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106B1 - Waterproof wall of the basement structure - Google Patents
Waterproof wall of the basement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0106B1 KR102000106B1 KR1020170071543A KR20170071543A KR102000106B1 KR 102000106 B1 KR102000106 B1 KR 102000106B1 KR 1020170071543 A KR1020170071543 A KR 1020170071543A KR 20170071543 A KR20170071543 A KR 20170071543A KR 102000106 B1 KR102000106 B1 KR 1020001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underground
- panel
- beam support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8—Evacuating water from cavity walls, e.g. by using weep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는 지하 바닥에 맞대어져 구비되는 배수판과, 상기 배수판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판을 덮는 무근콘크리트 미장층과, 상기 미장층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무근콘크리트 미장층을 덮는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지하 벽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지하 벽면을 유수로부터 보호하는 지하 차수벽과, 상기 지하 차수벽과 상기 바닥재가 맞대어지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재와 상기 지하 차수벽 사이의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수층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derground water wall structure comprising: a drain plat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n underground floor; an inactive concrete drainage layer provided on the drainage plate to cover the drainage plate; An underground water outlet wall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wall a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nderground wall to protect the underground wall from runoff; and a waterproof wall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underground water wall is in contact with the underground wall, And a waterproof layer for improving the waterproof performance betwee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waterproof lay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 차수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재의 모듈화를 통해 신속한 시공을 할 수 있는 지하 차수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water wal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ground water wall structure capable of prompt construction through modularization of members.
일반적으로 빌딩 및 아파트 등의 지하 주차장에는 외벽을 통해 유입되는 유수가 주차장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수벽이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such as a building or an apartment, a water wall is installed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outside wall into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종래의 차수벽(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주차장의 측벽(2)과 연접되게 배수로(4)가 형성되도록 측벽(2)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방수턱(3)이 돌출되었고, 방수턱(3)의 상면으로부터 천정까지 다수개의 벽돌 또는 블록을 쌓아 배수로가 형성된 공간과 주차공간이 차단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벽돌 또는 블록들이 상호 고착된 후 미장과 방수처리 및 외관이 미려하도록 페인트가 도색되어 진다.1, the
그러나, 이러한 차수벽(1)은 시공에 필요한 부재 즉, 블록, 미장, 방수 및 페인트 도색을 위한 많은 부재들이 시공 현장에 근접된 위치에 적재되도록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또한, 종래의 방수턱(3)은 습식공법으로 시공이 매우 번거롭고 시공기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시공품질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재의 모듈화를 통해 신속한 시공을 할 수 있는 지하 차수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ground water wall structure capable of prompt construction through modularization of members.
그리고, 방수턱을 대체하여 방수턱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지하 차수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derground waterfront wall structure that can exhibit a waterproof jaw function by replacing a waterproof jaw.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는 지하 바닥에 맞대어져 구비되는 배수판과, 상기 배수판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판을 덮는 무근콘크리트 미장층과, 상기 미장층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무근콘크리트 미장층을 덮는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지하 벽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지하 벽면을 유수로부터 보호하는 지하 차수벽과, 상기 지하 차수벽과 상기 바닥재가 맞대어지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재와 상기 지하 차수벽 사이의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수층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derground water wall structure including a drain plat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n underground floor, an uninhabited concrete drainage layer provided on the drain plate to cover the drain plate, An underground water outlet wall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wall a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nderground wall to protect the underground wall from runoff; And a waterproof layer provided on the bottom wall to improve the waterproof performance between the floor material and the underground water wall.
상기 방수층은 실리콘, 방수테이프, 접착제, 우레탄, 방수제, 발수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proof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ilicone, waterproof tape, adhesive, urethane, waterproofing agent, and water repellent agent.
상기 지하 차수벽과 지하 벽면 사이에는 상층에서 유입된 유수가 상기 배수판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통수관이 구비될 수 있다.A water pip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nderground water wall and the underground wall so that water flowing in the upper layer is drained to the drain plate.
