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430B1 - Wireless charger and automotive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er and automotive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4430B1 KR102004430B1 KR1020130057488A KR20130057488A KR102004430B1 KR 102004430 B1 KR102004430 B1 KR 102004430B1 KR 1020130057488 A KR1020130057488 A KR 1020130057488A KR 20130057488 A KR20130057488 A KR 20130057488A KR 102004430 B1 KR102004430 B1 KR 1020044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device
- mobile communication
- wireless charger
- elastic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기기의 무선 충전시 이동 통신 기기의 위치 정렬이 가능하게 하고, 변속 장치에 무선 충전기를 구비하여 이동 통신 기기의 거치와 충전을 용이하게 하는 무선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는,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속단을 선택하는 변속 레버, 상기 변속 레버의 일측을 감싸며, 상기 변속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를 통해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and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having the wireless charg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capable of aligning a pos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uring wireless charg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that facilitates mounting and charging, and a vehicle transmission including the same.
A vehicular transmission includ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ift lever that moves in one direction to select a speed change stage, a base that surrounds one side of the shift lever and guides movement of the shift lever, And a wireless charger for wirelessly charg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mmodated in the base through the base, wherein the wireless charger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기기의 무선 충전시 이동 통신 기기의 위치 정렬 및 유동 방지를 용이하게 하고, 차량용 변속 장치에 무선 충전기를 구비하여 이동 통신 기기의 거치와 충전을 용이하게 하는 무선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and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having the wireless charg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for facilitating positional alignment and flow preven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uring wireless charg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er for facilitating the mounting and charg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having the wireless charger.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핸드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는 전원 공급을 위하여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용 전원을 적절한 전압으로 조정하여 배터리에 공급하는 어댑터가 필요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배터리와 어댑터는 각각 접촉 단자를 구비하고, 각 접촉 단자 사이를 전원 케이블 등으로 연결하게 된다.BACKGROUND AR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which have become a necessity of modern people, are provided with batteries for power supply. In order to charge such batteries, an adapter is required to adjust the commercial power to a proper voltage and supply it to the battery. Generally, the battery and the adapter each have a contact terminal, and the contact terminals are connected with a power cable or the like.
배터리와 어댑터를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충전을 하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고 접촉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오염 가능성이 높고 접촉 불량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최근에는 배터리를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가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wireless charger that charges the battery in a noncontact manner is difficult because it is not well-suited for charging by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adapter through a power cable, the contact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무선 충전기는 배터리가 적정 위치에 놓여지지 않은 경우 충전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취약점이 있으며, 배터리가 적정 위치에 놓여있을지라도 외부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쉽게 적정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wireless charger has a weak point that the charging efficiency is significantly lowered when the battery is not placed at the proper position, and even if the battery is in the proper position, the wireless charger easily deviates from the proper position due to external vibration or impact.
한편, 차량 보급률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차량의 운전자라면 대부분 이동 통신 기기를 소지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에도 이동 통신 기기의 거치 또는 충전을 위한 거치대 또는 충전기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vehicle penetration rate is rapidly increasing, most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carrie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o the car is also used by mounting a charging device or 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or charg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그러나, 거치대를 차량 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볼트로 차량에 구멍을 뚫어 장착하기 때문에 장착이 불편하고 차량의 손상 가능성이 높으며, 충전기는 차량 내에 설치된 파워 아울렛과 이동 통신 기기를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 기기를 따로 거치하기가 어렵고, 차량 내부의 미관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mount the cradle in the vehicle, the cradle is attached by using a double-sided tape having a strong adhesive force or by punching holes in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ly moun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y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power cable and the beauty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deteriorated.
따라서, 무선 충전기를 사용하여 이동 통신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이동 통신 기기의 위치를 정렬하는 동시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한 이동 통신 기기의 유동을 방지하고, 차량에서도 이동 통신 기기의 거치와 충전이 용이하면서도 거치대 또는 충전기의 장착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여유 공간 감소 및 손상을 방지하고, 전원 케이블 등으로 인해 차량 내부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charged by using the wireless charger,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aligned and the fl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ue to external shock or vibration is prevented,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that can easily reduce the space and damage of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due to the mounting of the cradle or the charger, and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power cable or the lik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 통신 기기의 무선 충전시에 이동 통신 기기의 위치를 정렬하고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한 이동 통신 기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harger capable of alig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uring wireless charg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preventing the flow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ue to an external shock or vibration, .
