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2680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680B1
KR101952680B1 KR1020120008605A KR20120008605A KR101952680B1 KR 101952680 B1 KR101952680 B1 KR 101952680B1 KR 1020120008605 A KR1020120008605 A KR 1020120008605A KR 20120008605 A KR20120008605 A KR 20120008605A KR 101952680 B1 KR101952680 B1 KR 101952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switch device
stoppe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7321A (en
Inventor
임지현
정문교
김진동
장경진
강명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680B1/en
Priority to EP12168066.4A priority patent/EP2613112B1/en
Priority to US13/473,668 priority patent/US8857930B2/en
Priority to US13/473,672 priority patent/US8844983B2/en
Priority to US13/473,726 priority patent/US8801124B2/en
Priority to US13/473,686 priority patent/US8857865B2/en
Priority to EP12170562.8A priority patent/EP2613115B1/en
Priority to EP12170441.5A priority patent/EP2613113B8/en
Priority to EP19214793.2A priority patent/EP3660428A1/en
Priority to EP12170443.1A priority patent/EP2613114B1/en
Priority to JP2012135349A priority patent/JP5307918B2/en
Priority to JP2012135414A priority patent/JP5658199B2/en
Priority to JP2012135352A priority patent/JP5385429B2/en
Priority to JP2012135384A priority patent/JP5658198B2/en
Priority to BR102012015110-3A priority patent/BR102012015110B1/en
Priority to BR102012015111-1A priority patent/BR102012015111B1/en
Priority to CN201210208992.8A priority patent/CN103185437B/en
Priority to CN201210211906.9A priority patent/CN103185432B/en
Priority to CN201210212542.6A priority patent/CN103185433B/en
Priority to CN201210212528.6A priority patent/CN103185438B/en
Publication of KR2013008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3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68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1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comprising sealing means between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nd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5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crews, bolts or clamping strip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저장용기를 구비하되, 저장용기가 도어에 결합된 것을 해제하도록 도어의 손잡이에 마련된 래치스위치장치와, 도어가 닫혔을 때에만 래치스위치장치가 해제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며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저장실 또는 도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래치장치와,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움직이는 버튼의 운동방향과 작용점을 다른 방향과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운동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스위치장치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래치스위치장치의 작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장치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having a latch switch device provided in a handle of a door to release a storage container from being coupled to a door, And a stopper device that allows the latch switch device to be released only when the door is closed.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hamber therein, a door rotat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a storage container selectively mounted on the door or the main body, A latch device selectively operated by the external force so as to b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main body or the door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or the door and is supported by a button provided on the handle, A latch switch device for selectivel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device, including a motion converting device for convert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action point of the button into different directions and positions and transmitting the same; And a stopper device for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저장용기를 구비하되, 저장용기가 도어에 결합된 것을 해제하도록 도어의 손잡이에 마련된 래치스위치장치와, 도어가 닫혔을 때에만 래치스위치장치가 해제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having a latch switch device provided in a handle of a door to release a storage container from being coupled to a door, And a stopper device that allows the latch switch device to be released only when the door is closed.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refrigerator discharges cold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etc.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nd freeze or refrigerate food or the like.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refrigerator generally includes a freezer for freezing food or beverage, and a refrigerator for storing the food or beverage at a low temperature.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Such a refrigerator includes a top mount type in which a freezing chamber is disposed in an upper portion of a refrigerating chamber, a bottom freezer type in which a freezing chamber is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a freezing chamber in which a freezing chamber and a refrigerating chamber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 side by side type (side by side type).

냉장고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면서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는 보통 외부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The refrigerator cools the storage compartment such as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by using the refrigerant generated while exchanging heat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Therefor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is usually maintained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outside.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 본체를 이루는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각각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는 전면이 개구된 냉동실과 냉장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개스킷이 마련된다.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provided inside a cabinet constituting a refrigerator body and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 freezing compartment door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respectively.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re rotatably mounted to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whose front surfaces are opened. Each door is provided with a gasket for sealing the inside of the compartment.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홈바도어를 상기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various consumers and to prevent cold loss due to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 opening is formed in a door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or a freezer compartment and a home bar door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or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이러한 홈바도어는 도어를 관통하는 공간에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홈바도어를 열고 수납된 음식물을 수납하거나 취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Such a home bar door is provided so as to provide a storage space in a space through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to store or take out food stored therein by opening the home bar door.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67952호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에서 냉동실도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저장물을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는 홈바가 형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67952 discloses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in a freezing chamber door, and a groove is formed in the opening to allow a stored product to be easily taken out.

상기 홈바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 및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홈바도어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The home bar includes a storage room capable of storing stored items and a home bar doo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opening. The home bar door is rotatably provided around the hinge part.

즉, 개시된 냉장고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와 이 냉동실도어에 상기 홈바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홈바도어가 구비된다.That is, the disclosed refrigerator includes a freezing chambe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hamber, and a home bar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of the home bar in the freezing chamber door.

상기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를 "메인도어"라 하고 홈바도어를 "보조도어"라 할 수 있을 것이다.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or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may be referred to as a "main door" and the home bar door may be referred to as an "auxiliary door".

상기 홈바도어의 경우, 상기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의 중간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홈바도어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과, 냉장실도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진 홈바도어가 냉장실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있다.The home bar door having an opening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and configured to pivot the home bar door up and down and a home bar door having a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There is.

후자의 경우, 냉장실도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홈바도어를 특히 "매직도어"라 부르기도 한다.In the latter case, a home bar door formed to be equal in width 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sometimes referred to as a "magic door ".

상기 두 가지 형태의 홈바도어 모두, 메인도어가 냉장고 본체에 대해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메인도어에 상기 보조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In both of the above-described home bar doors, the main doo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main body with a hinge, and the auxiliary door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door.

상기 메인도어에는 냉장고 본체의 전면과 접촉되는 내면 가장자리 부위에 냉장실 및 냉동실의 밀폐를 위한 밀폐부재로서 개스킷이 구비된다.The main door is provided with a gasket as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t an inner edge portion of the main doo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body.

또한, 상기 보조도어의 내면 가장자리 부위에도 메인도어와의 접촉 부위에 홈바도어 내부의 수납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개스킷이 구비된다.Also, a gasket for sealing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groove door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inner edge of the auxiliary door in contact with the main door.

그런데, 상기 메인도어와 상기 보조도어에는 별도의 개스킷이 각각 구비되므로, 보조도어가 없어서 개스킷이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2개의 개스킷을 통한 냉기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main door and the auxiliary door are provided with separate gaske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ss of cool air through the two gaskets increases, compared to a case where only one gasket is provided because there is no auxiliary door.

또한, 상기 개스킷이 접촉하는 부위인 본체의 전면과 메인도어 전면에는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이슬이 맺히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 부위에 히터를 내장하여 가열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dew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gasket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door.

이 경우,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2개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since two heaters are required to prevent dew formation,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accordingl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장실도어에 별도로 보조도어를 구비하지 않고 저장용기가 본체와 도어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storage container is selectively coupled between a main body and a door without a separate auxiliary door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며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저장실 또는 도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래치장치와,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움직이는 버튼의 운동방향과 작용점을 다른 방향과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운동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스위치장치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래치스위치장치의 작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hamber therein, a door rotat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a storage container selectively mounted on the door or the main body, A latch device which is provided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main body or the door by operating under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or the door to be supported; A latch switch device for selectivel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device, including a motion converting device for convert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action point of the moving button into different directions and positions and transmitting the same, And a stopper device for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 switch device .

상기 스토퍼장치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본체의 전면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opper device is push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latch switch device can be operated.

상기 스토퍼장치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본체의 전면에 의해 눌러지는 푸시바와, 상기 푸시바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됨에 따라 상기 래치스위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잠금 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device includes a push bar that is push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the door is closed, a stopper that releases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switch device as it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push bar, As shown in Fig.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는 상기 푸시바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가 회동되도록 연결되고,One end of the stopper is connected to rotate the stoppe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ush bar,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는 래치스위치장치의 일측에 돌출된 돌기와 맞물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may include a bent portion that engages with a projec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latch switch device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latch switch device is not operated.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에 장착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푸시레버와, 상기 푸시레버에 의해 회전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래치어셈블리의 잠금해제버튼을 누르게 되는 해제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tch switch device includes a button mounted on a handle of the door, a push lever connected to the button and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link member rotated by the push lever, And an unlocking pin for depressing an unlocking button of the unlocking button.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매립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atch switch device further includes a case embedded in the door, and the link member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case.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해제핀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tch switch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for returning the release pin to an original position.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tch switch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for restoring the button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회동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해제핀으로 전달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tch switch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lider slidably mounted in the case to convert the pivotal motion of the link member into a linear motion and transmit the linear motion to the release pin.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The latch device includes: a housing installed in a frame constituting the storage container;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 입구에 마련되는 걸림안내홈 또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latching guide groove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storage chamber or a latching portion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so as to be selectively hooked.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고 외력의 가압에 따라 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운동안내부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도어 배면의 고정부재과의 걸림 상태 해제시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tch device includes a motion guide portion connected to the latch portion and movable in accordance with the urging of an external force to guide the pivotal movement of the latch portion, and a latch portion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ocking portion when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ortion is released.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해제핀이 상기 회동제한부를 밀어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latch switch device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ease pin push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to pivot.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보조도어 없이 메인도어만 구비하므로 2개의 개스킷을 통한 냉기손실과 2개의 히터에 의한 소비전력 감소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main door is provided without the auxiliary doo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loss of cool air through the two gaskets and power consumption reduction by the two heaters.

또한, 하나의 도어 내측에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저장용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lso, the refrigerator can be conveniently used by providing a refrigerator in which a storage container is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oor on one side of the door.