상기 지하 차수벽은 지하 벽면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패널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과 결합하는 빔 서포트와, 지하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빔 서포트와 결합하여 상기 빔 서포트를 지하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빔 서포트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결합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와 결합하여 상기 빔 서포트가 지하 바닥과 천정에 지지 되도록 하는 받침대와, 상기 빔 서포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패널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몰딩과, 상기 빔 서포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패널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타공환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The underwater water receiving wall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subterranean wall surface. A beam support is provided between the adjacent panels to be coupled with the panel. The subterranean water wall is fixed to a subterranean wall surface and is coupled with the beam support,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eam support on the underground floor and the ceiling in association with the connection port;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beam support, And an upper ventilation plate locat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beam suppor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for circulating air.
상기 빔 서포트는 상기 패널과 결합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와 결합하는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제3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beam support includes a first member that engages with the panel, a second member tha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and engages with the coupling, and a third member tha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Member.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2부재와 맞대어지는 후면과, 상기 후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을 상기 후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판과, 상기 후면, 전면 및 이격판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member includes a rear surface that abuts the second member, a front surface located forward of the rear surface, a spacing plate provided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to separate the front surface from the rear surface,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by the spacing plate and into which the one end of the panel is inserted can be formed.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후면과 결합하며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member may include a main bod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nd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an insertion port formed in the main body and into which the connection port is inserted.
상기 연결구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와 결합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coupled to the pedestal.
상기 제2연결부에는 상기 받침대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하는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for allowing a part of the pedestal to be inserted and coupled.
상기 받침대는 지하 바닥 또는 천정과 맞대어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수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pedestal may have a horizontal member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nderground floor or the ceiling, and a vertical member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member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o form a perpendicular with the horizontal member.
상기 타공환기판은 지하 바닥 측 상기 받침대와 상기 패널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와 맞대어지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하부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타공홀을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perforated ventilation plate includes a bent plate provided between the pedestal on the underground floo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and abutting 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piercing holes formed on the bent plate, Holes.
상기 고정부재는 지하 벽면에 맞대어져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서 상기 제3부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부재와 결합하는 결합판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a fixing plate fixed to the bottom wall surface and a coupl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toward the third member and engaging with the third member.
상기 상부 몰딩은 상기 패널의 상부에 얹혀지는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로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상부 전면 일부를 가리는 세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upper molding may include a transverse member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nel and a longitudinal member which extends from the transverse member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member and cover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상기 패널은 방수석고CRC보드, 마그네슘 보드, 규산염시멘트 보드, 경량콘크리트패널, 압출성형시멘트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panel may be any one of a waterproof gypsum CRC board, a magnesium board, a silicate cement board, a lightweight concrete panel, and an extrusion-molded cement panel.
본 발명의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에 의하면, 부재의 모듈화를 통해 신속한 시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underground water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pid construction can be achieved through modularization of members.
그리고, 방수층을 구비함으로써 방수턱을 대체하여 방수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By providing the waterproof layer, the function of the waterproof jaw can be exhibited by replacing the waterproof jaw.
