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339B1 -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9339B1 KR101949339B1 KR1020180159029A KR20180159029A KR101949339B1 KR 101949339 B1 KR101949339 B1 KR 101949339B1 KR 1020180159029 A KR1020180159029 A KR 1020180159029A KR 20180159029 A KR20180159029 A KR 20180159029A KR 101949339 B1 KR101949339 B1 KR 1019493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slab
- precast concrete
- groove portion
- slab panel
- hu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험프홈부가 탈부착이 가능하고, 험프홈부의 체감량 및 이적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철도 선로의 작업 환경에 대응하여 맞춤식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조하더라도 험프홈부만 탈거하여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slab panels,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hump groove portion and controlling a volume reduction amount and a transfer amount of the hump groove portion. Therefore, precast concrete slab panels can be manufactured in a customized manner in response to the work environment of the railway line. Even if a new typ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is manufactured, only the hump grooves can be removed and replaced,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험프홈부가 탈부착이 가능하고, 험프홈부의 체감량 및 이적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철도 선로의 작업 환경에 대응하여 맞춤식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조하더라도 험프홈부만 탈거하여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slab panels,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hump groove portion and controlling a volume reduction amount and a transfer amount of the hump groove portion. Therefore, precast concrete slab panels can be manufactured in a customized manner in response to the work environment of the railway line. Even if a new typ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is manufactured, only the hump grooves can be removed and replaced,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철도 선로의 도상(ballast)은 철도의 궤도에서 침목이 받는 차량의 무게를 노반에 골고루 분산시켜 침목의 이동을 방지하며, 궤도의 배수와 선로 작업 등을 쉽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종래의 도상은 지반과 침목 사이의 자갈이 깔린 구조의 자갈 도상이 일반적 이였다.The ballast of a railway track is used to distribute the weight of the car that the sleeper receives on the railway track evenly to prevent the sleeper from moving, and to facilitate the drainage of the track and the work of the track. In the conventional image, a gravel image of a structure in which gravels are laid between the ground and the sleepers is common.
그러나, 이러한 자갈 도상은, 열차 운행 시 레일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지반에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 기간이 길어지면 자갈이 깨어지고 마모되어 도상으로서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차 운행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자갈을 보충하거나 교체하는 유지 보수 작업을 자주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gravel vehicle has the advantage that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rail can be dispersed evenly on the ground when the train is operated, but when the period of use is long, the gravel breaks down and wears down.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maintenance of the train is often made less reliable and the maintenance work for replenishing or replacing the gravel should be performed frequently.
이러한 자갈 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갈 도상을 철거한 후, 콘크리트 도상을 구축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자갈 도상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열차 운행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자갈 도상을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하는 것이 요구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gravel images, recently, after removing the gravel images, concrete images have been constructed and used. At this time, it is required to quickly and safely replace the gravel road with the concrete road in the course of installing the gravel road without interrupting the train operation.
한편, 신속하게 레일을 배치하고 궤도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현장에서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를 설치하기 보다는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콘크리트 슬래브를 제작한 후, 현장으로 이송하여 베이스 위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for quickly laying rail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track, a concrete slab is prepared in advance at a factory rather than installing a concrete slab by a pouring concrete in the fiel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slab in a mounting manner was used.
