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171B1 -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8171B1 KR102018171B1 KR1020170134264A KR20170134264A KR102018171B1 KR 102018171 B1 KR102018171 B1 KR 102018171B1 KR 1020170134264 A KR1020170134264 A KR 1020170134264A KR 20170134264 A KR20170134264 A KR 20170134264A KR 102018171 B1 KR102018171 B1 KR 1020181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east cancer
- saliva
- module
- detection
- collec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15—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breas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01N33/5748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involving compounds identifable in body flui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06—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s
- G01N33/6812—Assays for specific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방암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모듈,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및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방암 감지 방법으로서, (1) 채취모듈이,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 (2) 검출모듈이, 단계 (1)의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단계, (3) 분석모듈이, 단계 (2)의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및 (4) 표시모듈이, 단계 (3)의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에 따르면, 유방암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모듈, 및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타액으로부터 검출되는 유방암 마커는, Lysine, 409.2312m/z, Threonine, 131.1174m/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m/z 중 하나 이상이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고, 분석모듈에서는 유방암 마커와 항원-항체반응을 하는 항체와의 반응을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유방암 감지 기술보다 더 정확하게 유방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방암 마커가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유방암 감지 기술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별도의 특별한 장비 없이 유방암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휴대가 용이하여 대중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여성들의 유방암을 조기에 감지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more specifically, as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a sampling module for collecting saliva of a user and a pretreatment process for detecting a breast cancer marker from saliva collected from a sampling module, Removing a mucous glycoprotein from saliva, detecting a breast cancer marker from saliva, a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breast cancer using the immune response of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in the detection module, and breast cancer through the results analyzed in the analysis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so as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breast cancer us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more specifically, as a method for detecting breast cancer, the method comprising: (1) a collecting module collecting a saliva of a user; Pretreatment for detecting breast cancer markers in saliva collected from the sampling module of step (1), removing mucus glycoproteins from the collected saliva, and detecting breast cancer markers from saliva, (3) the analysis module, Analyzing breast cancer using the immune response of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in the detection module of step (2), and (4) the display module identifies breast cancer through the results analyzed in the analysis module of step (3) And a step of displaying such that it is characterized by it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s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a pretreatment process for detecting a breast cancer marker from a salvage module collected from a user's saliva and a saliva collected from a sampling module As the saliva glycoprotein is removed from the collected saliva, and comprises a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breast cancer marker from saliva, and a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breast cancer using the immune response of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in the detection module,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from saliva is at least one of Lysine, 409.2312 m / z, Threonine, 131.1174 m / 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 m / z, and a pretreatment process for detecting breast cancer markers. As a result, mucous glycoproteins are removed from the collected saliva. By through reaction with antibody to the sieve analysis reaction whether or not the breast cancer, and breast cancer more accurately than conventional detection technique it may be to detect whether or not breast canc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breast cancer marker reacts with the antibody, it comprises a display module for promoting the color development, amplify the promoted color development, and display to determine whether breast cancer through the results analyzed in the analysis module By lowering costs compared to conventional breast cancer detect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breast cancer without any special equipment, and it is easy to carry and popularized, so that women can detect and treat breast cancer early.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방암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and a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a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현대사회의 생활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각종 질병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심장질환, 비만 등의 성인병이 증가함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경우 과거에 비하여 유방암 발병률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으며, 유방암 발병률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예방,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As the living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changes, the incidence of various diseases is increasing, and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adult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 and obesity is increasing. In the case of women,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s increasing rapidly compared to the past, and as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ncreases, various technique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them are emerging.
일반적인 유방암의 검진 방법으로서, 유방 촬영술이 있으며, 도 1은 기존의 유방 촬영술의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방 촬영술의 경우, 암 판독 크기가 평균 1㎝ 정도로 1B 기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 장비로서는 한계가 있으며, 장비 구축비용이 2억~3억 정도로 고가이고, 방사선의 피폭성에 대한 단점이 있다. 또한, 유방 촬영 시 유방 압착으로 여성들의 불쾌감과 고통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유방암 진단에 있어서 유방 촬영술과 함께 유방 초음파 검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도 2는 기존의 유방 초음파 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젊은 유방암 환자의 분포가 많고 유선 조직이 치밀한 사람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유방 초음파 검사의 특성상, 그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최근 점차 초음파의 해상도가 높아지면서 전문의들은 초음파를 이용하는 검사를 이전보다 선호하게 되었으며, 이것을 통하여 기존보다 훨씬 질 높은 진단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초음파 검사는 실시간 검사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초음파 장비에 따른 진단 결과의 차이가 크며, 검사자의 경험과 지식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므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집단검사 등에서 표준적이고 객관적인 검사방법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의사들이 직접 초음파 촬영을 하면서 병변이 있는지를 일일이 눈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환자 건수가 많은 종합 병원에서는 의사들의 피로도 증가에 따라, 오진율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기도 하다.
