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327B1 - auxiliary apparatus for toilet - Google Patents
auxiliary apparatus for toi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1327B1 KR101931327B1 KR1020170092766A KR20170092766A KR101931327B1 KR 101931327 B1 KR101931327 B1 KR 101931327B1 KR 1020170092766 A KR1020170092766 A KR 1020170092766A KR 20170092766 A KR20170092766 A KR 20170092766A KR 101931327 B1 KR101931327 B1 KR 1019313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uator
- hinge
- frame
- toilet seat
- base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액추에이터와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수직 프레임과 제1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제1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일단부가 제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제1 액추에이터와 제2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제1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제2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높이조절링크와, 수직 프레임과 제3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2 액추에이터와 제1 조인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제3 힌지 및 상기 제1 조인트와 구별되는 제2 조인트를 포함하는 삼각캠과,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2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른 제2 조인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와, 제2 조인트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제2 조인트에 연결되는 각도조절링크와, 높이조절링크의 타단부와 제4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각도조절링크의 타단부와 제5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변기 지지부를 포함하고, 변기 지지부는 제1 액추에이터와 제2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 가능한 동시에 제4 힌지와 제5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변기 보조 장치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apparatus including a frame including a base frame and a vertical frame, a driving unit including a first actuator and a second actuator provided on the base frame, A height adjustment link which is rotatable around the first hinge at one en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first hing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hinge and is rotatable around the second hinge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first actuator, A triangular cam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and the second hinge via a third hing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econd actuator and a first joint, and a second join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hinge and the third hinge; A guide member including a first guide hol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join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two actuators; And a toilet support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link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gle adjustment link via the fifth hinge, , And the toilet seat supporting portion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driving of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and is rotatable about the fourth hinge and the fifth hing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변기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relate to a toilet assistant device.
일반적으로 환자, 노약자 또는 하지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안정하여 앉고 서는 것이 불편한 사람들에게는 변기에서 용변을 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왜나하면 변기에 앉고 서기 위해서는 상당 수준의 근력이 필요하며, 무릎 관절 또한 튼튼할 것이 요구되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조건들이 결여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Generally, it is very difficult for a person who is uncomfortable to sit and stand, such as a patient, an elderly person or a disabled person, to see the toilet in a toilet. For this reason, a great deal of muscle strength is required to sit on the toilet, and the knee joints are required to be sturdy, but those who are uncomfortable are often lacking in these conditions.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ventor for the deriv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btained in the derivation process and can not necessarily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환자, 노약자나 하지 장애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안정하여 앉고 서는 것이 불편한 사람들이 편리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변기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that assists a person who is uncomfortable in sitting and standing, such as a patient, an elderly person or a disabled person, to use the toilet convenient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액추에이터와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수직 프레임과 제1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제1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일단부가 제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제1 액추에이터와 제2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제1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제2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높이조절링크와, 수직 프레임과 제3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2 액추에이터와 제1 조인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제3 힌지 및 상기 제1 조인트와 구별되는 제2 조인트를 포함하는 삼각캠과,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2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른 제2 조인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와, 