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649B1 -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ing color recognition - Google Patents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ing color recogni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8649B1 KR101958649B1 KR1020170021350A KR20170021350A KR101958649B1 KR 101958649 B1 KR101958649 B1 KR 101958649B1 KR 1020170021350 A KR1020170021350 A KR 1020170021350A KR 20170021350 A KR20170021350 A KR 20170021350A KR 101958649 B1 KR101958649 B1 KR 1019586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acter
- finger
- colors
- color
- gl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06K9/4652—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의 손가락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된 글러브(glove)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다수의 컬러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출력하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글러브에 장착되고, 다수의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하는 다수의 컬러를 구비한 표시 부재, 상기 글러브에 장착되고, 상기 표시 부재에 마련된 다수의 컬러를 촬영하며, 촬영된 컬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는 판단 수단, 상기 판단 수단과의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판단 수단에서 판단된 문자 또는 숫자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촬영된 컬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여 출력하는 것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의 출력을 정밀도 높게 실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outputting a desired character or number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olors using a wearable device in the form of a glob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of a user, A display memb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lors corresponding to characters or numbers of the display members, a determination unit mounted on the glove, for capturing a plurality of colors provided on the display member and recognizing letters or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colors, And outputting means for outputting a character or a number determined by the judging means by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judging means. By recognizing and outputting a character or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color, The output can be realized with high precis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된 글러브(glove)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다수의 컬러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출력하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in the form of a glob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of a user,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전자, 컴퓨터,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전자 장치 및 컴퓨터를 위하여 여러 가지 사용자 입력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0003] As electronic,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evolved, various user input means have been used for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s.
이러한 사용자 입력 수단 중 널리 알려진 것들은 키보드, 마우스, 전자펜, 스타일러스 등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은 직접 능동적으로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서 사용자 입력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사용자 입력 수단은 사용자 입력의 대상이 되는 장치에 더하여 또는 장치와는 별도로 인위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다.Among these user input means, keyboard, mouse, electronic pen, stylus and the like are widely known. Such a user input means can actively generate an electric signal directly to allow user input to be accurately performed. However, such a user input means should be provided artificially in addition to or in addition to the device to be subjected to user input.
한편, 카메라 등의 촬상 수단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가 만들어 내는 손의 위치 또는 모양이나 신체의 모양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결정하는 제스처 인식 기반의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 gesture recognition-based technique for determining a user's input based on the position or shape of a hand produced by a user or the shape of a body recognized by an imaging means such as a camera is also being developed.
최근 들어 스마트폰을 대체하는 차세대 기술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급속하게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wearable devices have been rapidly developed as a next generation technology that replaces smart phones.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1960년대 MIT, 카네기 멜론 대학 등에서 처음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2010년 이후에 스마트폰 활성화 이후로 급속하게 현실로 다가올 정도로 기술적인 혁신을 이루기 시작하였다. 특히 2010년 이후에는 기존의 연구 및 개발에서 추진해오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를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로 실시간 상호 전송 교환해 서로 연동하는 방식인 연결된 장치(connected device) 형태로 바뀌고 있다.These wearable devices were first researched at the MIT and Carnegie Mellon universities in the 1960s, but after the activation of the smartphones since 2010, they have started to achieve technological innovations that rapidly become reality. Especially after 2010, rather than using the wearable devices that have been pursued in exis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rather than using connected devices as a way to exchange information gathered from wearable devices in real time and exchange them with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One example of such a technique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to 3 below.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장갑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션(motion)을 인식하는 모션 감지 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부러짐을 감지하기 위한 굽힘 감지 센서, 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감지 센서, 사용자 모션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모션 감지 센서, 상기 굽힘 감지 센서, 상기 터치 감지 센서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모션을 판단하고, 판단된 모션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점자 패턴을 형성하는 액츄에이터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wearable device in the form of a glove that can be worn on a wearer's body.