또한, 래치스위치장치를 도어 손잡이에 마련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 저장용기의 래치장치가 도어에 결합된 것을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Also, a latch switch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door handle to selectively release the latching device of the storage container coupled to the door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또한, 래치스위치장치를 도어 손잡이에 마련함으로써 도어의 전면 패널에 스위치장치 장착을 위한 관통 구조가 필요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Further, since the latch switch device is provided on the door handle, a through structure for mounting the switch device is not required on the front panel of the door,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또한, 도어가 닫혔을 때에만 래치스위치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스토퍼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도어가 열렸을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버튼을 눌러 래치스위치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저장용기가 도어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stopper device so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switch device can be released only when the door is close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user unintentionally presses the button to operate the latch switch device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door Can certainly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저장용기가 도어에 결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어와 저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래치장치가 저장용기의 좌하측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래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래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가이드지지부가 저장용기의 우하측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래치장치에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어와 저장용기가 결합되는 경우, 래치장치 및 가이드지지부와 두 고정부재의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1래치장치와 고정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어와 저장용기가 분리되는 경우, 래치장치 및 가이드지지부와 두 고정부재의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래치스위치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어 손잡이의 일측에 장착되는 래치스위치장치와 스토퍼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래치스위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래치스위치장치와 스토퍼장치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해 링크부재의 축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래치스위치장치와 스토퍼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pened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container is coupled to the door in the refrigerator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and the storage container.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latch device is mount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tch device of Fig. 4;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atch devic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guide support portion is mount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8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latch device.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latch device, the guide support portion, and the two fixing members when the door and the storage container are coupled.
10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first latch device and the fixing member are separated.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latch device, the guide support portion and the two fixing members when the door and the storage container are separated.
1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latch switch device is mounted on the door.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atch switch device and a stopper device mounted on one side of a door handl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atch switch device.
15 is a side view of the link member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to show the operation of the latch switch device and the stopper device.
1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switch device and the stopper device of Fig. 15 are oper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냉장고에서 저장용기가 도어에 결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어와 저장용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opened in a state where a storage container is coupled to a door in a refrigerator of FIG. A perspective view is shown.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20)이 마련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100)와,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며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본체 또는 도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래치장치(520)와, 상기 손잡이(32)에 마련되는 버튼(610)과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움직이는 버튼의 운동방향과 작용점을 다른 방향과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운동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스위치장치(60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래치스위치장치의 작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장치(700)를 포함한다.1 and 2,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storage chamber 20 therein, a door 30 rotat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hamber, A storage container (100)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door or the main body, and a storage container (100) provided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main body or the door by operating under external pressure, A button 610 provided on the knob 32 and a movement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action point of the button moving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button into different directions and positions A latch switch device (600) for selectivel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device, including a device, and a latch switch device The device includes a stopper 700 that limits.

도시된 냉장고는 저장실(20)로서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어 있으나, 냉장실과 냉동실이 이와 반대로 마련되거나 좌우로 마련된 타입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illustrated refrigerator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freezing compartment at a lower portion thereof. Howeve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may be reversed or applied to left and right refrigerators.

상기 냉장고의 도어(30,40))는 각각 냉장실과 냉동실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13)를 통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The doors 30 and 40 of the refrigerator ar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a hinge 13 so as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s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respectively.

상기 도어(30)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10)의 전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밀폐를 위해 개스킷(31)이 마련되어 있다.A gasket (31) is provided on the inner edge of the door (30) to seal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상기 도어(30,40)는 각각 손잡이(32, 42)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저장용기(100)가 장착되는 냉장실 도어(30)의 손잡이(32)는 도어(30)의 좌측 하부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oors 30 and 40 include grips 32 and 42, respectively.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32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o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mounted is provided at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door 30.

상기 저장용기(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도어(30)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된다.1 and 2,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door 30. As shown in FIG.

도 1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용기(100)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30)을 열었을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면이 노출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10 such that a user opens or closes the storage container 100. When the door 30 is opened, Is exposed.

도 2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0)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상기 보조 저장실(100)이 상기 도어(30)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30)를 열였을 경우 상기 저장실(20)의 전면이 노출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torage unit 100 is coupled to the door 30 so that the user can open or close the door 30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30, And exposed.

상기 도어(30)의 손잡이(32)의 상단부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결합 위치를 본체(10)로부터 도어(30)로 바꾸도록 하는 버튼(61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button 61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32 of the door 30 so as to switch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from the main body 10 to the door 30.

이는 상기 도어(30)를 열 때, 사용자가 버튼(610)을 누르면 도 1과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와 분리되어 상기 저장실(2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610 when the door 30 is opened,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detached from the door 30 and is coupl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20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보조 저장실(100)의 전면이 노출된다. Accordingly,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storage chamber 100 is exposed.

상기 버튼(610)의 작동관계는 뒤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The operation of the button 6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본체(10)와 냉장실 도어(30)에 각각 지지될 수 있고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The storage container 100 can be supported on the main body 10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respectively, and can be fixed to maintain its position.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에 마련된 래치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 또는 저장실(20)에 선택적으로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tch device provided in the storage container 100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100 can be selectively supported and fixed to the door 30 or the storage compartment 20.

상기 래치장치는 냉장고의 전면에서 볼 때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하측 및 좌상측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제1래치장치(520) 및 제2래치장치(530)를 포함한다.The latch device includes a first latch device 520 and a second latch device 530 which are mounted on the lower left and upper left corners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저장용기의 테두리부를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선반(120)과, 상기 프레임(110)과 후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저장실(20)과 분리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the storage container 100 includes a frame 110 forming a rim of the storage container, at least one storage shelf 120 mounted to the frame 110, And a cover 130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form a storage space separated from the storage room 20 of the main body.

상기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110 preferably has a rectangular rim an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선반(12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선반(120)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대체로 상하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저장용기(100) 내부의 수납공간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One or more storage shelves 12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110. The storage shelf 120 serves to separate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the storage container 100 in order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because the storage container 100 forms a storage spac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ic body which is generally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이를 위해, 상기 수납선반(120)은 2개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of the storage shelves 120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저장용기(100)는 그 내부 수납공간을 상기 본체 내부의 저장실(20)과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10)의 후측에서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The storage container 100 includes a cover 130 coupled to a rear side of the frame 110 to separate an internal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from a storage chamber 20 inside the main body.

상기 커버(130)는 상기 수납선반(120)이 프레임(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측에서 프레임(1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나사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130 is coupled with a screw or the lik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10 from the rear side of the frame 110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shelf 120 is mounted on the frame 110.

상기 커버(130)는 상기 냉장실(20)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ver 130 is disposed to face the refrigerating chamber 20.

상기 커버(1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13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로 도어(30)가 열린 경우, 사용자는 투명한 커버(130)를 통해 상기 본체의 저장실(20) 내부를 볼 수 있다. When the door 30 is opened while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he user can se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20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transparent cover 130.

또한, 저장용기(100)가 도어(30)에 장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경우에, 사용자는 투명한 커버(130)를 통해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수납공간을 볼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게 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with the storage container 100 mounted on the door 30, the user can see the insid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container through the transparent cover 130, .

한편, 도 3에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도어(30)의 좌하측 모서리에 장착되는 손잡이(32)와,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하측 모서리와 좌상측 모서리에 마련되는 제1,2래치장치(520, 530) 및 상기 저장용기(100)의 우하측 모서리와 우상측 모서리에 마련되는 제1,2가이드지지부(510,540)를 포함한다.3 is a side view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in which the handle 32 is attached to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door 30 when viewed from the front, (520, 530) and first and second guide supports (510, 540) provided at the lower right corner and upper right corner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상기 도어(30)의 손잡이가 설치된 부분에는 상기 래치장치(520)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장치(520)를 동작시키는 래치스위치장치(600)가 마련된다.A latch switch device 600 for pressing the latch device 520 to operate the latch device 520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handle 30 of the door 30 is installed.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버튼(610)과 연동되어 상기 도어(30)의 후방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래치장치(520)가 동작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간의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The latch switch device 60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button 610 and applies a force to the rear of the door 30. The latch device 520 operates by the operation of the latch switch device 600, The engagement state or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door 20 and the storage container 100 can be released.

즉, 버튼(610)이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 간에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버튼(610)이 눌러지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 간의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0) 간에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된다.That is, if the button 610 is not pressed, the state of engagement or engagement between the door 20 and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maintained. When the button 610 is pressed, the door 20 and the storage container 100 100 are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state or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main body 10.

상기 손잡이(32)는 상기 도어(30)의 일측면에 나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손잡이(32)에는 손잡이(32)를 이루는 수직의 봉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장부가 마련되어 있다.The handle 32 is preferably screwed to one side of the door 30 and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vertical bar forming the handle 32 to be fastened to one side of the door An extension portion formed to be able to be inserted.

그리고,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도어(30)의 손잡이(32)가 체결되는 부위 근처에서 상기 도어(30)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 switch device 600 is embedded in the door 30 near a portion where the handle 32 of the door 30 is fastened.

또한, 상기 도어(3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래치장치(520,530) 및 상기 가이드지지부(510,540)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걸리는 고정부재(550)가 상기 도어(3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되어 있다.A fixing member 550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latch devices 520 and 530 and the guide supports 510 and 540 is fastened to the edge of the door 30 so as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30 have.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기 래치장치(520,5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2래치장치(520, 530)에 걸려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에 장착되도록 한다.The fixing member 550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latch devices 520 and 530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is caught by the first and second latch devices 520 and 530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door 30 .

따라서, 상기 도어(30)가 회동될 때 상기 래치장치(520,530)와 상기 고정부재(550)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저장용기(100)도 상기 도어(30)와 같이 회동운동을 수행한다. Therefore, when the door 30 is rotated, the storage container 100 performs a pivoting motion like the door 30 by the engagement of the latch device 520, 530 and the fixing member 550.

상기 손잡이(32)에는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를 작동시키는 상기 버튼(610)이 마련되어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링크 구조에 의해 상기 래치장치(520,530) 중 냉장고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하측에 배치된 제1래치장치(520)를 눌러주어 그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The handle 32 is provided with the button 610 for operating the latch switch device 600 so that the latch device 520 and the latch device 520 The first latch device 520 disposed at the lower left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pressed to release the locked state.

