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535B1 -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및 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및 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8535B1 KR101948535B1 KR1020170179056A KR20170179056A KR101948535B1 KR 101948535 B1 KR101948535 B1 KR 101948535B1 KR 1020170179056 A KR1020170179056 A KR 1020170179056A KR 20170179056 A KR20170179056 A KR 20170179056A KR 101948535 B1 KR101948535 B1 KR 1019485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line
- gas circulation
- circulation line
- canis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915 spent fuel radioactive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9530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7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27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291 vacuum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70 Ur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93 Zr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61 standard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FALSRSLKYAFGM-UHFFFAOYSA-N uranium(0) Chemical compound [U] JFALSRSLKYAF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2—Closures for containers; Seal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2—Closures for containers; Sealing arrangements
- G21F5/125—Means to monitor or detect the leak-tightness of th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중 긴급냉각라인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중 가스회수라인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중 캐니스터 건조단계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중 가스누출라인검출단계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중 비반응성가스회수단계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20: 캐니스터 30: 가스냉각장치
40: 비반응성가스원 50: 제1 가스순환펌프
50a: 제 2 가스순환펌프 60: 제1 히터
60a: 제2 히터 70: 제어기
80: 디스플레이 90: 보조가스냉각장치
100: 저압력탱크 110: 고압력탱크
120: 가스회수펌프 GSP: 가스공급라인
P1: 제1 가스순환라인 P2: 제2 가스순환라인
P3: 제1 우회라인 P4: 제2 우회라인
P5: 긴급냉각라인 P6: 가스회수라인
P7: 제1 바이패스라인 P8: 제2 바이패스라인
QC1: 제1 퀵커넥터 QC2: 제2 퀵커넥터
QC3: 제3 퀵커넥터 QC4: 제4 퀵커넥터
QC5: 제5 퀵커넥터 QC6: 제6 퀵커넥터
QC7: 제7 퀵커넥터 QC8: 제8 퀵커넥터
TS1 ~ TS3: 온도측정수단 V1 ~ V21: 밸브수단
CP: 압축기 RT: 레귤레이터
PS1 ~ PS3 : 압력측정수단
S100: 캐니스터 건조단계 S200: 측정신호수신확인단계
S300: 신호종류확인단계 S400-1: 1차 측정온도값확인단계
S400-2: 유지시간카운팅단계 S400-3: 측정온도신호수신단계
S400-4: 2차 측정온도값확인단계 S500: 캐니스터 건조 중지단계
S600: 건조공정완료알림단계 S700: 측정압력값확인단계
S800: 가스누출라인검출단계 S900: 비반응성가스회수단계
Claims (10)
- 사용후핵연료가 장전된 캐니스터의 내부공간을 건조시키는 장치로서, 가스주입구와 가스배출구를 구비한 내부공간을 갖는 캐니스터와, 제1 가스순환라인에 의해 상기 캐니스터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공간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를 냉각시키는 가스냉각장치와, 제2 가스순환라인에 의해 상기 캐니스터와 가스냉각장치 사이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캐니스터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는 비반응성가스를 저장하는 비반응성 가스원과, 상기 가스냉각장치와 비반응성 가스원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제1 및 제2 가스순환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비반응성 가스를 펌핑하는 제1 가스순환펌프와, 상기 비반응성 가스원과 캐니스터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캐니스터로 공급되는 비반응성 가스를 가열하는 제1 히터와, 상기 제1 히터와 비반응성 가스원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을 개폐하는 제1 밸브수단과, 상기 캐니스터와 가스냉각장치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캐니스터를 통과하는 비반응성가스의 이슬점온도를 반복적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2 이슬점 온도 측정수단과, 상기 가스순환펌프, 제1 히터 및 제2 이슬점 온도 측정수단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이슬점 온도 측정수단로 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1 가스순환펌프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캐니스터, 가스냉각장치 및 비반응성 가스원을 거쳐 캐니스터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스순환라인을 따라 비반응성가스를 순환시켜 캐니스터의 내부공간을 건조시키는 캐니스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캐니스터(20)와 가스냉각장치(30)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위치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P1)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1 퀵커넥터(QC1)와;
