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602B1 - Insulated housing type interlocking disconnector and vacuum valve - Google Patents
Insulated housing type interlocking disconnector and vacuum val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6602B1 KR101966602B1 KR1020180155582A KR20180155582A KR101966602B1 KR 101966602 B1 KR101966602 B1 KR 101966602B1 KR 1020180155582 A KR1020180155582 A KR 1020180155582A KR 20180155582 A KR20180155582 A KR 20180155582A KR 101966602 B1 KR101966602 B1 KR 1019666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cuum valve
- contact
- disconnecting
- unit
- disconn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로부 연동형 절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단로부와 진공밸브의 개별구동을 통하여 구동시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감소시키고 진공상태의 자폐력에 대응하는 스프링 등을 제거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단로부 및 진공밸브 연동형 절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절연하우징을 이용한 개폐기 및 차단기를 투입 시키고자 할 때 단로부가 먼저 투입되고 나서 진공밸브가 나중에 투입되는 방식이고, 개방시키고자 할 때는 진공밸브가 먼저 개방되고 나서 단로부가 개방되는 형태의 특별한 구조가 각각 개별적으로 연동되어 구동되어 투입시나 개방시에 단로부의 접점에는 전기적 및 기계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며 모든 차단과 투입시 전기적 충격은 진공밸브의 전극에서 발생하게 되고 단로부의 기계적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과 함께 진공밸브의 자폐력 방지를 위한 스프링을 제거하고 복잡한 튜립 접점 등과 같은 접점 대신 간단한 스프링 슬라이드접점 만을 사용하여 소형화시킴으로서 한 번의 조작으로 단로부와 진공밸브가 각각 개별적으로 서로 연동되어 자동으로 구동이 가능하여 구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ing housing interlocked with a disconnecting part, which reduces the impact load generated during driving through the individual operation of the disconnecting part and the vacuum valve and removes a spring corresponding to the autism force in the vacuum state to save energy. The disconnection unit and the vacuum valve interlock type insulation housing. When the switch and the breaker using the insulation housing are put in, the disconnecting unit is put in first and then the vacuum valve is put in later. After that, the special structure in which the disconnecting part is opened is driven individually, so that no electrical and mechanical shock is applied to the contacting part of the disconnecting part at the time of closing or opening. With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mechanical impact of disconnection By eliminating the spring to prevent autism of the valve and miniaturizing it using only a simple spring slide contact instead of a contact such as a complicated tublip contact, the disconnecting unit and the vacuum valve are linked to each other in one operation and can be driven automatically.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로부 연동형 절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단로부와 진공밸브의 개별구동을 통하여 구동시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감소시키고 진공상태의 자폐력에 대응하는 스프링 등을 제거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단로부 및 진공밸브 연동형 절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ing housing interlocked with a disconnecting part, which reduces the impact load generated during driving through the individual operation of the disconnecting part and the vacuum valve and removes a spring corresponding to the autism force in the vacuum state to save energy. It relates to a disconnecting unit and a vacuum valve interlocking insulating housing.
일반적으로 폴리머(에폭시)를 이용하여 절연하는 전력 개폐기나 차단기에는 진공밸브(차단부)가 내장된 절연하우징이 사용되고 있다. 진공차단기는 소형의 구성으로 대전류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변전이나 배전설비 등에 다수 사용되고 있으며 진공차단기의 밸브 본체의 부분은,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세라믹 등의 절연용기 내에, 통전 도체의 끝면에 고정한 고정전극과, 마찬가지로 통전 도체의 끝면에 고정한 가동전극을 대향시켜 구성하고 있다. 이 밸브 본체는, 대기 중 또는 절연가스 분위기 중에 배치하고, 또 밸브 본체의 근방에 가동전극을 구동 조작하는 조작기를 구비하여 진공차단기로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차단기의 하나인 진공 차단기는 정상부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에 발생하는 아크(Arc)를 진공용기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소형의 구성으로 대전류를 차단할 수 있고, 변전이나 배전설비 등에 다수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 중 전압 급 차단기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진공차단기는 10-3Torr 이하의 진공 하에서 높은 절연내력을 갖는 장점을 이용하여 1960년대에 제품화에 성공하였으며, 고 전압화, 대전류화 및 소형화에 상당한 진척을 보이고 있다. 