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5915B1 -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Google Patents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915B1
KR101965915B1 KR1020137005525A KR20137005525A KR101965915B1 KR 101965915 B1 KR101965915 B1 KR 101965915B1 KR 1020137005525 A KR1020137005525 A KR 1020137005525A KR 20137005525 A KR20137005525 A KR 20137005525A KR 101965915 B1 KR101965915 B1 KR 101965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articles
film
separator
soluble polymer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3384A (en
Inventor
야스오 시노하라
겐이치로 스가와라
히로시 시노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91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01M50/406Moulding; Emboss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01M50/4295Natural cotton, cellulose or wo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3Particulat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 및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그 세퍼레이터는, 미립자와 수용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다공막과,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서로 적층된 세퍼레이터로서, 상기 미립자가 평균 입경이 0.1 ㎛ 미만, 또한 비표면적이 50 ㎡/g 이상의 미립자 (a) 와, 평균 입경이 0.2 ㎛ 이상의 미립자 (b) 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며, 미립자 (a) 에 대한 미립자 (b) 의 중량비가 0.05 ∼ 50 이고, 수용성 폴리머에 대한 미립자의 중량비가 1 ∼ 100 이다. 그 방법은 수용성 폴리머, 미립자 및 매체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폴리올레핀 다공막 상에 도공하는 공정, 및 얻어진 도공막으로부터 매체를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머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다공막을 폴리올레핀 다공막 상에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미립자가 평균 입경이 0.1 ㎛ 미만, 또한 비표면적이 50 ㎡/g 이상의 미립자 (a) 와, 평균 입경이 0.2 ㎛ 이상의 미립자 (b) 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며, 미립자 (a) 에 대한 미립자 (b) 의 중량비가 0.05 ∼ 50 이고, 수용성 폴리머에 대한 미립자의 중량비가 1 ∼ 100 이며, 또한 수용성 폴리머 및 매체의 합계에 있어서의 수용성 폴리머의 농도가 0.4 중량% 이상 1.3 중량% 이하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eparator. The separator is a separator in which a porous film containing fine particles and a water-soluble polymer and a polyolefin porous film are lamina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fine particles have a mean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1 μm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50 m 2 /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to the fine particles (a) is 0.05 to 50, and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to the water soluble polymer is 1 to 100. The method comprises a step of coating a slurry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fine particles and a medium on a polyolefin porous film, and a step of laminating a porous film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and fine particles on the polyolefin porous film by removing the medium from the resultant coated film Wherein the fine particles are substantially composed of fine particles (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1 m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not less than 50 m 2 / g and fine particles (b)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not less than 0.2 m,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to the fine particles (a) is 0.05 to 50,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to the water soluble polymer is 1 to 100,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 soluble polymer in the water soluble polymer and medium is 0.4 wt% 1.3% by weight or less.

Description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or for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 특히 리튬 이온 2 차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등에 사용하는 전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ies, particularly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as batteries for use in personal computers, cellular phone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and the like because of their high energy density.

이들 리튬 이온 2 차 전지로 대표되는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다. 전지의 파손 혹은 전지를 사용하고 있는 기기의 파손 등에 의해 내부 단락·외부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는, 대전류가 흘러 이상 발열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에는 일정 이상의 발열을 방지하여,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상 발열시에, 세퍼레이터는 일반적으로는 정-부극 사이의 이온의 통과를 차단하여 추가적인 발열을 방지하는 셧다운 기능을 갖는다. 셧다운 기능을 갖는 세퍼레이터로는, 이상 발열시에 용융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공막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들 수 있다. 즉, 그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전지는 이상 발열시에 그 다공막이 용융 및 무공화 (無孔化) 됨으로써, 이온의 통과를 차단하여 추가적인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typified by thes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has a high energy density. If an internal short circuit or an external short circuit occurs due to breakage of a battery or breakage of a device using the battery, an excessive heat may flow due to a large current flow.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o prevent heat generation at a certain level or more in 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ensure high safety. Upon abnormal heat generation, the separator generally has a shutdown function for blocking the passage of ions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to prevent additional heat generation. Examples of the separator having a shutdown function include a separator having a porous film made of a material that melts at the time of abnormal heat generation. That is, in the battery using the separator, the porous film is melted and non-porous (non-porous) at the time of abnormal heat generation, so that passage of ions can be blocked and further heat generation can be suppressed.

이와 같은 셧다운 기능을 갖는 세퍼레이터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제의 다공막이 사용된다. 폴리올레핀 다공막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는 전지의 이상 발열시에는 약 80 ∼ 180 ℃ 에서 용융 및 무공화됨으로써, 이온의 통과를 차단 (셧다운) 할 수 있어 추가적인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가 더욱 높아지는 경우에는, 폴리올레핀 다공막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는 수축이나 파막 (破膜) 등에 의해, 정극 (正極) 과 부극 (負極) 이 직접 접촉하여 단락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폴리올레핀제의 다공막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는 온도가 더욱 높아지는 경우의 형상 안정성이 불충분하여, 단락에 의한 이상 발열을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As such a separator having a shutdown function, for example, a porous film made of polyolefin is used. The separator made of the polyolefin porous membrane is melted and nonporous at about 80 to 180 DEG C in the abnormal heat generation of the battery, so that the passage of ions can be shut off (shutdown), and further heat generation can be suppressed.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becomes higher, the separator made of the polyolefin porous membrane may be short-circuited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due to contraction or rupture.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stability of a separator made of a polyolefin-made porous film is insufficient when the temperature is further increased, and abnormal heat generation due to a short circuit can not be suppressed in some cases.

한편, 폴리올레핀 다공막에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공막을 적층함으로써, 세퍼레이터에 고온에서의 형상 안정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열성이 높은 세퍼레이터로서, 예를 들어 재생 셀룰로오스막이 유기 용매에 침지되어 얻어진 다공막과,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서로 적층된 세퍼레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세퍼레이터는 고온에서의 형상 안정성이 우수하여, 안전성이 보다 높은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를 부여할 수 있지만, 그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의 부하 특성이 불충분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imparting shape st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to a separator by laminating a porous film made of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to the polyolefin porous film has been studied. As such a separator having high heat resistance, for example, a separator in which a porous film obtained by immersing a regenerated cellulose film in an organic solvent and a polyolefin porous film are laminated to each other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Such a separator is excellent in shape st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and can provide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having higher safet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load characteristics of 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obtained using the separator become insufficient.

특허문헌 2 에는 셧다운성에 더하여, 고온에서의 형상 안정성이 우수한 세퍼레이터로서, 미립자 및 수용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다공막과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적층된 세퍼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 세퍼레이터를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에 사용함으로써 부하 특성, 사이클성, 나아가서는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가 얻어지고 있다. 그 세퍼레이터는 수용성 폴리머와 미립자와 매체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폴리올레핀 다공막 상에 도공하는 공정, 및 얻어진 도공막으로부터 매체를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머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다공막을 폴리올레핀 다공막 상에 적층하는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일부에 있어서, 고온에서의 셧다운성 및 형상 안정성의 밸런스가 충분하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즉, 고온에서의 셧다운성 및 형상 안정성이 우수한 세퍼레이터를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eparator in which a porous film containing fine particles and a water-soluble polymer and a polyolefin porous film are laminated as a separator having excellent shape st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in addition to shutdown.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xcellent in load characteristics, cycle characteristics, and safety is obtained by using the separator in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The separator comprises a step of coating a slurry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fine particles and a medium on a polyolefin porous film, and a step of laminating a porous film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and fine particles on the polyolefin porous film by removing the medium from the resulting coated film Lt; / RTI > However, in some of the obtained separators,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balance of shutdown property and shape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was sufficient. That is, there remains a room for improvement from the standpoint of stably producing a separator excellent in shutdown property and shape st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898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3898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27972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27972

본 발명의 목적은, 셧다운성 및 고온에서의 형상 안정성이 우수한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 세퍼레이터를 양호한 재현성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or for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hich is excellent in shutdown performance and shape st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eparator with good reproducibility.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1> 미립자와 수용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다공막과,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서로 적층된 세퍼레이터로서,&Lt; 1 > A separator comprising a porous film containing fine particles and a water-soluble polymer and a polyolefin porous film laminated to each other,

상기 미립자가 평균 입경이 0.1 ㎛ 미만, 또한 비표면적이 50 ㎡/g 이상의 미립자 (a) 와, 평균 입경이 0.2 ㎛ 이상의 미립자 (b) 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Wherein the fine particles are substantially composed of fine particles (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1 탆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50 m 2 / g or more and fine particles (b)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 탆 or more,

미립자 (a) 에 대한 미립자 (b) 의 중량비가 0.05 ∼ 50 이며,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to the fine particles (a) is 0.05 to 50,

수용성 폴리머에 대한 미립자의 중량비가 1 ∼ 100 인 세퍼레이터.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to the water-soluble polymer is 1 to 100.

<2> 미립자 (b) 의 비표면적이 20 ㎡/g 이하인 <1> 의 세퍼레이터.<2> The separator of <1>, wherei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ne particles (b) is 20 m 2 / g or less.

<3> 상기 수용성 폴리머가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폴리머인 <1> 또는 <2> 의 세퍼레이터.(3) The separator of (1) or (2), wherein the water-soluble polymer is at least on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ether, polyvinyl alcohol and sodium alginate.

<4> 상기 셀룰로오스에테르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인 <3> 의 세퍼레이터.&Lt; 4 > A separator according to < 3 >, wherein the cellulose ether is carboxymethylcellulose.

<5> 상기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폴리에틸렌 다공막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세퍼레이터.(5) The sepa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polyolefin porous membrane is a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6>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having any one of <1> to <5>.

<7> 수용성 폴리머, 미립자 및 매체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폴리올레핀 다공막 상에 도공하는 공정, 및 얻어진 도공막으로부터 매체를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머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다공막을 폴리올레핀 다공막 상에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으로서,<7> A step of coating a slurry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fine particles and a medium on a polyolefin porous film, and a step of laminating a porous film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and fine particles on the polyolefin porous film by removing the medium from the obtained coating film The method comprising:

상기 미립자가 평균 입경이 0.1 ㎛ 미만, 또한 비표면적이 50 ㎡/g 이상의 미립자 (a) 와, 평균 입경이 0.2 ㎛ 이상의 미립자 (b) 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Wherein the fine particles are substantially composed of fine particles (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1 탆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50 m 2 / g or more and fine particles (b)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 탆 or more,

미립자 (a) 에 대한 미립자 (b) 의 중량비가 0.05 ∼ 50 이며,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to the fine particles (a) is 0.05 to 50,

수용성 폴리머에 대한 상기 미립자의 중량비가 1 ∼ 100 이고,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to the water-soluble polymer is 1 to 100,

또한, 수용성 폴리머 및 매체의 합계에 있어서의 수용성 폴리머 농도가 0.4 중량% 이상 1.3 중량% 이하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And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total of the water-soluble polymer and the medium is 0.4 wt% or more and 1.3 wt% or less.