그래서, 사용자가 도어(30)의 손잡이(32)에 있는 버튼(610)을 눌러서 래치스위치장치(600)를 통해 상기 래치장치(520)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다음 도어 손잡이(32)를 당기면, 상기 저장용기(100)는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어(30)만 회동되어 열리게 된다.When the user depresses the button 610 on the handle 32 of the door 30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latch device 520 via the latch switch device 600 and then pull the door handle 32,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held in the main body 10 and only the door 30 is pivoted.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롤러장치(3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roller devices 300 are further provided below the storage container 100.

상기 롤러장치(300)는 복수의 롤러가 장착되어 각 롤러가 상기 저장용기(100)를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또는 선반(23) 상면,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어의 내면에 돌출된 지지턱(35)에 대해 지지한다.The roller device 300 has a plurality of rollers mounted thereon so that each roller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storage container 10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23 and option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35).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저장실(20)의 전면 개구부를 모두 막도록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상기 저장실(20)의 최하부에 마련된 서랍(26)상의 선반(23) 위의 개구부를 막도록 이루어져 있다.2, the storage container 100 does not cover all of the front openings of the storage compartment 20 but may be a shelf 23 on the drawer 26 provid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storage compartment 20, And to close the upper opening.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롤러장치(300)의 하나 이상의 롤러는 상기 최하측 서랍(26) 위에 있는 선반(23)의 전방 상면에 지지된다.In this case, when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mounted to the main body 10, one or more rollers of the roller device 300 are support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shelf 23 above the lowermost drawer 26.

또한, 상기 냉장실(20)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선반(21, 22)과 상기 최하측 서랍(26)의 위에 있는 서랍(25)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들어간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형상과 치수로 이루어져 있다.A plurality of shelves 21 and 22 mounted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0 and a drawer 25 located above the lowermost drawer 26 ar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t is made up of shapes and dimensions that can be mounted at depths.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를 모두 막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meantime,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torage container 100 covers all the opening portion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0.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하 길이는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의 높이에 가깝도록 형성되고, 저장용기(100)의 폭도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의 폭에 대응하는 치수로 형성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vertical length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formed to be close to the height of the front opening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0, and the width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front opening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0 .

또한, 상기 냉장실(20) 내에 서랍이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최하측 서랍(26)은 그 위의 서랍과 마찬가지로 상기 저장용기(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안쪽으로 인입된 형상 및 치수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When two drawers are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20, the lowermost drawer 26 should be formed into a shape and dimensions drawn inwardl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torage container 100 like a drawer on the drawer 26 something to do.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최하측 서랍(26) 위의 선반(25)이 아니라 상기 냉장실(20)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roller device 300 may be arranged to contact not the shelf 25 on the lowermost drawer 26 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를 상기 본체(10) 또는 도어(30)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래치장치(520,530) 및 가이드지지부(510,5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latch devices 520 and 530 and guide supports 510 and 540 for selectively fixing the storage container 100 to the main body 10 or the door 30 .

상기 래치장치(520,53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프레임(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래치장치(520)와, 제2래치장치(530)를 포함한다.The latch devices 520 and 530 include a first latch device 520 and a second latch device 530 provided under the frame 110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방에서 볼 때 좌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방에서 볼 때 좌상부에 마련된다.The first latch device 520 is provided at a left lower por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latch device 530 is provided at an upper left por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do.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제2래치장치(530)은 상기 도어(30)의 힌지(13)가 있는 회동부의 위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latch device 520 and the second latch device 530 are preferably located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pivotal portion where the hinge 13 of the door 30 is located.

그리고, 상기 도어(30)에는 상기 제1,2래치장치(520, 530)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결합되는 고정부재(550)가 마련된다.The door 30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550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latch devices 520 and 530.

상기 고정부재(550)는 제1,2래치장치(520,5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30)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mber 550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3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atch devices 520 and 530.

상기 제1,2래치장치(520,530)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2가이드지지부(510,540)가 마련되며, 상기 제1,2가이드지지부(510,540)는 상기 도어(30) 배면에 마련되는 또 다른 고정부재들(550)이 걸려서 지지되도록 마련된다.The first and second guide supporting portions 510 and 540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latch devices 520 and 530, Members 550 are provided so as to be caught and supported.

상기 고정부재(550)들은 상기 도어(30)의 배면의 4개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데, 상기 도어의 회동부에 가까운 곳에는 상기 제1,2가이드지지부(510,540)에 삽입가능한 고정부재(550)가 마련된다.The fixing members 550 are provided at the four edg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30. A fixing member 550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supporting portions 510 and 540 is provided near the door turning portion .

상기 도어(30)의 회동부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2래치장치(520,530)에 삽입되어 걸리는 고정부재(550)들이 마련된다.Fixing members 550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atch devices 520 and 530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urning portion of the door 30.

각 고정부재(550)들은 도어(30)의 내면 상부와 하부에 두 개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ixing members 550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3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에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롤러장치(300)의 좌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the frame 110 is provided with the first latch device 520. The first latch device 520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roller device 300.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는 스토퍼(523)와 걸림핀(5247)이 마련된다.The first latch device 520 is provided with a stopper 523 and a latching pin 5247.

상기 저장실(20)의 하부 테두리 또는 상기 서랍(23)의 상부에는 상기 스토퍼(523)가 삽입되는 스토퍼홈(111)과, 상기 걸림핀(5247)이 삽입되는 걸림안내홈(112)이 마련된다.A stopper groove 111 into which the stopper 523 is inserted and an engaging guide groove 112 into which the engaging pin 5247 is inserted are provided on the lower edge of the storage chamber 20 or above the drawer 23 .

상기 걸림안내홈(112)중 상기 스토퍼 홈(111) 방향으로 'C'자 형의 연장홈이 마련된다.A 'C' shaped extension groove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stopper groove 111 in the engagement guide groove 112.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에 결착되어 상기 도어(30)와 같이 움직이는 경우,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연장홈에 걸리지 않고 상기 도어(30)의 회동방향에 따라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When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attached to the door 30 and moves together with the door 30, the locking pin 5247 is locked to the door 30 without being caught by the extending grooves of the locking guide groove 112, As shown in Fig.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핀(5247)이 상기 연장홈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연장홈의 걸림단차(112a)에 걸려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separated from the door 30, the retaining pin 5247 moves in the extended groove direction and is caught by the retaining step 112a of the extended groove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moved forward Thereby preventing movement.

한편, 상기 스토퍼(523)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봉 또는 롤러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topper 523 may be downwardly extend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atch device 520 and may be formed as a rod or a roller.

상기 스토퍼(523)의 역할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결착된 상태에서 회동하며 움직이되, 상기 저장실(20) 전방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topper 523 functions as a stopper when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pivotally moved with the door 30 engaged and closes the front of the storage compartment 20, And restricts the movement so as not to penetrate deep into the storage chamber 20.

즉, 상기 스토퍼(523)가 상기 스토퍼홈(111)의 후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That is, the stopper 523 abuts against the rear surface of the stopper groove 111, thereby preventing the storage container 100 from entering the storage chamber 20 in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그 내부가 비어 있고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521)과,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도 3 참조, 550) 또는 상기 걸림안내홈(도 4 참조, 112)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524)를 포함한다.5, the first latch device 520 includes a housing 521 in which the interior thereof is empty and the front of which is opened, and a second latch device 520 which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521, (See FIG. 4, reference numeral 550) or the latching groove (see FIG. 4, 112).

또한,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24)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고정부재(550)와의 걸림 해제상태 또는 분리상태시 상기 걸림부(52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525)를 포함한다.The first latch device 520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521 and is located below the latching portion 524 so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latching portion 524 and the fixing member 550 And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524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ocking portion 524 when the locking portion 524 is in the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rtion 524.

한편,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524)와 제1탄성부재(도 6 참조, 5291)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운동안내부(도 6 참조, 526)가 마련된다.6) for guiding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latching part 524 by the first elastic member (see FIG. 6, 5291) is formed in the housing 521, , 526 are provided.

상기 하우징(521)의 전방에는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가압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회동시키는 가압부(522)가 마련된다.A pressing portion 522 for pressing the motion guide portion 526 and rotating the motion guide portion 526 is provided in front of the housing 521.

상기 가압부(522)는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도 3 참조, 60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미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521)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이동시키고 궁극적으로 상기 걸림부(524)를 회동시킨다.The pressing portion 522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with the latch switch device 600 (see FIG. 3) and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521 by the pushing action of the latch switch device 600, 526 and ultimately pivots the latching portion 524.

상기 걸림부(524)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핀(5247)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24)의 측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도 3 참조, 550)가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홈(5242)이 마련된다.3) 550 is hooked on the side end of the latching part 524 so that the latching part 524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part 524 5242).

상기 하우징(521)은 그 측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521 is formed in a 'C' shape.

상기 하우징(521)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고정부재(도 3 참조, 5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안내홈(5211)이 마련된다.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521 are provided with insertion guide grooves 5211 for guiding the fixing member 550 (see FIG. 3).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211)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핀(5247)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5212)이 마련된다.On one side of the insertion guide groove 5211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521, a movement guide groove 521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atch pin 5247 is provided.

상기 걸림부(524)가 회동하면 상기 걸림핀(5247)도 회동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데, 상기 이동안내홈(5212)은 상기 걸림핀(5247)의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영역을 갖는다.When the engaging portion 524 rotates, the engaging pin 5247 also moves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The moving guide groove 5212 ha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locus of the engaging pin 5247.

상기 이동안내홈(5212)의 영역은 도 4에서 나타난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평면도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rea of the movement guide groove 5212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plan view shape of the engagement guide groove 112 shown in FIG.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토퍼(523)가 마련되는데, 상기 스토퍼(523)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523 extending downwar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521. The stopper 523 is preferably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도 6은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분해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atch device 520. FIG.

상기 하우징(5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삽입안내홈(5211)이 마련되고, 하면에는 상기 이동안내홈(5212)이 마련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521 is provided with the insertion guide groove 5211 on its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movement guide groove 5212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한편,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회동제한부(525)와 상기 이동안내부(526)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5266;5267,5268,5269)들이 삽입되는 삽입공(5213,5214,5215)이 마련된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521, rotation shafts 5266, 5267, 5268, and 5269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engagement portion 524, the rotation limiting portion 525, and the movement guide portion 526 are inserted The insertion holes 5213, 5214 and 5215 are provided.

