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7973B1 - Negative electrode for fast charging,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s thereof - Google Patents

Negative electrode for fast charging,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973B1
KR101977973B1 KR1020150113328A KR20150113328A KR101977973B1 KR 101977973 B1 KR101977973 B1 KR 101977973B1 KR 1020150113328 A KR1020150113328 A KR 1020150113328A KR 20150113328 A KR20150113328 A KR 20150113328A KR 101977973 B1 KR101977973 B1 KR 101977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rolling
present
carb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9213A (en
Inventor
김효미
김효식
오송택
이혁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1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973B1/en
Publication of KR2017001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2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97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급속 충전시에 Li-플레이팅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음극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탄소계 입자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계 입자의 내부에 직경이 1㎛ 이하인 미세 기공이 존재하며 상기 미세 기공이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음극 활물질층 전체 기공 면적의 60% 내지 85%이다.A cathode improved in structure so as not to cause Li-plating during rapid charging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n anode active material layer containing carbon-based particles formed on the anode current collector, wherein micropores having a diameter of 1 탆 or less are present in the carbon-based particles and an area occupied by the micropores is within the entire range of 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60% to 85% of the pore area.

Description

급속 충전이 가능한 음극, 이를 포함한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Negative electrode for fast charging,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s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capable of rapid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은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지의 수명을 늘리면서 전지를 빠르게 충전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음극,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그리고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gative electrode having a structure improved so as to rapidly charge a battery while increasing the life of the battery,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근래에는, 노트북,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동 카트, 전동 휠체어, 전동 자전거 등의 수요도 늘어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와 전기 자동차(EV)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HEV나 EV의 핵심적 부품인 차량용 전지에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집중되고 있으며, 더불어 전지를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급속 충전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특히 추가적인 에너지원이 없는 EV에 있어 급속 충전은 매우 중요한 성능이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notebooks and portable telephon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research on high performance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s demands for electric carts, electric wheelchairs, . In addition, demand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HEV) and electric vehicles (EVs) is increasing worldwide, as carbon energy has recently become depleted and environmental concerns have increased. As a result, much attention and research have been focused on vehicle batteries, which are core parts of HEVs and EVs, and it is urgent to develop rapid charging technology that can charge batteries quickly. Rapid charging is especially important for EVs without additional energy sources.

전지를 충전하는 프로세스는 전지에 전류를 넣어 전하 및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러한 프로세스는 주의깊게 제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과도한 충전율(C-rate) 또는 충전전압은 전지의 성능을 영구적으로 저하시키고 궁극적으로 완전한 실패를 유발하거나 부식성이 강한 화학 물질의 누설 또는 폭발 등의 돌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charging the battery includes charging the battery with electric charge and energy, and such a process must be carefully controlled. In general, excessive C-rate or charging voltage can permanently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and ultimately cause complete failure or can lead to unexpected disturbances such as leakage or explosion of highly corrosive chemicals.

종래의 전지 충전 방식은 충전 초기부터 완료까지 일정한 전류로 충전을 행하는 정전류(CC) 방식, 충전 초기부터 완료까지 일정한 전압으로 충전을 행하는 정전압(CV) 방식 및 충전 초기에는 일정한 전류로 충전하고, 충전 말기에는 일정한 전압으로 충전하는 정전류-정전압(CC-CV) 방식 등이 있다. 급속 충전을 위해서는 CC 방식이 가장 유리하다. 충전이 빨리 완료된다는 점에서만 보면 충전전류가 클수록 좋지만 연속적으로 큰 전류로 충전하면 충전효율이 저하되고 전지의 수명에도 영향을 끼친다. The conventional battery charging system includes a constant current (CC) system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at a constant current from the beginning to the completion of charging, a constant voltage (CV) system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at a constant voltage from the beginning to the completion of charging, And a 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CC-CV) system charging at a constant voltage at the end. The CC method is most advantageous for rapid charging. The larger the charging current is, the better the charge is completed quickly. However, if the battery is charged continuously with a large current, the charg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life of the battery is also affected.

높은 충전전류 밀도로 급속 충전시에는 음극에 Li이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되지 못하고 석출되는 Li-플레이팅(Li-plating) 현상이 문제가 된다. 석출된 Li은 전해액과의 부반응, 전지의 운동역학적 균형(kinetic balance) 변경 등을 초래하여 향후 전지 퇴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Li-플레이팅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급속 충전을 달성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Li-plating phenomenon in which Li is not intercalated into the cathode during rapid charging due to a high charge current density is a problem. Precipitated Li may cause side reactions with electrolytes, change of the kinetic balance of the battery, and the like, which may cause battery degeneration in the futur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o achieve rapid charging without causing Li-plat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급속 충전시에 Li-플레이팅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음극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gative electrod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negative electrode, wherein the structure is improved so as not to cause Li-plating during rapid charg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러한 음극을 포함하여 급속 충전이 가능하고 수명이 긴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uch an anode capable of rapid charging and having a long lif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극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탄소계 입자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계 입자의 내부에 직경이 1㎛ 이하인 미세 기공이 존재하며 상기 미세 기공이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음극 활물질층 전체 기공 면적의 60% 내지 85%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gative electrode comprising: an anode current collector; And an anode active material layer containing carbon-based particles formed on the anode current collector, wherein micropores having a diameter of 1 탆 or less are present in the carbon-based particles and an area occupied by the micropores is within the entire range of 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60% to 85% of the pore area.

상기 음극 활물질층의 기공도(porosity)는 30% 내지 35%일 수 있다.The poro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30% to 35%.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이러한 음극을 포함한다.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ch a cathode.

본 발명에 따른 음극 제조 방법은, 음극 집전체에 탄소계 입자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상기 음극 집전체를 적어도 2회 압연하는 단계; 및 압연된 상기 음극 집전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ntaining carbon-based particles on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Rolling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av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t least twice; And drying the rolled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상기 압연하는 단계는 상기 음극 집전체 건조 이후의 스프링 백(spring back)을 고려하지 않은 압력으로 실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2회 압연의 각 압력은 동일한 것일 수 있다.The rolling may be performed at a pressure not considering spring back after the cathode collector is dried. The pressures of the at least two times of rolling may be the same.

