thickness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100 to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300.

그리고, 상기 밸브바디(210)의 테두리측 상부에는 가이드홈(110)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삽입단(21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An insertion end 211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0 may be protrud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valve body 210.

상기 삽입단(211)은, 상기 밸브바디(210)의 하부로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슬라이드 승강한다.The insertion end 211 slides and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10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acting on the lower portion of the valve body 210.

제1탄성부재(S1)는, 배압챔버(100) 내에 설치되어, 밸브바디(210)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first elastic member (S1) is provided in the back pressure chamber (100)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valve body (210) downward.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재(S1)는 상하로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first elastic member S1 may be a coil spring for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S1 and S2.

또한, 제1통과홀(212)에는, 피스톤로드(20)의 압축 행정시 개방되고, 피스톤로드(20)의 인장 행정시 폐쇄되는 제1체크밸브(600-1)가 설치된다.The first passage hole 212 is provided with a first check valve 600-1 which is opened during the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20 and is closed during the ten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20.

상기 제1체크밸브(600-1)는, 솔레노이드(30)가 소프트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피스톤로드(20)의 압축 행정시 제1통과홀(212)을 개방시킨다.The first check valve 600-1 opens the first passage hole 212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20 in a state in which the solenoid 30 operates in the soft mode.

이와 같이, 전술한 제1체크밸브(600-1, 600-2)들과 제2체크밸브(700-1, 700-2)들은, 스풀(31)이 작동실(32)과 제1보조유로(400)의 연결 부위를 폐쇄하는 경우, 폐쇄 상태로 전환되어 메인유로(300)를 통해서만 유체가 이동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heck valves 600-1 and 600-2 and the second check valves 700-1 and 700-2 are arranged such that the spool 31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chamber 32 and the first auxiliary channel Wh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flow path 400 is closed, the fluid is moved only through the main flow path 300 by switching to the closed state.

메인유로(300)는, 피스톤밸브(40)의 상부와 인장챔버(10b)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상기 메인밸브의 승강을 통해 상기 압축챔버(10a)와 상기 인장챔버(10b)의 유체를 상호 이동시킨다.The main passage 300 connects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40 and the tension chamber 10b and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10a and the compression chamber 10a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ain valve when the piston rod 20 is compressed and tensioned. Thereby moving the fluids in the tension chamber 10b.

제1보조유로(400)는, 작동실(32)과 인장챔버(10b)를 연결하며, 피스톤로드(20)의 압축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압축챔버(10a)의 유체가 피스톤밸브(40)와 배압챔버(1000)를 통해 상기 인장챔버(10b)로 이동되도록 한다.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400 connects the working chamber 32 and the tension chamber 10b and is opened only during the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20 so that the fluid in the compression chamber 10a flows through the piston valve 40,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1000 to the tension chamber 10b.

여기서, 상기 제1보조유로(400)에는, 피스톤로드(20)의 압축 행정시 개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인장 행정시 폐쇄되는 제1체크밸브(600-1, 600-2)가 각각 구비된다.The first check valve 600-1 and the second check valve 600-2, which are opened when the piston rod 20 is in the compression stroke and closed when the piston rod 20 is pulled, Respectively.

상기 제1체크밸브(600-1, 600-2)들은,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20)의 압축 행정시 개방되어 소프트한 감쇠력을 형성시킨다.3, the first check valves 600-1 and 600-2 are opened during the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20 to form soft damping force as described above.

제2보조유로(500-1, 500-2)는, 배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10b) 및 제1보조유로(400)와 피스톤밸브(40)를 연결한다.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s 500-1 and 500-2 connect the back pressure chamber, the tension chamber 10b,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400, and the piston valve 40 to each other.

즉, 상기 제2보조유로(500-1, 500-2)는 피스톤로드(20)의 인장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제1보조유로(400)로 유입된 유체가 압축챔버(10a)로 이동되도록 한다.That is, 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s 500-1 and 500-2 are opened only during the ten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20 so that the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400 is mov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10a .

