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9453B1 -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453B1
KR101979453B1 KR1020170150715A KR20170150715A KR101979453B1 KR 101979453 B1 KR101979453 B1 KR 101979453B1 KR 1020170150715 A KR1020170150715 A KR 1020170150715A KR 20170150715 A KR20170150715 A KR 20170150715A KR 101979453 B1 KR101979453 B1 KR 101979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urrent
starting
electric moto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7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4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453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1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 F25B2700/151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of the compressor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소비전력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압축기의 시동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실외기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하여 왕복 운동하는 압축기구와, 상기 압축기구를 구동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구동 전류를 인가시키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서 제공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유닛과, 상기 전동기에 인가될 전류를 설정하고,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여 설정한 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전동기 시동 시, 기설정된 제 1 시동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고, 상기 전동기 시동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 1 시동전류 보다 큰 제 2 시동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여, 상기 전동기를 재시동시킨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efficiently improv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ressor and increasing the start-up success rate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ompression mechanism reciprocating to compress the refrigerant; an electric motor driving the compression mechanism; A control unit for setting a current to be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and for applying the set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ic motor by controlling the inverter unit; .
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a predetermined first starting current to the electric motor when the electric motor starts, and when the electric motor fails to start, applies a second starting current larger than the first starting current to the electric motor, Restart the motor.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입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로,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실외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기에는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의 부품이 포함된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installed in a room and an outdoor unit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At least one indoor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될 경우,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실외기의 열교환기에 의해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될 수 있다. 상기 고온 고압의 액체가 실내기에 공급되면, 상기 냉매는, 상기 실내기 열교환기에 의해, 팽창되면서 기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화 현상에 의해 주변 공기의 온도는 하강하게 되고, 실내기 팬이 회전하면서 실내공간에는 차가운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operate in a cooling or heating operation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In detail, when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in the cooling mode,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may be a liquid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by the heat exchanger of the outdoor unit. When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liquid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the refrigerant may expand and evaporate due to the indoor unit heat exchanger. The temperature of the ambient air is lowered by the vaporization phenomenon, and the indoor air can be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while the indoor fan is rotated.

상기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될 경우,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상기 압축기에서 상기 실내기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에 공급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상기 실내기의 열교환기에 의해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액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화 현상에 의해 방출된 에너지는 주변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고, 실내기 팬이 회전하면서 실내공간에는 따뜻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in a heating mode, gas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an be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to the indoor unit.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supplied to the indoor unit can be liquefied by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by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At this time, the energy released by the liquefaction phenomenon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air, and warm air can be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while the indoor fan is rotating.

한편, 상기 압축기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입력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동기 구동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동기에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되는 회전자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기에는, 상기 고정자에 대한 상기 회전자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상대 위치에 대응되는 상에 전류가 입력된다.Meanwhile, the compressor may include an electric motor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d a motor drive circuit for controlling a current input to the electric motor. The electric motor may include a stator and a rotor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tator. In the electric motor, a relative position of the rotor with respect to the stator is detected, and a current is input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상기 상대 위치는 상기 전동기에 입력되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자의 위치가 추정되어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기는 상기 검출된 위치 값 및 상기 전동기에 대한 속도 지령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자의 상기 상대 위치를 별도의 센서 없이 검출하는 구동을 센서리스(sensorless) 구동이라 한다.The position of the rotor can be estimated and detected based on the current value input to the electric motor. And the electric motor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value and the speed command for the electric motor. The drive for detec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otor without any sensor is called sensorless driving.

이러한 공기 조화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종래에 출원(이하, 선행문헌)을 실시한 바 있다. 선행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Regarding such an air conditioner,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nventionally filed a patent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The information of the preceding documents is as follows.

1. 공개번호(공개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3700호 (2004년01월13일)1. Publication No. (Disclosure Date):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03700 (Jan. 13, 2004)

2. 발명의 명칭: 공기 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2. Title of the inventio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센서리스 구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회전자의 추정 위치 및 실제 위치 사이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회전자를 설정위치로 정렬시키는 초기 정렬 단계와, 점진적으로 전동기의 RPM을 증가시켜 상기 회전자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위치 추정 단계와, 상기 위치 추정 단계에서 시동이 걸린 전동기로부터 검출되는 역기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회전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센서리스 구동단계를 수행한다.In the prior art, an initial alignment step of aligning the rotor to a set position in order to reduce an error between an estimated position and an actual position of the rotor, which is generated in the sensorless drive process, and gradually increasing the RPM of the motor A step of estimating a position of the roto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otor based on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detected from the motor that is started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position, A sensorless driving step is performed.

한편, 상기 선행문헌의 압축기는 부하에 관계없이 고정된 시동전류로 시동된다. 이때, 부하가 낮은 경우에도, 고정된 구동전류로 압축기가 시동 되므로, 압축기 소비전력에 있어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ors of the preceding documents are started with a fixed starting current irrespective of the load. At this time, even when the load is low, since the compressor is started with a fixed driving curr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efficient i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ressor.

또한, 실외기는 일반적으로 실외의 노출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상기 실외기에 구비된 압축기는 날씨 및 실외온도에 영향받을 수 있다. 일례로, 실외 저온환경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는 난방 운전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낮은 온도로 인하여 상기 압축기 내부에 보유된 오일의 동적 점성도(또는, 동점도)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동점도가 증가하는 경우, 압축기 초기 시동 부하가 증가하여 압축기 시동이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door unit can be installed in an outdoor space, which is generally outdoor. For this reason, the compressor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can be affected by weather and outdoor temperature. For example, in an outdoor low temperature environment, the air conditioner can be operated in a heating operation. At this time, the dynamic viscosity (or kinematic viscosity) of the oil retained in the compressor can be increased due to the low temperature. If the kinematic viscosity of the oil increases,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compressor starts up due to an increase in the initial starting load of the compressor.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압축기의 소비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more efficiently improve the power consumption of a compressor.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압축기의 시동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increasing the start-up success rate of a compressor.

특히, 압축기 시동 실패 시, 시동횟수에 기초하여 압축기 시동전류가 재선정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의 시동 성공률을 높이는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for increasing the startup success rate of a compressor by allowing the compressor starting current to be re-select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starts when the compressor fails to star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발명에는, 압축기구와, 상기 압축기구를 구동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인가될 전류를 설정하고,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여 설정한 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시키는 제어유닛이 포함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 hybrid vehicle including a compression mechanism,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the compression mechanism, and a controller for setting a current to be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And a control unit for applying the controlled current to the electric motor.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전동기 시동 시, 기설정된 제 1 시동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고, 상기 전동기 시동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 1 시동전류 보다 큰 제 2 시동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여, 상기 전동기를 재시동시킨다.Wherein the control unit applies a predetermined first starting current to the electric motor when the electric motor starts, and when the electric motor fails to start, applies a second starting current larger than the first starting current to the electric motor, Restart the motor.

제 2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은, 상기 전동기의 시동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시동횟수에 비례하여 상기 전동기에 공급되는 시동전류의 크기를 설정값 만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nts the number of starting times of the electric motor and gradually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starting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ic motor in proportion to the counted number of starts.

제 3 발명은, 상기 설정값이 이전시동 시 상기 전동기에 인가된 시동전류의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value is 10% of the starting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at a previous start.