상기 제1 퀵커넥터(QC1)와 캐니스터(20)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위치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P1)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2 퀵커넥터(QC2)와;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가스순환펌프(50)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 위치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3 퀵커넥터(QC3)와;
상기 가스순환펌프(50)와 히터(60)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 위치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4 퀵커넥터(QC4)와;
상기 제1과 제2 퀵커넥터(QC1)(QC2)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위치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P1)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5 퀵커넥터(QC5)와;
하기 제7 밸브수단(V7)과 제1 가스순환펌프(50)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 위치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6 퀵커넥터(QC6)와;
상기 제1 및 제5 퀵커넥터(QC1)(QC5)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위치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P1)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7 퀵커넥터(QC7)와;
상기 제3 퀵커넥터(QC3)와 제2 압력측정수단(PS2)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 위치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8 퀵커넥터(QC8)와;
상기 제5 및 제6 퀵커넥터(QC5)(QC6)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1 바이패스라인(P7)과;
상기 제7 및 제8퀵커넥터(QC7)(QC8)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2 바이패스라인(P8)과;
전자변으로써, 상기 제1 바이패스라인(P7)의 양 단부 상에 각각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제1 바이패스라인(P7)을 단속하는 제17 및 제18 밸브수단(V17)(V18)과;
전자변으로써, 상기 제2 바이패스라인(P8)의 양단부 상에 각각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제2 바이패스라인(P8)을 단속하는 제20 및 제21 밸브수단(V20)(V21)과;
전자변으로써, 상기 제2 퀵커넥터(QC2) 및 제5 퀵커넥터(QC5)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퀵커넥터(QC2) 및 제5 퀵커넥터(QC5) 사이의 가스유로를 단속하는 제19 밸브수단(V19)과;
전자변으로서, 상기 캐니스터(20)와 히터(60)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캐니스터(20)와 히터(60) 사이의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수단(V2)과;
전자변으로써, 상기 캐니스터(20)와 제2 온도측정수단(TS2)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캐니스터(20)와 제2 온도측정수단(TS2) 사이의 비반응성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3 밸브수단(V3)과;
상기 제2 퀵커넥터(QC2)와 제2 온도측정수단(TS2)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P1)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상기 제어기(70)로 송신하는 제1 압력측정수단(PS1)과;
전자변으로써, 상기 제2 퀵커넥터(QC2)와 제1 압력측정수단(PS1)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제2 퀵커넥터(QC2)와 제1 압력측정수단(PS1) 사이의 비반응성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4 밸브수단(V4)과;
전자변으로써, 제1 퀵커넥터(QC1)와 가스냉각장치(30)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제1 퀵커넥터(QC1)와 가스냉각장치(30) 사이의 비반응성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5 밸브수단(V5)과;
전자변으로써, 상기 가스냉각장치와 제3 퀵커넥터(QC3)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제3 퀵커넥터(QC3) 사이의 비반응성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6 밸브수단(V6)과;
상기 가스냉각장치(30)와 제6 밸브수단(V6)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스냉각장치(30)를 통과하여 제2 가스순환라인(P2)을 따라 순환되는 비반응성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상기 제어기(70)로 송신하는 제1 온도측정수단(TS1)와;