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motion sensor for recognizing motion of the wearable device, a bending sensor for detecting bending of the wearable de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control code corresponding to a user's motion,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motion of a wear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based on a sensed value of the motion sensor, the bending sensor,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using a control cod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motion;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receiving data to be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ms a braille pattern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An actuator is described for the wearable device comprising: a.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섯 개의 손가락이 있는 장갑 형상의 본체(11)에 입력점과의 접촉을 위한 엄지손가락의 끝점(13), 나머지 네 개의 손가락인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그리고 새끼손가락의 앞과 뒷 마디에 다수의 입력점(14, 15, 16, 17), LED 표시기(18)를 구성하고, 이 입력점들과 디지털 회로부(12)와의 사이를 도선(19)으로 연결되며, 장갑의 엄지손가락 끝단에 위치하고 도선이 연결되어 있어 전류가 공급될 수 있는 도전성 패드(Pad), 장갑의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새끼손가락에 각각 간격을 가지고 위치하고 도선과 연결되어 있어 엄지손가락 패드의 접촉에 의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다수의 도전성 패드, 도선으로 다수의 패드들과 연결되어 패드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해석하고 해당 문자신호를 출력하는 해석기, 해석기에서 출력되는 문자신호를 외부정보기기에 유선과 무선으로 전달하는 통신장치로 구성되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갑형 문자입력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1, a glove-
또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서로 다른 컬러를 가지는 복수 개의 컬러 패턴들 및 상기 컬러 패턴들의 배경으로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컬러 마커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컬러 패턴들이 존재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컬러 마커 별로 독립적으로,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상기 컬러 마커의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컬러를 이용하여 상기 컬러 마커의 컬러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패턴을 가지는 서브 마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마크 인식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Also,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장갑 형태를 구비하고, 굽힘 감지 센서, 터치 감지 센서 등 다수의 센서를 사용하므로, 이러한 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값의 조합 등에 의한 판단 과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도 있었다.Howev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1, as a wearabl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 glove shape that can be worn on a user's body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sensors such as a bending detection sensor and a touch detection sensor ar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 of judging by combination of detection values is complicated and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각각의 손가락에 도선으로 연결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가 마련되고, 엄지손가락과 각각의 패드의 접촉에 의해 문자 신호를 생성하므로, 사용자가 정확한 접촉을 유지해야 하며, 도선의 일부가 절단되는 경우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장치들이 모든 접점에 접점센서 및 접점스위치를 손가락 마디마다 모두 부착하기 때문에, 센서 및 스위치의 숫자가 많아지고 제조상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며, 다수의 센서를 사용하다 보니 한 개의 센서의 고장에도 특징 입력 키를 입력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Furth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또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컬러 패턴들이 존재하는 영역을 검출하고 컬러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패턴을 가지는 서브마커를 추출하는 구조로서, 각각의 컬러를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이 복잡하고, 대응 색상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다수의 컬러를 촬영하여 문자 또는 숫자로 출력할 수 있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capturing a plurality of colors preset in correspondence with letters or numbers and outputting them as letters or numb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와 스위치의 단순 조작에 의해 표시 부재에 마련된 다수의 컬러를 촬영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출력할 수 있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capturing a plurality of colors provided on a display member by simple operation of a camera and a switch and outputting a character or numb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글러브에 다수의 컬러로 이루어진 표시 부재를 마련하여 저렴하고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which can provide a cheap and large-scale production by providing a display member made up of a plurality of colors in a glo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된 글러브(glove)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출력하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글러브에 장착되고, 다수의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하는 다수의 컬러를 구비한 표시 부재, 상기 글러브에 장착되고, 상기 표시 부재에 마련된 다수의 컬러를 촬영하며, 촬영된 컬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는 판단 수단, 상기 판단 수단과의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판단 수단에서 판단된 문자 또는 숫자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transmitting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hat outputs a desired character or number by using a wearable device in the form of a globe, A system comprising: a display member mounted on the glov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lo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etters or numbers; a plurality of colors mounted on the glove, the plurality of colors provided on the display member; A determination means for recognizing a character or a number, and an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character or a numb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means by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termination means.