도 1은 종래의 차수벽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하 차수벽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하 차수벽의 빔 서포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지하 차수벽의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A 및 B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지하 차수벽의 타공환기판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wall.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underground water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ground water wall shown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m support of the underground water wall shown in FIG. 2;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 of the underground water wall shown in FIG. 2;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ortions A and B shown in Fig. 2;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nt hole of the underground water wall shown in FIG. 2;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underground water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underground water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는 지하 차수벽(10), 배수판(20), 무근콘크리트 미장층(30), 바닥재(40) 및 방수층(90)을 구비할 수 있다.2, an underground water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의 배수판(20)은 지하 바닥(60)에 맞대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의 무근콘크리트 미장층(30)과 바닥재(40)가 순차적으로 적층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의 지하 차수벽(10)은 적층된 바닥재(40)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하 벽면(50)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지하 벽면(50)을 보호할 수 있다.The underground
여기서, 상기의 지하 바닥(60)에는 방수턱(미도시)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의 무근콘크리트 미장층(30)의 일단이 지하 벽면(50)과 맞대어지는 부위에 방수층(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방수층(90)은 바닥재(40)와 지하 차수벽(10) 사이의 방수성능을 향상시켜 지하 차수벽(10)과 바닥재(40)가 맞대어지는 부위를 통해 유수가 지하 벽면(50)으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상기의 방수층(90)으로는 실리콘 코킹, 방수테이프 부착 또는 접착제, 우레탄, 방수제, 발수제를 도포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의 지하 차수벽(10)과 지하 벽면(50) 사이에는 상층에서 유입된 유수가 상기의 배수판(20)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통수관(80)이 구비되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A drain pipe (80) is provided between the underground water outlet wall (10) and the underground wall surface (50) so that water flowing in the upper drain can be drained to the drain plate (20).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의 지하 차수벽(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undergroun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하 차수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하 차수벽의 빔 서포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ground water wall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eam support of the underground water wall shown in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의 지하 차수벽(10)은 패널(100), 빔 서포트(200), 고정부재(300), 연결구(400), 받침대(500), 상부 몰딩(600) 및 타공환기판(700)을 구비할 수 있다.3 and 4, an
상기의 패널(100)은 지하 벽면(5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하 벽면(50)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방수석고CRC보드, 마그네슘 보드, 규산염시멘트 보드, 경량콘크리트패널, 압출성형시멘트패널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됨으로써 난연, 내수, 내화 및 차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The
상기의 빔 서포트(200)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100) 사이에 구비되어 패널(100)과 패널(100)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하여 지하 벽면(5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패널(100)을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패널(100) 사이사이에 빔 서포트(200)가 구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패널(100)이 더욱 안전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의 빔 서포트(200)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빔 서포트(200)는 패널(100)과 결합하는 제1부재(210), 제1부재(210)의 일면에 구비되어 연결구(400)와 결합하는 제2부재(220) 및 제2부재(220)의 일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300)와 연결되는 제3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의 제1부재(210)는 제2부재(220)와 맞대어지는 후면(211), 후면(21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212), 전면(212)과 후면(211) 사이에 구비되어 전면(212)을 후면(21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판(213) 및 후면(211), 전면(212) 및 이격판(213)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홈(2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후면(211), 전면(212) 및 이격판(213)은 'ㄷ'형상을 이루어 구비되며 삽입홈(214)의 크기는 패널(10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패널(100)이 삽입홈(214)에 빈틈없이 삽입될 수 있다.The
상기에서와 같이, 패널(100)은 피스나 못 등의 별도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삽입을 통한 결합방식에 의해 시공되므로 시공에 필요한 부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공비 및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본 실시 예에서는 후면(211)이 전면(212)보다 긴 형태로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후면(211) 또는 전면(212)의 길이는 시공현장 또는 패널(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한편, 제2부재(220)는 제1부재(210)의 후면(211)과 결합하며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본체(221) 및 본체(2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구(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본체(221)는 제2부재(220)의 전체적인 형태를 결정하는 것으로, 빔 서포트(200)에 요구되는 구조적 강도에 따라 형상이나 크기가 변형될 수 있다.The
