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77B1 - Package of wet tissue - Google Patents
Package of wet tissu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2977B1 KR101982977B1 KR1020180092152A KR20180092152A KR101982977B1 KR 101982977 B1 KR101982977 B1 KR 101982977B1 KR 1020180092152 A KR1020180092152 A KR 1020180092152A KR 20180092152 A KR20180092152 A KR 20180092152A KR 101982977 B1 KR101982977 B1 KR 1019829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issue
- compressed tissue
- wet tissue
-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제공되지 않는 공간에서도 자체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물 공급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휴대와 제조가 편리한 물티슈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파열되면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수용체; 및 상기 물 수용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 수용체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압착 티슈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issue package which is easy to carry and manufacture by simply supplying a water supply structure even in a space in which water is not provided, A water receiver disposed below the accommodation space to receive water therein and supply water while ruptured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s applied; And a compressed tissue disposed above the water receptacle to absorb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recepta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티슈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티슈를 건조 및 압착하여 압착 티슈 상태로 휴대하였다가, 즉석으로 물을 흡수시키어 사용함으로써, 위생적으로 물티슈를 제조하여 사용 가능한 물티슈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issue pack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t tissue package that can be used by hygienically manufacturing a wet tissue by drying and pressing the tissue to carry it in a compressed tissue state and then absorbing it immediately.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충분한 수분이 티슈에 함유되어 세척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식당이나 공공장소에서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거나, 유아들의 배변 후 피부를 닦는데 사용되는 등 각종 위생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Generally, a wet tissue is used for various hygienic purposes, such as being used to keep the skin clean in a restaurant or a public place, or to wipe the skin after defecation of the infant, because sufficient water is contained in the tissue to improve the washing performance.
이와 같은 물티슈는, 충분한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제조되어 각종 용기에 수용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으로, 용기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필요시마다 용기의 뚜껑을 열어 물티슈를 뽑아 사용하도록 권장되고 있다.Such a wet tissue is manufactured in a state containing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and is accommodated in various containers and then supplied to a user. A li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and the user is encouraged to open the lid of the container whenever necessary, .
종래의 물티슈는 용기의 뚜껑을 열어 물티슈를 하나씩 뽑아 쓰는 과정이 번거롭고, 손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는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용기에 옮겨 묻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물티슈를 용기에 수용 보관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조금씩 증발하여 물티슈가 건조해지는 문제 및 장기간 보관되는 경우 각종 세균이 용기 내의 물티슈에서 번식하여 위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물티슈가 오히려 세균 감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wet tissu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 of pulling the wet tissue one by one by opening the lid of the container is troublesome, and when the foreign body is in the han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eign body is moved to the container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lid of the container. It is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of dryness of the wet tissues due to evaporation of moisture in the process of storing and storing the wipes and the problem that the various kinds of bacteria propagate in the wet tissues of the containers when they are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
상기와 같은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물티슈는 메틸이소티아졸린(methyl-isothiazolin)등과 같은 화학적 방부재를 사용하여 세균 감염을 방지하고 있으나, 화학적 방부재의 경우 알레르기, 세포상해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상에 다른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이에, 부직포 시트를 건조 및 압축된 상태의 건티슈로 제작하여, 건티슈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물을 부어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conventional wet tissue uses a chemical preservative such as methyl-isothiazolin to prevent bacterial infection, but in the case of a chemical preservative, it can cause allergies and cytotoxicity, Which can lead to other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in which a nonwoven fabric sheet is formed into a dry tissue of dry and compressed state, a dry tissue is stored, and water is poured if necessary.
한국등록특허 제10-0889039호(2009.03.10. 등록)는 부직포에 액상의 향균/ 세정액을 도포시켜 건조시킨 후 압착시켜 제조한 향균압착 티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향균압착 티슈는, 부직포 표면에 액상의 항균/세정액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항균/세정액이 도포된 부직포 표면을 건조시킨 다음, 상기 부직포를 적어도 1회이상 접어 겹친 후, 겹쳐진 부직포를 롤형태로 권취시킨 다음, 롤형태로 권취된 부직포를 원형으로 압착시킨 후 진공포장하여 제조되되, 상기 항균/세정액이 도포된 부직포는 수분함유율이 10% 내지 20%가 유지되도록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No. 10-0889039 (registered on Mar. 10, 2009, 2009) discloses an aseptically pressed tissue made by applying a liquid antifungal / cleaning liquid to a nonwoven fabric, drying it, and pressing it, The non-woven fabric having the antibacterial / cleaning liquid applied thereon is dried, the non-woven fabric is folded at least once, the rolled non-woven fabric is wound in the form of a roll, The nonwoven fabric coated with the antibacterial / cleaning liquid is dried so as to maintain the water content of 10% to 20%.
