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2966B1 - Apparatus for vehicle protection and vehicle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vehicle protection and vehicle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966B1
KR101972966B1 KR1020160096175A KR20160096175A KR101972966B1 KR 101972966 B1 KR101972966 B1 KR 101972966B1 KR 1020160096175 A KR1020160096175 A KR 1020160096175A KR 20160096175 A KR20160096175 A KR 20160096175A KR 101972966 B1 KR101972966 B1 KR 101972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posed
inspection
protection devic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3059A (en
Inventor
이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젠
Priority to KR1020160096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966B1/en
Priority to PCT/KR2016/009131 priority patent/WO2018021610A1/en
Priority to EP18189456.9A priority patent/EP3425115A1/en
Priority to EP16186626.4A priority patent/EP3276082A1/en
Publication of KR2018001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0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96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방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진입한 차량 및 차량 탑승자를 조회할 수 있는 제1 검문 영역 및 차량 방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검문 영역을 통과한 차량 내부를 감지하는 제2 검문영역을 포함하고, 차량이 상기 상기 제2 검문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차량 방호 장치의 베이스부 또는 방호부는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검문 차량이 진입하면 방호부가 상승하여 방호벽이 차량 주변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검문 중이 차량이 폭발하여도 방호벽에 의해 폭발물 파편 들이 검문 영역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a vehicle insp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including a first inspection area and a vehicle protection device capable of inquiring about a vehicle entering and a vehicle occupant, and including an interior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the first inspection area. It includes a second detection area for sensing, the base portion or the protection unit of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can operate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second detection area.
Therefore, when the inspection vehicle enters, the protection unit rises and the barrier wall may surround the vehicle. Therefore, even if the vehicle explodes during the inspection, the debris can be prevented from scattering around the inspection area by the firewall.

Figure R1020160096175
Figure R1020160096175

Description

차량 방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Apparatus for vehicle protection and vehicle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vehicle insp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aratus for vehicle protection and vehicle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방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a vehicle insp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보안 시설이 강화된 건물의 경우 출입 차량에 대해서 차량과 탑승자에 대한 검문검색을 실시한다. 차량은 건물 출입구에 정차한 상태로 검문검색을 받는다. 검문검색 중인 차량이 폭발물에 의해 폭발할 경우 폭발 파편이 비산될 수 있다. 파편에 의해 검문자에 대한 인명피해, 건물 붕괴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검문검색 중 도주 차량에 대해 신속하게 제제를 하지 못하였다.In the case of buildings with enhanced security facilities, check-in inspections of vehicles and occupants are carried out on the entry vehicles. The vehicle is inspected at the doorway of the building. If the vehicle under inspection is exploded by explosives, the debris may scatter. Debris can cause problems such as personal injury to buildings, collapse of buildings, etc. In addition, during the screening search could not be quickly formulated for the escape vehicle.

실용신안등록 제20-0398277호 (2005.10.05.)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8277 (2005.10.05.) 공개특허 제10-2009-0027874호 (2009.03.18.)Publication No. 10-2009-0027874 (2009.03.18.)

본 발명은 검문 차량을 격리시켜 검문을 실시할 수 있는 차량 방호 장치 및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a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that can isolate the inspection vehicle and perform the inspec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장치는 차량이 위치할 수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외곽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하부에 위치한 방호부 및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방호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vehicle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unit on which the vehicle is located, a protection unit disposed along the base portion and positioned below the base unit, and a driving unit for elevating the base unit or the protection unit. do.

상기 차량 방호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방호부를 지지하는 골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rame part supporting the base part and the protection part.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방호부와 연결된 복수의 리드 볼 스크류 및 상기 리드 볼 스크류와 동력 연결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ad ball screws connected to the base part or the protection part and a motor power connected to the lead ball screws.

상기 방호부는, 상기 리드 볼 스크류의 볼너트와 연결된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배치된 복수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결합된 방호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on unit may include a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ball nut of the lead ball screw,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disposed vertically at the edg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 firewall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상기 방호벽은, 이웃한 수직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충격흡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ewall may include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panels disposed between adjacent vertical frames.

상기 충격흡수패널은, 서로 떨어져 있는 제1 및 제2 충격흡수층, 상기 제1 및 제2 충격흡수층 사이에 배치된 충격분산층, 상기 분산층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비산방지층 및 상기 제1 충격흡수층, 충격분산층, 비산방지층 및 제2 충격흡수층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panel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hock absorbing lay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impact dispers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ock absorbing layers, a scattering prevention lay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persion layer, and the first shock absorbing layer; The impact dispersion layer, the scattering prevention layer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layer may comprise a bonding layer for bonding to each other.

상기 방호벽은, 상기 복수의 충격흡수패널과 상기 수직 프레임 외측에 배치된 비산방지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urity barrie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panels and a scattering prevention panel disposed outside the vertical frame.

상기 비산방지패널은, 탄성보강력을 가지며 상기 충격흡수패널의 비산을 방지하는 복수의 비산방지층 및 상기 복수의 비산방지층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한 상기 비산방지층을 결합하는 결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ti-scattering pan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i-scattering layers having elastic reinforcement and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anti-scattering layers to prevent the scattering of the impact absorbing panel and the plurality of anti-scattering layers to couple the adjacent anti-scattering layers.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드 볼 스크류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승강하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방호부를 안내하는 복수의 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bar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ead ball screw and guiding the base part or the protective part to move up and dow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은, 진입한 차량 및 차량 탑승자를 조회할 수 있는 제1 검문 영역 및 상기와 같이 기재된 차량 방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검문 영역을 통과한 차량 내부를 감지하는 제2 검문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검문영역에 상기 차량이 위치하면 상기 차량 방호 장치의 베이스부 또는 방호부는 동작할 수 있다.A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spection area capable of inquiring a vehicle entering and a vehicle occupant, and a vehicle prote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inspection area. And a second checkpoint area for detecting a position, and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second checkpoint area, the base part or the protector of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may operate.

상기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은, 상기 제1 검문 영역 및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차량 퇴출구 바닥에 각각 배치된 타이어 파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ire breaker disposed at a bottom of a vehicle exit of the first insp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respectively.

상기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은, 상기 제1 검문 영역 및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차량 퇴출구 바닥에 각각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된 진입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entry prevention unit disposed to lift on and off a vehicle exit floor of the first insp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respectively.

상기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은, 상기 제1 검문 영역과 상기 제2 검문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량 하부를 촬영할 수 있는 하부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hotograph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p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and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상기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은, 상기 제1 검문 영역과 상기 제2 검문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량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내부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g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p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and an internal photographing unit disposed at the gate and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상기 제2 검문영역은, 상기 차량 방호 장치에 배치되어 있고 차량의 바퀴를 지지할 수 있는 도주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spection area may further include an escape prevention unit disposed on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capable of supporting wheels of the vehicle.

상기 제2 검문 영역은, 상기 차량 방호 장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량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차량 내부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spection area may further include an in-vehicle detection unit disposed in the vehicle protection apparatus and configured to identify the inside of the vehicle.

상기 제2 검문 영역은, 상기 차량 방호 장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량에 부착물을 장착시킬 수 있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spection area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ortion disposed in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configured to mount an attachment to the vehicle.