그리고, 본체(221)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221a)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벽(221a)에 의해 삽입구(222)가 복수개 이상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빔 서포트(200)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삽입구(222)는 상기의 연결구(400)가 삽입되는 곳으로서 연결구(400)가 삽입구(222)에 삽입됨에 따라 빔 서포트(200)와 연결구(400)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피스나 못 등의 별도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삽입을 통한 결합방식에 의해 시공되므로 시공에 필요한 부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공비 및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4, an
한편, 제3부재(230)는 제2부재(220)의 본체(221)로부터 지하 벽면(5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의 고정부재(3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의 고정부재(300)는 지하 벽면(50)에 맞대어져 고정되는 고정판(310) 및 고정판(310)에서 제3부재(230)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판(3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고정판(310)은 피스나 나사못 등을 통해 지하 벽면(5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의 결합판(320)은 볼트 등을 통해 빔 서포트(200)의 제3부재(230)와 연결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지하 벽면(5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0)가 빔 서포트(200)에 연결됨으로써 빔 서포트(200)가 지하 벽면(50)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빔 서포트(200)와 결합한 상태인 패널(100) 및 연결구(400) 또한 지하 벽면(50)에 고정될 수 있다.The
한편, 다수개의 패널(100) 중 말단에 위치하는 패널(100)의 일측에는 패널(100)의 일측을 보호하는 측면몰딩(8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측면몰딩(800)은 패널(100)의 일측과 결합하여 패널(100)의 일측이 지하 벽면(50)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패널(100)과 지하 벽면(50)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더욱 견고한 시공이 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
다음은 상기의 연결구(4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하 차수벽의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ort of the underground water wall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의 지하 차수벽(10)은 지하 벽면(50)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패널(100), 서로 이웃하는 패널(100) 사이에 구비되어 패널(100)과 결합하는 빔 서포트(200), 지하 벽면(50)에 고정되고 빔 서포트(200)와 결합하여 빔 서포트(200)를 지하 벽면(5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00), 빔 서포트(200)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결합하는 연결구(400), 연결구(400)와 결합하여 빔 서포트(200)가 지하 바닥(60)과 천정(70)에 지지 되도록 하는 받침대(500), 빔 서포트(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받침대(500)와 패널(100)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몰딩(600) 및 빔 서포트(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대(500)와 패널(100)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타공환기판(700)을 구비할 수 있다.2 to 5, an underground
상기의 연결구(400)는 삽입구(222)에 삽입되는 제1연결부(410) 및 제1연결부(4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연결부(410)는 삽입구(222)의 단면형태 및 크기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 없이 완전히 삽입구(22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연결부(420)는 제1연결부(4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의 받침대(50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420)에는 받침대(500)의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421)이 구비되어 끼움 방식을 통해 연결구(400)에 받침대(50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The
한편, 빔 서포트(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구(400)는 빔 서포트(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구(4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2연결부(420)가 길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추후 설명할 타공환기판(700)을 빔 서포트(200)의 하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The
다음은 상기의 받침대(500), 상부 몰딩(600) 및 타공환기판(7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도 6은 도 2에 도시된 A 및 B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지하 차수벽의 타공환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parts A and B shown in FIG. 2,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ion ventilating plate of an underground water wall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의 지하 차수벽(10)은 지하 벽면(50)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패널(100), 서로 이웃하는 패널(100) 사이에 구비되어 패널(100)과 결합하는 빔 서포트(200), 지하 벽면(50)에 고정되고 빔 서포트(200)와 결합하여 빔 서포트(200)를 지하 벽면(5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00), 빔 서포트(200)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결합하는 연결구(400), 연결구(400)와 결합하여 빔 서포트(200)가 지하 바닥(60)과 천정(70)에 지지 되도록 하는 받침대(500), 빔 서포트(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받침대(500)와 패널(100)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몰딩(600) 및 빔 서포트(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대(500)와 패널(100)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타공환기판(700)을 구비할 수 있다.2 to 7, an underground