제2 조인트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제2 조인트에 연결되는 각도조절링크와, 높이조절링크의 타단부와 제4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각도조절링크의 타단부와 제5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변기 지지부를 포함하고, 변기 지지부는 제1 액추에이터와 제2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 가능한 동시에 제4 힌지와 제5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변기 보조 장치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apparatus including a frame including a base frame and a vertical frame, a driving unit including a first actuator and a second actuator provided on the base frame, A height adjustment link which is rotatable around the first hinge at one en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first hing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hinge and is rotatable around the second hinge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first actuator, A triangular cam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and the second hinge via a third hing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econd actuator and a first joint, and a second join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hinge and the third hinge; A guide member including a first guide hol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join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two actuators; And a toilet support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link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gle adjustment link via the fifth hinge, , And the toilet seat supporting portion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driving of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and is rotatable about the fourth hinge and the fifth hing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과 제1 액추에이터는 제6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1 액추에이터는 제6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베이스 프레임과 제2 액추에이터는 제7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2 액추에이터는 제7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frame and the first actua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ixth hinge, the first actuator is rotatable about a sixth hinge, and the base frame and the second actua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venth hinge And the second actuator can be rotatable about the seventh hinge.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제1 액추에이터와 제2 액추에이터가 설치되고,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may further include a variable frame provided with a first actuator and a second actuator, and installed on the base fram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base frame.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변기 지지부와 변기 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결합부재는 가변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제1 힌지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rame further includes an engaging member for engaging the toilet bowl and the toilet bowl body, and the engaging member includes a second guide hole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hinge moving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variable frame can do.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 프레임이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riable fram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ctua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along the base fram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변 프레임이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3 액추에이터에 전방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전방 구동 버튼과, 후방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후방 구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front drive button for applying a front drive signal to the third actuator so that the variable frame moves along the base frame by a user's operation, and a rear drive button for applying a rear drive signal .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변기 지지부 상에 설치되되 변기 지지부의 수평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한 변기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oilet seat may further include a toilet seat which is provided on the toilet seat support portion and is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support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기 지지부가 상승하도록 구동부에 상승 신호를 인가하는 상승 버튼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기 지지부가 하강하도록 구동부에 하강 신호를 인가하는 하강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rising button for applying a ris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so as to raise the toilet seat support portion by a user's operation, and a lowering button for applying a fall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to lower the toilet seat support unit by the user's operation .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보조 장치에 의하면, 변기 시트의 높이와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노약자나 다리가 불편한 장애인들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ilet seat assi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and the angle of the toilet seat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elderly person or disabled person with an uncomfortable leg can easily and safely use the toilet seat.