제 4 발명에는, 상기 전동기의 시동횟수에 따른 시동전류 정보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메모리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동기의 재시동시에,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시동횟수에 대응되는 시동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시켜 재시동한다.The fourth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emory in which the starting curr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arting times of the electric motor is stored in a table form. The control unit refers to the memory and restarts the motor by applying a start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arting times to the electric motor at the time of restarting the electric motor.

제 5 발명은, 상기 시동전류가 상기 전동기가 구동될 수 있는 정격전류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current is within a rated current range in which the electric motor can be driven.

제 6 발명은, 상기 전동기가 최초 구동될 시, 상기 전동기에 인가되는 시동전류는 상기 정격전류 범위 중 가장 작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lectric motor is initially driven, a starting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rated current ranges.

제 7 발명의 제어유닛은, 재시동 과정에서, 상기 전동기에 인가되는 시동전류가 상기 정격전류 범위 중 최대 정격전류에 도달하는 경우, 설정횟수 동안 상기 최대 정격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시켜 재시동을 시도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seventh invention attempts to restart the motor by applying the maximum rated current to the motor for a set number of times when the start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reaches the maximum rated current in the rated current range during the restarting process .

제 8 발명의 제어유닛은, 상기 시동횟수가 설정횟수를 경과하는 경우, 재시동을 중단하고,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통해 경고를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eighth invention stops the restarting when the number of starts exceeds the preset number of times and outputs a warning via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indoor unit.

제 9 발명의 제어유닛은, 시동에 실패하는 경우, 설정시간 대기 후 상기 전동기를 재시동킨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ninth aspect of the invention restarts the electric motor after waiting for a set time when the starting fails.

제 10 발명은, 전동기의 시동횟수가 기록되는 카운트변수가 증가되는 단계와, 카운트된 시동횟수가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정보에 매칭되고, 매칭된 시동횟수에 대응하는 시동전류로 전동기가 시동을 시동하는 단계와, 상기 전동기의 시동이 실패할 경우, 상기 카운트변수를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증가시킨 카운트변수에 대응하는 시동전류로 상기 전동기가 재시동되는 단계가 퐈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기에 인가되는 시동전류의 크기는, 카운트한 시동횟수에 비례하여 점차적으로 증가된다.According to a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motor vehicle, comprising: increasing a count variable in which the number of times of starting the motor is recorded; incrementing the counted number of times of starting counting to match tabl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ncreasing the count variable if the motor fails to start, and restarting the motor with a start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incremented count variable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The magnitude of the start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is gradual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unted number of starting times.

제 11 발명은, 전동기에 인가되는 시동전류는 상기 전동기가 구동될 수 있는 정격전류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en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is within a rated current range in which the electric motor can be driven.

제 12 발명은, 상기 전동기가 최초 구동될 때, 상기 전동기에 인가되는 시동전류는 상기 정격전류 범위 중 가장 작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lectric motor is initially driven, a starting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rated current ranges.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를 시동시킬 수 있는 정격전류의 범위 중 가장 작은 값부터 인가시켜, 시동을 시도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소비전력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rting from the smallest value of the rated current range that can start the compressor, is attempt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ressor is improved.

또한, 메모리에 기저장된 시동범위 테이블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에 인가될 시동전류가 선정되므로, 상기 압축기는 시동에 실패하더라도 사용자 또는 서비스맨의 수동제어 없이 자동으로, 재시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arting current to be applied to the compressor is selected based on the startup range table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memory, the compressor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restart without manual control of the user or service man even if the startup fails.

또한, 상기 압축기는 시동전류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재시동을 수행하므로, 시동부하로 인한 시동실패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 소요가 감소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lso, since the compressor restarts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starting current, the startup failure rate due to the starting load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intenance requirement is reduc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장치의 회로구성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에 저장되는 구동전류 정보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의 시동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시동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시동 알고리즘에 따른 전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moto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table showing driving current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rt-up algorithm of a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tart-up algorithm of a compres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8 is a graph showing a current change according to a compressor start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공기 조화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는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실내기(500) 및 상기 실내기(500)에 연결되고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100)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unit 500 for discharging harmonized air into the room, an outdoor unit 100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500, May be included.

상기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500)는 냉매 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의 순환에 따라 상기 실내기(500)로부터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50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100)에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The outdoor unit 100 and the indoor unit 5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efrigerant pipe so that the cold air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door unit 500 to the room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500 may be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100 in a plurality of ways.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500) 및 상기 실외기(100)로 서로 1대 1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공기 조화기가 복수의 실내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the air conditioner 10 may correspond to the indoor unit 500 and the outdoor unit 100 one by one, as shown in the figure. In another embodiment,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t least one indoor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상기 실내기(500)에는, 실내 열교환기(51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굴구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500)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공기 흡입구 및 다수의 공기 토출구에는, 다수의 베인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다수의 공기 흡입구 및 다수의 공기 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할 수 있고,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The indoor unit 500 may include a cave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with a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and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indoor unit 500 can regulate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For example, a plurality of vanes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ir inlets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The vane may open / clos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inlets and / or the plurality of air outlets, and guid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또한 실내기(500)에는, 상기 실내기(500)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 작동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실외기(100)는,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여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100)는, 복수의 실내기(500)로 냉매를 공급하고, 상기 실내기(500)의 토출구를 따라 공기 유동 방향이 안내되어 실내 환경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display unit and setting data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and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500. [ When the user inputs a driving operation command of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input unit, the outdoor unit 100 can be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or the heat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command. In addition, the outdoor unit 100 supplies the refrigerant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500, and the air flow direction is guided along the discharge port of the indoor unit 500, so that the indoor environment can be controlled.

[공기 조화 시스템: 실외기 및 실내기의 구성][Air conditioning system: configuration of outdoor unit and indoor unit]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외기(100)에는,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1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냉방 운전으로 작동될 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는 응축기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에 전달되는 기상 냉매는 실외 공기에 의해 응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outdoor unit 100 may include an outdoor heat exchanger 110 for exchanging heat between outdoor air and refrigerant. When the air conditioner 10 is operated in a cooling oper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10 can be operated as a condenser. Therefore, the gaseous refrigerant deliver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10 can be condensed by the outdoor air.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난방 운전으로 작동될 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는 증발기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에 전달되는 액상 냉매는 실외 공기에 의해 증발될 수 있다.Also, when the air conditioner 10 is operated in a heating oper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10 can operate as an evaporator. Accordingly, the liquid refrigerant transferr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10 can be evaporated by the outdoor air.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로 송풍시키는 실외 송풍기(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송풍기(120)에는, 동력을 발생시기는 실외 전동기(122) 및 상기 실외 전동기(122)에 연결되어 상기 실외 전동기(122)의 동력으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실외 팬(121)이 포함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0 may further include an outdoor air blower 120 for blowing outdoor air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10. The outdoor fan 120 may include an outdoor motor 122 when the power is generated and an outdoor fan 121 connected to the outdoor motor 122 to generate a wind power by the power of the outdoor motor 122 have.

상기 실외기(100)에는 기상 냉매를 추출하는 어큐뮬레이터(1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40)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40)에 유입되는 냉매 중 기상 냉매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기상 냉매를 압축기(30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100 may include an accumulator 140 for extracting the gaseous refrigerant. The accumulator 140 may extract the gaseous refrigerant from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accumulator 140 and deliver the extracted gaseous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300.

