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841B1 - Embossed fabric with dike-shaped protrusion - Google Patents
Embossed fabric with dike-shaped protru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1841B1 KR102011841B1 KR1020180096225A KR20180096225A KR102011841B1 KR 102011841 B1 KR102011841 B1 KR 102011841B1 KR 1020180096225 A KR1020180096225 A KR 1020180096225A KR 20180096225 A KR20180096225 A KR 20180096225A KR 102011841 B1 KR102011841 B1 KR 102011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ft
- protruding
- protrusion
- fabric
- tiss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04 material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 D03D15/04—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 D03D15/0033—
-
- D03D15/0094—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differing diameter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면에 요철을 갖는 직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에 의한 면상의 요철이 아니라, 바닥면의 위에 실이나 조직의 돌출에 의한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형태의 요철 직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ven fabric having irregularities on its su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even fabric of a form in which a protrusion is formed by a protrusion of a thread or tissue on the bottom surface, rather than a surface irregularity caused by wrinkles. .
유아용품과 노인용품의 선택에 있어서, 최근에는 디자인뿐만 아니라 제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성, 인체와의 친화성, 자연과의 친화성 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In the selection of baby goods and elderly goods, in recent years, interest in not only the design but also the functionality of the product, affinity with the human body, affinity with nature, and the like has increased.
현재 이러한 기능성 등을 만족시키는 침구소재로서 가장 일반적인 소재는, 린넨류와 같이 뻣뻣하면서 시원한 소재를 사용하여 피부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거나, 얇은 솜을 안쪽에 대고 퀼팅한 소재를 사용하여 왔다.Currently, the most common materials for bedding materials satisfying such functionalities have been using stiff and cool materials such as linens to prevent them from sticking to the skin or quilting thin cotton on the inside.
또 다른 방법으로 인견(rayon)으로 제직한 후, 크리스(crease) 가공을 하여 냉감소재라는 이름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소재들은 소재 자체의 가격도 높고, 원단에 발생한 주름이 영구적이지 못하여, 판매시에만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 만족감을 주나, 실제 사용하는 동안 주름이 약해져서 기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Another method is weaving by rayon, then crease and use it as cold-sensitive material. However, these materials are also high in the price of the material itself, the wrinkles generated in the fabric is not permanent, giving a visual satisfaction to the consumer only at the time of sa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is not sufficiently expressed because the wrinkles are weak during the actual use.
또 다른 방법으로 자일리톨 등의 냉감소재를 섬유표면에 코팅하거나 캡슐을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기능성 가공도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의한 경우, 사용하는 동안 마찰과 세탁 등으로 그 기능이 소멸하여 오랜 기간 냉감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As another method, functional processing using a method of coating or encapsulating a cooling material such as xylitol on the fiber surface has been attempted.However, in such a method, the function disappears due to friction and washing during u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 period cooling effec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표면층들보다 수축률이 10-50% 높은 내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을 갖는 다중지 형태의 원단을, 염색 또는 가공공정을 통해 수축시켜, 표면층들과 내층의 수축률 차이로 인하여 표면층들에 주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침장용 포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침장용 포를 개발하였으며, 이 발명은 한국 등록특허 제147817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shrink the multi-layered fabric having three or more layers including an inner layer having a shrinkage rate of 10-50% higher than that of the surface layers through a dyeing or processing process, and the surface layers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edding fabric having wrinkles formed on the surface, characterized by forming wrinkles on the surface layers due to the difference in shrinkage between the inner layer and the inner layer. 1478176 is disclosed.
상기 발명에 따른 침장용 포(100)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내층(102)이 표면층(101, 103)보다 더 수축하여, 수축이 적게 이루어진 표면층(101, 103)에는 그 차이 나는 면적만큼 굴곡이 형성되어 다양한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여 볼륨감이 향상되고, 표면층(101, 103)의 굴곡으로 인한 요철감으로 인하여 피부에 닿는 면적이 줄고, 요철부의 홈을 따라 통기로가 형성될 수 있어 피부와 닿았을 때 쾌적함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었다.As shown in FIG. 3, the
그런데 상기 발명을 비롯한 종래의 주름이 형성된 직물은 세부적인 형태의 차이는 있지만,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면층의 넓은 면적이 융기되어 아치형이나 돔형과 같은 직조에 의해 형성된 일정 면 자체가 볼록부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닿는 부분이 면상으로 형성되어 피부에 닿는 면적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피부에 나는 땀이 증발하거나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어 피부에 닿았을 때에 느끼는 쾌적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By the way, the conventional wrinkled fabric including the above invention has a difference in detail, but as shown in FIG. 3, a large area of the surface layer is raised to form a convex portion formed by weaving such as an arch or a dome. do. Therefore, sinc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skin is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skin is relatively high,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the comfort feeling when touching the skin due to the limited area where sweat on the skin can evaporate or aeration. have.