상기 제3 퀵커넥터(QC3)와 제1 가스순환펌프(50)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P2)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상기 제어기(70)로 송신하는 제2 압력측정수단(PS2)과;
전자변으로써, 상기 제4 퀵커넥터(QC4)와 제1 가스순환펌프(50)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제4 퀵커넥터(QC4)와 제1 가스순환펌프(50) 사이의 비반응성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7 밸브수단(V7)과;
상기 제4 퀵커넥터(QC4)을 통해 제2 가스순환라인(P2)과 분기되어 상기 캐니스터(20)와 제4 퀵커넥터(QC4)를 제2 가스순환라인(P2)과 별개로 연결하고, 필요시에 제4 퀵커넥터(QC4)와 캐니스터(20)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P2) 구간을 폐쇄시키고,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 비반응성 가스를 우회 이송하는 제1 우회라인(P3)과;
상기 제2 퀵커넥터(QC2)를 통해 제1 가스순환라인(P1)과 분기되어 상기 캐니스터(20)와 제2 퀵커넥터(QC2)를 제1 가스순환라인(P1)과 별개로 연결하고, 필요시에 제2 퀵커넥터(QC2)와 캐니스터(20)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 구간을 폐쇄시키고, 해당 구간을 통과할 비반응성 가스를 우회 이송하는 제2 우회라인(P4)과;
상기 제2 및 제4 퀵커넥터(QC2)(QC4)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하고, 필요 시에 제1 퀵커넥터(QC1), 가스냉각장치(30), 제3 퀵커넥터(QC3), 제1 가스순환펌프(50) 및 제4 퀵커넥터(QC4) 사이에 해당되는 가스이송구간을 폐쇄시키고, 해당 구간을 통과할 비반응성 가스를 우회이송하는 긴급냉각라인(P5)과;
제1 및 제3 퀵커넥터(QC1)(QC3)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하고, 필요 시에 가스냉각장치(30) 및 제3 퀵커넥터(QC3) 사이에 해당되는 가스이송구간을 폐쇄시키고, 해당 구간을 통과할 비반응성 가스를 회수하는 가스회수라인(P6)과;
상기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건조완료, 가스누출, 부품고장 시, 상기 제어기(7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80)를 포함하며;
상기 비반응성 가스원(40)은,
가스공급라인(GSP)에 의해 제2 퀵커넥터(QC2)와 제4 밸브수단(V4)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P1)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전자변으로써, 상기 비반응성 가스원(40)과 제1 가스순환라인(P1) 사이의 상기 가스공급라인(GSP)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스공급라인(GSP)을 개폐하는 제12 밸브수단(V12)과,
상기 비반응성 가스원(40)과 제12 밸브수단(V12) 사이의 가스공급라인(GSP) 상에 장착되어 비반응성 가스원(40)으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 가스의 배출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유지시키는 레귤레이터(Regulator)(R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우회라인(P3)은,
전자변으로서, 양단부 측에 각각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제1 우회라인(P3)을 개폐하는 제8 및 제9 밸브수단(V8)(V9)과;
상기 제8 및 제9 밸브수단(V8)(V9) 사이의 제1 우회라인(P3)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제1 우회라인(P3)을 따라 이송되는 비반응성 가스를 가열하는 제2 히터(60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우회라인(P4)은,
양단부 측 상에 각각 장착되어 제2 우회라인(P4)을 개폐하는 제10 및 제11 밸브수단(V10)(V11)과;
상기 제10 및 제11 밸브수단(V10)(V11) 사이의 제2 우회라인(P4) 상에 장착되어 제2 우회라인(P4)을 통해 캐니스터(20)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제어기(70)로 송신하는 제3 온도측정수단(TS3)과;
상기 제10 및 제11 밸브수단(V10)(V11) 사이의 제2 우회라인(P4) 상에 장착되어 제2 우회라인(P4)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상기 제어기(70)로 송신하는 제3 압력측정수단(PS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냉각라인(P5)은,
전자변으로써, 양단부 측 상에 각각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긴급냉각라인(P5)을 개폐하는 제13 및 제14 밸브수단(V13)(V14)과;
상기 제13 및 제14 밸브수단(V113)(V14) 사이의 긴급냉각라인(P5) 상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캐니스터(20)로부터 배출되어 긴급냉각라인(P5)을 따라 이송되는 비반응성 가스를 냉각시키는 보조가스냉각장치(90)와;
상기 보조가스냉각장치(90)와 제14 밸브수단(V14) 사이의 긴급냉각라인(P5)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가스냉각장치(90)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 가스를 펌핑하는 제2 가스순환펌프(50a)와;
상기 보조가스냉각장치(90)와 제2 가스순환펌프(P2) 사이의 긴급냉각라인(P5)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조가스냉각장치(90)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제어기(70)로 송신하는 제4 온도측정수단(TS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회수라인(P6)은,
전자변으로써, 양단부 측 상에 각각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가스회수라인(P6)을 개폐하는 제15 및 제16 밸브수단(V15)(V16)과;
가스회수라인(P6) 상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캐니스터(20)로 부터 배출되어 이송되는 비반응성 가스를 1차로 저장하는 저압력탱크(100)와;