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보조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기 보조 장치의 일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변기 보조 장치의 다른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변기 지지부와 변기 시트를 분리하여 별도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toilet seat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of Fig. 1; Fig.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of Fig. 2;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seat of Fig. 1 separated from the toilet seat;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the terms include, including, etc. mean that there is a feature, or element, recit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보조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변기 보조 장치의 일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변기 보조 장치의 다른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변기 지지부와 변기 시트를 분리하여 별도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toilet seat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assisting apparatus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assisting device,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eparately showing the toilet seat supporting portion and the toilet seat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보조 장치(100)는 프레임(110)과, 구동부(120)와, 높이조절링크(130)와, 삼각캠(140)과, 가이드 부재(150)와, 각도조절링크(160) 및 변기 지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프레임(110)은 베이스 프레임(111)과 수직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베이스 프레임(1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보조 장치(1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일종의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프레임(111)은 변기 보조 장치(100)의 수평적 균형을 맞추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11)의 하면의 대부분이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또한 평평한 면을 갖는 받침볼트가 베이스 프레임(111)에 나사 결합되어 받침볼트의 평평한 면이 지면과 접촉함으로써 변기 보조 장치의 수평적 균형을 맞출 수도 있다.The
수직 프레임(112)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11)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112)은 벽(wall)에 밀착될 수 있도록 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접착제나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The
또한, 프레임(110)은 제1 엑추에이터(121)와 제2 액추에이터(122)가 설치되고, 베이스 프레임(11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1)에 설치되는 가변 프레임(111_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은 변기 지지부(170)와 변기 몸체(미도시)를 결합하는 결합부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결합부재(113)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비치되는 변기 몸체에 변기 보조 장치(100)를 결합하는 부재로써, 결합부재(113)는 가변 프레임(111_P)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제1 힌지(H_1)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홀(113_H)을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변기 보조 장치(100)는 가변 프레임(111_P)이 베이스 프레임(111)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액추에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변 프레임(111_P)은 제3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11)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힌지(H_1)는 제2 가이드홀(113_H)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변기 보조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이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oilet
그리고, 변기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변 프레임(111_P)이 베이스 프레임(111)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3 액추에이터에 전방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전방 구동 버튼(F)과, 후방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후방 구동 버튼(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구동 버튼(F)과 후방 구동 버튼(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거치대(HD)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방 구동 버튼(F)과 후방 구동 버튼(B)은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형성된 전방 구동 버튼(B)과 후방 구동 버튼(B)을 조작하여 가변 프레임(111_P)을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방 구동 버튼(F)과 후방 구동 버튼(B)을 조작하여 제3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가변 프레임(111_P)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변기 지지부(170) 상에 설치되는 변기 시트(도 4의 T 참조)에 앉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둔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구동부(120)는 제1 액추에이터(121)와 제2 액추에이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user operates the front drive button F and the rear drive button B to drive the third actuator to move the variable frame 111_P forward or backward, (See T in Fig. 4) installed on the
제1 액추에이터(121)와 제2 액추에이터(122)는 베이스 프레임(11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121)는 제6 힌지(H_6)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11)과 결합될 수 있고, 제2 액추에이터(122)는 제7 힌지(H_7)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11)과 결합될 수 있다.The
또한, 제1 액추에이터(121)는 제2 힌지(H_2)를 통해 높이조절링크(130)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액추에이터(122)는 삼각캠(140), 가이드 부재(150), 제3 힌지(H_3), 제1 조인트(J_1) 및 제2 조인트(J_2)를 통해 각도조절링크(1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링크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즉, 제1 액추에이터(121)와 제2 액추에이터(122)는 궁극적으로 변기 지지부(17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들로써, 상술한 링크 구조들에 의해 제1 액추에이터(121)와 제2 액추에이터(122)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변기 지지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추에이터(121)와 제2 액추에이터(122)는 전기식, 유압식 및 공기압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That is, the