상기 하우징(521)의 상면의 전방에는 상기 가압부(522)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가압부(522)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공(5216)이 마련된다.The pressing portion 522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521 and a guide hole 5216 for guiding the pressing portion 52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provided.

상기 하우징(521)의 내부에는 제2탄성부재(5292)가 걸려서 지지되는 지지봉(5217)이 마련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5292)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using 521 is provided with a support rod 5217 to which the second elastic member 5292 is hung. The second elastic member 5292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상기 제2탄성부재(5292)는 상기 지지봉(5217)과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걸림편(5254) 사이를 연결한다.The second elastic member 5292 connects between the support rod 5217 and the locking piece 5254 of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외력(상기 고정부재(550)의 가압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한 후 그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회동제한부(525)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Therefore, when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an external force by the pressing of the fixing member 550),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상기 하우징(521)의 후벽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5218)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5218)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도 3 참조, 110)에 결합된다.A fastening hole 5218 is formed in a rear wall of the housing 521 so that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can be inserted.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rame (see FIG. 3) 110 through the fastening holes 5218.

상기 걸림부(524)는 몸체부(5241)와, 상기 몸체부(5241)의 일측에 마련되는 상기 걸림홈(5242)과, 상기 몸체부(5241)의 상면에 마련되는 걸림돌기(5243)와, 상기 걸림홈(5242)의 반대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삽입홈(5244) 및 제2삽입홈(5245)과, 제1회전축(5247)이 삽입되는 제1회전축공(5246)과, 상기 몸체부(524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핀(5247)을 포함한다.The latching portion 524 includes a body portion 5241, the latching groove 524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5241, a latching protrusion 524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241, A first insertion groove 5244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5245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latching groove 5242 and a first rotation shaft hole 5246 into which the first rotation shaft 5247 is inserted, And an engagement pin 5247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ion 5241.

상기 걸림돌기(5243)에는 제1탄성부재(5291)의 일단부가 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5291)의 타단부는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걸림돌기(5265)에 걸린다. 상기 제1탄성부재(5291)도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29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jection 5243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29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jection 5265 provided on the movement guide portion 526. The first elastic member 5291 is also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따라서,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상기 가압부(522)에 밀려서 회동운동을 하면 상기 탄성부재(5291)에 의하여 그 운동이 전달되어 상기 걸림부(524)도 회동운동을 한다.Accordingly, when the motion guide part 526 is pushed by the pressing part 522, the movement is transmitted by the elastic member 5291 so that the locking part 524 also rotates.

이에 따라서, 상기 걸림홈(5242)이 측방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전방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engaging groove 5242 can be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in a state of looking sideways.

제1회전축(5267)은 삽입공(52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524)의 제1회전축공(5246)에 삽입된다.The first rotating shaft 5267 is inserted into the first rotating shaft 5246 of the engaging portion 524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215.

다만, 상기 걸림부(524)의 상하면에는 제1상부보스(5271)와, 제1하부보스(5281)가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하우징(521)의 상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A first upper boss 5271 and a first lower boss 5281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atching portion 524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atching portion 524 and the housing 521.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몸체부(5251)와, 상기 몸체부(5251)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도 3 참조, 55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연장부(5252)와, 상기 제1연장부(5252)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5253)를 포함한다.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includes a body portion 5251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525 extending in a shape bent to one side from the body portion 5251 and contacting the fixing member 550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5253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252.

상기 몸체부(5251)에는 제2회전축공(5256)이 마련되고, 상기 제2연장부(5253)의 단부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5292)가 걸리는 걸림돌기(5254)가 마련된다.The body portion 5251 is provided with a second rotation shaft hole 5256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253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5254 for catching the second elastic member 5292.

상기 제2연장부(5253)의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524)의 제2삽입홈(524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255)가 마련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253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5255 extending upwardly and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5245 of the latching portion 524.

상기 삽입부(5255)가 상기 제2삽입홈(524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이 제한되는데, 이 경우는 상기 고정부재(550)와 상기 걸림부(524)가 분리되는 경우에 해당된다.When the insertion portion 525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5245, the rotation of the locking portion 524 is limited. 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550 and the locking portion 52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제2회전축(5269)은 상기 제2회전축공(5256)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공(5214)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The second rotation shaft 5269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otation shaft hole 5256, and then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5214.

이때,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2상부보스(5272) 및 제2하부 보스(5282)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제한부(525)를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520)의 하면과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At this time, a second upper boss 5272 and a second lower boss 5282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to support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Away from the upper surface.

상기 제2회전축(5269)은 상기 제2상부보스(5272), 상기 제2회전축공(5256) 및 제2하부보스(528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The second rotation shaft 5269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upper boss 5272, the second rotation shaft hole 5256, and the second lower boss 5282.

상기 제2상부보스(5272) 및 상기 제2하부보스(5282)는 와셔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upper boss 5272 and the second lower boss 5282 may be formed of washers.

상기 운동안내부(526)는 몸체부(5261)와, 상기 몸체부(526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522)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편(5263)과, 상기 몸체부(5261)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262)와, 상기 몸체부(5261)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5292)가 걸리는 걸림돌기(5265)가 마련된다.The motion guide portion 526 includes a body portion 5261, a contact piece 5263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body portion 5261 and contacting the pressing portion 522, 5261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and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5244 of the latching portion 524 and an insertion portion 5262 extending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5261, (5265)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5292.

그리고, 상기 몸체부(5261)의 회동 중심에는 제3회전축공(5264)이 마련된다.A third rotation shaft 5264 is provided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body 5261.

상기 회전축공(5264)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3상부보스(5273)와 제3하부보스(5283)가 마련된다.A third upper boss 5273 and a third lower boss 5283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otating shaft hole 5264.

그리고, 제3회전축(5268)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3회전축(5268)은 상기 삽입공(5213)을 통과하고, 상기 제3하부보스(5283), 상기 제3회전축공(5264), 상기 제3상부보스(5273)를 통과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A third rotary shaft 5268 is provided and the third rotary shaft 5268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5213 and the third lower boss 5283, the third rotary shaft hole 5264, 3 upper boss 5273 to support the motion guide portion 526 in a rotatable manner.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좌상부에는 상기 제2래치장치(53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latch device 530 is provided on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frame 110. [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마찬가지로 스토퍼, 걸림핀, 스토퍼홈, 걸림안내홈, 하우징, 걸림부, 회동제한부, 삽입안내홈 및 이동안내홈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second latch device 530 includes a stopper, a latching pin, a stopper groove, a latching guide groove, a housing, a latching portion,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an insertion guide groove, A moving guide groove and the like.

다만, 이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와 연동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운동안내부(526)와 이것의 결합 또는 작동을 위한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이 없는 차이점이 있다.Since the second latch device 530 is not interlocked with the latch switch device 600, the second latch device 530 may be connected to the movement guide part 526 of the first latch device 520,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figuration.

또한,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latch device 530 is vertically symmetrical with the first latch device 520.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지지부(510)는 상기 프레임(110)의 좌하부에 장착된다.As shown in Fig. 7, the first guide supporting portion 510 is mounted on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frame 110. As shown in Fig.

전방에서 바라볼때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는 상기 프레임(110)의 우하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도어(30)의 후방에 마련되는 고정부재(550)가 삽입가능하게 마련된다.The first guide supporting part 510 is fix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frame 110 and the fixing member 55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oor 30 is insertable.

즉,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에 삽입되거나 이탈된다.That is, when the door 30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coupled to the storage room 20, the fixing member 550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first guide support part 510.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는 하우징(511)과, 상기 하우징(511)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판(512)과, 상기 지지판(512)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13)과, 상기 지지판(512)의 하부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14)를 포함한다.The first guide support part 510 includes a housing 511, a support plate 512 provided in the housing 511, an insertion guide groove 513 provided in the support plate 512, And a stopper 514 extending downward.

여기서, 상기 스토퍼(514)는 상기 저장실 입구 하부 우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스토퍼홈(131)에 삽입될 수 있다.Here, the stopper 514 may be inserted into a stopper groove 131 provided at the lower right edge of the storage chamber inlet.

상기 스토퍼(514)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결착된 상태에서 도어(30)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저장실(20) 전방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topper 514 is rotated by the stopper 514 together with the door 30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engaged with the door 30 to close the front of the storage compartment 20, And restricts the movement so as not to penetrate deep into the storage chamber 20.

즉, 상기 스토퍼(514)가 상기 스토퍼홈(131)의 후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That is, the stopper 514 abuts against the rear surface of the stopper groove 131,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storage chamber 20 by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상기 스토퍼 홈(131)은 상기 도어의 회전 궤적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의 회전궤적에 대응되도록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측벽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groove 131 may extend in a diagon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a rotation locus of the fixing pin 552 of the fixing member 550 according to the rotation locus of the door, and the side wall may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즉, 상기 도어(30)의 회동부에 가까운 상기 고정부재(550)의 회전궤적은 곡선을 그리기 때문에 이러한 궤적에 대응되도록 그 측벽이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since the rotation locus of the fixing member 550 near the rotation portion of the door 30 draws a curv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wall has a curvature so as to correspond to this locus.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우상부에도 제2제2가이드지지부(540)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guide supporting portion 540 is also mounted on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frame 110.

이 제2가이드지지부(540)는 그 구성이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와 동일하지만 그 형상은 제1가이드지지부(510)와 상하 대칭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second guide supporter 54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guide supporter 510 but has a shape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supporter 510.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래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atch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상기 제1래치장치에 고정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fix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first latch device.

도 8에서는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에 결착된 상태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1래치장치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다.8 shows that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first latch device so as to realize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is engaged with the door.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하우징(521)의 삽입안내홈(5211)에 삽입된다.The fixing member 5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uide groove 5211 of the housing 521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1)이 상기 걸림홈(5242)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홈(5242)의 측벽이 상기 고정핀(55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In this state, the fixing pin 551 of the fixing member 550 is positioned in the locking groove 5242, and the side wall of the locking groove 5242 is disposed to surround the fixing pin 551.