상기 실외기(100)에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40)에서 추출된 기상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0)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40)에서 유입되는 냉매와, 후술되는 오일분리기(150)로부터 유입되는 오일을 섞어서 압축한 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510) 및 실외 열교환기(110) 중 어느 하나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0)에는 일례로 용량이 가변될 수 있는 인버터 압축기가 포함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pressor 300 for compressing the gaseous refrigerant extracted from the accumulator 140. The compressor 300 mixes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accumulator 140 and the oil introduced from the oil separator 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The heat exchanger 110 can be made to flow. The compressor (300) may include an inverter compressor capable of varying the capacity.

한편, 상기 압축기(300)에는, 냉매를 기설정된 압력으로 압축시키는 압축 기구(미도시) 및 상기 압축 기구를 구동시키는 전동기(도 3의 33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 기구는, 일례로 피스톤과 같은 왕복운동 기구로 이해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pressor 300 may include a compression mechanism (not shown)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an electric motor (330 of FIG. 3) that drives the compression mechanism. In this embodiment, the compression mechanism can be understood as a reciprocating mechanism such as a piston, for example.

상기 전동기(310)에는 상기 고정자 및 회전자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는 소정 주파수로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이 인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자는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기(310)에는 BLDC(Blushless DC) 전동기가 포함될 수 있다.The electric motor 310 may include the stator and the rotor. An AC power source or a DC power source may be applied to the coil of each phase stator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so that the rotor can rotate.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ic motor 310 may include a BLDC (Blushless DC) electric motor.

상기 실외기(100)에는, 상기 압축기(300)에 구비되는 전동기(3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 구동장치(3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동기(310) 및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350)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The outdoor unit 100 may include an electric motor drive unit 350 for driving the electric motor 310 included in the compressor 300. The details of the electric motor 310 and the electric motor driving apparatus 35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오일은 온도에 따라 동적 점성도(이하, 동점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온도가 낮아질수록 상기 오일의 동점도는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오일의 동점도는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오일의 동점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시동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압축기의 시동을 위해서는 상기 시동 부하에 비례하여 더 높은 구동전류가 요구된다. 상기 오일 동점도에 따른 상기 압축기(300)의 구동전류가 가변되는 내용은 후술된다.On the other hand, the dynamic viscos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kinematic viscosity) of the oil may var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For example, the lower the temperature, the greater the kinematic viscosity of the oil. Conversely,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lower the kinematic viscosity of the oil. If the kinematic viscosity of the oil increases, the starting load of the compressor may increase. In this case, a higher driving current is required in proportion to the starting load for starting the compressor. Variations of the driving current of the compressor 300 according to the oil kinematic viscosity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실외기(100)에는 상기 압축기(300)에서 토출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를 분리하는 오일분리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분리기(150)는 유입되는 냉매 및 오일의 질량을 이용하여, 상기 냉매 및 오일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분리기(150)는, 분리시킨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510) 및 실외 열교환기(110) 중 어느 하나로 토출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분리기(150)는 분리시킨 오일을 상기 압축기(300)로 안내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n oil separator 150 for separating refrigerant containing oil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300. The oil separator 150 may separate the refrigerant and the oil using the mass of the refrigerant and the oil flowing into the oil separator 150. The oil separator 150 may discharge the separated refrigerant to any on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10. In addition, the oil separator 150 may guide the separated oil to the compressor 300.

상기 실외기(100)에는 상기 압축기(300)에서 토출되어 상기 오일분리기(150)로부터 분리된 냉매의 흐름을 전환하는 사방밸브(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방밸브(130)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기(150)로부터 분리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10) 및 실내 열교환기(510)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방밸브(130)는, 상기 오일분리기(150)에서 분리된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510) 측으로 전달되도록, 유로를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방밸브(130)는, 상기 오일분리기(150)로부터 분리된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 측으로 전달되도록, 유로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분리기(15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사방밸브(130)를 지나,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110) 및 실내 열교환기(510) 중 어느 하나로 유동될 수 있다.The outdoor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four-way valve 130 for switch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300 and separated from the oil separator 150. The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oil separator 150 by the four-way valve 130 may be delivered to any on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1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10 performs the heating operation, the four-way valve 130 adjusts the flow path so that the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oil separator 150 is transferr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 In contrast, when the air conditioner 10 performs the cooling operation, the four-way valve 130 adjusts the flow path so that the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oil separator 150 is transferr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10 side . Accordingl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oil separator 150 flows through the four-way valve 130 and flows into either the outdoor heat exchanger 110 or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depending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

상기 공기 조화기는 실외 팽창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를 통과하지 않은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조화기가 난방 작동 시, 상기 실외 팽창밸브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는 일례로 전자팽창밸브(EEV)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outdoor expansion valve (not shown). The outdoor expansion valve may expand the refrigerant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10). That is, when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in a heating operation, the outdoor expansion valve may expand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10). The outdoor expansion valve may include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for example.

한편, 상기 실내기(500)에는, 실내 공기 및 냉매가 열교환 되는 실내 열교환기(5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냉방운전으로 작동할 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510)는 증발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510)에 전달되는 액상 냉매는 실내 공기에 의해 증발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door unit 500 may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510 in which indoor air and refrigerant are heat-exchanged. When the air conditioner 10 operates in the cooling mode,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may perform an evaporator function. Therefore, the liquid refrigerant transferr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can be evaporated by the indoor air.

또한, 공기 조화기(10)가 난방운전으로 작동할 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510)는 응축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510)에 전달되는 기상 냉매는 실내 공기에 의해 응축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air conditioner 10 operates in a heating operation,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may perform a condenser function. Accordingly, the gaseous refrigerant deliver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can be condensed by the indoor air.

상기 실내기(500)에는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510)로 송풍시키는 실내 송풍기(5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내 송풍기(520)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내 전동기(522) 및 상기 실내 전동기(522)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 전동기(522)에 의해 회전되면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실내 팬(521)이 포함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n indoor blower 520 for blowing indoor air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The indoor air blower 520 may include an indoor electric motor 522 for generating power and an indoor fan 521 connected to the indoor electric motor 522 and generating a wind power while being rotated by the indoor electric motor 522 have.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실내 팽창밸브(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510)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실내 팽창밸브를 통과할 경우, 실내 팽창밸브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냉방 운전 시, 상기 실내 팽창밸브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실내 팽창밸브는, 일례로 전자팽창밸브(EEV)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0 may further include an indoor expansion valve (not shown). When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510) passes through the indoor expansion valve, the indoor expansion valve can expand the refrigerant. That is, when the air conditioner 10 performs cooling operation, the indoor expansion valve may expand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The indoor expansion valve may include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for example.