또한 굴곡의 형태도 표면층이 구겨지는 주름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정형성을 담보하기 어렵고 표면 조직에 의해 직접적으로 표현되는 형태의 무늬를 형성할 수 없다는 점에서도 한계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curvature appears in the form of wrinkles in which the surface layer is wrinkl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tereotype and cannot form a pattern of the form directly expressed by the surface tissue.
따라서 좀 더 쾌적하고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표면층에 직접 형성되는 선명한 선상의 요철에 의해 피부와의 접촉시에 선상 접촉이 이루어져 쾌적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선상으로 형성되는 다양한 조직 무늬를 세밀하게 구현할 수 있는 직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 more comfortable and design-excellent product, the linear contact is made at the time of contact with the skin by the vivid linear irregularities directly formed on the surface layer, and the comfort is increased, and the various tissue patterns formed in the linear shape The situation is required to develop a fabric that can implement the details in detail.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직물의 표면층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선에 가까운 둑형상의 돌출부에 의해 볼륨감과 보온성 및 접촉시의 쾌적감이 향상되고,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요철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volume and thermal insulation and the comfort in contact is improved by the weaving projections close to the line formed directly on the surface layer of the fabric, the uneven fabric is also excellent in design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요철 직물은,Une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바닥 위사와 경사의 교차에 의해 바닥 조직이 형성되고,The floor tissue is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bottom weft and the slope,
상기 바닥 위사보다 2배 이상 굵은 돌출 위사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반복 배열되고, Protruding weft yarn thicker than twice the bottom weft yarn is repeated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돌출 위사와 경사가 교차되는 부분에, At the intersection of the protrusion weft and the inclination,
경사가 서로 이웃하여 배열된 2가닥 이상의 돌출 위사들의 위를 가로지르는 상부 교차와, 경사가 상기 돌출 위사들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돌출 위사들 사이에 배치된 바닥 위사들과 교차하면서 직조되는 하부 교차가 교대로 이루어진 돌출 조직부가 형성되며,An upper intersection crossing over two or more protruding weft yarns incli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lower crossing interwoven with the bottom wefts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wefts while inclining through the lower portions of the protruding wefts Alternating protrusions are formed,
상기 바닥 조직과 돌출 위사 및 돌출 조직부 사이의 수축률 차이에 의해, 상기 돌출 조직부가 바닥 조직보다 돌출하여,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the difference in the contraction rate between the bottom tissue and the protrusion weft and the protrusion tissue portion, the protrusion tissue portion protrudes from the bottom tissu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ave-shaped protrusions are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formed.
바람직하게는, Preferably,
상기 돌출 조직부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The projecting tissue port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상기 돌출 조직부들 사이는 이격되어, 상기 돌출 위사가 상기 바닥 위사와 경사가 교차된 조직의 위로 실 상태로 노출된 돌출 위사 노출부가 형성되며,Spaced apart between the protruding tissues, a protruding weft exposed portion is formed in which the protruding weft is exposed in a yarn state over the tissue where the bottom weft and the inclined cross are formed;
더욱 바람직하게는, More preferably,
상기 돌출 조직부는, 하나의 돌출 위사를 중심으로, 그 상부와 그 하부에 배열된 돌출 위사와 교대로 짝을 이루어 소정 폭씩 반복 형성된다.The protruding tissue portion is formed by alternately pairing with the protruding weft yarns arranged 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bout the one protruding weft thread and repeatedly formed by a predetermined width.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 직물은 2개의 표면층을 포함한 2개 이상의 직물층이 상호 접결되어 이루어진 다중직 형태의 직물로서, 상기 둑형상의 돌출부가 2개의 표면층의 동일한 위치에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preferably, the uneven fabric is a multi-woven fabric in which two or more fabric layers including two surface layers are joined to each other, wherein the weaving protrusions are symmetrically formed at the same position of the two surface layers. do.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의 표면에 설계된 형태 그대로의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형태의 요철 직물이 구현되기 때문에, 선명하고 정형적인 무늬의 형성이 가능하며, 침구 등의 용도로 사용할 때에 피부에 닿는 돌출부분이 선상에 가까워 통기성이 우수하고 매우 쾌적한 촉감을 갖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cavo-convex fabric having the shape of the embankment-shaped protrus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is realized, it is possible to form a clear and regular pattern, and the protrusion that touches the skin when used for bedding or the like. Since the part is close to the shipboard, there is an advantage of having excellent breathability and a very pleasant touch.