As a general breast cancer screening method, there is a mammography method, and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result of a conventional mammography test. In the case of mammography, the cancer reading size is often found in stage 1B at an average of 1 cm, and there is a limit as to early diagnosis equipment,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equipment is 200 million to 300 million, and the disadvantage of radiation exposure is high. .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reast compression when giving a woman the discomfort and pain. In the diagnosis of breast cancer, a lot of breast ultrasonography is used together with mammography,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a conventional breast ultrasonography. In Korea, where there are many young breast cancer patients and many people with dense mammary tissues, the importance of breast ultrasonography is increasing. Recently, as the resolution of ultrasound has increased, specialists have preferred to use ultrasound examinations, which enables them to make much higher quality diagnosis than before. However, despite the merits of real-time examination, ultrasonic examination has a big difference in diagnosis results according to the ultrasound equipment, and it shows a lot of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inspector, so despite the importance, it is recognized as a standard and objective examination method in group examination. The reality is that you do not receive it. In addition, since the doctors have to perform direct ultrasound imaging to check whether there are lesions, the general hospital with a large number of patients has a problem that the false positive rate increases with increasing doctor fatigue.
상기의 유방 촬영술, 초음파 검사 외에 암을 감지하는 기술로서, DNA를 이용하여 암을 예측하는 기술이 있으며, 이는 유방암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확인하여 예측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타액 안에 있는 암 유전자정보(DNA)를 검출하여 세포의 유전자 분석을 하는 것, 즉, 침을 이용하여 유전자를 확인하는 것으로, 암의 예측에 활용이 가능한 방법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42452호(발명의 명칭: 유방암 진단을 위한 유방암 특이적 메틸화 마커 유전자의 메틸화 검출방법) 등이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mammography and ultrasonography, there is a technique for detecting cancer, and there is a technique for predicting cancer using DNA, which is a method for identifying and predicting a mutation of a breast cancer gene. Specifically, cancer gene information (DNA) in saliva is detected and genetic analysis of cells, that is, a method of identifying cancer using saliva, is a method that can be used for cancer prediction. Related prior arts include Patent No. 10-1142452 (name of the invention: a method for detecting methylation of a breast cancer specific methylation marker gene for diagnosing breast cancer).
타액은 말을 위한 윤활, 음식의 소화 및 미생물로부터의 보호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중요한 생물학적 유체로서, 미네랄, 점액, 전해질, 효소, 효소 억제제,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면역 글로불린 및 기타 당 단백질과 같은 단백질과 함께 99%의 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된 타액은, 신체의 생리 조건을 반영하는 혈액의 여과에 따라 현재 임상 상태를 모니터하고 전신 질환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타액을 이용한 진단과 혈액을 이용한 진단을 비교하였을 때, 타액을 이용한 진단은 진단 또는 연구 목적에서 뚜렷한 이점을 제공하며, 비용적인 면에서도 유리하고, 무엇보다도 비침습적인 과정이라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는바, 타액을 이용한 연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Saliva is an important biological fluid that provides a variety of functions, including lubrication for horses, digestion of food, and protection from microorganisms, including minerals, mucus, electrolytes, enzymes, enzyme inhibitors, growth factors, cytokines, immunoglobulins, and other glycoproteins. It is composed of 99% water with proteins such as Saliva consisting of various components can be utilized to monitor current clinical conditions and predict systemic diseases according to filtration of blood that reflects the physiological conditions of the body. When comparing the diagnosis with saliva and the diagnosis with blood, the diagnosis with saliva offers significant advantages for diagnostic or research purpose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most importantly, is a non-invasive process. As a result, research using saliva is gradually increasing.
최근에는, 이러한 타액 속의 49가지 단백질을 분석해 유방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여성, 양성 종양이 있는 여성, 악성 종양이 있는 여성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method of analyzing 49 proteins in saliva has been developed to distinguish women with no abnormalities in breasts, women with benign tumors, and women with malignant tumors.