상기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은, 상기 제1 검문 영역 및 상기 제2 검문 영역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검문로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nspection gate forming unit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insp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in a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문 차량이 진입하면 방호부가 상승하여 방호벽이 차량 주변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검문 중이 차량이 폭발하여도 방호벽에 의해 폭발물 파편 들이 검문 영역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spection vehicle enters, the protection unit may rise, and the protection wall may surround the vehicle. Therefore, even if the vehicle explodes during the inspection, the debris can be prevented from scattering around the inspection area by the firewall.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타이어 파손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진입 방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방호 장치의 방호부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차량 방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방호 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를 Ⅶ-Ⅶ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Ⅷ-Ⅷ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9는 도 6의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구동부와 메인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ire breakage portion of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ntry prevention part of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on part of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shown in FIG. 1 is rais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of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tection unit of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5.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a portion of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unit of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main frame of FIG.
Figure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차량 방호 장치가 적용된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 위주로 설명한다.The vehicle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vehicle protection system to which the vehicle protection apparatus is applied will be mainly described.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Next, a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은 제1 검문 영역(1), 제2 검문 영역(2), 검문로 형성부(3), 타이어 파손부(4a, 4b), 진입 방지부(5a, 5b), 게이트(6), 하부 촬영부(7) 및 내부 촬영부(8)를 포함하며 차량 검문로 등에 설치되어 진입 차량, 차량 탑승자를 검문하고 검문 시 차량이 폭발할 경우 검문 영역 주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inspection region 1, a second inspection region 2, an inspection passage forming portion 3, and tire damage portions 4a and 4b. It includes the prevention part (5a, 5b), the gate (6), the lower photographing part (7) and the internal photographing part (8) and is installed in the vehicle inspection path, etc. to inspect the entering vehicle, the occupant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explodes during the inspection. Protect the area around the inspection area.

제1 검문 영역(1)과 제2 검문 영역(2)은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검문 영역(1)은 진입 차량을 조회하고 탑승자 신원을 검문검색할 수 있으며 제2 검문 영역(2)은 폭발물, 유해약품 등을 검문검색 할 수 있다.The first inspection region 1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2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inspection area 1 may search for an entry vehicle and search for the passenger's identity, and the second inspection area 2 may search for an explosive or a harmful drug.

제1 검문 영역(1)은 조회부(11)를 포함한다.The first inspection area 1 includes an inquiry unit 11.

조회부(11)는 하우징,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고 차량과 탑승자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촬영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 관리자를 호출할 수 있는 호출기, 관리자와 통화할 수 있는 인터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회부(11)는 홍체 촬영부, 지문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quiry unit 11 may include a housing, a camera disposed in the housing,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 vehicle and a passenger, a monitor capable of checking photographed images, a pager capable of calling a manager, an interphone capable of talking with a manager, and the like. Can be. The inquiry unit 11 may further include a iris photographing unit and a fingerprint photographing unit.

조회부(11)는 관리실(도시하지 않음)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는 촬영 이미지를 전송 받고 등록된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The inquiry unit 11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of a management room (not shown). The controller may receive the captured image and compare it with the registered data.

조회부(11)의 세부적인 구성은 널리 공지된 보안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quiry unit 11 can be applied to a well-known security configuration bar description of the detailed structure will be omitted.

검문로 형성부(3)는 방지턱(31) 및 진입 방지바(32)를 포함하며 제1 검문 영역(1)과 제2 검문 영역(2)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검문로 형성부(3)는 차량 검문로와 보행로를 구획하고 차량 도주를 방지할 수 있다.The inspection path forming portion 3 includes a stopper 31 and an entrance prevention bar 32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spection region 1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2. The inspection path forming unit 3 may partition the vehicle inspection path and the pedestrian path and prevent vehicle escape.

방지턱(31)은 지면에서 기설정된 높이로 돌출되어 있고 콘크리트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방지턱(3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 Y(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X(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있다. 방지턱(31)의 폭 방향 간격은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정도로 떨어져 있다. 폭 방향 일측에 위치한 방지턱(31)에는 조회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차량 운전석 위치에 따라 조회부(11)는 폭 방향 타측 방지턱(31)에 설치될 수 있다.The brace 31 protrudes from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y be formed of concrete. The bumps 31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Y (width) dir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e spaced along the X (length) direction. The width | variety space | interval of the prevention member 31 is far enough to let a vehicle pass. The inquiry part 11 is provided in the prevention jaw 31 located i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The inquiry unit 11 may be installed at the other side jaw 31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driver's seat position.

진입 방지바(32)는 방지턱(31)의 상면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진입 방지바(32)는 방지턱(31)을 넘은 차량의 도주를 방지할 수 있다.The entry prevention bar 32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vention jaw 31 and i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ntrance preventing bar 32 may prevent the vehicle from escaping beyond the jaw 31.

한편 방지턱(31) 또는 진입 방지바(32)는 생략될 수 있다. 방지턱(31)이 생략된 경우 진입 방지바(32)는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방지턱(31)과 진입 방지바(32) 모두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vention jaw 31 or the entrance prevention bar 32 may be omitted. If the prevention jaw 31 is omitted, the entrance prevention bar 32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However, both the prevention jaw 31 and the entrance prevention bar 32 may be omitted.

타이어 파손부(4a, 4b)는 제1 검문 영역(1)과 제2 검문 영역(2)의 차량 퇴출구 부분 지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검문 중 도주하는 차량의 타이어를 파손시킬 수 있다.The tire breakage portions 4a and 4b are disposed on the ground of the vehicle exit portion of the first inspection region 1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2, respectively, and may damage the tires of the escaping vehicle during the inspection.

도 2를 더 참고하면, 제1 검문 영역(1)의 차량 퇴출구에 배치된 타이어 파손부(4a)는 하우징(41), 철침패널(42), 승강 구동부(43) 및 철침(44)을 포함한다. 도면 [도 1]에서 타이어 파손부(4a)가 Y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하였으나, 타이어 파손부(4a)는 Y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further, the tire breakage portion 4a disposed at the vehicle exit of the first inspection region 1 may include the housing 41, the piercing panel 42, the elevating driving unit 43, and the piercing 44. Include. In FIG. 1, the tire breaker 4a is generally disposed along the Y direction, but the tire breaker 4a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Y direction.

하우징(41)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면에는 내부와 연결된 복수의 철침구멍(41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41)은 지면에 매설될 수 있으며, 하우징(41) 상면은 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41)의 상면은 하우징(41)의 하면을 기준으로 지면보다 높을 수 있다.The inside of the housing 41 is empty and has a plurality of iron needle holes 411 connected to the inside thereof. The housing 41 may be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41 may be coplanar with the ground. Howev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41 may be higher than the ground relati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41.

철침패널(42)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하우징(41) 내부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철침패널(42)과 하우징(41)의 사이에는 철침패널(42)이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The piercing panel 42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arranged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housing 41. A guide (not shown) may be formed between the piercing panel 42 and the housing 41 to guide the piercing panel 42 to rise and fall without shaking.

승강 구동부(43)는 캠(431) 및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철침패널(42)과 하우징(41) 내부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철침패널(42)을 승강시킨다.The elevating drive unit 43 includes a cam 431 and a motor (not shown),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aliva panel 42 and the bottom of the housing 41 and lifts the saliva panel 42.

캠(431)은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캠(431)의 적어도 일부분은 철침패널(42)의 하면과 접하고 있다. 캠(431)의 회전에 따라 철침패널(42)은 승강할 수 있다.The cam 431 is arrange | positioned in multiple number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shaft (not show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m 43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needle panel 42.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 431, the iron needle panel 42 may be elevated.

모터는 샤프트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모터의 동력은 샤프트를 통해 캠(431)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모터는 캠(431) 마다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모터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할 수 있다.The motor is in power connection with the shaft. Power of the motor may be transmitted to the cam 431 through the shaft. On the other hand, the mot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cam 431. The mot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can be driven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도면 [도 2]와 위 설명에서 승강 구동부(43)를 캠, 모터, 샤프트 등으로 설명하였으나, 승강 구동부(43)는 전동 실린더, 유압 실린더, 2개의 바가 엑스 형태로 교차된 엑스링크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FIG. 2 and the description above, the lift driver 43 is described as a cam, a motor, a shaft, or the like, but the lift driver 43 is formed of an electric cylinder, a hydraulic cylinder, and an X-link having two bars crossed in an X shape. May be

철침(44)은 철침패널(42) 상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철침패널(42) 상승 시 철침구멍(411)을 통해 하우징(41)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철침(44)의 끝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강도를 갖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piercing needle 44 may be disposed in plur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cing panel 42, an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1 through the piercing hole 411 when the piercing panel 42 is raised. The tip of the iron needle 44 is pointed and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strength.