높이조절링크(130)는 수직 프레임(112)과 제1 힌지(H_1)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제1 액추에이터(121)의 구동에 따라 일단부가 제1 힌지(H_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121)와는 제2 힌지(H_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제1 액추에이터(121)의 구동에 따라 제2 힌지(H_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The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링크(130)는 제1 힌지(H_1)와 제2 힌지(H_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상세히, 제1 힌지(H_1)는 수직 프레임(112)의 특징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체로써, 제1 힌지(H_1)에 연결되는 높이조절링크(130)의 일단부는 제1 힌지(H_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2 힌지(H_2)는 높이조절링크(13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동시에 제1 액추에이터(121)의 일단부에 연결되므로, 제2 힌지(H_2)는 제1 액추에이터(121)의 구동에 따라 승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힌지(H_2)에 연결된 높이조절링크(130)는 제2 힌지(H_2)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2 and 3, the
또한, 높이조절링크(130)의 타단부는 제4 힌지(H_4)를 통해 변기 지지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삼각캠(140)은 수직 프레임(112)과 제3 힌지(H_3)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2 액추에이터(122)와 제1 조인트(J_1)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제3 힌지(H_3) 및 제1 조인트(J_1)와 구별되는 제2 조인트(J_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세히, 삼각캠(140)은 제2 액추에이터(122)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으로 제2 조인트(J_2)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후술하겠으나, 궁극적으로 제2 조인트(J_2)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각도조절링크(160)가 제2 조인트(J_2)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가이드 부재(150)는 수직 프레임(112)에 설치되어 제2 액추에이터(122)의 구동에 따른 제2 조인트(J_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홀(GH)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액추에이터(122)와 삼각캠(140) 및 가이드 부재(150)의 결합 구조에 따라 제2 조인트(J_2)와 제2 조인트(J_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각도조절링크(160)의 일단부는 제1 가이드홀(GH)이 마련하는 공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각도조절링크(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조인트(J_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제2 조인트(J_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도조절링크(160)의 타단부는 제5 힌지(J_5)를 통해 변기 지지부(170)에 연결될 수 있다.The
변기 지지부(170)는 제4 힌지(H_4)를 통해 높이조절링크(130)의 타단부와 서로 연결되고, 제5 힌지(H_5)를 통해 각도조절링크(160)의 타단부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변기 지지부(170)는 제1 액추에이터(121)와 제2 액추에이터(122)의 구동에 의해 승강할 수 있으며, 또한 제4 힌지(H_4)와 제5 힌지(H_5)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변기 지지부(170)는 제1 액추에이터(121)와 제2 액추에이터(122)의 구동에 의해 승강 가능한 동시에, 제4 힌지(H_4)와 제5 힌지(H_5)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변기 지지부(170) 상에는 사용자의 둔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변기 시트(T)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시트(T)는 변기 지지부(170)의 수평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변기 지지부(170)와 변기 시트(T)는 예컨대 레일(rail)과 같은 구조로 서로 결합되어 변기 시트(T)가 변기 지지부(17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변기 보조 장치(100)는 변기 시트(T)를 변기 지지부(17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4 액추에이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4, the toilet seat T may be provided 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보조 장치(100)는 수직 프레임(11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팔거치대(H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팔거치대(HD)는 수직 프레임(112)에 형성된 복수개의 높이조절공(HAH) 중 하나의 높이조절공(HAH)에 설치되어 높이조절부재(HA)에 의해 특정한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상세히, 도 2와 도 3에는 모두 네개의 높이조절공(HAH)이 수직 프레임(112)에 형성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높이조절공(HAH)의 개수는 두 개 이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공(HAH)이 두 개가 형성될 경우에는 팔거치대(HD)는 수직 프레임(112)에 대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는 없으며, 다만 팔거치대(HD)가 수직 프레임(112)에 대해 회동하지 않고 일정한 높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detail, in FIGS. 2 and 3, four height control holes (HAH) are depicted as being formed in the
한편, 높이조절공(HAH)이 세개 이상 수직 프레임(112)에 형성될 경우에는 팔거치대(HD)는 두개의 높이조절공(HAH)에 모두 높이조절부재(HA)의 설치에 의해 수직 프레임(1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위치를 변경하여 팔거치대(HD)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네개의 높이조절공(HAH)이 형성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When three or more height adjusting holes HAH are formed in the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팔거치대(HD)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기 지지부(170)가 상승하도록 구동부(120)에 상승 신호를 인가하는 상승 버튼(U)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기 지지부(170)가 하강하도록 구동부(120)에 하강 신호를 인가하는 하강 버튼(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변기 시트(T)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승 버튼(U)과 하강 버튼(D)을 조작하여 변기 지지부(17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1, the arm rest HD includes a lift button U for applying a lift signal to the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보조 장치(100)의 작동예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operation examples of the toilet
먼저, 도 2는 제2 액추에이터(122)가 최대로 수축한 경우를 도시한다. 즉, 제2 액추에이터(122)가 최대로 수축한 경우, 제1 조인트(J_1)는 이동 가능한 위치에서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조인트(J_2)는 가이드 부재(150)의 제1 가이드홀(GH) 내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조인트(J_2)에 연결된 각도조절링크(160)의 일단부는 이동 가능한 위치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링크(160)의 타단부는 제5 힌지(H_5)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irst, FIG. 2 shows a case where the
