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661B1 - Tooth contour fixing member - Google Patents
Tooth contour fixing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0661B1 KR101940661B1 KR1020180119207A KR20180119207A KR101940661B1 KR 101940661 B1 KR101940661 B1 KR 101940661B1 KR 1020180119207 A KR1020180119207 A KR 1020180119207A KR 20180119207 A KR20180119207 A KR 20180119207A KR 101940661 B1 KR101940661 B1 KR 1019406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
- teeth
- adjacent
- fixing member
- cont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05 composite res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283 incisor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548 den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497 Amalga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13 dentit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20 orga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46 tooth eru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80—Dental aids fixed to teeth during treatment, e.g. tooth clamps
- A61C5/85—Filling bands, e.g. matrix bands; Manipulating too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치료용 치아인접면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치과치료 중 레진치료시 사용되는 것으로 손상된 치아에 끼움으로 레진 치료가능한 치아치료용 치아인접면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합레진을 이용한 치아치료시 치료가 필요한 치아에 치아인접면고정부재를 끼움으로 탄성을 가진 치근 고정부에 의해 인접면밀착부가 치아의 측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되어 치아와 치아 사이를 막는 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복합레진을 충진시킬 때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상된 치아 치료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ure adjacent surface fixing member for dental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ure adjacent surface fixing member for use in treating a resin during a dental treatment, the tooth being treated with a resin by being inserted into a damaged too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treating a tooth using a composite resin, comprising the steps of: (a) fixing a tooth adjacent to an adjacent tooth surface to a tooth requiring treatment, By acting as a wall and acting as a guide when filling the composite resin, the damaged tooth treatment can be performed quick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치료용 치아인접면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치과 치료 중 충치나 심미를 위한 치아 사이 공간 폐쇄를 목적으로 레진치료시 사용되는 것으로 손상된 치아에 끼움으로 레진 치료가능한 치아치료용 치아인접면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ure adjoining face fixing member for dental treatment, specifically, for use in treating a resin for the purpose of closing the inter-dental space for dental caries or aesthetics, To a tooth adjacent surface fixing member.
충치 치료는, 충치로 인해 치아 경조직의 손상이 있을 경우 치과용 재료로 치아를 충전하여 기능을 회복하게 하는 치료를 말한다. 치아 경조직의 수복을 위해서는 치과용 핸드피스(dental handpiece)에 의해 적절한 와동(cavity)이 형성된 후에 아말감, 복합 레진(composite resin) 등과 같은 치과용 재료가 충전된다. 복합 레진은 유기질 고분자와 무기질 충전재로 구성된 혼합 물질로서, 치아의 색을 가지며, 높은 강도를 가지므로 치과용 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In the case of tooth decay, it is a treatment that restores function by filling teeth with dental material when tooth decay is caused by tooth decay. In order to repair the tooth hard tissue, a proper cavity is formed by a dental handpiece, and then the dental material such as amalgam, composite resin and the like is filled. Composite resin is a mixed material composed of organic polymer and inorganic filler. It has the color of teeth and has high intensity, and therefore, it is widely used as a dental material.
복합 레진을 이용한 충치 치료는, 와동에 프라이머(primer)와 접착제를 바르고, 복합 레진을 충전하고 다진 후에 경화광(curing light)을 조사하여 복합 레진을 딱딱하게 굳어지게 만드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어금니의 경우에는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면을 일치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를 위해 교합지(articulating paper)를 치아 사이에 위치시키고 윗니와 아랫니를 교합시켜 교합면을 확인한 후에 교합지에 의해 마킹이 된 부분을 연마하고, 다시 교합지로 교합면 확인을 하고 복합 레진을 연마하는 과정이 반복된다.In the cavity treatment using a composite resin, a primer and an adhesive are applied to the vortex, the composite resin is filled, and the curing light is irradiated after the composite resin is hardened to harden the composite resin. In the case of molars, the process of matching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is performed. To this end, the articulating paper is placed between the teeth, and the occlusal surface is observed by engag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And then the occlusal surface is again confirmed with the occlusion paper and the composite resin is polished.