한국등록 실용신안 20-0395833호(2005.09.07. 등록)는 하나의 공간에 압착 티슈와 상기 압착 티슈의 압착력을 해제하는 액체를 같이 구비하되, 압착 티슈의 압착력을 해제하는 액체를 별도의 액체수용통에 수용하고 또한, 액체수용통과 압착 티슈를 개폐가 용이한 슬라이딩 록킹부를 갖는 하나의 포장케이스 내부에 넣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하는 도중에 액체가 흘러내리거나 하여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간단한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포장케이스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완력이 적은 어린이나 여성 또는 노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압착 티슈 포장구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압착 티슈 포장구조는, 여러겹으로 권회되어 말려진 압착 티슈와 상기 압착 티슈의 압착력을 해제하는 액체를 포장하는 포장구조에 있어서, 상단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하는 수단인 슬라이딩 록킹부를 갖는 포장케이스와; 상기 포장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수용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압착 티슈와; 상기 포장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압착 티슈의 하측에 수용되고 내부에 물과 같은 액상체가 수용되며 상단에 마개가 구성된 액체수용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5833 (Registered on Sep. 7, 2005) is provided with a compressed tissue and a liquid for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squeezed tissue. The liquid for releasing the squeezing force of the squeezed tissue is stored in a separate liquid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ontainer comprising a liquid container and a liquid container which are provided in a container case and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Discloses a compressed tissue packaging structure in which a packaging cas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simple sliding method so that a child, a woman, or an elderly person having a low strength can easily use the packaging tissue structure. The compressed tissue packaging structure is wrapped in multiple layers In a packaging structure for packaging a dried compressed tissue and a liquid for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compressed tissue And a sliding locking portion which is a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portion in a sliding manner; At least one compressed tissue receiv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packaging case; And a liquid receiving container accommodat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mpressed tissue accommodated in the packaging case and accommodating therein a liquid such as water and having a cap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와 같은 향균압착 티슈는, 사용 직전에 압착 티슈를 물에 적셔 팽창시킨 후에 사용하여 함으로써, 물이 제공되는 장소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물이 제공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이 물가한 문제점이 있다.Such an aseptically press-bonded tissue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 be used only in a place where water is provided, by using the compressed tissue immediately after use by wetting the compressed tissue with water and then using the compressed tissue. In the case where water is not provided, There is a problem.
상기와 같은 압착 티슈 포장구조는, 압착 티슈를 적셔 사용하기 위하여 물을 공급하기 위한 액체 수용통을 구비하고 있으나, 사용 직전에 물을 받칠 수 있는 그릇에 압착 티슈를 놓고 물을 부어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압착 티슈를 물티슈로 제조하는 방법이 번거로우며, 상기 액체수용통을 휴대하고 다니기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The compressed tissue packag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liquid receiving container for supplying water for wetting the compressed tissue. However, since a compressed tissue is placed in a container capable of supporting water immediately before us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ressed tissue using a wet tissue is cumberso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cumbersome to carry the liquid receiving container.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 공급 수단을 구비하여 물이 제공되지 않는 공간에서도 자체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물 공급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휴대와 제조가 편리한 물티슈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means, which can supply water to a space not provided with wat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venient wet tissue package.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파열되면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수용체; 및 상기 물 수용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 수용체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압착 티슈를 포함하는 물티슈 패키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forming a containing space; A water receiver disposed below the accommodation space to receive water therein and supply water while ruptured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s applied; And a compressed tissue disposed above the water receptacle for absorb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recepta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는, 상기 압착 티슈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되는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 및 상기 케이싱부재의 일면에 부착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덮기 위한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ainer includes: a plurality of casing members protruded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mpressed tissue; And a lid memb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ing member and covering the accommodation sp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재는, 중앙에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id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erforated line is formed in the cent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수용체는, 상기 돌출부의 내벽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내측으로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 수용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receptacle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water-receiving membrane formed to be spac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protrusion and adapted to receive water inwardly.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수용막은, 중앙에 중앙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receiving membrane is characterized by a center perforated line formed at the cent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절취선은, 'X'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enter perforated line is formed in an 'X' sha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수용막은, 비닐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receiving membrane is made of a vinyl materi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부재는, 단면 형상이 '??' 