[압축기에 구비되는 전동기의 구동장치의 회로구성][Circuit configuration of drive device of electric motor provided in compressor]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구동장치의 회로구성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에 저장되는 구동전류 정보를 보여주는 표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moto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table showing driving current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350)에는, 입력 교류 전원(351)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35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류부(352)는 상기 입력 교류 전원(351)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인버터부(354) 측으로 출력시킨다. 상기 정류부(352)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 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상기 정류부(352)는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 the motor driving apparatus 350 may include a rectifying unit 352 for rectifying the input AC power source 351 to DC power. The rectifying unit 352 converts the power input from the input AC power source 351 to DC power and outputs the DC power to the inverter unit 354. The rectifying unit 352 includes a switching device, and can perform a boosting operation, a power factor improvement, and a DC power conversion. 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rectifying unit 352 may be a diode or the like and perform a rectifying operation without a separate switching operation.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350)에는, 상기 정류부(352)로부터 상기 인버터부(354)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평활시키는 평활 커패시터(35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353)는 상기 정류부(352) 및 상기 인버터부(35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353)는 상기 정류부(352)의 출력단에 병렬연결 될 수 있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353)는 상기 인버터부(354) 내의 스위칭 소자들이 스위칭하는 하는 동안,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리플 전압(전압 파동)을 평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활 커패시터(353)는 상기 정류부(352)에 의해 정류하는 전압, 즉 전원 전압에 따라 변동하는 전압을 평활시킬 수 있다.The motor driving apparatus 350 may further include a smoothing capacitor 353 for smoothing the DC power input from the rectifying unit 352 to the inverter unit 354. [ The smoothing capacitor 35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ctifying part 352 and the inverter part 354. [ The smoothing capacitor 353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unit 352. The smoothing capacitor 353 may smooth the ripple voltage (voltage wav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frequency while the switching elements in the inverter unit 354 switch. The smoothing capacitor 353 can smoothen a voltage that is rectified by the rectifying unit 352, that is, a voltage that varies depending on a power supply voltage.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350)에는, 상기 직류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전동기(310)에 인가하는 인버터부(35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354)는 후술되는 제어유닛(360)으로부터 입력되는 인버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구동 전원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354)는 상기 정류부(352) 및 상기 전동기(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354)는 상기 전동기(31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electric motor driving apparatus 350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unit 354 for converting the DC power into a driving power and applying the DC power to the electric motor 310. The inverter unit 354 may convert the direct current power into the driving power based on an inverter control signal input from a control unit 3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verter unit 35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ctifying unit 352 and the electric motor 310. The inverter unit 354 may be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electric motor 310.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350)에는, 상기 인버터부(354)로부터 상기 전동기(310)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유닛(35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인터버부(354) 및 상기 전동기(310) 사이에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구동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트랜스듀서(Current Transducer)일 수 있다. 상기 전류 트랜스듀서는 상기 구동 전류를 검출 및 이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유닛(3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360)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구동전류에 따른 전압 신호를 샘플링(sampling)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류검출유닛(355)은 션트 저항(shunt resistor)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전류검출유닛(355)은 3 상에 대하여 모두 전류를 검출하도록 연결(3p)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예로, 상기 전류검출유닛(355)은 하나의 상에 대하여만 구동 전류를 검출하도록 연결(1p)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electric motor drive unit 350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detection unit 355 for detecting a current supplied from the inverter unit 354 to the electric motor 310. The control unit 360 may be a current transducer connected between the interverter 354 and the motor 310 to continuously detect a driving current. The current transducer may detect the driving current and convert it into a voltage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60. The control unit 360 may generate an interrupt signal to sample a volt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current. As another example, the current detection unit 355 may be replaced by a shunt resistor. The current detection unit 355 may be connected (3p) to detect the current for all three phases. However,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urrent detection unit 355 is connected (1p) to detect the drive current only for one phase.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350)에는, 상기 인버터부(354)로부터 상기 전동기(310)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유닛(35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압검출유닛(356)이 3상의 전압을 모두 검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1상의 구동 전압만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electric motor driving apparatus 350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detecting unit 356 for detecting a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310 from the inverter unit 354. [ Although it has been shown that the voltage detecting unit 356 detects all three-phase voltages,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only the one-phase driving voltage.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350)에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PWM 방식으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인버터부(354)에 출력하는 제어유닛(3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motor driving apparatus 350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360 that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by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and output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WM method to the inverter unit 354 .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350)에는, 상기 전동기(310)의 시동을 위한 전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35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모리(358)에는, 상기 전동기(310)의 시동 가능한 정격전류 범위정보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격전류의 범위는 상기 압축기(300) 또는 전동기(310)의 최초 설계 공정 시, 결정될 수 있다. The electric motor driving apparatus 35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358 storing current information for starting the electric motor 310. In detail, in the memory 358, startable rated current rang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motor 310 can be stored in a table form. The range of the rated current may be determined during the initial designing process of the compressor (300) or the motor (310).

이하에서는,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정격전류 범위정보"를 "시동범위 테이블정보"라 이름한다. Hereinafter, the "rated current range information stored in the form of a table" is referred to as "startup range table informa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358)에는, 시동횟수(또는, 카운트변수(count varialbe)라 함.)에 대응되는 시동전류 값이 기록된 정보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동기(310)가 최초 시동 될 때, 카운트변수는 '1'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운트변수가 '1'에 대응되는 시동전류는 제 1 시동전류(I1)일 수 있다. 상기 제 1 시동전류(I1)는 상기 전동기(310)가 구동 가능한 정격전류 범위 중 가장 작은 값일 수 있다. 4, in the memory 358, information in which a starting curr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starting (or a count variable (count variable)) is recorded may be stored in a table form. For example, when the motor 310 is started for the first time, the count variable may be '1'. The start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count variable '1' may be the first starting current I1. The first starting current I1 may be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rated current range in which the motor 310 can be driven.

한편, 상기 전동기(310)가 초기 시동에 실패하면,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카운트변수를 '1'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360)은 증가시킨 카운트변수에 대응되는 제 2 시동전류(I2)를 상기 전동기(310)에 인가하도록 상기 인버터부(35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시동전류(I2)는 상기 제 1 시동전류(I1)와 비교하여 설정크기만큼 증가한 전류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설정크기는, 일례로, 이전 시동전류의 10%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시동전류(I2)은 상기 제 1 시동전류(I1)의 10% 증가한 전류값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tor 310 fails to start up, the control unit 360 may increase the count variable by '1'. The control unit 360 may control the inverter unit 354 to apply the second starting current I2 corresponding to the incremented count variable to the electric motor 310. [ The second starting current I2 may be a current value that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starting current I1. The set size may, for example, mean 10% of the previous starting current. That is, the second starting current I2 may have a current value that is increased by 10% of the first starting current I1.

상기 전동기(310)가 시동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카운트 변수는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메모리(358)를 참조하여 상기 카운트변수에 대응되는 전류값(또는, 이전 시동 시에 인가된 전류값 보다 높은 전류값)을 상기 전동기(310)에 인가시킬 수 있다.When the electric motor 310 fails to start, the count variable may increase and the control unit 360 may refer to the memory 358 to calculate a curr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unt variable A current value higher than a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310).

한편, 상기 전동기(310)가 재시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카운트변수가 상기 전동기(310)의 최대 정격전류 값에 대응되는 제1제한값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360)은 카운트변수가 상기 제1제한값 보다 큰 제2제한값에 도달할 때까지 최대 정격전류 값을 상기 전동기(310)에 인가시키면서 재시동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제2제한값은 최초공정시 설계자에 의해 임의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restarting the electric motor 310, the count variable may reach the first limit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rated current value of the electric motor 31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60 may attempt to restart while applying the maximum rated current value to the electric motor 310 until the count variable reaches a second limit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limit value. The second limit value may be a value arbitrarily set by the designer in the initial process.