특히, 상기 적어도 2회 압연은 상기 탄소계 입자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탄소계 입자 내부에 직경이 1㎛ 이하인 미세 기공을 생성 및/또는 재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t least twice rolling may be to generate and / or relocate micropores having a diameter of 1 탆 or less within the carbon-based particles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arbon-based particles.

상기 압연하는 단계 전에 상기 음극 집전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nd drying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before the rolling step.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음극 제조 방법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uch a cathod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직경 1㎛ 이하의 미세 기공이 음극 활물질층 내에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어 리튬 이온의 확산(diffusion) 저항을 감소시킨다. 리튬 확산이 용이해지므로 급속 충전에도 음극의 리튬 인터칼레이션이 잘 일어나 Li-플레이팅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ne pores having a diameter of 1 탆 or less occupy a large area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hereby reducing the diffusion resistance of lithium ions. Since lithium diffusion is facilitated, lithium intercala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occurs well during rapid charging, and Li-plating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본 발명에 따른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Li-플레이팅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충전할 수 있으므로, 석출된 Li과 전해액과의 부반응, 전지의 운동역학적 균형 변경 등의 문제가 없고 전지 퇴화의 원인을 예방할 수 있어 긴 수명이 확보된다. 또한, Li-플레이팅을 일으키지 않는 한계 내에서 높은 충전율로 충전을 할 수 있으므로 급속 충전을 달성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rged without causing Li-plating, there is no problem such as a side reaction between deposited Li and the electrolyte, a change in the kinetic mechanical balance of the battery, It can prevent and ensure long life. In addition, rapid charging can be achieved because the battery can be charged at a high charging rate within a limit that does not cause Li-plating.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음극 활물질의 변경없이 압연 공정 변화만을 통해 음극 활물질 내의 미세 기공 조절이 가능하여, 기존의 공정 라인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경제적으로 음극 및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icropores in the anode active material only by changing the rolling process without changing the anode active material, and thus the cathode and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economically produced while utilizing existing process lines as they are .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음극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음극의 단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5는 도 4의 SEM 사진에서 기공 크기를 이미지화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이미지로부터 기공 크기별 개수를 카운트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와 본 발명 실시예 음극의 기공 크기에 따른 면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와 본 발명 실시예 음극을 포함하는 삼전극셀에 대한 전기 화학 실험 결과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SEM photograph of a section of a cathod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mage of the pore size in the SEM photograph of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number of pore size counts from the image of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area of the cathod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and the cath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ore size.
8 is an electrochemical test result of a three electrode cell including a cathode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The shape of the elements and the like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in order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CC 방식의 급속 충전시 음극 표면의 Li-플레이팅으로 인한 셀의 퇴화가 가장 문제가 된다. Li-플레이팅은 충전전류 밀도(충전율 또는 충전전류)가 높을수록, 온도가 낮을수록 더 잘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충전전류 밀도를 낮추면 목표하는 충전 속도를 달성하지 못한다. In the case of rapid charging of the CC system, degradation of the cell due to Li-plating of the cathode surface becomes the most problematic. Li-plating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higher the charge current density (charge rate or charge current) and the lower the temperature, the better the charge current density is lowered to prevent the target charge rate from being achieved.

Li-플레이팅은 리튬 이온이 음극에 인터칼레이션되지 못할 때에 발생한다. 따라서, Li-플레이팅을 방지하려면 리튬 이온이 음극에 균일하게 인터칼레이션되도록 해야 한다. 균일한 인터칼레이션을 위해서는 충전시 음극의 리튬 이온 확산 특성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리튬 이온 확산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음극 구조가 중요한 인자이기 때문에 음극 기공도를 높여야 하지만 높아진 음극의 기공도는 셀의 에너지 밀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Li-plating occurs when lithium ions can not be intercalated into the cathode. Therefore, to prevent Li-plating, lithium ions should be uniformly intercalated into the cathode. For uniform intercalation, the lithium ion diffusion property of the negative electrode is a very important factor when charging. In order to improve the lithium ion diffusion characteristics, the cathode structure is an important factor, so the cathode porosity should be increased. However, the porosity of the cathode increases the energy density of the cell.

본 발명에서는 음극 기공도는 종래와 유사한 수준에서 급속 충전이 개선될 수 있도록 음극의 기공 구조를 개선한 이차전지와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Li-플레이팅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급속 충전을 할 수 있어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condary battery improved in pore structure of a negative electrode so that rapid charging can be improved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negative electrod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apidly charge the battery without causing Li-plating, thereby shortening the charging time.

본 발명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유지하면서 이차전지의 급속 충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음극의 기공 구조를 최적화한다. 동일 내지 유사한 기공도일 때 직경이 1㎛를 넘는 큰 기공이 음극 활물질층의 제한된 영역에 있기보다는 직경이 1㎛ 이하인 미세 기공을 음극 활물질층의 다방면에 형성시킬 것을 제안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e structure of the cathode is optimized in order to improve the rapid charging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while maintaining a high energy density. It is proposed that micropores having a diameter of 1 탆 or less are formed on the multiple surfac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rather than in a limited reg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ith diameters exceeding 1 탆 at the same or similar poros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음극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극(10)은 음극 집전체(20), 및 음극 집전체(20) 상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30)을 포함한다. 음극 활물질층(30)은 탄소계 입자(40)를 포함한다. 1, a cathod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thode current collector 20 and a cathode active material layer 30 formed on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20. 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30 includes carbon-based particles 40.

탄소계 입자(40)의 내부에는 직경이 1㎛ 이하인 미세 기공(P)이 존재하며 이러한 미세 기공(P)이 차지하는 면적은 전체 기공 면적의 60% 내지 85%이다. 이 때, 음극 활물질층(30)의 기공도는 30% 내지 35%일 수 있다. Micropores P having a diameter of 1 탆 or less are present inside the carbon-based particles 40 and the area occupied by these micropores P is 60% to 85% of the total pore area. At this time, the poro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may be 30% to 35%.