도 3은 대조구 (n = 87)와 구강암 샘플 (n = 69)의 타액 대사산물에 대한 CE-TOF-MS를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샘플에서 검출된 대사산물의 상대적인 면적에 대한 대표적인 도트 플롯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대조 샘플 (n = 87)과 적어도 하나의 질병 (n = 128) 환자의 샘플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57개 피크의 히트 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건강한 대조군과 유방암을 구별하기 위한 대사 생체 표지자의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결과를 통하여, 타액의 대사산물에 대한 분석, 타액을 이용하여 암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 등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E-TOF-MS for saliva metabolites of the control (n = 87) and oral cancer samples (n = 69), Figure 4 is a relative area of the metabolites detected in the sample Representative dot plots for, FIG. 5 depicts a heat map of 57 peak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 control sample (n = 87) and a sample of at least one disease (n = 128) pati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of metabolic biomarkers for distinguishing healthy controls from breast cancer. Through the results shown in Figures 3 to 6, it can be confirmed that research related to the analysis of metabolites of saliva, methods for distinguishing cancer using saliva, and the like are actively underway.
이와 같이, 타액을 이용한 암 검출 방법은, 이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타액 내 다양한 단백질 등의 분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의 방법은 검출 확률은 높지만, 이를 분석할 수 있는 특정 장비가 필요하며, 이를 분석할 수 있는 장비가 대규모이고, 고가의 분석비로 인하여 대중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액을 이용하여 유방암을 검출할 수 있는 단백질을 검출하는 키트로서, 저비용으로 별도의 특별한 장비 없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휴대성이 용이하도록 하여 대중화시킬 수 있는 유방암 감지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saliva is already being studied, and this is done by analysis of various proteins in saliva. The above method has a high detection probability, but requires a specific equipment for analyzing the problem,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quipment capable of analyzing this is large and difficult to popularize due to the expensive analysis cost. , A kit for detecting protein that can detect breast cancer using saliva, which can be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without special equipment at low cost, and needs to develop breast cancer detection technology that can be popularized by making it portable .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유방암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모듈, 및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타액으로부터 검출되는 유방암 마커는, Lysine, 409.2312m/z, Threonine, 131.1174m/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m/z 중 하나 이상이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고, 분석모듈에서는 유방암 마커와 항원-항체반응을 하는 항체와의 반응을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유방암 감지 기술보다 더 정확하게 유방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s, as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a sampling module for collecting a user's saliva, a pre-treatment process for detecting a breast cancer marker in saliva collected from the sampling module As the saliva glycoprotein is removed from the collected saliva, and comprises a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breast cancer marker from saliva, and a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breast cancer using the immune response of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in the detection module,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from saliva is at least one of Lysine, 409.2312 m / z, Threonine, 131.1174 m / 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 m / z, and a pretreatment process for detecting breast cancer markers. As a result, mucous glycoproteins are removed from the collected saliva, and the analysis module detects breast cancer markers and antigen-antibody reactions. Aims to provide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a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detect breast cancer more accurately than conventional breast cancer detection technology by analyzing breast cancer through reaction with an antibody. .
또한, 본 발명은, 유방암 마커가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유방암 감지 기술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별도의 특별한 장비 없이 유방암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휴대가 용이하여 대중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여성들의 유방암을 조기에 감지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display module to display the breast cancer markers after the reaction with the antibody, to promote the color development, amplify the promoted color development, and to determine whether breast cancer through the results analyzed in the analysis module Compared to the existing breast cancer detect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check breast cancer visually without any special equipment at a low cost, and it is easy to carry and popularized, allowing saliva to be detected and treated in women earl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the same and a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는,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유방암 감지 키트로서,Breast cancer detection kit,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Sampling module for collecting saliva of the user;
상기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모듈;A pretreatment process for detecting a breast cancer marker from saliva collected by the collection module, the detection module for removing the mucus glycoprotein from the collected saliva, and detects the breast cancer marker from saliva;
상기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및A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breast cancer using an immune response of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by the detection module; And
상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breast cancer through a result analyzed by the analysis module.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유방암 마커는, Lysine, 409.2312m/z, Threonine, 131.1174m/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m/z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breast cancer marker may be at least one of Lysine, 409.2312 m / z, Threonine, 131.1174 m / 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 m / z.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점액 당단백질은, 뮤코당(mucosal glycoproteins)일 수 있다.
The mucoglycoprotein may be mucosal glycoproteins.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점액 당단백질의 제거는, 상기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다.
Removal of the mucus glycoprotein may degrade the glycoprotein in the collected saliva.
