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154B1 - 전원 켜짐부터 전기충격 지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및 그 구동방법을 이용한 제세동기 - Google Patents
전원 켜짐부터 전기충격 지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및 그 구동방법을 이용한 제세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7154B1 KR101957154B1 KR1020190003533A KR20190003533A KR101957154B1 KR 101957154 B1 KR101957154 B1 KR 101957154B1 KR 1020190003533 A KR1020190003533 A KR 1020190003533A KR 20190003533 A KR20190003533 A KR 20190003533A KR 101957154 B1 KR101957154 B1 KR 101957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shock
- electrocardiogram
- unit
- time
- ventricular fibrill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08000003663 ventricular fibrillation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2680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claims 4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06010003119 arrhyth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10496 Heart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793 arrhythmia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367 arter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1871 Tachycard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0 blood supp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218 bradycard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471 bradycardia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31 bra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74 brain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08000029028 brain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794 tachycardia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61 ventri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281 Ventricular arrhyth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4 immediate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65 myocard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27 tracheal int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 A61B5/0402—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61N1/3904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in combination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75—Power supply
- A61N1/3981—High voltage charging circuit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87—Heart defibrillators characterised by the timing or triggering of the sho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61—Detecting fibril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전도 검출부, 연산처리부, 전기 충격부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에 있어서, 연산처리부는, 키입력부의 전원 스위치가 온(on)되면, 심전도 검출부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전기 충격부의 에너지 충전부로 충전 지시신호를 전송하여, 에너지 충전부로 하여금, 전기충격 전원부의 에너지를 기 설정된 기준치까지 충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산처리부는, 심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1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를 판단하여, 심실세동이라고 판단되었으면, 전기충격 시점이라고 판단하고, 스피커를 통해 전기충격 안내를 행한다. 전기충격시점이라고 판단된 이후부터, 스피커를 통해 전기충격 안내를 행하기까지의 시간 동안의 심전도 신호에서, 2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를 판단하여, 심실세동이라고 판단되면, 전기충격신호를 생성하여 전기 충격부로 전송하고, 심실세동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기충격시점이라고 판단한 것을 캔슬(Cancle)하고, 상기 캔슬이 연속하여 3회 일어났는지를 판단하여, 연속 3회 일어났다면, 방전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에너지 방전부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전원 켜짐부터 전기충격 지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10: 제세동기 115: 심전도 신호 전처리부
117: A/D 변환부 120: 연산처리부
125 : 키입력부 130:모니터부
160:에너지 충전부 165:에너지 방전부
170:전기 충격 전원부 171:전기 충격부
175:제세동기 전극부 176:제세동 전극 구동부
180:메모리부 200:음향출력부
Claims (19)
- 심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심전도 검출부; 심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심실세동 여부를 판단하고, 심실세동이면 전기충격신호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 연산처리부로부터 전기충격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세동 전극에 고 에너지를 인가하여, 전기충격이 행해지게 하는 전기 충격부;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에 있어서,
연산처리부는,
키입력부의 전원 스위치가 온(on)되면, 심전도 검출부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전기 충격부의 에너지 충전부로 충전 지시신호를 전송하여, 에너지 충전부로 하여금, 전기충격 전원부의 에너지를 기 설정된 기준치까지 충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 제1항에 있어서, 연산처리부는,
심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1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를 판단하여, 심실세동이라고 판단되었으면, 전기충격 시점이라고 판단하고, 스피커를 통해 전기충격 안내를 행하고,
전기충격시점이라고 판단된 이후부터, 스피커를 통해 전기충격 안내를 행하기까지의 시간동안의 심전도 신호에서, 2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를 판단하여, 심실세동이라고 판단되면, 전기충격신호를 생성하여 전기 충격부로 전송하여, 전기 충격부로 하여금 전기충격을 행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 제2항에 있어서, 연산처리부는,
