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262B1 - Mouthpiece for the dentist - Google Patents
Mouthpiece for the denti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4262B1 KR101954262B1 KR1020160112144A KR20160112144A KR101954262B1 KR 101954262 B1 KR101954262 B1 KR 101954262B1 KR 1020160112144 A KR1020160112144 A KR 1020160112144A KR 20160112144 A KR20160112144 A KR 20160112144A KR 101954262 B1 KR101954262 B1 KR 1019542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tal
- sensor
- patient
- oral
- too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 A61B6/145—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몸체 가장자리에 환자의 치열을 본떠 이루어진 치열이 형성되고, 구개 또는 혀 밑바닥에 접한 몸체부분에 구강센서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치열을 본떠 만들어 착용시 환자의 치열과 정확하게 일치되고, 또한 구개 또는 혀 밑바닥부분에 놓인 몸체부분에 구강센서가 삽입,고정되어 있어 딱딱한 구강센서와 직접 접촉하지 않음으로 환자는 이물감을 전혀 느낄 수 없으며, 환자가 첫 엑스레이 촬영시 사용한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매 검사시마다 사용함으로써 구강센서가 검사때마다 동일한 위치에 놓이므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 dental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ental tooth formed on a body and a body edge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a patient's dentition, and a mouth sensor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body portion of the palate or the bottom of the tongue,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ral sensor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body part placed at the bottom of the palate or the tongue, the patient does not directly contact with the oral sensor, Since the dental mouthpiece used in the first X-ray photographing is used at every inspection, the oral sensor is placed at the same position every time the examination is per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accurate diagnosis.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에서 환자의 이빨상태에 대한 엑스레이 촬영시 구강내에 삽입할 수 있는 치과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mouthpie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mouthpiece that can be inserted into an oral cavity during an x-ray of a patient's teeth state in the dental office.
치과에서 엑스레이를 이용한 진단은 현재 필수적인 진단방법이며, 진단방법 중 하나인 인트라 오럴방식은 구강내 부분적인 치아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치과용 구강센서를 입속에 넣고 외부에서 엑스레이를 방사하여 치아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인트라 오럴방식에 사용되는 치과용 디지털엑스레이촬영장치는 입속에 삽입된 치과용 구강센서로부터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출력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상태를 즉시 판독할 수 있다. Diagnosis using dental X-ray is an essential diagnosis method. Intraoral method, which is one of the diagnostic methods, is to insert a dental oral sensor into the mouth to examine the partial tooth condition in the mouth and radiate x- It is a way to obtain information. The dental digital X-ray imaging apparatus used in the intraoral method can receive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dental mouth sensor inserted in the mouth and output it to the monitor in real time to immediately read out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그러나 이러한 인트라 오럴방식은 환자가 딱딱한 사각형 형상의 구강센서(3*4 크기)를 입안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검사시간동안 물고 있어야 하므로 이물감을 느끼며, 침이 입안에 고이거나, 엑스레이 조사각도에 따라 입속에 있는 구강센서의 위치를 환자가 변경함에 따라 큰 고통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입속에 삽입되어 있는 구강센서의 위치는 환자가 임의적으로 구강센서를 물고 있어야 하므로 엑스레이 촬영시 매번 그 위치가 상이함에 따라 이전 촬영된 영상과 현재 촬영된 영상과의 비교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n intraoral method requires a patient to hold a solid rectangular oral sensor (3 * 4 size) during the examination time so that it does not move in the mouth, so it feels a foreign body feeling, and the needle may be stiff in the mouth, As the patien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oral sensor, a great deal of pain can be felt.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oral sensor inserted in the mouth is required to be held by the patient,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previously captured image with the currently captured image because the position is different each time when the X-ray is taken.