더 바람직하게는,More preferably,
상기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시킬 수 있다.
After decomposing the glycoprotein, the mucus may be removed to purify saliva.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Preferably, the detection module,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Microorganisms can be removed from the collected saliva.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Preferably, the detection module,
상기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킬 수 있다.
The pH value of the collected saliva can be changed to pH7.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Preferably, the detection module,
상기 채취된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할 수 있다.
The collected saliva may be added by mixing a buffer solution.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분석모듈의 면역반응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와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상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The immune response of the assay module is an antigen-antibody reaction between a breast cancer marker and an antibody detected in the collected saliva, and can analyze breast cancer through the antigen-antibody reaction.
더 바람직하게는,More preferably,
상기 유방암 마커가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킬 수 있다.
After the breast cancer marker reacts with the antibody, it can promote color development and amplify the promoted color development.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은,In addition,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유방암 감지 방법으로서,As a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1) 채취모듈이,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1) a collecting module, collecting saliva of the user;
(2) 검출모듈이, 상기 단계 (1)의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단계;(2) a detection module, as a pretreatment for detecting breast cancer markers from saliva collected in the sampling module of step (1), removing mucus glycoproteins from the collected saliva and detecting breast cancer markers from saliva;
(3) 분석모듈이, 상기 단계 (2)의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및(3) analyzing, by the analysis module, breast cancer using an immune response of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by the detection module of step (2); And
(4) 표시모듈이, 상기 단계 (3)의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4) The displa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so as to determine whether breast cancer through the results analyzed in the analysis module of the step (3).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유방암 마커는, Lysine, 409.2312m/z, Threonine, 131.1174m/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m/z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breast cancer marker may be at least one of Lysine, 409.2312 m / z, Threonine, 131.1174 m / 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 m / z.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점액 당단백질은, 뮤코당(mucosal glycoproteins)일 수 있다.
The mucoglycoprotein may be mucosal glycoproteins.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점액 당단백질의 제거는, 상기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다.
Removal of the mucus glycoprotein may degrade the glycoprotein in the collected saliva.
더 바람직하게는,More preferably,
상기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시킬 수 있다.
After decomposing the glycoprotein, the mucus may be removed to purify saliva.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Preferably, the detection module,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Microorganisms can be removed from the collected saliva.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Preferably, the detection module,
상기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킬 수 있다.
The pH value of the collected saliva can be changed to pH7.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모듈은,Preferably, the detection module,
상기 채취된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할 수 있다.
The collected saliva may be added by mixing a buffer solution.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분석모듈의 면역반응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와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상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The immune response of the assay module is an antigen-antibody reaction between a breast cancer marker and an antibody detected in the collected saliva, and may analyze breast cancer through the antigen-antibody reaction.
더 바람직하게는,More preferably,
상기 유방암 마커가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킬 수 있다.After the breast cancer marker reacts with the antibody, it can promote color development and amplify the promoted color developmen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에 따르면, 유방암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모듈, 및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타액으로부터 검출되는 유방암 마커는, Lysine, 409.2312m/z, Threonine, 131.1174m/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m/z 중 하나 이상이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고, 분석모듈에서는 유방암 마커와 항원-항체반응을 하는 항체와의 반응을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유방암 감지 기술보다 더 정확하게 유방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s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a pretreatment process for detecting a breast cancer marker from a salvage module collected from a user's saliva and a saliva collected from a sampling module As the saliva glycoprotein is removed from the collected saliva, and comprises a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breast cancer marker from saliva, and a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breast cancer using the immune response of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in the detection module,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from saliva is at least one of Lysine, 409.2312 m / z, Threonine, 131.1174 m / 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 m / z, and a pretreatment process for detecting breast cancer markers. As a result, mucous glycoproteins are removed from the collected saliva. By through reaction with antibody to the sieve analysis reaction whether or not the breast cancer, and breast cancer more accurately than conventional detection technique it may be to detect whether or not breast canc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방암 마커가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유방암 감지 기술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별도의 특별한 장비 없이 유방암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휴대가 용이하여 대중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여성들의 유방암을 조기에 감지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breast cancer marker reacts with the antibody, it comprises a display module for promoting the color development, amplify the promoted color development, and display to determine whether breast cancer through the results analyzed in the analysis module By lowering costs compared to conventional breast cancer detect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breast cancer without any special equipment, and it is easy to carry and popularized, so that women can detect and treat breast cancer early. have.
