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252B1 - Easel - Google Patents
Ea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8252B1 KR101978252B1 KR1020180142717A KR20180142717A KR101978252B1 KR 101978252 B1 KR101978252 B1 KR 101978252B1 KR 1020180142717 A KR1020180142717 A KR 1020180142717A KR 20180142717 A KR20180142717 A KR 20180142717A KR 101978252 B1 KR101978252 B1 KR 1019782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vertical
- unit
- locking
- relea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47B97/08—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fold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성은 하기와 같다.
수직지주;
상기 수직지주를 둘러싼 세개의 단위지주(100);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100)를 상부에서 연결하는 몸체부;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100)를 하부에서 연결하는 링크부재;
상기 수직지주와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은 상기 수직지주의 상하부를 이동하는 제3잠금및해제부와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단위지주(100)와 연결하되 단위지주(100)의 상하부를 이동하여 고정하는 하부지지대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직지주를 중심으로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100)와 경사각도만큼 회전할수 있도록 연결구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는 제2잠금및해제부를 구성하여 상부지지대와 연결된 수직지주승강봉을 상하부로 이동하고 고정시키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에 관한 것이다.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Vertical holding;
Three unit struts (100) surrounding the vertical strut;
A body portion connecting the vertical struts and the three unit struts 100 from above;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vertical struts and the three unit struts 100 from below;
One end of the link member connected to the vertical post is connected to a third lock and unlock portion moving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post,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which is connected to the unit struts 100 and moves and fixes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unit struts 100,
The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hree unit pillars 100 so as to be rotated by an angle of inclination about the vertical pillars,
And an upper part of the body part constitutes a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art to move vertically and vertically to fix the vertical supporting rope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ing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판을 받쳐 지지해주는 이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sel for supporting a drawing board.
종래 발명에 따른 이젤(1)은,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지지구(2)의 중앙을 수직하게 연통하여 상하로 높이 조절되는 승강봉(8)과; 상기 승강봉(8)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화판(50) 또는 합판(51)의 상단을 고정하는 화판고정클립(10)과;As shown in FIG. 11, the easel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상기 중앙지지구(2)의 내측에는 가압편을 매설하고 배면에는 상기 중앙지지구 (2)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높낮이 조절되는 승강봉(8)을 고정할 수 있는 승하강봉록킹장치를 형성한 것과; 상기 중앙지지구(2)의 하단 정면과 배면에는 자유롭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절첩·전개가 가능토록 결합 된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 (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을 각각 형성한 것과; (2), and a back side elevating rod locking device (4)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back side of the elevating bar (2) to fix a height-elevating bar (8) vertically to the center of the center frame (2) A pair of front pedestal legs 20-1 and 20-2 and a rear support pedestal 20-3 can be freely elevated and lowered and can be folded and unfol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paper- Respectively;
상기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의 전방으로 화판(50) 또는 합판(51)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화판받침클립뭉치(30)를 각각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도시하였다.A bulb
중앙지지구(2)의 중앙에 수직으로 통공된 수직유통공(3)에는 상측에 화판고정클립(10)을 일체형으로 장착한 승강봉(8)을 삽설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고, 상기 중앙지지구(2)의 하단 양측과 후면 중앙에는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를 축으로 설치하여 절첩·전개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는 제1단봉(21-1)(22-1)(23-1)에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과 제4단봉(21-4)(22-4)(23-4)를 순차적으로 장전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각 제1단봉(21-1)(22-1)(23-1)과 제2단봉(21-2)(22-2)(23-2) 및 제3단봉(21-3)(22-3)(23-3)의 각 하단 외주면에는 제1고정클립(24-1)과 제2고정클립(24-2) 및 제3고정클립(24-3)을 일체형으로 장착하였고, 상기 제4단봉(21-4)(22-4)(23-4)의 하단에는 구 관절로 형성된 접지대(9)를 장착하였다.A vertical barrel 3 vertically penetra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entral region 2 is provided with a
특히 상기 구관절 형태로 구성된 접지대(9)는 평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구관절을 조절하여 한 쌍의 전방받침대다리(20-1)(20-2)와 후방지지대다리(20-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Particularly, the
첫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하기에 간편하고 화판의 임의의 크기에도 적절하게 거치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easy to move and can be mounted properly at any size of the picture board.
두번째 과제로는 화판의 크기에 따라 범용성에 적절하게 크기를 조절하면서 크기 조정에 따른 고정과 해제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task is to solve the problem of adjusting the size appropriately to the versatil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rawing board, and fixing and releasing according to the size adjustment easily and firmly.
세번째 과제로는 바람의 정도에 따라 또는 미는 힘에 따라 화판이 넘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The third task is to solve the problem of making the drawing board strong so as not to fall down according to the degree of wind or pushing force.
네번째 과제로는 잠금및해제부를 통하여 화판을 고정시키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A fourth problem is to solve the problem of fixing the picture plate through the lock and unlock par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ollowing structure is provided.
수직지주;Vertical holding;
상기 수직지주를 둘러싼 세개의 단위지주(100);Three unit struts (100) surrounding the vertical strut;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100)를 상부에서 연결하는 몸체부;A body portion connecting the vertical struts and the three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100)를 하부에서 연결하는 링크부재;A link member connecting the vertical struts and the three
상기 수직지주와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은 상기 수직지주의 상하부를 이동하는 제3잠금및해제부와 연결되고,One end of the link member connected to the vertical post is connected to a third lock and unlock portion moving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post,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단위지주(100)와 연결하되 단위지주(100)의 상하부를 이동하여 고정하는 고정클립과 연결되며,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is connected to a fixing clip that is connected to the
상기 고정클립의 상부에는 하부지지대를 구성하여 화판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며,And a lower suppor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clip to support the drawing plate,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직지주를 중심으로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100)와 경사각도만큼 회전할수 있도록 연결구성하고, The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hree
상기 몸체부의 상부는 제2잠금및해제부를 구성하여 상부지지대와 연결된 수직지주승강봉을 상하부로 이동하고 고정시키는 이젤을 구성한다.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constitutes a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art to constitute an easel which moves and fixes the vertical supporting rod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ing rods up and down.