개폐기 및 (진공)차단기에 있어서의 핵심 부품인 개폐기 및 (진공)차단기는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잘 밀폐된 절연용기와 상기 절연용기 내에서 상호 접촉되는 접점을 각각 가진 가동전극과 고정전극을 구비하게 되며 끝면에 고정한 가동전극을 대향시켜 구성하고 있다.In general, an insulating housing having a vacuum valve (blocking part) is used for a power switch or a circuit breaker insulated using a polymer (epoxy). Since a vacuum circuit breaker can cut a large current in a small structure, it is frequently used in substations and distribution facilities, and the part of the valve body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is fixed to the end surface of the conducting conductor in an insulating container such as ceramics to maintain a vacuum state. The electrode and the movable electrode fixed to the end surface of a conducting conductor similarly are comprised. This valve body is used as a vacuum circuit breaker by arranging it in the air | atmosphere or an insulated gas atmosphere, and providing the actuator which drives a movable electrode in the vicinity of a valve body. The vacuum circuit breaker, which is one of the circuit breakers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quickly disconnecting a circuit by extinguishing arcs generated during normal load switching and breaking of an accident current in a vacuum container. It is widely used in substations and distribution facilities, and recently, vacuum breakers, which are most frequently used among medium voltage class breakers, have been commercialized in the 1960s by using the advantage of having high dielectric strength under vacuum of 10-3 Torr or less.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high voltage, high current and miniaturization. Switchgear and (vacuum) circuit breakers, which are the key components of switchgear and (vacuum) circuit breakers, are provided with a movable electrode and a fixed electrode, each having a well-closed insulated container and a contact point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insulated container to maintain a vacuum. The movable electrode fixed to the end face is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러한 개폐기 및 (진공)차단기에서 부하개폐 및 고장전류 차단은 개폐기 및 (진공)차단기 내의 진공상태에서 이루어지나 개폐기 및 (진공)차단기의 외부절연은 다양한 매질 속에서 이루어진다. 브이씨비(VCB : Vacuum Circuit Breaker)처럼 개폐기 및 (진공)차단기가 공기 속에서 절연될 수도 있고, 오씨비(OCB : Oil Circuit Breaker)처럼 절연유 속에 담아 개폐기 및 (진공)차단기의 절연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고압개폐기처럼 SF6가스를 이용하여 절연이 이루어지기도 한다.In more detail, in such a switch and a (vacuum) breaker, load switching and fault current interruption are performed in a vacuum state in the switch and the (vacuum) breaker, but the external insulation of the switch and the (vacuum) breaker is made in various media. Like vacuum circuit breaker (VCB), switchgear and (vacuum) breaker can be insulated in the air.OcB (OCB: oil circuit breaker) can be insulated in insulating oil and switch and (vacuum) breaker can be insulated. Insulation can be achieved using SF6 gas, like a high pressure switch.
그러나 이런 절연방식들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브이씨비(VCB) 같은 공기절연 방식은 공기의 낮은 절연내력 때문에 높은 내 충격전압을 요구하는 곳에서는 사용하지 못한다. 또한 오씨비(OCB) 같은 오일 절연을 이용하는 경우는 오일의 폭발위험성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고압 개폐기처럼 SF6가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높은 내 충격전압을 요구하는 곳에서 사용하며 폭발위험성도 없으나 오존층 파괴의 환경적인 측면에서 점점 더 사용 규제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se insulation methods have various problems. Air insulation methods such as VCC cannot be used where high impact voltage is required because of the low dielectric strength of air. In addition, the use of oil insulation such as OCB is rarely used recently because of the risk of oil explosion. Finally, SF6 gas, such as a high-pressure switch, is used where high impact voltage is required and there is no risk of explosion, but it is increasingly regulated in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ozone layer destruction.
이와 같은 추세로 최근 대부분의 부하차단기에 사용되는 차단기 및 개폐기는 진공밸브를 활용하고 있으나 기존 선행기술에 사용되는 진공밸브는 차단성능이 뛰어나고 짧은 거리에서 절연성능이 매우 우수한 차단장치이나 진공밸브 내부의 개극거리(스트로크)가 너무 가까워 사용조건에 따라 절연성능의 많은 변화가 발생하며, 개방 후에도 2차측 선로에 잔류 전압이 존재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진공밸브는 특성상 짧은 거리에서 절연을 유지하기 위하여 진공으로 내부가 이루어졌으며,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하중으로 밀고 있어야 전극이 닿게 되고 전기적 강도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As a result, the breakers and switchgear used in most of the current circuit breakers utilize vacuum valves, but the vacuum valves used in the prior art have excellent breaking performance and excellent insulation performance in a short distance. The opening distance (stroke) is so close that many changes in insulation performance occu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use, and there may be residual voltage on the secondary line even after opening, and the vacuum valve is vacuumed to maintain insulation at short distances. The inside is made, and in order to flow the current, it must be pushed under a certain amount of load to reach the electrodes and ha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그렇기 때문에 개폐기를 개방하더라도 후단의 보수작업시 이상 전압이 흐르거나 절연저하로 인하여 최근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switch is opened, many accidents have recently occurred due to abnormal voltage or insulation deterioration during the maintenance work of the rear stage.