이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4913호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4913호의 도 2를 참조한 것으로,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일부분을 표현한 것이다.In this connec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4913 discloses an invention relating to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IG. 1 is a view of a part of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2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4913.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는 몰드조(1)에 험프 형성홈(2)이 구비되고, 험프 형성홈(2)에 체결구(3)가 결합된다. 또한, 몰드조(1)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포켓 형성돌기(4)가 구비된다. 이러한 몰드조(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하게 되면, 몰드조(1)의 형상에 대응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이 제조된다.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그러나,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철도 선로의 경우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각 철도 선로는 구간별로 지면과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가 있다. 예컨대, 코너 구간에서는 어느 하나의 철도 선로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다른 철도 선로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높아야 하며, 구간별로도 수직 방향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경우에는 험프 형성홈(2)이 모두 지면과 평행하므로,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이 제조되더라도 동일한 험프 형상을 구비하여 철도 선로의 환경에 따라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In the case of railway lines, a pair is provided. In each railway line,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height from the ground is different for each section. For example, in a corner section, the height of one of the railway lines in the vertical direction should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ther railway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section.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험프홈부가 탈부착이 가능하고, 험프홈부의 체감량 및 이적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철도 선로의 작업 환경에 대응하여 맞춤식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조하더라도 험프홈부만 탈거하여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slab panels,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hump groove portion and controlling a volume reduction amount and a transfer amount of the hump groove portion. Therefore, precast concrete slab panels can be manufactured in a customized manner in response to the work environment of the railway line. Even if a new typ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is manufactured, only the hump grooves can be removed and replaced,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몰드부; 상기 몰드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그루브부; 상기 그루브부에서 험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험프홈부; 상기 험프홈부에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체결부; 상기 험프홈부의 폭 방향의 양 단의 하부에 위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 및 상기 그루브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 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볼트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험프홈부의 체감량 및 이적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ld par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formed in the mold portion; A hump groove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ump in the groove portion; A pair of fastening portions formed in the hump groove portion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A plate portion positioned below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mp groove portion; And a fixing bolt portion passing through the plate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a degree of tightening of the fixing bolt portion is adjusted to control the volume reduction and displacement of the hump groove portio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몰드부; 상기 몰드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그루브부; 상기 그루브부에서 험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험프홈부; 및 상기 험프홈부에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체결부;를 포함하고,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comprising: a mold part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formed in the mold portion; A hump groove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ump in the groove portion; And a pair of fastening portions formed in the hump groove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width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상기 그루브부는, 그루브부 본체; 상기 그루브부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1 지지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의 수직 방향의 높이에 따라 상기 그루브부의 상기 지면과의 각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groove portion of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roove portion main body; A first suppor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roove portion main body; And a second suppor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wherein an angle of the groove with respect to the ground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vertical height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는 상기 몰드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스핀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부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를 상부에서 감싸는 코어캡; 상기 코어캡의 상부에 결합되는 너트; 상기 너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코어; 및 상기 코어, 상기 너트, 상기 코어캡, 상기 플랜지 및 상기 몰드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pindle parts formed in the mold part, wherein the spindle part has a vertically extending flange; A core cap surrounding the flang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nu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re cap; A cor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nut; And a bolt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core, the nut, the core cap, the flange, and the mold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상기 볼트는 탈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olts of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m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형성된 상기 너트에 로드를 삽입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평형 정도를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equilibrium of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can be confirmed by inserting a rod into the nut formed on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험프홈부가 탈부착이 가능하고, 험프홈부의 체감량 및 이적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철도 선로의 작업 환경에 대응하여 맞춤식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조하더라도 험프홈부만 탈거하여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slab panels,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hump groove portion and controlling a volume reduction amount and a transfer amount of the hump groove portion. Therefore, precast concrete slab panels can be manufactured in a customized manner in response to the work environment of the railway line. Even if a new typ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is manufactured, only the hump grooves can be removed and replaced,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4913호의 도 2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분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스핀들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플랜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코어캡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코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고정 볼트부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n enlarged view of Fig. 2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4913.
2 is a plan view of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of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paration part of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a spindle portion of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a flange of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of a core cap of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of a core of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fixing bolt portion of Fig. 3; Fig.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a general practitioner can sufficiently conve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an apparatu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the layers and region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illustr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 " and / or " comprising ",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presence of stated elements, Or additions.