또한, 기종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이동 통신 기기라도 용이하게 위치의 정렬이 가능하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harger capable of easily aligning a pos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preventing a fl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vehicle transmission including the wireless charger.
또한, 무선 충전기를 차량용 변속 장치에 구비하여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기기를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이동 통신 기기의 충전과 거치가 용이한 무선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harger having a wireless charger mounted on a vehicle transmission for accommod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ossessed by a driver, thereby facilitating charging and moun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the vehicle, and a vehicle transmission including the wireless charger. will b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는,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부, 일측에 상기 충전부가 위치하며,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이동 통신 기기가 수납되는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 정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harger including a charger for wirelessly charg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 storage case having the charging unit located on one side thereof, And a positioning uni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ase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or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는,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속단을 선택하는 변속 레버, 상기 변속 레버의 일측을 감싸며, 상기 변속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를 통해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transmission including a wireless charger, including: a shift lever for shifting in one direction to select a gear position; a shift lever surrounding one side of the shift lever, And a wireless charger for wirelessly charg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in the base and received through the base, wherein the wireless charger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ansmission for a vehicle having such a wireless charger,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에 이동 통신 기기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통신 기기의 무선 충전시에 위치의 정렬이 가능하고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o prevent the fl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charged by wirelessly provi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lastic force in different directions to the wireless charger that wirelessly charge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이동 통신 기기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어 기종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이동 통신 기기라도 용이하게 위치의 정렬이 가능하고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elasticity can be provided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in different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easily align the position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having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the model and to prevent the flow.
또한, 차량 내부에 별도의 거치대 또는 충전기를 장착하지 않고 차량용 변속 장치에 무선 충전기를 구비함으로써 이동 통신 기기의 거치와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거치대 또는 충전기를 장착함으로써 발생하는 차량 내부 여유 공간의 감소 및 손상을 방지하고, 전원 케이블 등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wireless charger is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for a vehicle without mounting a separate cradle or a charger inside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mount and charg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caused by mounting a separate cradle or charger can be reduced And damage can be prevented, and the beauty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caused by the power cable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탄성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탄성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정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수납된 이동 통신 기기가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first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second elastic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posi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used in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e are used in a generic sense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ther than the stat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It is used not to exclude.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schematic drawing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무선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wireless charger and a vehicular transmission having the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10)는 충전부(100), 수납 케이스(200), 위치 정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충전부(100)는 수납 케이스(2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수납 케이스(200)로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충전부(100)가 무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여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충전부(100)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을 수 있고, 자기 유도 방식은 전류가 흐르면서 생기는 자기장이 새로운 전류를 만드는 원리로서 전력 전송 효율이 높고, 자기 공명 방식은 송신측 코일에서 공진 주파수를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설계된 수신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방식이며, 전자기파 방식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통해 마이크로파 신호를 공기 중에 방사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method used in the
전술한 무선 충전 방식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충전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ethods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amples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rging methods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of the