철침(44)이 하우징(41)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타이어 파손부(4a)를 통과하면 차량의 타이어는 파손될 수 있다.If the penetrating needle 44 passes through the tire breaker 4a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1, the tire of the vehicle may be damaged.

한편, 타이어 파손부(4a)는 하우징(41) 내부에 배치된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는 하우징(41) 내부로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을 배수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1)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이 자연 배수될 수 있도록 하우징(41)의 내부 바닥은 경사질 수 있다.Meanwhile, the tire breaker 4a may further include a pump (not shown) disposed in the housing 41. The pump may drain rainwater, sewage,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41.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41 may be inclined so that rainwater, sewage,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41 may be naturally drained.

하우징(41) 내부로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을 배수함으로써 하우징(41) 내부에 배치된 철침패널(42), 승강 구동부(43) 등을 빗물, 오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누전, 오 작동 등을 예방할 수 있다.By draining rainwater, sewage,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41, leakage, malfunction, etc., which may occur due to rainwater, sewage, etc., may occur in the iron needle panel 42 and the elevating drive unit 43 disposed inside the housing 41. It can be prevented.

도 1을 참고하면, 제2 검문 영역(2)의 차량 퇴출구에 배치된 타이어 파손부(4b)는 제1 검문 영역(1)에 배치된 타이어 파손부(4a)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타이어 파손부(4b)가 차량 방호 장치(200)를 벗어나 지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타이어 파손부(4b)는 차량 방호 장치(200)에 설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since the tire breakage portion 4b disposed at the vehicle exit of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2 is the same as the tire breakage portion 4a disposed at the first inspection region 1, th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t will be omitted. Meanwhile, although the tire breaker 4b is installed on the ground outside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200, the tire breaker 4b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200.

이와 같은 타이어 파손부(4a, 4b)는 차량이 검문 위치에 정차하면 철침(44)이 하우징(41) 외부로 돌출되도록 작동하고, 검문 결과 이상 없으면 철침(44)이 하우징(4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Such tire breakage parts 4a and 4b operate so that the protruding needle 44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41 when the vehicle stops at the prosecuting position. If the probing result is abnormal, the protruding needle 44 is drawn into the housing 41. Can work.

그러나 타이어 파손부(4a, 4b)는 생략될 수 있다.However, the tire breakage parts 4a and 4b can be omitted.

진입 방지부(5a, 5b)는 제1 검문 영역(1)과 제2 검문 영역(2)의 차량 퇴출구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검문 중인 차량이 다음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진입 방지부(5a, 5b)는 타이어 파손부(4a, 4b)와 이웃하게 위치하며 X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The entry prevention parts 5a and 5b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vehicle exit portions of the first inspection area 1 and the second inspection area 2 and prevent the vehicle under inspection from entering the next step. The entry prevention portions 5a and 5b are located adjacent to the tire breakage portions 4a and 4b and are arranged along the X direction.

도 3을 더 참고하면, 진입 방지부(5a)는 하우징(51), 승강부재(52) 및 승강 구동부(54)를 포함한다.Referring further to FIG. 3, the entry preventing unit 5a includes a housing 51, a lifting member 52, and a lifting drive unit 54.

하우징(51)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면에는 내부와 연결된 인출 구멍(51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1)은 지면에 매설될 수 있으며 상면은 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The inside of the housing 51 is empty, and the drawing hole 511 connected to the insid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The housing 51 may be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upper surface is coplanar with the ground.

승강부재(52)는 하우징(51) 내부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승강부재(52)와 하우징(51) 내부면 사이에는 승강부재(52)가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 [도 1], [도 3]에서 승강부재(52)를 원기둥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그 모양은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elevating member 52 is arranged to elevate inside the housing 51. A guide (not shown) may be formed between the elevating member 5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51 to guide the elevating member 52 to move up and down without shaking. In FIG. 1 and FIG. 3, the elevating member 52 is illustrat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its shape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design.

승강 구동부(54)는 하우징(5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 신호에 따라 승강부재(52)를 승강시킨다. 승강 구동부(54)는 전동 실린더 또는 리드 볼 스크류로 형성되어 있다. 승강 구동부(54)는 유압 실린더일 수도 있다. 승강 구동부(54)의 구조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lift driver 54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51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o lift the lift member 52 according to the controller signal. The lift drive unit 54 is formed of an electric cylinder or a lead ball screw. The lifting drive unit 54 may be a hydraulic cylinder. The structure of the lift driver 54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design.

한편, 승강부재(52)의 상부측에는 램프모듈(53)이 배치되어 있다. 램프모듈(53)은 제어부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예컨대, 램프모듈(53)은 승강부재(52)가 상승하여 차량 검문 중에는 적색으로 발광할 수 있고 승강부재(52)가 승강 동작할 때에는 청색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52)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는 녹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mp module 53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ing member (52). The lamp module 53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emit light in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For example, the lamp module 53 may be lifted up by the lifting member 52 to emit red light during the vehicle inspection, and may emit blue when the lifting member 52 moves up and down. 52 can emit green light in a completely lowered state.

한편, 진입 방지부(5a)는 하우징(51) 내부에 배치된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는 하우징(51) 내부로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을 배수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51)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이 자연 배수될 수 있도록 하우징(51)의 내부 바닥은 경사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try prevention portion 5a may further include a pump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51. The pump may drain rainwater, sewage,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51.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51 may be inclined so that rainwater, sewage,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51 may be naturally drained.

하우징(51) 내부로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을 배수함으로써 하우징(51) 내부에 배치된 승강부재(52), 승강 구동부(54) 등을 빗물, 오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누전, 오 작동 등을 예방할 수 있다.By draining rainwater, sewage,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51, a short circuit, malfunction, and the like, may be caused by rainwater, sewage, etc. of the elevating member 52 and the elevating drive unit 54 disposed inside the housing 51. It can be prevented.

도 1을 참고하면, 제2 검문 영역(2)의 차량 퇴출구에 배치된 진입 방지부(5b)는 제1 검문 영역(1)에 배치된 진입 방지부(5a)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진입 방지부(5b)가 차량 방호 장치(200)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진입 방지부(5b)는 차량 방호 장치(200)를 벗어나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entry preventing portion 5b disposed at the vehicle exit of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2 is the same as the entry preventing portion 5a disposed at the first inspection region 1, and thus, th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t will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entry prevention portion 5b is shown as being located in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200, the entry prevention portion 5b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outside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200.

이와 같은 진입 방지부(5a, 5b)는 타이어 파손부(4a, 4b)와 동일하게 차량이 검문 위치에 정차하면 승강부재(52)가 상승하도록 작동하고 검문 결과 이상 없으면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승한 승강부재(52)가 하강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The entrance preventing parts 5a and 5b operate in such a way that the lifting member 52 rises when the vehicle stops at the inspection posi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tire breakage portions 4a and 4b. The elevating member 52 may be operated to descend.

그러나 진입 방지부(5a, 5b)는 생략될 수 있다.However, the entry prevention portions 5a and 5b can be omitted.

게이트(6)는 제1 검문 영역(1)과 제2 검문 영역(2) 사이에 위치하며 제1 검문 영역(1)에서 검문을 통과한 차량이 통과할 수 있는 통행로를 형성한다. 게이트(6)에는 제어부와 연결된 램프모듈(6a)이 배치되어 있다. 램프모듈(6a)은 차량 검문 중에는 적색으로 발광하고 검문이 완료되면 녹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램프모듈(6a)은 진입 방지부(5a, 5b)의 램프모듈(53)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게이트(6)와 램프모듈(6a)은 생략될 수 있다.The gate 6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check region 1 and the second check region 2 and forms a passageway through which the vehicle which passed the check in the first check region 1 can pass. The lamp module 6a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s disposed in the gate 6. The lamp module 6a may emit red light during the vehicle inspection and light green when the inspection is completed. Since the lamp module 6a is the same as the lamp module 53 of the entrance preventing parts 5a and 5b,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gate 6 and the lamp module 6a may be omitted.