즉, 상기 걸림홈(5242)이 상기 고정핀(551)에 대하여 스토퍼 역할을 하여 상기 고정부재(550)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at is, the engaging groove 5242 serves as a stopper against the fixing pin 551 to prevent the fixing member 55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outside.

이때, 상기 걸림부(524)의 걸림핀(5247)은 상기 이동안내홈(5244)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걸림안내홈(도 4, 112)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와의 결착이 해제된다.At this time, the engaging pin 5247 of the engaging part 524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moving guide groove 5244 and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in the engaging guide groove (Figs. 4 and 112). Whereby the binding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main body 1 is released.

상기 걸림부(524)가 상기 고정부재(550)를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이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이 방지되어야 한다.In order to reliably support the fixing member 550, the locking portion 524 must be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is state.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에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삽입부(5262)가 삽입되어 회동을 방지한다.To this end, the insertion portion 5262 provided in the motion guide portion 526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5244 of the locking portion 524 to prevent the rotation.

한편,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고정부재(550)의 지지핀(552)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삽입안내홈(52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전체적으로 회동하여 위치한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5252 of the rotation limiting portion 525 is pushed by the support pin 552 of the fixing member 550 to move backward from the insertion guide groove 5211, The restricting portion 525 rotates as a whole.

이때, 상기 스토퍼(111, 121)는 상기 스토퍼홈(523)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홈(523)은 상기 스토퍼(111,121)의 후방과 측방을 둘러싸고 있다. At this time, the stoppers 111 and 121 are positioned in the stopper groove 523, and the stopper groove 523 surrounds the rear and lateral sides of the stoppers 111 and 121.

다만,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결착되어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동시에 앞으로 회동하고, 상기 저장실(20)이 개방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door 30 and the storage container 100 are engaged and the user pulls the door 30, the door 30 and the storage container 100 simultaneously rotate forward, 20 are opened.

특히,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의 우측에 위치하는데,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은 전방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30) 및 상기 저장용기(100)를 따라서 앞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에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atching pin 5247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latching guide grooves 112 and 122. Since the latching guide grooves 112 and 122 are opened forward, the door 30 and the storage container 100 So that it can move freely without being caught by the engaging guide grooves 112 and 122. [

따라서, 상기 도어(30) 및 상기 저장용기(100)의 원활한 개방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the door 30 and the storage container 100 can be opened smoothly.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524)는 상기 고정부재(55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9 (a), the latching portion 524 of the first and second latch devices serves to hold the fixing member 550. As shown in FIG.

상기 걸림부(524, 534)의 걸림홈(5242)은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를 둘러싸고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engaging grooves 5242 of the engaging portions 524 and 534 surround the fixing pins 552 of the fixing member 550 to prevent the fixing member 550 from being detached.

이로써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결착될 수 있다.Thus, the door (30) and the storage container (100) can be joined together.

상기 운동안내부(526)는 상기 가압부(522)의 가압동작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상기 가압부(522)는 상기 제1래치장치에만 마련되므로, 상기 운동안내부(526)도 제1래치장치에만 마련될 필요가 있다.The motion guide portion 526 moves only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522. Since the pressing portion 522 is provided only in the first latch device, Needs to be prepared.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는 상기 제1삽입홈(524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상기 접촉편(5263)은 상기 가압부(52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가압부(522)가 전진하는 경우, 언제든지 회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유발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5262 of the movement guide portion 526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5244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latching portion 524. The contact piece 5263 provided in the motion guide part 526 may remain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522 and may rotate at any time when the pressing part 522 advances. Thereby causing the rotation of the latching portion 524.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에도 상기 고정부재(550)가 삽입된다.9 (b), the fixing member 5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supporting portion 510 as well.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13)은 사선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의 이동을 안내한다.The insertion guide groove 513 provided in the first guide supporting part 510 guides the movement of the fixing pin 552 of the fixing member 550 in a state of being formed in an oblique shape.

상기 고정핀(552)이 상기 삽입안내홈(513)의 최후방에 위치하면, 상기 고정핀(552)의 전방은 상기 하우징(551)으로부터 연장된 걸림턱(516)이 가리면서 상기 고정핀(552)이 사선방향이 아닌 정면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fixing pin 552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guide groove 513, a front end of the fixing pin 552 is caught by a locking protrusion 516 extending from the housing 551, 552 are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oblique direction but not in the oblique direction.

도 10(a)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분리되는 중간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7(b)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0 (a) shows an intermediate process in which the fixing member 55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atch device 520, and FIG. 17 (b) 550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2에 개시된 상기 손잡이(32)에 마련되는 버튼(610)을 누르면, 내부의 링크 구조가 동작을 하고,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에서 도어(30) 내면측에서 돌출되어 있는 해제핀(650)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 쪽으로 더 돌출된다.12, when the button 610 provided on the handle 32 is pressed, the internal link structure operates, and the latch switch device 600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door 30 The release pin 650 is further projected toward the first latch device 520.

이에 의하여 도 10(a)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제핀(650)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522)가 눌려서 상기 하우징(521) 내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연장부(5263)를 가압한다.10 (a) and 10 (b), the pushing portion 522 is pushed by the release pin 650 to move into the housing 521, Thereby pressing the extension portion 5263 of the portion 526.

상기 접촉편(5263)이 가압되면,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회동을 하는데,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회동방향은 본 도면에서 시계방향이다.When the contact piece 5263 is pressed, the movement guide portion 526 rotates,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vement guide portion 526 is clockwise in the figure.

이에 의하여 상기 삽입부(5263)는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으로부터 이탈한다.The insertion portion 5263 is disengaged from the first insertion groove 5244 of the engaging portion 524. [

상기 걸림부(524)는 상기 운동안내부(526)와 상기 제2탄성부재(5292)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의하여 잡아당겨져 상기 걸림부(524)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한다.Since the engaging portion 524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guide portion 526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5292 when the movement guide portion 526 moves clockwise, And the engaging portion 524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에 따라서, 상기 걸림홈(5242)이 측방에서 전방으로 회동을 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핀(552)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걸림핀(552)이 앞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Accordingly, the latching groove 5242 rotates forward from the side, whereby the latching state with the latching pin 552 is released and the latching pin 552 can move forward.

한편, 상기 걸림부(5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하면,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이동안내홈(5244)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이하여 상기 걸림안내홈(도 4, 112)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연장홈의 걸림단차(112a)에 둘러싸이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ngaging portion 524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engaging pin 5247 moves to the left side of the moving guide groove 5244. 4 and 112) and is surrounded by the engaging step 112a of the extending groove of the engaging guide groove 112.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와 접촉한 상태를 취하고 있는데,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상기 제1탄성부재(5291)에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extension 5252 of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pin 552 of the fixing member 550.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restricts the first elasticity Member 5291 as shown in Fig.

상기 제1탄성부재(5291)는 상기 제2연장부(5292)쪽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연장부(5292)를 잡아당기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려는 성질을 갖는다.The first elastic member 5291 is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292 and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pulling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292. Accordingly, It has a property of turn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걸림부(524)와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걸림핀(552)를 전방방향으로 밀어낸다.Accordingly, when the fixing member 550 is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with the engagement portion 524, the rotation limiting portion 525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252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in 524, (552) in the forward direction.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도 1 참조, 30)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삽입안내홈(5211)으로부터 앞으로 빠져나온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see FIG. 1) forward, the fixing member 550 comes out of the insertion guide groove 5211 in the forward direction.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상기 래치장치(52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상기 회동제한부(525)에 마련되는 삽입부(5255)가 상기 걸림부(524)에 마련된 상기 제2삽입홈(5245)에 삽입된다.When the fixing member 550 is completely released from the latch device 520,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further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insertion portion (not shown) provided in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5255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5245 provided in the engaging portion 524.

이로써, 상기 걸림부(524)가 더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tching portion 524 from further rotating.

이에 의하여,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분리가 되어 상기 봅조저장실(100)이 본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겨 개방하면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면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When the door 30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bobbin storage compartment 100 is located in the main body and the user pulls the door 30 to open the door 30,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or withdraw the goods.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비교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생략된 것이고, 걸림부와 고정부재간의 결합 및 분리는 상기 제2래치장치(530)와 동일하므로 제2래치장치(530)와 상기 고정부재(550)의 분리 동작은 상술한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고정부재(550)간의 분리동작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하겠다.The second latch device 530 has the movement guide part 526 omitted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latch device 520 and the coupling and disconnection between the latch part and the fixing part is performed by the second latch device 530,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second latch device 530 and the fixing member 550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separation operation between the first latch device 520 and the fixing member 550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스토퍼(111)는 상기 스토퍼홈(523)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홈(523)은 상기 스토퍼(111)의 후방과 측방을 둘러싸고 있다. The stopper 111 is located in the stopper groove 523 and the stopper groove 523 surrounds the rear and the sides of the stopper 111.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분리되어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30)만 앞으로 회동하고, 상기 저장용기(100)가 개방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door 30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user pulls the door 30, only the door 30 is pivoted forward, and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opened.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좌측에 마련되는 연장홈에 위치하는데, 상기 연장홈은 상기 걸림단차(112a)에 의하여 그 전방이 막혀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30)를 앞으로 개방하여도 상기 걸림단차(112a)에 상기 걸림핀(5247)이 걸려서 앞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The latching pin 5247 is located in an extended groov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latching guide groove 112. Since the latching step is blocked by the latching step 112a, The engagement pin 5247 is caught by the engagement step 112a and is restricted from moving forward.

따라서, 상기 도어(30)의 원활한 개방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the door 30 can be opened smoothly.

도 1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의 걸림부(524)는 상기 고정부재(550)와 분리된다.11 (a), the latching portion 524 of the first latch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member 550. As shown in Fig.