<8> 미립자 (b) 의 비표면적이 20 ㎡/g 이하인 <7> 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8> The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or according to <7>, wherei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ne particles (b) is 20 m 2 / g or less.

<9> 슬러리 중의 고형분 농도가 6 ∼ 50 중량% 인 <7> 또는 <8> 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9> The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or of <7> or <8>, wherein the solid content in the slurry is 6 to 50% by weight.

<10> 상기 수용성 폴리머가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폴리머인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10> The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9>, wherein the water-soluble polymer is at least on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ether, polyvinyl alcohol and sodium alginate.

<11> 상기 셀룰로오스에테르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인 <10> 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11> The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or according to <11>, wherein the cellulose ether is carboxymethylcellulose.

<12>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폴리에틸렌 다공막인 <7>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Lt; 12 > A process for produc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 7 > to < 11 >, wherein the polyolefin porous membrane is a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세퍼레이터><Separator>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수용성 폴리머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다공막 (이하,「A 막」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과 폴리올레핀 다공막 (이하,「B 막」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 서로 적층된 세퍼레이터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성 폴리머와 미립자와 매체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폴리올레핀 다공막 (B 막) 에 도공하는 공정, 및 얻어진 도공막으로부터 건조 등에 의해 매체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A 막은 셧다운이 발생하는 고온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세퍼레이터에 형상 안정성의 기능을 부여한다. B 막은 이상 발열시에 용융 및 무공화됨으로써 세퍼레이터에 셧다운 기능을 부여한다. 상기한 A 막과 B 막은 서로 적층되어 있으면 되고, 3 층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B 막의 양면에 A 막이 적층된 형태 등을 들 수 있다.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or in which a porous film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and fine particles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film") and a polyolefin porous film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B film" , A step of coating a slurry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fine particles and a medium on a polyolefin porous film (B film) as described later, and a step of removing the medium from the obtained coated film by drying or the like have. The A film has heat resistance at a high temperature at which shutdown occurs, and imparts a shape stability function to the separator. The B film is melted and nonporous at the time of abnormal heat generation, thereby giving the separator a shutdown function. The A film and the B film may be laminated to each other, or may be three or more layers. For example, the A film may b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B film.

먼저,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A 막에 대해 설명한다. A 막은 미립자와 수용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다공막이다. 수용성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셀룰로오스에테르, 알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메타크릴산 등을 들 수 있고,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알긴산나트륨이 바람직하며, 셀룰로오스에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예로는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EC),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시안에틸셀룰로오스, 옥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고, 장시간에 걸친 사용에 있어서의 열화가 적기 때문에 CMC 가 특히 바람직하다.First, the A film in the separator will be described. The A film is a porous film containing fine particles and a water-soluble polymer. Examples of the water-soluble polymer include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glycol, cellulose ether, sodium alginate, polyacrylic acid, polyacrylamide and polymethacrylic acid, and cellulose ether, polyvinyl alcohol and sodium alginate are preferable, Ether is more preferable. Specific examples of the cellulose ether include carboxymethylcellulose (CMC), hydroxyethylcellulose (HEC), carboxy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ethylcellulose, cyanylethylcellulose, and oxyethylcellulose. CMC is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the deterioration in use is small.

본 발명에 있어서의 미립자로는, 무기 재료 또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재료의 예로는, 구체적으로는 스티렌, 비닐케톤,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메틸 등의 단독 중합체 혹은 2 종류 이상의 공중합체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4 불화에틸렌-6 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4 불화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의 불소계 수지 ; 멜라민 수지 ; 우레아 수지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무기 재료의 예로는, 탄산칼슘, 탤크,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하이드로탈사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마이카, 제올라이트,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의 재료로는 무기 재료가 바람직하고, 알루미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미립자의 재료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종 이상의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s the fine particles in the present invention, fine particles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or an organic material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organic material include homopolymers such as styrene, vinyl ketone, acrylonitril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glycidyl acrylate, and methyl acrylate, Copolymer; Fluorinated resins such as polytetrafluoroethylene,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tetrafluoroethylene-ethylene copolymer and polyvinylidene fluoride; Melamine resin; Urea resin;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methacrylates,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inorganic material include calcium carbonate, talc, clay, kaolin, silica, hydrotalcite, diatomaceous earth, magnesium carbonate, barium carbonate, calcium sulfate, magnesium sulfate, barium sulfate,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Magnesium, titanium oxide, alumina, mica, zeolite, glass and the like. As the material of the fine particles, an inorganic material is preferable, and alumina is more preferable. The materials of these fine particles may be used alone. Two or more kinds of materials may be mixed and used.

A 막을 구성하는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0.1 ㎛ 미만, 또한 비표면적이 50 ㎡/g 이상의 미립자 (a) 와, 평균 입경이 0.2 ㎛ 이상의 미립자 (b) 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미립자 (a) 에 대한 미립자 (b) 의 중량비가 0.05 ∼ 50 이다. 미립자 (a) 및 미립자 (b) 의 재료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The fine particles constituting the A film are substantially composed of fine particles (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1 μm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50 m 2 / g or more and fine particles (b)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 μm or more,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is 0.05 to 50. The materials of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2 종류의 미립자 중, 입경이 큰 미립자 (b) 는 A 막에 있어서 주골격이 되고, A 막의 고온시의 형상 안정성에 기여한다. 입경이 작은 미립자 (a) 는 미립자 (b) 의 간극을 적절히 메워 A 막의 기계적 강도를 보다 높이는 작용을 갖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때에 수용성 폴리머의 B 막 세공 내로 과잉으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도 갖는다. A 막은 미립자 (a) 와 미립자 (b) 의 양방을 함유한다. 미립자 (a) 와 미립자 (b) 의 일방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충분한 통기성 (이온 투과성) 을 유지하면서, 실용 레벨에서의 고온시의 형상 안정성과 셧다운성을 겸비하는 것이 어렵다.Among the two types of fine particles, the fine particles (b) having a large particle diameter become the main skeleton in the A film, contributing to the shape stability of the A film at high temperature. The fine particles (a) having a small particle diameter have the function of appropriately filling the gaps between the fine particles (b)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A film, and as described later, excessively entering the B film pores of the water- . The A film contains both of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In the case of using only one of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it is difficult to combine shape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and shutdown at a practical level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air permeability (ion permeability).

미립자 (a) 는 평균 입경이 0.1 ㎛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 미만이며, 또한 미립자 (a) 의 비표면적은 50 ㎡/g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70 ㎡/g 이상이다. 평균 입경의 하한에 관해서 미립자 (a) 의 평균 입경은 통상적으로 0.01 ㎛ 이상 정도이다. 비표면적의 상한에 관해서 미립자 (a) 의 비표면적은 통상적으로 150 ㎡/g 이하 정도이다. 미립자 (a) 의 형상의 예로는, 구형, 표주박형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 (a) 가 평균 입경 0.1 ㎛ 미만, 및 비표면적 50 ㎡/g 이상의 양방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세퍼레이터의 셧다운성 (B 막의 무공화) 이 불충분해진다. 여기서, 미립자 (a) 의 비표면적은 BET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또, 미립자 (a) 의 평균 입경 d (㎛) 는, BET 비표면적 B (㎡/g) 및 미립자의 진밀도 D (g/㎥) 를 사용한 이하의 식으로 구한 값이다.The fine particles (a)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1 탆, preferably less than 0.05 탆,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ne particles (a) of 50 m 2 / g or more, and preferably 70 m 2 / g or more. Regarding 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a) is usually about 0.01 탆 or more. Regarding the upper limit of the specific surface area,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ne particles (a) is usually about 150 m 2 / g or less. Examples of the shape of the fine particles (a) include a spherical shape, a gourd shape, and the like. If the fine particles (a) do not satisfy both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1 탆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50 m 2 / g or more, the shutdown performance (neutralization of the B film) of the separator becomes insufficient. Here,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ne particles (a) is a value measured by a BET measurement metho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d (占 퐉) of the fine particles (a) is a valu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using the BET specific surface area B (m 2 / g) and the true density D (g / m 3) of the fine particles.

평균 입경 d (㎛) = 6 × 106/(B × D)Average particle diameter d (占 퐉) = 6 占06 / (B 占 D)

한편, 미립자 (b) 는 평균 입경이 0.2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25 ㎛ 이상이다. 미립자 (b) 의 평균 입경이 0.2 ㎛ 미만이면, A 막의 가열시의 수축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게 되어, 고온에서의 형상 안정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미립자 (b) 의 비표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0 ㎡/g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g 이하이다. 평균 입경의 상한에 관해서 미립자 (b) 의 평균 입경은 통상적으로 1.0 ㎛ 이하 정도이다. 비표면적의 하한에 관해서, 미립자 (a) 의 비표면적은 통상적으로 4.0 ㎡/g 이상 정도이다. 미립자 (b) 의 형상의 예로는, 구형, 표주박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미립자 (b) 의 평균 입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으로 25 개씩 입자를 임의로 추출하고, 각각에 대해 입경 (직경) 을 측정하여 25 개의 입경의 평균값으로서 산출한 값이다. 또, 미립자 (b) 의 형상이 구형 이외인 경우에는, 입자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를 나타내는 방향의 길이를 그 입경으로 한다. 또, 미립자 (b) 의 비표면적은 BET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ne particles (b)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 탆 or more, preferably 0.25 탆 or more. Whe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articles (b) is less than 0.2 탆, shrinkage upon heating of the A film can not be sufficiently suppressed, and the shape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becomes insufficient.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ne particles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m 2 / g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 m 2 / g or less. Regarding the upper limit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b) is usually about 1.0 占 퐉 or less. Regarding the lower limit of the specific surface area,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ne particles (a) is usually about 4.0 m 2 / g or more. Examples of the shape of the fine particles (b) include a spherical shape, a gourd shape, and the lik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b) is a value obtained by arbitrarily extracting 25 particles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measuring the particle diameter (diameter) of each particle, and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25 particle diameters. When the shape of the fine particles (b) is other than spherical, the particle diameter is defined as the length in the direction indicating the maximum length of the particles.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ne particles (b) is a value measured by a BET measurement method.

또, A 막에 있어서, 미립자 (a) 에 대한 미립자 (b) 의 중량비 (미립자 (a) 를 1 로 했을 때의 미립자 (b) 의 중량 비율) 는 0.05 ∼ 50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15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 10 이다. 중량비가 0.05 미만이면, A 막의 열수축을 충분히 억제하지 못하고, 고온에서의 형상 안정성이 불충분해지며, 50 을 초과하면, 세퍼레이터의 셧다운성이 저해되어 버린다.In the film A,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to the fine particles (a)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when the fine particles (a) are taken as 1) is 0.05 to 50, preferably 0.1 to 15 Particularly preferably from 0.2 to 10. If the weight ratio is less than 0.05, the heat shrinkage of the A film can not be sufficiently suppressed, and the shape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becomes insufficient. If the weight ratio is more than 50, shutdown of the separator is impaired.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미립자 (a) 와 미립자 (b) 이외의 미립자 (이하, 「그 밖의 미립자」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A 막에 있어서의 그 밖의 미립자의 함유량의 비율은, 미립자 (a) 와 미립자 (b) 의 합계 중량에 대해 100 중량% 이하 (0 중량% 를 포함한다) 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 이하 (0 중량% 를 포함한다)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other than the fine particles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quot; other fine particles &quot;) may be contained in such a range tha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gnificantly impaired. The proportion of the content of other fine particles in the A film is preferably 100% by weight or less (including 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0% by weight).