또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글러브에서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새끼손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글러브에서 엄지손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ember is provided in each of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index finger, the thumb finger, the medicinal finger and the small finger in the glove, and the judging means corresponds to the thumb in the glove Is provided.
또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상기 표시 부재는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각각의 첫 마디, 중간 마디,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과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각각의 손톱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ember includes a first finger, a middle finger,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nger bottom of each of the index finger, the middle finger, The finger, the phalanges, and the small fingers, respectively.
또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다수의 컬러에 대한 정보 및 다수의 컬러의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다수의 컬러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상태를 조작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컬러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시켜 문자 또는 숫자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means may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colors and information on a character or a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lor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character or a number corresponding to a color captured by the camera and a character or a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switch,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character or number to the output means.
또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상기 출력 수단은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TV 또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에 문자 또는 숫자로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means may be any one of a smart phone, a smart pad, a smart TV, a notebook computer, and a desktop computer,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in letters or numbers on the display unit or is outputted as a voice through a speaker.
또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상기 스위치는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또는 새끼손가락 중의 어느 하나와 엄지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is operated by any one of the index finger, the thumb finger, the phalanges or the small finger and the thumb.
또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상기 다수의 컬러의 각각은 상기 글러브에 도색되고, 15가지의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lors is painted on the glove and is made up of 15 different colo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 의하면, 글러브에 마련된 다수의 컬러를 구비한 표시 부재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컬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여 출력하는 것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의 출력을 정밀도 높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colors provided in a glove is photographed by a camera, and a character or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color is recognized and output The effect that the output of the letter or the number can be realized with high accuracy can be obtained.
또,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 의하면, 글러브에 마련된 다수의 컬러에 따라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s or numbers can be recognized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olors provided in the glove, so that the system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 의하면, 글러브에 다수의 컬러를 도색하고, 카메라를 구비한 판단 수단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간단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acter or a number can be recognized by painting a plurality of colors on a glove and attaching a judgment means having a camera, so that the system can be mass- .
또,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과 같이 다수의 센서 및 도선 등을 사용하지 않으며, 글러브에 다수의 컬러를 도색 또는 부착하는 구조에 의해 시스템의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s and wires are not used as in the prior art, and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s are painted or attached to a glove is reduced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도 1은 종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갑형 문자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표시 부재가 글러브에 마련된 상태에서 전환키, 한글 문자키 등의 자판을 표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표시 부재가 글러브에 마련된 상태에서 숫자키 등의 자판을 표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표시 부재가 글러브에 마련된 상태에서 영문 문자키 등의 자판을 표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단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문자 또는 숫자를 생성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loved let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keyboard such as a switching key, a Hangul character key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a display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 glove,
4 is a view showing a keyboard of a numeric key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a display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 glove,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keyboard such as an English character key in a state in which a display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 glov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rmin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generating letters or nu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은 사용자의 손에 장착한 장갑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출력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문자 또는 숫자'는 통상의 키보드에 표시된 문자키, 숫자키, 문장부호 키, 기능키, 엔터키, 이동키, 삭제키, 한글/영문/숫자 전환키 등에 의해 생성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의미한다.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outputting a letter or number desired by a user using a glove-shaped wearable device mounted on the user's hand. The term " letter or number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letters, numerals, punctuation keys, function keys, enter keys, movement keys, deletion keys, characters generated by a Korean / English / Or a number.