또한,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며,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longitudinal direction' refers to an X-axis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2, 'width direction' refers to a Y-axis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2, In the Z-axis direc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한다.FIG. 2 is a plan view of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and effect of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는 몰드부(100), 그루브부(200), 험프홈부(300), 체결부(400), 스핀들부(500), 분리부(600) 및 돌기부(700)를 구비한다.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몰드부(10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패널 형상이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몰드부(1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하게 되면, 몰드부(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이 제작된다.The
몰드부(100)의 측부에는 몰드부(100)를 따라 몰드벽(110)이 형성된다. 몰드벽(110)의 수직 방향의 높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수직 방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A
그루브부(200)는 험프홈부(300)가 형성되는 곳이다. 험프홈부(30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그루브부(200)를 몰드부(100)와 구별하였으나, 몰드부(100)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큰 범위에서는 그루브부(200)를 몰드부(100)에 포함시킬 수 있다.The
그루브부(200)는 그루브부 본체(210), 제1 지지체(220) 및 제2 지지체(230)를 구비한다. 이에 관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The
그루브부 본체(210)는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패널 형상이며, 소정의 두께를 지닌다. 이때, 그루브부 본체(210)의 하부에는 제1 지지체(220)가 결합된다. 제1 지지체(220)는 복수 개가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또한, 제1 지지체(2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groove portion
이때, 제1 지지체(220)는 단면이 'ㄷ'자 형상인 프레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타설 되더라도 그루브부 본체(210) 및 콘크리트의 하중을 더욱 잘 견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 부분이 휨이 가능하여, 그루브부 본체(210)가 경사를 형성하는데 수월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제2 지지체(230)는 제1 지지체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2 지지체(230)는 복수 개가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또한, 제2 지지체(2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이때, 복수 개의 제1 지지체(220) 및 제2 지지체(230)의 각각의 수직 방향의 높이를 상이하게 하여 그루브부 본체(210)의 지면과의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기준으로 하면, 복수 개의 제2 지지체(230)는 폭 방향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수직 방향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설정된 것이다. 이로 인해, 그루브 본체(210)가 지면과 각도 θ를 지니면서 경사가 형성된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t the angle between the
도 3과 같이 경사를 형성하고 콘크리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조한 후, 이를 180도 뒤집게 되면, 바닥면은 평행하나, 험프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상이하게 된다. 즉, 험프에 체결구가 결합되어 체결구에 철도 선로가 결합되면, 한 쌍의 철도 선로 중 어느 하나의 선로가 다른 하나의 선로보다 수직 방향의 높이가 높게 된다.As shown in FIG. 3, if a precast concrete slab panel is manufactured by forming a slope and casting a concrete, and then the slab is bent 180 degrees, the bottom surface is parallel but the height of the hump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fferent. That is, when the fasteners are coupled to the hump and the railway line is coupled to the fastener, one of the railway lines becomes higher in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other railway.
이로 인해, 작업자는 지형 또는 철도 환경에 대응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설치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operator can install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in response to the terrain or railroad environment.
또한, 폭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그루브부(200)의 수직 방향의 높이를 상이하게 하여, 폭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험프의 수직 방향의 높이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폭 방향으로 갈수록 철도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환경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높이를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1 지지체(220) 및 제2 지지체(230)의 높이만 변경하여 다시 제조장치를 제작하면 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height of the plurality of
험프홈부(300)는 그루브부(200)에서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가 형성되며, 도 2와 같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The
험프홈부(300)는 라운드 지면서 그루브부(200)에서 함몰되며, 험프홈부(300)에 콘크리트가 타설 되면 험프홈부(300)의 형상에 대응되어 험프(미도시)가 형성된다. 험프홈부(300)의 지면과의 경사는 그루브부 본체(210)의 지면과의 경사에 대응하여 변경되며, 이에 관한 것은 전술하였다.The