내부 촬영부(8)는` 게이트(6)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다. 내부 촬영부(8)는 제1 검문 영역(1)의 차량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내부 촬영부(8)는 차량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엑스레이, 열화상 등의 방식으로 촬영할 수 있다. 차량 내부 촬영으로 관제소에서는 차량 탑승인원, 적재물 등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촬영부(8)는 생략될 수 있다.The internal imaging section 8 is arranged at the gate 6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ection. The internal photographing unit 8 may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vehicle of the first inspection region 1. The internal photographing unit 8 may photograph by a method such as X-ray, thermal image, etc. that can see the inside of the vehicle. By taking pictures inside the vehicle, the control station can easily check the number of occupants and loads. However, the internal photographing unit 8 may be omitted.

하부 촬영부(7)는 제1 검문 영역(1)과 제2 검문 영역(2) 사이 지면에 설치되어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다. 하부 촬영부(7)는 차량 하부를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부 촬영부(7)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와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는 차량 모델에 따른 고유의 하부 이미지이다. 즉, 검문 중인 차량 하부와 동일 모델의 차량 하부를 비교하여 검문 중인 차량의 하부 변경 여부, 은닉물 등을 확인한다. 그러나 하부 촬영부(7)는 생략될 수 있다.The lower photographing unit 7 is installed on the ground between the first inspection region 1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2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lower photographing unit 7 may photograph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lower photographing unit 7 with the stored data. The stored data is a unique bottom image according to the vehicle model. That is, by comparing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under inspection and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of the same model, it is checked whether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under inspection is changed, a hidden object, and the like. However, the lower photographing unit 7 may be omitted.

도 4를 더 참고하면, 제2 검문 영역(2)은 차량 방호 장치(200), 도주 방지부(22), 차량 내부 감지부(23) 및 장착부(24)를 포함하며 제1 검문 영역(1)을 통과한 차량 내부의 냄새를 감지하여 검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inspection area 2 includes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200, the escape prevention unit 22, the vehicle interior detection unit 23, and the mounting unit 24, and the first inspection area 1. You can detect and smell the smell inside the vehicle that passed.

차량 방호 장치(200)는 골조부(210), 방호부(220), 구동부(240) 및 베이스부(260)를 포함하며 검문할 차량을 격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 방호 장치(200)는 지면에서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된 지하공간(도시하지 않음)에 배치되며 검문 시 방호부(220)가 작동하여 차량을 에워싸는 격리공간(220a)을 형성할 수 있다.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200 may include a skeleton portion 210, a protection portion 220, a driver 240, and a base portion 260 to isolate a vehicle to be inspected.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200 may be disposed in an underground space (not shown)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ground, and the protection unit 220 may operate at the inspection to form an isolation space 220a surrounding the vehicle.

도 5 및 도 6을 더 참고하면 골조부(210)는 바닥부재(211)와 기둥부재(213)를 포함하며, 바닥부재(211)와 기둥부재(213)는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설치 공간(210a)을 형성한다. 골조부(210)는 제2 검문 영역(2)을 이루는 지면에 매설될 수 있다. 골조부(210)는 지면에서 노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frame part 210 includes a bottom member 211 and a pillar member 213, and the bottom member 211 and the pillar member 213 are combined in an installation space 210a. ). The frame part 210 may be embedded in the ground that forms the second inspection area 2. Frame 210 is not exposed from the ground.

바닥부재(211)는 세로바와 가로바를 포함하며, 세로바와 가로바가 서로 연결되어 골조바닥(212)을 형성한다. 위 설명과 도면 [도 6]에서 바닥부재(211)를 세로바와 가로바로 설명하였으나 바닥부재(211)는 기설정된 넓이를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member 211 includes a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and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framework floor 212.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 [FIG. 6], the bottom member 211 is described as a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but the bottom member 211 may be formed as a panel with a predetermined width.

기둥부재(213)는 골조바닥(212) 외곽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바닥부재(211) 상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웃한 기둥부재(213)는 연결바로 서로 연결되어 보강되어 있다. 기둥부재(213)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홈(213a)이 형성되어 있다.The pillar member 213 is disposed at intervals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rame floor 212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211. Adjacent pillar members 2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bar and are reinforced. The pillar member 213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rail groove 213a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방호부(220)는 수평 프레임(221), 수직 프레임(222) 및 방호벽(230)을 포함하며 설치 공간(210a)에 배치되어 검문할 차량이 진입하면 상승하여 차량을 에워싸는 격리공간(220a)을 형성한다.The protection unit 220 includes a horizontal frame 221, a vertical frame 222, and a protection wall 230, and is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210a to move up when the vehicle to be inspected enters the isolation space 220a surrounding the vehicle. Form.

수평 프레임(221)은 가로바와 세로바를 포함하며, 가로바와 세로바가 서로 연결되어 방호바닥(221a)을 형성한다. 수평 프레임(221)은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호바닥(221a)은 골조바닥(212) 위에 배치되어 기둥부재(213)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 221 includes a horizontal bar and a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and the vertical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protective floor 221a. The horizontal frame 22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protective floor 221a may be disposed on the framework floor 212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pillar member 213.

방호바닥(221a) 모서리 부분은 기둥부재(213)와 마주하며, 방호바닥(221a) 모서리 부분에는 레일홈(213a)의 둘레와 접한 롤러(221b)가 결합되어 있다. 롤러(221b)는 방호바닥(221a) 승강 시 레일홈(213a) 둘레를 따라 구르면서 수평 프레임(221)이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롤러(221b)는 생략될 수 있다. 기둥부재(213)와 수평 프레임(221) 사이에는 엘엠 가이드가 배치될 수도 있다.The corner portion of the protective floor 221a faces the pillar member 213, and the roller 221b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rail groove 213a is coupled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protective floor 221a. The roller 221b is ro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ail groove 213a when the protective floor 221a ascends so that the horizontal frame 221 can be lifted smoothly without shaking. However, the roller 221b can be omitted. An EL guid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illar member 213 and the horizontal frame 221.

수직 프레임(222)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방호바닥(221a) 외곽을 따라 배열되어 방호바닥(221a) 상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222)은 방호바닥(221a)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기둥부재(213)와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 프레임(222a)과 이웃한 메인 프레임(222a) 사이에 배치된 서브 프레임(222b)을 포함한다. 서브 프레임(222b)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웃한 서브 프레임(222b) 사이에는 배치공간(222c)이 형성된다. 서브 프레임(222b)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홈(222d)이 형성되어 있다.The vertical frame 222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rrang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rotective floor 221a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loor 221a. The vertical frame 222 is disposed at a corner of the protective floor 221a and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frame 222a and the neighboring main frame 222a,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the pillar member 213. 222b. The subframes 222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arrangement space 222c is formed between neighboring subframes 222b. On both sides of the sub-frame 222b, fitting grooves 222d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7 및 도 8을 더 참고하면, 방호벽(230)은 충격흡수패널(231), 비산방지패널(232) 및 덮개(233)를 포함하며 격리공간(220a)에서 검문 차량이 폭발할 경우 파편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7 and 8, the barrier wall 230 includes an impact absorbing panel 231, a scattering prevention panel 232, and a cover 233. When the inspection vehicle explodes in the isolation space 220a, the debris is broken. To prevent scattering.

충격흡수패널(231)은 제1 충격흡수층(231a), 제2 충격흡수층(231b), 충격분산층(231c), 비산방지층(231d) 및 결합층(231e)을 포함하며 배치공간(222c) 마다 위치하여 양단이 끼움홈(222d)에 끼워져 있다.The shock absorbing panel 231 includes a first shock absorbing layer 231a, a second shock absorbing layer 231b, an impact dispersing layer 231c, a scattering prevention layer 231d, and a bonding layer 231e, for each of the layout spaces 222c. Both ends are positioned in the fitting groove 222d.

제1 충격흡수층(231a) 및 제2 충격흡수층(231b)은 기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1 충격흡수층(231a) 및 제2 충격흡수층(231b)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first shock absorbing layer 231a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layer 231b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face each other at intervals. The first shock absorbing layer 231a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layer 231b may be made of polycarbonate.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이며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Polycarbonate is a kind of thermoplastic and has characteristics such as impact resistance,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self-extinguishing, transparency, and the like. Polycarbonate has an impact of about 150 times higher than that of tempered glass, which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processability.