여기서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손잡이부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handl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body.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수평수준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horizontal level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여기서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부지지스톱퍼와 제1잠금및해제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upper support includes an upper support stopper and a first lock and release unit.
여기서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의 머리부는 캠형태의 구성을 가지되 일면은 해제부와 또 다른 면은 고정부를 갖도록 구성하며, Wherein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and unlocking portion has a cam-shaped configuration, one surface has a release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has a fixing portion,
작동레버의 일단에 구성된 상부지지스톱퍼와 상기 작동레버의 타단에 구성한 탄성수단지지부;An upper support stopper formed at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and an elastic means suppo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상기 탄성수단지지부를 관통하여 지지하되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부착구성하는 작동레버이동간;An actuating lever moving part which is supported through the elastic supporting part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supporting rod vertically;
상기 작동레버이동간과 상기 탄성수단지지부사이에 구성한 탄성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상부지지스톱퍼를 전방으로 밀어내려고 할때에는 상기 탄성수단을 억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착하여 고정부에 의해 상기 탄성수단의 힘을 억제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when the upper support stopper is pushed forward,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for suppressing the elastic means so that the first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mov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So as to suppress the force of the elastic means by the fix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는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상단에 힌지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작동레버를 잠금과 해제를 할 수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작동레버의 중앙부에는 상기 수직지주승강봉과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사이를 이동하도록 장방향의 홀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ck and unlock portions are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support lifting rods so as to be able to lock and unlock the operation levers and the vertical support lifting rods and the first locks And a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moving the releasing element.
여기서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는 암나사캡으로 구성하되,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주위에 제1고정편을 배치하며,상기 제2잠금및해제부를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성된 숫나사부에 잠글수록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에 상기 제1고정편이 밀착하도록 구성하여 고정하는 역활을 하고,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를 개방할수록 상기 제1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으로부터 이격되어 잠금이 해제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formed by a female screw cap, a first fixing piece is disposed around the vertical holding and lifting rod, and as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locked to the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ixing member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fixing memb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isting bar and fixed so that the first fix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hoisting bar as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unit is opened .
여기서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는 볼트잠금및해제부로 구성하되,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주위에 제2고정편을 배치하며,상기 볼트잠금및해제부를 삽입하면 할수록 상기 제2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에 밀착하도록 구성하여 수직지주승강봉이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활을 하고 상기 볼트잠금및해제부를 개방할수록 상기 제2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으로부터 이격되어 잠금이해제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comprises a bolt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wherein a second fixing piece is disposed around the vertical holding and elevating rod, and as the bolt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inserted, So that the vertical holding vertically-moving rod is fixed so as not to move by an external force, and as the bolt locking / unlocking portion is opened, the second securing piece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holding wick Do.
여기서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을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를 해제하고 난 후에 상기 몸체부에 승하강레버손잡이부를 구성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일면에 래크를 구성하고 손잡이부의 일단에 피니언기어를 구성하여 손잡이부를 회전하면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일면에 구성된 래크가 이동함으로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이 이동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releasing the second lock and unlock part to move the vertical support hoist rods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hoisting and lowering lever handle part is formed on the body part so as to rotate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pinion gear is constituted at one end of the grip portion. When the grip portion is rotated, the vertical holding vertically moving rod is moved as the rack configured on one surface of the vertical holding vertically moving rod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여기서 상기 승하강레버손잡이부는 힌지핀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부쪽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evating lever handle portion is constituted by a hinge pin so that it can be folded inward when not in use.
여기서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는 암나사캡으로 구성되고 시계방향으로 잠그면 수직지주 주위에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해제하면 상기 수직지주 주위에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에 이격되어 잠금을 해제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formed of a female screw cap and when the first locking portion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are locked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fixing piece is tightly fixed to the vertical support around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third locking and unlocking stationary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support to release the lock.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고정클립과 핀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여유부를 두어 상기 링크부재를 접을 때에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장방향으로 단위지주(100)접착부를 구성하여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단위지주(100)의 원기둥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clip so as to be rotated, and a clearance portion is provided so as not to be disturbed when the link member is fol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member is naturally adhered to the cylinder of the
여기서 상기 수직지주의 하단에 걸고리구성을 두어 바람이 불어도 넘어지지 않도록 붙잡아 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hooking structur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so as to hold it so as not to fall even when the wind is blown.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기 단위지주(100)를 승하강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해제하고 고정할 수있도록 제4잠금및해제부를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하부지지스톱퍼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ower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sliding portion for moving up and down the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스톱퍼는 경사지지대부를 상기 단위지주(100)가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양옆으로 이격됨에 따라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화판을 지지하여 사용시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면이 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스톱퍼의 하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하기 위하여 사각형상의 기둥을 구성하고 중앙에 상기 제4잠금및해제부의 볼트부가 삽입되도록 원형의 홀을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내부를 사각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lower support stopp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is inclined as the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제4잠금및해제부의 너트와 결합시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육각나사홈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liding portion may be a hexagonal thread groove portion for facilitating engagement with the nut of the fourth lock and unlock portion.