자를 형성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물 수용체 및 압착 티슈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평평하게 형성되기 위한 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asing member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 A protrusion formed to be bent so as to form a space for form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water receiver and the compressed tissue; And a flat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rim of the protrusion and formed to be fla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는, 상기 케이싱부재는, 내벽에 상기 물 수용막을 향하여 돌설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a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ing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cutting projection formed on the inner wall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water containing film.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수용막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벽 상단에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containing film is formed by being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proj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수용막은, 테두리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containing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a rim line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는, 용기에 보관된 압착 티슈의 하측에 물이 수용된 물 수용체를 배치시킴으로써, 압착 티슈를 누르는 동작으로 상기 물 수용막을 파열시키어 상기 압착 티슈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로서, 물이 제공되지 않는 공간에서도 자체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물 공급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휴대와 제조가 편리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 supplying water to a compressed tissue by disposing a water receptacle containing water at a lower side of a compressed tissue stored in a container to rupture the water containing membrane by pressing the compressed tissue,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by itself and it is convenient to carry and manufacture by simply implementing the water supply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는, 물 수용체가 압착 티슈의 하부와 측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물의 수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물 수용막을 파열하였을 때, 압착 티슈의 하단과 측부가 동시에 물을 흡수할 수 있어, 물티슈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water retention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water receptacle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compressed tissue so that the capacity of the water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when the water receiving membrane is ruptured, And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wet tissue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는, 물 수용막의 중앙과 테두리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절취 부위에 효과적으로 힘이 가해져 물 수용막을 파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깔끔하게 물티슈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wet tissue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perforated line at the center and the rim of the water receiving layer and effectively apply force to the cut area to rupture the water receiving layer so that the user can manufacture and use the wet tissue more neatly.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는, 복수 개의 물 수용체 및 압착 티슈를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낱개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wet tissue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and carry a plurality of water receptors and compressed tissues, and can be used separately as nee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물티슈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wet tissue pack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t tissue package shown in Fig.
3 is a side view of a wet tissue pack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wet tissue packa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wet tissue packa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 have "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Now, a wet tissue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물티슈 패키지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of a wet tissue pack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t tissue package shown in FIG. 1. FIG.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물티슈 패키지는, 용기(100), 물 수용체(200) 및 압착 티슈(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wet tissue package includes a
상기 용기(100)는,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물 수용체(200) 및 압착 티슈(300)를 수용한다.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100)는, 수용공간을 일회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압착 티슈(300)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100)는, 케이싱부재(110) 및 덮개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상기 케이싱부재(110)는, 상기 물 수용체(200)와 상기 압착 티슈(30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 형성된다.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부재(11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수용된 물 수용체(200) 및 상기 압착 티슈(300)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부재(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부재(110)는, 돌출부(111) 및 평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상기 돌출부(111)는, 상기 평부(112)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단면 형상이 '??' 자를 형성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물 수용체(200) 및 압착 티슈(30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The projecting
상기 평부(112)는, 상기 돌출부(111)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평평하게 형성된다.The
상기 덮개부재(120)는, 상기 케이싱부재(110)의 일면에 부착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덮는다.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재(120)는, 은박지, 호일 또는 비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재(12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어, 가압하였을 때 소정 길이 하측으로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재(120)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부재(110)의 일면에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재(120)는, 중앙에 절취선(121)이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개봉하여 상기 압착 티슈를 꺼낼 때, 상기 절취선(121)을 중점으로 덮개(120)가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취선(121)은, '十'자 형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재(120)는, 모퉁이가 상기 케이싱부재(110)에 접착되지 않아, 상기 모퉁이를 잡아 당기어, 상기 덮개부재(120)를 상기 케이싱부재(1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상기 물 수용체(200)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물(W)을 수용하여,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파열되면서 물(W)을 공급한다.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수용체(200)는, 향균제 또는 방향제가 첨가된 물(W)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수용체(200)는, 상기 케이싱부재(110)의 내벽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내측으로 물(W)을 수용하기 위한 물 수용막(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수용막(210)은, 상기 돌출부(111) 내벽 상단에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수용막(210)은, 상기 압착 시트(300)의 하측과 측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contain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수용막(210)은, 비닐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수용막(210)은, 중앙에 중앙 절취선(211)이 형성되어, 상기 물 수용막(210)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중안 절취선(211)을 중점으로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절취선(211)은, '十'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물티슈 패키지는, 용기(100)의 내부에 물 수용막(210)를 형성하고, 상기 물 수용막(210) 내부로 물(W)을 주입하여 보관함으로써, 상기 덮개부재(120)와 함께 압착 티슈(300)를 누르면, 상기 물 수용막(210)이 터지면서 상기 압착 티슈(300)에 물(W)을 공급할 수 있어, 물이 없는 장소에서도 손쉽게 물티슈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The wet tissue packag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by forming the
