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191B1 - Multi bracket strucyutr for face brick conservatism - Google Patents
Multi bracket strucyutr for face brick conservatis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1191B1 KR102011191B1 KR1020170044510A KR20170044510A KR102011191B1 KR 102011191 B1 KR102011191 B1 KR 102011191B1 KR 1020170044510 A KR1020170044510 A KR 1020170044510A KR 20170044510 A KR20170044510 A KR 20170044510A KR 102011191 B1 KR102011191 B1 KR 1020111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bracket
- shape
- support plate
- w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468 face brick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CWERGRDVMFNCDR-UHFFFAOYSA-N thioglyco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S CWERGRDVMFNCD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ZAKOWWREFLAJOT-CEFNRUSXSA-N D-alpha-tocopheryl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1=C(C)C(C)=C2O[C@@](CCC[C@H](C)CCC[C@H](C)CCCC(C)C)(C)CCC2=C1C ZAKOWWREFLAJOT-CEFNRUSX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ZAKOWWREFLAJOT-UHFFFAOYSA-N d-alpha-Tocopher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O)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ZAKOWWREFLAJO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FOYKKGHVWRFIBD-UHFFFAOYSA-N gamma-tocopherol acetate Natural products CC(=O)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 FOYKKGHVWRFIB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AEMRFAOFKBGASW-UHFFFAOYSA-N Glycolic acid Chemical compound OCC(O)=O AEMRFAOFKBGA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장벽돌 보수 보강용 멀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외벽 치장벽돌의 조적 및 보수보강 공사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서 안정적인 보수 보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형태를 이루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장공형상의 앵커공(11,12)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10)와;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어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 지지대(20)와;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지되, 장공형상의 앵커공(31)이 형성되어져 있는 사각판 형태의 보조 브라켓(30)과; 상기 보조 브라켓(3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어 일체로 구비되는 하부 지지대(40)와; 상기 상부 지지대(20) 및 하부 지지대(40)에 각각 안착 구성되어 치장벽돌(100)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bracket for repairing reinforcement of stucco bricks, and to ensure stable repair reinforcement work by stably supporting the interlayer load of stucco bricks during masonry and reinforcement of outer wall stucc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the bracket body 10 is formed in the plate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anchor holes (11, 12) are formed, respectively; An upper support 20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to form an upright posi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10; An auxiliary bracket 30 having a square plate shap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10 and having an anchor hole 31 having a long hole shape; A lower support 40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to form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bracket 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plate 50 for supporting the stucco 100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upper support 20 and the lower support 40, respectiv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장벽돌 지지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 치장벽돌의 조적 및 보수보강 공사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서 안정적인 보수 보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수 보강용 멀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supporting stucco, and more particularly, to reinforce and repair to make stable repair and reinforcement work by stably supporting the interlayer load of stucco during 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of outer wall stucco. For multi brackets.
일반적으로 조적벽체는 벽돌, 돌, 콘크리트 블록 등을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구조를 말한다.Generally, a masonry wall is an architectural structure that builds a wall by stacking bricks, stones, and concrete blocks.
이러한 조적벽체는 다수개의 벽돌을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조적하면서 각 상호간을 몰탈로 접합하여 시공이 이루어진다.Such a masonry wall is constructed by joining each other with mortar while masonry a plurality of bricks from the bottom to the top.
조적벽체의 경우, 건물의 외장 또는 치장용 벽돌로 많이 시공되는바, 외부환경인 온도변화와 바람의 풍압 등에 의한 기후의 변화에 의해 치장벽돌이 각각 접합되는 부분에 수축 및 팽창 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시간이 오래되면 치장벽돌의 균열이나 탈락 현상이 발생하거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치장벽돌의 파손이 발생함으로 잦은 하자보수를 필요로 하게 된다.In the case of masonry walls, they are frequently constructed as exteriors or decorative bricks of buildings, and contractions and expansions occur repeatedly at the parts where the decorative bricks are joined due to climate change due to temperature changes and wind pressure, which are external environments. If the time is long, the crack or dropping of the stubborn brick occurs or if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breakage of the stubble will occur frequently requires frequent defect repair.