수납 케이스(200)는 이동 통신 기기(11)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그 내부에는 개방면(210)을 통해 삽입된 이동 통신 기기(11)의 수납을 위한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납 케이스(200)에 이동 통신 기기(11)를 수납시킴으로써 이동 통신 기기(11)의 거치와 충전이 동시에 가능하게 된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납 케이스(200)의 일측에 별도로 구성된 충전부(100)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충전부(100) 및 수납 케이스(20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또한,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수납 케이스(2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수납 케이스(200)는 용도나 필요에 따라 그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위치 정렬부(300)는 수납 케이스(200)로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위치를 정렬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렬부(300)는 이동 통신 기기(11)가 기종에 따라 크기, 즉 폭, 두께 및 길이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크기의 이동 통신 기기(11)를 수납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동 통신 기기(11)의 위치를 정렬하고, 수납 케이스(200)의 수납 공간과 이동 통신 기기(11)의 크기가 다른 경우 발생되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기기(11)의 위치를 정렬한다는 것은 전술한 충전부(100)가 자기 공명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충전부(100)에는 송신측 코일이 구비될 수 있고,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에는 수신측 코일이 구비될 수 있는데, 송신측 코일과 수신측 코일이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충전 효율이 저하되거나 정상적인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송신측 코일과 수신측 코일이 서로 대향되도록 이동 통신 기기(11)의 위치를 정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기기(11)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다는 것은 수납 케이스(200)의 수납 공간과 이동 통신 기기(11)의 크기가 다른 경우 수납 케이스(200) 내에서 이동 통신 기기(11)가 유동되어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납 케이스(200) 내에서 이동 통신 기기(11)의 유동을 방지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위치 정렬부(300)는 수납 케이스(200)에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11)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탄성부(311, 312) 및 수납 케이스(200)에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수납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탄성부(311, 312)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수납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며, 서로 다른 두 방향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부(311, 312)를 서로 다른 방향, 즉, 제 1방향 및 제 2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탄성부(311) 및 제 2탄성부(312)라 칭하기로 하며, 제 1방향은 이동 통신 기기(11)의 폭 방향이고, 제 2방향은 제 1방향과 교차하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두께 방향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탄성부(311) 및 제 2탄성부(312)를 통해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방향에 따라 복수의 탄성부(311, 312)의 형성 위치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astic force is generated in two different directions through the first
제 1탄성부(311)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측방으로부터 이동 통신 기기(11)에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폭 방향으로 이동 통신 기기(11)의 양측에서 각각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제 1탄성부(311)는 소정 곡률을 가지며 이동 통신 기기(11)를 향하는 일측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 1탄성 부재(31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탄성 부재(311a)의 일단은 나사 등과 같은 고정 부재(311b)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제 1탄성부(311)는 제 1탄성 부재(311a)의 볼록한 일측에 외부 힘이 가해질 때 제 1탄성 부재(311a)에서 고정되지 않은 일단이 일방향으로 밀리면서 압축되게 되고, 외부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이완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one convex side of the first
따라서, 제 1탄성부(311)는 수납 케이스(200)로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폭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면서 이동 통신 기기(11)에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탄성부(311)가 이동 통신 기기(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이동 통신 기기(11)가 제 1탄성부(311)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first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이동 통신 기기(11)의 폭이 수납 케이스(200)의 양측에 형성된 제 1탄성부(311) 사이의 폭에 대응되어 별도의 탄성력이 발생되지 않고 이동 통신 기기(11)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으나, 도 5와 같이 이동 통신 기기(11)의 폭이 전술한 도 4에 비하여 넓은 경우에는 제 1탄성부(311)의 제 1탄성 부재(311a)가 이동 통신 기기(11)에 의한 외부 힘을 받아 압축, 즉 곡률이 작아지도록 압축되면서 이동 통신 기기(11)에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다양한 폭을 가지는 이동 통신 기기(11)를 수납시킬 때에도 이동 통신 기기(11)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렬시키면서도 탄성력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에서 점선은 전술한 도 4의 제 1탄성 부재(311a)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 1탄성 부재(311)의 압축 전, 후의 위치 비교를 위하여 나타낸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width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탄성부(311)가 수납 케이스(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제 1탄성부(311)는 수납 케이스(200)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수납 케이스(200)의 폭이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폭과 동일한 경우에는 제 1탄성부(311)는 생략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제 2탄성부(312)는 수납 케이스(200)로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11)가 충전부(100)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 통신 기기(11)의 일면에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second