여기서 상기 단위지주(100)는 중공형상으로 구성하여 내부에는 직경이 차이가 나는 여러단계의 단위지주(100)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에 구성된 단위지주(100)의 일단에 접지부를 구성하되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됨으로 지면이 평면일 경우 접지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접지부가 바닥에 대하여 수평으로 밀착하도록 구관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첫번째 효과로는 이동하기에 간편하고 화판의 임의의 크기에도 적절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first effect is that it is easy to move and it can be mounted at any size of the picture plate.
두번째 효과로는 화판의 크기에 따라 범용성에 적절하게 크기를 조절하면서 크기 조정에 따른 고정과 해제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second effect is to adjust the size appropriately to the versatil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icture plate, and to fix and release according to the size adjustment easily and firmly.
세번째 효과로는 바람의 정도에 따라 또는 미는 힘에 따라 화판이 넘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third effect is that it stiffens the drawing board according to the degree of wind or pushing force.
네번째 효과로는 잠금및해제부를 통하여 화판을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fourth effect is to fix the picture plate through the lock and unlock part.
제1a도는 이젤의 전체사시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1b도는 제1a도의 상부를 상세히 보이는 도이다.
제2a도는 상부지지대가 몸체부분가 밀접하게 구성되어있는 것을 보이는 상세도이다.
제2b도는 제1잠금및해제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2c도는 스프링을 압착하여 상부지지스톱퍼를 전진시킨 것으로 보이는 도이다.
제3a도는 몸체와 수직지주에 부착구성되어있는 손잡이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손잡이부를 구체적으로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수직지주승강봉의 일면에 래크와 제2잠금및해제부를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제2잠금및해제부의 내부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제2잠금및해제부의 두번째 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6a도는 수직부재승하강레버를 보이는 도이다.
제6b도는 수직부재승하강레버를 힌지핀을 중심으로 작동위치로 회전시킨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a도는 제3잠금및해제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7b도는 제3잠금및해제부를 해제한 후에 접는 동작을 보이는 도이다.
제8a도는 링크부재를 상세히 보이는 도이다.
제8b도는 링크부재와 단위부재와의 결합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9a도 내지 제9g도는 하부지지대를 보이는 도이다.
제10도는 접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11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Figure 1a shows an entire perspective view of the easel.
Figure 1b is a detail view of the upper part of Figure 1a.
FIG. 2a is a detail view showing that the upper support is tight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b is a view showing the first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Fig. 2c is a view in which the spring is compressed to advance the upper support stopper.
Figure 3a is a view of the handle and the body attached to the vertical support.
3b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handle.
FIG. 4A is a view showing a rack and a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vertical holding lifting rod; FIG.
4b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FIG. 5 illustrates a second embodiment of a second locking and unlocking portion.
FIG. 6A is a view showing the vertical member ascending / descending lever.
6B is a view showing that the vertical member elevating lever is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around the hinge pin.
Figure 7a is a view of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FIG. 7B is a view showing a folding operation after releasing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FIG.
Figure 8a is a detail view of the link member.
FIG. 8B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the link member and the unit member. FIG.
Figures 9a-9g show lower support.
FIG. 10 is a view showing a ground portion. FIG.
FIG. 1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echnique. FIG.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following structure is set.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a 도 내지 도2c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2C.
수직지주(300)Vertical Holder (300)
상기 수직지주(300)를 둘러싼 세개의 단위지주(100)를 구성한다. 단위지주는 중공형상으로 구성하고 여기에 외경이 단위지주보다 작게 구성된 여러단계의 지주를 삽입하여 필요에 따라 고정클립을 사용하여 크기를 조절한다.And constitute three
상기 수직지주(300)와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100)를 상부에서 연결하는 몸체부(600)를 구성하고,And a
상기 수직지주(300)와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100)를 하부에서 연결하는 링크부재(200)를 구성하여 이동시에 부피가 극소화되고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이젤을 제공하는 것이다.And a
상기 수직지주(300)와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200)의 일단은 상기 수직지주(300)의 상하부를 이동하는 제3잠금및해제부(340)와 연결되고,One end of the
상기 링크부재(200)의 타단은 상기 단위지주(100)와 연결하되 단위지주(100)의 상하부를 이동하여 고정하는 고정클립(210)과 연결되며,The other end of the
상기 고정클립(210)의 상부에는 하부지지대(800)를 구성하여 화판을 지지하도록 구성한다.A
상기 몸체부(600)는 상기 수직지주(300)를 중심으로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100)와 경사각도만큼 회전할수 있도록 연결구성한다. 하부에서 연결되는 링크부재(200)의 길이만큼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회전이동할 수 있는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면 족한 것이다.30도 전후가 합당한 구성이라고 할 수있다. The
상기 몸체부(600)의 상부는 제2잠금및해제부(640)를 구성하여 상부지지대(500)와 연결된 수직지주승강봉(350)을 상하부로 이동하고 고정시키는 이젤을 구성한다.The upper part of the
여기서 상기 몸체부(600)의 상부에는 수평수준기(65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여기서 상기 상부지지대(500)는 상부지지스톱퍼(520)와 제1잠금및해제부(54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540)의 머리부는 캠형태의 구성을 가지되 일면은 해제부(542)와 또 다른 면은 고정부(544,546)를 갖도록 구성한다.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and releasing
본 발명에서는 마치 어류의 입의 구성으로 구성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th of the fish is constituted.