상기 걸림부(524)의 걸림홈(5242)은 전방을 향하고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를 둘러싸는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550)가 앞으로 빠질 수 있다.The engaging groove 5242 of the engaging portion 524 faces forward and the state of surrounding the fixing pin 552 of the fixing member 550 is released so that the fixing member 550 can be moved forward have.

이로써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분리될 수 있다.Thus, the door 30 and the storage container 10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운동안내부(526)는 상기 가압부(522)의 가압동작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상기 가압부(522)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만 마련되므로, 상기 운동안내부(526)도 제1래치장치에만 마련될 필요가 있다.The motion guide portion 526 is moved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522. Since the pressing portion 522 is provided only in the first latch device 520, It is necessary to be provided only in the latch device.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는 상기 제1삽입홈(5244)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안내한다.The insertion portion 5262 of the motion guide portion 526 is detached from the first insertion groove 5244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latching portion 524.

그리고,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상기 접촉편(5263)은 상기 가압부(52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압부(522)가 전진하여, 회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유발할 수 있다. The contact piece 5263 provided in the motion guide part 526 maintains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522 and the pressing part 522 can advance and rotate, The rota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524 can be caused.

도 1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로부터 상기 고정부재(550)가 이탈된다.The fixing member 550 is released from the first guide supporter 510 as shown in Fig. 19 (b).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13)은 사선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의 이탈 이동을 안내한다.The insertion guide groove 513 provided in the first guide supporting part 510 guides the detaching movement of the fixing pin 552 of the fixing member 550 in a slanting shape.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에 인접한 고정부재(550)는 곡선을 그리면서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삽입안내홈(513)의 안내를 받아서 앞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는 상기 고정부재(540)와 분리될 수 있다. Since the fixing member 550 adjacent to the first guide support portion 510 is rotated in a curve shape, it can be moved forward by being guided by the insertion guide groove 513 formed in the oblique direction, 1 guide support portion 51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member 540.

위에서는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도어(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분리된 상태에서 다시 결합되는 과정은 상기 서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Although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door 30 from each other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coupling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door 30 in a separated state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고정부재(550) 간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은 실질적으로 제2래치장치(530)와 상기 고정부재(550) 간의 결합 분리 과정과 유사하므로 제1래치장치(520)에 관한 설명을 통하여 제2래치장치(530)에 대한 설명을 대체하도록 하겠다.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and dis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first latch device 520 and the fixing member 550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coupling and dis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second latch device 530 and the fixing member 550, 1 latch device 5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latch device 530. [

즉. 도 10(b)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와 상기 제1래치장치(5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30)를 밀어서 도 10(b)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를 상기 래치장치(520)에 진입시킨다.In other words. The user pushes the door 30 in a state where the fixing member 550 and the first latch device 530 are separated as shown in FIG. 10 (b) And enters the latch device 520.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삽입안내홈(5211)에 삽입되고,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를 뒤로 밀게 된다.The fixing member 5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uide groove 5211 and pushes the first extension portion 5252 of the rotation limiting portion 525 backward.

이에 의하여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삽입부(5255)가 상기 걸림부(524)의 제2삽입홈(5245)로 부터 이탈된다.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5255 of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525 is disengaged from the second insertion recess 5245 of the engaging portion 524 .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524)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Thus, the latching portion 524 can rotate clockwise.

상기 고정부재(550)의 상기 고정핀(552)은 상기 걸림홈(5242)에 진입하고, 상기 걸림홈(5242)를 뒤로 밀어서 상기 걸림부(524) 자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fixing pin 552 of the fixing member 550 enters the engaging groove 5242 and pushes the engaging groove 5242 backward to rotate the engaging portion 524 in a clockwise direction.

상기 걸림부(5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제2탄성부재(5292)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잡아당겨진다.When the locking part 524 rotates clockwise, the movement guide part 526 connected by the locking part 524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5292 is pulled.

이에 의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Whereby the motion guide portion 526 rotates counterclockwise.

따라서, 상기 제1삽입홈(5244)와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가 근접한다.Therefore, the first insertion groove 5244 and the insertion portion 5262 of the motion guide portion 526 are close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진입을 하면, 상기 걸림부(524)의 걸림홈(5242)는 측방을 바라보게 되고, 상기 고정핀(552)은 상기 걸림홈(5242)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된다.When the fixing member 550 is completely inserted, the engaging groove 5242 of the engaging portion 524 faces the side, and the fixing pin 552 is surrounded by the engaging groove 5242 That's it.

그리고,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가 상기 제1삽입홈(524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6)의 회동을 제한한다.The insertion portion 5262 of the motion guide portion 526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5244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526. [

이로써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걸림부(524)에 완전하게 구속되어 전방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Thus, the fixing member 550 is completely restrained by the engaging portion 524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engaged in the forward dire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래치스위치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latch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의 전방에는 손잡이(32)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32)의 위에는 상기 버튼(610)이 마련된다.12, a handle 32 is provided in front of the door 30, and the button 610 is provided on the handle 32. As shown in FIG.

상기 도어(30)의 후면 테두리에는 가스켓(31)이 마련된다.A gasket 31 is provided on the rear edge of the door 30.

상기 도어(30)의 후면에는 상기 손잡이(32)와 연결되는 래치스위치장치(600)가 마련되어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한다.A latch switch device 600 connected to the handle 32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30 to selectively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first latch device 520.

한편,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재(550)가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도어(3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다리(551)와, 상기 연장다리(551)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핀(552)을 포함한다.The fixing member 55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atch switch device 600. The fixing member 550 includes an extension leg 551 extending rearward from a rear surface of the door 30, And a fixing pin 552 provided at the end of the leg 551.

상기 연장다리(551)는 상하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고, 상기 고정핀(552)은 상하로 마련되는 연장다리(551)의 단부에 마련된다.The extension legs 551 are vertically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xing pins 552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extension legs 551.

상기 연장다리(551)는 상호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The extension legs 55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상기 고정핀(552)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걸림홈(도 5,6 참조, 5242)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The fixing pin 552 can be hooked on the latching groove (see FIGS. 5 and 6, 5242) of the first latch device 520 to be supported.

도 13은 도어 손잡이의 일측에 장착되는 래치스위치장치와 스토퍼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래치스위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atch switch device and a stopper device mounted on one side of a door handle, and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tch switch device.

우선,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도어(30)의 손잡이에 장착되는 버튼(610)과,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되는 링크부재(630)와,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밀려서 상기 래치장치(520)의 잠금을 해제하여 작동시키는 해제핀(6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latch switch device 600 includes a button 610 mounted on the handle of the door 30, a link member 630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depression of the button, And an unlocking pin 650 for unlocking and operating the latch device 520.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610)은 도어 손잡이(32)의 상단부에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32)를 잡고 누를 수 있도록 제공된다.As shown in FIG. 13, the button 61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door handle 32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door handle 32,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32 and press the button 610.

상기 링크부재(630)는 도어(30)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링크부재(63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 형태의 링크 양 단부가 서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link member 630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door 30. As shown in Fig. 14, the link member 630 is formed such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rod-shaped link extend vertically to each other.

상기 링크부재(630)가 회동하면서 상기 해제핀(650)을 밀어주도록 이루어진다.So that the link member 630 pivots while pushing the release pin 650.

상기 해제핀(650)은 상기 회동하는 링크부재(630)에 의해 밀려서, 도 13에 도시한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가압부(도 5 참조, 522)를 밀어주게 된다.The release pin 650 is pushed by the pivoting link member 630 to push the pressing portion 522 of the first latch device 520 shown in Fig.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버튼(610)과 연결되어 눌러지는 버튼과 함께 움직여서 상기 링크부재(630)를 회동시키는 푸시레버(6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tch switch device 600 may further include a push lever 620 that is coupled to the button 610 and moves together with the push button to rotate the link member 630.

상기 푸시레버(620)는 상기 버튼(610)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버튼과 함께 하방으로 움직여서 상기 링크부재(630)의 일단부를 회동시킨다.The push lever 620 is connected to the button 610, and when a user presses a button, the push lever 620 moves downward together with the button to rotate one end of the link member 630.

이 푸시레버(62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610)과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32)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621)와, 상기 슬라이딩부(621)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연장부(622)와, 상기 수평연장부(622)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수직연장부(623)와, 상기 수직연장부(623)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상기 링크부재(63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링크부재삽입부(6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4, the push lever 620 includes a sliding portion 621 connected to the button 610 and sliding up and down in the handle 32, A vertical extension part 623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622 and a vertical extension part 623 projecting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extension part 623, And a link member inserting portion 624 into which one end of the link member 630 is inserted.

또한, 상기 푸시레버(620)는 상기 슬라이딩부(621)의 하단부에 돌기부(625)가 더 형성되고, 이 돌기부가 상기 손잡이(32) 내에 마련된 스프링(626)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push lever 620 is further formed with a protrusion 625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sliding portion 621 and the protrusion portion presses the spring 626 provided in the handle 32.

또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도어(32)의 내부에 매립되는 케이스(6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630)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tch switch device 600 may further include a case 680 embedded in the door 32. The link member 630 may be rotatably mounted in the case.

상기 케이스(68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제1케이스부(681)와 제2케이스(682)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해제핀(650)을 직선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케이스(6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14, the case 680 includes a first case part 681 and a second case 682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case 682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ase, And a third case 683 for guiding the first case 681 to linearly move.

상기 제1케이스부(681)와 제2케이스(682)에는 서로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682)에는 별도로 상기 도어(32)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다.The first case 681 and the second case 682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so that they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screws and the second case 682 can be separately coupled to the door 32 A coupling hole is formed.

또한, 상기 제3케이스(683)에도 상기 제2케이스(682)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Further,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case 682 is formed in the third case 683 as well.

상기 도어(30)는 내부에 단열재가 발포되므로 상기 케이스(680)는 발포되는 단열재가 케이스(680) 내부로 들어오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door 30 is foamed inside the case 680, the case 680 is preferably closed so that the foamed heat insulating material does not enter the case 680.