하나의 험프홈부(300)에는 한 쌍의 체결부(400)가 형성된다. 체결부(40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체결부(40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A pair of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이 완성되어 분리되면, 체결부(4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체결홈(미도시)가 형성되며, 체결홈에 체결구(미도시)를 결합할 수 있다. 체결구는 철도 선로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잇는 역할을 하게 된다.When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is completed and separated, a fasten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이때, 험프홈부(300)는 그루브부(200)와 복수 개의 고정 볼트부(80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볼트부(800)는 홈프홈부(300)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다. 일 예로, 도 2를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각각 6개, 길이 방향으로 각각 3개의 고정 볼트부(8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이러한 숫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고정 볼트부(800)에 의해 험프홈부(300)의 이적량 및 체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이적량이라 함은 폭 방향으로의 변위를 말하며, 체감량이라 함은 수직 방향으로의 변위를 말한다. 따라서, 험프홈부(300)의 이적량을 조절한다 함은 험프홈부(300)의 폭 방향으로의 위치 변경을 말하는 것이고, 험프홈부(300)의 체감량을 조절한다 함은 험프홈부(300)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변경을 말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9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3의 고정 볼트부(800)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To describe this in more detail, reference is made to Fig. FIG.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the fixing
험프홈부(300)의 단부는 그루브부(200)와 플레이트부(900) 사이에 위치되고, 고정 볼트부(800)가 험프홈부(300) 및 그루브부(200)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고정 볼트부(800)의 조임정도를 조절하여 험프홈부(300)의 체감량 및 이적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end portion of the
최초에는 고정 볼트부(800)가 단단하게 조여져 홈프홈부(300)의 상하면이 각각 그루브부(200)와 플레이트부(900)와 맞닿아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때, 고정 볼트부(800)를 느슨하게 하여 험프홈부(300)와 그루브부(200)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A부분)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험프홈부(300)의 체감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볼트부(800)를 느슨하게 하여 험프홈부(300)와 그루브부(200) 사이에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B) 부분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험프홈부(300)의 이적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험프홈부(300)의 양단의 체감량을 각각 상이하게 조절하여 험프홈부(300)가 지면으로부터 경사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xing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구조로 인해, 고정 볼트부(900)의 조임 및 험프홈부(300)의 이동을 통해 험프홈부(300)의 체감량 및 이적량을 조절할 수 있고, 더불어 험프홈부(300)가 지면으로부터 경사를 지닐 수 있어, 철도 선로의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치 환경에 관한 내용은 전술하였따.Accordingly, due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olume reduction and transfer amount of the
또한, 험프홈부(300)가 그루브부(200)와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험프홈부(300)의 형상만 교체하면, 새로운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고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스핀들부(500)는 몰드부(100)에 형성된다. 스핀들부(500)는 복수 개 형성된다. 또는 그루브부 본체(210)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전술하였지만, 몰드부(100)와 그루브부 본체(210)는 설명의 편의상 분리한 것이다. 스핀들부(500)를 설명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도록 한다.The
도 5는 스핀들부(50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플랜지(510)를, 도 7은 코어캡(520)을, 도 8은 코어(540)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먼저,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플랜지(510)는 그루브부 본체(210)의 상면과 맞닿으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중심부의 높이가 측부의 높이보다 높아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코어캡(520)이 플랜지(510)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First, FIG. 6 will be referred to. The
플랜지(510)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플랜지(510)를 관통하는 플랜지 홀(511)이 형성된다. 후술할 볼트(550)가 관통되는 곳으로,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the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코어캡(520)은 플랜지(510)의 상부에 형성에 대응되도록 함몰되며, 플랜지(510)의 상부를 수용하여 암수 결합될 수 있다. 코어캡(520)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코어캡(520)을 관통하고, 플랜지(510) 상부를 수용하는 코어캡 홀(521)이 형성된다. 후술할 볼트(550)가 관통되는 곳으로,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Next, Fig. 7 will be referred to. The
코어캡(520)의 상부는 너트(530)를 수용하도록 너트(530)와 결합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너트(5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코어캡(520)의 상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너트(530)와 코어캡(520)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도록 한다. 코어(540)는 너트(530)의 상부와 결합된다. 코어(540)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코어(540)를 관통하는 코어 홀(541)이 형성된다. 후술할 볼트(550)가 관통되는 곳으로,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Next, Fig. 8 is referred to. The
스핀들부(5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먼저, 플랜지(510)를 그루브부 본체(210)의 상면과 맞닿게 한다. 다음으로, 플랜지(510)의 상부에 코어캡(520)를 씌우며, 코어캡(520)의 상부에 너트(530)를 맞닿게 하며, 너트(530)의 상부에 코어(540)를 맞닿게 한다.First, the
다음으로, 볼트(550)를 관통시킨다. 이때, 볼트(550)는 그루브부 본체(210, 또는 몰드부(100)), 플랜지 홀(511), 코어캡 홀(521), 너트(530), 코어 홀(541)를 모두 관통하게 된다.Next, the