핀을 중심으로 제1잠금및해제부(540)를 상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과 해제를 반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And the first locking and releasing
작동레버(525)의 일단에 구성된 상부지지스톱퍼(520)는 화판을 상부지지대에서 고정하고자 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다.The
상기 작동레버(525)의 타단에 구성한 탄성수단지지부(510)를 구성하고,An elastic means
상기 탄성수단지지부(510)를 관통하여 지지하되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의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부착구성하는 작동레버이동간(530)을 통하여 탄성수단을 구성하고 상부지지스톱퍼(520)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판이 이젤에 견고하게 접촉되도록 구성한다.Elastic means is formed through an operating
상기 작동레버이동간(530)과 상기 탄성수단지지부(510)사이에 구성한 탄성수단(550)을 구성하여, 상기 상부지지스톱퍼(520)를 전방으로 밀어내려고 할때에는 상기 탄성수단(550)을 억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540)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착하여 고정부(544,546)에 의해 상기 탄성수단(550)의 힘을 억제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means 550 constituted between the operating
도2c는 상부지지스톱퍼(520)를 가장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1잠금및해제부(540)를 고정시킨 것을 보이는 도이다.2C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locking and releasing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540)는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의 상단에 힌지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작동레버(525)를 잠금과 해제를 할 수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작동레버(525)의 중앙부에는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과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540)사이를 이동하도록 장방향 홀(545)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locking and releasing
도3a 및 도3b는 야외에서 이동하기에 간편하도록 몸체부에 손잡이부의 일면이 부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직지주(300)와 상기 몸체부(600) 사이에 손잡이부(400)를 더 구성한다. 손잡이결합부(410)는 수직지주에서 고정할 수있다.3A and 3B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of the handle is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to facilitate movement in the outdoors and a
도4a 내지 도4b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4A to 4B.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640)는 암나사캡으로 구성하되,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의 주위에 제1고정편(670)을 배치하며,상기 제2잠금및해제부(640)를 상기 몸체부(600)의 상부에 구성된 숫나사부에 잠글수록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에 상기 제1고정편(670)이 밀착하도록 구성하여 고정하는 역활을 하고,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640)를 개방할수록 상기 제1고정편(670)이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으로부터 이격되어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도5에 의하여 제2잠금및해제부의 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하기와 같이 구성한다.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640)는 볼트잠금및해제부(680)로 구성하되,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의 주위에 제2고정편(682)을 배치하며,상기 볼트잠금및해제부(680)를 삽입하면 할수록 상기 제2고정편(682)이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에 밀착하도록 구성하여 수직지주승강봉(350)이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활을 하고 상기 볼트잠금및해제부(680)를 개방할수록 상기 제2고정편(682)이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으로부터 이격되어 잠금이해제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도6a 내지 도6b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6A to 6B.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을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640)를 해제하고 난 후에 상기 몸체부(600)에 승하강레버손잡이부(662)를 구성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의 일면에 래크(352)를 구성하고 손잡이부의 일단에 피니언기어(미도시)를 구성하여 승하강레버손잡이부(662)를 회전하면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의 일면에 구성된 래크(352)가 이동함으로 상기 수직지주승강봉(350)이 이동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After lifting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여기서 상기 승하강레버손잡이부(662)는 힌지핀(664)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부쪽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 / down
힌지핀(664)은 승하강레버손잡이부(662)의 일단인 힌지핀결합부(668)와 힌지결합한다.승하강레버손잡이부(662)와 힌지핀결합부(668)사이에는 여유의 길이를 구성한 수직부재승하강레버(660)을 구성한다.The
도7a 및 도7b도는 하기와 같다.7A and 7B are as follows.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340)는 암나사캡으로 구성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수직지주(300) 주위에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370)이 상기 수직지주(300)에 밀착되어 고정되어 단위지주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갖는다.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반시계방향으로 해제하면 상기 수직지주(300) 주위에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370)이 상기 수직지주(300)에 이격되어 잠금을 해제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다. 이렇게 하여 고정 또는 해제를 통하여 이젤을 고정하거나 타이트하게 접어서 견고하게 하거나 이젤을 이동하기에 편리하게 한다.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340)는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370)과 함께 상기 수직지주(300)를 상하로 이동 및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And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도8a와 도8b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8A and 8B are as follows.
상기 링크부재(200)의 타단은 상기 고정클립(210)과 핀결합되어 하여 이제을 접고 펴는 동안 링크부재가 단위부재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여유부(216)를 두어 상기 링크부재(200)를 접을 때에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링크부재(200)의 장방향으로 단위지주접착부(212)를 구성하여 상기 링크부재(200)가 상기 단위지주(100)의 원기둥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지주(100)에 각각 구성된 상기 고정클립(210)의 볼록부분과 힌지핀(214)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클립(210)의 볼록부분이 힌지핀(214) 결합시에 상기 링크부재(200)의 타단은 ㄷ자형 날개부를 가지고 날개부 사이에 상기 고정클립의 볼록부분을 배치구성하여 힌지핀(214)결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ㄷ자형 날개부와 상기 고정클립(210)의 볼록부분 사이에 상기 여유부(216)를 구성하도록 구성한다.The other end of the
And the
When the convex portion of the fixing
이렇게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고 이동할 때에는 부피가 작아져서 매우유리한 구성을 갖는다.In this configuration, the volume is small when it is used without being used, which is very advantageous.
여기서 상기 수직지주(300)의 하단에 걸고리부(390)구성을 두어 바람이 불어도 넘어지지 않도록 붙잡아 매도록 구성한다.Here, a hooking
도9a 내지 도9g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9A to 9G.