바로 이러한 상태에서, 도 2는 제1 액추에이터(121)가 승강하는 경우 높이조절링크(130)와 각도조절링크(160)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먼저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제1 액추에이터(121)가 최대로 수축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제2 힌지(H_2)는 이동 가능한 위치 중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높이조절링크(130)는 일단부가 제1 힌지(H_1)에, 타단부는 제4 힌지(H_4)에, 그리고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는 제2 힌지(H_2)에 의해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state, FIG. 2 shows the movement of the
다음으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제1 액추에이터(121)가 소정 정도 팽창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제2 힌지(H_2)는 기존의 위치(H_2)에서 상측으로 상승된 위치(H_2')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높이조절링크(130)는 제1 힌지(H_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 액추에이터(121)의 팽창 구동에 따라 높이조절링크(130)의 타단부는 제4 힌지의 위치(H_4')까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변기 지지부의 위치도 상승(170')하게 된다.Next,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shows a state in which the
한편, 변기 지지부(170')의 상승에 따라 제5 힌지 또한 상승(H_5')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각도조절링크(160) 또한 제2 조인트(J_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제2 액추에이터(122)를 최대로 수축시킨 상태에서 제1 액추에이터(121)를 팽창시킬 경우, 변기 지지부(170)는 A 위치(170)에서 B 위치(170')로 상승하게 된다.The fifth hinge is also raised (H_5 ')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movement of the toilet seat support 170', so that the
다음으로, 도 3은 제2 액추에이터(122)를 최대로 팽창시킨 상태에서 제1 액추에이터(121)를 구동하는 모습을 도시한다.Next,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상세히, 제2 액추에이터(122)가 최대로 팽창된 경우 제1 조인트(J_2)는 이동 가능한 위치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조인트(J_2)는 가이드 부재(150)의 제1 가이드홀(GH) 내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조인트(J_2)에 연결된 각도조절링크(160)의 일단부는 이동 가능한 위치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링크(160)의 타단부는 제5 힌지(H_5)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도 2와 비교하면, 각도조절링크(160)는 제2 액추에이터(122)의 구동에 따라 소정 각도 기울어지거나 수평 상태에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다음으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제1 액추에이터(121)가 소정 정도 팽창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제2 힌지(H_2)는 기존의 위치(H_2)에서 상측으로 상승된 위치(H_2'')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높이조절링크(130)는 제1 힌지(H_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 액추에이터(12)의 팽창 구동에 따라 높이조절링크(130)의 타단부는 제4 힌지의 위치(H_4'')까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변기 지지부의 위치도 상승(170'')하게 된다.Next,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shows a state in which the
한편, 변기 지지부(170'')의 상승에 따라 제5 힌지 또한 상승(H_5'')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각도조절링크(160) 또한 제2 조인트(J_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제2 액추에이터(122)를 최대로 팽창시킨 상태에서 제1 액추에이터(121)를 팽창시킬 경우, 변기 지지부(170)는 A 위치(170)에서 C위치(170'')로 상승하게 된다.As the toilet support 170 '' rises, the fifth hinge 5 '' is also raised (H_5 '') so that the
여기서,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2 액추에이터(122)의 구동 여부, 즉 제2 조인트(J_2)의 위치에 따라 변기 지지부(170)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2 액추에이터(122)가 최대로 팽창한 경우(도 3 참조), 제1 액추에이터(121)의 구동을 통해 변기 지지부(170)를 더 높은 위치(170'')에 위치시킬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S. 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of the
또한, 도 2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121)와 제2 액추에이터(122)의 구동으로 인해 변기 지지부(170)가 수평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음 또한 확인할 수 있다.2 and 3,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한편, 이상에서 높이조절링크(130)와 각도조절링크(160) 각각에 "높이"와 "각도"를 포함시킨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 높이조절링크(130)는 변기 지지부(170)의 높이를 바꾸는 데 더 기여도가 높으며, 각도조절링크(160)는 변기 지지부(170)가 수평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키는 데 더 기여도가 높은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기능이 상호배타적인 것은 아님은 밝혀둔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즉, 높이조절링크(130)는 제1 힌지(H_1)와 제2 힌지(H_2) 및 제4 힌지(H_4)에 결합되어 각각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므로, 제1 액추에이터(121)와 제2 액추에이터(122)의 구동에 따라 변기 지지부(170)의 높이 뿐만 아니라 변기 지지부(170)가 수평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 또한 변경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이와 마찬가지로, 각도조절링크(160) 또한 제2 조인트(J_2)와 제5 힌지(H_5) 각각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므로, 제1 액추에이터(121)와 제2 액추에이터(122)의 구동에 따라 변기 지지부(170)의 각도 뿐만 아니라 높이 또한 변경시킬 수 있다.Similarly, sinc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변기 보조 장치(100)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장이나 다리 길이에 알맞도록 변기 지지부(170)의 위치, 즉 변기 지지부(170) 상에 설치되는 변기 시트(T)의 위치를 별다른 힘을 들일 필요없이 간단한 조작으로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 노약자나 다리가 불편한 장애인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ilet
또한, 구동부(120)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변기 지지부(170)의 승강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변기 시트(T)에 앉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자세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적은 근력으로도 편리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fting speed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변기 보조 장치 H_2: 제2 힌지