또한 일부 선행기술에는 진공에 따른 반발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팽창 스프링과 같은 에너지 축적형 장치를 이용하여 진공의 반발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했으며 2017년 5월 출원된 단로부 연동형 절연하우징의 선행기술은 진공밸브가 사용되는 개폐기 및 차단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이용한 절연성능의 향상과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단로부 연동형 절연하우징에 관한 기술을 개발하였고, 상기 기술은 하우징 본체의 내부 상측에 진공밸브가 설치되는 진공밸브와 상기 진공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는 단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진공밸브의 하부에 구비되는 단로부 고정전극과, 상기 단로부 고정전극의 하부에 스터드 볼트로 고정되어 진공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튜립 콘텍터와, 상기 튜립 콘텍터 하부에 진공밸브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상,하 슬라이드 되는 단로부 가동전극과, 상기 단로부 가동전극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2차측 도체에서 단로부 가동전극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슬라이딩 콘텍터를 포함하도록 하여 문제점을 개선하였지만 진공밸브의 투입시 발생되는 반발력인 상시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려는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어 구동시 필요한 힘에 반발력을 발생시켜 필요 이상의 힘을 요구하게 만드는 요인 인 상시 개방 스프링을 장착해야 하는 문제점과 단로기 가동전극과 튜립접점 사이의 기계적인 충격하중이 기구부들의 변형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some prior art has developed and used a device that can overcome the repulsive force of the vacuum by using an energy accumulating device such as an expansion spring in order to overcome the repulsive force caused by the vacuum, and the disconnection unit interlock type filed in May 2017 The prior art of the insulating housing has developed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insulation housing of the disconnection part for improv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and the user's safety in using the switch and the circuit breaker using the vacuum valve. The vacuum valve is installed in the vacuum valv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acuum valve is provided with a disconnecting part fixed electrod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acuum valve, and the lower part of the fixed electrode fixed electrode with a stud bolt fixed to the vacuum valve And a tubular contactor to open the vacuum valve and a vacuum valve under the tubular contactor. And a sliding contactor which is installed to slide up and down and slides up and down, and a sliding contactor which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disconnectable movable electrode and allows a current to flow while sliding from the secondary conductor to the disconnecting movable electrode. However, since the spring is used to maintain the normally open state, which is the repulsion force generated when the vacuum valve is inser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ormally open spring must be installed, which causes the repulsive force to be required for driving and requires more force than necessary. The mechanical impact load between the disconnecting electrode and the tubular contact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deforming the mechanical par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진공밸브(210)의 전극간 간격이 일반적으로 10~17mm이며 전극간 간격이 짧아 개방상태에서도 진공밸브의 특징인 양 전극간의 짧은 극간 구조로 개방 시에도 외부서지나 낙뇌 등의 요인으로 반대 극으로 전하가 유도되어 극간절연파괴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선행기술과 다르게 단로부 절연로드(300) 외에 진공밸브 절연로드(210)를 추가로 구성하여 2중의 절연로드를 제공하고 상기 두 개의 절연로드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상시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하고 기계적 충격에 의한 전극의 물리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terval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또한, 단로부 및 진공밸브 내의 전극간 거리를 일정이상 절연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정하여 양 극간으로 유도되는 전압을 방지하고 있으나 상기 일정이상의 절연간격은 50mm이상으로 투입시 발생하는 기계적 충격을 완화하고 자폐력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입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절감기 위하여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내에서 진공밸브 절연로드(217)를 구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n the disconnecting unit and the vacuum valve is designated to maintain an insulation gap more than a certain amount to prevent voltage induced between the two poles, but the insulation gap above the predetermined amount is less than 50mm to mitigate mechanical shock caused by the injection and autism In order to not only overcome the force, but also to reduce the energy generated when the input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drive the vacuum