하지만 치아와 치아는 서로 인접해있기 때문에 레진치료시 인접한 치아가 레진에 의해 서로 달라붙는 문제로 인해 치료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환자에게 많은 고통을 주고 많은 치료비를 발생시키며, 시술자의 시술능력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teeth and the teeth ar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take a long time for the treatment process due to the problem that the adjacent teeth stick to each other by the resin during the resin treatment, resulting in a lot of pain for the patient, The result is different.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레진을 이용한 치료시 치료가 필요한 치아에 치아인접면고정부재를 쉽게 끼우고 쉽게 고정함으로써 치아와 치아 사이를 막는 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복합레진을 충진시킬 때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treating a tooth with a composite resin, which can easily fix the tooth adjacent to the tooth and easily fix the tooth to a tooth requiring treatment, thereby acting as a wall for blocking the gap between the tooth and the tooth, .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치아 측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되 치아 측면에 밀착되는 인접면밀착부(110)와, 상기 인접면밀착부(110)의 하부에 연결되되 탄성력을 가지며 치아 주위를 감싸는 치근고정부(120)와, 상기 인접면밀착부(11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인접면밀착부(110)는 치아의 하부 일측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밀착돌출부(111)와, 치아의 하부 타측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밀착돌출부(112)와, 치아의 측면형태와 대응하도록 곡선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측면굴곡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치근고정부(12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치아의 하부에 끼워지져서 고정되기 위해 상기 제1밀착돌출부(111)의 일측과 제2밀착돌출부(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치아인접면고정부재를 제공한다.An adjac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복합레진을 이용한 치아치료시 치료가 필요한 치아에 치근부에 고정되기 위한 탄성재질의 치아고정부를 끼움으로 치아인접면부재가 치아의 측면을 둘러싼 상태로 쉽게 고정되어 치아와 치아 사이를 막는 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복합레진을 충진시킬 때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상된 치아 치료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using a composite resin, in which an elastic material is fixed to a root portion of a tooth requiring treatment, By acting as a barrier and acting as a guide when filling the composite resin, the damaged tooth treatment can be acceler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인접면고정부재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치료가 필요한 치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치아에 치아인접면고정부재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인접면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치아치료를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치아인접면고정부재의 또 다른 사용예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tooth adjacent surfac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tooth requiring treatment.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tooth adjacent surfac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a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tooth treatment using an adjacent tooth surface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other use example of the tooth adjacent surface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은 치아 측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치아 측면에 밀착되는 인접면밀착부(110)와, 상기 인접면밀착부(110)의 하부에 연결되되 탄성력을 가지며 치아 주위를 감싸는 치근고정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치료용 치아인접면고정부재와,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utment member which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tooth surface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a tooth and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adjacent abutting
치아 측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치아 측면에 밀착되는 인접면밀착부(110)와, 상기 인접면밀착부(110)의 하부에 연결되되 탄성력을 가지며 치아 주위를 감싸는 치근고정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인접면밀착부(110)는 치아의 측면형태와 대응하도록 곡선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측면굴곡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치료용 치아인접면고정부재와,And a
치아 측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치아 측면에 밀착되는 인접면밀착부(110)와, 상기 인접면밀착부(110)의 하부에 연결되되 탄성력을 가지며 치아 주위를 감싸는 치근고정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인접면밀착부(110)는 치아의 하부 일측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밀착돌출부(111)와, 치아의 하부 타측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밀착돌출부(112)와, 치아의 측면형태와 대응하도록 곡선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측면굴곡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치료용 치아인접면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And a