다음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 장치로부터 분리시킨다.Next, concrete is laid and cured, and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is separated from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다음으로, 분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볼트(550)를 제거한다.Next, the
이때, 분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530)에 작업자가 로드(미도시)를 삽입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로드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통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평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작업 완성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an operator inserts a rod (not shown) into the
분리부(600)는 몰드부(100)에 형성된다. 분리부(500)는 복수 개 형성된다. 또는 그루브부 본체(210)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전술하였지만, 몰드부(100)와 그루브부 본체(210)는 설명의 편의상 분리한 것이다. 분리부(600)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The
분리부(600)는 하우징(610), 샤프트(620), 캡(630), 플런저(640) 및 오링(650)을 구비한다. 이때, 분리부(600)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몰드부(100)이 형성된다.The
하우징(610)은 몰드부(100)에 형성된 홈과 맞닿는다. 또한, 하우징(610)은 중공부가 형성되어 샤프트(620)가 중공부에 삽입된다.The
샤프트(620)는 하우징(610)에 삽입된다. 이때, 샤프트(620)에는 제1 샤프트 홀(621), 제2 샤프트 홀(622) 및 제3 샤프트 홀(623)이 삽입된다.The
제1 샤프트 홀(621)은 샤프트(620)의 하부에서 상부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샤프트 홀(622)은 제1 샤프트 홀(621)의 중심부에서 함몰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형성된다.The
제3 샤프트 홀(623)은 제2 샤프트 홀(622)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캡(630)이 삽입된다. 제3 샤프트 홀(623)은 캡(6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캡(630)은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샤프트 홀(623)은 볼트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분리부(6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하는 경우, 경화된 콘크리트가 몰드부(100)에서 분리가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미도시된 막대를 제1 샤프트 홀(621), 제2 샤프트 홀(622)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막대가 제3 샤프트 홀(623)에 삽입된 캡(630)의 하면과 맞닿고, 지속적으로 막대를 상승시키면 캡(630)의 상면과 맞닿은 경화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수직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로 인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분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작업 시간이 축소되고,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operation of the
샤프트(620)의 상측부에는 오링(65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가 하우징(610)과 샤프트(620)의 갭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버려지는 콘크리트를 최소화하여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완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완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An O-
플런저(640)는 하우징(610)에 형성된 플런저 홀(611)에 삽입된다. 플런저(640)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런저(640)의 단부에는 볼(641)이 형성된다.The
이때, 샤프트(620)에는 폭 방향으로 제4 샤프트 홀(624)이 형성된다. 도 4에서는 내부 모습을 표현하여 제4 샤프트 홀(624)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좌측에만 표현하였으나, 제4 샤프트 홀(624)은 샤프트(620) 전체를 폭 방향으로 관통한다.At this time, a
돌출된 볼(641)이 제4 샤프트 홀(624)에 삽입 가능하며, 플런저(640)에는 탄성력이 있는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볼(641)이 제4 샤프트 홀(624)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볼(641)에 의해 샤프트(620)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안정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완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완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A protruding
또한, 세척 등을 위해 샤프트(620)를 하우징(6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샤프트(62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볼(641)의 라운드 진 부분 및 스프링으로 인해 플런저(640)가 후퇴하고, 이로 인해, 원활하게 샤프트(62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탄성 회복력으로 인해 플런저(64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When the
이때, 샤프트(620)를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샤프트(62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플런저(640)는 다시 후퇴하고, 제4 샤프트 홀(624)과 맞닿은 경우 폭 방향으로의 이동 공간이 확보되어 탄성 회복력으로 인해 다시 전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재결합 시, 샤프트(620)의 원위치를 찾기에도 수월하여 작업 시간이 축소되고, 작업 효율성이 증대된다.At this time, when the
돌기부(700)는 몰드부(100)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된다.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되면, 돌기부(7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된다. 이는 공지의 형상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thereof.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캡부, 110 : 몰드벽,
200 : 그루브부, 210 : 그루브부 본체,
220 : 제1 지지체, 230 : 제2 지지체,
300 : 험프홈부, 400 : 체결부,
500 : 스핀들부, 510 : 플랜지,
520 : 코어캡, 530 : 너트,
540 : 코어, 600 : 분리부,
610 : 하우징, 611 : 플런저 홀,
620 : 샤프트, 621 : 제1 샤프트 홀,
622 : 제2 샤프트 홀, 623 : 제3 샤프트 홀,
624 : 제4 샤프트 홀, 630 : 캡,
640 : 플런저, 641 : 볼,
650 : 볼, 700 : 돌기부.