여기서, 상기 제2보조유로(500-1, 500-2)들에는 피스톤로드(20)의 인장 행정시 개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압축 행정시 폐쇄되는 제2체크밸브(700-1, 700-2)가 각각 구비된다.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s 500-1 and 500-2 are provided with second check valves 700-1 and 700-2 which are opened during a tensile stroke of the piston rod 20 and are closed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20, , And 700-2, respectively.

상기 제2체크밸브(700-1, 700-2)들은, 도 4에서와 같이 피스톤로드(20)의 인장 행정시 개방되어 소프트한 감쇠력을 형성시킨다.The second check valves 700-1 and 700-2 are opened during a tensile stroke of the piston rod 20 as shown in FIG. 4 to form a soft damping force.

그리고, 제1체크밸브(600-1, 600-2)들과 상기 제2체크밸브(700-1, 700-2)들은 스풀(31)이 작동실(32)을 차단하는 경우, 폐쇄 상태로 전환되어 메인유로(300)만을 통해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전환되어 하드한 감쇠력을 형성시킨다.
The first check valves 600-1 and 600-2 and the second check valves 700-1 and 700-2 are closed when the spool 31 blocks the operation chamber 32 So that the fluid can be moved only through the main flow path 300 to form a hard damping force.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FIG.

먼저, 솔레노이드(30)의 소프트 모드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스풀(31)의 개폐돌기(31a)가 상부 걸림턱(32a)과 하부 걸림턱(32b)과 이격 위치된다.First, when the solenoid 30 is operated in the soft mode, the opening / closing projections 31a of the spool 31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topping jaw 32a and the lower stopping jaw 32b.

이 상태에서, 피스톤로드(20)의 압축 행정시에는 도 3에서처럼 압축챔버(10a)의 유체가 피스톤밸브(40)의 압축유로와 메인유로(300)를 통해 인장챔버(10b)로 이동한다.3, the fluid in the compression chamber 10a moves to the tension chamber 10b through the compression passage of the piston valve 40 and the main passage 300, as shown in Fig. 3, during the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20. [

이때, 피스톤밸브(40)의 압축유로와 메인유로(300)를 통해 인장챔버(10b)로 이동하는 유체가 밸브바디(210)를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메인유로(300)를 통해 인장챔버(10b)로 이동한다.At this time, the compression fluid of the piston valve 40 and the fluid moving to the tension chamber 10b through the main fluid channel 300 push up the valve body 210 upward, ).

이와 동시에, 압축챔버(10a)의 유체가 제1체크밸브(600-1)의 개방에 의해 피스톤밸브(40)의 압축유로와 제1통과홀(212)을 통해 배압챔버(100)로 이동한다.At the same time, the fluid in the compression chamber 10a moves to the back pressure chamber 100 through the compression passage of the piston valve 40 and the first passage hole 212 by opening the first check valve 600-1 .

또한, 상기 배압챔버(100)의 유체는 제1체크밸브(600-1)의 개방에 의해 제2통과홀(810)과 작동실(32)을 통해 제1보조유로(400)로 이동한다.The fluid in the back pressure chamber 100 moves to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400 through the second passage hole 810 and the operation chamber 32 by opening the first check valve 600-1.

최종적으로, 상기 제1보조유로(400)로 유입된 유체는 제1체크밸브(600-2)의 개방에 의해 인장챔버(10b)로 이동한다.Finally, the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400 moves to the tension chamber 10b by opening the first check valve 600-2.

즉, 제1보조유로(400)의 개방을 통해 보조적인 유체의 이동을 통해 유로의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프트한 감쇠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fluid through the opening of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400, thereby forming soft damping force.

반면, 피스톤로드(20)를 인장 행정시에는 도 4에서처럼 인장챔버(10b)의 유체가 제2체크밸브(700-1)의 개방에 의해 메인유로(300)와 피스톤밸브(40)의 압축유로를 통해 인장챔버(10b)로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iston rod 20 is tensioned, as shown in Fig. 4, the fluid in the tension chamber 10b is discharged to the compression flow path of the main flow channel 300 and the piston valve 40 by opening the second check valve 700-1. To the tension chamber 10b.