환자가 구강센서를 입안에 삽입함에 따른 이물감 등을 경감하는 것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18139호의 '인트라오랄 센서'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구강센서가 딱딱하므로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 및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위치관계에 따라 휘어짐 정도를 가변할 수 있는 인트라오랄 센서(구강센서)를 제공하고 있으나, 환자는 여전히 구강센서 자체를 입으로 물고 있어야 하므로 불편하며, 여전히 이전 진단과 동일한 위치에 구강센서가 위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18139 discloses an 'intraoral sensor' as a prior art related to alleviating a foreign sensation or the like caused by a patient inserting an oral sensor into a mouth. The prior art provides an intraoral sensor (oral sensor) capable of varying the degree of bowing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in order to reduce the foreign body sensation and pain felt by the patient because the oral sensor is hard. However, An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lace the oral sensor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revious diagnosis.
따라서 인트라 오럴방식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치아 영상정보를 정확히 얻기 위해서는 환자에게 이물감 등의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매번 엑스레이 촬영시에도 동일한 위치에 구강센서가 위치하도록 하는 새로운 치과용 마우스피스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Therefore, in order to accurately obtain the tooth image information to be inspected in the intraoral system, a new dental mouthpiece is required which does not inconvenience a foreign body or the like and allows the oral sensor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every time when taking an X-ray .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에게 이물감 등의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매번 엑스레이 촬영시에도 동일한 위치에 구강센서가 위치함으로써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mouse capable of accurately diagnosing the position of an oral cavity sensor at the same position even when an X-ray is taken each time, Pie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치과용 마우스피스는 몸체, 몸체 가장자리에 환자의 치열을 본떠 이루어진 치열이 형성되고, 구개 또는 혀 밑바닥에 접한 몸체부분에 구강센서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dental mouth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 dentition formed on the edge of the body in accordance with the dentition of the patient, and an oral sensor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a portion of the body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palate or tongue And the mouth sensor insertion groove is form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강센서 삽입홈은 진단하고자 하는 치아의 위치에 따라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oral cavity sensor insertion groove is formed with an oral cavity sensor insertion groove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tooth to be diagnos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치과용 마우스피스는 환자의 치열 형상에 관계없이 상부 치열 또는 하부 치열이 삽입되는 치열 삽입부 및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치열 삽입부와 상기 몸체는 연결 돌기를 통한 끼움 또는 접착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ntal mouthpiece including a dental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n upper or a lower dental tooth is inserted regardless of a dental shape of a patient, And the dental implant insertion portion and the body are connected through fitting or adhesion through the connection protrus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치과용 마우스피스는 환자의 치열 형상에 관계없이 상부 치열 또는 하부 치열이 삽입되는 치열 삽입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구강센서를 부착할 수 있는 구강센서 부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ntal mouth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xtended to one side of a dental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n upper or lower dental tooth is inserted regardless of a dental shape of a patient, And a sensor attaching portion is form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치열을 본떠 만들어 착용시 환자의 치열과 정확하게 일치되고, 또한 구개 또는 혀 밑바닥에 접한 몸체부분에 형성된 삽입홈에 구강센서가 삽입,고정되어 있어 딱딱한 구강센서와 직접 접촉하지 않음으로 환자는 이물감을 전혀 느낄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ral sensor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which is exactly in agreement with the patient's dentition when the patient wears the denti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palate or the bottom of the tongu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tient can not feel any sense of foreign body because he does not make direct contact.