제 2탄성부(312)는 제 2탄성 부재(312a) 및 제 2탄성 부재(312a)에 의해 지지되며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일면에 접촉되는 롤러부(31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기기(11)가 수납 케이스(200)에 수납될 때 전술한 제 1탄성 부재(311a)와 유사하게 그 두께에 따라 제 2탄성 부재(312a)가 압축 또는 이완되면서 이동 통신 기기(11)를 충전부(100)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며, 롤러부(312b)는 제 2탄성 부재(312a)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 통신 기기(11)의 일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수납 케이스(200) 내에서 이동 통신 기기(11)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second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이동 통신 기기(11)의 두께가 충전부(100) 및 제 2탄성부(312)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어 별도의 탄성력이 발생되지 않고 이동 통신 기기(11)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으나, 도 7과 같이 이동 통신 기기(11)의 두께가 전술한 도 6에 비하여 두꺼운 경우에는 제 2탄성 부재(312a)가 이동 통신 기기(11)의 두께에 의한 외부 힘을 롤러부(312b)를 통해 전달 받아 압축, 즉 곡률이 작아지도록 압축되면서 이동 통신 기기(11)에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이동 통신 기기(11)를 수납시킬 때에도 이동 통신 기기(11)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렬시키면서도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7에서 점선은 전술한 도 6의 제 2탄성 부재(312a) 및 롤러부(213b)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 2탄성 부재(312a)의 압축 전, 후의 위치 비교를 위하여 나타낸 것이다.6, the thickness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탄성부(312)를 통해 이동 통신 기기(11)가 충전부(100)에 밀착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 케이스(200)의 두께가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두께와 동일한 경우에는 제 2탄성부(312)는 생략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위치 조정부(320)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수납 방향으로의 위치, 즉 이동 통신 기기(11)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다시 전술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조정부(320)는 수납 케이스(200)로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11)가 안착되는 안착부(321), 이동 통신 기기(11)의 수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안착부(32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탄성부(322), 안착부(321)의 일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323) 및 걸림 돌기부(323)가 걸리도록 하여 안착부(321)의 위치를 조정하는 걸림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안착부(321)는 수납 케이스(200)의 수납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수납 케이스(20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고, 제 3탄성부(322)는 안착부(321)의 하면과 수납 케이스(200)의 저면 사이에 위치하여 안착부(321)에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안착부(321)가 탄성력에 의해 동일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3탄성부(322)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 3탄성부(322)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ird
제 3탄성부(322)는 안착부(321)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 돌기(322a), 수납 케이스(2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삽입 돌기(322a)가 삽입되는 삽입 홈(322b) 및 삽입 돌기(322a)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3탄성 부재(322c)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이때, 수납 케이스(200)에 삽입되는 이동 통신 기기(11)가 안착부(321)에 안착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외부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 3탄성 부재(322c)가 압축되는 동시에 삽입 돌기(322a)가 삽입 홈(322b)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기기(11)에 가해지던 외부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제 3탄성 부재(322c)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삽입 돌기(322a)가 삽입 홈(322b)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안착부(321)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an external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even after the
걸림 돌기부(323)는 수납 케이스(200)에 삽입된 이동 통신 기기(11)가 안착부(321)에 안착된 후에 지속적으로 외부 힘이 가해지는 경우 걸림부(324)에 걸리게 된 다음, 외부 힘이 제거되면 걸림부(32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동 통신 기기(11)에 다시 외부 힘이 가해졌다가 제거되는 경우에는 걸림부(324)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즉, 걸림 돌기부(323) 및 걸림부(324)는 외부 힘이 가해졌다가 제거될때마다 번갈아가면서 걸리거나 이탈되는 푸시 래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lock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기기(11)가 안착부(321)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와 충전부(100)가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별도의 위치 조정이 되지 않으나, 이동 통신 기기(1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와 충전부(100)가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도 9와 같이 이동 통신 기기(11)가 안착부(321)에 안착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외부 힘을 가하여 제 3탄성부(322c)를 압축시키면서 걸림 돌기부(323)가 걸림부(324)에 걸리도록 하여 이동 통신 기기(11)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ttery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걸림 돌기부(323) 및 걸림부(324)를 통해 수납 케이스(200)에 삽입되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수납 케이스(200)의 깊이와 이동 통신 기기(11)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위치 조정부(320)는 생략될 수 있다.Although the case of adjusting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따라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이동 통신 기기(11)는 별도로 위치 조정부(320)를 통한 위치 조정 없이도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와 충전부(100)가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하게 되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이동 통신 기기(11)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와 충전부(100)가 위치가 대향되지 않아 충전 효율이 저하되거나 정상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기기(11)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여 위치 조정부(320)에 의해 이동 통신 기기(11)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와 충전부(100)가 서로 대향되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걸림 돌기부(323) 및 걸림부(324)가 걸리거나 이탈되는 경우와 같이 두 가지 경우에 대하여 이동 통신 기기(11)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의 다단계로 이동 통신 기기(11)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of adjusting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10)는 수납 케이스(200)에 삽입되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는 위치 정렬부(300)를 통하여 이동 통신 기기(11)의 기종에 따라 크기가 다른 경우, 즉 폭, 두께 및 길이 등이 다른 경우에도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의 위치와 충전부(100)가 서로 대향되도록 이동 통신 기기(1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통신 기기(11)의 기종이 서로 달라 충전 효율이 저하되거나 정상적으로 충전이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수납 케이스(200) 내에서 이동 통신 기기(11)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충전기(10)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무선 충전기(10)를 차량에 장착함으로써 차량에 거치대 또는 충전기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고 차량 내부 여유 공간 감소 및 손상을 방지하고, 전원 케이블 등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the meantime, although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mmodated in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20)는 변속 레버(21), 베이스(22) 및 디스플레이부(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22) 내부에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기(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10 내지 도 12에서 무선 충전기(1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무선 충전기(1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The