이러한 치장벽돌의 보수 보강을 위한 기술의 종래 일 예로, 특허등록 제1048899호에서는 트위스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적벽돌 보강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As a conventional example of the technology for repairing reinforcement of such a brick, Patent Registration No. 1048899 discloses a technique related to a masonry brick reinforcement apparatus using a twist plate.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보강장치는 조적벽돌의 개별적인 안착 지지가 이루어짐으로서 벽돌의 하중이 보강장치에 집중되어지게 되어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einforcement device i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ate because the load of the brick is concentrated on the reinforcement device by the individual seating support of the masonry brick.
또한, 천공부위에 철근 간섭이 발생되는 경우 보강장치의 삽입위치를 변경해야 함으로 최적의 위치에 보강장치를 고정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rebar interference occurs in the perforated part, it is difficult to fix the reinforcement device at an optimal position because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reinforcement device must be chang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치장벽돌의 하중 분산효과를 증대시킴과 함께 설치 위치의 가변 조절이 가능한 멀티 브라켓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서 치장벽돌의 보수 보강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ior art, by providing a multi-bracket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load distribution effect of the masonry bricks and the variable adjustment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effective to repair and strengthen the masonry bricks The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 브라켓, 판형태를 이루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장공형상의 앵커공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어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브라켓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지되, 장공형상의 앵커공이 형성되어져 있는 사각판 형태의 보조 브라켓과; 상기 보조 브라켓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어 일체로 구비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 및 하부 지지대에 각각 안착 구성되어 치장벽돌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ulti-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racket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racket body formed with a long hole-shaped anchor hole; An upper supporter which is integrally formed to form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An auxiliary bracket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the anchor hole having a long hole shape formed therein; A lower supporter integrally provided with one side of the auxiliary bracket in a vertic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ing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stucco brick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respectively.
이러한 본 발명의 멀티 브라켓은, 외벽 치장벽돌의 조적 및 보수보강 공사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서 안정적인 보수 보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Such a multi-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eadily supporting the interlayer load of the masonry brick during the masonry and maintenance reinforcement of the outer wall stucco bricks exhibits the effect that the stable maintenance reinforcement work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브라켓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멀티 브라켓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멀티 브라켓 결합상태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멀티 브라켓을 이용한 치장벽돌 시공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멀티 브라켓 시공상태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지지플레이트가 하부지지대의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브라켓 결합부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ulti-bracket side structure diagram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 bracket coupled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ucco construction using multi brackets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multi-bracket construction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lower suppor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xiliary bracket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장벽돌 보수 보강용 멀티 브라켓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bracket for reinforcing the masonry brick re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실시 예에서의 멀티 브라켓은, 판형태를 이루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장공형상의 앵커공(11,12)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10)와, 브라켓 본체(1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어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 지지대(20)와,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지되, 장공형상의 앵커공(31)이 형성되어져 있는 사각판 형태의 보조 브라켓(30)과, 보조 브라켓(3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어 일체로 구비되는 하부 지지대(40)와, 상부 지지대(20) 및 하부 지지대(40)에 각각 안착 구성되어 치장벽돌(100)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50)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ulti-bracke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upper and