상기 하부지지대(800)는 상기 단위지주(100)상하부를 승하강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810)와 상기 슬라이딩부(810)를 해제하고 고정할 수있도록 제4잠금및해제부(830)를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810)에 하부지지스톱퍼(8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상기 하부지지스톱퍼(820)는 경사지지대부를 상기 단위지주(100) 각각이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양옆으로 이격됨에 따라 단위지주가 경사지게 구성되므로 하부스톱퍼를 경사지도록 구성한다.도면9g에 의하면 경사지지대부(822)가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도시되어있다.The
이렇게 구성하면 화판을 지지하여 사용시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면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drawing board is supported and used, it is inclined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이렇게 구성하면 화판을 하부에서 지지할 때에 하부면이 일직선의 형태를 띠는 화판을 지지하는 면이 넓어져서 이젤의 상부에 얹혀진 화판이 안정되도록 안착한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rawing plate is supported at the bottom, the surface supporting the drawing plate having a straight line shape is widened so that the drawing plate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ing is stably fixed.
상기 하부지지스톱퍼(820)의 하부는 상기 슬라이딩부(810)와 연결하기 위하여 사각형상의 기둥을 구성하고 중앙에 상기 제4잠금및해제부(830)의 볼트부가 삽입되도록 원형의 홀을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810)의 내부를 사각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part of the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810)는 제4잠금및해제부(830)의 너트부(834)와 결합시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육각나사홈부(814)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liding
하부지지스톱퍼(820)는 경사지지대부(822)와 하부에 사각부(828)와 사각부를 관통하는 결합홀(829)이 구성되어있다.The
이에 대응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810)는 사각결합홈부(818)이 구성되고 제4잠금및해제부(830)에 구성되어있는 볼트부(832)는 슬라이딩부의 양단의 홀을 가로질러 결합 구성되어있다.The sliding
도1 및 도10에 의하면 하기와 같이 구성되어있다.1 and 10, it is constructed as follows.
여기서 상기 단위지주(100)는 중공형상으로 구성하여 내부에는 직경이 차이가 나는 여러단계의 단위지주(100)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에 구성된 단위지주(100)의 일단에 접지부를 구성하되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됨으로 지면이 평면일 경우 접지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접지부(700)가 바닥에 대하여 수평으로 밀착하도록 구관절(111)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nit struts 100 are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the unit struts 100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inserted into the unit struts 10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unit struts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0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body so that th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100:단위지주 111:구관절 200:링크부재 210:고정클립
212:단위지주접착부 214:힌지핀 216:여유부
300:수직지주 340:제3잠금및해제부 350:수직지주승강봉 352:래크 370: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 390:걸고리부
400:손잡이부 410:손잡이결합부
500:상부지지대 510:탄성수단지지부 518:홈부
520:상부지지스톱퍼 525:작동레버 530:작동레버이동간
540:제1잠금및해제부 542:해제부 544,546:고정부 545:장방향 홀
550:탄성수단 600:몸체부 640:제2잠금및해제부 642:나사결합부
650:수평수준기 660:수직부재승하강레버 662:승하강레버손잡이부
664:힌지핀 668:힌지핀결합부 670:제1고정편 680:볼트잠금및해제부
682:제2고정편
700:접지부 800:하부지지대 810:슬라이딩부 812:홈부
814:육각나사홈부 818:사각결합홈부 820:하부지지스톱퍼
822:경사지지대부 828:사각부 829:결합홀 830:제4잠금및해제부 832:볼트부 834:너트부100: unit support 111: spherical joint 200: link member 210: retaining clip
212: unit holding and bonding part 214: hinge pin 216:
300: vertical support 340: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art 350: vertical holding widening rod 352: rack 370: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art fixing piece 390:
400: handle portion 410: handle engagement portion
500: upper support 510: elastic means support 518:
520: Upper support stopper 525: Operation lever 530: Operation lever
540: first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542: releasing
550: elastic means 600: body portion 640: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642:
650: horizontal leveling instrument 660: vertical member ascending / descending lever 662: ascending / descending lever handle
664: hinge pin 668: hinge pin connecting portion 670: first fixing piece 680: bolt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682: second fixing piece
700: ground portion 800: lower support 810: sliding portion 812:
814: hexagonal screw groove portion 818: square engaging groove portion 820: lower support stopper
822: inclined support portion 828: square portion 829: engagement hole 830: fourth lock and unlock portion 832: bolt portion 834:
Claims (17)
상기 수직지주를 둘러싼 세개의 단위지주;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를 상부에서 연결하는 몸체부;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구성한 손잡이부;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를 하부에서 연결하는 링크부재;
상기 수직지주와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은 상기 수직지주의 상하부를 이동하는 제3잠금및해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는 암나사캡으로 구성되고 시계방향으로 잠그면 수직지주 주위에 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해제하면 상기 수직지주 주위에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에 이격되어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는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과 함께 상기 수직지주를 상하로 이동 및 고정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직지주의 하단에 걸고리구성을 두어 바람이 불어도 넘어지지 않도록 붙잡아 매도록 구성하고,
상기 단위지주는 중공형상으로 구성하여 내부에는 직경이 차이가 나는 여러단계의 상기 단위지주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에 구성된 단위지주의 일단에 접지부를 구성하되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됨으로 지면이 평면일 경우 접지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접지부가 바닥에 대하여 수평으로 밀착하도록 구관절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단위지주와 연결하되 상기 단위지주의 상하부를 이동하여 고정하는 고정클립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클립의 상부에는 하부지지대를 구성하여 화판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기 단위지주의 상하부를 승하강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해제하고 고정할 수있도록 구성하는 제4잠금및해제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하부지지스톱퍼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4잠금및해제부의 너트와 결합시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육각나사홈부를 구성하며,
상기 하부지지스톱퍼는 상기 단위지주가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양옆으로 이격됨에 따라 경사지지대부를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화판을 지지하며 사용시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면이 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스톱퍼의 하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하기 위하여 사각형상의 기둥을 구성하고 중앙에 상기 제4잠금및해제부의 볼트부가 삽입되도록 원형의 홀을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내부를 사각형상으로 구성하며,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단위지주에 각각 구성된 상기 고정클립의 볼록부분과 힌지핀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여유부를 두어 상기 링크부재를 접을 때에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장방향으로 상기 단위지주의 원기둥형상과 대응되게 단위지주접착부를 구성하여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단위지주의 원기둥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고정클립의 볼록부분이 힌지핀 결합시에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ㄷ자형 날개부를 가지고 날개부 사이에 상기 고정클립의 볼록부분을 배치구성하여 힌지핀결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ㄷ자형 날개부와 상기 고정클립의 볼록부분 사이에 상기 여유부를 구성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직지주를 중심으로 세개의 상기 단위지주와 경사각도만큼 회전할수 있도록 연결구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성한 수평수준기;
상기 몸체부의 상부는 제2잠금및해제부를 구성하여 상부지지대와 연결된 수직지주승강봉을 상하부로 이동하고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는 암나사캡으로 구성하되,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주위에 제1고정편을 배치하며,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를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성된 숫나사부에 잠글수록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에 상기 제1고정편이 밀착하도록 구성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를 개방할수록 상기 제1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으로부터 이격되어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을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를 해제하고 난 후에 상기 몸체부에 승하강레버손잡이부를 구성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일면에 래크를 구성하고,