A 막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0.1 ㎛ 이상 2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15 ㎛ 이하이다. 지나치게 두꺼우면,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를 제조했을 경우에, 그 전지의 부하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지나치게 얇으면, 그 전지의 이상 발열이 발생했을 때에 폴리올레핀 다공막의 열수축에 저항하지 못하고 세퍼레이터가 수축될 우려가 있다. 또한, A 막이 B 막의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A 막의 두께는 양면의 합계 두께로 한다.The thickness of the A film is usually 0.1 占 퐉 or more and 20 占 퐉 or less, preferably 2 占 퐉 or more and 15 占 퐉 or less. If the thickness is too large, the load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may be deteriorated when 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When the battery is excessively thin, when abnormal heat generation of the battery occurs, the battery can not resist heat shrinkage of the polyolefin porous film, There is a risk of contraction. When the film A is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film B, the thickness of the film A is the total thickness of both surfaces.

A 막은 다공질의 막이지만, 그 구멍 직경은 구멍을 구형으로 근사했을 때의 구의 직경으로서 3 ㎛ 이하가 바람직하고, 1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멍 직경의 평균 크기 또는 구멍 직경이 3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극이나 부극의 주성분인 탄소 분말이나 그 소편이 탈락했을 때에 단락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또, A 막의 공극률은 30 ∼ 90 체적%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85 체적% 이다.The A film is a porous film, but the hole diameter is preferably not more than 3 탆,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1 탆, as the diameter of the sphere when the hole is approximated as a sphere. When the average size or the pore diameter of the pore diameter exceeds 3 탆,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hort circuit occurs when the carbon powder,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or the small particle thereof falls off. The porosity of the membrane A is preferably 30 to 90% by volume, more preferably 40 to 85% by volume.

다음으로,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B 막에 대해 설명한다. B 막은 폴리올레핀의 다공막이고,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에 있어서 전해액에 용해되지 않는다. B 막은 분자량이 5 × 105 ∼ 15 × 106 인 고분자량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등을 중합한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B 막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 × 105 이상의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 × 105 이상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Next, the B film in the separator will be described. The B film is a porous film of polyolefin and is not dissolv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The B film preferably contains a high molecular weight component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5 x 10 5 to 15 x 10 6 . Examples of the polyolefin include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zing ethylene, propylene, 1-butene, 4-methyl-1-pentene, 1-hexene or the like. The B film preferably contain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more preferably contains 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t least 1 x 10 5, and more preferably contains an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t least 5 x 10 5 More preferable.

B 막의 공극률은 20 ∼ 80 체적%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70 체적% 이다. 그 공극률이 20 체적% 미만에서는 전해액의 유지량이 적어지는 경우가 있고, 80 체적% 를 초과하면 셧다운이 발생하는 고온에 있어서의 무공화가 불충분해져, 전지의 이상 발열이 발생했을 때에 전류를 차단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The porosity of the B film is preferably 20 to 80% by volume, more preferably 30 to 70% by volume. If the porosity is less than 20% by volume,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to be retained may be small. If the porosity exceeds 80% by volume, the non-airtightening at a high temperature at which shutdown occurs may be insufficient, There is a concern.

B 막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4 ∼ 50 ㎛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30 ㎛ 이다. 두께가 4 ㎛ 미만이면, 셧다운이 불충분할 우려가 있고, 50 ㎛ 를 초과하면, 세퍼레이터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져 전지의 전기 용량이 작아질 우려가 있다. B 막의 구멍 직경은 3 ㎛ 이하가 바람직하고, 1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B film is usually 4 to 50 탆, preferably 5 to 30 탆.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4 탆, shutdown may be insufficient, and if it exceeds 50 탆, the thickness of the entire separator may become thick, and the electric capacity of the battery may be reduced. The pore diameter of the B film is preferably 3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1 占 퐉 or less.

B 막은 그 내부에 연결된 세공을 갖는 구조를 갖고, 일방의 면으로부터 타방의 면으로 기체나 액체가 투과 가능하다. B 막의 투기도는 통상적으로 걸리값으로 50 ∼ 400 초/100 cc 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300 초/100 cc 이다.The B film has a structure having pores connected to the inside thereof, and gas or liquid can permeat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permeability of the B membrane is usually from 50 to 400 sec / 100 cc, preferably from 50 to 300 sec / 100 cc, as a gelling value.

B 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956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에 가소제를 첨가하여 필름 성형한 후, 그 가소제를 적당한 용매로 제거하는 방법이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0411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하여 그 필름의 구조적으로 약한 비정 (非晶) 부분을 선택적으로 연신하여 미세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B 막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중량 평균 분자량 1 만 이하의 저분자량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B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method of adding a plasticizer to a polyolefin and forming the film into a polyolefin, followed by removing the plasticizer with an appropriate solvent as described in, for example, JP-A 7-29563,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304110, by using a film made of a polyolefin produced by a known method, a structurally weak amorphous portion of the film is selectively stretched to form a fine hole Method. When the B film is formed of a polyolefin containing ultra-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and a low-molecular-weight polyolefin having a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or less, for example, the B film is preferably produced by the following method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on cost.

즉, (1)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 1 만 이하의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5 ∼ 200 중량부와, 탄산칼슘 등의 무기 충전제 100 ∼ 400 중량부를 혼련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1) 100 parts by weight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5-200 parts by weight of a low molecular weight polyolef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or less, and 100-400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filler such as calcium carbonate are kneaded to obtain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2)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시트를 성형하는 공정(2) a step of molding a sheet using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3) 공정 (2) 에서 얻어진 시트로부터 무기 충전제를 제거하는 공정(3) a step of removing the inorganic filler from the sheet obtained in the step (2)

(4) 공정 (3) 에서 얻어진 시트를 연신하여 B 막을 얻는 공정(4) a step of stretching the sheet obtained in the step (3) to obtain a B film

을 포함하는 방법, 또는, Or

(1)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 1 만 이하의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5 ∼ 200 중량부와, 무기 충전제 100 ∼ 400 중량부를 혼련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1) 100 parts by weight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5 to 200 parts by weight of a low molecular weight polyolef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or less, and 100 to 400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filler to obtain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2)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시트를 성형하는 공정(2) a step of molding a sheet using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3) 공정 (2) 에서 얻어진 시트를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얻는 공정(3) a step of stretching the sheet obtained in the step (2) to obtain a stretched sheet

(4) 공정 (3) 에서 얻어진 연신 시트로부터 무기 충전제를 제거하여 B 막을 얻는 공정(4) a step of removing the inorganic filler from the stretched sheet obtained in the step (3) to obtain a B film

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또한, B 막에 대해서는 상기 기재된 특성을 갖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can be used for the B film.

상기한 A 막과 B 막은 서로 적층되어 세퍼레이터를 구성한다. 세퍼레이터는 A 막과 B 막 이외의, 예를 들어 접착막, 보호막 등의 다공막을 본 발명의 목적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포함해도 된다.The A film and the B film are laminated to each other to constitute a separator. The separator may contain, for example, a porous film such as an adhesive film or a protective film other than the A film and the B film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significantly disturb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세퍼레이터 전체의 두께 (A 막의 두께 + B 막의 두께의 합계) 는 통상적으로 5 ∼ 80 ㎛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50 ㎛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 ∼ 35 ㎛ 이다. 세퍼레이터 전체의 두께가 5 ㎛ 미만에서는 파막하기 쉬워지고, 80 ㎛ 를 초과하면 전지의 전기 용량이 작아질 우려가 있다. 세퍼레이터 전체의 공극률은 통상적으로 30 ∼ 85 체적% 이고, 바람직하게는 35 ∼ 80 체적% 이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를 제조했을 경우, 높은 부하 특성이 얻어지지만, 세퍼레이터의 투기도는 50 ∼ 2000 초/100 cc 가 바람직하고, 50 ∼ 1000 초/100 cc 가 보다 바람직하다. 투기도가 2000 초/100 cc 이상이 되면, 세퍼레이터의 이온 투과성, 및 전지의 부하 특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The total thickness of the separator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A film and the thickness of the B film) is usually 5 to 80 占 퐉, preferably 5 to 50 占 퐉, and particularly preferably 6 to 35 占 퐉. When the total thickness of the separator is less than 5 m, the membrane tends to be easily broken. When the thickness exceeds 80 m, the electric capacity of the battery may be reduced. The porosity of the whole separator is usually 30 to 85% by volume, preferably 35 to 80% by volume. When 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using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 load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but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parator is preferably 50 to 2000 sec / 100 cc, more preferably 50 to 1000 sec / 100 cc Do. If the air permeability is 2000 sec / 100 cc or more, the ion permeability of the separator and the load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may be lowered.

셧다운이 발생하는 고온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치수 유지율로는 9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이다. 세퍼레이터의 치수 유지율은 B 막의 MD 방향 및 TD 방향에 의존하여 상이한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 B 막의 MD 방향의 치수 유지율 및 TD 방향의 치수 유지율 중 작은 값을 사용한다. 여기서, MD 방향이란 시트 성형시의 길이 방향, TD 방향이란 시트 성형시의 폭 방향을 말한다. 치수 유지율이 90 % 미만이면, 셧다운이 발생하는 고온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의 열수축에 의해, 정-부극 사이에서 단락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셧다운 기능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셧다운이 발생하는 고온이란, 80 ∼ 180 ℃ 의 온도이며, 통상은 130 ∼ 150 ℃ 정도이다.The dimensional retention of the separator at a high temperature at which shutdown occurs is at least 90%, preferably at least 95%. The dimension retention ratio of the separator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of the B film. In this case, a smaller value is used among the dimension retention ratio in the MD direction and the dimension retention ratio in the TD direction. Here, the MD direction refer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ime of sheet forming, and the TD direction refers to the width direction at the time of sheet forming. If the dimensional retention ratio is less than 90%, a short circuit may occur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due to thermal shrinkage of the separator at a high temperature at which shutdown occurs, which may result in insufficient shutdown function. The high temperature at which shutdown occurs is a temperature of 80 to 180 캜, usually about 130 to 150 캜.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eparator>

다음으로,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parator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수용성 폴리머, 미립자 및 매체를 함유하는 슬러리 (A 막 형성용 슬러리) 를 B 막 상에 도공하는 공정, 및 얻어진 도공막으로부터 매체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도공막은 B 막 상에 도공된 막이다. 도공막으로부터 매체를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머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다공막 (A 막) 이 얻어지고, A 막은 B 막 상에 적층된다. 도공막이 건조되었을 때, 미립자의 주위에 간극이 생겨 A 막이 생성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슬러리가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으면, 다공막은 얻을 수 없다. 또한, 슬러리를 B 막의 양면에 도공하여, B 막의 양면에 A 막을 형성해도 된다.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a method including a step of coating a slurry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fine particles and a medium (slurry for forming an A film) on a B film, and a step of removing the medium from the obtained coating film . The coating film is a film coated on the B film. By removing the medium from the coating film, a porous film (A film)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and fine particles is obtained, and the A film is laminated on the B film. When the coating film is dried, it is presumed that a gap is formed around the fine particles and an A film is formed. If the slurry does not contain fine particles, a porous film can not be obtained. The slurry may be coated on both sides of the B film to form the A film on both sides of the B film.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의 슬러리는, 예를 들어 매체 중에 수용성 폴리머를 용해 또는 팽윤시키고 (도공할 수 있으면 수용성 폴리머가 팽윤한 액이어도 된다), 추가로 미립자를 거기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혼합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쓰리 원 모터, 호모게나이저, 미디어형 분산기, 압력식 분산기 등 종래 공지된 분산기를 사용할 수 있다.The slurry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dissolving or swelling a water-soluble polymer in a medium (or by swelling a water-soluble polymer if it can be applied), and further adding fine particles thereinto And mixing them. The mix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conventionally known dispersing machines such as three one-motor, homogenizer, media type disperser, pressure type disperser and the like can be used.