특히, 앵커공(11,12,31)은 일정 각도의 경사형상을 이루어 구성되되, 브라켓 본체(10)에 형성된 앵커공(12)과 보조 브라켓(30)에 형성된 앵커공(31)은 상호 반대방향의 경사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양측의 앵커공(12,31)이 상호 "X"형태로 대응되어지게 된다.In particular, the anchor holes (11, 12, 31)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of a predetermined angle, the
또한, 지지플레이트(50)는 강도 보강을 위한 톱니 형상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20) 및 하부 지지대(40) 상면에는 톱니 형상을 이루는 지지플레이트(50)의 안착을 위한 톱니부(21,41)가 형성되며, 하부 지지대(40)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50)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안착홈(42)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42)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부 지지대(20) 및 하부 지지대(40) 각각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연장 지지대(25,45)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볼트(60)에 의해 연결 구성된다. 이때 상부 지지대(20) 및 하부 지지대(40)에는 일정 길이를 형성하는 장공 형태의 볼트공(23,43)이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연장 지지대(45)측에도 장공 형태의 볼트공(48)이 형성되고, 연장 지지대(25,45) 상면에는 톱니부(26,46)이 형성되며, 하부 지지대(40)에 연결되는 연장 지지대(45)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50)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안착홈(47)이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되었다.In addition, each of the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멀티 브라켓을 이용한 치장벽돌 보수보강 작업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4 to 6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effect of the stucco brick reinforcement work using the present invention multi-bracket constituting such a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멀티 브라켓은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는 치장벽돌(100)의 보수보강 공사시 치장벽돌(100)의 층간 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multi-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order to distribute and support the interlayer load of the
즉, 이때에는 브라켓 본체(10)의 위치를 선정한 상태에서 장공 형상의 앵커공(11,12)에 앵커볼트를 설치하게 되는데, 벽체 내의 철근과 간섭이 방지될 수 있는 위치에 앵커볼트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in this case, the anchor bolts are installed in the
또한, 브라켓 본체(10)의 하부에 보조 브라켓(30)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는 상부 지지대(20)와 하부 지지대(40) 상호간의 높이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이와 같이 상부 지지대(20) 및 하부 지지대(40)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면, 각각의 상면 톱니부(21,41)에 지지플레이트(50)를 안착시킨 후 치장벽돌(100)의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As such, when the position of the
즉, 이때에는 지지플레이트(50)에 치장벽돌(100)이 일렬 형태로 지지되어짐으로서 하중 분산에 따른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at this time, the
또한, 현장 상황에 따라 벽체(300)와 치장벽돌(100)간의 간격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상,하부 지지대(20,40)에 연장 지지대(25,45)를 연결한 후 연장 지지대(25,45)의 톱니부(26,46)에 지지플레이트(50)를 안착시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지지플레이트(50)를 안착홈(42,47)에 추가적으로 끼워서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멀티 브라켓은 외벽 치장벽돌의 조적 및 보수보강 공사시 치장벽돌의 층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서 안정적인 보수 보강작업이 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Therefore, the multi-bracket in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he effect that the stable repair reinforcement work can be achieved by stably supporting the interlayer load of the decorative brick during the masonry and maintenance reinforcement of the outer wall stucco.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조 브라켓(30) 배면에는 톱니부(30a)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브라켓 본체(10)에도 톱니부(10a)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치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플레이트(50) 저면에는 탄성코팅층(51)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탄성코팅층(51)은 탄력성 재질인 우레탄 30~50중량%, 크랙발생 방지를 위한 굴패각미분말 10~30중량%, 부착력 증대를 위한 에폭시수지 10~30중량%, 내구성 향상을 위한 엘라스토머 10~30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10중량% 및 굴패각미분말의 뭉침현상 방지를 위한 치오글리콜산 1~5중량%의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ed portion (30a)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브라켓 본체(10)의 하부에 보조 브라켓(30)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호 톱니부(10a,30a)에 의한 치합상태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보조 브라켓(3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짐과 함께 벽돌 하중으로 인한 앵커볼트(500)의 파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such a configuration is achieved, the coupling state of the