상기 링크부재(630)는 상기 제1케이스부(681)와 제2케이스(682)에 의해 이루어지는 케이스(680) 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상기 링크부재(630)를 바로 장착하는 것보다 두 베어링부재(631,632)를 통해 케이스(68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nk member 630 is rotatably mounted in a case 680 formed by the first case part 681 and the second case 682. It is preferable that the link member 630 is provided with two bearings It is preferable to mount it to the case 680 through the members 631 and 632.

이를 통해, 상기 링크부재(630)의 마찰을 줄이고 그 회동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a result, the friction of the link member 630 can be reduced and the pivoting mo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해제핀(65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6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tch switch device 600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660 for restoring the release pin 650 to an original position.

상기 링크부재(630)가 상기 해제핀(650)을 밀어주어 상기 가압부(522)를 밀어준 후에, 상기 버튼(610)을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상기 링크부재(630)의 회동력도 없어지므로 상기 해제핀(650)은 원상태로 복귀할 필요가 있다.When the pushing force of the button 610 is released after the link member 630 pushes the release pin 650 and pushes the pressing portion 522, the turning force of the link member 630 disappears, The release pin 650 needs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그래서, 상기 스프링(660)이 해제핀(650)을 감싸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3케이스(683)에 대해 압축되었다가 복원력에 의해 팽창하면서 상기 해제핀(65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Thus, the spring 660 is inserted to enclose the release pin 650, compressed against the third case 683, and expanded by the restoring force, thereby returning the release pin 650 to the original position.

한편, 상기 해제핀(650)은 상기 제3케이스(683) 내에서 직선 운동하는 핀부재(651)와 이 핀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푸시부재(65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lease pin 650 preferably includes a pin member 651 linearly moving in the third case 683 and a push member 652 coupled to the end of the pin member.

이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상기 핀부재(651)는 플라스틱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압부(522)를 밀어주는 푸시부재(652)는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등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in member 651, which linearly moves, is formed of plastic, and the push member 652 for pushing the pressing portion 522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n elastic material.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케이스(68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링크부재(630)의 회동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해제핀(650)으로 전달하는 슬라이더(6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tch switch device 600 further includes a slider 640 slidably mounted in the case 680 to conve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nk member 630 into a rectilinear motion and transmit the rectilinear motion to the release pin 650 .

상기 슬라이더(640)는 상기 링크부재(630)의 회동운동을 상기 해제핀(650)의 직선운동으로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3케이스(683)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한다.The slider 640 slides in the third case 683 to smoothly transmi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nk member 630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release pin 650.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더(640)는 링크부재(630)의 타단부를 수용하여 접촉하도록 일측에 형성된 링크수용부(642)와 양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3케이스(683)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68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6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ider 640 includes a link accommodating portion 642 formed at one side to receive and contact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630 and a guide formed at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hird case 683, And a guide protrusion 644 inserted and slid into the groove 684.

상기 해제핀(650)은 상기 슬라이더(640)와 결합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630)가 슬라이더(640)를 밀어줄 때 슬라이더(640)와 함께 움직인다.The release pin 650 is fixedly engaged with the slider 640 to move together with the slider 640 when the link member 630 pushes the slider 640.

또한, 상기 스프링(660)의 일측은 상기 제3케이스(683)의 내면에 지지되고 스프링(660)의 타측은 상기 슬라이더(640)의 링크수용부(642) 반대쪽 표면에 지지된다.One side of the spring 660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case 683 and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660 is supported on the surface of the slider 640 opposite to the link receiving portion 642.

그리고, 상기 푸시레버(620)는 상기 손잡이(32)가 상기 도어(32)의 측면에 결합되도록 손잡이(32)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의 내측면에 가이드부(69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sh lever 62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guide portion 690 on the inner side of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handle 32 so that the handle 32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door 32 .

이 가이드부(690)에서 좌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부(692)는 상기 푸시레버(62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고 그 상하 운동의 상한과 하한을 제한하도록 상단부와 하단부에 턱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guide portion 692 formed at the left side in the guide portion 690 guides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push lever 620 and forms a jaw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o limit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up and down movement .

상기 스토퍼장치(700)는 상기 도어(30)가 닫힐 때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stopper device 700 is push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door 30 is closed so that the latch switch device 600 can be operated.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장치(700)는, 상기 도어(30)가 닫힐 때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의해 눌러지는 푸시바(710)와, 상기 푸시바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됨에 따라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720)와, 상기 스토퍼를 잠금 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7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3, the stopper device 700 includes a push bar 710 press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door 30 is closed, A stopper 720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switch device 600 as it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bar, and a spring 730 for restoring the stopper to the locked position.

상기 푸시바(710)는 상기한 가이드부(690)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푸시바(71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694)에 지지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sh bar 71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guide portion 690 and is supported by a second guide portion 694 for guiding movement of the push bar 7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slid horizontally desirable.

상기 제2가이드부(694)는 상기 손잡이(32) 연장부의 우하부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푸시바(71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것을 안내한다.The second guide portion 694 is formed at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extension of the handle 32 and guides the push bar 710 inserted and slid.

상기 푸시바(710)는 상기 손잡이(32) 연장부의 우단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The push bar 710 is mounted so as to protrude more than the right end of the extension of the handle 32.

상기 스토퍼(720)는 상기 푸시바(710)와 연결되어 푸시바(71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회동되도록 이루어진다.The stopper 720 is connected to the push bar 710 and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push bar 710.

이 스토퍼(720)는 상기 푸시바(710)가 눌러져서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푸시레버(62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topper 720 is configured to limit downward movement of the push lever 620 of the latch switch device 600 when the push bar 710 is not pushed and pushed.

상기 스프링(730)은 상기 스토퍼(720)를 잠금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장착된다.The spring 730 is mounted to restore the stopper 720 to the locked position.

상기 스프링(730)은 상기 스토퍼(720)의 회동축(724)에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pring 730 is preferably a torsion spring mounted on the rotation shaft 724 of the stopper 720.

상기 스토퍼(720)의 일단부는 상기 푸시바(720)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가 회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720)의 타단부는 래치스위치장치(600)의 일측에 돌출된 돌기와 맞물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절곡부(72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stopper 720 is connected to the stopper 72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ush bar 720.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720 is engaged with a protrusion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latch switch device 600, And preferably includes a bent portion 726 that remains locked to prevent the device from operating.

상기 푸시바(720)에는 상기 스토퍼(720)의 일단부인 푸시바와의 연결부(722)에 돌출된 돌기가 삽입되는 장공(71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sh bar 72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lot 712 in which a projection protruding from a connection portion 722 of a push bar, which is one end of the stopper 720, is inserted in a vertical direction.

이 장공(712)은 상기 푸시바(710)가 직선운동을 할 때 상기 스토퍼(720)의 연결부(722) 돌기가 장공(712) 내에서 상방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스토퍼(720)가 회동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otrusion 712 of the stopper 720 moves upward in the slot 712 so that the stopper 720 can be pivoted when the push bar 710 linearly moves. do.

상기 스토퍼(720)의 절곡부(726)는 상기 회동축(724)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다가 좌측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ent portion 726 of the stopper 720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pivot shaft 724 and be bent to the left.

또한, 상기 푸시레버(620)에도 상기 스토퍼(720)의 절곡부(726)에 걸리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62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sh lever 620 may also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627 projecting sideways so as to be caught by the bent portion 726 of the stopper 720.

상기 걸림돌기(627)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토퍼(720)의 절곡부(726)에 걸리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스토퍼(720)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topper protrusion 627 is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topper 720 except that it is caught by the bent portion 726 of the stopper 720 while moving up and down.

이하,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래치스위치장치와 스토퍼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atch switch device and the stop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and FIG.

도 15는 래치스위치장치와 스토퍼장치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해 링크부재의 축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래치스위치장치와 스토퍼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15 is a side view of the link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to show the operation of the latch switch device and the stopper device, and FIG. 1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latch switch device and the stopper device of FIG. 15 are operated.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접촉하여 닫히지 않으면, 상기 스토퍼장치(700)의 푸시바(710)가 눌러지지 않아 상기 스토퍼(720)기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작동을 제한하는 초기위치에 위치되어 있다.The push bar 710 of the stopper device 700 is not pressed so that the stopper 720 does not come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And is located at an initial position for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 switch device 600.

이때, 상기 푸시레버(620)의 걸림돌기(627)는 상기 스토퍼(720)의 절곡부(726)와 맞물리게 되어 푸시레버(620)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610)을 누르려 해도 이 버튼(610)과 결합된 푸시레버(620)가 아래로 움직이지 못하므로, 상기 버튼(610)이 눌러지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latching protrusion 627 of the push lever 620 is engaged with the bent portion 726 of the stopper 720, and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ush lever 620 is restricted.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button 610, the push lever 620 coupled with the button 610 can not move downward, so that the button 610 is not pressed.

상기 버튼(610)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레버(620)가 눌러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링크부재(630)가 회동되지 않은 상태이다.In a state where the button 610 is not pressed, the push lever 620 is not pushed, so that the link member 630 is not rotated.

그래서, 상기 링크부재(630)가 슬라이더(640)를 밀지 않아 상기 해제핀(650)이 도어(32) 내면에서 돌출된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이다.Therefore, the link member 630 does not push the slider 640, and the release pin 650 is positioned at the initial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32.

이 상태에서는 상기 버튼(610)과 결합된 푸시레버(620)는 상기 스프링(626)에 의해 상방으로 복원력이 가해지고 있는데, 상기 푸시레버(620)의 상면이 상기 제1가이드부(692)의 상단부에 형성된 턱에 접촉되어 푸시레버(620)와 결합된 상기 버튼(610)이 그 장착부로부터 위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In this state, the push lever 620 coupled with the button 610 is restored upward by the spring 626,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 lever 620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portion 692 So that the button 610 engaged with the push lever 620 is prevented from falling up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해제핀(650)을 감싸도록 구비된 스프링(660)도 상기 제3케이스(683)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640)를 상기 링크부재(630) 쪽으로 밀어주고 있는 상태이다.The spring 660 provided to surround the release pin 650 also pushes the slider 640 toward the link member 630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case 683 .