제1 충격흡수층(231a)은 격리공간(220a) 내부 둘레를 형성하며 제2 충격흡수층(231b)은 충격흡수패널(231) 외형을 형성한다. 그러나 제1 충격흡수층(231a)과 제2 충격흡수층(231b)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shock absorbing layer 231a form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solation space 220a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layer 231b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panel 231.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layer 231a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layer 231b may be changed.

제1 충격흡수층(231a), 제2 충격흡수층(231b)은 격리공간(220a)에서 폭발물 폭발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The first shock absorbing layer 231a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layer 231b may absorb the impact of the explosive explosion in the isolation space 220a.

충격분산층(231c)은 기설정된 크기를 갖는 블록이 연속 연결되어 형성된다. 충격분산층(231c)은 제1 충격흡수층(231a)과 제2 충격흡수층(231b) 사이에 위치하며 기설정된 두께를 갖는다. 충격분산층(231c)은 알루미나(Alumina)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알루미나는 알루미늄의 산화물이며 실리카(silica)와 더불어 세라믹스의 가장 중요한 재료이다. 알루미나의 녹는점이 2,050℃이며 다이아몬드 다음가는 경도를 가졌고, 순수한 것은 절연체이다. 알루미나는 내열성, 내약품성, 강도 등 세라믹스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성질을 거의 만족시키며 값이 싸므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알루미나 용도는 자동차의 스파크플러그, IC용 기판의 재료, 포장재료, 연마연삭재, 글라인더 등이다. 알루미나에 산화크롬을 조금 더한 단결정은 루비로서 장식용 외에 레이저(laser)의 모재로도 쓰인다. 알루미나의 소결체인 알루미나 세라믹스는 공업적으로 제조ㆍ이용되고 있으며 알루미나를 고온 처리해 파이버상으로 만든 알루미나 섬유는 내화물이나 복합재료 강화섬유로서 기대가 크다. 알루미나의 순수한 것 중에는 루비, 사파이어, 코런덤 등이 있으며 경도는 다이아몬드와 비슷한 값을 나타낸다.The impact dispersion layer 231c is formed by continuously connecting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impact dispersion layer 231c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mpact absorption layer 231a and the second impact absorption layer 231b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impact dispersion layer 231c may be made of alumina. Alumina is an oxide of aluminum and, together with silica, i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of ceramics. The alumina has a melting point of 2,050 ° C and a hardness after diamond, and the pure is an insulator. Alumina satisfies the general properties required for ceramics such as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strength, and is widely used because it is cheap. Applications for alumina include spark plugs for automobiles, materials for IC substrates, packaging materials, abrasive grinding materials, grinders, and the like. The single crystal with a little chromium oxide added to alumina is ruby and is used as a base material for laser. Alumina ceramics, which are sintered bodies of alumina, are industrially manufactured and used, and alumina fibers made of fiber by heat treatment of alumina are expected to be refractories or composite reinforcing fibers. Among the pure alumina are ruby, sapphire, corundum, and hardness is similar to diamond.

충격분산층(231c)은 격리공간(220a)에서 폭발물 폭발로 제1 충격흡수층(231a)에 충격이 가해지면 파손되면서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The impact dispersion layer 231c may disperse the impact applied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first shock absorbing layer 231a due to the explosive explosion in the isolation space 220a.

비산방지층(231d)은 제1 충격흡수층(231a)과 충격분산층(231c) 사이와 제2 충격흡수층(231b)과 충격분산층(231c) 사이에 위치하며 비산방지층(231d)은 결합층(231e)을 통해 제1 충격흡수층(231a), 충격분산층(231c) 및 제2 충격흡수층(231b)과 결합되어 있다.The scattering prevention layer 231d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hock absorbing layer 231a and the impact dispersing layer 231c, and between the second impact absorbing layer 231b and the impact dispersing layer 231c, and the scattering preventing layer 231d is the bonding layer 231e. The first shock absorbing layer 231a, the impact spreading layer 231c,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layer 231b are coupled to each other.

비산방지층(231d)은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아라미드 섬유는 인장강도, 강인성, 내열성이 뛰어나며 고강력ㅇ고탄성률을 갖고 있다. 아라미드 섬유는 불에 타거나 녹지 않으며, 500℃가 넘어야 비로소 검게 탄화(炭化)될 수 있다. 아라미드는 힘을 가해도 늘어나지 않아 가장 좋은 플라스틱 보강재(補强材)로 사용된다.The anti-scattering layer 231d may be made of aramid fiber. Aramid fibers have excellent tensile strength, toughness and heat resistance, and have high strength and high modulus. Aramid fibers are not burned or melted and can be carbonized only after 500 ° C. Aramids do not stretch under force, making them the best plastic reinforcement.

비산방지층(231d)은 인장강도를 이용하여 충격분산층(231c)을 탄성 보강하며 제1 충격흡수층(231a), 제2 충격흡수층(231b), 충격분산층(231c)이 폭발물 폭발로 파손 시 그 파편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The scattering prevention layer 231d elastically reinforces the impact dispersion layer 231c by using tensile strength, and the first impact absorption layer 231a, the second impact absorption layer 231b, and the impact dispersion layer 231c are damaged when the explosion explodes. Prevent debris from scattering.

결합층(231e)은 비산방지층(231d) 양측에 배치되어 비산방지층(231d)을 제1 충격흡수층(231a)과 충격분산층(231c) 사이, 제2 충격흡수층(231b)과 충격분산층(231c) 사이에 접착하는 동시에 폭발물 폭발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결합층(231e)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연질 우레탄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용제성이 좋고 내노화성, 산소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다.The bonding layer 231e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nti-scattering layer 231d so that the anti-scattering layer 231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ock absorbing layer 231a and the impact dispersing layer 231c,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layer 231b and the impact dispersing layer 231c. ), While absorbing the impact of the explosive explosion. The bonding layer 231e may be made of polyurethane, soft urethane, or the like. Polyurethane has good abrasion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solvent resistance, and is excellent in aging resistance and oxygen stability.

이와 같은 충격흡수패널(231)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격리공간(220a)에서 폭발물 폭발에 의한 충격(압력)을 견디며 폭발물의 파편이 격리공간(220a)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Such a shock absorbing panel 23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to withstand the impact (pressure) due to the explosive explosion in the isolation space (220a) and to prevent the debris of the explosives to scatter outside the isolation space (220a).

비산방지패널(232)은 비산방지층(232a) 및 결합층(232b)을 포함하며 롤 형태로 형성되어 충격흡수패널(231)과 수직 프레임(222) 외측을 감싼다.The scattering prevention panel 232 includes a scattering prevention layer 232a and a bonding layer 232b and is formed in a roll shape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shock absorbing panel 231 and the vertical frame 222.

비산방지층(232a)은 복수 층으로 형성되며 아라미드 섬유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결합층(232b)은 이웃한 비산방지층(232a) 사이에 위치하여 이웃한 비산방지층(232a)을 서로 결합한다.The scattering prevention layer 232a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be made of aramid fibers. The bonding layer 232b is positioned between the neighboring scattering prevention layers 232a to bond the neighboring scattering prevention layers 232a with each other.

비산방지패널(232)은 방호벽(230) 외형을 형성하고 격리공간(220a)에서 폭발물 폭발 시 충격흡수패널(231)이 손상될 경우 충격흡수패널(231)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결합층(232b)은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The scattering prevention panel 232 forms the outer appearance of the barrier 230 and prevents the shock absorbing panel 231 from scattering when the shock absorbing panel 231 is damaged during the explosive explosion in the isolation space 220a. The bonding layer 232b may be made of polyurethane and may absorb shocks.

그러나 비산방지패널(232)은 생략될 수 있다.However, the scattering prevention panel 232 may be omitted.