또한, 현재 기존 기술의 경우진공밸브(210)만을 사용하는 경우 진공밸브(210) 내의 가동전극(212)과 고정전극(211)을 투입 또는 개방 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짧은 시간에 소호시키기 위해 진공밸브(210) 투입시에는 가동전극(212)과 고정전극(211)의 원활한 전류 통전을 위하여 진공밸브(210)의 가동전극(212)에 스프링을 이용한 접점압력 60kgf~400kgf이 필요하며 단로부를 추가로 구성한 경우에는 투입시 진공밸브를 투입시킨 후 스프링으로 가동전극(212)에 접점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힘과 진공밸브 자폐력에 대응하기 위한 자폐력 방지 스프링에서 발생하는 힘을 합한 값보다 큰 에너지를 발생시켜 주어야 한다. 때문에 단로부의 결정된 동작 거리를 지나 진공밸브 가동전극(212)에 1차 충격을 준 후 2차 진공밸브내의 접점 간 충격이 발생하며 특히 기계적 충격에 의해 동으로 이루어진 단로부 전극은 수회 사용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여 전극의 접촉효율을 떨어뜨리고 절연파괴나 부품 변형으로 인한 기계적 오작동 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단로부(300)와 진공밸브(210)의 동작시 요구하는 힘과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두 개의 절연로드로 구성하여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단로부 접점(340)이 슬라이딩 되어 진공밸브 가동전극 아답터(216)에 접촉되도록 하고 진공밸브 절연로드(217)가 원통형 단로부(300) 내에서 가동되어 직접 진공밸브의 가동전극(212)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개방 시에도 진공밸브 절연로드(217)로 인해 개방 되므로 자폐력 유지를 위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복잡한 튜립 컨넥터 대신 스프링 슬라이드 접점(320,330) 만을 사용함으로서 단로부(300)와 진공밸브(210)를 일직선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면서도 원통형 구조에 따른 장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로부(300)의 일정 절연 간격으로 동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없애고 상기의 자폐력을 포함한 전체적인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단로부(300)와 진공밸브(210)의 구동을 각각 별도로 동작되도록 구성하였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또한 대지와 가까운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연면방전과 누설전류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 하부를 리브형상(350)으로 구성하여 최대한 연면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In addition, to prevent creepage discharge and leakage curr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close to the earth,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disconnec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 및 구동방식은 전기를 차단시키기 위한 단로부(300)와 진공밸브(210)로 구성된 절연하우징(100)에 있어서, The structure and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상기 진공밸브(210)는 내부에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으로 구성되고,The
상기 진공밸브 가동전극(212)과 통전용 아답터(216)와 진공밸브 절연로드(217)가 연결되도록 구성하며,The vacuum valve
단로부 절연로드(350)와 연결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단로부 접점(340)이 내외측 슬라이딩 접점(320,330)으로 아답터(216)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밸브 절연로드(217)와 아답터(216)를 둘러싸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The vacuum
상기 아답터(216)는 진공밸브(210)내의 가동전극(212)과 연결되고, The
단로부 고정전극(310)은 2차측 도체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단로부와 진공밸브 연동형 절연하우징으로 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The disconnecting part fix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절연하우징을 이용한 개폐기 및 차단기를 투입 시키고자 할 때 단로부가 먼저 투입되고 나서 진공밸브가 나중에 투입되는 방식이고, 개방시키고자 할 때는 진공밸브가 먼저 개방되고 나서 단로부가 개방되는 형태의 특별한 구조가 각각 개별적으로 연동되어 구동되어 투입시나 개방시에 단로부의 접점에는 전기적 및 기계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며 모든 차단과 투입시 전기적 충격은 진공밸브의 전극에서 발생하게 되고 단로부의 기계적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과 함께 진공밸브의 자폐력 방지를 위한 스프링을 제거하고 복잡한 튜립접점 등과 같은 접점 대신 간단한 스프링 슬라이드접점 만을 사용하여 소형화시킴으로서 한 번의 조작으로 단로부와 진공밸브가 각각 개별적으로 서로 연동되어 자동으로 구동이 가능하여 구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switch and the circuit breaker using the insulating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connecting unit is introduced first and then the vacuum valve is introduced later, and the vacuum valve is opened first and then the disconnecting unit is opened. The special structure of the type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is driven individually, so that electrical and mechanical shocks are not applied to the contact points of the disconnection unit during closing or opening. In addition to the non-impact configuration, the spring for preventing autism of the vacuum valve is removed and the spring contact is simplified by using only a simple spring slide contact instead of a contact such as a complicated tubing contact. Can be driven automatically in conjunction This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drive.
도면 1 종래의 절연하우징 구성도
도면 2 본 발명의 절연하우징을 포함한 개방시 구성도
도면 3 본 발명의 개방시 구성도
도면 4 본 발명의 원통형 단로부만 투입시 구성도
도면 5 본 발명의 투입시 구성도
도면 6 본 발명의 절연하우징을 포함한 투입시 구성도
도면 7 본 발명의 단로부 투입 후 진공밸브 투입 구동도
도면 8 본 발명의 진공밸브 작동 구성도
도면 9 본 발명의 스프링 슬라이드 접점 구성도1 is a conventional insulating housing configura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open housing including the insulating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opening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when only the cylindrical disconn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when the input including the insulating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riving diagram of the vacuum valve after the dis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acuum valve operatio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pring slide contac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In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The expression 'and / or' is used herein to mean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동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절연하우징 본체(100)는 진공밸브(210)와 단로부(300)를 감싸게 되며, 상기 진공밸브(210)와 단로부(300)의 절연을 위하여 에폭시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insulating housing