본 발명에서는 직경 1㎛ 이하의 기공을 미세 기공(P)이라고 한다. 기공도가 높을 경우(기공이 많을 경우) Li의 확산이 용이하나 셀의 풋프린트(footprint)가 정해진 상태에서 음극의 기공도를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일 기공도에서 직경이 1㎛를 넘는 큰 기공(L)보다 미세 기공(P)을 더 많이 형성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pores having a diameter of 1 m or less are referred to as micropores (P). When the porosity is high (when the pores are large), the diffusion of Li is easy. However, since it is impossible to increase the porosity of the cathode in a state where the footprint of the cell is fixed, It is easy to form more fine pores P than the liquid pores L.

혈관이 대동맥과 모세혈관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10)의 음극 활물질층(30)에는 큰 기공(L)과 미세 기공(P)이 존재할 수 있다. 대동맥격인 큰 기공(L)을 통해 리튬 이온이 이동하는 것이 큰 흐름이 될 수 있지만, 음극 활물질층(30) 내부에 균일하게 퍼져있는 미세 기공(P)들이 모세혈관처럼 음극 내부까지 전해액(전해액내 해리된 리튬 이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직경 1㎛ 이하의 미세 기공(P)이 많으면 유리하다. 또한, 이러한 미세 기공(P)이 음극 활물질층(30)에 고르게 형성될수록 유리하다. Large pores L and fine pores P may exist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of the negative electrod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that the blood vessels are composed of aorta and capillary blood vessels. The micropores P that are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may flow into the negative electrode like a capillary in the electrolytic solution Dissociated lithium ions) can be easily moved, it is advantageous if the micropores P having a diameter of 1 mu m or less are large. Further, it is advantageous that the fine pores P are uniformly form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미세 기공(P)이 전체 기공 면적에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면서 탄소계 입자(40) 내에 존재하도록 하여 음극 활물질층(30)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위치해 있도록 하며, 이렇게 할 경우 음극(10)은 기존과 동일한 에너지 밀도를 가지면서 동시에 리튬 이온 확산이 개선되어 급속 충전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fine pores P are present in the carbon-based particles 40 such that they occupy a large portion of the total pore area, and are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30. In this case, Can have the same energy density as the conventional lithium ion battery, and at the same time, the lithium ion diffusion can be improved and the rapid charging property can be improved.

미세 기공(P)이 차지하는 면적이 전체 기공 면적의 60%보다 작으면 미세 기공(P)에 의한 리튬 이온 확산 특성의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미세 기공(P)이 차지하는 면적이 전체 기공 면적의 85%보다 크면 큰 기공(L)의 면적이 충분하지 않아 전해액 함침 등에 있어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기공(P)이 차지하는 면적은 전체 기공 면적의 60% 내지 85%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면적은 음극 활물질층(30)을 구성하는 탄소계 입자(40)를 변경할 필요없이, 음극(10) 제조 과정 중에 진행되는 압연 공정을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f the area occupied by the fine pores P is smaller than 60% of the total pore area, the effect of improving the lithium ion diffus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fine pores P may be insignificant. If the area occupied by the micro pores (P) is larger than 85% of the total pore area, the area of the large pores (L) is not sufficient, which may be detrimental to electrolyte impregnation. Therefore, the area occupied by the micropores P is set to 60% to 85% of the total pore area. This area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rolling proces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10, without changing the carbon-based particles 40 constitut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음극 활물질층(30)의 기공도는 30% 내지 35%이다. 음극 활물질층(30)의 기공도가 30%보다 작으면 리튬 이온의 확산이나 전해액 함침 등이 원활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음극 활물질층(30)의 기공도가 35%보다 크면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음극 활물질층(30)의 기공도는 음극 활물질층(30)을 구성하는 탄소계 입자(40)의 입도, 기공도, 탭 밀도, 기타 첨가물, 압연 공정 등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The poro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is 30% to 35%. If the poro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is less than 30%, there is a fear that diffusion of lithium ions or electrolyte impregnation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When the poro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is larger than 35%, it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density. The poro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can be controlled by various parameters such as particle size, porosity, tap density, other additives, rolling process, etc. of the carbon particles 40 constitut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 제조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hod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s a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음극 집전체(20)에 음극 활물질이 도포되도록 하여 음극 활물질층(30)을 형성한다(S10). 여기서, 음극 집전체(20)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음극 활물질의 슬러리가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는 금속으로 전지의 전압 범위에서 반응성이 없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극 집전체(20)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리, 금, 니켈 또는 구리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으며, 상기 음극 집전체(20)는 상기 물질들로 이루어진 기재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applied to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20 to form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S10). Here, the anode current collector 20 can be any metal that has high conductivity and can easily adhere to the slurry of the anode active material and is not reactive in the voltage range of the battery.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0 may be made of copper, gold, nickel or a copper alloy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metal, May be stacked and us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음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이 흡장 및 방출될 수 있는 탄소계 입자(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탄소계 입자(40)는 저결정성 탄소 및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hard carbon)가 대표적이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천연 흑연, 키시흑연(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액정 피치계 탄소섬유(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meso-carbon microbeads), 액정 피치(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가 대표적이다.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rbon-based particles (40) capable of intercalating and deintercalating lithium ions. Concretely, the carbon-based particles 40 may be both low-crystalline carbon and high-crystallinity carbon. Examples of the low crystalline carbon include soft carbon and hard carbon. Examples of highly crystalline carbon include natural graphite, Kish graphite, pyrolytic carbon, liquid crystal pitch carbon fiber high temperature sintered carbon such as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meso-carbon microbeads, mesophase pitches and 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상기 음극 활물질에는 도전재, 바인더 및 고비점 용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혼합한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20)에 도포하여 음극 활물질층(30)을 형성하게 된다.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20) 상에 고르게 도포하는 방법은 재료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공지의 방법 중에 선택하거나 새로운 적절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스트를 집전체 위에 분배시킨 후,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분배와 분산 과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실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밖에 다이캐스팅, 콤마코팅, 스크린 프린팅 등의 방법을 택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기재 위에 성형한 후 프레싱 또는 라미네이션 방법에 의해 집전체와 접합시킬 수도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high boiling point solvent, and the slurry in which the slurry is mixed is applied to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0 to form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The method of uniformly applying the slurry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0 can be selected from known method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the like or can be carried out by a new suitable metho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distribute the paste on the current collector and uniformly disperse the paste using a doctor blade or the like. In some cases, a method of performing the distribution and dispersion processes in a single process may be used. Other methods such as die casting, comma coating, and screen printing may be employed, or they may be formed on a separate substrate and then joined to the current collector by a pressing or lamination method.