또한, 지지플레이트(50) 저면에 탄성코팅층(51)이 형성됨으로서 치장벽돌(100)의 하중으로 인한 충격이 흡수됨과 함께 하부지지대(40)와의 마찰에 따른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특히, 본 실시 예에서의 탄성코팅층(51)에는 탄력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엘라스토머가 포함되어져 있기 때문에 톱니부(41)와의 마찰에 따른 코팅층의 크랙발생이 방지되며, 지용성 화합물인 토코페릴아세테이트가 첨가됨으로 산화방지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염기성의 치오글리콜산이 함유됨으로 굴패각미분말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여 코팅층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됨에 따른 보강기능을 극대화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In particular, since the
10 : 브라켓 본체 11,12 : 앵커공
20 : 상부 지지대 21,41,26,46 : 톱니부
23,43 : 볼트공 25,45 : 연장 지지대
30 : 보조 브라켓 31 : 앵커공
40 : 하부 지지대 42,47 : 안착홈
50 : 지지플레이트 60 : 체결볼트
100 : 치장벽돌 200 : 단열재
300 : 벽체 400 : 방수지
500 : 앵커볼트10:
20:
23,43:
30: auxiliary bracket 31: anchor ball
40:
50: support plate 60: fastening bolt
100: stucco 200: insulation
300: wall 400: waterproof paper
500: Anchor Bolt
Claims (5)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하부에는 장공형상의 앵커공(31)이 형성되어져 있는 사각판 형태의 보조 브라켓(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고;
상기 보조 브라켓(30)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하부 지지대(40)가 일체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50)는 강도 보강을 위한 톱니 형상을 이루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상부 지지대(20) 및 하부 지지대(40) 상면에는 톱니 형상을 이루는 지지플레이트(50)의 안착을 위한 톱니부(21,4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40)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50)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안착홈(42)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42)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이루며;
상기 상부 지지대(20) 및 하부 지지대(40) 각각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연장 지지대(25,45)가 체결볼트(60)에 의해 연결 구성되되, 상기 연장 지지대(25,45) 상면에는 톱니형상을 이루는 지지플레이트(50)가 치합되는 형태로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톱니부(26,46)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지지대(40)에 연결되는 연장 지지대(45)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50)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안착홈(47)이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벽돌 보수 보강용 멀티 브라켓.The bracket body 10 is formed to form a plate shape, the upper and lower anchor holes (11, 12)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spectively, and the form perpendicula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10) In the multi-bracket for reinforcing the masonry bricks, which comprises the upper support 20 and the support plate 50 for supporting the masonry brick 100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upper support 20 and integrally provided in one piece In
A lower plate-shaped auxiliary bracket 30 having a long hole-shaped anchor hole 31 formed therei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10;
One side of the auxiliary bracket 3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4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plate 50 is provided with a sawtooth shape for strength reinforcement, and the toothed portion 21 for mounting the support plate 50 having a sawtooth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20 and the lower support 40. 41) is formed;
A mounting groove 42 is formed below the lower support 40 so as to allow the support plate 50 to be seated therein, and the mounting groove 42 has a shape in which a lower portion thereof is opened;
Each of the upper support 20 and the lower support 40 has extension supports 25 and 45 connect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bolts 60 for length adjustment, and has a sawtooth shape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extension supports 25 and 45. Tooth parts 26 and 46 are formed to be seated in a form in which the support plate 50 is engaged, and the support plate 50 is seated below the extension support 45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40. To support this, the mounting recess 47 is provided in the shap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sonry brick repair reinforcement multi bracket.
상기 앵커공(11,12,31)은 일정 각도의 경사형상을 이루어 구성되되, 브라켓 본체(10)에 형성된 앵커공(12)과 보조 브라켓(30)에 형성된 앵커공(31)은 상호 반대방향의 경사형상을 이룸으로서, "X"형태로 교차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벽돌 보수 보강용 멀티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chor holes (11, 12, 31)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of a predetermined angle, the anchor hole 12 formed in the bracket body 10 and the anchor hole 31 formed in the auxiliary bracket 30 are opposite to each other A multi-bracket for reinforcing stucco bricks, characterized by forming a cross shape in the form of an "X" by forming an inclined shape.