상기 카운트변수가 제2제한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전동기(310) 재시동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에 경고를 표시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 동작에 제한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동기(310)의 시동 횟수에 따라 상기 시동전류가 가변 제어되는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When the count variable reaches the second limit value, the control unit 360 may stop the restart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310. [ A warning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indicate that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 is restricted. The starting current is variab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starting times of the electric motor 3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전동기 구동회로의 제어유닛 구성][Configuration of control unit of motor drive circuit]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유닛(360)에는, 상기 속도 지령과 회전자 속도를 입력받고 속도 오차를 줄이는 전류 지령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속도 제어부(361)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360 may include a speed controller 361 for receiving the speed command and the rotor speed and calculating and outputting a current command for reducing the speed error.

상기 제어유닛(360)에는, 상기 전류 지령과 상기 구동 전류를 입력받고 전류 오차를 줄이는 전압 지령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363)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60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controller 363 for receiving the current command and the drive current and calculating and outputting a voltage command for reducing the current error.

상기 제어유닛(360)에는 상기 전압 지령을 근거로 상기 인버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폭 변조 제어부(36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60 may further include a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365 for generating the inverter control signal based on the voltage command.

상기 제어유닛(360)에는, 3상을 d-q축의 2상으로변환하는 축 변환부(36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60 may further include an axis conversion unit 367 for converting the three phases into two phases of the d-q axis.

상기 제어유닛(360)에는, 회전자 속도를 연산하여 상기 속도 제어부(361)에 출력하는 속도 연산부(36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60 may further include a speed calculator 369 for calculating the rotor speed and outputting the calculated speed to the speed controller 361. [

상기 제어유닛(360)은 구동 전류를 검출하여 인버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인버터를 통해 3상 전동기의 U, V, W상의 게이트에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 전류의 그래프가 정현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360 detects a drive current to generate an inverter control signal and outputs a signal to the U, V, and W phase gates of the three-phase motor through the inverter. At this time, the graph of the phase current can have a sinusoidal waveform.

상기 속도 제어부(361)는,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 지령(ω*m)과, 회전자 속도를 비교하는 비교기와, 속도 비례 적분 제어기(Proportional Integral Controller; PI)를 구비한다. 상기 속도 제어부(361)는, 속도 지령과 회전자 속도를 입력받아 속도 오차를 비례 적분하여 q축 전류 지령(i*q)을 생성하고, 이를 전류 제어부(363)에 출력할 수 있다.The speed control unit 361 includes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speed command? * M desired by the user with the rotor speed, and a proportional integral controller (PI). The speed controller 361 receives the speed command and the rotor speed, and performs a proportional integration of the speed error to generate a q-axis current command (i * q) and output it to the current controller 363.

상기 전류 제어부(363)는, 상기 속도 제어부(361)에서 생성된 q축 전류 지령과 d축 전류 지령(i*d)을 입력받아 전압 지령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전압 지령의 크에 따라 상기 전동기(310)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류 제어부(363)는 q축 전류 지령을 전류 비례 적분 제어기와 필터를 거쳐 q축 전압 지령(V*q)을 펄스 폭 변조 제어부(365)에 출력한다. 즉, 전류 제어부(363)는 q축 전류 지령과 전동기 구동 전류를 축 변환부(367)를 통해 축 변환한 q축 검출 전류(iq)를 비교하고, 이의 차, 즉 전류 오차를 전류 비례 적분 제어기와 필터를 거쳐 q축 전압 지령(V*q)을 펄스 폭 변조 제어부(365)에 출력한다. The current controller 363 receives the q-axis current command and the d-axis current command i * d generated by the speed controller 361, and generates and outputs a voltage command.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motor 31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command. The current controller 363 outputs the q-axis voltage command (V * q)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365 via the current proportional plus integral controller and the filter. That is, the current controller 363 compares the q-axis current command and the motor drive current with the q-axis detected current iq transformed by the axis transformer 367, and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q-axis current command and the motor drive current by the current proportional integral controller And outputs the q-axis voltage command (V * q)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365 through the filter.

한편, 전류 제어부(363)는 d축 전류 지령을 다른 전류 비례 적분 제어기와 필터를 거쳐 d축 전압 지령(V*d)을 펄스 폭 변조 제어부(365)에 출력한다. 즉, 전류 제어부(363)는 d축 전류 지령과 전동기 구동 전류를 축 변환한 d축 검출 전류(id)를 비교하고, 이의 차, 즉 전류 오차를 전류 비례 적분 제어기와 필터를 거쳐 d축 전압 지령(V*d)을 펄스 폭 변조 제어부(365)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압과 전류들은 동기 좌표계 상에서의 값들이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control unit 363 outputs the d-axis voltage command (V * d)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365 via another current proportional integral controller and a filter through the d-axis current command. That is, the current control section 363 compares the d-axis detection current id that has undergone the axial conversion of the d-axis current command and the motor drive current and outputs the difference therebetween through the current proportional integral controller and the filter to the d- (V * d) to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unit 365. [ Here, the voltages and currents are values on a synchronous coordinate system.

상기 펄스 폭 변조 제어부(365)는, 먼저 상기 동기 좌표계의 전압 지령을 정지 좌표계(α,β)의 전압 지령으로 축 변환한다. 즉, 펄스 폭 변조 제어부(365)는 (V*d, V*q)를 (V*α, V*β)로 변환한다. 또한, 펄스 폭 변조 제어부(365)는 정지 좌표계의 전압 지령을 구동하고자 하는 전동기 형태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펄스 폭 변조 제어부(365)는 정지 좌표계의 전압 지령을 3상의 전압 지령 (V*u, V*v, V*w)으로 변환하여 인버터부(354)에 출력할 수 있다.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365 first converts the voltage command of the synchronous coordinate system into the voltage command of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 That is,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unit 365 converts (V * d, V * q) into (V * ?, V *?).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unit 365 converts the voltage command of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to the type of the motor to be driven and outputs the converted voltage command. That is, th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unit 365 can convert the voltage command in th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into three-phase voltage commands (V * u, V * v, V * w) and output it to the inverter unit 354.

[전동기의 시동 알고리즘][Starting algorithm of motor]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의 시동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rt-up algorithm of a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동기(310)의 시동 알고리즘에는, 초기 정렬 단계(R1)와, 위치 추정 단계(R21)와, 센서리스 구동 단계(R22)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tarting algorithm of the electric motor 310 may include an initial alignment step R1, a position estimation step R21, and a sensorless driving step R22.

먼저, 상기 초기 정렬 단계(R1)는, 상기 회전자의 위치를 설정 위치로 정렬시키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350)는 입력 교류 전력을 변환시켜 소정의 전압 또는 전류를 상기 전동기(31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350)는 상기 전동기(310)의 회전자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회전자를 일정 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다. First, the initial alignment step (R1) may be understood as a step of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rotor to a set position. The motor drive unit 350 may convert input AC power and supply a predetermined voltage or current to the motor 310. The electric motor driving apparatus 350 may apply a current to the rotor of the electric motor 310 to align the roto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상세히, 상기 초기 정렬 단계(R1)에서는 기설정된 각도로 구비되는 상기 회전자를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교차하는 상태로 회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기 정렬 단계(R1)에서, 상기 회전자 및 상기 고정자는 서로 직교되는 초기 정렬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동기(310)에 대한 전류 공급은 기설정된 구동전류로, 설정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전류 값 및 상기 설정시간 값은 상기 제어유닛(360)에 기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제 1 구동전류는 1[A]이고, 상기 설정시간은 3분일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initial alignment step (R1), the roto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rotated to cross the stator. Preferably, in the initial alignment step (R1), the rotor and the stator are rotated in an initial alignment state orthogonal to each other. At this time, current supply to the electric motor 310 may be performed for a set time with a predetermined driving current. The first driving current value and the set time value may be previously set in the control unit 360.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current may be 1 [A] and the set time may be 3 minutes.