상기의 받침대(500)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연결구(400)와 결합하여 빔 서포트(200)가 지하 바닥(60)과 천정(70)에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받침대(500)는 지하 바닥(60) 또는 천정(70)과 맞대어지는 수평부재(510) 및 수평부재(510)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수평부재(510)로부터 연장되어 결합홈(421)에 삽입되는 수직부재(5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수평부재(5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력 향상을 위해 피스 등을 통해 지하 바닥(60) 또는 천정(70)에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의 수직부재(520)는 수평부재(510)의 길이가 지하 벽면(50)방향 일단보다 패널(100)방향 일단으로 더 길게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수직부재(520)와 결합하는 연결구(400) 및 연결구(400)와 결합하는 제2부재(220)의 위치가 제1부재(210)와 결합하는 패널(100)의 위치와 상이하여 패널(100)의 무게에 의해 지하 차수벽(10)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패널(100)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한편, 상기의 상부 몰딩(600)은 가로부재(610)와 세로부재(6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가로부재(610)는 패널(100)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며, 세로부재(620)는 가로부재(610)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가로부재(610)로부터 연장되어 패널(100)의 전방 상부면 일부를 가리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와 같이, 상부 몰딩(600)을 구비함으로써 패널(100)의 상부를 통해 오염물질 등이 지하 벽면(50)과 패널(100) 사이 공간에 침투하거나 연결구(400), 빔 서포트(200) 또는 고정부재(300)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상부 몰딩(600)은 피스나 못 등의 별도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삽입을 통한 결합방식에 의해 시공되므로 시공에 필요한 부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공비 및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탈착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The
또한, 별도의 미장이나 페인트 도색 등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미장이나 페인트 도색 공정에 의해 발행할 수 있는 먼지의 비산 또는 악취 등이 발생하지 않아 시공현장의 작업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such as painting or painting is not required, scattering of dust or odor that can be issued by the paint or paint painting process does not occur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의 타공환기판(700)은 지하 바닥(60) 측 받침대(500)와 패널(10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고 연결구(400)의 제2연결부(420)와 맞대어지는 절곡판(710) 및 절곡판(7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타공홀(720)을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의 타공환기판(700)은 피스나 못 등의 별도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지하 바닥(60) 측 받침대(500)와 패널(100)의 하부 사이에 끼움 방식을 통해 시공되므로 시공에 필요한 부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공비 및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탈착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Since the perforated
그리고, 절곡판(710)에 형성된 다수개의 타공홀(720)에 의해 외기가 지하 벽면(50)과 패널(10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거나 지하 벽면(50)과 패널(1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공기가 외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지하 벽면(50)과 패널(100) 사이의 공간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차에 의한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By the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720 formed i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차수벽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dily suggest another embodiment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ut this is also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10: 지하 차수벽 20: 배수관
30: 무근콘크리트 미장층 40: 바닥재
80: 통수관 90: 방수층
100: 패널 200: 빔 서포트
300: 고정부재 400: 연결구
500: 받침대 600: 상부 몰딩
700: 타공환기관10: Underground water wall 20: Water pipe
30: Plain concrete plaster layer 40: Flooring
80: water pipe 90: waterproof layer
100: Panel 200: Beam support
300: fixing member 400:
500: pedestal 600: upper molding
700: Vacuum ventilation pipe
Claims (14)
상기 배수판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판을 덮는 무근콘크리트 미장층과,
상기 미장층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무근콘크리트 미장층을 덮는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지하 벽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지하 벽면을 유수로부터 보호하는 지하 차수벽과,
상기 지하 차수벽과 상기 바닥재가 맞대어지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재와 상기 지하 차수벽 사이의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수층을 구비하고,
상기 방수층은 실리콘, 방수테이프, 접착제, 우레탄, 방수제, 발수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지하 차수벽과 지하 벽면 사이에는 상층에서 유입된 유수가 상기 배수판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통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지하 차수벽은 지하 벽면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패널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과 결합하는 빔 서포트와, 지하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빔 서포트와 결합하여 상기 빔 서포트를 지하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빔 서포트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결합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와 결합하여 상기 빔 서포트가 지하 바닥과 천정에 지지 되도록 하는 받침대와, 상기 빔 서포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패널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몰딩과, 상기 빔 서포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패널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타공환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빔 서포트는 상기 패널과 결합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와 결합하는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제3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2부재와 맞대어지는 후면과, 상기 후면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을 상기 후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판과, 상기 후면, 전면 및 이격판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후면과 결합하며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구를 복수개 이상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는 내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차수벽 구조.