상기 저압력탱크(100)와 제16 밸브수단(V16) 사이의 가스회수라인(P6) 상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저압력탱크(100)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 가스를 고압력으로 저장하는 고압력탱크(110)와;
상기 저압력탱크(100)와 고압력탱크(110) 사이의 가스회수라인(P6)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저압력탱크(100)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 가스를 고압으로 압출하여 상기 고압력탱크(110) 내로 유입하는 압축기(CP)와;
상기 제15 밸브수단(V15)과 저압력탱크(100) 사이의 가스회수라인(P6) 상에 장착되고,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70)의 제어에 따라 캐니스터(20)로 부터 배출되어 이송되는 비반응성 가스를 펌핑하여 상기 저압력탱크(100)로 유입하는 가스회수펌프(120)와;
상기 고압력탱크(110)와 제16 밸브수단(V16) 사이의 가스회수라인(P6) 상에 장착되어 상기 고압력탱크(110)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 가스의 배출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유지시키는 레귤레이터(Regulator)(RT)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4 온도측정수단(TS1)(TS4)는 가스냉각장치(30) 및 보조가스냉각장치(90)을 통과한 비반응성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이며;
상기 제2 및 제3 온도측정수단(TS2)(TS3)는 캐니스터(20)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 중에 함유된 증기의 이슬점 온도를 특정하는 이슬점 온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 사용후핵연료가 장전된 캐니스터의 내부공간을 건조시키는 장치로서, 가스주입구와 가스배출구를 구비한 내부공간을 갖는 캐니스터와, 제1 가스순환라인에 의해 상기 캐니스터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캐니스터의 내부공간으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가스를 냉각시키는 가스냉각장치와, 제3 가스공급라인에 의해 제2 퀵커넥터와 제4 밸브수단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비반응성 가스원과 제1 가스순환라인 사이의 제3 가스공급라인 상에 장착되어 제3 가스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12 밸브수단, 비반응성 가스원과 제12 밸브수단 사이의 제3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비반응성 가스원으로 부터 배출되는 비반응성 가스의 배출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유지시키는 레귤레이터(regulator)를 구비하고, 캐니스터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는 비반응성가스를 저장하는 비반응성 가스원과, 상기 가스냉각장치와 비반응성 가스원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제1 및 제2 가스순환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비반응성 가스를 펌핑하는 제1 가스순환펌프와, 상기 비반응성 가스원과 캐니스터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캐니스터로 공급되는 비반응성 가스를 가열하는 제1 히터와, 상기 제1 히터와 비반응성 가스원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을 개폐하는 제1 밸브수단과, 상기 가스냉각장치와 비반응성 가스원 사이의 제2 가스순환 라인 상에 장착되어 비반응성가스의 이슬점온도를 반복적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송신하는 제1 이슬점 온도 측정수단과, 상기 가스순환펌프, 히터 및 이슬점 온도 측정수단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슬점 온도 측정수단로 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가스순환펌프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캐니스터와 가스냉각장치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1 가스순환라인 상에 위치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1 퀵커넥터와, 상기 제1 퀵커넥터와 캐니스터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 상에 위치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2 퀵커넥터와, 상기 가스냉각장치와 가스순환펌프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위치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3 퀵커넥터와, 상기 가스순환펌프와 히터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위치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4 퀵커넥터와, 상기 제1과 제2 퀵커넥터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 상에 위치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5 퀵커넥터와, 하기 제7 밸브수단과 제1 가스순환펌프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위치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6 퀵커넥터과, 상기 제1 및 제5 퀵커넥터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 상에 위치되어 제1 가스순환라인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7 퀵커넥터와, 상기 제3 퀵커넥터와 제2 