변속 레버(21)는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속단을 선택하는 역할을 하며, 변속 레버(21)의 일단에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노브(Knob)(21a)가 연결되어, 운전자는 노브(21a)를 잡고 일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변속 레버(21)를 이동시켜 원하는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A
변속 레버(21)의 이동 방향이나 변속 레버(21)의 이동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변속단은 변속 모드나 변속 패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속 모드로서 자동 변속 모드나 수동 변속 모드 등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고, 변속 패턴은 "I", "H" 및 "" 형상 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gear range selectable by the shift direction of the
베이스(22)는 변속 레버(21)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변속 레버(21)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여, 변속 레버(21)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베이스(22)는 변속 레버(21)의 일측뿐만 아니라,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이나 특정 상황에서 변속 레버의 이동을 차단하는 시프트 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구성 요소들이 수용되어 변속 모드나 변속 패턴에 따른 변속 레버(2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베이스(22) 내부에 무선 충전기(10)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베이스(22)의 일면, 즉 차량 내부에 노출되는 상면에는 삽입 홀(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홀(22a)은 무선 충전기(10)의 수납 케이스(200)에 형성된 개방면(2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차량 탑승자가 삽입 홀(22a)을 통해 무선 충전기(10)에 이동 통신 기기(11)를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A case where the
또한, 베이스(22)는 베이스(22)에 무선 충전기(1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무선 충전기(10)는 장착부(22b)에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 후크 결합 및 접착제 등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The base 22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디스플레이부(23)는 현재 선택된 변속단이나 선택 가능한 변속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무선 충전기(10)로부터 전송된 이동 통신 기기(11)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기초로 이동 통신 기기(11)의 충전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The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 충전기(10)는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부(23)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3)는 전송된 충전 상태를 아이콘이나 숫자 등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3)가 노브(21a)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3)가 설치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3)는 액정 표시 장치, 네비게이션, AV 시스템 및 HUD(Head Up Display)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차량용 변속 장치(20)에 무선 충전기(10)를 구비하여 이동 통신 기기(11)가 베이스(22) 내부에 구비된 무선 충전기(10)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기기(11)의 거치와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므로, 차량 내부에 거치대 또는 충전기를 별도로 장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차량 내부의 여유 공간 감소 및 손상을 방지하고, 전원 케이블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차량 내부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무선 충전기
20: 차량용 변속 장치
21: 변속 레버
22: 베이스
23: 디스플레이부
100: 충전부
200: 수납 케이스
300: 위치 정렬부
311: 제 1탄성부
312: 제 2탄성부
320: 위치 정렬부
321: 안착부
322: 제 3탄성부
323: 걸림 돌기부
324: 걸림부10: Wireless charger
20: vehicle transmission
21: Shift lever
22: Base
23:
100:
200: storage case
300:
311: first elastic part
312: second elastic portion
320:
321:
322: third elastic part
323:
324:
Claims (15)
상기 변속 레버의 일측을 감싸며, 상기 변속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를 통해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수납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 사이에서 위치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수납된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복수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를 유지하는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A shift lever that moves in one direction to select a speed change stage;
A base surrounding one side of the shift lever and guiding movement of the shift lever; And
And a wireless charger for wirelessly charg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in the base and received through the base,
The wireless charger includes: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wireless charger includes: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capable of adjusting a position between a plurality of posi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stor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accommoda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s a wireless charger that hold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Device.
상기 베이스는,
상기 무선 충전기의 개방된 일면으로 상기 이동 통신 기기가 수납되도록 상기 이동 통신 기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는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ncludes:
And a wireless charger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inserted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housed in an open side of the wireless charger.
상기 베이스는,
상기 무선 충전기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ncludes:
And a wireless charger including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wireless charger is mounted.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의 수납 방향 및 상기 수납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er includes:
And a wireless charger that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 at least one of a storage direction of the stor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orage direction.