800 : 고정 볼트부, 900 : 플레이트부.100: cap part, 110: mold wall,
200: groove portion, 210: groove portion main body,
220: first support, 230: second support,
300: hump groove portion, 400: fastening portion,
500: spindle portion, 510: flange,
520: core cap, 530: nut,
540: Core, 600: Separation part,
610: housing, 611: plunger hole,
620: shaft, 621: first shaft hole,
622: second shaft hole, 623: third shaft hole,
624: Fourth shaft hole, 630: Cap,
640: plunger, 641: ball,
650: ball, 700: protrusion.
800: Fixing bolt part, 900: Plate part.
Claims (5)
상기 몰드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그루브부;
상기 그루브부에서 험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험프홈부;
상기 험프홈부에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체결부;
상기 험프홈부의 폭 방향의 양 단의 하부에 위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 및 상기 그루브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 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볼트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험프홈부의 체감량 및 이적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그루브부는,
그루브부 본체;
상기 그루브부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1 지지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의 수직 방향의 높이에 따라 상기 그루브부의 지면과의 각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
A mold par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formed in the mold portion;
A hump groove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ump in the groove portion;
A pair of fastening portions formed in the hump groove portion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A plate portion positioned below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ump groove portion; And
And a fixing bolt portion penetrating the plate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egree of squeezing of the fixing bolt portion is adjusted to control the volume reduction and transfer amount of the hump groove portion.
In the groove portion,
A groove portion main body;
A first suppor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roove portion main body; And
And a second suppor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determined with respect to a ground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in accordance with a vertical height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상기 몰드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스핀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부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를 상부에서 감싸는 코어캡;
상기 코어캡의 상부에 결합되는 너트;
상기 너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코어; 및
상기 코어, 상기 너트, 상기 코어캡, 상기 플랜지 및 상기 몰드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spindle parts formed on the mold part,
The spindle unit includes:
A flang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ore cap surrounding the flang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nu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re cap;
A cor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nut; And
And a bolt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core, the nut, the core cap, the flange, and the mold part.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상기 볼트는 탈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is removabl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형성된 상기 너트에 로드를 삽입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평형 정도를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balance of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can be confirmed by inserting a rod into the nut formed on the precast concrete slab panel.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9029A KR101949339B1 (en) | 2018-12-11 | 2018-12-11 |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9029A KR101949339B1 (en) | 2018-12-11 | 2018-12-11 |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49339B1 true KR101949339B1 (en) | 2019-02-18 |
Family
ID=6556173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59029A Ceased KR101949339B1 (en) | 2018-12-11 | 2018-12-11 |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49339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287024A (en) * | 2020-02-21 | 2020-06-16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Connecting device and ballastless track |
| KR20250066688A (en) | 2023-11-07 | 2025-05-14 | 김태균 | Precast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93490B1 (en) * | 2013-02-04 | 2014-05-13 | 강남훈 | Single support type track alignment adjust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3-dimensional precast slab track |
| KR20140103506A (en) * | 2013-02-18 | 2014-08-27 | 강남훈 | Track skeleton assembly equipment for 3D precast slab track manufacturing |
| KR101434913B1 (en) | 2014-07-04 | 2014-08-29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Manufacturing device for precast concrete slab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by using manufacturing device for precast concrete slab Panel |
| KR101504728B1 (en) * | 2014-07-04 | 2015-03-30 |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 A device for position adjustment and flotation prevention of precast concrete slab panel and method for position adjustment and flotation prevention by using device for position adjustment and flotation prevention |
-
2018
- 2018-12-11 KR KR1020180159029A patent/KR101949339B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93490B1 (en) * | 2013-02-04 | 2014-05-13 | 강남훈 | Single support type track alignment adjust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3-dimensional precast slab track |
| KR20140103506A (en) * | 2013-02-18 | 2014-08-27 | 강남훈 | Track skeleton assembly equipment for 3D precast slab track manufacturing |