덮개(233)는 충격흡수패널(231)과 비산방지패널(232)은 상면을 감싸 덮는다. 덮개(233)는 충격흡수패널(231)과 비산방지패널(232) 사이로 빗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덮개(233)는 생략될 수 있다.The cover 233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panel 231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panel 232. The cover 233 may block inflow of foreign matter such as rainwater and dust between the shock absorbing panel 231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panel 232. However, the cover 233 may be omitted.

도 9 및 도 10을 더 참고하면, 구동부(240)는 리드 볼 스크류(241), 모터(243) 및 지지바(244)를 포함하며 골조바닥(212) 상면에 배치되어 방호부(220)를 승강시킨다.9 and 10, the driving unit 240 includes a lead ball screw 241, a motor 243, and a support bar 244,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work floor 212 to protect the protection unit 220. Elevate.

리드 볼 스크류(241)는 볼 스크류(241a)와 볼 너트(241b)를 포함한다.The lead ball screw 241 includes a ball screw 241a and a ball nut 241b.

볼 스크류(241a)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메인 프레임(222a)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볼 스크류(241a) 하단은 골조바닥(212)에 배치된 받침대(250)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The ball screw 241a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disposed in the main frame 222a. The lower end of the ball screw 241a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edestal 250 disposed on the framework floor 212.

볼 너트(241b)는 볼 스크류(241a)와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222a)과 연결되어 있다. 볼 너트(241b)는 볼 스크류(241a) 회전 방향에 따라 볼 스크류(241a)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The ball nut 241b is coupled to the ball screw 241a and connected to the main frame 222a. The ball nut 241b may be elev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l screw 241a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ll screw 241a.

모터(243)는 골조바닥(212)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동력연결부(242)를 통해 볼 스크류(241a)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동력연결부(242)는 동력 샤프트, 감속기,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243)의 구동에 따라 볼 스크류(241a)는 정, 역회전할 수 있다. 모터(243)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다.The motor 243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work floor 212 and is connected to the ball screw 241a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part 242. The power connector 242 may include a power shaft, a reducer, a gear, and the like. As the motor 243 is driven, the ball screw 241a may rotate forward and reverse. The motor 243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지지바(244)는 볼 스크류(241a)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받침대(250)에 결합되어 있다. 지지바(244)는 메인 프레임(222a)과 연결된 부싱(244a)을 관통한다. 지지바(244)는 메인 프레임(222a) 브래킷을 통해 볼 스크류(241a)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바(244)는 메인 프레임(222a) 내부에서 회전하는 볼 스크류(241a)을 지지하여 볼 스크류(241a)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지지바(244)와 부싱(244a)은 생략될 수 있다.The support bar 244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all screw 241a and is coupled to the pedestal 250. The support bar 244 passes through the bushing 244a connected to the main frame 222a. The support bar 244 is connected to the ball screw 241a through the main frame 222a bracket. The support bar 244 supports the ball screw 241a which rotates inside the main frame 222a so that the ball screw 241a is not shaken. However, the support bar 244 and the bushing 244a may be omitted.

이에, 방호부(220)가 하강한 상태에서 볼 스크류(241a)가 정 회전하면 방호부(220)는 상승할 수 있다. 상승된 방호부(220)는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며 차량 주변을 에워싸는 격리공간(220a)이 형성된다.Thus, when the ball screw 241a rotates forward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tection unit 220 is lowered, the protection unit 220 may rise. The elevated protective part 220 protrudes from the ground and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 4, and an isolation space 220a is formed surrounding the vehicle.

위 설명과 도면 [도 9, 10]에서 구동부를 모터, 리드 볼 스크류로 설명하였으나, 구동부는 전동 실린더, 유압 실린더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부의 구조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9 and 10, the driving unit has been described as a motor and a lead ball screw, but the driving unit may be formed of an electric cylinder, a hydraulic cylinder, or the like. The structure of the driving unit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design.

도 7을 다시 참고하면, 베이스부(260)는 방호부(220)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부재(262) 및 베이스패널(261)을 포함하고 제2 검문 영역(2)으로 진입한 차량을 지지한다.Referring back to FIG. 7, the base part 260 is located inside the protection part 220 and includes a support member 262 and a base panel 261 to support a vehicle entering the second inspection area 2. .

지지부재(26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골조바닥(212) 상면에 배열되어 있다. 지지부재(262)는 수평 프레임(221)의 가로바 및 세로바와 간섭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The support member 262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work floor 212. The support member 262 is disposed not to interfere with the horizontal bars and the vertical bars of the horizontal frame 221.

베이스패널(261)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지지부재(262)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패널(261)의 상면은 지면과 동면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패널(261)은 검문을 위해 진입한 차량을 지지한다. 차량이 베이스패널(261) 위로 진입하면 구동부(240)의 작동으로 방호부(220)가 상승하며 방호벽(230)은 차량 주변을 에워싸 격리공간(220a)을 형성한다.The base panel 261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62.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anel 261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ground. The base panel 261 supports the vehicle entering for the inspection. When the vehicle enters the base panel 261, the protection unit 220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40, and the protection wall 230 surrounds the vehicle to form an isolation space 220a.

도 7을 다시 참고하면, 도주 방지부(22)는 한 쌍의 롤러(22a)들을 포함한다. 한 쌍의 롤러(22a)들은 베이스패널(2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한 쌍의 롤러(22a)들은 베이스패널(261) 길이 방향을 따라 연달아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22a) 들은 검문을 위해 진입한 차량 바퀴를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gain, the escape prevention portion 22 includes a pair of rollers 22a. The pair of rollers 22a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anel 261. However, the pair of rollers 22a may be arranged successi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anel 261. The pair of rollers 22a may support the vehicle wheel that has entered for the inspection.

한편 한 쌍의 롤러(22a)들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경우 차량의 전륜과 후륜에 대응되도록 베이스패널(261)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한 한 쌍의 롤러(22a)들 사이 간격은 조절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air of rollers 22a are disposed at intervals,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ollers 22a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ase panel 261 may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vehicle.

한 쌍의 롤러(22a)들은 차량 검문 시 자유 회전 상태가 될 수 있고, 검문이 완료되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22a)가 자유회전 상태에서 차량의 바퀴가 구르게 되면 한 쌍의 롤러(22a)는 차량 바퀴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차량 바퀴가 제자리에서 공회전하게 되면서 차량이 진행하지 못하여 차량의 도주를 방지할 수 있다.The pair of rollers 22a may be in a free rotation state when the vehicle is inspected, and may be fixed so as not to rotate when the inspection is completed. When the wheels of the vehicle are rolled in the free rotation state of the pair of rollers 22a, the pair of rollers 22a may rotate along the vehicle wheels. Accordingly, as the vehicle wheels are idling in place, the vehicle cannot progress and prevent the vehicle from escaping.

한편, 한 쌍의 롤러(22a) 외부 둘레면 적어도 일부분은 베이스패널(261)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롤러(22a) 양측에는 차량 바퀴를 한 쌍의 롤러(22a) 위로 유도하는 유도패널(22b)이 배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ir of rollers 22a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nel 261. At this time, the guide panel 22b for guiding the vehicle wheels over the pair of rollers 22a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rollers 22a.

도 1 및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차량 내부 감지부(23)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베이스패널(261)에 배치되어 있다. 차량 내부 감지부(23)는 베이스패널(261) 일측에 배치된 로봇암(23a) 및 로봇암(23a)에 결합된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센서는 로봇암(23a)을 통해 차량 내부로 진입할 수 있고 차량 내부 냄새(폭발물, 마약, 가스 등)를 감지할 수 있다. 로봇암(23a)과 센서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로봇암과 냄새 센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4, the vehicle interior detecting unit 23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disposed on the base panel 261. The vehicle interior sensing unit 23 includes a robot arm 23a disposed at one side of the base panel 261 and a sensor (not shown) coupled to the robot arm 23a. The sensor may enter the in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robot arm 23a and may detect the smell of the vehicle (explosives, drugs, gas, etc.). Since the robot arm 23a and the sensor detailed configuration are the same as the robot arm and the smell sensor of the known configura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7을 다시 참고하면, 장착부(24)는 베이스패널(261)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24)는 베이스패널(261) 내부에 위치하고, 차량이 진입하면 작동하여 베이스패널(261)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장착부(24)는 전동 실린더, 엑스 링크, 텔레스코픽(telescopic type) 등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4)는 검문 차량에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장착하여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장착부(24)는 GPS 이외에도 여러 형태의 부착물을 장착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7, the mounting portion 24 is disposed on the base panel 261. The mounting part 24 may be located inside the base panel 261, and may operate when the vehicle enters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nel 261. The mounting part 24 is formed in the structure of an electric cylinder, an X-link, a telescopic type. Mounting unit 24 is equipped with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o the vehicle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he mounting unit 24 may mount various types of attachments in addition to the GPS.