압력측정수단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위치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을 분기하고, 타 라인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제8 퀵커넥터와, 상기 제5 및 제6 퀵커넥터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1 바이패스라인과, 상기 제7 및 제8퀵커넥터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2 바이패스라인과, 상기 제1 바이패스라인의 양 단부 상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바이패스라인을 단속하는 제17 및 제18 밸브수단과, 상기 제2 바이패스라인의 양단부 상에 각각 장착되어 제2 바이패스라인을 단속하는 제20 및 제21 밸브수단과,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양 단부 상에 각각 장착되어 바이패스라인을 단속하는 제17 및 제18 밸브수단과, 상기 제2 퀵커넥터 및 제5 퀵커넥터 사이의 제1 가스라인 상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퀵커넥터 및 제5 퀵커넥터 사이의 가스유로를 단속하는 제19 밸브수단과, 상기 캐니스터와 히터 사이의 제2 가스라인 상에 장착되어 상기 캐니스터와 히터 사이의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수단과, 상기 캐니스터와 제2 퀵커넥터 사이의 제1 가스라인 상에 장착되어 캐니스터로 부터 제1 가스순환라인을 따라 배출되는 비반응성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송신하는 제1 이슬점 온도 측정수단와, 상기 캐니스터와 제1 이슬점 온도 측정수단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캐니스터와 제1 이슬점 온도 측정수단 사이의 비반응성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3 밸브수단과, 상기 제2 퀵커넥터와 제1 이슬점 온도 측정수단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제1 가스라인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송신하는 제1 압력측정수단과, 상기 제2 퀵커넥터와 제1 압력측정수단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제2 퀵커넥터와 제1 압력측정수단 사이의 비반응성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4 밸브수단과, 제1 퀵커넥터와 가스냉각장치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제1 퀵커넥터와 가스냉각장치 사이의 비반응성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5 밸브수단과, 상기 가스냉각장치와 제3 퀵커넥터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상기 가스냉각장치와 제3 퀵커넥터 사이의 비반응성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6 밸브수단과, 상기 제3 퀵커넥터와 제1 가스순환펌프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제2 가스순환라인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송신하는 제2 압력측정수단과, 상기 제4 퀵커넥터와 제1 가스순환펌프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상에 장착되어 제4 퀵커넥터와 제1 가스순환펌프 사이의 비반응성 가스유로를 개폐하는 제7 밸브수단과, 상기 제4 퀵커넥터를 통해 제2 가스순환라인과 분기되어 상기 캐니스터와 제4 퀵커넥터를 제2 가스순환라인과 별개로 연결하고, 필요시에 제4 퀵커넥터와 캐니스터 사이의 제2 가스순환라인 구간을 폐쇄시키고,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 비반응성 가스를 우회이송하는 제1 우회라인과, 상기 제2 퀵커넥터를 통해 제1 가스순환라인과 분기되어 상기 캐니스터와 제2 퀵커넥터를 제1 가스순환라인과 별개로 연결하고, 필요시에 제2 퀵커넥터와 캐니스터 사이의 제1 가스순환라인 구간을 폐쇄시키고, 해당 구간을 통과할 비반응성 가스를 우회이송하는 제2 우회라인과, 상기 제2 및 제4 퀵커넥터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하고, 필요 시에 제1 퀵커넥터, 가스냉각장치, 제3 퀵커넥터, 제1 가스순환펌프 및 제4 퀵커넥터 사이에 해당되는 가스이송구간을 폐쇄시키고, 해당 구간을 통과할 비반응성 가스를 우회이송하는 긴급냉각라인과, 제1 및 제3 퀵커넥터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하고, 필요 시에 가스냉각장치 및 제3 퀵커넥터 사이에 해당되는 가스이송구간을 폐쇄시키고, 해당 구간을 통과할 비반응성 가스를 회수하는 가스회수라인과,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건조완료, 가스누출, 부품고장 시,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캐니스터, 가스냉각장치 및 비반응성 가스원을 거쳐 캐니스터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스순환라인을 따라 비반응성가스를 순환시켜 캐니스터의 내부공간을 건조시키는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 캐니스터(20)에 대한 건조공정을 실시하는 캐니스터 건조단계(S100)와;
상기 캐니스터 건조단계(S100)가 실행되는 동안에 온도측정수단(TS1)(TS2) 또는 압력측정수단(PS1)(PS2)으로 부터 측정온도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측정신호수신확인단계(S200)와;
상기 측정신호수신확인단계(S200)에서, 만약 측정신호가 수신된 것이 확인되었다면, 수신된 측정신호가 온도신호인지를 확인하는 신호종류확인단계(S300)와;
상기 신호종류확인단계(S300)에서, 만약 수신된 측정신호가 온도신호이면, 측정온도값과 기설정된 기준온도값을 비교하고, 측정온도값이 기준온도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1차 측정온도값확인단계(S400-1)와;
상기 1차 측정온도값확인단계(S400-1)에서, 만약 측정온도값이 기준온도값 이하일 때, 30분을 카운팅하는 유지시간카운팅단계(S400-2)와;
상기 유지시간카운팅단계(S400-2)가 완료되었을 때, 온도측정수단로부터 측정온도신호를 수신하는 측정온도신호수신단계(S400-3)와;