상기 수납 방향은,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길이 방향이며,
상기 수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은,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폭 또는 두께 방향인 무선 충전기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oring directio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oring direction is a direction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a width or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일측에 상기 충전부가 위치하며,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이동 통신 기기가 수납되는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렬부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수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수납 방향으로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수납 방향으로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 사이에서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수납된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복수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를 유지하는 무선 충전기.A charging unit charg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ly;
A housing case in which the charging unit is disposed at one side and the one side is opened to receiv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nd a positioning uni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ase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or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position-
An elastic part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receiv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nd a posi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stor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The position adjustment being possible between a plurality of different positions in the hous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receiv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aintain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상기 탄성부는,
제 1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 1탄성부; 및
상기 제 1방향과 교차하는 제 2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 2탄성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8. The method of claim 7,
The elastic portion
A first elastic part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first direction; And
And a second elastic portion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 1탄성부는,
제 1탄성 부재; 및
상기 제 1탄성 부재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elastic portion
A first elastic member; An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상기 제 1탄성 부재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를 향하여 소정 곡률을 가지며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폭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어 상기 이동 통신 기기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무선 충전기.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elastic member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s a convex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owar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resses or relaxes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 2탄성부는,
제 2탄성 부재; 및
상기 제 2탄성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일면에 접촉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elastic portion
A second elastic member; And
And a roller portion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롤러부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두께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는 상기 제 2탄성 부재로부터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일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무선 충전기.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oller unit
Wherein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y an elastic force generated from the second elastic member which is compressed or relax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수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수납되는 이동 통신 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수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 3탄성부;
상기 안착부의 일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 및
상기 수납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부가 걸리게 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A seating part positioned inside the storage case so as to be movable in a hous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seating part placing the receiv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 third elastic part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the seating pa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ous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 latch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nd
And a latch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case and adapted to latch the latching protrusion by movement of the latching portion.
상기 제 3탄성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 돌기;
상기 수납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 및
상기 삽입 돌기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3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third elastic portion
An insertion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torage case and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And
And a third elastic member located outside the insertion protrus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7488A KR102004430B1 (en) | 2013-05-22 | 2013-05-22 | Wireless charger and automotive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7488A KR102004430B1 (en) | 2013-05-22 | 2013-05-22 | Wireless charger and automotive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137083A KR20140137083A (en) | 2014-12-02 |
| KR102004430B1 true KR102004430B1 (en) | 2019-07-26 |
Family
ID=5245705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57488A Active KR102004430B1 (en) | 2013-05-22 | 2013-05-22 | Wireless charger and automotive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0443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93986B1 (en) * | 2015-05-11 | 2017-01-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Wireless recharge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DE102015220503B4 (en) | 2015-10-21 | 2019-09-26 | Lisa Dräxlmaier GmbH | Storage compartment for an interior trim part of a motor vehicle |
| US10173604B2 (en) * | 2016-08-24 | 2019-01-08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Illuminated vehicle consol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011712A (en) * | 2008-06-30 | 2010-01-14 | Sharp Corp | Charging cradle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39626U (en) * | 1996-12-20 | 1998-09-15 | 양재신 | A car with a walkie talkie |
| KR200443360Y1 (en) | 2007-11-28 | 2009-02-06 | (주)정인일렉텍 | Car Cell Phone Charging Cradle |
| KR20130037082A (en) * | 2011-10-05 | 2013-04-15 | 삼성전기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 |
-
2013
- 2013-05-22 KR KR1020130057488A patent/KR1020044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011712A (en) * | 2008-06-30 | 2010-01-14 | Sharp Corp | Charging crad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137083A (en) | 2014-12-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756697B2 (en) | Mounting structure including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multiplex control signal to vehicle electrical devices | |
| KR101874641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wireless charging coil and antenna element in same plane | |
| US8624547B2 (en) | Recharging or connection tra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 KR101443007B1 (en) | Mobile Device Cradl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 |
| EP2748909B1 (en) | A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 |
| KR101765692B1 (en) | transmission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
| JP6074744B2 (en) | In-vehicle charger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 |
| KR101708690B1 (en) | Cradle Assembly available to connect with Portable Device for Vehicles | |
| US20120313576A1 (en) | Charg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 |
| KR102004430B1 (en) | Wireless charger and automotive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 |
| US6009168A (en) |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US20130154555A1 (en) | Sliding wireless charging tray for inductive 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 |
| KR101701054B1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 |
| EP3268269A1 (en) | Cycle insertion lock, cycle board computer, cyc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er access server, user access system and data carrier | |
| KR101483149B1 (en) | Apparatus to fix a mobile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battery | |
| KR20150063821A (en) |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battery in vehicles | |
| KR101924338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wireless charging coil and antenna element in same plane | |
| JP2012239020A (en) | Antenna device | |
| EP4142103A1 (en) | Mobile terminal holder structure | |
| US20190115945A1 (en) |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 |
| KR102300573B1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charg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using tilt function | |
| CN209748606U (en) | Portable terminal including vibration motor with receiver function | |
| US20160087668A1 (en) | Optimized wireless charging system | |
| KR101944856B1 (en) | Wireless charging x-y guide having slide bearing | |
| KR102274254B1 (en)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