상기 압착 티슈(300)는, 상기 물 수용체(2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 수용체로부터 공급되는 물(W)을 흡수한다.The
상기 압착 티슈(300)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물 수용체(200)를 가압하여, 상기 물 수용체(200)를 파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착 티슈(300)는, 부직포 재질의 시트(Sheet)를 건조하여 복수 회 겹치어 접은 후, 압착하여 동전(Coin)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착 티슈(300)는, 상기 물 수용체(200)에 의하여 공급된 물(W)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경우, 상기 덮개부재(120)를 뚫고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착 티슈(300)는, 향균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과 같은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는 동일 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3 is a side view of a wet tissue pack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since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1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shape and function,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물 수용막(210)은, 상부의 상기 케이싱부재(110)과 접착되는 부근에 테두리 절취선(212)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테두리 절취선(212)은, 상기 물 수용막(210)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dge perforations 212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periphery of the water-containing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물티슈 패키지는, 상기 물 수용막(210)이 가압되는 경우, 상기 테두리 절취선(212) 부위가 절개되면서 상기 물 수용막(210)의 상단으로부터 나머지 부위가 완전히 뜯어져 나가며 그 사이로 물(W)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압착 티슈(300)가 보다 빠르게 물(W)에 젖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water-containing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물티슈 패키지는, 상기 물 수용막(210)이 압착 티슈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물의 수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물 수용막(210)을 파열하였을 때, 상기 압착 티슈(300)의 하단과 측부가 동시에 물(W)을 흡수할 수 있어, 물티슈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water-containing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물티슈 패키지는, 상기 물 수용막(210)의 중앙과 테두리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절취 부위에 효과적으로 힘이 가해져 상기 물 수용막(210)을 파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깔끔하게 물티슈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wet tissue packag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by forming a perforated line at the center and the rim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과 같은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는 동일 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4 is a side view of a wet tissue packa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since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1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shape and function,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 부재(110)는, 상기 물 수용막(210)을 향하여 돌설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팅돌기(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상기 커팅돌기(113)는, 상단이 첨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물 수용막(210)이 가압에 의하여 파열되지 않고 팽창하는 경우, 접촉된 부위를 찔러 파열시킨다.The cutt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팅돌기(113)는, 상기 케이싱 부재(110)의 내측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 수용막(210)이 가압에 하강하는 접근하는 경우, 상기 물 수용막(210)의 하단부를 찌르면서 파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팅돌기(113)는, 상기 압착 시트(300)가 물(W)을 흡수하여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 시트(300)의 움직임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utt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팅돌기(미도시)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케이싱 부재(110)의 내측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 수용막(210)이 가압에 의하여 팽창하는 경우, 상기 물 수용막(210)의 측부를 찌르면서 파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utting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물티슈 패키지는, 비닐 재질로 형성된 상기 물 수용막(210) 일정 가압에 의하여 파열되지 않고 팽창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보다 손쉽게 물 수용막(210)을 파열하여 상기 압착 티슈(300)에 물(W)을 공급할 수 있다.The wipes packag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water-containing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과 같은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는 동일 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FIG. 5 is a side view of a wet tissue packa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1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shape and func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100)는, 복수 개의 케이싱 부재(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상기 용기(100)는,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케이싱 부재(130)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물 수용체(200) 및 압착 티슈(300)를 포함한다.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부재(13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되, 사이에 절취선(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물티슈 패키지는, 복수 개의 물 수용체(200) 및 압착 티슈(300)를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낱개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wet tissue packag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arried by carrying a plurality of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용기
110, 130: 케이싱부재
111: 돌출부
112: 평부
113: 커팅돌기
120: 덮개부재
200: 물 수용체
210: 물 수용막
211: 중앙 절취선
212: 테두리 절취선
300: 압착 티슈100: container
110, 130: casing member
111: protrusion
112:
113: Cutting projection
120: lid member
200: water receptor
210: water receiving membrane
211: center perforated line
212:
300: compressed tissue
Claims (5)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파열되면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수용체; 및
상기 물 수용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 수용체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압착 티슈;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물 수용체와 상기 압착 티슈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 및
상기 케이싱부재의 일면에 부착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덮기 위한 덮개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싱부재는, 내벽에 물 수용막을 향하여 돌설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팅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물 수용체는,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벽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내측으로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 수용막을 포함하되,
상기 물 수용막은, 테두리 절취선이 물 수용막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패키지.