상기 측정온도신호수신단계(S400-3)를 통해 수신된 측정온도값을 기준온도값과 비교하고, 측정온도값이 기준온도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2차 측정온도값확인단계(S400-4)와;
상기 2차 측정온도값확인단계(S400-4)에서, 만약 측정온도값이 기준온도값 이하라면, 밸브수단(V2)(V3)를 닫고, 캐니스터 건조단계(S100)를 중지하는 캐니스터 건조 중지단계(S500)와;
상기 캐니스터 건조 중지단계(S500)가 완료되면, 캐니스터에 대한 건조가 완료되었다는 건조완료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건조공정완료알림단계(S600)와;
상기 신호종류확인단계(S300)에서, 만약 수신된 측정신호가 압력신호이면, 측정압력값과 기설정된 기준압력값을 비교하고,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측정압력값확인단계(S700)와;
상기 측정압력값확인단계(S700)에서, 만약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이하라면,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위치를 검출하는 가스누출라인검출단계(S800)와;
상기 가스누출라인검출단계(S800)가 완료된 다음, 검출된 가스누출라인이 가스순환라인(P2)로 검출되었다면, 가스순환라인(P2) 내의 비반응성가스를 회수하는 비반응성가스회수단계(S9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건조단계(S100)는,
캐니스터가 가스순환라인 상에 연통되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밸브수단(V1 내지 V7)를 열림상태, 밸브수단(V8)(V9)(V10)(V11)을 닫힘상태 및 긴급냉각라인(P5), 가스회수라인(P6), 제1 및 제2 바이패스라인(P7)(P8)을 폐쇄상태로 셋팅하여 제1 및 제2 가스순환라인(P1)(P2)을 따라 비반응성 가스가 순환되도록 하는 가스순환라인 셋팅단계(S110)와;
상기 가스순환라인 셋팅단계(S110)가 완료된 다음, 제12 밸브수단(V12)를 열어 상기 캐니스터, 상기 제1 및 제2 가스순환라인(P1)(P2) 내에 비반응성 가스를 공급하여 캐니스터 및 제1 및 제2 가스순환라인 내의 압력을 기설정된 기준압력값으로 셋팅하고, 셋팅이 완료되면 상기 제12 밸브수단(V12)을 닫는 비반응성가스 충진단계(S120)와;
상기 비반응성가스충진단계(S120)가 완료된 다음, 가스냉각장치(30) 및 제1 가스순환펌프(50)을 가동하여 상기 캐니스터(20), 제1 및 제2 가스순환라인(P1)(P2) 내에 충진된 비반응성가스를 순환시켜 캐니스터(20)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130)와;
상기 건조단계(S130)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가스냉각장치(30)를 통과하여 캐니스터(20)로 유입될 비반응성가스를 기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가스가열단계(S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누출라인검출단계(S800)는,
제7 및 제19 밸브수단(V7)(V19)을 닫고, 제13 및 제14 밸브수단(V13)(V14)을 열고, 제17 및 제18 밸브수단(V17)(V18)을 열고, 보조가스순환펌프(50a)을 가동하여 가스순환계를 2개의 가스순환계로 분할하고, 가동하는 가스순환계 분할 및 가동단계(S810)와;
제1 압력측정수단(PS1)으로 부터 수신되는 측정압력값을 기설정된 기준압력값과 비교하여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제1 압력측정수단의 1차 측정압력값확인단계(S820)와;
상기 제1 압력측정수단의 1차 측정압력값확인단계(S820)에서, 만약 제1 압력측정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미만이라면, 제1 및 제2 밸브수단(V1)(V2)을 닫고, 제8 및 제9 밸브수단(V8)(V9)를 열어 가스순환유로의 일부를 변경하는 1-1차 가스순환유로변경단계(S830)와;
상기 1-1차 가스순환유로변경단계(S830)이 완료된 다음, 제1 압력측정수단(PS1)으로 부터 수신되는 측정압력값을 기설정된 기준압력값과 비교하여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제1 압력측정수단의 2차 측정압력값확인단계(S840)와;
상기 제1 압력측정수단의 2차 측정압력값확인단계(S840)에서, 만약 제1 압력측정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이상이라면, 제1 및 제2 밸브수단(V1)(V2) 사이의 구간을 가스누출구간으로 결정하는 제1 가스누출구간결정단계(S850-1)와;
상기 제1 압력측정수단의 2차 측정압력값확인단계(S840)에서, 만약 제1 압력측정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미만이라면, 제3 및 제4 밸브수단(V3)(V4) 사이의 구간을 가스누출구간으로 결정하고, 제3 및 제4 밸브수단(V3)(V4)을 닫고, 제10 및 제11 밸브수단(V10)(V11)을 열어 가스순환유로의 일부를 변경하는 제2 가스누출구간결정단계(S850-2)와;
상기 제1 압력측정수단의 1차 측정압력값확인단계(S820)에서, 만약 제1 압력측정수단(PS1)으로부터 수신된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이상이라면, 제2 압력측정수단(PS2)으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압력값을 기설정된 기준압력값과 비교하여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제2 압력측정수단의 1차 측정압력값확인단계(S860)와;
상기 제2 압력측정수단의 1차 측정압력값확인단계(S860)에서, 만약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미만이라면, 제5 및 제6 밸브수단(V5)(V6)을 닫고, 제20 및 제21 밸브수단(V20)(V21)을 열어 가스순환유로의 일부를 변경하는 2-1차 가스순환유로변경단계(S870)와;
제2 압력측정수단(PS2)으로 부터 수신되는 측정압력값을 기설정된 기준압력값과 비교하여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제2 압력측정수단(PS2)의 2차 측정압력값확인단계(S880)와;
상기 제2 압력측정수단의 2차 측정압력값확인단계(S880)에서, 만약 제2 압력측정수단(PS2)으로부터 수신된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미만이라면,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의 제6 및 제8 퀵커넥터(QC6)(QC8) 사이의 구간을 가스누출구간으로 결정하는 제3 가스누출구간결정단계(S850-3)와:
상기 제2 압력측정수단의 2차 측정압력값확인단계(S880)에서, 만약 제2 압력측정수단(PS2)으로부터 수신된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 이상이라면, 제2 가스순환라인(P2) 상의 제7 및 제8 퀵커넥터(QC7)(QC8) 사이의 구간을 가스누출구간으로 결정하는 제4 가스누출구간결정단계(S850-4)와;
상기 제1 가스누출구간결정단계(S850-1) 내지 제4 가스누출구간결정단계(S850-4)에서 결정된 해당 구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가스누출구간출력단계(S8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반응성가스회수단계(S900)는,
제7 및 제19 밸브수단(V7)(V19)을 닫힘상태, 제5, 제6, 제15 내지 제18, 제20 및 제21 밸브수단(V5)(V6)(V15~V18)(V20)(V21)을 열림상태로 셋팅하여, 제1 및 제2 바이패스라인(P7)(P8), 제5 퀵커넥트(QC5)에서 제3 퀵커넥트(QC3) 사이 및 제3 퀵커넥트(QC3)에서 제6 퀵커켁트(QC6) 사이의 가스순환라인 들이 모두 가스회수라인(P6)과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가스회수라인셋팅단계(S910)와;
가스회수펌프(120) 및 압축기(CP)를 가동하여 해당 가스순환라인 내의 비반응성가스를 회수하는 비반응성가스회수단계(S9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79056A KR101948535B1 (ko) | 2017-12-26 | 2017-12-26 |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및 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79056A KR101948535B1 (ko) | 2017-12-26 | 2017-12-26 |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및 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48535B1 true KR101948535B1 (ko) | 2019-03-05 |
Family
ID=6576021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79056A Active KR101948535B1 (ko) | 2017-12-26 | 2017-12-26 |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및 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48535B1 (ko)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48412B1 (ko) * | 2020-09-28 | 2021-05-06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 |
| KR102364089B1 (ko) * | 2021-05-27 | 2022-02-17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 KR102364092B1 (ko) * | 2021-05-27 | 2022-02-17 | 세안기술 주식회사 | 가스냉각장치의 가스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한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 GB2607630A (en) * | 2021-06-10 | 2022-12-14 | Mechatech Systems Ltd | A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drying of matter |
| CN115789506A (zh) * | 2022-09-30 | 2023-03-14 |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 一种变压器套管备件充氮储存装置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19689A (ko) * | 2005-06-06 | 2008-03-04 | 홀텍 인터내셔날, 인크. | 이슬점 온도 측정에 기초하여 하이레벨 폐기물을건조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US20160118152A1 (en) * | 2007-12-21 | 2016-04-28 | Holtec International,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container loaded with wet radioactive elements for dry storage |
| KR20160106727A (ko) * | 2014-01-16 | 2016-09-12 | 도미니온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 시핑 시스템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KR101749089B1 (ko) * | 2017-01-20 | 2017-07-03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을 위한 건조장치의 방사선량률 검출기용 방사선차폐 지오메트리 |
| KR101774801B1 (ko) * | 2017-01-20 | 2017-09-19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을 위한 건조장치의 건조방법 및 그 제어방법 |
-
2017
- 2017-12-26 KR KR1020170179056A patent/KR10194853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19689A (ko) * | 2005-06-06 | 2008-03-04 | 홀텍 인터내셔날, 인크. | 이슬점 온도 측정에 기초하여 하이레벨 폐기물을건조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KR101000883B1 (ko) | 2005-06-06 | 2010-12-13 | 홀텍 인터내셔날, 인크. | 이슬점 온도 측정에 기초하여 하이레벨 폐기물을건조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US20160118152A1 (en) * | 2007-12-21 | 2016-04-28 | Holtec International,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container loaded with wet radioactive elements for dry storage |