이때, 메인유로(300)와 피스톤밸브(40)의 압축유로를 통해 압축챔버(10a)로 이동하는 유체가 밸브바디(210)를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메인유로(300)를 통해 피스톤밸브(40)의 압축유로로 이동한다.At this time, the fluid moving to the compression chamber 10a through the compression oil path of the main oil path 300 and the piston valve 40 pushes the valve body 210 upward, As shown in Fig.

이와 동시에, 인장챔버(10b)의 유체가 제2체크밸브(700-1)의 개방에 의해 제2보조유로(500-1)와 배압챔버(100)와 제2통과홀(810)을 통해 작동실(32)로 이동한다.At the same time, the fluid in the tension chamber 10b is operated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passage 500-1, the back pressure chamber 100 and the second passage hole 810 by opening the second check valve 700-1 And moves to the chamber 32.

또한, 상기 작동실(32)의 유체는 제2체크밸브(700-2)의 개방에 의해 제2보조유로(500-2)로 이동한다.Further, the fluid in the working chamber 32 moves to 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 500-2 by opening the second check valve 700-2.

최종적으로, 상기 제1보조유로(400)로 유입된 유체는 제2체크밸브(700-2)의 개방에 의해 압축챔버(10a)로 이동한다.Finally, the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400 moves to the compression chamber 10a by opening the second check valve 700-2.

즉, 제2보조유로(500-1, 500-2)의 개방을 통해 보조적인 유체의 이동을 통해 유로의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프트한 감쇠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That is, through the opening of 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s 500-1 and 500-2, the 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fluid, thereby forming soft damping forc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30)를 이용해 배압챔버(100)의 압력을 조절함과 아울러,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체크밸브들을 이용해 보조유로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하드한 감쇠력과 소프트한 감쇠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전류별 감쇠력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pressure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100 by using the solenoid 30,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auxiliary flow paths by using the check valves during the compression and tension strokes, thereby achieving hard damping force and soft damping force Can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and linearity of damping force per current can be ensured.

또한, 단락(fail safe) 발생시 탄성부재를 이용해 스풀(31)을 차단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30)의 구동력 상실시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제어시 전력 소모와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다.Further, by returning the spool 31 to the shutoff position by using the elastic member when the fail safe occurs, safety can be ensured even in the case of loss of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30, and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on noise during the solenoid control can be reduced hav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실린더 10a: 압축챔버
10b: 인장챔버 20: 피스톤로드
30: 솔레노이드 31: 스풀
31a: 개폐돌기 32: 작동실
32a: 상부 걸림턱 32b: 하부 걸림턱
33: 코일 40: 피스톤밸브
100: 배압챔버 110: 가이드홈
200: 메인밸브 210: 밸브바디
211: 삽입단 212: 제1통과홀
300: 메인유로 400: 제1보조유로
500-1, 500-2: 제2보조유로 600-1, 600-2: 제1체크밸브
700-1, 700-2: 제2체크밸브 800: 플러그
810: 제2통과홀 S1: 제1탄성부재
S2: 제2탄성부재 S3: 제3탄성부재
10: cylinder 10a: compression chamber
10b: Tension chamber 20: Piston rod
30: Solenoid 31: Spool
31a: opening / closing projection 32: working chamber
32a: upper stopping jaw 32b: lower stopping jaw
33: coil 40: piston valve
100: back pressure chamber 110: guide groove
200: main valve 210: valve body
211: insertion end 212: first through hole
300: Main flow path 400: First auxiliary flow path
500-1, 500-2: second auxiliary flow path 600-1, 600-2: first check valve
700-1, 700-2: second check valve 800: plug
810: second through hole S1: first elastic member
S2: second elastic member S3: third elastic member