A container forming a receiving space;
A water receiver disposed below the accommodation space to receive water therein and supply water while ruptured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s applied; And
A compressed tissue disposed above the water receiver for absorb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receiver; Lt; / RTI >
The contain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sing members protruding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the water receptacle and the compressed tissue; And
A lid memb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ing member and covering the accommodation space; , ≪ / RTI &
Wherein the casing member comprises: at least one cutting project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water receiving film on the inner wall; / RTI >
The water-
And a water receiving membrane formed to be spac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member and adapted to receive water inward,
Wherein the water-containing film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periphery of the water-containing film.
상기 덮개부재는,
중앙에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패키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member
And a perforated line is formed in the center.
상기 물 수용막은
중앙에 중앙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패키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And a center perforated line is formed at the cent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92152A KR101982977B1 (en) | 2018-08-08 | 2018-08-08 | Package of wet tissu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92152A KR101982977B1 (en) | 2018-08-08 | 2018-08-08 | Package of wet tissu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82977B1 true KR101982977B1 (en) | 2019-05-27 |
Family
ID=6667912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921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82977B1 (en) | 2018-08-08 | 2018-08-08 | Package of wet tissu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82977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95833Y1 (en) | 2005-06-14 | 2005-09-14 | (주)유진바이코리아 | Pack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ressed tissue |
| KR20060085223A (en) * | 2006-06-29 | 2006-07-26 | 서동원 | Disposable compressed tissue packa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0889039B1 (en) | 2008-10-23 | 2009-03-17 | 최지호 | Antibacterial Compression Tissue |
-
2018
- 2018-08-08 KR KR1020180092152A patent/KR10198297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95833Y1 (en) | 2005-06-14 | 2005-09-14 | (주)유진바이코리아 | Pack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ressed tissue |
| KR20060085223A (en) * | 2006-06-29 | 2006-07-26 | 서동원 | Disposable compressed tissue packa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0889039B1 (en) | 2008-10-23 | 2009-03-17 | 최지호 | Antibacterial Compression Tissu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201882B1 (en) | Stain treatment and removal | |
| JP4237627B2 (en) | Packaging container for wet towel or wet cosmetic pad | |
| US5092013A (en) | Disposable toilet seat wipe apparatus with internal actuation | |
| NO743647L (en) | ||
| WO2014005118A1 (en) | Liquid container having compressed tissue | |
| KR10212192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wet tissue available for disposable bag | |
| KR101982977B1 (en) | Package of wet tissue | |
| RU2013148148A (en) | MULTIPLE DISPENSER SYSTEM FOR WET WIPES | |
| JP5652979B1 (en) | Seat storage equipment | |
| JP2003012053A (en) | Soft package | |
| JP2007500532A (en) | Cleansing pad | |
| KR20230140607A (en) | Recyclable package for pre-wet wipes | |
| JP2007330526A (en) | Pack for housing moist hand towel | |
| JP3080704U (en) | Storage container for wet napkin-like products | |
| JPH08104377A (en) | Wet-tissue-paper supply kit | |
| KR200482869Y1 (en) | cap of wet wipes case | |
| KR102567337B1 (en) | Wet-tissue case cover | |
| US11485569B2 (en) | Wipe container allowing cleaning wipe to be withdrawn without contact and sealing method thereof | |
| JP3075499U (en) | Refill packaging wet tissue paper | |
| US20210339274A1 (en) | Tubular holder | |
| US20030111481A1 (en) | Cartridg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 |
| JP3836706B2 (en) | Immersion packaging | |
| JPH0826352A (en) | Wet tissue supply kit and wet tissue paper | |
| JPS5827984Y2 (en) | Paper cloth drawer container for towels, etc. | |
| KR20240130561A (en) | Couple wet wip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5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