다음으로, 상기 초기 정렬 단계(R1)가 완료되면, 일정 크기의 제1구동 주파수 구간에 대응되는 구동 주파수로 상기 전동기(310)에 제 2 구동전류가 공급되는 상기 위치 추정 단계(R21, 오픈 루프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추정 단계(R21)에서, 상기 구동 주파수는 상기 제 1 구동 주파수 구간 내에서 시간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전동기(310)의 상기 회전자가 저속 회전 상태에서 그 속도를 점진적으로 증가 되도록, 상기 전동기(3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전동기에서의 역기전력 검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자의 위치 추정이 용이 해질 수 있다.Next, when the initial alignment step (R1) is completed, the position estimating step (R21, open loop) in which the second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motor (310) at a driv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first driving frequency interval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position estimation step R21, the driving frequency may gradually increase with time i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terval. That is, the control unit 360 may control the electric motor 310 such that the rotor of the electric motor 310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low-speed rotation state. As the speed of the rotor increases,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detection performance in the motor can be improved. Therefore, the position estimation of the rotor can be facilitated.

상기 위치 추정 단계(R21)가 완료되면, 상기 위치 추정 단계에서 검출한 회전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동기(310)가 제어되는 센서리스 구동단계(R2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350)는 센서리스 알고리즘(sensorless algorism)에 의해 실제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전동기(310)를 지령속도에 따라 기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기(310)의 센서리스 제어를 "시동 제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리스 구동단계에서는 상기 제 2 구동전류가 상기 전동기(310)에 인가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전류를 시동전류라 이름할 수 있다.When the position estimating step R21 is completed, a sensorless driving step R22 may be performed in which the electric motor 310 is controll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otor detected in the position estimating step. The motor driving apparatus 350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actual rotor by a sensorless algorithm and can start the motor 310 according to the command spe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less control of the electric motor 310 can be referred to as " start control ". In the sensorless driving step, the second driving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motor 310, and the second driving current may be referred to as a starting current.

한편, 상기 압축기(300)에 걸리는 부하, 소손 등의 문제로 상기 전동기(310)(또는, 압축기(300)) 시동이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초기 정렬 단계(R1), 위치 추정 단계(R2)를 재수행(또는, 재동작)하여, 상기 전동기(310)를 재시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동기(310)의 재시동횟수는 카운트될 수 있고, 상기 제 1 구동전류 및 상기 제 2 구동전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동기(310)의 시동횟수에 기초하여 가변될 수 있다. 일례로, 시동횟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 1 구동전류 및 상기 제 2 구동전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시동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tor 310 (or the compressor 300) may fail to start due to a load on the compressor 300, burnout,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60 may restart the motor 310 by re-executing (or re-operating) the initial alignment step R1 and the position estimation step R2. The number of restarts of the motor 310 may be counted,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drive current and the second drive current may be vari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motor 310 is started.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driving current and the second driving current ma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arting times as the starting frequency increases.

상기 센서리스 구동단계에서, 상기 전류검출유닛(355)에는 상기 전동기(310)에 인가되는 전류가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리스 구동단계에서 검출되는 전류는 제 2 구동전류일 수 있다. 상기 전류검출유닛(355)에서 검출된 전류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상기 제어유닛(360)에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전류는 상기 인버터부(354)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의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In the sensorless driving step, a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310 may be detected in the current detection unit 355. Here, the current detected in the sensorless driving step may be a second driving current.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355 may be applied to the control unit 360 as a discrete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The detected current may be used to generate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unit 354. [

상기 제어유닛(3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류검출유닛(355)에서 검출된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전동기(310)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동기(310)의 회전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추정된 위치 및 회전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속도 지령에 따라 상기 전동기(310)가 구동되도록 여러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펄스 폭(pulse width)이 가변 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버터부(354)에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60 can estimate the rotor position of the motor 310 based o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355 as described above, Can be calculated. Further, based on the estimated position and rotation speed, various control operations are performed to drive the motor 310 according to the speed command to generate a switching control signal having a variable pulse width, And outputs it to the inverter unit 354.

[압축기의 시동 알고리즘][Starting algorithm of compressor]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시동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tart-up algorithm of a compres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의 압축기의 시동 알고리즘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구동전류" 명칭을 "시동전류" 명칭으로 대체하여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the starting algorithm of the following compress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name of the " second driving current " is replaced with the name of " starting current "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운전 시작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압축기(300)에 구비되는 제어유닛(360)에는 시동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4, 5, and 7, an operation start command may be input to the air conditioner 10 through the input unit. In this case, a start command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360 provided in the compressor 300. [

상기 제어유닛(360)은 시동명령 횟수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S110). 일례로, 상기 시동명령 횟수는 카운트변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초기화 시에, 상기 카운트변수의 값은 '1'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60 can initialize the number of start commands (S110). For example, the count of the start command may be set to a count variable, and the value of the count variable may be '1' at the time of initialization.

상기 제어유닛(360)은 초기정렬단계로 동작할 수 있다(S130). 상기 제어유닛(360)은 제 1 설정시간 동안 기설정된 제 1 구동전류를 상기 전동기(310)에 인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동기(310)에 상기 제 1 구동전류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전동기(310)의 회전자는 일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60 may operate as an initial alignment step (S130). The control unit 360 may apply the predetermined first driving current to the electric motor 310 for a first set time. As the first driving current is inputted to the electric motor 310, the rotor of the electric motor 310 may be alig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제 1 설정시간이 경과 하면,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위치 추정 단계(R2)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메모리(358)를 참조하여, 설정된 카운트변수에 대응되는 시동전류(제 2 구동전류)를 제 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전동기(310)에 인가시킬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어유닛(360)은 제 1 구동 주파수 구간에 대응되는 구동 주파수로 상기 시동전류를 상기 전동기(310)에 입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전류검출유닛(355)을 제어하여 상기 전동기(310)의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운트변수가 1일때, 상기 시동범위 테이블정보에 매칭되는 시동전류값은 제 1 시동전류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시동전류는 상기 전동기(310)가 구동 가능한 정격전류 범위 중 가장 작은 값일 수 있다.When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360 may be driven to the position estimation step R2.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60 can refer to the memory 358 and apply the starting current (second driv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set count variable to the electric motor 310 for the second set time.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360 may input the starting current to the motor 310 at a driv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terval.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60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the electric motor 310 by controlling the current detection unit 355. Meanwhile, when the count variable is 1, the starting current value matching the starting range table information may be the first starting current. The first starting current may be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rated current range in which the electric motor 310 can be driven.