A drain pan provided to be opposed to the underground floor,
An unfilled concrete floor layer provided on the drainage plate and covering the drainage plate,
A floor material provided on the fine mat layer to cover the non-wicked concrete fine mat layer,
An underground water receiving wall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material a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nderground wall to protect the underground wall from runoff,
And a waterproof layer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underground water wall and the bottom material meet, and which improves the waterproof performance between the bottom material and the underground water wall,
Wherein the waterproof layer is formed of one of silicone, a waterproof tape, an adhesive, a urethane, a waterproofing agent, and a water repellent agent,
A water pipe is provided between the underground water wall and the underground wall to drain water flowing from the upper layer to the drain pan,
The underwater water receiving wall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subterranean wall surface. A beam support is provided between the adjacent panels to be coupled with the panel. The subterranean water wall is fixed to a subterranean wall surface and is coupled with the beam support,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eam support on the underground floor and the ceiling in association with the connection port;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beam support, And an upper ventilation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beam suppor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and circulating air,
The beam support includes a first member that engages with the panel, a second member tha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and engages with the coupling, and a third member tha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Member,
Wherein the first member includes a rear surface that abuts the second member, a front surface located forward of the rear surface, a spacing plate provided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to separate the front surface from the rear surface,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by the spacing plate and into which one end of the panel is inserted,
And a second member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being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 insertion port formed in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connection port,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n inner wall for improving rigidity.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후면과 결합하며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차수벽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member having a polygonal shape coupled with the rear surface,
And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into which the connector is inserted.
상기 연결구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와 결합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차수벽 구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nector has a first connection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coupled with the pedestal.
상기 제2연결부에는 상기 받침대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차수벽 구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for allowing a part of the pedestal to be inserted and coupled therewith.
상기 받침대는 지하 바닥 또는 천정과 맞대어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수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차수벽 구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edestal includes a horizontal member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nderground floor or the ceiling,
And a vertical member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member to b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타공환기판은 지하 바닥 측 상기 받침대와 상기 패널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와 맞대어지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하부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타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차수벽 구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erforated ventilation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pedestal on the underground floor and the lower part of the panel and is abutt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formed in the bent plate for circulating air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panel.
상기 고정부재는 지하 벽면에 맞대어져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서 상기 제3부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부재와 결합하는 결합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차수벽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fixing plate fixed to be fixed to the underground wall surface,
And a coupl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member to engage with the third member.
상기 상부 몰딩은 상기 패널의 상부에 얹혀지는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로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상부 전면 일부를 가리는 세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차수벽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molding comprises a transverse member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nel,
And a vertical member extending from the transverse member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member and covering a part of an upper front surface of the panel.