슬러리에 있어서의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0.1 ㎛ 미만, 또한 비표면적이 50 ㎡/g 이상의 미립자 (a) 와, 평균 입경이 0.2 ㎛ 이상의 미립자 (b) 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미립자 (a) 에 대한 미립자 (b) 의 중량비는 0.05 ∼ 50 이며, 수용성 폴리머에 대한 미립자의 중량비는 1 ∼ 100 이다.The fine particles in the slurry are substantially composed of fine particles (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1 μm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50 m 2 / g or more and fine particles (b)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 μm or more,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is 0.05 to 50, and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to the water-soluble polymer is 1 to 100.

매체로는, 물, 또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유기 용매, 혹은 물과 에탄올 등의 유기 용매와의 혼합 용매가 사용된다.As the medium, water or an organic solvent such as ethanol and isopropanol, or a mixed solvent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such as ethanol is used.

A 막 형성용 슬러리에 함유되는 수용성 폴리머, 미립자 (a), 미립자 (b) 는 상기 서술한 세퍼레이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수용성 폴리머로는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알긴산나트륨이 바람직하고, CMC 가 특히 바람직하다. 미립자 (a) 및 미립자 (b) 로는, 무기 재료 또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미립자의 재료로는 무기 재료가 바람직하고, 특히 알루미나가 바람직하다. 미립자 (a) 및 미립자 (b) 의 재료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The water-soluble polymer,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contained in the slurry for forming an A film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separator described above. As the water-soluble polymer, cellulose ether, polyvinyl alcohol and sodium alginate are preferable, and CMC is particularly preferable. As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fine particles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or an organic material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fine particles, an inorganic material is preferable, and alumina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 materials of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 본 발명의 목적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미립자 (a) 및 미립자 (b) 이외의 그 밖의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슬러리에 있어서의 그 밖의 미립자의 함유량의 비율은, 미립자 (a) 와 미립자 (b) 의 합계 중량에 대해 100 중량% 이하 (0 중량% 를 포함한다) 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 이하 (0 중량% 를 포함한다)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슬러리에 계면활성제, pH 조정제, 분산제, 가소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Further, other fine particles other than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may be contained within a range not significantly inhibit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other fine particles in the slurry is preferably not more than 100% by weight (including 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 By weight). In addition, a surfactant, a pH adjuster, a dispersant, a plasticizer and the like may be added to the slurry within a range not significantly inhibit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수용성 폴리머와 미립자와 매체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폴리올레핀 다공막 상에 도공했을 때에, 슬러리 중의 수용성 폴리머가 매체와 함께 폴리올레핀 다공막의 세공 내로 과잉으로 들어가, 그 상태에서 건조됨으로써 수용성 폴리머가 그 세공 내에서 석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슬러리 중에 함유되는 미립자 (a) 는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미립자 (a) 의 표면에 매체 및 수용성 폴리머가 흡착 및 유지될 수 있다. 미립자 (a) 자신은 그 크기에 의해, 물리적으로 B 막의 세공 내로 들어가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슬러리가 미립자 (a) 를 함유함으로써, 미립자 (a) 가 수용성 폴리머의 B 막 세공 내로 과잉으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한다. 한편, 미립자 (a) 는 입경이 작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슬러리가 미립자 (b) 를 함유하지 않고 미립자 (a) 만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A 막의 겉보기 중량에 대해 두께가 지나치게 커져, 결과적으로 A 막의 공극률이 커지고, A 막의 고온에서의 치수 유지성이나 기계적 강도를 저해시켜 버린다. 따라서, 미립자 (a) 에 대한 미립자 (b) 의 중량비 (미립자 (a) 를 1 로 했을 때의 미립자 (b) 의 중량 비율) 는 0.05 ∼ 50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15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 10 이다. 미립자 (a) 에 대한 미립자 (b) 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이면, A 막의 두께를 적당히 유지할 수 있고, A 막의 열수축을 억제할 수 있으며, A 막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lurry containing the water-soluble polymer, the fine particles and the medium is coated on the polyolefin porous film in the conventional production process of the separator,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slurry is excessively charged into the pores of the polyolefin porous membran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ter-soluble polymer is precipitated in the pores by drying in this state.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ne particles (a) contained in the slurry have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the medium and the water-soluble polymer can be adsorbed and retained on the surface of the fine particles (a). Due to the size of the fine particles (a) themselves, it is difficult to physically enter the pores of the B membrane. As a result, the slurry contains the fine particles (a), thereby preventing the fine particles (a) from excessively entering the B-film pores of the water-soluble polym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slurry contains only the fine particles (a) without containing the fine particles (b), the thickness of the slurry becomes too large with respect to the apparent weight of the formed A film, The porosity of the A film becomes large, and the dimensional retention and mechanical strength at the high temperature of the A film are impaired. Therefore,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to the fine particles (a)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when the fine particles (a) are taken as 1) is 0.05 to 50, preferably 0.1 to 15, Is 0.2 to 10.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to the fine particles (a) is in the above range, the thickness of the A film can be appropriately maintained, heat shrinkage of the A film can be suppressed, and the A film can have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슬러리의 수용성 폴리머 및 매체의 합계에 있어서의 수용성 폴리머의 농도는, (수용성 폴리머 및 매체의 중량에 대해) 0.4 중량% 이상 1.3 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4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이다. 수용성 폴리머의 농도가 0.4 중량% 미만이면, 상기 서술한 미립자 (a) 에 의한 수용성 폴리머의 흡착 유지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또한 도공막의 밀착성이 나쁘고, 도공막의 박리가 일어나 B 막 상에 연속막으로서의 A 막을 형성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며, 1.3 중량% 를 초과하면,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셧다운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도공에 적합한 슬러리 점도를 얻도록 수용성 폴리머의 분자량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total of the water-soluble polymer and the medium of the slurry is 0.4 wt% or more and 1.3 wt% or less (based on the weigh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and the medium), preferably 0.4 wt% or more and 1.0 wt% or less. If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is less than 0.4% by weight, the effect of adsorbing and retaining the water-soluble polymer by the above-mentioned fine particles (a)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adhesion of the coating film becomes poor, peeling of the coating film occurs, There is a fear that a film can not be formed. If the content exceeds 1.3% by weight, the shutdown property of the obtained separator may be deteriorated.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like of the water-soluble polyme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so as to obtain a slurry viscosity suitable for coating.

또, 상기 슬러리 중의 고형분 농도 (슬러리에 대한 미립자 (a) 및 미립자 (b) 의 합계의 농도) 는 바람직하게는 6 ∼ 5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 ∼ 25 중량% 이다. 고형분 농도가 6 중량% 미만에서는 슬러리로부터의 매체 제거시에 제거하기 어려워지고, 50 중량% 를 초과하면, B 막 상에 슬러리를 얇게 도포해야 하여 도공하기 어렵다.The solid concentration in the slurry (the total concentration of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relative to the slurry) is preferably 6 to 50 wt%, and more preferably 9 to 25 wt%. When the solid content is less than 6%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slurry when the medium is removed from the slurry. When the solid content is more than 50% by weight, the slurry must be thinly coated on the B film.

A 막을 제조함에 있어서, B 막 위에 A 막 형성용 슬러리를 도공했을 때에, 그 슬러리가 B 막의 세공 (공극) 내로 들어가, 슬러리 중의 수용성 폴리머가 석출되는, 이른바 「앵커 효과」에 의해 A 막과 B 막이 접착된다. 이 때, 슬러리가 B 막의 세공 내로 과잉으로 들어가면, 수용성 폴리머가 B 막의 보다 세공 심부에까지 침투 후, 석출됨으로써, 셧다운시에 있어서의 B 막의 원활한 용융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수용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슬러리가 B 막의 세공 (공극) 내로 과잉으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이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In producing the A film, when the slurry for forming the A film is coated on the B film, the slurry enters the pores (voids) of the B film and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slurry is precipitated. The film is bonded. At this time, if the slurry excessively enters the pores of the B film, the water-soluble polymer penetrates into the pores of the B film and precipitates, thereby deteriorating the smooth melting of the B film during shutdown. This problem can be avoided by suppressing excessive penetration of the slurry containing the water-soluble polymer into the pores (voids) of the B film.

슬러리가 충분한 비표면적을 갖는 미립자 (a) 를 함유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머가 미립자 (a) 에 흡착 및 유지되어, 슬러리 내의 수용성 폴리머가 B 막의 세공 (공극) 심부에까지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하기 식으로 나타나는 S 값이 20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g 이상이다.By containing the fine particles (a) having a sufficient specific surface area, the water-soluble polymer is adsorbed and retained on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slurry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pores (voids) of the B film. In order to obtain the effect, the S valu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s preferably 200 m 2 / g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00 m 2 / g or more.

S =[(미립자 (a) 의 비표면적 (㎡/g) × 미립자 (a) 의 부수 (PHR)) + (미립자 (b) 의 비표면적 (㎡/g) × 미립자 (b) 의 부수 (PHR))]/(수용성 폴리머의 부수 (PHR))S = [(specific surface area of particulate (a) / (number of particulates (a)) PHR + specific surface area of particulate (m 2 / g) ))] / (Number of water-soluble polymer (PHR))

한편, A 막이 필러로서 충분한 크기를 갖는 미립자 (b) 를 함유함으로써, 셧다운이 발생하는 고온에 있어서 A 막은 B 막의 열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미립자 (b) 의 평균 입경은 0.2 ㎛ 이상, 바람직하게는 0.25 ㎛ 이상이다. A 막이 평균 입경이 0.2 ㎛ 이상의 미립자 (b) 를 함유하지 않으면, 유위 (有爲) 하게 B 막의 열수축을 억제하어, 충분한 치수 유지성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얻는 것이 어렵다. 또한, 미립자 (b) 의 상한값은 A 막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한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2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고,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m A contains fine particles (b) having a sufficient size as a filler, the film A can suppress the heat shrinkage of the film B at a high temperature at which shutdown occur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b) is 0.2 占 퐉 or more, preferably 0.25 占 퐉 or more.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eparator having sufficient dimensional retentivity by suppressing the heat shrinkage of the B film effectively if the A film does not contain the fine particles (b)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 탆 or more.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fine particles (b)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A film, but is usually 20 占 퐉 or less, preferably 5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1 占 퐉 or less, 0.8 μm or less.