2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 판단시에 심실세동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기충격시점이라고 판단한 것을 캔슬(Cancel)하고, 상기 캔슬이 연속하여 3회 일어났는지를 판단하여, 연속 3회 일어났다면, 방전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에너지 방전부로 전송하여, 에너지 방전부로 하여금 전기 충격 전원부에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충격부에 의해 전기충격이 행해진 후, 또는 연산처리부가 방전지시 신호를 에너지 방전부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심폐소생술 시간구간이 시작되며,
연산처리부는, 심폐소생술 시간구간이 끝나면, 심전도 검출부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전기 충격부의 에너지 충전부로 충전 지시신호를 전송하여, 에너지 충전부로 하여금, 전기충격 전원부의 에너지를 기 설정된 기준치까지 충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 제4항에 있어서,
심폐소생술 시간구간은 2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 제2항에 있어서, 연산처리부는,
심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1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를 판단하여, 심실세동이 아니라고 판단되었으면, 방전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에너지 방전부로 전송하여, 에너지 방전부로 하여금 전기 충격 전원부에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 제4항에 있어서,
연산처리부는,
2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 판단시에 심실세동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기충격시점이라고 판단한 것을 캔슬(Cancel)하고, 상기 캔슬이 연속하여 3회 일어났는지를 판단하여, 연속 3회 일어나지 않았다면,
연산처리부는 심전도 검출부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전기 충격부의 에너지 충전부로 충전 지시신호를 전송하여, 에너지 충전부로 하여금, 전기충격 전원부의 에너지를 기 설정된 기준치까지 충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 제1항에 있어서,
심전도 검출부는,
심전도 신호의 분석과 에너지의 충전을 동시에 행하기 위해, 심전도 신호에서 고전압 충전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심전도 신호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 제1항 또는 제4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준치는, 소아 또는 성인에 따라서 다르거나, 또는 나이에 따라서 다르거나, 또는 몸무게에 따라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 키입력부의 전원 스위치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 연산처리부의 충전지시 신호에 따라 에너지 충전부는 전기 충격 전원부의 에너지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같을 때까지 충전하는, 충전단계;
키입력부의 전원 스위치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 충전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며, 연산처리부가 심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1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를 판단하는 심전도 분석단계;
심전도 분석단계 후, 연산처리부는, 심실세동 여부에 따라, 전기충격 시점여부를 판단하며, 심전도 분석단계에서 심실세동이라고 판단되었으면, 전기충격 시점으로 판단하여, 전기충격 플레그를 세트하고, 음향출력부를 통해 전기충격 안내를 행하는, 전기충격시점 판단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전기충격시점 판단단계에서 전기충격 시점으로 판단 경우, 연산처리부는, 전기충격시점 판단단계 단계에서, 전기충격 플레그를 세트한 시점부터, 음향출력부를 통해 전기충격 안내를 행하기까지의 시간 동안의 심전도 신호에서, 2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를 판단하고, 심실세동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기충격 플레그를 리셋하여, 전기충격을 캔슬하는, 충격 캔슬여부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연산처리부가, 충격 캔슬여부 판단단계에서 2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의 판단시에, 심실세동이 아니라고 판단되어, 전기충격이 캔슬된 경우에, 전기충격의 캔슬이 연속하여 3번 일어났는지를 판단하는, 캔슬 연속 3회 판단단계;
연산처리부가, 전기충격시점 판단단계에서 전기충격시점이 아니라고 판단하였거나, 또는, 캔슬 연속 3회 판단단계에서 전기충격의 캔슬이 연속하여 3번 일어났다고 판단하였으면, 방전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에너지 방전부로 전송하는, 방전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연산처리부가, 충격 캔슬여부 판단단계에서 2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의 판단시에, 심실세동이라고 판단되면, 전기충격신호를 생성하여 전기 충격부로 전송하여, 전기 충격부로 하여금 전기충격을 행해지게 하는, 전기충격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캔슬 연속 3회 판단단계에서, 전기충격의 캔슬이 연속하여 3번 일어나지 않았다면, 연산처리부는 충전단계 및 심전도 분석단계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전기충격단계 후에, 또는 방전단계 후에, 심폐소생술 시간구간이 시작되며,
연산처리부는 심폐소생술 시간구간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심폐소생술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심폐소생술 단계 후, 연산처리부는 충전단계 및 심전도 분석단계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심전도 분석단계에서, 연산처리부가 심전도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신호에서, 충전단계 수행시 발생되는 고전압 충전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심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1차적으로 심실세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기준치는, 소아 또는 성인에 따라서 다르거나, 또는 나이에 따라서 다르거나, 또는 몸무게에 따라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세동기 구동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L19782107.7T PL3777970T3 (pl) | 2018-04-02 | 2019-03-25 | Defibrylator skracający czas od włączenia zasilania do dostarczenia wstrząsu elektrycznego |
| PCT/KR2019/003455 WO2019194444A1 (ko) | 2018-04-02 | 2019-03-25 | 전원 켜짐부터 전기충격 지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및 그 구동방법을 이용한 제세동기 |
| ES19782107T ES2962650T3 (es) | 2018-04-02 | 2019-03-25 | Desfibrilador para reducir el tiempo desde el encendido hasta la indicación de descarga eléctrica |
| EP19782107.7A EP3777970B1 (en) | 2018-04-02 | 2019-03-25 | Defibrillator for reducing time taken from powering-on up to electrical shock ind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80037911 | 2018-04-02 | ||