Claims (12)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밸브로 구비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밸브 사이에 결합되며, 자기력에 의해 스풀을 승강시켜 작동실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작동실과 상기 피스톤밸브의 사이에 연통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며, 내부에 메인밸브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압챔버;
상기 피스톤밸브의 상부와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상기 메인밸브의 승강을 통해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의 유체를 상호 이동시키는 메인유로;
상기 작동실과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압축챔버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배압챔버를 통해 상기 인장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보조유로; 및
상기 배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 및 상기 제1보조유로와 상기 피스톤밸브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장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제1보조유로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압축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보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밸브는,
상기 배압챔버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밸브의 상부와 상기 배압챔버와 연통되도록 제1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밸브바디 및,
상기 배압챔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바디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압챔버의 외부 두께 내에는,
상기 메인유로와 연결되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밸브바디의 테두리측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단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cylinder filled with a fluid, a piston rod for compressing and tensioning the cylinder in the cylinder, and a piston valv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iston rod to divide the cylinder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 tension chamber. In this case,
A solenoid coupled between the piston rod and the pisto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orking chamber by moving the spool up and down by a magnetic force;
A back pressure chamber divided and formed in a communicative state between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piston valve and having a main valve movably installed therein;
A main flow passage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to the tension chamber and moving the compression chamber and the tension chamber fluid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ain valve during compression and tensioning of the piston rod;
A first auxiliary flow path connecting the working chamber and the tension chamber and opened only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so that fluid in the compression chamber is moved to the tension chamber through the piston valve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And
And a pair of pair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flow paths, which are connected to the back pressure chamber, the tension chamber,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and the piston valve, and which are opened only during a tensile stroke of the piston rod, And a second auxiliary flow path
Wherein the main valve includes:
A valve body that is installed in the back pressure chambe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has a first passage hole formed i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And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back pressure chamb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valve body downward,
Within the outer thickness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A guide groov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edge side of the valve body,
And an insertion end is protruded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in the guide groov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상기 메인유로 또는 상기 피스톤밸브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 위치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lve body comprises:
Wherein the piston is raised to an open position by a pressure of a fluid flowing into the main passage or the piston valve when the piston rod is compressed and tensio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유로와 상기 제1통과홀에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행정시 개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장 행정시 폐쇄되는 제1체크밸브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보조유로들에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장 행정시 개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행정시 페쇄되는 제2체크밸브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auxiliary passage and the first passage hole,
A first check valve that is opened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and is closed during a tensile stroke of the piston rod,
In the second auxiliary flow paths,
And a second check valve that is opened when the piston rod is subjected to a tensile stroke and is closed when the piston rod is compress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체크밸브들과 상기 제2체크밸브들은,
상기 스풀이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제1보조유로의 연결 부위를 폐쇄하는 경우, 폐쇄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메인유로를 통해서만 유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check valves and the second check valves,
Wherein when the spool close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first auxiliary passage, the spool is switched to a closed state so that the fluid is moved only through the main passag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의 상부에는,
상기 제1보조유로가 수평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풀의 하단에는,
승강을 통해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제1보조유로의 연결 부위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돌기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chamber,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is horizontally conn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spool,
And an opening / closing projection for opening / closing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is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밸브로 구비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밸브 사이에 결합되며, 자기력에 의해 스풀을 승강시켜 작동실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작동실과 상기 피스톤밸브의 사이에 연통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며, 내부에 메인밸브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압챔버;
상기 피스톤밸브의 상부와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상기 메인밸브의 승강을 통해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의 유체를 상호 이동시키는 메인유로;
상기 작동실과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압축챔버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배압챔버를 통해 상기 인장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보조유로; 및
상기 배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 및 상기 제1보조유로와 상기 피스톤밸브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장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제1보조유로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압축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보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실의 상부에는, 상기 제1보조유로가 수평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풀의 하단에는, 승강을 통해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제1보조유로의 연결 부위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돌기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폐돌기의 측면에는,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cylinder filled with a fluid, a piston rod for compressing and tensioning the cylinder in the cylinder, and a piston valv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iston rod to divide the cylinder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 tension chamber. In this case,
A solenoid coupled between the piston rod and the pisto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orking chamber by moving the spool up and down by a magnetic force;
A back pressure chamber divided and formed in a communicative state between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piston valve and having a main valve movably installed therein;
A main flow passage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to the tension chamber and moving the compression chamber and the tension chamber fluid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ain valve during compression and tensioning of the piston rod;
A first auxiliary flow path connecting the working chamber and the tension chamber and opened only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so that fluid in the compression chamber is moved to the tension chamber through the piston valve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And
And a pair of pair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flow paths, which are connected to the back pressure chamber, the tension chamber,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and the piston valve, and which are opened only during a tensile stroke of the piston rod, And a second auxiliary flow path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chamber,
Closing projectio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are protruded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pool,