즉,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표시 부재에서 다수의 컬러는 통상의 키보드에서의 각각 문자키, 숫자키, 문장부호 키, 기능키, 엔터키, 이동키, 삭제키, 한글/영문/숫자 전환키 등에 대응하여 마련된다.That is, in the display member which is a constituent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lors are each a character key, a numeric key, a punctuation key, a function key, an enter key, a move key, a delete key, Respectively.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글러브(glove)'는 5개의 손가락을 분리한 형태의 장갑으로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색을 도색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The term 'glo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glove having five fing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a structure capable of painting various colors is sufficient.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된 글러브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출력하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글러브(100)에 장착되고, 다수의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하는 다수의 컬러를 구비한 표시 부재(200), 상기 글러브(100)에 장착되고, 상기 표시 부재(200)에 마련된 다수의 컬러를 촬영하며, 촬영된 컬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는 판단 수단(300), 상기 판단 수단(300)과의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판단 수단(300)에서 판단된 문자 또는 숫자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4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ystem for transmitting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outputting a desired character or number by using a wearable device in the form of a glove, A
상기 글러브(100)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상의 장갑으로서, 장갑의 표시에 다양한 컬러를 도색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글러브(100)에 다수의 컬러를 구비한 표시 부재(200)를 마련하므로, 표시 부재(200)에 적용되는 색상과 다른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상기 표시 부재(20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The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표시 부재(200)가 글러브(100)에 마련된 상태에서 전환키, 한글 문자키 등의 자판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표시 부재(200)가 글러브(100)에 마련된 상태에서 숫자키 등의 자판을 표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표시 부재(200)가 글러브(100)에 마련된 상태에서 영문 문자키 등의 자판을 표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key board such as a conversion key and a Hangul character key in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부재(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러브(100)에서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새끼손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 부재(200)는 글러브(100)의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각각의 첫 마디, 중간 마디,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과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각각의 손톱에 대응하는 부분에 도색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각의 컬러에 대응하는 스티커 등을 부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이와 같은 표시 부재(20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가지의 서로 다른 색상으로 마련되며, 집게손가락의 각각의 첫 마디, 중간 마디,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색, 노란색, 파란색의 순서로 마련되고, 가운뎃손가락 각각의 첫 마디, 중간 마디,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하늘색, 귤색, 빨간색의 순서로 마련되고, 약손가락 각각의 첫 마디, 중간 마디,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갈색, 풀색, 보라색의 순서로 마련되고, 새끼손가락 각각의 첫 마디, 중간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검은색, 하얀색의 순서로 마련되며,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각각의 손톱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바다색, 녹색, 연두색, 밝은 보라색의 순서로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3, for example, the
상술한 바와 같은 엄지손가락,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각각의 첫 마디, 중간 마디,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과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각각의 손톱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15가지의 각각의 색상은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이와 같은 색상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ach of the nails of the thumb, index finger, thumb finger, medial finger, middle finger, corresponding part of the finger of the end node and the index finger, phallus finger, and small finger of each finger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fifteen respective colors provid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emitting portion is exemplarily shown, and is not limited to such a color structure.
상기 판단 수단(300)에 대해서는 도 6에 따라 설명한다.The determination means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단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rmin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판단 수단(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러브(100)에서 엄지손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판단 수단(300)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각각의 첫 마디, 중간 마디,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과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각각의 손톱에 대응하는 부분을 촬영함과 동시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정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judging mean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umb in the
상기 판단 수단(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컬러에 대한 정보 및 다수의 컬러의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10), 상기 다수의 컬러를 촬영하는 카메라(320), 상기 카메라(320)의 촬영 상태를 조작하는 스위치(330), 상기 스위치(3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320)에서 촬영된 컬러와 상기 저장부(310)에 저장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시켜 문자 또는 숫자를 판단하는 제어부(340), 상기 제어부(340)에서 판단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400)으로 전송하는 통신부(350) 및 저장부(310), 제어부(340)과 통신부(350)에 각각 소요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6, the
상기 저장부(310)는 통상의 메모리 부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컬러인 황색, 노란색, 파란색, 하늘색, 귤색, 빨간색, 갈색, 풀색, 보라색, 검은색, 하얀색, 바다색, 녹색, 연두색, 밝은 보라색에 대한 정보 및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손가락의 첫 마디 부분에 마련된 황색에 대응하는 한글 문자 'ㄷ, ㅌ'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7'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문자 'G, H, I, g, h, i'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Th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각각의 한글, 숫자, 영문자의 변경은 집게손가락의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파란색의 정보에 대응하여 실행된다. The change of each Hangul, the number and the alphabetic characters shown in Figs. 3 to 5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blue information provided a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finger of the tip of the forefinger.