슬러리를 B 막에 도공하여 도공막을 얻는 방법은, 균일하게 웨트 코팅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필러리 코트법, 스핀 코트법, 슬릿 대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딥 코트법, 롤 코트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바 코터법, 그라비아 코터법, 다이 코터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A 막의 두께는 도공막의 두께, 수용성 폴리머의 슬러리 중의 농도, 미립자의 수용성 폴리머에 대한 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또한, B 막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수지제의 필름, 금속제의 벨트, 드럼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slurry to the B film to obtain the coating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uniformly wet-coat it, and conventionally known methods can be employed. For example, a coating method such as a capillary coating method, a spin coating method, a slit to coat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 dip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screen printing method, a flexo printing method, a bar coater method, And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A film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slurry, and the ratio of the fine particles to the water-soluble polymer. As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B film, a resin film, a metal belt, a drum, or the like can be used.

도공막으로부터의 매체의 제거는 건조에 의한 방법이 일반적이다. 제거 방법의 예로서, 그 매체에는 용해될 수 있지만 수용성 폴리머를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를 준비하고, 도공막을 그 용매 중에 침지시켜 그 매체를 그 용매로 치환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머를 석출시키고, 매체를 제거하고, 용매를 건조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슬러리를 B 막 위에 도공했을 경우, 매체 또는 용매의 건조 온도는 B 막의 투기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온도가 바람직하다.The removal of the medium from the coating film is generally carried out by drying. As an example of the removal method, a solvent which can be dissolved in the medium but does not dissolve the water-soluble polymer is prepared, the coating film is immersed in the solvent and the medium is replaced with the solvent to precipitate the water-soluble polymer, And the solvent is removed by drying. When the slurry is coated on the B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drying temperature of the medium or the solvent does not lower the permeability of the B film.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다음으로, 본 발명의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지는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이하에,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로서 리튬 이온 2 차 전지의 일례를 설명한다. 특히, 세퍼레이터 이외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s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ill be described. Particularly, components other than the separator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비수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어 리튬염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 리튬염으로는, LiClO4, LiPF6, LiAsF6, LiSbF6, LiBF4, LiCF3SO3, LiN(CF3SO2)2, LiC(CF3SO2)3, Li2B10Cl10, 저급 지방족 카르복실산리튬염, LiAlCl4 등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LiPF6, LiAsF6, LiSbF6, LiBF4, LiCF3SO3, LiN(CF3SO2)2, 및 LiC(CF3SO2)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불소 함유 리튬염이 바람직하다.As the non-aqueous electrolyte, for example, a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in which a lithium salt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can be used. Examples of the lithium salt include LiClO 4 , LiPF 6 , LiAsF 6 , LiSbF 6 , LiBF 4 , LiCF 3 SO 3 , LiN (CF 3 SO 2 ) 2 , LiC (CF 3 SO 2 ) 3 , Li 2 B 10 Cl 10 , A lower aliphatic carboxylic acid lithium salt, LiAlCl 4, and the lik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Of these, LiPF 6, LiAsF 6, LiSbF 6, LiBF 4, LiCF 3 SO 3, LiN (CF 3 SO 2) 2, and LiC (CF 3 SO 2) at least a fluorine-containing one kind of element selected from among the group consisting of 3 Lithium salts are preferred.

비수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4-트리플루오로메틸-1,3-디옥소란-2-온, 1,2-디(메톡시카르보닐옥시)에탄 등의 카보네이트류 ; 1,2-디메톡시에탄, 1,3-디메톡시프로판, 펜타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디플루오로메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 포름산메틸, 아세트산메틸, Y-부티로락톤 등의 에스테르류 ; 아세토니트릴, 부티로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 3-메틸-2-옥사졸리돈 등의 카바메이트류 ; 술포란, 디메틸술폭사이드, 1,3-프로판술톤 등의 함황 화합물 또는 상기의 물질에 불소기를 도입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통상은 이들 중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Examples of the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include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ethyl methyl carbonate, 4-trifluoromethyl-1,3-dioxolane- Carbonates such as methoxycarbonyloxy) ethane; 1,2-dimethoxyethane, 1,3-dimethoxypropane, pentafluoropropylmethylether, 2,2,3,3-tetrafluoropropyldifluoromethylether, tetrahydrofuran, 2-methyltetrahydro Ethers such as furan; Esters such as methyl formate, methyl acetate, and Y-butyrolactone; Nitriles such as acetonitrile and butyronitrile; Amides such as N, N-dimethylformamide and N, N-dimethylacetamide; Carbamates such as 3-methyl-2-oxazolidone; Sulfolane, dimethylsulfoxide, and 1,3-propanesultone, or those obtained by introducing a fluorine group into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but usually two or more of them are used in combination.

이들 중에서도 카보네이트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리형 카보네이트와 비고리형 카보네이트, 또는 고리형 카보네이트와 에테르류의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리형 카보네이트와 비고리형 카보네이트의 혼합물로는, 작동 온도 범위가 넓고, 또한 부극의 활물질로서 천연 흑연,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도 난분해성이라는 점에서, 에틸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carbonate, and a mixture of a cyclic carbonate and a non-cyclic carbonate or a mixture of a cyclic carbonate and an ether is more preferable. The mixture of the cyclic carbonate and the non-cyclic carbonate is preferably a mixture of eth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and ethylmethyl carbonate in view of resistance to decomposition even when a graphite material such as natural graphite or artificial graphite is used as the active material of the negative electrode, A mixture containing carbonate is preferred.

정극 시트는, 통상적으로 정극 활물질, 도전재 및 결착제를 함유하는 정극 합제를 정극 집전체 상에 담지한 것을 사용한다. 정극 집전체에 정극 합제를 담지시키는 방법으로는, 가압 성형하는 방법 ; 유기 용매를 추가로 사용하여 정극 합제 페이스트를 얻고, 그 페이스트를 정극 집전체에 도공하고 건조시켜, 얻어진 시트를 프레스하여 정극 합제를 정극 집전체에 고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정극 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을 도프·탈도프 가능한 재료를 함유하고, 도전재로서 탄소질 재료를 함유하며, 결착제로서 열가소성 수지 등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정극 집전체로는 Al, Ni, 스테인리스 등의 도전체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박막으로 가공하기 쉽고, 저렴하다는 점에서 Al 이 바람직하다. 그 리튬 이온을 도프·탈도프 가능한 재료로는, V, Mn, Fe, Co, Ni 등의 천이 금속을 적어도 1 종 함유하는 리튬 복합 산화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평균 방전 전위가 높다는 점에서, 니켈산리튬, 코발트산리튬 등의 α-NaFeO2 형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리튬망간스피넬 등의 스피넬형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을 들 수 있다.As the positive electrode sheet,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contain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is usually carried on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xamples of a method of supporting the positive electrode mixture on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include a method of press molding; A method of obtaining a posi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paste by further using an organic solvent, coating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paste o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pressing the obtained sheet to fix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to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Specifically, a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material containing a material capable of doping and dedoping lithium ions, containing a carbonaceous material as a conductive material, and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or the like as a binder may be used. As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conductor such as Al, Ni, or stainless steel can be used, but Al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asy to process into a thin film and is inexpensive. Examples of the material capable of doping and dedoping the lithium ion include a lithium composite oxide containing at least one transition metal such as V, Mn, Fe, Co, and Ni. Among them, a lithium composite oxide having an? -NaFeO 2 type structure such as lithium nickel oxide, lithium cobalt oxide and the like, a lithium composite oxide having a spinel structure such as lithium manganese spinel is preferably used because of its high average discharge potential .

그 리튬 복합 산화물은 여러 가지 금속 원소를 함유해도 되고, 특히 Ti, V, Cr, Mn, Fe, Co, Cu, Ag, Mg, Al, Ga, In 및 S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금속 원소의 몰수와 니켈산리튬 중의 Ni 의 몰수의 합에 대해, 상기의 적어도 1 종의 금속 원소가 0.1 ∼ 20 몰% 이도록 그 금속 원소를 함유하는 복합 니켈산리튬을 사용하면, 고용량에서의 사용에 있어서의 사이클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The lithium composite oxide may contain various metal elements and may be at least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 V, Cr, Mn, Fe, Co, Cu, Ag, Mg, Al, Ga, The use of the composite nickel oxide containing the metallic element such that the amount of the at least one kind of metallic element is 0.1 to 20 mol% with respect to the sum of the number of moles of the element and the number of moles of Ni in the lithium nickel oxide is used, The cyclic properties of the polymer can be improved.

그 결착제로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로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 비닐리덴플로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binder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a copolymer of vinylidene fluoride, polytetrafluoroethylene, a copolymer of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a copolymer of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 vinyl ether A copolymer of ethylene-tetrafluoroethylene, a copolymer of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tetrafluoroethylene, a thermoplastic polyimide, and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그 도전제로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코크스류, 카본 블랙 등의 탄소질 재료를 들 수 있다. 도전재로서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인조 흑연과 카본 블랙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conductive agent include carbonaceous materials such as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cokes, and carbon black. Each of them may be used alone as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a mixture of artificial graphite and carbon black may be used.

부극 시트로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을 도프·탈도프 가능한 재료,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리튬 이온을 도프·탈도프 가능한 재료로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코크스류, 카본 블랙, 열분해 탄소류, 탄소 섬유, 유기 고분자 화합물 소성체 등의 탄소질 재료, 정극보다 낮은 전위에서 리튬 이온의 도프·탈도프를 실시하는 산화물, 황화물 등의 칼코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탄소질 재료로서, 전위 평탄성이 높고, 또한 평균 방전 전위가 낮기 때문에 정극과 조합한 경우 큰 에너지 밀도가 얻어진다는 점에서, 천연 흑연,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탄소질 재료가 바람직하다.As the negative electrode sheet, for example, a material capable of doping and dedoping lithium ions, lithium metal, lithium alloy, or the like can be used. Examples of the material capable of doping and dedoping lithium ions include carbonaceous materials such as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cokes, carbon black, pyrolytic carbon materials, carbon fibers, and fired organic polymer compounds; And chalcogen compounds such as oxides and sulfides which are doped and doped. As a carbonaceous material, a carbonaceous material containing a graphite material such as natural graphite or artificial graphite as a main component is preferable in that a large energy density can be obtained when the carbonaceous material is combined with a positive electrode because of high dislocation flatness and low average discharge potential .