도 1은 기존의 유방 촬영술의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기존의 유방 초음파 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대조구 (n = 87)와 구강암 샘플 (n = 69)의 타액 대사산물에 대한 CE-TOF-MS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샘플에서 검출된 대사산물의 상대적인 면적에 대한 대표적인 도트 플롯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대조 샘플 (n = 87)과 적어도 하나의 질병 (n = 128) 환자의 샘플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57개 피크의 히트 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건강한 대조군과 유방암을 구별하기 위한 대사 생체 표지자의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반적인 항원-항체 반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일반적인 항원-항체 반응을 통한 발색반응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test result of a conventional mammography.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 conventional breast ultrasonography.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CE-TOF-MS analysis of saliva metabolites of the control (n = 87) and oral cancer samples (n = 69).
4 shows a representative dot plot for the relative area of metabolites detected in a sample.
FIG. 5 shows a heat map of 57 peak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 control sample (n = 87) and a sample of at least one disease (n = 128) patient.
FIG. 6 depicts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of metabolic biomarkers for distinguishing healthy controls from breast cancer.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antigen-antibody reac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color reaction through a general antigen-antibody reac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of an element means that the elem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not to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10)는, 유방암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100), 채취모듈(100)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모듈(200), 검출모듈(200)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300), 및 분석모듈(300)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7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breast
채취모듈(100)은, 사용자로부터 타액을 채취하는 역할을 하며, 검출모듈(200)은 채취모듈(100)에서 채취된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검출되는 유방암 마커는, Lysine, 409.2312m/z, Threonine, 131.1174m/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m/z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collecting
검출모듈(200)은,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점액 당단백질은, 뮤코당(mucosal glycoprotein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액 내 포함된 단백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주사기 필터를 이용하여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함으로써, 타액을 정제시킬 수 있다. 점액 당단백질의 제거 후에는, 채취된 타액에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검출모듈(200)은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5~6에서 pH7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면역반응, 즉 항원-항체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함으로써, 면역반응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The
분석모듈(300)은, 검출모듈(200)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일반적인 항원-항체 반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포획 항체(capture antibody)의 모습, 항체와 표적 항원(target antigen)이 반응하는 모습, HRP(horseradish peroxidase)가 달려있는 항체(antibody)와 반응하는 모습, 및 HRP가 달린 상태에서, TMB로 발색시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10)에 있어서, 분석모듈(300)의 면역반응은 도 8에서의 반응과 같이, 채취된 타액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와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검출모듈(200)에서 정제된 타액이 시트를 통과하도록 하고, 시트를 통과한 정제된 타액의 유방암 마커가 항체와 반응을 하도록 하며, 반응 결과의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킬 수 있다.
The
도 9는 일반적인 항원-항체 반응을 통한 발색반응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항원-항체의 발색반응을 이용하여 검사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발색반응에 있어서, 임신이나 배란의 경우는 항원인 소변 속의 hCG나 LH가 금 입자와 결합한 항체, 및 결과선 항체가 이중 반응을 해서 발색반응을 나타내는데 반해, HIV이나, C형 간염의 경우는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에 대항하여 몸에서 만들어진 항체와, 결과선의 항원이 반응을 해서 발색반응을 나타내게 되고, 이를 확인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양자 간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10) 역시, 도 9에서 설명한 항체의 발색반응을 이용하여, 발색시키고, 이를 촉진, 증폭시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9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lor reaction through the general antigen-antibody reaction, and confirms the test result using the color reaction of the antigen-antibody. In the color reaction, in the case of pregnancy or ovulation, the antibody in which hCG or LH in the urine, which is an antigen, binds to the gold particles, and the resultant antibody reacts to the color reaction, whereas in the case of HIV or hepatitis C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antibody produced in the body against the antigen invaded by and the antigen in the resultant line react to develop a color reaction. Breast
표시모듈(400)은, 분석모듈(300)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사용자가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분석모듈(300)에서는 면역반응을 통한, 발색, 촉진, 증폭의 결과로부터 유방암 여부가 분석되고, 표시모듈(400)에서는 분석모듈(300)의 분석 결과가 유방암인지 아닌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채취모듈(100), 검출모듈(200), 분석모듈(300), 표시모듈(400)은 각각이 분리되어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키트에 모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키트는 소형화된 것으로서 휴대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에 있어서 대중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10)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은, 유방암 감지 방법으로서, 채취모듈(100)이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S100), 검출모듈(200)이 단계 S100의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단계(S200), 분석모듈(300)이 단계 S200의 검출모듈(200)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S300), 및 표시모듈(400)이 단계 S300의 분석모듈(300)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0, the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the breast