상기 카메라(320)는 글러브(100)에서 엄지손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될 정도의 소형이고, 표시 부재(200)에 마련된 다수의 컬러를 촬영하고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해상도를 구비하면 충분하다.The
상기 스위치(330)는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의 손톱 부분의 전면에 마련되고, 카메라(330)의 ON/OFF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접점 스위치의 구조를 적용하며, 카메라(320)와 스위치(330)의 접촉 구조는 통상의 스위치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 제어부(3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지고, 카메라(320)에서 촬영된 컬러와 스위치(320)의 조작 횟수에 따라 저장부(310)에 저장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시켜 문자 또는 숫자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320)로 집게손가락의 첫 마디 부분에 마련된 황색을 촬영하고 스위치(330)를 조작하고(문자 'ㄷ'에 대응), 이어서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부분에 마련된 녹색을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며(문자 '.'에 대응), 약손가락의 손톱 부분에 마련된 연두색을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면(문자 'ㅣ'에 대응), 제어부(340)는 문자 '더'를 생성하여 통신부(350)로 전달한다.The
상기 통신부(350)는 통상의 유무선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출력 수단(400)과의 지그비 통신, RFID 통신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The
또 상기 설명에서는 메모리(310)와 제어부(340)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저장부(310)과 제어부(340)과 하나의 반도체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구성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프로그램 모듈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lthough the
상기 출력 수단(400)은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TV 또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중의 어느 하나이며, 통신부(350)를 통해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정보를 출력 수단(400)에 마련된 표시부(디스플레이 등을 위한 액정 표시부에 대응)에 문자 또는 숫자로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means 400 is any one of a smart phone, a smart pad, a smart TV, a notebook computer, and a desktop computer. The output means 400 may output information on characters or numbers transmitted through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다양한 컬러에 대응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tters or numbers can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various colors photographed by the camera.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 의해 문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의 일 예에 대해 도 7에 따라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a process of generating and displaying a character by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문자 또는 숫자를 생성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letters or nu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한글 문자 '학교'는 가운뎃손가락 중간 마디 부분에 마련된 귤색을 카메라(320)로 촬영하고 스위치(330)를 조작한 후 다시 한번 귤색을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는 문자 'ㅎ'을 판단하고, 약손가락의 손톱 부분에 마련된 연두색을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한 후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부분에 마련된 녹색을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는 문자 'ㅏ'을 판단하여 문자 '하'를 생성하며, 약손가락 첫 마디 부분에 마련된 갈색을 카메라(320)로 촬영하고 스위치(3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는 문자 'ㄱ'을 판단하여 문자 '학'을 생성한다. 제어부(340)에 의해 생성된 문자 '학'은 통신부(350)를 통해 출력 수단(400)으로 전송되고, 출력 수단(400)은 문자 '학'을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한다.As shown in FIG. 7, for example, the Korean character 'school' photographs the orange color provided at the middle part of the finger, and photographs the orange color once again after operating the
이어서, 약손가락 첫 마디 부분에 마련된 갈색을 카메라(320)로 촬영하고 스위치(3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는 문자 'ㄱ'을 판단하고,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부분에 마련된 녹색을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며 다시 한번 녹색을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한 후 집게손가락의 손톱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바다색을 카메라(320)로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는 문자 'ㅛ'을 판단하여 문자 '교'를 생성한다. 제어부(340)에 의해 생성된 문자 '교'는 통신부(350)를 통해 출력 수단(400)으로 전송되고, 출력 수단(400)은 문자 '교'를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출력 수단(400)에 마련된 표시부에는 문자 '학교'가 표시된다.Then, by photographing the brown color provided at the first node of the fingertip with the
또 숫자 '123'을 표시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한글 입력 상태에서 숫자 전환키인 집게손가락의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파란색을 카메라(320)로 촬영하고 스위치(3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입력 상태로 전환된다. In addition, when the number '123' is displayed, the
그 후, 집게손가락의 손톱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바다색을 카메라(320)로 촬영하고 스위치(3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는 숫자 '1'을 판단하여, 가운뎃손가락의 손톱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녹색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는 숫자 '2'를 판단하며, 약손가락의 손톱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연두색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가 숫자 '3'을 판단한다. 제어부(340)에 의해 판단된 숫자 '123'은 통신부(350)를 통해 출력 수단(400)으로 전송되고, 출력 수단(400)은 숫자 '123'을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한다. Thereafter, the image of the sea color provided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ngernail of the forefinger is photographed by the
또 영문 문자 'school'을 표시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숫자 입력 상태에서 숫자 전환키인 집게손가락의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파란색을 카메라(320)로 촬영하고 스위치(3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문 입력 상태로 전환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displaying the English character 'school', the