부극 집전체로는, Cu, Ni, 스테인리스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리튬 이온 2 차 전지에 있어서는 리튬과 합금을 만들기 어렵고, 또한 박막으로 가공하기 쉽다는 점에서 Cu 가 바람직하다. 그 부극 집전체에 부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부극 합제를 담지시키는 방법으로는, 가압 성형하는 방법 ; 용매 등을 추가로 사용하여 부극 합제 페이스트를 얻고, 그 페이스트를 부극 집전체에 도공, 건조시켜, 얻어진 시트를 프레스하여 부극 합제를 부극 집전체에 고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Cu, Ni, stainless steel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collector of the negative electrode. However, Cu is preferable in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oduce lithium and an alloy and is easy to be processed into a thin film. As a method of supporting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ntain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there are a method of press molding; A solvent or the like is further used to obtain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paste, the paste is coated on a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dried, and the obtained sheet is pressed to fix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to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또한, 전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페이퍼형, 코인형, 원통형, 각형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The shape of the batter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aper, coin, cylinder, square, or the like.

본 발명의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를 제조하면, 높은 부하 특성을 갖고, 이상 발열이 일어났을 경우에도, 세퍼레이터는 셧다운 기능을 발휘하여 추가적인 발열을 억제할 수 있고, 온도가 더욱 높아져도 세퍼레이터의 수축에 의한 정극과 부극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using the separator for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the separator exhibits a shutdown function to suppress additional heat generation even when abnormal heat generation occurs,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an be obtained which can avoid the contac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due to shrinkage of the separator even if the temperature becomes higher.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의 물성 등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The physical properties and the like of the separator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s.

(1) 두께 측정 (단위 : ㎛)(1) Thickness measurement (unit: 占 퐉)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JIS 규격 (K7130-1992) 에 따라 측정하였다.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standard (K7130-1992).

(2) 겉보기 중량 (단위 : g/㎡)(2) Apparent weight (unit: g / ㎡)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샘플을 한 변의 길이 10 ㎝ 의 정방형으로 잘라 중량 W (g) 를 측정하였다. 겉보기 중량 (g/㎡) = W/(0.1 × 0.1) 로 산출하였다. A 막의 겉보기 중량은, 적층 다공질 필름 (세퍼레이터) 의 겉보기 중량에서 기재인 폴리올레핀 다공막 (B 막) 의 겉보기 중량을 빼서 산출하였다.A sample of the obtained separator was cut into a square having a length of 10 cm on one side, and a weight W (g) was measured. Apparent weight (g / m 2) = W / (0.1 x 0.1). The apparent weight of the A film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apparent weight of the polyolefin porous film (B film), which is the base, from the apparent weight of the laminated porous film (separator).

(3) 공극률 (단위 : 체적%)(3) porosity (unit: volume%)

필름을 한 변의 길이 10 ㎝ 의 정방형으로 잘라내어 중량 : W (g) 와 두께 : D (㎝) 를 측정하였다. 샘플 중의 재질의 중량을 계산으로 산출하고, 각각의 재질의 중량 : Wi (g) 를 진비중으로 나누어 각각의 재질의 체적을 산출하고, 다음의 식으로 공극률 (체적%) 을 구하였다.The film was cut into a square having a length of 10 cm on one side and weighed: W (g) and thickness: D (cm) were measured. The weight of the material in the sample was calculated, and the weight of each material: Wi (g) was divided by the true specific gravity, and the volume of each material was calculated, and the porosity (volum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공극률 (체적%)Porosity (volume%)

= 100 - [{(W1/진비중 1) + (W2/진비중 2) + ·· + (Wn/진비중 n)}/(10 × 10 × D)] × 100= 100 - [(W1 / true specific gravity 1) + (W2 / true specific gravity 2) + 占 쏙옙 占 (Wn / true specific gravity n)} / (10 占 0 占 D)

(4) 투기도 (단위 : sec/100 cc)(4) Air permeability (unit: sec / 100 cc)

세퍼레이터의 투기도는 JIS P8117 에 기초하여, 주식회사 토요 정기 제작소 제조의 디지털 타이머식 걸리식 덴소미터로 측정하였다.The permeability of the separator was measured by a digital timer type Julian Densometer manufactured by Toyooko Kikai KK based on JIS P8117.

(5) 셧다운 도달 저항 측정(5) Measurement of shutdown reaching resistance

셧다운 측정용 셀 (이후 「셀」이라고 칭한다) 로 셧다운 온도를 측정하였다. 가로세로 2 × 3 ㎝ 의 장방형의 막에 전해액을 함침한 후, 2 장의 SUS 제 전극 사이에 끼우고, 클립으로 고정시켜 셀을 제조하였다. 전해액에는 에틸렌카보네이트 50 vol% : 디에틸카보네이트 50 vol% 의 혼합 용매에 1 ㏖/ℓ 의 LiBF4 를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조립한 셀의 양극에 임피던스 애널라이저의 단자를 접속하였다. 1 ㎑ 에서의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오븐 중에서 15 ℃/분의 속도로 승온시키면서 저항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최대 저항값을 도달 저항값으로 하였다. 셧다운성은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The shutdown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a cell for measurement of shutdown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cell &quot;). A rectangular film of 2 x 3 cm in length and width was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ic solution, sandwiched between two electrodes made of SUS, and fixed with a clip to prepare a cell. The electrolytic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1 mol / l of LiBF 4 in a mixed solvent of 50 vol% of ethylene carbonate and 50 vol% of diethyl carbonate. The terminal of the impedance analyzer was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assembled cell. The resistance value at 1 kHz was measured. The resistance was measured while raising the temperature in the oven at a rate of 15 ° C / min. The maximum resistance value was taken as the reaching resistance value. The shutdown performance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셧다운성의 평가 :Evaluation of shutdown property:

◎ : 도달 저항값이 500 Ω 이상◎: The arrival resistance value is 500 Ω or more

○ : 도달 저항값이 200 Ω 이상, 500 Ω 미만○: The arrival resistance value is 200 Ω or more, less than 500 Ω

× : 도달 저항값이 200 Ω 미만×: reach resistance value is less than 200 Ω

(6) 치수 유지율 (가열 형상 유지율)(6) Dimensional retention ratio (heating shape retention ratio)

필름을 가로세로 15 ㎝ 의 정방형으로 잘라내고, 중앙에 가로세로 10 ㎝ 로 정방형의 마킹선을 긋고, 이형제를 도공한 두께 0.5 ㎜ 의 알루미늄판 2 장의 사이에 끼우고, 60 ℃ 로 가열한 오븐에 넣었다. 오븐의 온도를 1 ℃/분의 속도로 150 ℃ 로 승온시켜 10 분간 유지한 후, 꺼내어 정방형의 치수를 측정하고, 치수 유지율을 계산하였다. 치수 유지율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film was cut into a square of 15 cm in length and 15 cm in length, and a square marking line was drawn at an interval of 10 cm in the center, sandwiched between two aluminum plates each having a thickness of 0.5 mm coated with a releasing agent and heated in an oven . The temperature of the oven was raised to 150 DEG C at a rate of 1 DEG C / min and held for 10 minutes, and then taken out to measure the square dimensions and calculate the dimensional retention ratios.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dimensional retention rate is as follows.

MD 방향의 가열 전의 마킹선 길이 : L1Marking line length before heating in the MD direction: L1

TD 방향의 가열 전의 마킹선 길이 : W1Marking line length before heating in the TD direction: W1

가열 후의 MD 방향의 마킹선 길이 : L2Marking line length in MD direction after heating: L2

가열 후의 TD 방향의 마킹선 길이 : W2Marking line length in TD direction after heating: W2

치수 유지율 (%) = ((L2 × W2)/(L1 × W1)) × 100Dimensional retention ratio (%) = ((L2 x W2) / (L1 x W1)) x 100

A 막 형성에 사용한 수용성 폴리머, 미립자 (a) 및 미립자 (b), 그리고 B 막은 다음과 같다.The water-soluble polymer, the fine particles (a), the fine particles (b), and the B film used for the A film formation are as follows.

<A 막><A closing

「수용성 폴리머」:&Quot; Water-soluble polymer &quot;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 :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 셀로겐 4HCarboxymethylcellulose (CMC): Cellogen 4H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미립자 (a)」:&Quot; Fine Particles (a) &quot;:

미립자 (a1) :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AKP-G008Fine particles (a1): AKP-G008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평균 입경 : 0.024 ㎛Average particle diameter: 0.024 탆

비표면적 : 70 ㎡/gSpecific surface area: 70 m 2 / g

입자 형상 : 대략 구상Particle shape: roughly spherical

미립자 (a2) :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AKP-G15Fine particles (a2): AKP-G15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평균 입경 : 0.013 ㎛Average particle diameter: 0.013 mu m

비표면적 : 149 ㎡/gSpecific surface area: 149 m 2 / g

입자 형상 : 비 (非) 구상Particle shape: non-spherical

「미립자 (b)」 :&Quot; Fine Particles (b) &quot;:

미립자 (b1) :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스미코랜덤 AA-03Fine particles (b1): Sumiko Random AA-03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평균 입경 : 0.42 ㎛Average particle diameter: 0.42 탆

비표면적 : 4.8 ㎡/gSpecific surface area: 4.8 m &lt; 2 &gt; / g

입자 형상 : 대략 구상Particle shape: roughly spherical

미립자 (b2) :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AKP-3000Fine particles (b2): AKP-3000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평균 입경 : 0.54 ㎛Average particle diameter: 0.54 mu m

비표면적 : 4.3 ㎡/gSpecific surface area: 4.3 m &lt; 2 &gt; / g

입자 형상 : 표주박형Particle shape: Gourd type

<B 막><B membrane>

폴리에틸렌제 다공막Polyethylene porous membrane

「B1」 :"B1":

막두께 : 15 ㎛Thickness: 15 탆

겉보기 중량 : 7 g/㎡Apparent weight: 7 g / ㎡

투기도 : 105 초/100 ccSpecularity: 105 sec / 100 cc

「B2」 :"B2":

막두께 : 13 ㎛Thickness: 13 탆

겉보기 중량 : 6.5 g/㎡Apparent weight: 6.5 g / ㎡

투기도 : 120 초/100 ccSpecularity: 120 sec / 100 cc

실시예 1Example 1

(1) 슬러리의 제조(1) Preparation of slurry

실시예 1 의 슬러리를 이하의 순서로 제조하였다.The slurry of Example 1 was prepar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먼저, CMC 를 물-에탄올 혼합 용매 (물 : 에탄올 = 2 : 1 (중량비)) 에 용해 시켜 CMC 농도 0.6 중량% ([수용성 폴리머 + 매체] 에 대해) 의 CMC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CMC 용액 (CMC 100 중량부) 에 미립자 (a1) 을 1000 중량부, 미립자 (b1) 을 3000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고린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한 고압 분산 조건 (60 ㎫) 에서 3 회 처리함으로써 실시예 1 의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표 1 에 실시예 1 의 슬러리의 조성을 나타낸다. 또한, 미립자 (a1) 과 CMC 의 주입량으로부터 산출한 미립자 (a1) 의 전체 비표면적 (㎡/g) 과 CMC 중량 (g) 의 비는 700 이었다.First, CMC was dissolved in a water-ethanol mixed solvent (water: ethanol = 2: 1 (weight ratio)) to obtain a CMC solution having a CMC concentration of 0.6 wt% (for [water soluble polymer + medium]). Subsequently, 1000 parts by weight of the fine particles (a1) and 3000 parts by weight of the fine particles (b1) were added to the CMC solution (CMC 100 parts by weight), mixed and treated three times in a high pressure dispersion condition (60 MPa) using a Gorlin homogenizer To thereby prepare a slurry of Example 1. Table 1 shows the composition of the slurry of Example 1. The ratio of the total specific surface area (m 2 / g) to the CMC weight (g) of the fine particles (a1) calculated from the amounts of the fine particles (a1)