110: 프레임 H_3: 제3 힌지
111: 베이스 프레임 H_4: 제4 힌지
112: 수직 프레임 H_5: 제5 힌지
120: 구동부 H_6: 제6 힌지
121: 제1 액추에이터 H_7: 제7 힌지
122: 제2 액추에이터 J_1: 제1 조인트
130: 높이조절링크 J_2: 제2 조인트
140: 삼각캠 HAH: 높이조절공
150: 가이드 부재 HD: 팔거치대
160: 각도조절링크 T: 변기 시트
170: 변기 지지부 U: 상승 버튼
H_1: 제1 힌지 D: 하강 버튼100: toilet seat auxiliary device H_2: second hinge
110: frame H_3: third hinge
111: base frame H_4: fourth hinge
112: vertical frame H_5: fifth hinge
120: driving part H_6: sixth hinge
121: first actuator H_7: seventh hinge
122: second actuator J_1: first joint
130: height adjustment link J_2: second joint
140: triangular cam HAH: height adjustment ball
150: guide member HD: arm rest
160: Angle adjustment link T: Toilet seat
170: toilet seat support U: lift button
H_1: First hinge D: Down button
Claims (8)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액추에이터와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수직 프레임과 제1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제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와 제2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높이조절링크;
상기 수직 프레임과 제3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와 제1 조인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3 힌지 및 상기 제1 조인트와 구별되는 제2 조인트를 포함하는 삼각캠;
상기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2 조인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제2 조인트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제2 조인트에 연결되는 각도조절링크; 및
상기 높이조절링크의 타단부와 제4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각도조절링크의 타단부와 제5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변기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 액추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변 프레임; 및 상기 변기지지부와 변기 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4 힌지와 상기 제5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가변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상기 제1 힌지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변기 보조 장치.A frame including a base frame and a vertical fram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frame and coupled with the base frame;
A driving unit including a first actuator and a second actuator installed in the base frame;
Wherein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hinge, one end of the first actuator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hinge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first actuator, A height adjustment link rotatable about the second hing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hinge;
A triangular cam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vertical frame and the third hing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econd actuator and the first joint and including a second joint different from the third hinge and the first joint;
A guide member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and including a first guide hol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econd joint according to driving of the second actuator;
An angle adjusting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second joint; And
And a toilet suppor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link through a fourth hing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link and the fifth hinge,
The frame includes a variable fram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so that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are installed and movable along the base frame; And a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toilet seat support and the toilet bowl body,
Wherein the toilet seat support portion is movable by being driven by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and is rotatable about the fourth hinge and the fifth hinge,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ncludes a second guide hole for guiding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hinge moving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variable frame.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제6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6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제7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7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변기 보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frame and the first actua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ixth hinge, the first actuator is rotatable about the sixth hinge,
Wherein the base frame and the second actua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eventh hinge, and the second actuator is rotatable about the seventh hinge.
상기 가변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변기 보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actua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variable frame along the base frame.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변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3 액추에이터에 전방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전방 구동 버튼과, 후방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후방 구동 버튼을 더 포함하는, 변기 보조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 front drive button for applying a front drive signal to the third actuator such that the variable frame moves along the base frame by a user's operation, and a rear drive button for applying a rear drive signal.