한편, 차량 방호 장치(200)는 지하 공간 바닥에 배치된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는 지하 공간으로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을 배수할 수 있다. 지하 공간으로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을 배수함으로써 지하 공간에 배치된 구동부(240) 등이 빗물, 오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누전, 오 작동 등을 예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pump (not shown) disposed on the floor of the underground space. The pump may drain rainwater, sewage,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space. By draining rainwater, sewage,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underground space, the driving unit 240 disposed in the underground space may prevent leakage, malfunction, etc., which may occur due to rainwater, sewage, or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방호바닥(221a) 및 지지부재(262)는 생략하며 구동부(240)의 리드 볼 스크류(241)는 베이스패널(261)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240) 구동으로 베이스패널(261)은 승강할 수 있다. 차량이 베이스패널(261)에 진입하면 구동부(240)의 구동으로 차량 방호 장치(200) 매설을 위해 지면에 형성되는 지하공간으로 베이스패널(261)이 하강할 수 있다(도 11 참조). 지하공간 둘레에 의해 격리공간(220a)이 형성될 수 있다. 지하공간 둘레에 방호벽(230)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방호벽(230)은 생략될 수도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protective bottom 221a and the support member 262 are omitted, and the lead ball screw 241 of the driving unit 240 is connected to the base panel 261. The base panel 261 may move up and down by driving the driver 240. When the vehicle enters the base panel 261, the base panel 261 may descend into the underground space formed on the ground for embedding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200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40 (see FIG. 11). An isolation space 220a may be formed by surrounding the underground space. A firewall 230 is disposed around the underground space. However, the firewall 230 may be omitted.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Many of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10 may be applied to this embodi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 제1 검문 영역 11: 조회부
2: 제2 검문 영역 200: 차량 방호 장치
210: 골조부 210a: 설치공간
211: 바닥부재 212: 골조바닥
213: 기둥부재 213a: 레일홈
220: 방호부 220a: 격리공간
221: 수평 프레임 221a: 방호바닥
221b: 롤러 222: 수직 프레임
222a: 메인 프레임 222b: 서브 프레임
222c: 배치공간 222d: 끼움홈
230: 방호벽 231: 충격흡수패널
231a: 제1 충격흡수층 231b: 제2 충격흡수층
231c: 충격분산층 231d: 비산방지층
231e: 결합층 232: 비산방지패널
232a: 비산방지층 232b: 결합층
233: 덮개 240: 구동부
241: 리드 볼 스크류 241a: 볼 스크류
241b: 볼 너트 242: 동력연결부
243: 모터 244: 지지바
244a: 부싱 250: 받침대
260: 베이스부 261: 베이스패널
262: 지지부재 22: 도주 방지부
22a: 한 쌍의 롤러 22b: 유도패널
23: 차량 내부 감지부 23a: 로봇암
24: 장착부 3: 검문로 형성부
31: 방지턱 32: 진입 방지바
4a, 4b: 타이어 파손부 41: 하우징
411: 철침구멍 42: 철침패널
43: 승강 구동부 431: 캠
44: 철침 5a, 5b: 진입 방지부
51: 하우징 511: 인출구멍
52: 승강부재 53: 램프모듈
54: 승강 구동부 6: 게이트
6a: 램프모듈 7: 하부 촬영부
8: 내부 촬영부
1: first inspection area 11: inquiry section
2: second inspection area 200: vehicle protection device
210: frame portion 210a: installation space
211: floor member 212: framework floor
213: pillar member 213a: rail groove
220: protection unit 220a: isolation space
221: horizontal frame 221a: protective floor
221b: roller 222: vertical frame
222a: main frame 222b: subframe
222c: Placement space 222d: Fitting groove
230: firewall 231: shock absorbing panel
231a: first shock absorbing layer 231b: second shock absorbing layer
231c: impact dispersion layer 231d: scattering prevention layer
231e: bonding layer 232: shatterproof panel
232a: shatterproof layer 232b: bonding layer
233: cover 240: drive part
241: lead ball screw 241a: ball screw
241b: ball nut 242: power connection
243: motor 244: support bar
244a: bushing 250: pedestal
260: base portion 261: base panel
262: support member 22: escape prevention
22a: pair of rollers 22b: induction panel
23: vehicle interior detection unit 23a: robot arm
24: Mounting portion 3: Formation of the inspection path
31: prevention jaw 32: ingress prevention bar
4a, 4b: Tire breakage part 41: Housing
411: iron needle hole 42: iron needle panel
43: lift drive unit 431: cam
44: piercing 5a, 5b: ingress prevention unit
51: housing 511: lead-out hole
52: lifting member 53: lamp module
54: lift drive unit 6: gate
6a: Lamp module 7: Lower part
8: internal filming unit

Claims (18)