상기 승하강레버손잡이부의 일단에 피니언기어를 구성하여 상기 승하강레버손잡이부를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일면에 구성된 상기 래크를 구성한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이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승하강레버손잡이부는 힌지핀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부쪽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부지지스톱퍼와 제1잠금및해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의 머리부는 캠형태의 구성을 가지되 일면은 해제부와 또 다른 면은 고정부를 갖도록 구성하며,
작동레버의 일단에 구성된 상기 상부지지스톱퍼와 상기 작동레버의 타단에 구성한 탄성수단지지부;
상기 탄성수단지지부를 관통하여 지지하되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부착구성하는 작동레버이동간;
상기 작동레버이동간과 상기 탄성수단지지부사이에 탄성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상부지지스톱퍼를 전방으로 밀어내려고 할때에는 상기 탄성수단을 억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착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탄성수단의 힘을 억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는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상단에 힌지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작동레버를 잠금과 해제를 할 수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작동레버의 중앙부에는 상기 수직지주승강봉과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사이를 이동하도록 장방향의 홀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Vertical holding;
Three unit struts surrounding the vertical strut;
A body portion connecting the vertical column and the three unit columns from above;
A handl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body;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three unit supports from below;
One end of the link member connected to the vertical post is connected to a third lock and unlock portion moving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post,
Wherein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a female cap and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fixing piece is fixedly attached to the vertical supporting frame around the vertical supporting frame whe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s are lock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erein the lock and release securing piece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support to release the lock,
And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configured to move and fix the vertical support vertically together with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fixing piece,
And a hook structur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so as to catch it so as not to fall even when the wind is blown,
The unit struts are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unit strut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inserted into the unit struts to adjus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nit struts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unit struts Wherein when the ground surface is spaced from the body, the ground portion is formed as a spherical joint so as to be horizont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to widen the ground surface area,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is connected to a fixing clip which is connected to the unit support and moves and fixe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nit support,
And a lower suppor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clip to support the drawing plate,
The lower support includes a sliding portion for moving up and dow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nit support;
A fourth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configured to release and fix the sliding portion;
The lower support stopper may be fixed to the sliding portion,
The sliding portion may include a hexagonal screw groove portion for facilitating engagement with the nut of the fourth lock and unlock portion,
The lower support stopp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nit suppor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a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ut the body part so as to be inclined so that the lower support stopper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at the time of use, And a circular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so as to insert the bolt part of the fourth lock and unlock part, and the inside of the sliding part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is configured to be hinge-pin-engaged with the convex portion of the stationary clip constituted by the unit post, and a clearanc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so as not to be disturbed when the link member is folded, And the link member is natur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ylinder of the unit support, wherein the unit link adhering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unit sup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support,
When the convex portion of the fixing clip is engaged with the hinge pin,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has a U-shaped wing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of the fixing clip is disposed between the wing portions to be hinge- And the clearance portion is constitut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fixing clip,
Wherein the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be rotatable by an angle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three unit supports about the vertical support,
A horizontal leveling uni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configured to move and fix the vertical support hoist rod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rods up and down,
Wherein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comprises a female screw cap, a first fixing piece is disposed around the vertical holding rope,
And the first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vertical supporting shaft so that the second fixing and secur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first fix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support hoist rope so that the lock is released as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opened,
The lifting and lowering lever handle portion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after releasing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to move the vertical holding ascending bar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the rack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ddition,
When the pinion gear is constituted by one end of the up / down lever handle portion and the up / down lever handle portion is rotated, the vertical stay / up / down rod constituting the rack constituted on one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lifting rod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The elevating lever handle portion is configured as a hinge pin so that it can be folded inward when not in use,
Wherein the upper support comprises an upper support stopper and a first lock and release portion,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lock and unlock portion has a cam-shaped configuration, one surface has a release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has a fixing portion,
An upper support stopper formed at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and an elastic means suppo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An actuating lever moving part which is supported through the elastic supporting part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supporting rod vertically;
When the upper support stopper is pushed forward,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for suppressing the elastic means so that the first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mov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force of the elastic means is suppressed by the fix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s are configured to be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support lifting rods so as to be able to lock and unlock the operation levers while the vertical support lifting rods, And a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figured to move the releasing adherend.