On the sid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rojection,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has a gradually decreasing diameter as it goes downward.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밸브로 구비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밸브 사이에 결합되며, 자기력에 의해 스풀을 승강시켜 작동실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작동실과 상기 피스톤밸브의 사이에 연통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며, 내부에 메인밸브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압챔버;
상기 피스톤밸브의 상부와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상기 메인밸브의 승강을 통해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의 유체를 상호 이동시키는 메인유로;
상기 작동실과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압축챔버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배압챔버를 통해 상기 인장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보조유로; 및
상기 배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 및 상기 제1보조유로와 상기 피스톤밸브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장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제1보조유로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압축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보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실의 상부에는, 상기 제1보조유로가 수평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풀의 하단에는, 승강을 통해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제1보조유로의 연결 부위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돌기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작동실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돌기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부 걸림턱과 하부 걸림턱이 상하로 이격 위치되며,
상기 개폐돌기는,
상기 상부 걸림턱과 상기 하부 걸림턱으로부터 이격 위치시 상기 작동실의 개방시키고, 하부로 이동시 상기 하부 걸림턱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작동실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cylinder filled with a fluid, a piston rod for compressing and tensioning the cylinder in the cylinder, and a piston valv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iston rod to divide the cylinder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 tension chamber. In this case,
A solenoid coupled between the piston rod and the pisto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orking chamber by moving the spool up and down by a magnetic force;
A back pressure chamber divided and formed in a communicative state between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piston valve and having a main valve movably installed therein;
A main flow passage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to the tension chamber and moving the compression chamber and the tension chamber fluid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ain valve during compression and tensioning of the piston rod;
A first auxiliary flow path connecting the working chamber and the tension chamber and opened only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so that fluid in the compression chamber is moved to the tension chamber through the piston valve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And
And a pair of pair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flow paths, which are connected to the back pressure chamber, the tension chamber,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and the piston valve, and which are opened only during a tensile stroke of the piston rod, And a second auxiliary flow path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chamber,
Closing projectio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are protruded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pool,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rating chamber,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jaws are vertically spaced such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rotrusions are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jaws,
Wherein the opening /
Wherein the operation chamber is opened when the upper latching jaw and the lower latching jaw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latching jaw when the lower portion is moved downward to close the operation chamb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폐돌기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력 상실시 탄성력에 의한 상승에 의해 상부 걸림턱의 하단에 밀착되어, 상기 작동실과 상기 제1보조유로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pening /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engaging jaw by the rise of the solenoid due to the elastic force when the driving force is lost, thereby closing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first auxiliary pass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의 내부에는,
상기 스풀의 하단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스풀의 복귀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의 내부에 더 작은 직경으로 중첩 배치되며, 압축력을 작용시켜 상기 스풀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제3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side the working chamber,
A second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pool upward to exert a returning elastic force of the spool,
Further comprising a third resilient member disposed inside the second resilient member with a smaller diameter and restricting a lowering position of the spool by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resilient member.
유체가 충전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는 피스톤밸브로 구비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밸브 사이에 결합되며, 자기력에 의해 스풀을 승강시켜 작동실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작동실과 상기 피스톤밸브의 사이에 연통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며, 내부에 메인밸브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압챔버;
상기 피스톤밸브의 상부와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및 인장 행정시 상기 메인밸브의 승강을 통해 상기 압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의 유체를 상호 이동시키는 메인유로;
상기 작동실과 상기 인장챔버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압축챔버의 유체가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배압챔버를 통해 상기 인장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보조유로; 및
상기 배압챔버와 상기 인장챔버 및 상기 제1보조유로와 상기 피스톤밸브를 연결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장 행정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제1보조유로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압축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보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실의 내부에는,
상기 스풀의 하단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스풀의 복귀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의 내부에 더 작은 직경으로 중첩 배치되며, 압축력을 작용시켜 상기 스풀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제3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작동실의 하부에는,
상단이 제1탄성부재의 상단을 지지하고, 하단이 상기 제2탄성부재와 상기 제3탄성부재를 각각 지지하는 플러그가 더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에는,
상기 배압챔버와 상기 작동실에 연통되도록 제2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cylinder filled with a fluid, a piston rod for compressing and tensioning the cylinder in the cylinder, and a piston valv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iston rod to divide the cylinder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 tension chamber. In this case,
A solenoid coupled between the piston rod and the pisto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orking chamber by moving the spool up and down by a magnetic force;
A back pressure chamber divided and formed in a communicative state between the operating chamber and the piston valve and having a main valve movably installed therein;
A main flow passage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valve to the tension chamber and moving the compression chamber and the tension chamber fluid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ain valve during compression and tensioning of the piston rod;
A first auxiliary flow path connecting the working chamber and the tension chamber and opened only during a compression stroke of the piston rod so that fluid in the compression chamber is moved to the tension chamber through the piston valve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And
And a pair of pair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flow paths, which are connected to the back pressure chamber, the tension chamber, the first auxiliary flow path, and the piston valve, and which are opened only during a tensile stroke of the piston rod, And a second auxiliary flow path
Inside the working chamber,
A second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pool upward to exert a returning elastic force of the spool,
Further comprising a third resilient member disposed inside the second resilient member with a smaller diameter and restricting a lowering position of the spool by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chamber,
And a plug having an upper end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a lower end supporting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In the plug,
And a second passa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ack pressure chamber and the operation chamber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hock absorber.
KR1020140052364A 2014-04-30 2014-04-30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Expired - Fee Related KR1019374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364A KR101937469B1 (en) 2014-04-30 2014-04-30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364A KR101937469B1 (en) 2014-04-30 2014-04-30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284A KR20150125284A (en) 2015-11-09
KR101937469B1 true KR101937469B1 (en) 2019-04-11