상기 변기 지지부 상에 설치되되 상기 변기 지지부의 수평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한 변기 시트를 더 포함하는, 변기 보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oilet seat mounted on said toilet seat support and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of said toilet seat support.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변기 지지부가 상승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상승 신호를 인가하는 상승 버튼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변기 지지부가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하강 신호를 인가하는 하강 버튼을 더 포함하는, 변기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ifting button for applying a lift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such that the urinal support is lifted by a user's operation;
Further comprising a lowering button for applying a lowering signal to the driving portion such that the toilet seat support portion is lowered by a user's oper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92766A KR101931327B1 (en) | 2017-07-21 | 2017-07-21 | auxiliary apparatus for toi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92766A KR101931327B1 (en) | 2017-07-21 | 2017-07-21 | auxiliary apparatus for toile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31327B1 true KR101931327B1 (en) | 2018-12-20 |
Family
ID=6495283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927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1327B1 (en) | 2017-07-21 | 2017-07-21 | auxiliary apparatus for toile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31327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23474A (en) * | 2020-04-03 | 2021-10-14 | 송순영 | Movable user standing assist device |
| KR20210123600A (en) * | 2020-04-03 | 2021-10-14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Restroom posture assistance and emergency alarm system to prevent the elderly from falling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235902A (en) * | 2002-02-18 | 2003-08-26 | Time:Kk | Standing assistance chair |
| KR101038579B1 (en) * | 2010-05-31 | 2011-06-03 | 박원석 | A chair that is easy to sit and stand up |
| US20120054957A1 (en) * | 2006-05-12 | 2012-03-08 | Graham Robert Byrne Henshaw | Devices and Methods for Body Elevation |
-
2017
- 2017-07-21 KR KR1020170092766A patent/KR1019313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235902A (en) * | 2002-02-18 | 2003-08-26 | Time:Kk | Standing assistance chair |
| US20120054957A1 (en) * | 2006-05-12 | 2012-03-08 | Graham Robert Byrne Henshaw | Devices and Methods for Body Elevation |
| KR101038579B1 (en) * | 2010-05-31 | 2011-06-03 | 박원석 | A chair that is easy to sit and stand up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23474A (en) * | 2020-04-03 | 2021-10-14 | 송순영 | Movable user standing assist device |
| KR20210123600A (en) * | 2020-04-03 | 2021-10-14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Restroom posture assistance and emergency alarm system to prevent the elderly from falling |
| KR102331569B1 (en) * | 2020-04-03 | 2021-11-25 | 송순영 | Movable user standing assist device |
| KR102337775B1 (en) * | 2020-04-03 | 2021-12-09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Restroom posture assistance and emergency alarm system to prevent the elderly from falling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00095757A1 (en) | Assistive apparatus with adjustable seat height | |
| JP2005517614A (en) | Lifting mechanism and medical equipment incorporating the lifting mechanism | |
| TWI722171B (en) | Reclining bed | |
| US20140237723A1 (en) | Adjustable bed | |
| CN105520812B (en) | A kind of bed accessory | |
| US20150028643A1 (en) | Universal Chair Lift Apparatus | |
| JP6691235B2 (en) | Assistance device | |
| KR101931327B1 (en) | auxiliary apparatus for toilet | |
| KR102401755B1 (en) | A wheelchair for the physically weak | |
| US20200093665A1 (en) | Assistive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Backrest Assembly | |
| KR101624163B1 (en) | Seat Supporting Apparatus for Toilet Bowl | |
| KR20160142766A (en) | Seat Supporting Apparatus for Toilet Bowl | |
| JP2018153371A (en) | Toilet seat device | |
| FI127759B (en) | Person hois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ower of a person hoisting device | |
| US20200093337A1 (en) | Assistive Apparatus With Buttocks Spreading Mechanism | |
| JP2020039773A (en) | Interlocking mechanism between seat and back, and stretcher | |
| KR20140040891A (en) | Wheelchair portable plating | |
| KR102445549B1 (en) | Sit-to-stand apparatus and wheel chair comprising the same | |
| JP2017217188A (en) | Mobile carriage for nursing care | |
| JP2016036366A (en) | Standing and sitting support device | |
| JP3088406B2 (en) | Starting device for seats such as chairs | |
| KR20100126622A (en) | Walking exercise equipment | |
| JP5671667B2 (en) | Wheelchair entry / exit assistance device | |
| JP6002395B2 (en) | Stand-up support device | |
| KR20100108664A (en) | A apparatus for assistance of standing up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12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