| KR20160106727A (ko) * | 2014-01-16 | 2016-09-12 | 도미니온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 시핑 시스템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KR101749089B1 (ko) * | 2017-01-20 | 2017-07-03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을 위한 건조장치의 방사선량률 검출기용 방사선차폐 지오메트리 |
| KR101774801B1 (ko) * | 2017-01-20 | 2017-09-19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을 위한 건조장치의 건조방법 및 그 제어방법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48412B1 (ko) * | 2020-09-28 | 2021-05-06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 |
| KR102364089B1 (ko) * | 2021-05-27 | 2022-02-17 | 세안기술 주식회사 |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 KR102364092B1 (ko) * | 2021-05-27 | 2022-02-17 | 세안기술 주식회사 | 가스냉각장치의 가스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한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 GB2607630A (en) * | 2021-06-10 | 2022-12-14 | Mechatech Systems Ltd | A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drying of matter |
| CN115789506A (zh) * | 2022-09-30 | 2023-03-14 |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 一种变压器套管备件充氮储存装置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48535B1 (ko) | 가스순환라인에 대한 가스누출 감지, 가스누출발생구간 검출 및 우회순환라인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캐니스터 건조장치 및 그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
| US11217353B2 (en) | Method of preparing spent nuclear fuel for dry storage | |
| US1174210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container loaded with wet radioactive elements for dry storage | |
| KR102248412B1 (ko) |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 | |
| KR102364089B1 (ko) |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
| CN105931691B (zh) | 核电站乏燃料放射性气体处理方法 | |
| KR101774801B1 (ko) | 사용후핵연료 운반 및 저장을 위한 건조장치의 건조방법 및 그 제어방법 | |
| US11443861B2 (en) | Analysis device for the detection of fission products by measurement of a radioactivity | |
| CN103021486B (zh) | 一种核电站乏燃料运输多功能台架及卸料冷却方法 | |
| CN106504804A (zh) | 一种用于卸料过程中乏燃料运输容器的冷却系统及方法 | |
| CN115083650A (zh) | 用于乏燃料运输容器内腔冷却的系统 | |
| KR101959790B1 (ko) |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을 위한 기체분광분석을 이용한 건조적합성 평가방법 및 그 건조장치 | |
| KR102364092B1 (ko) | 가스냉각장치의 가스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한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 |
| US20190353801A1 (en) | Drying apparatus for drying canister for spent nuclear fuel transportation and storag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adiation shielding geometry for radiation dose rate detector therefor | |
| RU171174U1 (ru) | Пенал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жидкого отработавшего ядерного топлива | |
| US11211179B2 (en) | Drying spent nuclear fuel based on evaluation of drying characteristics obtained using gas spectroscopy | |
| CN113023919A (zh) | 一种压水堆样水气液分离装置及裂变气体测量方法 | |
| Higby et al. | CONCEPTUAL SYSTEM DESIGN DESCRIPTION FOR THE SODIUM RECEIVING AND PROCESSING SYSTEM. VOLUME 81. | |
| KR102794832B1 (ko) | 방사성폐기물 운반 및 저장 용기의 건조방법 | |
| Thomas | Preliminary Evaluation of Loading DOE Standardized Canisters in the CPP-603 Irradiated Fuel Storage Facility | |
| CN113874956A (zh) | 用于压水反应堆的氢化系统和相应方法 | |
| KR102805960B1 (ko) | 방사성폐기물 운반 및 저장용기의 건조방법 | |
| RU2794150C1 (ru) | Система гидрирования для реактора с водой под давлением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 |
| CN117945496A (zh) | 一种重水堆处置坑内废过滤器滤芯残留氚去除方法及装置 | |
| CN117985805A (zh) | 一种重水堆处置坑内废过滤器滤芯热风除氚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