Family

ID=5460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364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7469B1 (en) 2014-04-30 2014-04-30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4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13144B2 (en) 2021-06-24 2025-05-27 Hl Mando Corporatio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488B1 (en) 2004-04-26 2008-06-04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Hydraulic shock absorber
JP2010276111A (en) 2009-05-28 2010-12-09 Kayaba Ind Co Ltd Damping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9471A1 (en) * 1991-03-22 1992-09-24 Bosch Gmbh Robert SHOCK ABSORB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488B1 (en) 2004-04-26 2008-06-04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Hydraulic shock absorber
JP4491270B2 (en) 2004-04-26 2010-06-3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Hydraulic shock absorber
JP2010276111A (en) 2009-05-28 2010-12-09 Kayaba Ind Co Ltd Damping val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13144B2 (en) 2021-06-24 2025-05-27 Hl Mando Corporatio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284A (en)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963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20180083725A (en) Shock absorber
KR20110001283A (en) Pisto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KR20130104250A (en) Frequency unit valve
KR101937470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1937469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2697466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1847599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20150142907A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2183046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2748895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20150064533A (en) Shock absorber having steering sensitive valve structure
KR102152027B1 (en) Shock absorber
JPWO2019221098A1 (en) Cylinder device
KR101815593B1 (en) Shock absorber component for railway car truck
KR101815596B1 (en) Shock absorber component for railway car truck
KR101276868B1 (en) Pisto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KR102627181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1662223B1 (en)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KR101815594B1 (en) Shock absorber component for railway car truck
KR101535510B1 (en) Shock absorber
KR20150088439A (en) Shock absorber
KR102232437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1839973B1 (en) Shock absorber component for railway car truck
KR20080023512A (en)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1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10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