| KR101434913B1 (en) | 2014-07-04 | 2014-08-29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Manufacturing device for precast concrete slab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by using manufacturing device for precast concrete slab Panel |
| KR101504728B1 (en) * | 2014-07-04 | 2015-03-30 |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 A device for position adjustment and flotation prevention of precast concrete slab panel and method for position adjustment and flotation prevention by using device for position adjustment and flotation preventio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287024A (en) * | 2020-02-21 | 2020-06-16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Connecting device and ballastless track |
| CN111287024B (en) * | 2020-02-21 | 2021-10-12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Connecting device and ballastless track |
| KR20250066688A (en) | 2023-11-07 | 2025-05-14 | 김태균 | Precast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078321B1 (en) | Lower part separating type mold for constructing embedded rail track | |
| KR101949339B1 (en) | Precast concrete slab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 |
| CN103243619B (en) | Slab-type replaceable combined ballast bed system and construction process | |
| WO2012173296A1 (en) | Easily replaceable solid three-dimensional track blo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method for laying concrete tracks using the track block, and method for laying tracks for guideway rubber-wheeled light rail | |
| CN109571720A (en) | A kind of high-accuracy multifunctional concrete slab prefabricated mould and its working method | |
| KR102121029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railroad way concrete | |
| KR101260947B1 (en) | Track support apparatus | |
| KR102488418B1 (en) | Apparatus constructing base concrete structure of embedded rail track having groove | |
| KR10111444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direct track using auxiliary guide | |
| KR20130009391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block for railway track and method for laying railway track using concrete block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 |
| KR20200085573A (en) | Gravity type leveling method for precast members including expansion joint | |
| KR101115365B1 (en) | Precast Slab Track Construction Method | |
| KR20170001392A (en) | Height-adjustable Steel Mould | |
| CN113481823A (en) | Adjustable beam bottom wedge-shaped device and beam body installation process | |
| CN220218950U (en) | Railway prefabricated box girder side form | |
| US20240102252A1 (en) | Curve portion mold structure for manufacturing curved concrete panel for mountain railway rack track, and curved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 |
| CN116289506B (en) | A road surface transition connection device | |
| CN215051635U (en) | Light prefabricated ballast bed | |
| KR101128031B1 (en) | Mold for making H shaped tie for railroad | |
| KR101994039B1 (en) | Finger joint prevention of escape | |
| KR101906562B1 (en) | Deck Plate For Ware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
| KR200337976Y1 (en) | RC sleeper for vibration-proof fastening apparatus | |
| DE102008048358A1 (en) | Track body molding unit | |
| JP2022081909A (en) | Concrete sleeper installation device | |
| KR101653559B1 (en) | Method of repairing railwa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9021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90528 Decision date: 20190910 Appeal identifier: 2019100001630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63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528 Effective date: 20190910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9091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90528 Decision date: 20190910 Appeal identifier: 2019100001630 |
|
| PJ2001 | Appeal |
Patent event date: 2019091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200327 Appeal identifier: 2019200006914 Request date: 20190926 |
|
| PJ2002 |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
Comment text: Petition of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200410 Patent event code: PJ20022R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J20021S05I Request date: 20200410 Appeal identifier: 2020300010407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200723 |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691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926 Effective date: 20200327 |
|
| PJ1302 | Judgment (patent court) |
Patent event date: 20200507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90926 Decision date: 20200327 Appeal identifier: 201920000691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
|
| J303 |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300010407;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410 Effective date: 20200723 |
|
| PJ1303 | Judgment (supreme court) |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200805 Patent event code: PJ13031S01D Decision date: 20200723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00410 Appeal identifier: 2020300010407 |
|
| PJ2201 |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
Request date: 20200805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0130000121 Decision date: 20200917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3000012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805 Effective date: 20200917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9D Patent event date: 2020091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00805 Decision date: 20200917 Appeal identifier: 2020130000121 |
|
| PC2102 | Extinguishment |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20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