상기 도전재로서는 전기 화학 소자에서 화학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전자 전도성 물질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반적으로 카본블랙(carbon black), 흑연, 탄소섬유, 카본 나노튜브, 금속분말, 도전성 금속산화물, 유기 도전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현재 도전재로 시판되고 있는 상품으로는 아세틸렌 블랙계열(Chevron Chemical Company 또는 Gulf Oil Company 제품 등), 케첸 블랙(Ketjen Black) EC 계열(Armak Company 제품), 불칸(Vulcan) XC-72(Cabot Company 제품) 및 수퍼 P(MMM사 제품) 등이 있다. 예를 들면 아세틸렌블랙, 카본블랙, 흑연 등을 들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electron conductive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a chemical change in an electrochemical device. In general, carbon black, graphite, carbon fiber, carbon nanotube, metal powder, conductive metal oxide, organic conductive material and the like can be used. Commercially available conductive materials include acetylene black series (manufactured by Chevron Chemical Company or Gulf Oil Company), Ketjen Black EC (Armak Company), Vulcan XC-72 (Cabot Company), and Super P (MMM). For example, acetylene black, carbon black and graphite.

그리고 상기 음극 활물질에 포함될 수 있는 바인더는 음극 활물질을 음극 집전체(20)에 유지시키고, 또한 음극 활물질들 사이를 이어주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종래에 리튬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모든 바인더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The binder that can be includ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s a function of hold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0 and also connect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ll the binders used in the conventional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have.

예를 들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styrene butadiene rubber),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CMC, carboxymethyl cellulose) 등의 다양한 종류의 바인더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co-HFP), polyvinylidene fluoride, polyacrylonitrile, polymethylmethacrylate, styrene Various types of binder polymers such as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the like can be used.

이와 같이 음극 집전체(20)에 음극 활물질층(30)이 형성되면, 1차 건조 단계(S15)를 실시한다. 1차 건조 단계(S15)는 음극 활물질 슬러리에 포함된 용제 등을 제거시켜 압연에 적당한 상태로 되도록 하기 위해 실시한다.When 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30 is formed on the anode current collector 20 as described above, the primary drying step S15 is performed. The primary drying step (S15) is performed in order to remove the solvent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so as to be in a state suitable for rolling.

다음으로, 음극 집전체(20)를 적어도 2회 압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압연(S20) 및 2차 압연(S30)을 실시한다. Next,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0 is rolled at least twi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imary rolling (S20) and the secondary rolling (S30) are performed.

여기서, 상기 S20, S30 단계에서는 회전하는 두 개 이상의 롤 사이로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 집전체(20)를 통과시킴으로써, 음극 활물질이 음극 집전체(20)에 접착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하는 롤은 고온의 상태일 수 있으며, 이로써 음극 활물질과 음극 집전체(20)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steps S20 and S30,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adhered to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0 by passing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0 coat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between two or more rotating rolls. At this time, the rotating roll may be in a high temperature stat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0.

음극이나 양극의 전극은 전극 활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금속 집전체에 도포한 후 건조, 압연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음극 활물질로서 탄소계 재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부반응 등의 문제가 없어 안전하며 분말 형태를 성형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기 용량이 낮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압연에 의해 압축하여 그 밀도를 높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음극의 제조에 이러한 압연을 2회 이상 나누어 실시함에 특징이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or positive electrode is generally prepared by applying a slurry containing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binder to a metal current collector, followed by drying and rolling. When a carbonaceous material is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re is no problem such as side reactions, and it is safe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by using a powder form. However, since the electric capacity is low, The density is increa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the rolling is divided into two or more times in the produ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일반적으로 압연시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났을 때와 전극 건조 이후 전극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 이른바 스프링 백이 있다. 따라서, 기존 1회 압연의 경우 이러한 스프링 백을 고려하여 120 내지 130% 압력을 가한다. 즉, 목표 전극 두께보다 작아지도록 큰 힘을 가하여 눌러 놓고 나중에 스프링 백이 되었을 때 비로소 원하는 목표 두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목표 전극 두께가 151㎛라면, 압연 직후 두께가 151㎛가 되도록 하는 경우의 압력을 100% 압력이라고 할 수 있고, 기존 1회 압연에서는 스프링 백을 고려하여 압연 직후 두께가 130 내지 140㎛가 되도록 120 내지 130% 압력을 가하는 것이다. 이 때, 스프링 백을 고려한 두께는 경험치에 따라 달라지며, 약 10 내지 20㎛ 정도가 되고, 스프링 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압력은 스프링 백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100% 압력)에 20 내지 30% 정도 압력이 추가로 가해지는 것이다. Generally, there is a so-called springback phenomenon in which the electrodes are swoll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rolling and after electrode drying.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one-time rolling, a pressure of 120 to 130% i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such springback. That is, a large force is applied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target electrode thickness so as to achieve a desired target thickness only when the spring is released later. For example, if the target electrode thickness is 151 占 퐉, the pressure when the thickness is 151 占 퐉 immediately after rolling can be 100% pressure. In the conventional one-time rolling, considering the spring back, The pressure of 120 to 130% is applied. At this time, the thickness considering the spring back varies depending on the experiential value, becomes about 10 to 20 탆, and the pressure set in consideration of spring back is 20 to 30% when the spring back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100% A further pressure will be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2회 이상의 압연에서는 이러한 스프링 백을 고려하지 않고 100% 압력을 가해 실시한다. 즉, 목표 전극 두께가 151㎛라면, 압연 직후 두께가 151㎛가 되도록 100% 압력을 가해 1차 압연을 한다. 1차 압연 이후 스프링 백을 고려하지 않고 목표 두께를 다시 151㎛로 하여 100% 압력으로 2차 압연을 한다. 종래와 목표 두께가 같은 경우라면 종래보다 더 작은 압력으로 압연을 2회 이상 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two or more rolling ope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pressure is applied without considering such springback. That is, if the target electrode thickness is 151 탆, immediately after rolling, primary pressure is applied by 100% pressure so that the thickness becomes 151 탆. After the primary rolling, secondary rolling is carried out at a pressure of 100% at a target thickness of 151 탆 without considering spring back. When the target thickness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the rolling is performed twice or more with a smaller pressure than the conventional one.