| KR1020180037911 | 2018-04-02 | ||
| KR1020180174188 | 2018-12-31 | ||
| KR20180174188 | 2018-12-31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57154B1 true KR101957154B1 (ko) | 2019-07-04 |
Family
ID=672595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03533A Active KR101957154B1 (ko) | 2018-04-02 | 2019-01-10 | 전원 켜짐부터 전기충격 지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및 그 구동방법을 이용한 제세동기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EP (1) | EP3777970B1 (ko) |
| KR (1) | KR101957154B1 (ko) |
| ES (1) | ES2962650T3 (ko) |
| PL (1) | PL3777970T3 (ko) |
| WO (1) | WO2019194444A1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72212B1 (ko) * | 2021-09-24 | 2022-03-10 | (주)나눔테크 | 신속한 전기충격을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및 이의 충전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23104241A (ja) * | 2022-01-17 | 2023-07-28 |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 自動体外式除細動器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815266B2 (ja) * | 1992-07-15 | 1998-10-27 | カルディアック ペースメー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細動除去・電気除細動システム |
| JP2008543479A (ja) * | 2005-06-23 | 2008-12-04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自動ショックファースト/cprファーストアルゴリズムを有する除細動器 |
| KR20170122680A (ko) * | 2016-04-27 | 2017-11-06 | 주식회사메디아나 | 심장 제세동용 고전압 충전 시간 절감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
| JP2017538493A (ja) * | 2014-12-12 | 2017-12-28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 デュアルecg解析アルゴリズムを用いた自動体外式除細動器(aed)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30095648A1 (en) * | 1999-10-05 | 2003-05-22 | Lifecor, Inc. | Fault-tolerant remote reprogramming for a patient-worn medical device |
| CN101001668A (zh) | 2004-08-09 | 2007-07-18 |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 具有基于预心肺复苏心电图的除纤颤电击的外部除纤颤器 |
| US7904152B2 (en) | 2004-12-09 | 2011-03-08 | Physio-Control, Inc. | External defibrillator with charge advisory algorithm |
| US7877139B2 (en) * | 2006-09-22 | 2011-01-25 | Cameron Health, Inc. | Method and device for implantable cardiac stimulus device lead impedance measurement |
| US20090005827A1 (en) * | 2007-06-26 | 2009-01-01 | David Weintraub | Wearable defibrillator |
| KR20140126649A (ko) * | 2013-04-23 | 2014-10-31 | 김권영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 |
-
2019
- 2019-01-10 KR KR1020190003533A patent/KR101957154B1/ko active Active
- 2019-03-25 WO PCT/KR2019/003455 patent/WO2019194444A1/ko not_active Ceased
- 2019-03-25 PL PL19782107.7T patent/PL3777970T3/pl unknown
- 2019-03-25 EP EP19782107.7A patent/EP3777970B1/en active Active
- 2019-03-25 ES ES19782107T patent/ES2962650T3/es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815266B2 (ja) * | 1992-07-15 | 1998-10-27 | カルディアック ペースメー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細動除去・電気除細動システム |
| JP2008543479A (ja) * | 2005-06-23 | 2008-12-04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自動ショックファースト/cprファーストアルゴリズムを有する除細動器 |
| JP2017538493A (ja) * | 2014-12-12 | 2017-12-28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 デュアルecg解析アルゴリズムを用いた自動体外式除細動器(aed) |
| KR20170122680A (ko) * | 2016-04-27 | 2017-11-06 | 주식회사메디아나 | 심장 제세동용 고전압 충전 시간 절감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72212B1 (ko) * | 2021-09-24 | 2022-03-10 | (주)나눔테크 | 신속한 전기충격을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및 이의 충전방법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9194444A1 (ko) | 2019-10-10 |
| ES2962650T3 (es) | 2024-03-20 |
| EP3777970B1 (en) | 2023-10-11 |
| EP3777970A1 (en) | 2021-02-17 |
| PL3777970T3 (pl) | 2024-03-18 |
| EP3777970C0 (en) | 2023-10-11 |
| EP3777970A4 (en) | 2023-01-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400749B2 (en) | Defibrillator charging | |
| CN102781513B (zh) | 用于向病人提供电疗法的装置和体外除颤器 | |
| JP4938751B2 (ja) | 除細動ショックまでの遅延が最小化された心肺蘇生を実行する除細動器 | |
| CN100584410C (zh) | 自动体外除纤颤器中的cpr灵敏的ecg分析 | |
| JP6080021B2 (ja) | Cpr深さ情報を含む除細動器ディスプレイ | |
| US9795799B2 (en) | AED having mandatory pause for administrating CPR | |
| US9474907B2 (en) | AED having CPR period with pause for ECG acquisition | |
| KR102079749B1 (ko) | 심장 제세동용 고전압 충전 시간 절감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 |
| US20080103402A1 (en) | Motion detection system for an external defibrillator | |
| GB2446826A (en) | Resuscitation decision support | |
| JP2008508976A (ja) | 心肺蘇生の実施に先立って取得された心電図信号に基づいて除細動ショックを与えるための体外式除細動器 | |
| KR101957154B1 (ko) | 전원 켜짐부터 전기충격 지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제세동기 구동방법 및 그 구동방법을 이용한 제세동기 | |
| KR20240165053A (ko) | 이중 연속 제세동 쇼크를 발생시키는 제세동 시스템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0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