또한 환자가 첫 엑스레이 촬영시 사용한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매 검사시마다 사용함으로써 구강센서가 검사때마다 동일한 위치에 놓임에 따른 진단 영상의 동일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the dental mouthpiece used in the first X-ray photographing of the patient at every inspection enables the diagnosis of the oral cavity sensor to be made at the same position every time the examination is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의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가 환자의 구강내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형상에 상관없이 구강내에 삽입할 수 있는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삽입부와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of a dental mouth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of a dental mouth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 dental mouth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patient's mouth.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dental mouthpiece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regardless of a tooth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dental insertion unit and a body having a mouth insertion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and is mere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being most useful and readily explaining.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Accordingly, it is not intended to provide a more detailed structure than is necessary for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forms that can be practic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의 배면도이다. FIG. 1 is a plan view of a dental mouth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view of a dental mouth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환자 상부 치열의 전부를 본뜨기(impression)하여 해당 환자의 상부 치열에 정확히 매칭되는 치열 삽입부(300)를 몸체(100) 가장자리에 형성하고(도 2 참조), 경구 또는 혀 밑바닥과 접촉하는 몸체부분에 구강센서(미도시)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구강센서 삽입홈(200)이 형성될 수 있다(도 1참조). 1 and 2, the
상기 몸체(100)는 플렉서블한 재질인 알지네이트, 실리콘러버, 폴리설파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환자의 상부 치열 및 구개 또는 하부 치열 및 혀 밑바닥부분에 플렉서블한 재질을 소정의 시간동안 물고 있음으로써 치열 및 입속 형상에 대하여 본뜨기를 통하여 환자의 치열 및 구개, 혀 밑바닥과 동일한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먼저 환자의 상부 치열 또는 하부 치열에 대하여 본뜨기를 진행하고, 환자의 구개 또는 혀 밑바닥 형상에 대하여 본뜨기를 진행한 후 각각의 본뜨기를 상호 접착하거나 끼움 구조를 통하여 서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진단하고자 하는 치아의 위치에 따라 구강센서의 위치가 변경되므로 해당 치아의 검사에 따라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되는 영역은 변경될 수 있다. 즉 진단하고자 하는 치아 위치에 따라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된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를 다수개가 제작되고, 해당 환자의 진단 치아 위치에 맞는 구강센서를 삽입할 수 있는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선택하여 진단영상을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Since the position of the oral sens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oth to be diagnosed, the region where the oral cavity insertion groove is formed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tooth can be changed. That is, a plurality of
구강센서가 삽입되는 몸체부분은 엑스레이 진단을 하고자 하는 대상 치아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구강센서 삽입홈(2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강센서 삽입홈(200)은 구개 또는 혀 밑바닥 형상에 대한 본뜨기 중 플렉서블한 재질이 완전히 굳기 전에 구강센서를 몸체(100)에 힘을 가하여 밀착하고 굳은 후 구강센서를 몸체(100)에서 이탈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상센서 삽입홈(200)은 환자의 진단 대상 치아에 따라 몸체부분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mouth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가 환자의 구강내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S. 3 and 4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 dental mouth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patient's mouth. FIG.
도 3은 구강센서 삽입홈(200)이 보이도록 상부 치열(10)이 지면이 놓이도록 도시한 것으로 도 3을 참고하면,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상부 치열(10)전부에 대하여 본뜨기가 이루어져 몸체(100) 가장자리에 환자의 상부 치열(10)이 정확하게 치열 삽입부(30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치열 중 진단하고자 하는 진단 치아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구강센서(미도시)는 해당 상부 치열의 내측에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강센서 삽입홈(2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하부 치열(20)일부에 대하여만 본뜨기를 진행하여 형성된 치열 삽입부에 하부 치열(20)일부만이 삽입되고, 해당 진단 치아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구강센서는 해당 하부 치열의 내측에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강센서 삽입홈(20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자의 치열 및 구강내부 형상을 본떠 만들어진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진단 대상 치아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구강센서(미도시)를 구강센서 삽입홈(200)에 삽입한 후 환자의 구강내로 끼워질 수 있다.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환자의 치열 및 구강내부 형상을 본떠 만들었으므로 환자는 자신의 치열과 정확히 일치되는 치열 삽입부(300)와 밀착되고, 구강센서도 구강센서 삽입홈(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진단 대상 치아에 대한 엑스레이 검사시 이물감 또는 침이 고이는 등의 불편함이 없이 진단 대상 치아에 대한 정확한 치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환자는 구강센서와 직접 접촉하지 않음으로 딱딱한 구강센서에 대한 이물감을 전혀 느낄 수 없다. 3, the