통상 전극 집전체의 압연 공정으로 인하여 원료 전극 활물질의 미세 기공도보다 압연된 전극 활물질층의 미세 기공도가 감소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은 2회 이상의 압연을 통해 오히려 압연된 음극 활물질층(30)의 미세 기공도가 증가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microporosity of the rolled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reduced due to the rolling process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olled negative active material layer 30 ) Can be increased.

특히 압연시에는 전극 표면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이 가장 크게 되어 전극 내부에서 표면으로 가까워질수록 기공도가 감소하고 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극 내부에는 일정 수준의 공극율이 확보 되더라도 전극 표면의 공극율이 매우 낮아 전해액이 전극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보다 작은 압력으로 압연하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적고, 따라서, 압연 후에 전극 표면이나 내부에서 고르게 일정 수준의 공극율을 확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is the largest at the time of rolling, and the porosity decreases and the density increases as the surface gets closer to the inside of the electrode. Therefore, even if a certain level of porosity is secured in the inside of the electrode, the porosity of the electrode surface is very low, so that the electrolyte can not penetrate into the electrod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lling is performed at a pressure lower than that in the prior art, there is less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such a problem, and thus a certain level of porosity can be ensured evenly on the surface and inside of the electrode after rolling.

미세 기공(P)을 음극 활물질층(30) 전체에 존재하도록 하기 위하여 만약에 미세 기공을 원재료부터 포함하는 탄소계 입자를 선정한다면, 기존의 130% 압연 과정에서 쉽게 압착되어 압연된 음극 활물질의 비표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새로운 에지(edge)면이 돌출하게 되어 전해액 부반응이 수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2회 이상의 압연 과정을 통하여 탄소계 입자(40) 안의 미세 기공(P)을 생성 및/또는 재배치하는 것이며, 원재료 탄소계 입자에 대한 변경이 필요없다. 따라서, 압연하는 공정에서도 쉽게 부서지지 않아 음극 활물질 형태가 유지됨으로써 전해액 부반응이 없으므로 스웰링 억제 특성이 우수한 음극을 제조할 수 있다. If the carbon-based particles containing the fine pores are selected in order to make the fine pores P exist in the whol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the ratio of the ratio of the roll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surface area is increased and a new edge surface protrudes accordingly, which may lead to an electrolyte side reac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micro-pores (P) in the carbon-based particles (40) are formed and / or rearranged through two or more rolling processes, and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raw material carbon-based particles. Therefore, even in the rolling process, the anode active material is not easily broken, so that there is no side reac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so that a negative electrode having excellent swelling suppression characteristics can be manufactured.

그리고 나서, 상기 압연된 음극 집전체(20)는 2차 건조될 수 있다(S40). 바람직하게는, 상기 S40 단계에서, 음극 집전체(20)는 150℃ 내지 300℃ 정도의 온도로 1시간 내지 15시간 정도 진공 하에서 가열 처리됨으로써 건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건조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차 건조 단계(S40)는 1차 건조 단계(S15)에 비하여 고온, 장시간에서 수행할 수 있다. 2차 건조 단계(S40)는 음극 집전체(20)의 완전한 건조 및 압연으로 인한 응력 완화, 그리고 생성 및 재배치된 미세 기공(P)의 확산을 위해 실시할 수 있다. Then, the rolled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20 may be secondarily dried (S40). Preferably, in step S40, the anode current collector 20 may be dried by heating under vacuum at a temperature of about 150 ° C to 300 ° C for about 1 hour to about 15 hour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The secondary drying step (S40) can be performed at a higher temperature and a longer time than the primary drying step (S15). The secondary drying step (S40) can be carried out for relaxation of stress due to complete drying and rolling of the anode current collector 20, and diffusion of generated and re-arranged micropores (P).

상기 단계들에 의해 제조된 음극(10)은, 두께가 1㎛ 내지 180㎛, 또는 30㎛ 내지 150㎛인 음극 활물질층(3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30)이 이러한 두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음극 활물질층(30)에서의 활물질량이 충분히 확보되어, 전지 용량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이클 특성이나 레이트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egative electrode 10 manufactured by the above steps may have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having a thickness of 1 탆 to 180 탆 or 30 탆 to 150 탆. Whe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satisfies such a thickness range, the amount of the active material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is sufficiently secured, the battery capacit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and the cycle characteristics and the rat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hav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thickness.

음극(10)의 음극 활물질층(30)은 압연 공정 변경에 의해 직경 1㎛ 이하의 미세 기공(P)이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리튬 이온의 확산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급속 충전을 시켜도 Li-플레이팅이 억제되므로 수명 특성이 개선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압연 공정 변경을 통해 미세 기공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 기공에 의해 이차전지의 급속 충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30 of the negative electrode 10, the area occupied by the micropores P having a diameter of 1 m or less increases by the rolling process change, and diffusion of lithium ion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moothly.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is improved in lifetime characteristics because the Li-plating is suppressed even after rapid charging.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micro pores can be increased by changing the rolling process, and the rapid charging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by the micro pore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차전지(100)는 양극(50), 음극(10) 및 세퍼레이터(60)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양극(50)과 음극(10) 사이에 상기 세퍼레이터(60)를 개재시켜 전극조립체(7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조립체(70)를 전지 케이스(80)에 수납하는 단계; 및 전해액을 상기 전지 케이스(80)에 주입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3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athod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battery 100 includes a cathode 50, a cathode 10, and a separator 60. Forming an electrode assembly (70) between the anode (50) and the cathode (10) with the separator (60) interposed therebetween; Storing the electrode assembly (70) in a battery case (80); And injecting an electrolyte into the battery case 80, and the like.