본 발명은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에 관한 것으로, 치아가 깨지거나 충치가 발생하는 경우 등 치아가 손상됐을 때 치료하는 방법 중 하나인 레진치료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치아의 인접면(치아와 차아사이)에 손상이 생긴 경우 서로 인접해있는 치아들로 인해 치료가 까다롭기 때문에 본 발명의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를 손상된 치아에 끼워서 치아 간에 간섭없이 치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원활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adjacent face fixing member (100), and is used in a resin treatment,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treating a tooth when the teeth are broken or cavities occur. In particular, when the adjacent teeth (between the tooth and the tooth) are damaged, it is difficult to treat the tooth due to adjacent teeth. Therefore, the tooth adjacent
즉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제2중철치(20)의 제3측면(21)과 제2측절치(40)의 치아가 일부 유실된 것과 같이 충치 등으로 인해 치아가 손상됐을 때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치료가 필요한 치아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도 1의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가 치아에 끼워진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when the teeth are damaged due to tooth decay, such as a part of the teeth of the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는 인접면밀착부(110)와 치근고정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tooth adjacent
먼저 본 발명의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는 손상된 치아에 끼워져 치아의 손상된 부위를 감싸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인접한 치아 간의 간섭 없이 손상된 치아만을 치료하기 위해 손상된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의 측면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First, the tooth adjacent
상기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는 치아의 모양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지며, 각 치아의 측면을 완전히 감싸도록 각 치아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ooth adjacent
인접면밀착부(110)는 치아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치아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제1밀착돌출부(111), 제2밀착돌출부(112), 측면굴곡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djacent
제1밀착돌출부(111)는 치아의 하부 일측을 감싸도록 하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2밀착돌출부(112)는 치아의 하부 타측을 감싸도록 하부 타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측면굴곡부(113)는 치아의 측면형태에 대응하도록 곡선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굴곡부(113)는 주입되는 레진이 측면굴곡부(113)의 면을 타고 내려오도록 치아의 측면형태에 대응하는 곡선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The
상기 인접면밀착부(110)는 치아의 측면형태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도 3과 같이 치아의 손상된 부위를 감쌀 때 치아의 측면 굴곡부위가 감싸지도록 형성된다. 즉, 치아의 위치에 따라 그 크기는 달라지기 때문에 각 치아의 형태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인접면밀착부(110)가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측면굴곡부(113)의 형태가 각 치아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태와 크기로 형성된다.The adjacent
본 발명인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는 특히 더 치료가 어려운 치아의 전치부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영구치 및 유치에도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tooth adjacent
치근고정부(120)는 상기 인접면밀착부(110)의 하부에 연결되되 치아주위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것으로, 탄성재질의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치근고정부(120)는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가 치아의 하방 즉 치근부위에 끼워지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인접면밀착부(110)가 치아의 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또한 상기 치근고정부재(120)가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치아의 치료공간을 확보해야 할 경우 손으로 인접면밀착부(110)를 움직임으로 쉽게 공간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치근고정부(120)는 측면굴곡부(113)의 하부 양끝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근고정부(120)가 치아에 끼워질때 치아의 하부, 즉 치근이 위치하는 곳까지 끼워짐으로 치아의 하부 부위를 감싸며 이를 통하여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가 치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 인접면밀착부(110)는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적면밀착부(110)의 하부가 상부에 비해 크게 형성된 이유는 치아의 하부측면을 최대한 많이 감싼 상태에서 레진 치료시 레진이 인접면밀착부(110)의 측면굴곡부(113)를 타고 내려가도록 하기 위함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djacent
본 발명의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는 손잡이(13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30)는 인접면밀착부(11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의사가 시술시 쉽게 파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도면 미도시됨).The handle 1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jacent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를 이용한 치아 치료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dure of dental treatment using the tooth adjacent
먼저, 본 발명은 주로 치아의 전치부에 사용되는 것이며, 전치부에 해당되는 치아를 각각 제1중절치(10),제2중절치(20),제1측절치(30),제2측절치(40)로 명명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used for an anterior tooth portion, and the tooth corresponding to the anterior portion is named as a first
도 2와 같이 제1중절치(10)와 제2중절치(20)는 치아의 중앙에 위치하는 치아이며, 제1측절치(30)와 제2측절치(40)는 제1중철치(10)와 제2중철치(20)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치아이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제2중철치(20)의 제3측면(21)과 제2측절치(40)의 치아가 일부 유실된 것과 같이 충치 등으로 인해 치아가 손상됐을 때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치료가 필요한 치아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도 1의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가 치아에 끼워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treating a tooth when a tooth is damaged due to tooth decay, such as a part of the teeth of the