각각의 단계들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들은,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10)와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s related to the respective steps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breas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에 따르면, 유방암 감지 키트로서,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모듈, 및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타액으로부터 검출되는 유방암 마커는, Lysine, 409.2312m/z, Threonine, 131.1174m/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m/z 중 하나 이상이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고, 분석모듈에서는 유방암 마커와 항원-항체반응을 하는 항체와의 반응을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유방암 감지 기술보다 더 정확하게 유방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방암 마커가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유방암 감지 기술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별도의 특별한 장비 없이 유방암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휴대가 용이하여 대중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여성들의 유방암을 조기에 감지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s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a breast cancer marker is collected from saliva collected from a sampling module and a sampling module for collecting saliva of a user. As a pre-treatment process for detecting, the detection module for removing the mucus glycoprotein from the collected saliva, detecting the breast cancer marker from the saliva, and a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breast cancer using the immune response of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in the detection module Breast cancer markers, including, and detected from saliva, are at least one of Lysine, 409.2312 m / z, Threonine, 131.1174 m / 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 m / z As a pretreatment for detection, it removes mucus glycoprotein from the collected saliva. By analyzing breast cancer through the reaction between anticancer markers and antigen-antibody reactions, it is possible to detect breast cancer more accurately than conventional breast cancer detection technology. In addition, after the breast cancer marker reacts with the anti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module for promoting color development, amplifying the promoted color development, and indicating whether breast cancer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results analyzed in the analysis module, thereby preventing existing breast cancer. Compared to the detect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breast cancer without any special equipment without any special equipment, and it is easy to carry and popularized, so that women can detect and treat breast cancer early.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100: 채취모듈
200: 검출모듈
300: 분석모듈
400: 표시모듈10: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harvesting module
200: detection module
300: analysis module
400: display module
Claims (20)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채취모듈;
상기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검출모듈;
상기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점액 당단백질의 제거는, 상기 채취된 타액 내에 포함된 단백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주사기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하고,
상기 분석모듈의 면역반응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와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상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되, 상기 검출모듈에서 정제된 타액이 시트를 통과하도록 하고, 시트를 통과한 정제된 타액의 유방암 마커가 항체와 반응을 하도록 하며, 상기 유방암 마커가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며,
상기 채취모듈, 검출모듈, 분석모듈 및 표시모듈은 하나의 키트에 모두 배치되고, 상기 키트는 소형화된 것으로서 휴대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Breast cancer detection kit,
Sampling module for collecting saliva of the user;
A pretreatment process for detecting a breast cancer marker from saliva collected by the collection module, the detection module for removing the mucus glycoprotein from the collected saliva, and detects the breast cancer marker from saliva;
A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breast cancer using an immune response of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by the detection module; And
It include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o determine whether breast cancer through the results analyzed in the analysis module,
The removal of the mucus glycoprotein, the glycoproteins in the collected saliva using a syringe filter to measure the protein contained in the collected saliva,
The immune response of the analysis module is an antigen-antibody reaction between the breast cancer marker and the antibody detected in the collected saliva, and analyzes whether the breast cancer through the antigen-antibody reaction, the saliva purified in the detection module passes through the sheet The breast cancer markers of the purified saliva passing through the sheet react with the antibody, after the breast cancer markers react with the antibody, promote color development, amplify the promoted color development,
The collection module, the detection module, the analysis module and the display module are all disposed in one kit, the k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portability as a miniaturized, saliva breast detection kit using saliva.
상기 유방암 마커는, Lysine, 409.2312m/z, Threonine, 131.1174m/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m/z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breast cancer marker is Lysine, 409.2312m / z, Threonine, 131.1174m / 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437.7442m / z,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상기 점액 당단백질은, 뮤코당(mucosal glycoprotei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mucus glycoprotein is mucosal (mucosal glycoproteins), characterized in that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상기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After decomposing the glycoprotein, mucus is removed to purify saliva, characterized in that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module,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characterized in that to remove the microorganisms from the collected saliva.
상기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module,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pH value of the collected saliva to pH7.
상기 채취된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module,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characterized in that by adding a buffer solution to the collected saliva mixed.