상기 양극(50)은 리튬 이차전지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적인 양극이면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양극 활물질, 바인더와 도전재를 혼합한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에 도포, 건조한 후, 압연하여 성형할 수 있다. The anode 50 may be a conventional anod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a slurry obtained by mixing a cath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a cathode current collector, followed by drying, can do.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면, LiMn2O4, LiCoO2, LiNiO2, LiFeO2 및 V2O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TiS, MoS, 유기 디설파이드 화합물 또는 유기 폴리설파이드 화합물 등의 리튬을 흡장 및 탈리가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As the cathode active material, for exampl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Mn 2 O 4 , LiCoO 2 , LiNiO 2 , LiFeO 2 and V 2 O 5 ,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is preferable.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those capable of intercalating and deintercalating lithium such as TiS, MoS, an organic disulfide compound or an organic polysulfide compound.

상기 바인더로는 폴리비닐리렌플루오라이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도전재로는 아세틸렌 블랙, 퍼니스 블랙, 흑연, 탄소 섬유, 플러렌 등의 전도성 조재료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binder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carboxymethyl cellulose, methyl cellulose, sodium polyacrylate, and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acetylene black, furnace black, graphite, carbon fiber, and fullerene. .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60)로는 리튬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다층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아미드, 유리 섬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고분자 수지, 충진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세퍼레이터 조성물을 준비한 다음, 상기 세퍼레이터 조성물을 전극 상부에 직접 코팅 및 건조하여 세퍼레이터 필름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 조성물을 지지체 상에 캐스팅 및 건조한 후, 상기 지지체로부터 박리시킨 세퍼레이터 필름을 전극 상부에 라미네이션하여 형성할 수 있다. As the separator 60, any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used i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xamples of the separator 60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a multilayer film thereof, polyvinylidene fluoride, polyamide, glass fiber, . A separator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xing a polymer resin, a filler and a solvent, and then the separator composition is directly coated on the electrode and dried to form a separator film, or after the separator composition is cast on a support and dried, And then laminating the separator film on top of the electrode.

상기 전극조립체(70) 구조로는 권취형, 스택형, 스택 앤 폴딩형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As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70, various examples such as a winding type, a stack type, a stack and a folding type are possible.

여기서 전지 케이스(80)의 종류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도면에는 파우치형을 도시하였다. Here, the type of the battery case 8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cylindrical shape, a square shape, a pouch shape, a coin shape, or the like using a can. The figure shows a pouch type.

상기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면 비수성 용매에 리튬염이 용해된 유기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을 예로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nclude an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or a polymer electrolytic solution in which a lithium salt is dissolved in a non-aqueous solvent.

상기 유기 전해액을 구성하는 비수성 용매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벤조니트릴,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 감마부티로락톤, 디옥솔란, 4-메틸디옥솔란,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토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설포란, 디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니트로벤젠, 디메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 메틸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에틸부틸 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디부틸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등의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 용매 중 두 종류 이상을 혼합한 혼합 용매, 또한 리튬 이차전지용 용매로서 종래부터 알려진 것을 예로 들 수 있고, 특히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틸 카보네이트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에 디메틸 카보네이트, 메틸에틸 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중 하나를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non-aqueous solvent constituting the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include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butylene carbonate, benzonitrile, acetonitrile, tetrahydrofuran, 2-methyltetrahydrofuran, gamma butyrolactone, dioxolane, But are not limited to,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isopropanol, n-butanol, A nonaqueous solvent such as a carbonate, a methylpropyl carbonate, a methyl isopropyl carbonate, an ethylbutyl carbonate, a dipropyl carbonate, a diisopropyl carbonate, a dibutyl carbonate, a diethylene glycol, a dimethyl ether and the like, A mixed solvent, and a solvent conventionally known as a solvent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t is a mixture of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butyl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that comprises one of, one of the methyl 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is preferred.

상기 리튬염으로는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리튬염을 사용할 수 있다.The lithium salt may be LiCl, LiBr, LiI, LiClO 4 , LiBF 4 , LiB 10 Cl 10 , LiPF 6 , LiCF 3 SO 3 , LiCF 3 CO 2 , LiAsF 6 , LiSbF 6 , LiAlCl 4 , CH 3 SO 3 Li, One or more lithium salts selected from CF 3 SO 3 Li, (CF 3 SO 2 ) 2 NLi, chloroborane lithium, lower aliphatic carboxylate lithium and lithium 4-phenylborate can be used.

상기 폴리머 전해액은 상기 유기 전해액과 상기 유기 전해액에 대하여 팽윤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아세토니트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공)중합체가 포함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The polymer electrolytic solution may be prepared by dissolving the (co)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oxide, polypropylene oxide, polyacetonitril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th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and the like having excellent swelling property against the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and the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Included are, for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리튬 이온의 확산 특성이 개선된 음극(10)을 포함함으로써 Li-플레이팅의 문제없이 급속 충전이 가능하므로, 급속 충전이 특히 필요한 차량용 전지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중대형 전지모듈의 구성 전지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이차전지(100)를 단위 전지로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대형 전지모듈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력저장장치 등과 같이 고출력, 대용량이 요구되는 동력원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athode 10 having improved lithium diffusion characteristics, it can be rapidly charged without the problem of Li-plating, and thus can be used for a vehicle battery in which rapid charging is particularly required , And thus can be preferably used as a constituent battery of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provide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secondary battery 100 as a unit battery. Such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can be suitably applied to a power source requiring a high output and a large capacity, such as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nd a power storage device.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험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기존에 이용하던 방법 그대로, 스프링 백을 고려하여 130% 압력을 가하여 1회 압연하고 진공 하에서 가열 처리(VD)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목표 전극 두께가 151 ㎛이었다. As a conventional method, a 130% pressure wa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spring back, and then rolled once and subjected to heat treatment (VD) under vacuum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The target electrode thickness was 151 mu m.