한편 치료를 받고 있는 진단 치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진단 치아에 대한 여러 차례의 엑스레이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환자의 구강 형상에 정확히 매칭됨과 동시에 구강센서의 위치도 구강센서 삽입홈에 의하여 항상 같은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진단 치아의 치료과정을 판단하기 위하여 현재 획득한 진단 영상과 이전 진단 영상에서 진단 치아의 위치가 동일하므로 의사는 획득한 진단 영상들을 비교하여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ntinuously observe the condition of the diagnosed tooth being treated, several times of x-ray examin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diagnosis tooth.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형상에 상관없이 구강내에 삽입할 수 있는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dental mouthpiece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regardless of a tooth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의 치열 삽입부(500)는 치열이 환자들의 치열 형상에 관계없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열 삽입부(500)는 상부 치열 또는 하부 치열의 일반적인 'U'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치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치열 삽입부(500)과 몸체(100)가 연결되고 몸체에는 구강센서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a)참조). 또는 치열 삽입부(500a) 치아 형상 없이 'U'자형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장되는 몸체(미도시)에 구강센서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b)참조). 치열 삽입부(5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람의 치열은 일반적인 'U'자형이므로, 'U'자형상의 치열 삽입부(500)는 환자들의 치열 형상과 관계없이 치열에 삽입되며, 구강센서 삽입홈과 연결되어 구강센서가 매 검사시 동일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삽입부와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dental insertion unit and a body having a mouth insertion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열 삽입부(500)는 몸체(10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돌기(110)가 형성될 수 있다. 치열 삽입부(500)는 환자의 치열에 본뜨기에 의하지 않고 일반적인 'U'자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돌기(11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돌기(110)는 구강센서 삽입홈이 있는 몸체(100)에 형성된 연결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치열 삽입부(500)와 몸체(100)는 연결 돌기에 따른 연결만이 아닌 접착 등 플렉서블한 두 재질을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연결구조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열 삽입부(500)는 치열 삽입부(500)의 일측에 구강센서를 부착할 수 있는 구강센서 부착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강센서는 상기 구상센서 부착부(520)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또는 표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강센서 부착부(520)는 진단 대상의 치아 위치에 따라 치열 삽입부(5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따라 검사자는 환자의 치열 및 구강 형상을 본뜰 필요가 없이, 진단 치아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강센서 부착부(520)를 갖는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를 선택하고 이를 환자의 구강에 삽입함으로써 매번 정확한 위치에 구강센서를 위치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상부치열 20:하부치열
100:몸체 110:연결 돌기
200:구강센서 삽입홈 300,500:치열 삽입부
520:구강센서 부착부 1000:치과용 마우스피스10: upper dentition 20: lower dentition
100: body 110: connection projection
200: Oral
520: Oral sensor attachment part 1000: Dental mouthpiece
Claims (4)
구개 또는 혀 밑바닥에 접한 몸체부분에 엑스레이 진단을 하고자 하는 대상 치아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구강센서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강센서 삽입홈은 상기 환자의 상부 치열 및 구개 또는 상기 환자의 하부 치열 및 혀 밑바닥 형상에 대한 본뜨기 중 플레서블한 재질이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구강센서를 몸체에 힘을 가하여 밀착하고 굳은 후 상기 구강센서를 이탈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마우스피스.A bod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shaped like an upper dentition and a palate of a patient or a lower dentition of the patient and a shape of a bottom portion of a tongue; And
A mouth sensor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part contacting the palate or the bottom of the tongue so that the oral sensor can be inserted and fix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arget tooth to be subjected to X-
The mouth sensor insertion groove is formed by tightly pressing the mouth sensor against the body before the flexible material of the patient's upper teeth and palate or the lower teeth of the patient and the bottom of the tongue are completely hardened, Wherein the sensor is formed by releasing the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12144A KR101954262B1 (en) | 2016-08-31 | 2016-08-31 | Mouthpiece for the denti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12144A KR101954262B1 (en) | 2016-08-31 | 2016-08-31 | Mouthpiece for the dentis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25518A KR20180025518A (en) | 2018-03-09 |
| KR101954262B1 true KR101954262B1 (en) | 2019-03-06 |
Family