그 후, 약손가락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 부분에 마련된 보라색을 카메라(320)로 촬영하고 스위치(3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는 문자 's'을 판단하고, 약손가락 첫 마디 부분에 마련된 갈색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3번 반복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는 문자 'c'을 판단하고, 집게손가락의 첫 마디의 손가락 바닥 부분에 마련된 황색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2번 반복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는 문자 'h'을 판단하고, 가운뎃손가락의 중간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귤색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3번 반복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는 문자 'o'을 판단하고, 계속해서 가운뎃손가락의 중간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귤색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3번 반복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는 문자 'o'을 판단하며, 약손가락의 중간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풀색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3번 반복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는 문자 'l'을 판단하여, 영문 문자 'school'을 생성한다. 제어부(340)에 의해 생성된 문자 'school'는 통신부(350)를 통해 출력 수단(400)으로 전송되고, 출력 수단(400)은 문자 'school'를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한다. Then, by photographing the purple colo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nger of the fingertip end segment with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는 글러브에 도색된 다수의 컬러를 카메라(320)로 촬영하고 스위치(3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40)가 저장부(310)에 저장된 컬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여 출력 수단(400)으로 출력하는 것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의 출력을 정밀도 높게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설명에서는 장갑 형태로 구현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부재가 글러브에 마련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표시 부재를 사용자의 의복 또는 별도로 프린트 용지 등에 마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hat is, although the wearable devic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glove is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ype of the wearable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For example, alth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member is provided in the glove has been described, the display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user's garment or separately on a print paper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촬영된 컬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여 출력하는 것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의 출력을 정밀도 높게 실현할 수 있다.By using the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aracter or a number corresponding to a captured color is recognized and output, so that the output of a character or a number can be realized with high accuracy.
100 : 글러브
200 : 표시 부재
300 : 판단 수단
400 : 출력 수단100: Glove
200: display member
300: Judgment means
400: output means
Claims (7)
상기 글러브에 장착되고, 다수의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하는 다수의 컬러를 구비한 표시 부재,
상기 글러브에 장착되고, 상기 표시 부재에 마련된 다수의 컬러를 촬영하며, 촬영된 컬러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는 판단 수단,
상기 판단 수단과의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판단 수단에서 판단된 문자 또는 숫자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글러브에서 엄지손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다수의 컬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상태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카메라의 ON/OFF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접점 스위치이고,
상기 스위치는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또는 새끼손가락 중의 어느 하나와 엄지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A color recognition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outputting a desired character or number by using a wearable device in the form of a glob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of a user,
A display member mounted on the glov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lo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etters or numbers,
Determining means for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colors provided on the display member and recognizing a letter or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color, mounted on the glove,
And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character or numb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means by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termination means,
Wherein the determination means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umb in the glove,
Wherein the judging means compris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plurality of colors and a switch for operating the photographing state of the camera,
The switch is a contact switch that can turn ON / OFF the camera,
Wherein the switch is operated by one of the index finger, the thumb finger, the phalanges or the small finger and the thumb.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글러브에서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새끼손가락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member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dex finger, the thumb finger, the phallus finger, and the little finger in the glove.
상기 표시 부재는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각각의 첫 마디, 중간 마디, 끝 마디의 손가락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과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의 각각의 손톱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member has a firs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ail of each of the first, middle, and nail fingers of the forefinger, the middle finger, the medulla, and the minor finger and the nail of each of the forefinger, And the character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haracter recognizing unit.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다수의 컬러에 대한 정보 및 다수의 컬러의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컬러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시켜 문자 또는 숫자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rmination means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colors and information on characters or numb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lor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character or a number in correspondence with a color captured by the camera and a character or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switch,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character or number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output unit.