실시예Example

스프링 백을 고려하지 않고 100% 압력을 가해 2회 압연하고 진공 하에서 가열 처리(VD)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목표 전극 두께가 151 ㎛이었다.Without considering springback, 100% pressure was applied, rolled twice, and heat treated (VD) under vacuum to produce a negative electrode. The target electrode thickness was 151 mu m.

표 1은 1회 압연을 실시한 비교예와 2회 압연을 실시한 본 발명 실시예 음극의 압연 차수에 따른 두께 및 기공도 비교 결과이다.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the thickness and porosity according to the rolling order of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comparative example subjected to the single rolling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bjected to the double rolling.

< 표 1><Table 1>

Figure 112015077816852-pat00001
Figure 112015077816852-pat00001

실험 결과, 압연 후 VD 이전의 전극 두께는 1회 압연을 하는 기존과 유사 수준이나 VD 이후에는 스프링 백에 의해 5㎛ 정도 차이가 있었다. 이는 무시할 만한 수준이다.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before VD was similar to that of conventional rolling after VD, but after VD it was about 5 ㎛ difference by springback. This is negligible.

기공도는 비교예가 32%, 본 발명 실시예가 30.5%로 나타났다. The porosity was 32% for the comparative example and 30.5% for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음극의 단면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4 is an SEM photograph of a section of a cathod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SEM 사진에서 기공 직경을 이미지화한 것이 도 5이다. 도 5를 보면 흰색 동그라미는 탄소계 입자들 사이의 입계에 있는 큰 기공들임을 알 수 있다. 탄소계 입자 내부를 보면 붉은색과 초록색으로 1㎛ 이하 직경의 미세 기공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5 shows an image of the pore diameter in this SEM photograph.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white circles are large pores at the grain boundaries between the carbon-based particles. In the inside of the carbon-based particles, it can be seen that fine pores having diameters of 1 μm or less are uniformly distributed in red and green.

이러한 이미지로부터 기공 직경별 개수를 카운트하여 도 6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비교예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기공 직경별 개수를 카운트하여 도 6에 함께 도시하였다. From this image, the number of pore diameters is counted to obtain the graph of FIG.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number of pore diameters is also counted in the same manner and shown together in Fig.

이상과 같은 전극 이미지 분석 결과, 실시예의 경우 전체 기공도는 30.5%로 비교예에 비하여 기공도는 낮지만 1㎛ 이하의 미세 기공의 수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the electrode image analysis as described above, it was found that the porosity of the example was 30.5%, which is low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but the number of micropores of 1 μm or les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도 7은 비교예와 본 발명 실시예 음극의 기공 직경에 따른 면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area of the cathod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and Inventive Example cathode according to the pore diameter. FIG.

도 6에서 그래프의 x축인 기공 직경을 이용하여 기공의 면적을 계산하면 ((D/2)^2*3.14), 기공 직경이 작은 비교예의 1㎛ 이하 기공의 면적은 작아지게 되며, 실시예는 반대로 커진다. ((D / 2) ^ 2 * 3.14) by using the pore diameter, which is the x-axis of the graph in FIG. 6, the area of pores of 1 μm or less in the comparative example having a small pore diameter becomes small, On the contrary.

표 2는 도 6 및 도 7 분석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Table 2 summarizes the analysis results of FIG. 6 and FIG.

< 표 2><Table 2>

Figure 112015077816852-pat00002
Figure 112015077816852-pat00002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기공도는 조금 작지만 1㎛ 이하의 기공면적은 1.9배 정도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 기공 면적 중 1㎛ 이하 기공이 차지하는 면적이 비교예에 비하여 크다. 1㎛ 이하의 미세 기공은 리튬 이온의 확산에 도움이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이 리튬 이온 확산이 원활하여 인터칼레이션이 균일하게 일어나며 따라서 Li-플레이팅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sity is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but the pore area of 1 μm or less is about 1.9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area occupied by pores of 1 mu m or less in the total pore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Since micropores having a size of 1 탆 or less contribute to the diffusion of lithium ions, the lithium ion diffu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mooth and intercalation occurs uniformly, and thus Li-plating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비교예와 본 발명 실시예의 음극을 포함하도록 각각의 삼전극 파우치셀을 제작하여, 1.6C 정도로 높은 C-rate에서 충전하면서 음극의 확산 저항 및 급속 충전 특성을 확인하였다. Each of the three electrode pouch cells was fabricated to include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and the diffusion resistance and rapid charging property of the negative electrode were confirmed while charging at a C-rate as high as 1.6C.

도 8은 비교예와 본 발명 실시예 음극을 포함하는 삼전극셀에 대한 이러한 전기 화학 실험 결과이다. 도 8에서 속이 빈 네모는 OCV이고, 속이 빈 동그라미와 엑스표는 각 삼 전극셀의 계면저항에 따른 전압 강하(voltage drop)이며, 굵은 실선은 비교예 삼전극셀 충전시 음극의 전압 프로파일이고, 점선은 실시예 삼전극셀 충전시 음극의 전압 프로파일이다.FIG. 8 is a result of such electrochemical experiment for a triode electrode cell including a cathode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the hollow square is OCV, the hollow circles and the X-axis are voltage drops due to the interfacial resistance of each three-electrode cell, the thick solid line is the voltage profile of the negative electrode when the comparative three- The dotted line is the voltage profile of the negative electrode when charging the three electrode cell of the embodiment.