상기 패널은 방수석고CRC보드, 마그네슘 보드, 규산염시멘트 보드, 경량콘크리트패널, 압출성형시멘트패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차수벽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nel is one of a waterproof gypsum CRC board, a magnesium board, a silicate cement board, a lightweight concrete panel, and an extrusion molded cement pane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71543A KR102000106B1 (en) | 2017-06-08 | 2017-06-08 | Waterproof wall of the basement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71543A KR102000106B1 (en) | 2017-06-08 | 2017-06-08 | Waterproof wall of the basement structur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34090A KR20180134090A (en) | 2018-12-18 |
| KR102000106B1 true KR102000106B1 (en) | 2019-07-15 |
Family
ID=6495245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71543A Expired - Fee Related KR102000106B1 (en) | 2017-06-08 | 2017-06-08 | Waterproof wall of the basement struc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00106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097263A (en) | 2022-12-20 | 2024-06-27 | 이성민 | method and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barrier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using a water sens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080307B (en) * | 2019-04-29 | 2021-03-26 |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 Modular tool for water stop stee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10158794B (en) * | 2019-05-29 | 2021-01-26 | 福建九鼎建设集团有限公司 | Damp-proof heat-insulating wall |
| CN110725421A (en) * | 2019-10-22 | 2020-01-24 | 万泰建筑科技(深圳)有限公司 | Water-resistant, moisture-proof and mothproof construction method for outer wall of light steel villa |
| CN111173284A (en) * | 2020-02-25 | 2020-05-19 | 华川建设集团有限公司 | Construction method for anti-seepage of cast-in-place outer wall of basement |
| KR102387049B1 (en) * | 2020-10-29 | 2022-04-15 | 씨제이대한통운(주) | Leak protection Systems for outside walls on basement floo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45012B1 (en) * | 2005-09-05 | 2006-01-24 |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 Wall waterproof structure of building structure and its waterproofing method |
| KR200431420Y1 (en) * | 2006-08-19 | 2006-11-23 | 손태창 | Prefabricated installation structure of underground double wall using multifunctional panel |
| KR100709315B1 (en) * | 2006-08-11 | 2007-04-20 | 김형성 | Underground wall finishing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341799B1 (en) * | 2013-09-09 | 2013-12-16 | 김성주 | Waterproof wall of the basement building structures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83890A (en) * | 2010-01-15 | 2011-07-21 | 주식회사 대창산업 | Condensate water drainage structure for wall condensate drainage and moisture proof panel for wall using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
-
2017
- 2017-06-08 KR KR1020170071543A patent/KR1020001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45012B1 (en) * | 2005-09-05 | 2006-01-24 |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 Wall waterproof structure of building structure and its waterproofing method |
| KR100709315B1 (en) * | 2006-08-11 | 2007-04-20 | 김형성 | Underground wall finishing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0431420Y1 (en) * | 2006-08-19 | 2006-11-23 | 손태창 | Prefabricated installation structure of underground double wall using multifunctional panel |
| KR101341799B1 (en) * | 2013-09-09 | 2013-12-16 | 김성주 | Waterproof wall of the basement building structure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097263A (en) | 2022-12-20 | 2024-06-27 | 이성민 | method and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barrier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using a water senso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34090A (en) | 2018-12-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000106B1 (en) | Waterproof wall of the basement structure | |
| US12320115B2 (en) | Top of wall ventilation screed device and assembly | |
| US7313891B2 (en) | Wall finishing system | |
| US7383670B1 (en) | Panel bracket system | |
| JP6283335B2 (en) | Exterior structure | |
| CN104641050B (en) | Waterproofing system for wet areas | |
| CA2789905C (en) | Modular wall panels and systems | |
| US20150192320A1 (en) | Dry wall extrusion grille | |
| US20090193739A1 (en) | Modular Basement Finishing System | |
| KR101949393B1 (en) | Integrated support beam structure Waterproof wall of the basement | |
| JP2011122301A (en) | Curtain wall and building | |
| US20220220745A1 (en) | Quad spacer for installation of flooring systems | |
| JP2015137455A (en) | Piping storage unit installation structure | |
| JP6393605B2 (en) | Joint structure | |
| KR20160000688U (en) | Join Wateproof Means for Stopwater and Wall | |
| JP5616158B2 (en) | Baseboard and baseboard construction method | |
| KR102387049B1 (en) | Leak protection Systems for outside walls on basement floor | |
| JP4133792B2 (en) | Water stop structure between floors of outer wall | |
| JP6958224B2 (en) | Wall ventilation structure | |
| JP7506546B2 (en) | Ventil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ventilation structure | |
| CA2776267C (en) | Brackets and covers for electrical wire routing at interior corners of a building | |
| JP2012207506A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bathroom ceiling | |
| US20250101750A1 (en) | Interlo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tile panel mounting | |
| JPH10140694A (en) | Composite structural materials | |
| JP7000228B2 (en) | Attic ventilation structure and ventilation member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7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71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