상기 수직지주를 둘러싼 세개의 단위지주;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를 상부에서 연결하는 몸체부;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구성한 손잡이부;
상기 수직지주와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를 하부에서 연결하는 링크부재;
상기 수직지주와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은 상기 수직지주의 상하부를 이동하는 제3잠금및해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는 암나사캡으로 구성되고 시계방향으로 잠그면 수직지주 주위에 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해제하면 상기 수직지주 주위에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에 이격되어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는 상기 제3잠금및해제부고정편과 함께 상기 수직지주를 상하로 이동 및 고정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직지주의 하단에 걸고리구성을 두어 바람이 불어도 넘어지지 않도록 붙잡아 매도록 구성하고,
상기 단위지주는 중공형상으로 구성하여 내부에는 직경이 차이가 나는 여러단계의 단위지주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에 구성된 단위지주의 일단에 접지부를 구성하되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됨으로 지면이 평면일 경우 접지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접지부가 바닥에 대하여 수평으로 밀착하도록 구관절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단위지주와 연결하되 상기 단위지주의 상하부를 이동하여 고정하는 고정클립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클립의 상부에는 하부지지대를 구성하여 화판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하부지지대는 상기 단위지주의 상하부를 승하강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해제하고 고정할 수있도록 구성하는 제4잠금및해제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하부지지스톱퍼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4잠금및해제부의 너트와 결합시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육각나사홈부를 구성하며,
상기 하부지지스톱퍼는 상기 단위지주가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양옆으로 이격됨에 따라 경사지지대부를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화판을 지지하며 사용시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면이 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스톱퍼의 하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하기 위하여 사각형상의 기둥을 구성하고 중앙에 상기 제4잠금및해제부의 볼트부가 삽입되도록 원형의 홀을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내부를 사각형상으로 구성하며,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단위지주에 각각 구성된 상기 고정클립의 볼록부분과 힌지핀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여유부를 두어 상기 링크부재를 접을 때에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장방향으로 상기 단위지주의 원기둥형상과 대응되게 단위지주접착부를 구성하여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단위지주의 원기둥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고정클립의 볼록부분이 힌지핀 결합시에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ㄷ자형 날개부를 가지고 날개부 사이에 상기 고정클립의 볼록부분을 배치구성하여 힌지핀결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ㄷ자형 날개부와 상기 고정클립의 볼록부분 사이에 상기 여유부를 구성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직지주를 중심으로 상기 세개의 단위지주와 경사각도만큼 회전할수 있도록 연결구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성한 수평수준기;
상기 수평수준기의 상부에 구성한 제2잠금및해제부는 볼트잠금및해제부로 구성하되,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에서 잠금및 해제의 대상인 수직지주승강봉의 주위에 제2고정편을 배치하며,상기 볼트잠금및해제부를 삽입할수록 상기 제2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에 밀착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이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볼트잠금및해제부를 개방할수록 상기 제2고정편이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으로부터 이격되어 잠금이해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을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잠금및해제부를 해제하고 난 후에 상기 몸체부에 승하강레버손잡이부를 구성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일면에 래크를 구성하고,
상기 승하강레버손잡이부의 일단에 피니언기어를 구성하여 상기 승하강레버손잡이부를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일면에 구성된 상기 래크를 구성한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이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승하강레버손잡이부는 힌지핀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부쪽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상부에 구성된 상부지지대는 상부지지스톱퍼와 제1잠금및해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의 머리부는 캠형태의 구성을 가지되 일면은 해제부와 또 다른 면은 고정부를 갖도록 구성하며,
작동레버의 일단에 구성된 상기 상부지지스톱퍼와 상기 작동레버의 타단에 구성한 탄성수단지지부;
상기 탄성수단지지부를 관통하여 지지하되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부착구성하는 작동레버이동간;
상기 작동레버이동간과 상기 탄성수단지지부사이에 탄성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상부지지스톱퍼를 전방으로 밀어내려고 할때에는 상기 탄성수단을 억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착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탄성수단의 힘을 억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는 상기 수직지주승강봉의 상단에 힌지결합하여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작동레버를 잠금과 해제를 할 수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작동레버의 중앙부에는 상기 수직지주승강봉과 상기 제1잠금및해제부사이를 이동하도록 장방향의 홀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Vertical holding;
Three unit struts surrounding the vertical strut;
A body portion connecting the vertical column and the three unit columns from above;
A handl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body;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three unit supports from below;
One end of the link member connected to the vertical post is connected to a third lock and unlock portion moving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post,
Wherein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a female cap and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fixing piece is fixedly attached to the vertical supporting frame around the vertical supporting frame whe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s are lock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erein the lock and release securing piece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support to release the lock,
And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configured to move and fix the vertical support vertically together with the thir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fixing piece,
And a hook structur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so as to catch it so as not to fall even when the wind is blown,
The unit struts are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strut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inserted into the unit struts so as to adjus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rounding uni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nit strut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 ground portion is formed as a spherical joint so as to be horizontally in contact with the floor in order to widen the ground contact area when the ground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is connected to a fixing clip which is connected to the unit support and moves and fixe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nit support,
And a lower suppor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clip to support the drawing plate,
The lower support includes a sliding portion for moving up and dow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nit support;
A fourth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configured to release and fix the sliding portion;
The lower support stopper may be fixed to the sliding portion,
The sliding portion may include a hexagonal screw groove portion for facilitating engagement with the nut of the fourth lock and unlock portion,