상기 제 1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유닛(360)은 센서리스 모드 진입을 시도할 수 있다(S150).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전동기(310)를 시동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리스 모드 진입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360)은 별도의 중단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센서리스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170).When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360 may attempt to enter the sensorless mode (S150).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360 can start-up control of the electric motor 310. If the sensorless mode entry is successful, the control unit 360 may perform the sensorless mode until a separate stop command is input (S170).

한편, 상기 센서리스 모드 진입이 실패는 경우(S150),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카운트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S190).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시동 제어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카운트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시동 시패 시,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카운트변수를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nsorless mode entry fails (S150), the control unit 360 may increase the count variable (S190). In other words, if the startup control fails, the control unit 360 may increase the count variable. For example, at start-up, the control unit 360 may increase the count variable by '1'.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메모리(358)를 참조하여, 상기 카운트변수에 대응되는 시동전류 값을 불러올 수 있다(S200). 상세히,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메모리(358)에 저장된 시동범위 테이블 정보에 상기 카운트변수를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카운트변수가 2인 경우,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제 1 시동전류 보다 큰 제 2 시동전류를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60 may refer to the memory 358 and call a starting curr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unt variable (S200). In detail, the control unit 360 may match the count variable to the starting range tabl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358. [ When the count variable is 2, the control unit 360 can recognize the second starting current larger than the first starting current.

상기 제어유닛(360)은 증가시킨 카운트변수 및 제 1 제한값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S210).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어유닛(360)은 증가시킨 카운트변수에 대응되는 시동전류의 전동기 최대 정격전류(또는, 압축기 최대 정격전류) 초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운트변수가 4일때, 상기 카운트변수에 대응되는 제 4 시동전류(I4)가 최대 정격전류이다. 이에 따라, 상기 카운트변수가 '4' 일때, 상기 카운트변수는 제 1 제한값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60 may compare the incremented count variable and the magnitude of the first limit value (S210).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360 can check whether the motor's maximum rated current (or the compressor's maximum rated current) of the start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incremented count variable is exceede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when the count variable is 4, the fourth starting current I4 corresponding to the count variable is the maximum rated current. Accordingly, when the count variable is '4',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unt variable is the first limit value.

그리고 카운트변수가 '10'일 때, 상기 제어유닛(360)은 추가되는 재시동을 중단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표시부에 경고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카운트변수가 '10'일 때, 상기 카운트변수는 제 2 제한값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When the count variable is &quot; 10 &quot;, the control unit 360 stops the additional restart and displays a warning on the display unit of the air conditioner 10. [ Here, when the count variable is '10',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unt variable is a second limit value.

상기 카운트변수가 상기 제 1 제한값에 도달하기 전까지, 상기 제어유닛(360)은 단계 S130 내지 S210 단계를 반복하면서, 상기 전동기(310)(또는, 압축기(300))를 재시동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60 can restart the electric motor 310 (or the compressor 300) while repeating steps S130 to S210 until the count variable reaches the first limit value.

한편, 상기 카운트변수가 상기 제 1 제한값을 초과하고(S210), 상기 제 2 제한값 미만인 경우(S250)인 경우, 상기 제어유닛(360)은 설정시간 대기후, 최대 정격전류로 상기 전동기(310)(또는, 압축기(300))를 재시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정시간은 3분일 수 있다(S270).If the count variable exceeds the first limit value (S210) and the count value is less than the second limit value (S250), the control unit 360 waits for the set time, (Or the compressor 300) can be restarted. For example, the set time may be 3 minutes (S270).

상기 카운트변수가 상기 제 2 제한값에 도달한 경우(S250), 상기 제어유닛(360)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S290).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표시부를 제어하여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count variable reaches the second limit value (S250), the control unit 360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 (S290). Further, a warning can be displayed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of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air conditioner 10 has a problem.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시동 알고리즘에 따른 전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8 is a graph showing a current change according to a compressor start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면에 도시된 그래프를 설명하기 앞서, 상기 그래프의 구성을 설명한다.Prior to describing the graphs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graphs will be described.

상기 그래프의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상기 전동기에 인가된 전류의 크기를 의미한다.The x-axis of the graph represents the time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그리고 x축의 (A)구간은 1차 시동구간, (B)구간은 2차 시동구간, (C)구간은 3차 시동구간을 의미한다.The section (A) of the x-axis means the first starting section, the section (B) means the second starting section, and the section (C) means the third starting section.

도 8을 참조하면, (A)구간에서는, 상기 압축기(300)가 시동부하 증가로 인하여 시동을 실패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시동부하가 증가한 것은, 일례로, 실외온도 저하로 인한 오일 동점도 증가로 이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the section (A),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ressor 300 fails to start due to an increase in startup load. The increase in the starting load can be understood, for example, as an increase in the oil kinematic viscosity due to the decrease in the outdoor temperature.

(B)구간에서, 상기 압축기가 상기 전동기 시동 알고리즘에 의해 시동전류를 1단계 증가시킨 시동전류로 재시동하였다. 여기서 도시된 그래프를 살펴보면 시동전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구간에서 1차례 증가시킨 시동전류로 재시동을 시도하였으나, 상기 압축기의 시동이 실패한 것을 볼 수 있다.(B), the compressor is restarted with the starting current by increasing the starting current by one step by the motor starting algorithm. The graph shown here shows that the starting current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t is tried to restart the compressor with the starting current increased by one time in the section (A), but it can be seen that the compressor fails to start.

(C)구간에서는, 상기 압축기(300)가 이전 차례 재시동시의 시동전류 보다 1단계 증가시킨 시동전류로 재시동하여, 시동에 성공한 것을 볼 수 있다.(C), it can be seen that the compressor 300 is restarted with the starting current increased by one step from the starting current at the time of the previous restart, and the startup is successful.

본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300)가 시동 가능한 정격전류의 범위 중 가장 낮은 단계부터 시동을 시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300)의 소비전력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pressor 300 tries to start from the lowest level of the rated current range that can be start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ressor 300 is improved.

또한, 상기 압축기(300)는 상기 메모리(358)에 기저장된 시동범위 테이블을 이용하여 시동전류를 선정하므로, 시동에 실패하더라도 스스로 재시동을 수행할 수 있다. Also, since the compressor 300 selects the starting current using the startup range table pre-stored in the memory 358, the compressor 300 can restart itself even if the startup fails.

또한, 상기 압축기(300)는 시동전류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재시동을 수행하므로, 시동부하로 인한 시동실패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 소요가 감소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mpressor 300 restarts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starting current, the startup failure rate due to the starting load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intenance requirement is reduc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mproved.