차량이 위치할 수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하면 상승하여 상기 차량 주변을 에워쌀 수 있는 방호부,
상기 베이스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방호부가 위치하는 설치공간을 가지며 승강하는 상기 방호부를 지지하는 골조부 및
상기 골조부에 배치되어 상기 방호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골조부는,
골조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의 외곽에 간격을 두고 상면과 수직하게 배치된 기둥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방호부는,
방호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수평 프레임,
상기 방호바닥 외곽에서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부재와 마주하는 메인 프레임과 이웃한 메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며 이웃한 서브 프레임 사이에 배치공간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 및
상기 배치공간 마다 위치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과 연결된 방호벽
을 포함하며,
상기 방호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검문할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구동부 구동으로 상승하여 상기 방호벽이 상기 차량 주변을 에워싸 격리공간을 형성하여 폭발하는 차량의 파편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방호 장치.
A base part in which the vehicle can be positioned,
A protective part which is located below the base part and is able to rise and surround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base part;
A frame part which is located below the base part and has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protection part is located, and supports the protection part which is elevated;
A driving unit disposed in the frame part to elevate the protective part;
Including;
The frame portion,
A bottom member forming a frame bottom and
Pillar member disposed vertically to the upper surface at intervals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member
Including,
The protective part,
A horizontal frame forming a protective floor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 vertical frame disposed at an edge portion of the protection floo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ubframes disposed between a main frame facing the pillar member and a neighboring main frame, and having an arrangement space formed between neighboring subframes;
A firewall located in each of the layout spaces and connected to the subframe.
Including;
When the vehicle to be inspected enters the base unit, the protection unit rises to drive the driving unit, and the barrier wall surrounds the vehicle to form an isolation space to prevent debris of the exploding vehicle from scattering.
Vehicle protection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평 프레임과 연결된 복수의 리드 볼 스크류 및
상기 복수의 리드 볼 스크류와 동력 연결된 모터
를 포함하는
차량 방호 장치.
In claim 1,
The driving unit,
A plurality of lead ball screw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and
A motor powered with the plurality of lead ball screws
Containing
Vehicle protection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방호벽은,
상기 배치공간 마다 위치하며 가장자리가 상기 서브 프레임과 연결된 복수의 충격흡수패널을 포함하는 차량 방호 장치.
In claim 1,
The firewall,
And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panels positioned at each of the arrangement spaces and having edges connected to the sub-frames.
제5항에서,
상기 충격흡수패널은,
서로 떨어져 있는 제1 및 제2 충격흡수층,
상기 제1 및 제2 충격흡수층 사이에 배치된 충격분산층,
상기 충격분산층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비산방지층 및
상기 제1 충격흡수층, 충격분산층, 비산방지층 및 제2 충격흡수층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층
을 포함하는
차량 방호 장치.
In claim 5,
The shock absorbing panel,
First and second shock absorbing lay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impact dispers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mpact absorption layers,
Scattering prevention lay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mpact dispersion layer;
A bonding layer coupling the first shock absorbing layer, the impact dispersion layer, the scattering prevention layer,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layer to each other;
Containing
Vehicle protection device.
제5항에서,
상기 방호벽은,
상기 복수의 충격흡수패널과 상기 수직 프레임 외측에 배치된 비산방지패널
을 더 포함하는
차량 방호 장치.
In claim 5,
The firewall,
Shatterproof panel disposed outside the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panel and the vertical frame
Containing more
Vehicle protection device.
제7항에서,
상기 비산방지패널은,
탄성보강력을 가지며 상기 충격흡수패널의 비산을 방지하는 복수의 비산방지층 및
상기 복수의 비산방지층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한 상기 비산방지층을 결합하는 결합층
을 포함하는
차량 방호 장치.
In claim 7,
The scattering prevention panel,
A plurality of scattering prevention layers having elastic reinforcement and preventing scattering of the impact absorbing panel;
A bond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anti-scattering layers to bond the adjacent anti-scattering layers
Containing
Vehicle protection device.
제3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드 볼 스크류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승강하는 상기 방호부를 안내하는 복수의 지지바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방호 장치.
In claim 3,
The driving unit,
A plurality of support bar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ead ball screw and guiding the protective part to be elevated;
Containing more
Vehicle protection device.
진입한 차량 및 차량 탑승자를 조회할 수 있는 제1 검문 영역 및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차량 방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검문 영역을 통과한 차량 내부를 감지하는 제2 검문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검문영역에 상기 차량이 위치하면 상기 차량 방호 장치의 베이스부 또는 방호부는 동작할 수 있는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
A first inspection area for querying entered vehicles and vehicle occupants, and
A second inspection area including a vehicle protection device as defined in any one of claims 1, 3, 5, and 9, and detect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first inspection area.
Including,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second inspection area, the base part or the protection part of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may operate.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제10항에서,
상기 제1 검문 영역 및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차량 퇴출구 바닥에 각각 배치된 타이어 파손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
In claim 10,
And a tire breaker disposed at a bottom of the vehicle exit of the first inspection area and the second inspection area, respectively.
제11항에서,
상기 제1 검문 영역 및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차량 퇴출구 바닥에 각각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된 진입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
In claim 11,
The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ntrance prevention unit arranged to rise and fall on a vehicle exit floor of the first insp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respectively.
제10항에서,
상기 제1 검문 영역과 상기 제2 검문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량 하부를 촬영할 수 있는 하부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
In claim 10,
And a lower photograph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p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and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제13항에서,
상기 제1 검문 영역과 상기 제2 검문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량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내부 촬영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
In claim 13,
A g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heck region and the second check region; and
An internal photographing unit disposed at the gate and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서,
상기 제2 검문영역은,
상기 차량 방호 장치에 배치되어 있고 차량의 바퀴를 지지할 수 있는 도주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
In claim 10,
The second check region is,
The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disposed on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n escape prevention unit for supporting the wheels of the vehicle.
제10항에서,
상기 제2 검문 영역은,
상기 차량 방호 장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량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차량 내부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
In claim 10,
The second check region is,
And a vehicle interior detection unit disposed in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configured to identify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제10항에서,
상기 제2 검문 영역은,
상기 차량 방호 장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량에 부착물을 장착시킬 수 있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
In claim 10,
The second check region is,
And a mounting portion disposed on the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configured to mount an attachment to the vehicle.
제10항에서,
상기 제1 검문 영역 및 상기 제2 검문 영역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검문로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차량 검문 시스템.
In claim 10,
A vehicle vehicle inspec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inspection path forming unit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inspection region and the second inspection region in a width direction.
KR1020160096175A 2016-07-28 2016-07-28 Apparatus for vehicle protection and vehicle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Active KR1019729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175A KR101972966B1 (en) 2016-07-28 2016-07-28 Apparatus for vehicle protection and vehicle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PCT/KR2016/009131 WO2018021610A1 (en) 2016-07-28 2016-08-18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vehicle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same
EP18189456.9A EP3425115A1 (en) 2016-07-28 2016-08-31 System of inspecting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16186626.4A EP3276082A1 (en) 2016-07-28 2016-08-31 Protection device against vehicle, system of inspecting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175A KR101972966B1 (en) 2016-07-28 2016-07-28 Apparatus for vehicle protection and vehicle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059A KR20180013059A (en) 2018-02-07
KR101972966B1 true KR101972966B1 (en) 2019-08-26

Family

ID=6101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175A Active KR101972966B1 (en) 2016-07-28 2016-07-28 Apparatus for vehicle protection and vehicle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2966B1 (en)
WO (1) WO201802161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524B1 (en) * 2016-07-28 2019-03-15 주식회사 하이젠 Vehicle check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2681188B (en) * 2021-01-28 2022-06-10 浙江中创建筑智能化科技有限公司 Anticollision entrance guar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9361A1 (en) * 2009-04-11 2010-10-14 Al Shahrani Hmoud Sayaf Security gates device
KR101103473B1 (en) * 2011-07-11 2012-01-09 주식회사 홀인원 Variable storage warehous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386B1 (en) * 2004-02-26 2005-09-29 (주) 경화엔지니어링 An impact absorption equipment of road
KR200398277Y1 (en) 2005-07-19 2005-10-12 (주) 코리아 마이크론 Vehicles check/search and running away prevention device
US7742568B2 (en) * 2007-06-09 2010-06-22 Spectrum San Diego, Inc. Automobile scanning system
KR20090027874A (en) 2007-09-13 2009-03-18 정구관 Escape prevention device for vehicle inspection
KR101262280B1 (en) * 2011-04-28 2013-05-08 현대로템 주식회사 A multi-hit shot defensive function has the armor body
KR101644787B1 (en) * 2014-12-09 2016-08-12 이명식 A Systems For Checkpoint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9361A1 (en) * 2009-04-11 2010-10-14 Al Shahrani Hmoud Sayaf Security gates device
KR101103473B1 (en) * 2011-07-11 2012-01-09 주식회사 홀인원 Variable storage ware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610A1 (en) 2018-02-01
KR20180013059A (en)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966B1 (en) Apparatus for vehicle protection and vehicle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644787B1 (en) A Systems For Checkpoint Vehicle
KR101693619B1 (en) Safety apparatus of machanical parking facility
EP3276082A1 (en) Protection device against vehicle, system of inspecting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7203558A1 (en) Elevator device
CN104372972A (en) No-avoidance three-dimensional parking garage
CN1240602C (en) Elevator operating device and elevator landing device having same and elevator car
KR102632101B1 (en) Car for ground survey road maintenance
JP6431335B2 (en)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JP2001039690A (en) Structural body inspection vehicle
KR101932524B1 (en) Vehicle check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47231B1 (en) Guide evacuation structure for road installation
KR102137866B1 (en) Pillar reinforcement method of Pilot building in case of earthquake
KR100754028B1 (en) Vehicles check/search and running away prevention device
JP5357471B2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installed in a base-isolated building
JP2021177032A (en) Multistory parking device
KR101825196B1 (en) Vehicles cage for elevator typed parking equipment
CN218865549U (en) Sandstone aggregate inspection system
KR200233085Y1 (en) A operation seat protection device of cargo crane with ascent and descent device
KR200356487Y1 (en) Parking house for protecting a car
JP3673057B2 (en) Locking device for parked vehicle
CN214123164U (en) Parking lot vehicle management device based on computer vision
KR102236289B1 (en) An Apparatus For Leveling The Entrance Of Parking Equipment
KR102677302B1 (en) Smart parking guide device and smart parking guide method using the same
KR200398277Y1 (en) Vehicles check/search and running away preven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