상기 진공밸브(210)는 진공차단장치인 내부가 진공으로 이루어진 진공밸브(210)와, 상기 진공밸브(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1차 측에 흐르는 전기를 통전될 수 있도록 1차 측 도체(220)와 연결되며, 상기 1차 측 도체(220)에 설치되어 1차 측의 전압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1차 측 전압센서(23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진공밸브의 소호통(214)은 고온과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게 되며 일반적으로 고온에 사용가능한 세라믹 등을 사용한다. The
또한, 상기 진공밸브(210)의 표면에는 에폭시 성형시 진공밸브(2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실리콘 러버(215)가 구비되도록 구성한다.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또한, 진공밸브(210) 개방상태에서는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은 단로부 고정전극(310)과 2차측 도체와 접촉되어 연결되고 내부의 진공밸브 절연로드(217)와는 기계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나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상태이며 진공밸브(210)을 투입하고자할 경우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이 진공밸브 가동전극(212)과 연결되어 있는 아답터(216)까지 충분히 상승하여 가이드(370) 내에서 접촉될 수 있도록 하고 도면 7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충분히 삽입된 후에 도면 7의 B와 같이 10-17mm정도(일반적으로는 12mm)의 진공밸브 절연로드(217)를 상승시켜 진공밸브(210)의 가동전극(212)을 구동하고 상기의 가동전극(212)이 진공밸브(210)내의 고정전극(211)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riv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절연하우징 본체(10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진공밸브(210)와 상기 진공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는 단로부(300)는 각각 독립적으로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과 진공밸브(210)내의 가동전극(212)과 고정전극(211)이 각각 개방된 상태로 이동접점인 상기의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과 연결된 단로부 고정전극(310)이 외측 스프링 슬라이딩 접점(320)에 의해 접촉되어 2차 측 도체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향 이동하여 진공밸브의 가동전극(212)과 연결된 아답터(216)에 접촉될 수 있도록 충분히 삽입된 후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으로 둘러싸인 진공밸브 절연로드(217)가 상향 이동하여 진공밸브(210) 내의 가동전극(212)을 상향시켜 고정전극(211)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진공밸브(210)와 단로부 절연로드(350)의 개별적인 구동에 대해 각각 도면 7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외부의 전동기에 의하여 스프링 축세 레버(700)가 단로부 가동축을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시키고, 단로부 가동축이 B지점에 다다르면 스프링에 축적된 에너지에 의하여 자동으로 연동되어 C지점의 진공밸브 가동레버(800)가 D지점으로 이동하면서 진공밸브 가동축을 구동시켜 진공밸브 절연로드(217)를 상향으로 구동시키며, 진공밸브 절연로드(217)와 연결된 진공밸브 가동전극(212)이 상향 이동하여 진공밸브의 고정전극(211)과 접촉함으로서 통전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The
이와 같이 개방상태에서는 단로부 고정전극(310)과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과 진공밸브 절연로드(217)가 접촉되어 있지만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진공밸브 절연로드(217)를 단로부 절연로드(350)와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자폐력을 극복하기 위한 스프링을 이용하는 구조와 기계적인 충격 및 전극의 변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disconnecting unit fixed
상기의 개방상태에서 투입하는 과정과는 반대로 투입된 상태에서 개방하는 과정은 진공밸브(210)내의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이 접촉된 상태에서 진공밸브 가동전극(212)이 하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스프링 축세 레버(700)가 외부의 전동기에 의하여 단로부 가동축을 B지점에서 A지점으로 이동시키면 이동 중에 축적된 스프링 에너지에 의하여 진공밸브 가동레버(800)는 진공밸브 가동축을 D지점에서 C지점으로 빠르게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진공밸브 절연로드가 이동하여 진공밸브의 가동전극을 개방하게 되며 이때 진공밸브 가동레버와 단로부 가동레버는 서로 동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의 기구부를 통하여 인터록을 걸어주고 있으며 단로부 가동레버가 A지점으로 복귀 후 별도의 스프링에 의해 단로부 접점(340)이 개방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process of opening in the injected state is opposite to the process of injecting in the open state. The vacuum valve
즉, 단로부 가동축을 B지점에서 A지점으로 이동되면서 축척된 스프링 에너지로 인해 진공밸브 가동레버가 D지점에서 C지점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되고 그 후 단로부 가동축을 A지점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원통형 단로부 접점이 개방상태의 위치로 이동 합니다. 기구 구조상 투입시는 스프링 축세레버와 단로부 가동축이 동시에 A에서 B로 이동 후 연동된 진공밸브 가동레버의 작동으로 진공밸브 가동축에 의해 진공밸브를 투입시키지만 개방시는 원통형 단로부 접점과 스프링 축세레버는 서로 관계없이 스프링 축세레버가 B에서 A로 이동되며 축척된 에너지로 진공밸브를 먼저 개방시키고 그 후 외부의 별도 개방 스프링으로 단로부 접점(304)을 개방시키게 됩니다. That is, the vacuum valve movable lever moves rapidly from point D to point C due to the spring energy accumulated by moving the disconnecting part moving shaft from point B to point A, and then moving the disconnecting part moving shaft to the point A. The sub contact moves to the open position. Due to the mechanism structure, the spring shaft lever and the disconnecting unit movable shaft move from A to B at the same time, and then the vacuum valve actuating shaft is operated by the interlocking operation of the vacuum valve operating lever. Regardless of the shaft lever, the spring shaft lever is moved from B to A and the vacuum valve is first opened by the accumulated energy, and then the disconnection contact 304 is opened by a separate external spring.