도 3과 같이 제1중절치(10)의 제2측면(12)의 손상된 부위에 레진치료를 하는 경우 제1중절치(10)와 인접한 제1측절치(30)와 제1중절치(10) 사이에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의 인접면밀착부(110)가 위치하도록 치근고정부(120)를 제1중절치(10)에 끼운다.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의 치근고정부(120)에 제1중절치(10)를 끼우면 측면이 제1중철치(10)의 제2측면(12)을 감싸게 되며 제1측절치(30)의 제1측면(31)과는 분리된 상태로 치아 치료를 할 수 있다.3, when a resin treatment is performed on a damaged portion of the
또한 제2측절치(40)의 제7측면(41)의 치아 일부가 손상됐을 경우 제2측절치(40)에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를 끼움으로써 인접면밀착부(110)가 제7측면(41)에 밀착된다.When the teeth of the
통상적으로 제1중철치(10)와 제2측절치(40)의 치아크기는 치아의 구조상 다르게 형성되며, 보통은 제1중철치(10)가 제2측절치(40)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다른 크기와 형태를 가진 치아에 각각의 측면에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가 밀착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은 인접면밀착부(110)의 크기와 형태는 각각의 치아 측면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그 모양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인접면밀착부(110)가 치아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고정되어 치료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Generally, the tooth sizes of the first stitch-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의 치근고정부(12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써 각 치아의 둘레보다 조금 작게 형성됨으로써 치근고정부(120)가 치아에 끼워질 때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가 치아에 완전히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oth
도 4는 하부치아를 치료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치아에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가 끼워진 상태에서 레진장치(7)를 이용하여 레진(8)을 주입하는 모습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는 치아와 치아 사이를 가로막는 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치료가 필요한 치아를 감싸줌으로써 레진이 주입되는 가이드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teeth are treated, and th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하부치아(50)의 양측면에 치료가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를 양측면에 각각 끼워서 치아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레진이 주입되는 통로를 만들 수 있다.FIG. 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when both sides of a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치아의 레진치료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치아 인접면의 공간, 크기에 관계없이 치아에 쉽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치아 사이의 공간이 크거나 인접하는 치아가 없는 경우에도 탄성을 가진 치근고정부(120)에 의해 치아인접면고정부재(100)만으로도 치아에 쉽게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치아의 레진 치료를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used in the treatment of resin in teeth and can be easily fixed to the teeth regardless of the space or size of the adjacent surfaces of teeth. In addition, even when the space between adjacent teeth is large or there is no adjacent tooth,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teeth adjacent to the tooth adjacent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복합레진을 이용한 치아치료시 치료가 필요한 치아에 치근부에 고정되기 위한 탄성재질의 치아고정부를 끼움으로 치아인접면부재가 치아의 측면을 둘러싼 상태로 쉽게 고정되어 치아와 치아 사이를 막는 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복합레진을 충진시킬 때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상된 치아 치료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oth fixing part of an elastic material is fixed to a root part of a tooth requiring treatment in a tooth treatment using a composite resin, so that the adjacent tooth surface part is easily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ooth, It acts as a barrier between the teeth and can act as a guide when filling the composite resin, which can speed up the treatment of damaged teeth.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variations.
10 제1중절치
11 제1측면
12 제2측면
20 제2중절치
21 제3측면
22 제4측면
30 제1측절치
31 제5측면
32 제6측면
40 제2측절치
41 제7측면
42 제8측면
50 하부치아
100 치아인접면고정부재
110 인접면밀착부
111 제1밀착돌출부
112 제2밀착돌출부
113 측면굴곡부
120 치근고정부10 first center tooth
11 First aspect
12 Second aspect
20 second center tooth
21 Third aspect
22 Fourth aspect
30 1st side offset
31 Fifth Aspect
32 Sixth aspect
40 second side offset
41 seventh aspect
42 Eighth aspect
50 lower teeth
100 tooth adjacent surface fixing member
110 Adjacent Face Adhesive
111 first contact projection
112 second contact protrusion
113 side bend
120 Root fixation
Claims (7)
상기 인접면밀착부(110)의 하부에 연결되되 탄성력을 가지며 치아 주위를 감싸는 치근고정부(120)와,
상기 인접면밀착부(110)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인접면밀착부(110)는
치아의 하부 일측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밀착돌출부(111)와,
치아의 하부 타측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밀착돌출부(112)와,
치아의 측면형태와 대응하도록 곡선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측면굴곡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치근고정부(12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치아의 하부에 끼워져서 고정되기 위해 상기 제1밀착돌출부(111)의 일측과 제2밀착돌출부(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치아인접면고정부재.