(1) 채취모듈이, 사용자의 타액을 채취하는 단계;
(2) 검출모듈이, 상기 단계 (1)의 채취모듈에서 채취된 타액에서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채취된 타액에서 점액 당단백질을 제거하고, 타액으로부터 유방암 마커를 검출하는 단계;
(3) 분석모듈이, 상기 단계 (2)의 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의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및
(4) 표시모듈이, 상기 단계 (3)의 분석모듈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점액 당단백질의 제거는, 상기 채취된 타액 내에 포함된 단백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주사기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채취된 타액 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하고,
상기 분석모듈의 면역반응은,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검출된 유방암 마커와 항체의 항원-항체 반응으로서, 상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유방암 여부를 분석하되, 상기 검출모듈에서 정제된 타액이 시트를 통과하도록 하고, 시트를 통과한 정제된 타액의 유방암 마커가 항체와 반응을 하도록 하며, 상기 유방암 마커가 항체와 반응한 후, 발색을 촉진시키고, 촉진된 발색을 증폭시키며,
상기 채취모듈, 검출모듈, 분석모듈 및 표시모듈은 하나의 키트에 모두 배치되고, 상기 키트는 소형화된 것으로서 휴대성이 높은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
As a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1) a collecting module, collecting saliva of the user;
(2) a detection module, as a pretreatment for detecting breast cancer markers from saliva collected in the sampling module of step (1), removing mucus glycoproteins from the collected saliva and detecting breast cancer markers from saliva;
(3) analyzing, by the analysis module, breast cancer using an immune response of the breast cancer marker detected by the detection module of step (2); And
(4) displaying, by the display module, identifying the breast cancer through the results analyzed by the analysis module of step (3),
The removal of the mucus glycoprotein, the glycoproteins in the collected saliva using a syringe filter to measure the protein contained in the collected saliva,
The immune response of the analysis module is an antigen-antibody reaction between the breast cancer marker and the antibody detected in the collected saliva, and analyzes whether the breast cancer through the antigen-antibody reaction, the saliva purified in the detection module passes through the sheet The breast cancer markers of the purified saliva passing through the sheet react with the antibody, after the breast cancer markers react with the antibody, promote color development, amplify the promoted color development,
The collection module, the detection module, the analysis module and the display module are all arranged in one kit, and the kit is miniaturized and characterized by using a highly portable breast cancer detection kit, breast cancer us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Detection method.
상기 유방암 마커는, Lysine, 409.2312m/z, Threonine, 131.1174m/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437.7442m/z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breast cancer marker, Lysine, 409.2312m / z, Threonine, 131.1174m / z, Glutamic acid, Tyrosine, Piperideine, Valine, Glycin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437.7442m / z, us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How to detect breast cancer.
상기 점액 당단백질은, 뮤코당(mucosal glycoprotei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mucus glycoprotein is mucosal (mucosal glycoproteins), characterized in that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상기 당단백질을 분해한 후, 점액질을 제거하여 타액을 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decomposing the glycoprotein, mucus is removed to purify saliva, characterized in that the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상기 채취된 타액에서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etection module,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characterized in that to remove the microorganisms from the collected saliva.
상기 채취된 타액의 pH 값을 pH7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etection module,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pH value of the collected saliva to pH7.
상기 채취된 타액에 완충액을 혼합하여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액을 이용한 유방암 감지 키트를 이용한 유방암 감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etection module,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a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characterized in that by adding a buffer solution to the collected saliva mixed.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34264A KR102018171B1 (en) | 2017-10-16 | 2017-10-16 |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method using the same |
| CN201880067089.XA CN111247432A (en) | 2017-10-16 | 2018-10-11 | Breast cancer detection kit and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saliva, and fertile period detection kit and fertile period detection method using saliva |
| PCT/KR2018/011994 WO2019078545A1 (en) | 2017-10-16 | 2018-10-11 |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same, and fertile window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fertile window detection method using same |
| US16/756,370 US20200333342A1 (en) | 2017-10-16 | 2018-10-11 |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same, and fertile window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fertile window detection method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34264A KR102018171B1 (en) | 2017-10-16 | 2017-10-16 |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42392A KR20190042392A (en) | 2019-04-24 |
| KR102018171B1 true KR102018171B1 (en) | 2019-09-04 |
Family