ID=6172795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121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954262B1 (en) | 2016-08-31 | 2016-08-31 | Mouthpiece for the dentis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54262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39410A (en) | 2020-09-22 | 2022-03-29 | 송영국 | Dental appatatus for keeping interocclusal distan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62910B1 (en) | 2020-07-08 | 2021-06-09 | 류성훈 | Mouthpiece for oral protection of dental anesthesia patients |
| KR102267169B1 (en) | 2020-11-27 | 2021-06-18 | 류성훈 | Center-type mouthpiece for oral protection of dental anesthesia patients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043465A (en) | 2004-08-06 | 2006-02-16 | Gendex Corp | Image sensor for dental X-ray imaging |
| JP2012125455A (en) * | 2010-12-16 | 2012-07-05 | Rohm Co Ltd | Intraoral imag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57323A (en) * | 2008-11-21 | 2010-05-31 | 주식회사바텍 | Photographing method of teeth shape |
| KR20150130796A (en) * | 2014-05-14 | 2015-11-24 | 주식회사바텍 | Bite for photographing X-ray image of insidemouth and indicator having the same |
| KR102325337B1 (en) | 2014-08-08 | 2021-11-12 | 주식회사 레이언스 | Intraoral sensor |
-
2016
- 2016-08-31 KR KR1020160112144A patent/KR10195426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043465A (en) | 2004-08-06 | 2006-02-16 | Gendex Corp | Image sensor for dental X-ray imaging |
| JP2012125455A (en) * | 2010-12-16 | 2012-07-05 | Rohm Co Ltd | Intraoral imaging apparatu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39410A (en) | 2020-09-22 | 2022-03-29 | 송영국 | Dental appatatus for keeping interocclusal distan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25518A (en) | 2018-03-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TWI602547B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in mouth for dental implant | |
| KR101862815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 |
| KR101631256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in mouth for dental implant using tray | |
| US9763757B2 (en) |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oral-maxillofacial anatomical representation | |
| US20110045431A1 (en) | Bone screw linking device | |
| KR101594497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u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arker in mouth for dental implant | |
| WO2007063980A1 (en) | Intraoral panoramic image pickup device and intraoral panoramic image pickup system | |
| US20160008107A1 (en) | Bite fork with recesses | |
| JP2011177451A (en) | Dental diagnosis system and dental care system | |
| Bostancıoğlu et al. | Comparison of two different digital occlusal analysis methods | |
| KR101550369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 |
| CN105979909B (en) | Bite recorder for edentulous patients | |
| CN113412098A (en) | Dental system with reference lines for human anatomic position and plane analysis incorporating digit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s | |
| CN111658195A (en) | Multifunctional tray for dental implantation double-scanning matching and jaw position recording and use method | |
| KR101954262B1 (en) | Mouthpiece for the dentist | |
| KR20200030745A (en) | Impressing tray and dentur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impressing tray and ct imaging apparatus | |
| KR102226949B1 (en) | Impression tray set and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 |
| KR101675503B1 (en) | reference wire attached in mou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using thereof for dental implant | |
| KR102221475B1 (en) | Method of facebow transfer to virtual articulator using a scanmarker for physical articulator | |
| US12251255B2 (en) | Intra-oral bite device and method of recording an anatomical feature of a patient by using the intra-oral bite device | |
| RU2659130C1 (en) | Device for evaluating intraosseous blood flow in periodontal tissues | |
| EP4458314A1 (en) |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 corrective dental splint for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functional, orthodontic and orthopedic problems of a patient | |
| Iizumi et al. |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sleep bruxism‐related splint wear using a dental laboratory scanner: A preliminary clinical study | |
| KR101883942B1 (en) | dental retractor | |
| KR101862820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T12-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not gran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2-oth-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2-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not gran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2-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