상기와 같이 개방시 진공밸브를 먼저 개방하는 것은 개방시 발생할 수 있는 아크와 방전 등의 소호를 진공밸브 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Opening the vacuum valve first when opening as described above is to be able to handle arcs and discharges such as arcs and discharges that may occur during opening in the vacuum valve.
또한 단로부 이동접점을 원통형으로 적용하여 원통 내에서 동작하는 진공밸브 절연로드(217)가 원통형의 단로부 접점(340)과 원통형의 단로부 절연로드(350)가 가이드 역할을 하여 원활히 동작할 수 있는 구조로 절연하우징을 단순화하였으며 기존 튜립 접점을 이용할 경우 봉으로 된 단로부 도체가 튜립 접점에 삽입되면 튜립 접점의 내부 턱이 봉으로 된 단로부 도체에 걸려 개방시 요청되는 에너지에 의하여 진공밸브를 개방하게 되는데 이때 구리로 되어 있는 두 접점의 무른 기계적 성질과 아크소호를 위해 빠른 속도로 움직여야 하는 특징 때문에 튜립 접점의 내부 턱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동력전달용으로 부적합함으로 원통형으로 단로부 접점을 이용하여 동력전달시 슬라이딩 스프링 접점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서 단로부 조작시 큰 에너지가 불필요하고 진공밸브를 투입 및 개방하는데 필요한 기계적인 충격이 없어 단로부 및 진공밸브의 접점과 전극의 충격에 의한 형상변화와 이에 따른 기계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by applying the disconnection moving contact in a cylindrical shape, the vacuum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진공밸브의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의 전극간격은 10~17mm인 것을 지정하여 사용하고 있어 매우 짧은 양극의 간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유도전압과 외부서지나 낙뇌 등으로 절연파괴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로부 접점과 진공밸브 가동전극(212)의 간격을 일정간격 이상 이격할 것을 지정하고 있고 이러한 일정 거리(50mm)이상의 이격은 하나의 로드로 동작할 경우 필요로 하는 힘과 투입시 기계적 충격을 유발하여 상기의 전극 변형을 통한 기계적 오작동 등을 유발시키게 됨으로 본 발명은 단로부와 진공밸브의 동작을 상기와 같이 별개의 연동구동방식을 채택하고 진공밸브 절연로드(217)와 기계적으로 접촉되어 있지만 전기적 절연과 진공밸브 가동레버를 직접 구동시키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서 상기의 구동에 필요한 힘을 최소화시키고 기계적 충격을 없앨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며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이 슬라이딩 되어 진공밸브 가동전극(212)과 연결된 아답터(216)에 삽입되어 접촉되면 축적된 에너지에 의하여 진공밸브 절연로드(217)가 원통형 단로부 절연로드와 접점 내에서 가동되어 직접 진공밸브의 가동전극(212)에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절연하우징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단로부 내측 외측에 스프링 슬라이딩 접점을 적용하여 크기를 기존 튜립 접점에 비해 기존의 크기에 비해 2배 이상 최소화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충전된 에너지는 기계적인 스프링을 이용하고 있으나 전기력 또는 전자력과 같은 다른 종류의 전기에너지(힘)을 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도 있다. The electrode spacing between the fixed
또한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과 슬라이딩 접점 및 아답터(216)를 이용함으로서 기존의 진공밸브 자폐력에 대응할 수 있는 기존 발명의 필수구성요소인 팽창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그에 따른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튜립 접점의 특징인 여러 개의 접점과 그 접점들의 위치를 유지시키려는 스프링 등 여러 부품의 조립으로 구성된 튜립 접점에 전하가 집중되는 곳이 많아 부분방전 및 절연파괴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단순히 가공된 도체에 삽입함으로서 완성되는 내 외측 슬라이딩 접점을 사용함으로서 절연하우징의 제조시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In addition, by using the
100 : 하우징 본체
210 : 진공밸브
211 : 진공밸브 고정전극
212 : 진공밸브 가동전극
213 : 진공밸브 접촉부
214 : 진공밸브 소호통
215 : 실리콘 러버
216 : 아답터
220 : 1차측 도체
230 : 1차측 전압센서
300 : 단로부
310 : 단로부 고정전극
320 : 외측 스프링 슬라이드 접점
330 : 내측 스프링 슬라이드 접점
340 : 원통형 단로부 접점
350 : 단로부 절연로드(리브형상)
370 : 가이드
500 : 변류기
510 : 2차측 전압센서
520 : 2차측 도체
700 : 스프링 축세 레버(또는 단로부 가동레버)
800 : 진공밸브 가동레버100: housing body
210: vacuum valve
211: vacuum valve fixed electrode
212 vacuum valve movable electrode
213: vacuum valve contact
214: vacuum valve SOHO
215: Silicone Rubber
216 adapter
220: primary conductor
230: Primary side voltage sensor
300: disconnection unit
310: fixed electrode
320: Outer spring slide contact
330: inner spring slide contact
340: cylindrical disconnection contact
350: insulated rod (ribbed shape)
370 Guide
500: Current Transformer
510: secondary voltage sensor
520: secondary conductor
700: spring shaft lever (or disconnection lever)
800: vacuum valve operating lever
Claims (9)
상기 진공밸브(210)는 내부에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진공밸브(210)의 가동전극(212)과 통전용 아답터(216)와 진공밸브 절연로드(217)가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단로부 절연로드(350)와 연결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단로부 접점(340)이 내외측 슬라이딩 접점(320,330)으로 아답터(216)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밸브 절연로드(217)와 아답터(216)를 둘러싸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아답터(216)는 진공밸브(210)내의 가동전극(212)과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원통형 단로부(300)와 진공밸브(210)가 각각 개방 상태에서 스프링 축세 레버(700)가 단로부 가동축을 이동시켜 단로부 접점(340)이 상향 이동하여 아답터(216)에 접촉 후 축적된 에너지에 의하여 진공밸브 가동레버(800)가 작동과 함께 진공밸브 가동축을 구동시켜 진공밸브 절연로드(217)를 상향시키고 진공밸브(210) 내의 가동전극(212)을 상향시켜 고정전극(211)과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단로부 고정전극(310)이 2차측 도체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단로부와 진공밸브의 연동형 절연하우징.In the insulating housing 100 consisting of a disconnecting unit 300 and a vacuum valve 210 to cut off electricity,