ID=6628205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34264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8171B1 (en) | 2017-10-16 | 2017-10-16 |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1817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457815B2 (en) | 2017-07-28 | 2022-10-04 | Temple University—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 Mobile-platform compression-induced imaging for subsurface and surface object characterizatio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538462A (en) | 1999-03-01 | 2002-11-12 |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ミシシッピ メディカル センター | How to diagnose and monitor breast cancer |
| JP2009510395A (en) | 2005-09-14 | 2009-03-12 |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 Salivary proteins and RNA for breast cancer detection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117123A (en) * | 2006-06-07 | 2007-12-12 | 황명화 | Sterilization Deodorizing Dry Food Dustbin for Sink |
| KR101830820B1 (en) * | 2010-05-13 | 2018-04-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Self-ovulation monitoring apparatus using ovulation rapid kits |
| KR101467371B1 (en) * | 2010-12-14 | 2014-12-02 | 주식회사 피코팜 | A Method of Purifying a Saliva |
| KR101402582B1 (en) * | 2012-08-31 | 2014-05-30 | 주식회사 인포피아 | Kit for analyzing specimen |
| KR101821020B1 (en) * | 2015-11-27 | 2018-01-24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An integral saliva collecting device |
-
2017
- 2017-10-16 KR KR1020170134264A patent/KR10201817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538462A (en) | 1999-03-01 | 2002-11-12 |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ミシシッピ メディカル センター | How to diagnose and monitor breast cancer |
| JP2009510395A (en) | 2005-09-14 | 2009-03-12 |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 Salivary proteins and RNA for breast cancer detection |
Non-Patent Citations (2)
| Title |
|---|
| Elisa Cancado Porto-Mascarenhas et al, Critical Reviews in Oncology/Hematology (2017.02.), vol 110, pp 62-73. |
| Masahiro Sugimoto et al, Metabolomics (2010), vol 6, pp 78-95.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457815B2 (en) | 2017-07-28 | 2022-10-04 | Temple University—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 Mobile-platform compression-induced imaging for subsurface and surface object characterization |
| US11940650B2 (en) | 2017-07-28 | 2024-03-26 | Temple University—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 Mobile-platform compression-induced imaging for subsurface and surface object characterizatio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42392A (en) | 2019-04-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Hirsso et al. | Association of insulin resistance linked diseases and hair loss in elderly men. Finnish population-based study. | |
| EP1895302A3 (en) | A method of detecting of colorectal cancer in human samples | |
| US20130295580A1 (en) | Oral cancer point of care diagnostics | |
| JP2010539490A5 (en) | ||
| WO2018157831A1 (en) | Lung cancer monitoring kit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 |
| D’Amico et al. | A novel approach for prostate cancer diagnosis using a gas sensor array | |
| CN111134619A (en) | Multi-mode photoacoustic/ultrasonic imaging rheumatoid arthritis scoring system and application | |
| Xue et al. | Diagnosis of pathological minor salivary glands in primary Sjogren’s syndrome by using Raman spectroscopy | |
| CN113674839B (en) | A combined detection system for non-invasive imaging screening and minimally invasive sampling nucleic acid typing | |
| KR102018171B1 (en) |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method using the same | |
| CN107993232A (en) | A kind of tumor image analysis an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
| AU1260399A (en) | Method for examining kidney diseases | |
| CA3214321A1 (en) | Method of detecting cancer using genome-wide cfdna fragmentation profiles | |
| US20070020636A1 (en) | Method for early detection and monitoring of diseases by analysis of cell-surface-bound nucleic acids | |
| JP4896827B2 (en) | How to differentiate stratum corneum AGEs | |
| WO2012008747A2 (en) | Skin diagnosis method and kit | |
| US20200333342A1 (en) | Breast cancer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breast cancer detection method using same, and fertile window detection kit using saliva and fertile window detection method using same | |
| CN116448859A (en) | Detection reagent for detecting intestinal cancer based on oligosaccharide chai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 |
| CN108004315A (en) | Appraisal procedure for Alzheimer's disease risk | |
| Liyanage et al. | Correlation between salivary and serum biomarkers of kidney function in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attending the nephrology clinics at Teaching Hospital Karapitiya, Sri Lanka | |
| CN120161204A (en) | Application of a composition in the preparation of oligosaccharide chain hepatitis B liver cancer detection reagent | |
| CN107121551A (en) | Biomarker combinations, detection kit and the application of nasopharyngeal carcinoma | |
| JP4825828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pathological conditions such as renal diseases by electrophoresis using silver staining | |
| CN119555940B (en) | A plasma polypeptide marker COL1A2 associated with tumor bone metastasis and pain and its application | |
| CN108624692A (en) | Gene marker and application thereof for the good pernicious examination of small pulmonary nodul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8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