일반적으로 충전시에는 Li이 음극 활물질 내에 인터칼레이션됨에 따라 스테이지(stage)가 낮아지면서 음극 전위가 떨어지게 된다. 이 때 충전전류 밀도를 높이면 스테이지는 잘 관찰되지 않지만, Li의 인터칼레이션과 저항 증가로 인하여 음극 전위가 연속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도 8의 결과에서도, 높은 충전전류에서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음극 전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enerally, at the time of charging, as the Li is intercalat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stage is lowered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tential is lowered. At this time, if the charge current density is increased, the stage is not observed well, but the negative potential continuously falls due to the intercalation of Li and the increase of resistance. 8, it is confirmed that the cathode potential drops as the charging progresses at a high charging current.

그런데 충전시 음극 활물질내로 Li이 인터칼레이션되는 반응과 Li-플레이팅이 생성되는 반응은 경쟁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이다. 충전시 Li-플레이팅이 생성될 경우에는 음극 활물질 내로 Li이 인터칼레이션되지 못하여 그 지점 이후에는 음극 전위가 떨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거듭된 실험을 통하여 알아내었다. 즉, 충전시 음극 전위가 떨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되기 시작하는 지점을 Li-플레이팅의 발생 지점으로 판단하기로 하였다. However, the reaction in which Li is intercalated into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during charging and the reaction in which Li-plating is generated are competitive reaction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that Li is not intercalated into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hen Li-plating is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tential remains constant after the point. That is, a point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potential does not fall and becomes constant when charging is determined as the point of occurrence of Li-plating.

도 8을 참조하면,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서 실시예의 기공도는 낮지만 확산 저항이 작아 과전압(overpotential)이 작게 걸리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음극의 Li-플레이팅이 일어나는 지점이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보다 6% 가량 더 높은 SOC에서 확인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는 동일한 충전전류 밀도로 적은 SOC 만큼 충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동일한 충전전류 밀도로 더 높은 SOC까지 Li-플레이팅없이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을 충전해야 하는 급속 충전 관점에서 본 발명 실시예가 더욱 효과적이다.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as the filling progresses, the porosity of the embodiment is low, but the diffusion resistance is small and the overpotential is small. It can be seen that the point where Li-plating of the cathode occurs is confirmed at SOC which is 6% higher than the comparative exampl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mparative example can charge by a small amount of SOC at the same charge current density,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ame charge current density can be charged up to a higher SOC without Li-pla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rapid charging that must be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음극
20 : 음극 집전체
30 : 음극 활물질층
40 : 탄소계 입자
L : 큰 기공
P : 미세 기공
50 : 양극
60 : 세퍼레이터
70 : 전극조립체
80 : 전지 케이스
100 : 이차전지
10: cathode
20: cathode collector
30: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40: carbon-based particles
L: Large pore
P: fine pore
50: anode
60: Separator
70: electrode assembly
80: Battery case
100: secondary battery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음극 집전체에 탄소계 입자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상기 음극 집전체를 적어도 2회 압연하는 단계; 및
압연된 상기 음극 집전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연하는 단계는 상기 음극 집전체 건조 이후의 스프링 백(spring back)을 고려하지 않은 압력으로 실시하고,
상기 적어도 2회 압연의 각 압력은 동일하며,
상기 적어도 2회 압연은 상기 탄소계 입자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탄소계 입자 내부에 직경이 1㎛ 이하인 미세 기공을 생성 및/또는 재배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제조 방법.
Form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ntaining carbon-based particles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Rolling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av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t least twice; And
And drying the rolled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Wherein the rolling is performed at a pressure not considering spring back after the drying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The respective pressures of the at least two times of rolling are the same,
Wherein the at least twice rolling is to form and / or relocate fine pores having a diameter of 1 m or less in the carbon-based particles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arbon-based particl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하는 단계 전에 상기 음극 집전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rying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before the rolling step.
제4항 기재의 방법으로 음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전극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수납하는 단계; 및
전해액을 상기 전지 케이스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Producing a negative electrode by the method of claim 4;
Forming an electrode assembly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Stor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a battery case; And
And injecting an electrolyte into the battery case.
KR1020150113328A 2015-08-11 2015-08-11 Negative electrode for fast charging,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s thereof Active KR1019779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28A KR101977973B1 (en) 2015-08-11 2015-08-11 Negative electrode for fast charging,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28A KR101977973B1 (en) 2015-08-11 2015-08-11 Negative electrode for fast charging,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213A KR20170019213A (en) 2017-02-21
KR101977973B1 true KR101977973B1 (en) 2019-05-13

Family

ID=5831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328A Active KR101977973B1 (en) 2015-08-11 2015-08-11 Negative electrode for fast charging,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9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748B1 (en) 2017-11-02 2021-05-14 한국전기연구원 Anode of Li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Rapid Charging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WO2020106106A1 (en) 2018-11-22 2020-05-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anode, and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rapid charging performance, having anode according thereto
CN111868972B (en) * 2018-11-22 2024-02-27 Sk新能源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rapid charging performan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9358A (en) * 2012-05-16 2013-11-28 Hitachi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od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0113B2 (en) * 2012-03-30 2016-04-06 ソニー株式会社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electric vehicle,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ystem
KR101927294B1 (en) * 2013-12-18 2018-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Anode active material of high densit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9358A (en) * 2012-05-16 2013-11-28 Hitachi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od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213A (en)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54763B1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560471B1 (en)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EP3503267B1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US10326136B2 (en) Porous carbonized composite material for high-performing silicon anodes
US10644346B2 (en)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KR101229570B1 (en)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capaci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80255B1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5611453B2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negative electrode
KR101211327B1 (en) An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11602274A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2040477B2 (en) 3-D composite anodes for Li-ion batteries with high capacity and fast charging capability
CN113994512A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3614949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US12080889B2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225882B1 (en) Anode for secondary battery
KR102206590B1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positive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40108380A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ilicon-metal alloy-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KR101977973B1 (en) Negative electrode for fast charging,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s thereof
KR20210024975A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46362A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KR2023007081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1008011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7613777B2 (en) Method for activating secondary batteries
KR20130125919A (en)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102476648B1 (en) Cath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8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