The vacuum valve 210 is composed of a fixed electrode 211 and a movable electrode 212 therein,
The movable electrode 212 and the electricity supply adapter 216 and the vacuum valve insulating rod 217 of the vacuum valve 21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he vacuum valve insulating rod 217 and the adapter 216 may be connected to the disconnecting contact 340 having a cylindrical shape connected to the insulating part insulating rod 350 so as to contact the adapter 216 with the inner and outer sliding contacts 320 and 330. So you can wrap around and move around,
The adapter 216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ovable electrode 212 in the vacuum valve 210,
The spring accumulated lever 700 moves the disconnecting unit movable shaft while the cylindrical disconnecting unit 300 and the vacuum valve 210 are open, respectively, and the disconnection unit contact 340 moves upward to contact the adapter 216. By operating the vacuum valve movable lever 800 by operating the vacuum valve movable shaft to raise the vacuum valve insulating rod 217 and to raise the movable electrode 212 in the vacuum valve 210 in contact with the fixed electrode 211 Configure it to
Interlocking insulation housing of the disconnecting unit and the vacuum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onnecting electrode fixed electrode 31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conductor.
진공밸브 가동전극(212)과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단로부 접점(340)이 각각 개별적으로 연동되어 개방시와 투입시에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부와 진공밸브의 연동형 절연하우징.The method of claim 1,
The vacuum valve movable electrode 212 and the disconnection unit contact portion 34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be driven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상기 개방시 구동방법은
진공밸브(210)내의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이 접촉된 상태에서 개방하기 위하여 스프링 축세 레버(700)가 단로부 가동축 이동시 진공밸브 가동레버(800)가 이동되어 진공밸브 가동축의 이동과 함께 진공밸브 절연로드(217)를 하향 이동함으로서 진공밸브를 먼저 개방하고 스프링 축세 레버(700) 이동과 함께 단로부 이동축을 이동시켜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부와 진공밸브의 연동형 절연하우징.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method when opening
In order to open in a state where the fixed electrode 211 and the movable electrode 212 in the vacuum valve 2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vacuum valve movable lever 800 is moved when the spring axis lever 700 moves to the disconnecting part movable shaft to operate the vacuum valve. By moving the vacuum valve insulating rod 217 downward with the movement of the shaft, the vacuum valve is opened first, and the disconnection unit moving shaft is moved by opening the spring axis lever 700 to open the cylindrical disconnection unit contact 340. Interlocking insulating housing of disconnecting unit and vacuum valve.
축적된 에너지는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부와 진공밸브의 연동형 절연하우징.The method of claim 1,
The accumulated energy is interlocked insulation housing of the disconnecting unit and the vacuum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 spring is used.
축적된 에너지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부와 진공밸브의 연동형 절연하우징.The method of claim 1,
The accumulated energy uses electric energy to interlock the insulating housing of the disconnecting unit and the vacuum valve.
진공밸브 절연로드(217)는 원통형 단로부 접점(340) 및 단로부 고정전극(310)과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부와 진공밸브의 연동형 절연하우징. The method of claim 1,
The vacuum valve insulating rod 217 is an interlocking insulating housing of the disconnecting unit and the vacuum valv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for electrical insulation with the cylindrical disconnecting unit contact 340 and the disconnecting unit fixed electrode 310.