상기 출력 수단은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TV 또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에 문자 또는 숫자로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put means is any one of a smart phone, a smart pad, a smart TV, a notebook computer, and a desktop computer,
Wherein the output means displays information on the letters or number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n the display unit in letters or numbers or outputs the information through a speaker.
상기 다수의 컬러의 각각은 상기 글러브에 도색되고, 15가지의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식 문자 정보 전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lors is painted on the glove and comprises fifteen different color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21350A KR101958649B1 (en) | 2017-02-17 | 2017-02-17 |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ing color recogni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21350A KR101958649B1 (en) | 2017-02-17 | 2017-02-17 |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ing color recognit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95184A KR20180095184A (en) | 2018-08-27 |
| KR101958649B1 true KR101958649B1 (en) | 2019-03-15 |
Family
ID=6345520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21350A Active KR101958649B1 (en) | 2017-02-17 | 2017-02-17 |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ing color recogni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5864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30883A (en) * | 2021-08-26 | 2023-03-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using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
| US11762486B2 (en) | 2021-08-26 | 2023-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plurality of functions using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US11921935B1 (en) * | 2023-02-13 | 2024-03-05 |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 Gesture-based wearable device having coded commands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779448B2 (en) * | 1988-11-25 | 1998-07-23 |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通信システム研究所 | Sign language converter |
| JP2012181792A (en) * | 2011-03-03 | 2012-09-20 | Nikon Corp | Finger input device |
| KR101524575B1 (en) * | 2014-08-20 | 2015-06-03 | 박준호 | Wearabl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98713B1 (en) | 2001-11-14 | 2005-07-01 | 신권 | Wearable glove type character input device |
| KR100963240B1 (en) | 2008-08-07 | 2010-06-10 | 광주과학기술원 | Color marker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
| KR20140062893A (en) | 2012-11-15 | 2014-05-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Wearable device for representing brail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7
- 2017-02-17 KR KR1020170021350A patent/KR1019586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779448B2 (en) * | 1988-11-25 | 1998-07-23 |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通信システム研究所 | Sign language converter |
| JP2012181792A (en) * | 2011-03-03 | 2012-09-20 | Nikon Corp | Finger input device |
| KR101524575B1 (en) * | 2014-08-20 | 2015-06-03 | 박준호 | Wearable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95184A (en) | 2018-08-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009950B2 (en) | Arbitrary surface and finger position keyboard | |
| KR10085835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interface using the hand trace | |
| CN107615214B (en) | Interface control system, interface control device,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US20180101237A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machine interaction | |
| US2006019083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input | |
| CN111857334B (en) | Human hand gesture letter recogni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KR100630806B1 (en) | Command input method using gesture recognition device | |
| EP2849035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KR20190001559A (en) | Keyboard Typing System and Keyboard Typing Method with Finger Gesture | |
| CN101901106A (en) | Method and device for data input | |
| EP2825938A1 (en) | Extending the free fingers typing technology and introducing the finger taps language technology | |
| CN113253908B (en) | Key function execu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KR101958649B1 (en) | Charac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ing color recognition | |
| TW201423612A (en) |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gesture | |
| WO2022211271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handwriting input on basis of learning,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 |
| US10621766B2 (en) |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using a background image portion as a control region | |
| US10955935B2 (en) | Tap device with multi-tap feature for expanded character set | |
| CN109739349A (en) | A kind of palm dummy keyboard input method, system and input sensing identifier | |
| TWI510966B (en) | Input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 |
| WO2016121034A1 (en) | Wearable device, input method, and program | |
| US2020034155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 |
| US11009968B1 (en) | Bi-directional tap communication device | |
| CN205405436U (en) | Keyboard and computer | |
| CN101788857B (en) | Input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 |
| KR2015004428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augmented realit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