Claims (12)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실외기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구;
상기 압축기구를 구동시키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에 구동 전류를 인가시키는 인버터부;
상기 인버터부에서 제공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유닛; 및
상기 전동기에 인가될 전류를 설정하고,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여 설정한 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전동기 시동 시, 상기 전동기의 시동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전동기의 초기 정렬을 위한 초기 정렬 전류 또는 상기 전동기의 위치 추정 및 센서리스 구동을 위한 시동전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상기 시동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초기 정렬 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여 상기 전동기의 초기 정렬을 시도하고, 상기 시동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여 상기 전동기의 위치 추정 및 센서리스 구동을 시도하고,
상기 전동기 시동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시동횟수가 기설정된 설정횟수를 넘지 않는 한도에서 상기 전동기의 재시동을 시도하고,
상기 시동전류는
상기 전동기가 구동될 수 있는 정격전류 범위 이내이고,
상기 제어유닛은
최초의 상기 전동기 시동 시, 상기 시동전류의 크기를 상기 정격전류 범위 중 가장 작은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동기의 재시동 시, 상기 전동기에 인가되는 시동전류가 상기 정격전류 범위 중 최대 정격전류에 도달하는 경우, 설정횟수 동안 상기 최대 정격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여 상기 전동기의 재시동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 compression mechanism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the compression mechanism;
An inverter unit for applying a driving current to the electric motor;
A curr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urrent provided by the inverter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setting a current to be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and controlling the inverter unit to apply the set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ic motor,
The control unit
And counting the number of starting times of the electric motor at the start of the electric motor,
Setting at least one of an initial alignment current for initial alignment of the electric motor, a position estimation of the electric motor and a starting current for sensorless driving to increase as the number of starting times increases,
The initial alignment current is applied to the motor to attempt initial alignment of the motor and the start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motor to attempt position estimation and sensorless drive of the motor,
When the starting of the electric motor fails, the electric motor is attempted to be restarted as long as the number of starting times does not exceed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starting current
The motor is within a rated current range at which the motor can be driven,
The control unit
The starting current is determined to be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rated current ranges when the motor starts for the first time,
Wherein when the start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reaches a maximum rated current in the rated current range during a restart of the motor, the maximum rated current is applied to the motor for a set number of times to attempt to restart the motor. Air condition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시동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시동전류의 크기를 10퍼센트씩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startup current by 10% as the number of starting times increa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의 시동횟수에 따른 시동전류 정보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동기의 재시동시에,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시동횟수에 대응되는 시동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시켜 재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rting curr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rting number of the electric motor is stored in a table form,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restarting the electric motor,
And restarts the motor by applying a start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arting times to the motor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시동횟수가 상기 기설정된 설정횟수를 경과하는 경우, 재시동을 중단하고,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통해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Wherein the air conditioner stops the restart when the number of starts exceeds the preset number of times and outputs a warning through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indoor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시동에 실패하는 경우,
설정시간 대기 후 상기 전동기를 재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failing to start,
And restarts the electric motor after waiting for a set time.
전동기에 시동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시동명령에 따라 상기 전동기의 시동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기의 시동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동기의 시동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전동기의 초기 정렬을 위한 초기 정렬 전류 또는 상기 전동기의 위치 추정 및 센서리스 구동을 위한 시동전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상기 시동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 정렬 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여 상기 전동기의 초기 정렬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시동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여 상기 전동기의 위치 추정 및 센서리스 구동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동기 시동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시동횟수가 기설정된 설정횟수를 넘지 않는 한도에서 상기 전동기의 재시동을 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동전류는
상기 전동기가 구동될 수 있는 정격전류 범위 이내이고,
상기 전동기의 시동을 수행하는 단계는
최초의 상기 전동기 시동 시, 상기 시동전류의 크기를 상기 정격전류 범위 중 가장 작은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동기의 재시동 시, 상기 전동기에 인가되는 시동전류가 상기 정격전류 범위 중 최대 정격전류에 도달하는 경우, 설정횟수 동안 상기 최대 정격전류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여 상기 전동기의 재시동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A step of inputting a start command to an electric motor; And
Performing start-up of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start command
Lt; / RTI &gt;
The step of starting the electric motor
Counting a starting frequency of the electric motor;
Setting at least one of an initial alignment current for initial alignment of the electric motor or a starting current for sensorless drive of the electric motor to increase as the number of starts increases;
Applying the initial alignment current to the motor to attempt initial alignment of the motor;
Applying the starting current to the motor to attempt position estimation and sensorless driving of the motor; And
When the starting of the motor fails, attempting to restart the motor in such a manner that the number of starting times does not exceed a preset number of times
Lt; / RTI &gt;
The starting current
The motor is within a rated current range at which the motor can be driven,
The step of starting the electric motor
The starting current is determined to be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rated current ranges when the motor starts for the first time,
Wherein when the starting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reaches a maximum rated current in the rated current range during a restart of the motor, the maximum rated current is applied to the motor for a set number of times to attempt to restart the motor.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50715A 2017-11-13 2017-11-13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9794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715A KR101979453B1 (en) 2017-11-13 2017-11-13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715A KR101979453B1 (en) 2017-11-13 2017-11-13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453B1 true KR101979453B1 (en) 2019-05-16

Family

ID=6667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7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9453B1 (en) 2017-11-13 2017-11-13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45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50044A (en) * 2022-12-09 2023-04-11 小米科技(武汉)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restart control parameter of compressor,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6045383A (en) * 2023-01-30 2023-05-02 海信空调有限公司 an air condition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2383B2 (en) * 1995-03-14 2002-10-07 松下冷機株式会社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brushless motor starting device applied to the device
KR100811659B1 (en) * 2007-01-17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Starting Control Method of Compressor Including Brushless DC Motor
KR100829182B1 (en) * 2002-07-03 200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How to control BCD motor in inverter air conditioner
JP2008157182A (en) * 2006-12-26 2008-07-10 Mitsubishi Heavy Ind Ltd Driv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00033803A (en) * 2008-09-22 2010-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KR20100097529A (en) * 2009-02-26 201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of controlling meht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2383B2 (en) * 1995-03-14 2002-10-07 松下冷機株式会社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brushless motor starting device applied to the device
KR100829182B1 (en) * 2002-07-03 200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How to control BCD motor in inverter air conditioner
JP2008157182A (en) * 2006-12-26 2008-07-10 Mitsubishi Heavy Ind Ltd Driv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811659B1 (en) * 2007-01-17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Starting Control Method of Compressor Including Brushless DC Motor
KR20100033803A (en) * 2008-09-22 2010-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KR20100097529A (en) * 2009-02-26 201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of controlling meht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50044A (en) * 2022-12-09 2023-04-11 小米科技(武汉)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restart control parameter of compressor,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6045383A (en) * 2023-01-30 2023-05-02 海信空调有限公司 an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7377B2 (en) Motor driving device, as well as refrigerator and device for operating compressor in which said motor driving device is used
US20070101735A1 (en) Heat pump apparatus using expander
CN106796070B (en) Variable speed compressor control with acoustic defrost mode
CN100366902C (en) Drives for electric compressors
US200903244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fault condition in a compressor
EP3186100B1 (en) Variable speed compressor startup control
US9595899B2 (en) Motor control device
CN104653444B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tarting of variable-frequency air conditioner
CN110892634B (en) Driving device, air conditioner and driving method
KR102267353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CN101726135B (en) Air-conditioning system with two working mod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06613A1 (en) Motor control device and refrigeration/air conditioning device
KR101979453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180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brushless moto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140021174A (en) Compress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compressor
Chretien et al. System solution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of HVAC systems
JP6093606B2 (en) Motor drive device
JP2005207362A (en) Electric compressor drive device
KR102402836B1 (en) Air conditioner and operrating method thereof
KR102542120B1 (en) Fa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JP7479560B2 (en)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KR102773911B1 (en) Apparatus and mothod for motor control and conditioner using the same
CN201715781U (en) Air-conditioning system with two work modes
JP2004205163A (en) Refrigeration equipment
CN116232138A (en) Motor drive control device, motor drive control method, and refrigerating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5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