그래서, 상기 링크부재(630)는 상기 푸시레버(620) 아래의 스프링(626)과 상기 제3케이스(683)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더(640) 사이의 스프링(660)에 의해 초기 회동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The link member 630 is maintained at the initial rotational position by the spring 660 under the push lever 620 and the spring 660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case 683 and the slider 640 .

다음으로 냉장고의 도어(30)가 상기 본체(10)에 닫히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면이 상기 푸시바(710)를 밀어서 들어가게 한다.Next, when the door 30 of the refrigerator is closed to the main body 10,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pushes the push bar 710 as shown in FIG.

그러면 상기 스토퍼가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어 상기 푸시레버(620)의 걸림돌기(627)가 상기 절곡부(726)에 걸리지 않고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en, the stopper is rotated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latching protrusion 627 of the push lever 620 can move downwar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bent portion 726.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610)을 누르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레버(62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링크부재(630)의 일단부를 소정 각도 회동시킨다.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610 in this state, the push lever 620 moves downward to rotate one end of the link member 630 by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그래서, 상기 링크부재(630)의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640)를 소정 거리 밀어주면, 상기 스프링(660)이 상기 제3케이스(683)의 내면에 대해 압축되고 상기 슬라이더(640)와 결합된 상기 해제핀(650)이 도어(32) 내면으로부터 더 돌출하면서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가압부(522)를 밀어주게 된다.When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630 pushes the slider 640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pring 660 is com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case 683, The release pin 650 further project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32 and pushes the pressing portion 522 of the first latch device 520.

상기 가압부(522)가 눌리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The first latch device 520 is released from the locked state and the fixing pin 552 of the fixing member 550 is released from the first latch device 520, Lt; / RTI >

결국, 사용자는 상기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버튼(610)을 누름으로써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서 상기 도어(30)를 열면,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빠져나오므로,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냉장실(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도어(30)만이 열리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user depresses the button 610 while the door 30 is closed, the first latch device 520 is released from the locked state and the door 30 is opened, the first latch device 520 The door 30 is opened while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detached from the door 30 in a state where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coupl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0.

한편, 상기 버튼(61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버튼 아래의 스프링(626)이 상기 푸시레버(620)와 버튼(610)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복귀시킨다.Meanwhile,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button 610 is removed, the spring 626 under the button pushes the push lever 620 and the button 610 upward to return.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래치스위치장치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만 작동되도록 보장하는 스토퍼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가 도어에 결합한 상태로 도어가 열렸을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래치스위치장치를 작동하여 저장용기가 도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opper device is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oor is closed only when the latch switch device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device is operated, the door is opened with the storage container coupled to the door The user can inadvertently operate the latch switch device to reliably prevent the storage container from falling off the doo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Changes will be possible.

10: 본체
13: 힌지
20: 저장실(냉장실)
30: 냉장실도어
31: 개스킷
32: 손잡이
40: 냉동실도어
42: 손잡이
100: 저장용기
110: 프레임
120: 수납선반
130: 커버
300: 롤러장치
510: 제1가이드지지부
520: 제1래치장치
530: 제2래치장치
540: 제2가이드지지부
550: 고정부재
600: 래치스위치장치
610: 버튼
620: 푸시레버
627: 걸림돌기
630: 링크부재
640: 슬라이더
650: 해제핀
660: 스프링
690: 가이드부
700: 스토퍼장치
710: 푸시바
720: 스토퍼
730: 스프링
10: Body
13: Hinge
20: Storage room (refrigerator room)
30: Refrigerator door
31: Gasket
32: Handle
40: Freezer door
42: Handle
100: storage container
110: frame
120: storage shelf
130: cover
300: roller device
510: first guide support
520: first latch device
530: second latch device
540: second guide support
550: Fixing member
600: latch switch device
610: Button
620: Push lever
627: The stumbling block
630: Link member
640: Slider
650: Release pin
660: spring
690:
700: Stopper device
710: Push bar
720: Stopper
730: spring

Claims (12)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손잡이를 구비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며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저장실 또는 도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래치장치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누름 가능한 버튼과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움직이는 버튼의 운동방향과 작용점을 다른 방향과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운동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스위치장치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래치스위치장치의 작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장치는,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상기 본체에 의해 눌러지고 상기 도어가 열린 경우 상기 눌러짐이 해제되는 푸시바와,
상기 푸시바의 눌러짐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래치스위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와,
상기 푸시바의 눌러짐이 해제되면 상기 스토퍼의 회동을 복원시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room inside,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opening / closing the storage chamber and having a handle,
A storage container selectively mounted on the door or the main body,
A latch device provided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operable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to selectively engage the main body or the door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or the door,
And a motion converting device for converting the motion direction and the action point of the push button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and the button moving according to the pushing of the button into different directions and positions and transmitting the same, A latch switch device for releasing the latch switch device,
And a stopper device for restricting operation of the latch switch device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stopper device includes:
The push bar being pushed by the main body when the door is closed and released when the door is opened,
A stopper that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pushing of the push bar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switch device,
And a spring for restoring the rotation of the stopper to switch the latch switch device into a locked state when the push bar is rele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장치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본체의 전면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device is push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latch switch device can be opera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는 상기 푸시바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가 회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는 래치스위치장치의 일측에 돌출된 돌기와 맞물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stopper is connected to rotate the stoppe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ush bar,
And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is engaged with a protrusion projected to one side of the latch switch device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latch switch device is not operated.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에 장착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푸시레버와,
상기 푸시레버에 의해 회전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해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he latch switch device includes:
A button mounted on a handle of the door,
A push lever connected to the button and moving up and down,
A link member rotated by the push lever,
And a release pin that is pushed by the link member to unlock the latch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매립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atch switch device further comprises a case embedded in the door,
And the link member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cas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해제핀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atch switch device further comprises a spring to restore the release pin to its original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atch switch device further comprises a spring for restoring the button to its original 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회동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해제핀으로 전달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atch switch device further comprises a slider slidably mounted in the case to convert a rotational motion of the link member into a linear motion and transmit the linear motion to the release pi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 입구에 마련되는 걸림안내홈 또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atch device includes:
A housing installed in a frame constituting the storage container;
And a locking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rotatable, the locking part being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storage room or the locking part selectively hooked to the back of the do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고 외력의 가압에 따라 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운동안내부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도어 배면의 고정부재과의 걸림 상태 해제시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atch device includes:
A motion guide portion connected to the retaining portion and movable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force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etain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housing and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when the locking portion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member of the door rear face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ocking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해제핀이 상기 회동제한부를 밀어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n the latch switch device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the release pin pushes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to pivot.
KR1020120008605A 2012-01-03 2012-01-27 Refrigerator Active KR1019526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05A KR101952680B1 (en) 2012-01-27 2012-01-27 Refrigerator
EP12168066.4A EP2613112B1 (en) 2012-01-03 2012-05-15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US13/473,668 US8857930B2 (en) 2012-01-03 2012-05-17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US13/473,672 US8844983B2 (en) 2012-01-03 2012-05-17 Connection support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3/473,726 US8801124B2 (en) 2012-01-03 2012-05-17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US13/473,686 US8857865B2 (en) 2012-01-03 2012-05-17 Latch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12170441.5A EP2613113B8 (en) 2012-01-03 2012-06-01 Connection support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19214793.2A EP3660428A1 (en) 2012-01-03 2012-06-01 Refrigerator with a connection support device
EP12170443.1A EP2613114B1 (en) 2012-01-03 2012-06-01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EP12170562.8A EP2613115B1 (en) 2012-01-03 2012-06-01 Latch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12135349A JP5307918B2 (en) 2012-01-03 2012-06-15 Latch device
JP2012135414A JP5658199B2 (en) 2012-01-03 2012-06-15 Support device
JP2012135352A JP5385429B2 (en) 2012-01-03 2012-06-15 refrigerator
JP2012135384A JP5658198B2 (en) 2012-01-03 2012-06-15 Refrigerator with storage container
BR102012015111-1A BR102012015111B1 (en) 2012-01-03 2012-06-19 cooler
BR102012015110-3A BR102012015110B1 (en) 2012-01-03 2012-06-19 cooler
CN201210208992.8A CN103185437B (en) 2012-01-03 2012-06-20 Connect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 and there is the refrigerator of this connectio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
CN201210211906.9A CN103185432B (en) 2012-01-03 2012-06-21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CN201210212542.6A CN103185433B (en) 2012-01-03 2012-06-21 There is the refrigerator of tank
CN201210212528.6A CN103185438B (en) 2012-01-03 2012-06-21 Latching member and there is the refrigerator of this latch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05A KR101952680B1 (en) 2012-01-27 2012-01-27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321A KR20130087321A (en) 2013-08-06
KR101952680B1 true KR101952680B1 (en) 2019-02-27

Family

ID=4921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605A Active KR101952680B1 (en) 2012-01-03 2012-01-27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6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4063B2 (en) 2015-12-28 2020-06-16 Whirlpool Corporation Easy open drawer/door with rotating hand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79A1 (en) * 2010-01-04 2011-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4495U (en) * 1980-05-10 1981-12-05
JPS5785184U (en) * 1980-11-14 1982-05-26
JPS63142682U (en) * 1987-03-09 1988-09-20
KR100610505B1 (en) * 2005-01-12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79A1 (en) * 2010-01-04 2011-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321A (en)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7918B2 (en) Latch device
KR101622228B1 (en) Refrigerator
KR20150102417A (en) Refrigerator
WO2021227421A1 (en) Refrigerator
KR20160017017A (en) Refrigerator
KR101952680B1 (en) Refrigerator
KR101929776B1 (en) A latch device,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ub-storage chamber and the latch device
KR101952679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ub-storage chamber
KR101956034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KR101988307B1 (en) Refrigerator
KR101952678B1 (en) A latch device,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and the latch device comprising the latch device
KR101952681B1 (en) Refrigerator
KR102007838B1 (en) A latch device,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and the supporting device including the latch device
KR101988306B1 (en) Refrigerator
KR20130087323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