상기 보조 브라켓(30) 배면에는 톱니부(30a)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브라켓 본체(10)에도 톱니부(10a)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치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플레이트(50) 저면에는 탄성코팅층(51)이 형성되되, 상기 탄성코팅층(51)은 우레탄 30~50중량%, 굴패각미분말 10~30중량%, 에폭시수지 10~20중량%, 엘라스토머 1~10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10중량%, 치오글리콜산 1~5중량%의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벽돌 보수 보강용 멀티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oth portion 30a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bracket 30, and a tooth portion 10a is also formed on the bracket body 10 corresponding thereto, so that a tooth is formed therebetween,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0 is elastic. The coating layer 51 is formed, the elastic coating layer 51 is urethane 30-50% by weight, oyster shell fine powder 10-30% by weight, epoxy resin 10-20% by weight, elastomer 1-10% by weight, tocopheryl acetate 1 ~ Multi-bracket for reinforcing stucco bri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ion of 10% by weight, 1-5% by weight of thioglycolic aci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44510A KR102011191B1 (en) | 2017-04-06 | 2017-04-06 | Multi bracket strucyutr for face brick conservatis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44510A KR102011191B1 (en) | 2017-04-06 | 2017-04-06 | Multi bracket strucyutr for face brick conservatism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13242A KR20180113242A (en) | 2018-10-16 |
| KR102011191B1 true KR102011191B1 (en) | 2019-08-14 |
Family
ID=6413257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44510A Active KR102011191B1 (en) | 2017-04-06 | 2017-04-06 | Multi bracket strucyutr for face brick conservatis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1119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16909B1 (en) * | 2019-12-23 | 2020-05-29 | 우성세라믹스공업 주식회사 | Brick wall support system with high seismic stability, safety, and construct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373890B1 (en) * | 2021-06-21 | 2022-03-14 | 김기종 | Lug Assembly for verticality shear force of Heavy Structur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60267Y1 (en) * | 2004-06-02 | 2004-08-26 | 이완섭 | Reinforcing bracket for bricks wall |
| KR101636850B1 (en) * | 2015-05-18 | 2016-07-06 | 최연수 | Brick wall support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ck wall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71962B1 (en) * | 2006-11-28 | 2007-10-31 | (주)대동석재공업 |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of building |
| KR101557344B1 (en) * | 2013-11-13 | 2015-10-05 | 최연수 | Brick support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ck wall using the same |
-
2017
- 2017-04-06 KR KR1020170044510A patent/KR1020111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60267Y1 (en) * | 2004-06-02 | 2004-08-26 | 이완섭 | Reinforcing bracket for bricks wall |
| KR101636850B1 (en) * | 2015-05-18 | 2016-07-06 | 최연수 | Brick wall support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ck wall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13242A (en) | 2018-10-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033069B2 (en) | Embedded clip attachment for cast architectural element | |
| KR102011191B1 (en) | Multi bracket strucyutr for face brick conservatism | |
| AU2021218239A1 (en) | Construction member | |
| EP3037599B1 (en) | Wall structure | |
| KR102195951B1 (en) | Drying method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tile | |
| CN201011080Y (en) | Suspending board and its mounting structure used for architectural ornament | |
| CN211341295U (en) | Connecting joint of external wall board and beam | |
| JP6406684B1 (en) | Tile support bracket | |
| KR101472860B1 (en) | Fixing apparatus for tile | |
| CN215857159U (en) | Concrete bridge stone material hangs wainscot | |
| CN204385961U (en) | Suspension type self-supporting wall | |
| KR200348713Y1 (en) | Glass marble with adhesion block | |
| KR20050013663A (en) | the facing construction method with insulation board | |
| KR19990073549A (en) | The panel for construction and the method of the above wall frame | |
| JP2014148782A (en) | Construction, block product of structure, and masonry method | |
| CN111764541B (en) | Assembled partition wall structure | |
| JP4678636B2 (en) | Tile panel fixing method | |
| KR100526695B1 (en) | Synthetic tile mount method of outer wall for building | |
| JPH0735935Y2 (en) | Building blocks | |
| JPH088189Y2 (en) | Architectural panel | |
| JPH04216765A (en) | Mounting construction of hard walling | |
| JP3065425B2 (en) | Hard wall mounting structure | |
| KR20240016061A (en) | Construction Structure For Inner Or Outer Wall Panel Of Building | |
| KR200443690Y1 (en) | Prefab Wall-Panel | |
| RU95710U1 (en) | BUILDING MODULE WITH FACING TIL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3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