단로부 절연로드의 연면방전 방지를 위하여 리브형상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부와 진공밸브의 연동형 절연하우징.The method of claim 1,
Interlock type insulating housing of the disconnecting unit and the vacuum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b shape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creepage discharge of the insulating rod insulating rod.
단로부 접점(340)을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진공밸브 절연로드(217)가 원통형의 단로부 접점(340) 내에서 이동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부와 진공밸브의 연동형 절연하우징.The method of claim 1,
The disconnection part of the disconnection unit and the vacuum valv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configuration and the vacuum valve insulating rod 217 is a structure that can serve as a guide when moving in the cylindrical disconnection contact (340). Insulation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5582A KR101966602B1 (en) | 2018-12-05 | 2018-12-05 | Insulated housing type interlocking disconnector and vacuum val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5582A KR101966602B1 (en) | 2018-12-05 | 2018-12-05 | Insulated housing type interlocking disconnector and vacuum valv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66602B1 true KR101966602B1 (en) | 2019-08-13 |
Family
ID=6762456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55582A Active KR101966602B1 (en) | 2018-12-05 | 2018-12-05 | Insulated housing type interlocking disconnector and vacuum valv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66602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45966B1 (en) * | 2020-09-10 | 2021-04-30 | 중원 주식회사 | Load Break switch interlocked double insulation switchgear |
| KR102338613B1 (en) * | 2020-08-06 | 2021-12-10 | 박수봉 | Pipe type disconnector interlock swich manipulator |
| KR102504545B1 (en) | 2021-10-18 | 2023-03-02 | 주식회사 평일 | auxiliary contact-embedded insulating modul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484044A (en) * | 1981-07-16 | 1984-11-20 | Fuji Electric Company, Ltd. | Vacuum load switch with a disconnecting switch |
| KR20180047430A (en) * | 2016-10-31 | 2018-05-10 | 주식회사 스위코 | Vacuum load break switch for interlocking operation type disconnector |
| KR101898002B1 (en) | 2017-05-12 | 2018-09-13 | 주식회사 스위코 | Insulated housing type interlocking disconnector |
-
2018
- 2018-12-05 KR KR1020180155582A patent/KR1019666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484044A (en) * | 1981-07-16 | 1984-11-20 | Fuji Electric Company, Ltd. | Vacuum load switch with a disconnecting switch |
| KR20180047430A (en) * | 2016-10-31 | 2018-05-10 | 주식회사 스위코 | Vacuum load break switch for interlocking operation type disconnector |
| KR101898002B1 (en) | 2017-05-12 | 2018-09-13 | 주식회사 스위코 | Insulated housing type interlocking disconnector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38613B1 (en) * | 2020-08-06 | 2021-12-10 | 박수봉 | Pipe type disconnector interlock swich manipulator |
| KR102245966B1 (en) * | 2020-09-10 | 2021-04-30 | 중원 주식회사 | Load Break switch interlocked double insulation switchgear |
| KR102504545B1 (en) | 2021-10-18 | 2023-03-02 | 주식회사 평일 | auxiliary contact-embedded insulating modu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4145318B (en) | A vacuum interrupter with fixed fracture | |
| CN105405711B (en) | A kind of vacuum circuit breaker with double breaks | |
| KR101966602B1 (en) | Insulated housing type interlocking disconnector and vacuum valve | |
| KR101867100B1 (en) | Switch having two sets of contact elements | |
| US7986061B2 (en) | Electrical switching device | |
| US6787725B2 (en) |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for gas insulted switchgear | |
| CN103081050B (en) | electrical isolator | |
| US8901447B2 (en) | Circuit breaker with parallel rated current paths | |
| KR101231764B1 (en) | Gas insulated switchgear | |
| KR20150001499A (en) | Circuit breaker of gas insulation switchgear | |
| KR20070008041A (en) | Gas insulated circuit breaker | |
| KR100370103B1 (en) | Disconnecting switch of Gas Insulator Switchgear | |
| KR101147869B1 (en) | Circuit breaker device applied with arc quench vacuum interrupter | |
| KR100606421B1 (en) | Pole field relaxation device of gas insulated breaker | |
| CN111201581A (en) | gas cut-off | |
| KR20180087745A (en) | Gas-insulated switch gear using dual motion with multi rever | |
| Rieder | Circuit breakers Physical and engineering problems II-Design considerations | |
| KR100519887B1 (en) | Piston moving type gas interrupter | |
| KR200406796Y1 (en) | Disconnector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 |
| KR20160001271U (en) | Gas insulated switchgear | |
| JP3781944B2 (en) | Multifunctional vacuum valve | |
| KR20150009761A (en) | Circuit breaker of gas insulation switchgear having double compression thermal chamber | |
| CN116705550A (en) | Circuit breaker and electrical apparatus | |
| EP2737584B1 (en) | Switching installation with pressure controlled short-circuit device | |
| KR20180129738A (en) | Gas-insulated switch gear using dual motion with multi rev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8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