An adjacent abutting portion 110 which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tooth surface and whose upper width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
A root fixing part 120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adjacent surface contact part 110 and having an elastic force and surrounding the teeth,
And a handle 13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djacent surface contact part 110,
The adjacent surface contact portion 110
A first contact protrusion 111 protruding to surround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ooth,
A second contact protrusion 112 protruding to cover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ooth,
And a side bend (113) formed concavely in a curved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a side shape of the tooth,
The root fixing part 12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tact protruding part 111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ntact protruding part 112 so as to be fitt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tooth To-tooth fix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19207A KR101940661B1 (en) | 2018-10-05 | 2018-10-05 | Tooth contour fixing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19207A KR101940661B1 (en) | 2018-10-05 | 2018-10-05 | Tooth contour fixing memb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40661B1 true KR101940661B1 (en) | 2019-04-10 |
Family
ID=6616381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19207A Active KR101940661B1 (en) | 2018-10-05 | 2018-10-05 | Tooth contour fixing memb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4066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136480A (en) * | 2022-03-18 | 2023-09-26 | 황정보 | Dental clamp for easy tooth preparation and dental clamp assembly having the dental clamp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003286A1 (en) * | 2002-04-03 | 2006-01-05 | Christiansen Bart G | Tools and methods for measuring tooth reduction |
| US20060275734A1 (en) * | 2003-05-23 | 2006-12-07 | Pekka Vallittu | Matrix band |
| US20080064012A1 (en) * | 2006-09-13 | 2008-03-13 | Clark David J | Devices And A Seamless, Single Load, Injection Molded Cavity Preparation And Filling Technique |
| KR20080110123A (en) * | 2007-06-14 | 2008-12-18 | 임두만 | Resin Strip |
| KR20160124123A (en) * | 2014-02-24 | 2016-10-26 | 뮐바우어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 Device for shielding teeth to be treated |
| KR101802154B1 (en) | 2016-02-26 | 2017-12-28 |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 Vibrator for adhering composite resin to a tooth |
-
2018
- 2018-10-05 KR KR1020180119207A patent/KR1019406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003286A1 (en) * | 2002-04-03 | 2006-01-05 | Christiansen Bart G | Tools and methods for measuring tooth reduction |
| US20060275734A1 (en) * | 2003-05-23 | 2006-12-07 | Pekka Vallittu | Matrix band |
| US20080064012A1 (en) * | 2006-09-13 | 2008-03-13 | Clark David J | Devices And A Seamless, Single Load, Injection Molded Cavity Preparation And Filling Technique |
| KR20080110123A (en) * | 2007-06-14 | 2008-12-18 | 임두만 | Resin Strip |
| KR20160124123A (en) * | 2014-02-24 | 2016-10-26 | 뮐바우어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 Device for shielding teeth to be treated |
| KR101802154B1 (en) | 2016-02-26 | 2017-12-28 |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 Vibrator for adhering composite resin to a tooth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136480A (en) * | 2022-03-18 | 2023-09-26 | 황정보 | Dental clamp for easy tooth preparation and dental clamp assembly having the dental clamp |
| KR102636529B1 (en) * | 2022-03-18 | 2024-02-13 | 황정보 | Dental clamp for easy tooth preparation and dental clamp assembly having the dental clamp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382717B2 (en) | Devices and a seamless, single load cavity preparation and filing technique | |
| US11903787B2 (en) | Matrices for dental restoration | |
| KR200446323Y1 (en) | Transfer tray of bracket in indirect method of orthodontics | |
| US9358080B2 (en) | Dental separator ring | |
| JP5247893B2 (en) | Dental separator and matrix system for making dental restorations | |
| KR20170100997A (en) | Treatment instrument for dental | |
| JP2020507426A (en) | Anatomical adaptive drape | |
| US7094057B2 (en) | Dental light curing member and method | |
| KR101940661B1 (en) | Tooth contour fixing member | |
| KR102130753B1 (en) | Orthodontic braces | |
| KR20200031561A (en) | Method of using anti-inflammatory sheet and anti-inflammatory sheet by surplus dental cement | |
| US20050244778A1 (en) | Adjustable bite ramps for deep bite correction and kits incorporating bite ramps | |
| KR101644790B1 (en) | Occlusal surface molding device and kit having the same | |
| KR102097596B1 (en) | Treatment instrument for dental | |
| JP2015188585A (en) | Dental matrix | |
| US20050244779A1 (en) | Method of correcting a deep bite condition using adjustable bite ramps | |
| RU2446769C1 (en) | Method of treat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al fractures of multy-rooted teeth of upper and lower jaws | |
| US10987197B2 (en) | Intraradicular anchor pin | |
| US3623227A (en) | Dental instrument for use with teeth-spreading wedges during filling operations | |
| KR20200016124A (en) | Cervica prosthesis with shield sheet | |
| CN119950064A (en) | A dedicated device for dental curing light with both stable resin fiber splint and anti-scattered light function | |
| RU2304939C1 (en) | Device for fixing rubber dam | |
| KR20250046220A (en) | Curing light apparatus equipped with light shield cap | |
| RU2624356C2 (en) | Method for fixation and treatment of crown-radicular fractures-of multi-rooted teeth | |
| Kamath | RUBBER DAM FRAMES AND ACCESORI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2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