(2) 세퍼레이터의 제조 및 평가(2)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separator

B 막으로서 상기 B1 을 사용하였다. B 막 (MD 방향 100 ㎝, TD 방향 30 ㎝) 을 드럼에 고정시키고, 다른 편방에 0.6 ㎏ 의 추를 B 막에 균등하게 하중이 가해지도록 매달았다. 드럼의 최상부에 직경 20 ㎜ 의 스테인리스제 도공 바를 드럼과의 클리어런스가 40 ㎛ 가 되도록 평행하게 배치하였다. 드럼과 도공 바의 사이에 B 막의 테이프로 고정시킨 측의 단 (端) 이 오도록 드럼을 회전시키고 멈추었다. 도공 바 앞의 B 막 상에 상기로 조제한 슬러리를 공급하면서, 드럼을 0.5 rpm 으로 회전시켜 B 막의 일방의 면에 슬러리를 도공하였다. 도공 후, 드럼의 회전을 멈추고, 그대로 70 ℃ 의 분위기에 30 분간 두고 충분히 건조시킴으로써 B 막의 일방의 면 위에 A 막을 적층한 실시예 1 의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얻어진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A 막은 B 막 위에 밀착되어 있고,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The above B1 was used as the B film. The B film (100 cm in the MD direction and 30 cm in the TD direction) was fixed to the drum, and 0.6 kg of weight was suspended in the other side so as to apply an even load to the B film. A stainless steel coating bar having a diameter of 20 mm was arranged at the top of the drum so as to have a clearance of 40 mu m with the drum. The drum was rotated and stopped so that the end of the side of the B film fixed with the tape came between the drum and the coating bar. While supplying the slurry prepared as described above onto the B film in front of the coating bar, the drum was rotated at 0.5 rpm to apply slurry to one surface of the B film. After coating, the rotation of the drum was stopped, and the resultant was kept in an atmosphere of 70 deg. C for 30 minutes and sufficiently dried to obtain the separator of Example 1 in which the A film wa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B film. In the resulting separator, the A film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B film, and no peeling was observed.

표 2 에 상기 평가 방법에 의해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고형분 중량비, 물성을 나타낸다.Table 2 shows the solid weight ratio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separator obtained by the above evaluation method.

실시예 2 ∼ 8Examples 2 to 8

(1) 슬러리의 제조(1) Preparation of slurry

표 1 에 나타내는 미립자 (a) 와 미립자 (b) 를 각각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슬러리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 ∼ 8 의 슬러리를 얻었다. 실시예 2 ∼ 8 의 슬러리 중의 각 성분의 농도를 표 1 에 나타낸다.The slurries of Examples 2 to 8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paration of the slurry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shown in Table 1 were used in the ratios shown in Table 1,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slurries of Examples 2 to 8 are shown in Table 1.

(2) 세퍼레이터의 제조 및 평가(2)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separator

실시예 2 ∼ 8 의 슬러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실시예 2 ∼ 8 의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또한, 사용한 B 막을 표 2 에 나타냈다.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고형분 중량비, 물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 8 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A 막은 B 막 위에 밀착되고,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The same operations as in Example 1 were carried out except that the slurries of Examples 2 to 8 were used to prepare separators of Examples 2 to 8. Table 2 shows the B film used. Table 2 shows the solid weight ratio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separator. In the separators of Examples 2 to 8, the A film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B film, and no peeling was observed.

실시예 9Example 9

(1) 슬러리의 제조(1) Preparation of slurry

미립자 (a1) 과 미립자 (b1) 을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슬러리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9 의 슬러리를 얻었다. 실시예 9 의 슬러리 중의 각 성분의 농도를 표 1 에 나타낸다.A slurry of Example 9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paration of the slurry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fine particles (a1) and the fine particles (b1) were changed to the ratios shown in Table 1. The concentra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slurry of Example 9 are shown in Table 1.

(2) 세퍼레이터의 제조 및 평가(2)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separator

실시예 9 의 슬러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B 막의 일방의 면 상에 A 막을 적층하였다. 또한, 사용한 B 막을 표 2 에 나타냈다. 이어서, B 막의 다른 일방의 면에 동일하게 A 막을 적층함으로써, B 막의 양면에 A 막을 적층한 실시예 9 의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실시예 9 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A 막은 B 막 위에 밀착되고,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고형분 중량비, 물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A 막의 두께는 양면에 형성된 A 막의 합계 두께이다.The same operation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slurry of Example 9 was used to laminate the A film on one surface of the B film. Table 2 shows the B film used. Subsequently, the A film was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 film in the same manner to obtain the separator of Example 9 in which the A film was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B film. In the separator of Example 9, the film A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lm B, and peeling was not observed. Table 2 shows the solid weight ratio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separator. The thickness of the A film is the total thickness of the A film formed on both sides.

실시예 10 ∼ 12Examples 10 to 12

(1) 슬러리의 제조(1) Preparation of slurry

표 1 에 나타내는 미립자 (a) 와 미립자 (b) 를 각각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슬러리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0 ∼ 12 의 슬러리를 얻었다. 실시예 10 ∼ 12 의 슬러리 중의 각 성분의 농도를 표 1 에 나타낸다.A slurry of each of Examples 10 to 12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paration of the slurry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ratio of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shown in Table 1 were changed to those shown in Table 1,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slurries of Examples 10 to 12 are shown in Table 1.

(2) 세퍼레이터의 제조 및 평가(2)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separator

실시예 10 ∼ 12 의 슬러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B 막의 양면에 A 막을 적층한 실시예 10 ∼ 12 의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또한, 사용한 B 막을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10 ∼ 12 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A 막은 B 막 위에 밀착되고,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고형분 중량비, 물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A 막의 두께는 양면에 형성된 A 막의 합계 두께이다.The same operation as in Example 9 wa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slurries of Examples 10 to 12 were used to obtain separators of Examples 10 to 12 in which the A film was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B film. Table 2 shows the B film used. In the separators of Examples 10 to 12, the A film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B film, and no peeling was observed. Table 2 shows the solid weight ratio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separator. The thickness of the A film is the total thickness of the A film formed on both side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 슬러리의 제조(1) Preparation of slurry

미립자로서 미립자 (b1) 만을 사용하고, 다른 성분을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슬러리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 의 슬러리를 얻었다. 비교예 1 의 슬러리 중의 각 성분의 농도를 표 1 에 나타낸다.A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of Example 1 except that only the fine particles (b1) were used as the fine particles and the other components were changed to the ratios shown in Table 1. The concentra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1 is shown in Table 1.

(2) 세퍼레이터의 제조 및 평가(2)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separator

비교예 1 의 슬러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비교예 1 의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또한, 사용한 B 막을 표 2 에 나타냈다.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고형분 중량비, 물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A 막은 B 막 위에 밀착되고,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A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used. Table 2 shows the B film used. Table 2 shows the solid weight ratio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separator. In the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film A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lm B, and no peeling was observ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 슬러리의 제조(1) Preparation of slurry

미립자로서 미립자 (a1) 만을 사용하고, 다른 성분을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슬러리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 의 슬러리를 얻었다. 비교예 1 의 슬러리 중의 각 성분의 농도를 표 1 에 나타낸다.A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lurry production method of Example 1 except that only the fine particles (a1) were used as fine particles and the other components were used in the ratios shown in Table 1. [ The concentra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1 is shown in Table 1.

(2) 세퍼레이터의 제조 및 평가(2)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separator

비교예 2 의 슬러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비교예 2 의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또한, 사용한 B 막을 표 2 에 나타냈다.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고형분 중량비, 물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A 막은 B 막 위에 밀착되고,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A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used. Table 2 shows the B film used. Table 2 shows the solid weight ratio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separator. In the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2, the A film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B film, and no peeling was observed.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 슬러리의 제조(1) Preparation of slurry

표 1 에 나타내는 미립자 (a) 와 미립자 (b) 를 사용하고, 다른 성분을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슬러리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 의 슬러리를 얻었다. 비교예 1 의 슬러리 중의 각 성분의 농도를 표 1 에 나타낸다.A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3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shown in Table 1 were used and the other components were changed to the ratios shown in Table 1. The concentra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1 is shown in Table 1.

(2) 세퍼레이터의 제조 및 평가(2)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separator

비교예 3 의 슬러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비교예 3 의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또한, 사용한 B 막을 표 2 에 나타냈다.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고형분 중량비, 물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의 세퍼레이터는 A 막의 박리가 현저하여 B 막 상에 연속막을 형성할 수 없었다.A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3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3 was used. Table 2 shows the B film used. Table 2 shows the solid weight ratio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separator. In the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3, the A film was remarkably peeled off and a continuous film could not be formed on the B film.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 슬러리의 제조(1) Preparation of slurry

미립자로서 미립자 (b2) 만을 사용하고, 다른 성분을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슬러리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 의 슬러리를 얻었다. 비교예 1 의 슬러리 중의 각 성분의 농도를 표 1 에 나타낸다.A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4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of Example 1 except that only the fine particles (b2) were used as fine particles and the other components were changed to the ratios shown in Table 1. The concentra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1 is shown in Table 1.

(2) 세퍼레이터의 제조 및 평가(2)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separator

비교예 4 의 슬러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B 막의 양면에 A 막을 적층한 비교예 4 의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또한, 사용한 B 막을 표 2 에 나타냈다.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고형분 중량비, 물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A 막의 두께는 양면에 형성된 A 막의 합계 두께이다. 비교예 4 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A 막은 B 막 위에 밀착되고,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The same operation as in Example 9 wa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slurry of Comparative Example 4 was used to obtain a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the A film wa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B film. Table 2 shows the B film used. Table 2 shows the solid weight ratio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separator. The thickness of the A film is the total thickness of the A film formed on both sides. In the separator of Comparative Example 4, the A film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B film, and no peeling was observed.