The lower support stopp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nit suppor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a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ut the body part so as to be inclined so that the lower support stopper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at the time of use, And a circular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so as to insert the bolt part of the fourth lock and unlock part, and the inside of the sliding part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is configured to be hinge-pin-engaged with the convex portion of the stationary clip constituted by the unit post, and a clearanc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so as not to be disturbed when the link member is folded, And the link member is natur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ylinder of the unit support, wherein the unit link adhering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unit sup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support,
When the convex portion of the fixing clip is engaged with the hinge pin,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has a U-shaped wing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of the fixing clip is disposed between the wing portions to be hinge- And the clearance portion is constitut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fixing clip,
Wherein the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rotate about the vertical support b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hree unit supports,
A horizontal leveling uni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level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a bolt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and a second fixing piece is disposed around the vertical holding and elevating rod which is a subject of locking and unlocking in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The second fixing piece is configur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holding ascending bar as the lock and unlock portion is inserted so that the vertical holding vertically moving rod is fixed so as not to be moved by an external force and as the bolt locking and unlocking portion is opened, The lock is released from the vertical support hoist rope,
The lifting and lowering lever handle portion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after releasing the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to move the vertical holding ascending bar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the rack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ddition,
When the pinion gear is constituted by one end of the up / down lever handle portion and the up / down lever handle portion is rotated, the vertical stay / up / down rod constituting the rack constituted on one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lifting rod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The elevating lever handle portion is configured as a hinge pin so that it can be folded inward when not in use,
Wherein the upper support fram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lifting bar comprises an upper support stopper and a first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lock and unlock portion has a cam-shaped configuration, one surface has a release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has a fixing portion,
An upper support stopper formed at one end of the operation lever and an elastic means suppo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ever;
An actuating lever moving part which is supported through the elastic supporting part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supporting rod vertically;
When the upper support stopper is pushed forward,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for suppressing the elastic means so that the first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 is mov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force of the elastic means is suppressed by the fix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and releasing portions are configured to be hinged to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support lifting rods so as to be able to lock and unlock the operation levers while the vertical support lifting rods, And a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figured to move the releasing adheren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42717A KR101978252B1 (en) | 2018-11-19 | 2018-11-19 | Ea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42717A KR101978252B1 (en) | 2018-11-19 | 2018-11-19 | Ease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78252B1 true KR101978252B1 (en) | 2019-05-14 |
Family
ID=6658125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427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8252B1 (en) | 2018-11-19 | 2018-11-19 | Ease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78252B1 (en)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56322Y1 (en) * | 1997-02-06 | 1999-09-01 | 김학무 | Painting easel |
| KR100964997B1 (en) | 2008-01-10 | 2010-06-21 | 송천섭 | Easel |
| US20110108685A1 (en) * | 2009-11-06 | 2011-05-12 | Hao Liu | Tripod head with folding handle |
| KR101561230B1 (en) | 2014-02-20 | 2015-10-16 | 박기원 | Easel having Rear Supports with Adjustable Stretch Out Direction and Angle |
| KR20160003008U (en) * | 2015-02-24 | 2016-09-01 | 박범진 | Tripod for selfie stick |
| CN206044002U (en) * | 2016-05-28 | 2017-03-29 | 倪少杰 | Multi-functional easel |
-
2018
- 2018-11-19 KR KR1020180142717A patent/KR10197825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56322Y1 (en) * | 1997-02-06 | 1999-09-01 | 김학무 | Painting easel |
| KR100964997B1 (en) | 2008-01-10 | 2010-06-21 | 송천섭 | Easel |
| US20110108685A1 (en) * | 2009-11-06 | 2011-05-12 | Hao Liu | Tripod head with folding handle |
| KR101561230B1 (en) | 2014-02-20 | 2015-10-16 | 박기원 | Easel having Rear Supports with Adjustable Stretch Out Direction and Angle |
| KR20160003008U (en) * | 2015-02-24 | 2016-09-01 | 박범진 | Tripod for selfie stick |
| CN206044002U (en) * | 2016-05-28 | 2017-03-29 | 倪少杰 | Multi-functional easel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342544B1 (en) | Utility cart | |
| US8235334B1 (en) | Tablet computer holder and support | |
| DE2111338B2 (en) | POSTER STAND | |
| KR102403156B1 (en) | portable stage system | |
| CN102317564A (en) | Supporting element for an object and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ing element | |
| KR101555859B1 (en) | A folding structure of a board | |
| US2549584A (en) | Motion-picture projection screen stand | |
| KR100964997B1 (en) | Easel | |
| KR101978252B1 (en) | Easel | |
| KR101347160B1 (en) | Fishing seat leg for possibility of regulating high and low | |
| JPH08254037A (en) | Folding supporter such as deck | |
| US972528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apsible vehicle jack stand | |
| CN211833640U (en) | Multifunctional step stool | |
| US7118079B2 (en) | Telescope with foldable and extendable base | |
| KR101667858B1 (en) | Fishing seat leg for possibility of regulating high and low | |
| FR3074825B1 (en) | ESTATE FOR CONSTRUCTION | |
| KR200228504Y1 (en) | Folder Type Cart | |
| JP2007198000A (en) | Trailer lifting ladder | |
| CN117916476A (en) | Folding length adjustment mechanism | |
| CN216479997U (en) | Supporting foot stand and supporting device | |
| JP3205571U (en) | Movable solar panel mount | |
| JP2019214924A (en) | Tent frame | |
| CN206120651U (en) | Take nursing car of hand rest | |
| JP2023006448A (en) | Safe workbench, and workbench installing method | |
| KR200437181Y1 (en) | Shoring fixtures for folding tent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5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