Figure 112013018766613-pct00001
Figure 112013018766613-pct00001

Figure 112013018766613-pct00002
Figure 112013018766613-pct00002

실시예 1, 7, 9, 10 및 12, 비교예 1, 2 및 4 에 대해, 치수 유지율 (가열 형상 유지율) 및 SD 특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The dimensional retention ratios (heating shape retention ratios) and SD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for Examples 1, 7, 9, 10 and 12 and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4.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Figure 112013018766613-pct00003
Figure 112013018766613-pct00003

산업상의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에서의 형상 안정성에 더하여, 셧다운성, 투기성도 우수한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이상 발열이 일어났을 경우에도 세퍼레이터가 정극과 부극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폴리올레핀의 다공막이 신속하게 무공화됨으로써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그 세퍼레이터를 양호한 재현으로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parator for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hich is excellent in shape st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and is also excellent in shuttability and permeability. By using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when the abnormal heat is generated, and to maintain the insulating property by quickly making the porous membrane of polyolefin nonporous, . Furth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can be manufactured with good reproducibility.

Claims (12)

미립자와 수용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다공막과,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서로 적층된 세퍼레이터로서,
상기 미립자가 평균 입경이 0.1 ㎛ 미만, 또한 비표면적이 50 ㎡/g 이상의 미립자 (a) 와, 평균 입경이 0.25 ㎛ 이상의 미립자 (b) 를 함유하고,
그 밖의 미립자의 함유량의 비율은 미립자 (a) 와 미립자 (b) 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이하 (0 중량% 를 포함한다) 이고,
미립자 (a) 에 대한 미립자 (b) 의 중량비가 0.05 ∼ 50 이며,
수용성 폴리머에 대한 미립자 (a), 미립자 (b) 및 그 밖의 미립자의 합계의 중량비가 1 ∼ 100 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구멍 직경 1 ㎛ 이하의 폴리올레핀 다공막인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A separator comprising a porous film containing fine particles and a water-soluble polymer, and a polyolefin porous film laminated to each other,
(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1 mu m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50 m &lt; 2 &gt; / g or more and fine particles (b)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5 mu m or more,
The ratio of the content of other fine particles is not more than 100% by weight (including 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to the fine particles (a) is 0.05 to 50,
The total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a), the fine particles (b) and other fine particles to the water-soluble polymer is 1 to 100,
Wherein the polyolefin porous membrane is a polyolefin porous membrane having a pore diameter of 1 m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미립자 (b) 의 비표면적이 20 ㎡/g 이하인,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ne particles (b) is 20 m &lt; 2 &gt; / g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가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폴리머인,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ater-soluble polymer is at least on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ether, polyvinyl alcohol and sodium algin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에테르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인,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ellulose ether is carboxymethylcellulose. 2. A separator for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cellulose ether is carboxymethylcellulos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폴리에틸렌 다공막인,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lyolefin porous film is a polyethylene porous fil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갖는,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eparator for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or 2. 수용성 폴리머, 미립자 및 매체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폴리올레핀 다공막 상에 도공하는 공정, 및 얻어진 도공막으로부터 매체를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폴리머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다공막을 폴리올레핀 다공막 상에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미립자가 평균 입경이 0.1 ㎛ 미만, 또한 비표면적이 50 ㎡/g 이상의 미립자 (a) 와, 평균 입경이 0.25 ㎛ 이상의 미립자 (b) 를 함유하고,
그 밖의 미립자의 함유량의 비율은 미립자 (a) 와 미립자 (b) 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이하 (0 중량% 를 포함한다) 이고,
미립자 (a) 에 대한 미립자 (b) 의 중량비가 0.05 ∼ 50 이며,
수용성 폴리머에 대한 미립자 (a), 미립자 (b) 및 그 밖의 미립자의 합계의 중량비가 1 ∼ 100 이고,
또한, 수용성 폴리머 및 매체의 합계에 있어서의 수용성 폴리머의 농도가 0.4 중량% 이상 1.3 중량% 이하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구멍 직경 1 ㎛ 이하의 폴리올레핀 다공막인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A step of coating a slurry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fine particles and a medium on a polyolefin porous film, and a step of laminating a porous film containing a water-soluble polymer and fine particles on the polyolefin porous film by removing the medium from the resulting coated film As a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or,
Wherein the fine particles contain fine particles (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1 mu m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50 m &lt; 2 &gt; / g or more and fine particles (b)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5 mu m or more,
The ratio of the content of other fine particles is not more than 100% by weight (including 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ne particles (a) and the fine particles (b)
The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b) to the fine particles (a) is 0.05 to 50,
The total weight ratio of the fine particles (a), the fine particles (b) and other fine particles to the water-soluble polymer is 1 to 100,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in the total of the water-soluble polymer and the medium is 0.4 wt% to 1.3 wt%
Wherein the polyolefin porous film is a polyolefin porous film having a pore diameter of 1 m or less.
제 7 항에 있어서,
미립자 (b) 의 비표면적이 20 ㎡/g 이하인,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ne particles (b) is 20 m &lt; 2 &gt; / g or less.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슬러리 중의 고형분 농도가 6 ∼ 50 중량% 인,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in the slurry is from 6 to 50% by weight.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가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폴리머인,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water-soluble polymer is at least on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ether, polyvinyl alcohol and sodium algina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에테르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인,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ellulose ether is carboxymethylcellulose. 2. A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or for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다공막이 폴리에틸렌 다공막인, 비수 전해액 2 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polyolefin porous membrane is a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KR1020137005525A 2010-08-06 2011-08-02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ctive KR10196591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7985 2010-08-06
JPJP-P-2010-177985 2010-08-06
PCT/JP2011/068015 WO2012018133A1 (en) 2010-08-06 2011-08-02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84A KR20140003384A (en) 2014-01-09
KR101965915B1 true KR101965915B1 (en) 2019-04-04

Family

ID=4555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525A Active KR101965915B1 (en) 2010-08-06 2011-08-02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189011B2 (en)
KR (1) KR101965915B1 (en)
CN (2) CN103026531A (en)
TW (1) TW201220580A (en)
WO (1) WO201201813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555B1 (en) * 2011-07-28 2019-01-0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Laminated porous film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CN103781861B (en) * 2011-08-31 2016-11-16 住友化学株式会社 Coating solution, laminated porous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rous film
JPWO2013147006A1 (en) * 2012-03-30 2015-12-1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Porous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y, porous membrane slurry for secondary battery, non-conductive particl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20150056490A1 (en) * 2012-04-13 2015-02-26 Toray Battery Separator Film Co., Ltd. Multi-layered porous film, electrical cell separator, and electrical cell
JP6022227B2 (en) * 2012-06-20 2016-11-09 住友化学株式会社 Coating liquid, laminated porous film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9748542B2 (en) 2012-08-23 2017-08-29 Jnc Corporation Composite porous film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CN102977703B (en) * 2012-12-10 2015-02-11 云南昆钢新型复合材料开发有限公司 Water-soluble barrier coating for laminated metal material
JP6110698B2 (en) * 2013-03-19 2017-04-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Laminated film,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using the same
KR20180080229A (en) * 2015-10-30 2018-07-11 제이엔씨 주식회사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film having excellent smoothness and a multilayer heat-resistant separator material
CN109792019B (en) * 2016-10-28 2021-12-03 东丽株式会社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CN106531936B (en) * 2016-12-27 2019-09-17 深圳中兴新材技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lithium ion battery ceramic diaphrag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9301139B (en) * 2018-08-31 2024-04-26 上海顶皓新材料科技有限公司 Polymer coating diaphragm for lithium ion battery
IL283261B2 (en) * 2018-11-22 2025-06-01 Phinergy Ltd Separation layer for electrochemical cells comprising layered double hydroxides (LDH)
CN113498561B (en) * 2019-02-28 2024-05-0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4343A (en) * 2009-07-08 2009-10-01 Sumitomo Chemical Co Ltd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1596A (en) * 1981-02-27 1983-02-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Advanced inorganic separators for alkaline batteri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103898A (en) 1996-06-14 1998-01-06 Mitsubishi Chem Corp Battery separator
JP2000309712A (en) * 1999-04-27 2000-11-07 Shin Etsu Polymer Co Ltd Semiconducting belt
JP4792688B2 (en) 2003-01-24 2011-10-12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P1577351A1 (en) * 2004-03-19 2005-09-21 Agfa-Gevaert Improved ink-jet recording material
JP2007051116A (en) * 2005-08-19 2007-03-01 Gc Corp Room temperature curing resin for dental use
JP5286844B2 (en) * 2007-03-23 2013-09-11 住友化学株式会社 Separator
JP2009135092A (en) * 2007-11-09 2009-06-18 Sumitomo Chemical Co Ltd Composite metal oxide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JP5383217B2 (en) * 2008-01-28 2014-01-08 住友化学株式会社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odium secondary battery, and olivine-type phosphate production method
JP5309581B2 (en) * 2008-02-04 2013-10-09 住友化学株式会社 Powder for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JP5391709B2 (en) * 2008-02-06 2014-01-15 住友化学株式会社 Composite metal oxide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JP5329834B2 (en) * 2008-04-09 2013-10-30 ダイセルポリマー株式会社 Antifogging surface treatment agent and antifogging resin sheet
JP5460979B2 (en) * 2008-07-09 2014-04-02 住友化学株式会社 Transition metal phosphate, positive electrode for sod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positive electrode
JP5460980B2 (en) * 2008-07-09 2014-04-02 住友化学株式会社 Process for producing transition metal phosphate
JP2010020987A (en) * 2008-07-09 2010-01-28 Sumitomo Chemical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5440171B2 (en) * 2008-07-16 2014-03-12 東レ株式会社 Storage device separator
JP5680818B2 (en) * 2008-08-01 2015-03-04 ダイセルポリマー株式会社 Antifogging surface treatment agent and antifogging resin sheet
JP5617634B2 (en) * 2008-08-05 2014-11-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O2010052786A1 (en) * 2008-11-07 2010-05-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Battery, vehicle and battery mounted equipment
JP2010123383A (en) * 2008-11-19 2010-06-03 Teijin Ltd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5482173B2 (en) * 2008-12-22 2014-04-23 住友化学株式会社 Electrode mixture, electrod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01626097A (en) * 2009-06-05 2010-01-13 长沙高新开发区材盛新能源科技有限公司 High-liquid absorbing rate micro-nano struc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4343A (en) * 2009-07-08 2009-10-01 Sumitomo Chemical Co Ltd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20580A (en) 2012-05-16
JP6189011B2 (en) 2017-08-30
JP2016040784A (en) 2016-03-24
CN106887554A (en) 2017-06-23
KR20140003384A (en) 2014-01-09
WO2012018133A1 (en) 2012-02-09
JP6193333B2 (en) 2017-09-06
CN103026531A (en) 2013-04-03
JP2012054229A (en)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915B1 (en)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882191B2 (en) Laminated porous film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6185133B2 (en) LAMINATED POROUS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LAMINATED ELECTRODE SHEET,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2004227972A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JP5865168B2 (e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rous film, laminated porous film,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2192537B1 (en) Method for producing separator
KR102272013B1 (en) Layered porous film,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2013022876A (en) Laminated porous film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O201515637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laminate film
JP2012094493A (en) Slur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that slurry
JP2016193613A (en) Laminated porous film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5964493B2 (en) Laminated porous film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20190123381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porous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