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우수한 볼륨감을 갖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볼륨감을 필요로 하는 침구 등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Since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volume feeling, it can be used for a bedding or the like requiring a volume feeling without using a separate fil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별도의 특별한 성분의 실을 혼입하거나 특별한 가공 공정을 거치지 않고, 일반적인 정련 또는 염색 공정 등에서의 수축에 의해 요철이 형성되기 때문에, 소재 선택의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100% 면직물의 형태와 같이 순수 천연 소재만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기능성 소재 등을 혼용하여 기능성을 발현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election of materials, because irregularities are formed by shrinkage in a general refining or dyeing process, without incorporating a separate special component or special processing process, for example 100% As in the form of cotton fabric, it can be implemented using only pure natural materials, and if necessary, various functional materials can be mixed to express functionality.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요철 직물의 수축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b와 도 1c는 도 1a의 요철 직물을 정련에 의해 수축시킨 상태의 표면층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1d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요철 직물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요철 직물에 있어서, 수축에 의해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작용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요철 직물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a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before shrinking of the uneven fabric in accordance with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and 1C are photographs showing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surface layer of the concave and convex fabric of FIG. 1A by refining, respectively,
Figure 1d is a photograph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uneven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to 2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ction of forming the weave-shaped protrusions by shrinkage in the une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uneven fabric.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요철 직물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cave-convex fabric formed with weir-shaped protru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요철 직물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진으로, 도 1a는 제직시의 장력이 제거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수축전의 직물(1')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1b와 도 1c는 수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요철 직물(1)의 표면층의 앞면과 뒷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1d는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Figures 1a to 1d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hape of the uneven fabri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shows the fabric (1 ') before shrinkage showing the state after the tension is removed durin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요철 직물(1)은, 바닥 위사와 경사의 교차에 의해 형성된 바닥 조직(10)상에 둑형상의 돌출부(20)가 돌출되어, 이 둑형상의 돌출부(20)에 의해 요철을 갖는 것이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as for the
여기서, 상기 바닥 조직(10)을 형성하는 바닥 위사(11)와 경사(12)는 요철 직물의 용도에 맞게 선택되는 통상의 실로서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바닥 위사(11)와 경사(12)는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한 종류의 바닥 위사(11)나 경사(12)를 사용하여 바닥 조직을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섬유의 종류, 섬도, 색상 등이 다른 것을 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바닥 조직(10)을 형성하는 바닥 위사(11)와 경사(12)는 바닥 조직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둑형상의 돌출부(20)의 일부도 구성한다.)Here, the bottom weft 11 and the inclined 12 forming the
또한 바닥 조직(10)을 이루는 조직의 형태 자체도 특별히 제한을 받지는 않지만, 둑형상의 돌출부(20)의 돌출 효과가 잘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평직과 같은 평탄한 조직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tissue constituting the
섬유의 종류도, 본 발명의 요철 직물의 용도로서 가장 주목되는 침구 등의 경우, 면이나 마, 레이온과 같은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모와 같은 수모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섬유도 사용 가능하다.In the case of bedding and the like, which are most noticed as the use of the une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ind of fibers is most preferably cotton, hemp, cellulose fibers such as ray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ster, nylon, acrylic, and polypropylene can also be used.
상기 둑형상의 돌출부(20)는 돌출 위사(21)를 포함하는 돌출 조직부(22)가 수축률의 차이에 의해 상기 바닥 조직(10)보다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다.The embankment-
구체적으로는, 상기 돌출 위사(21)는 섬도가 상기 바닥 위사(11)보다 2배 이상 굵은 실을 사용하여, 상기 바닥 위사(11)들 사이에 소정 간격씩 이격 배열된다. 이 돌출 위사(21)의 소재 등도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바닥 위사(11)와 마찬가지로 용도에 맞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protruding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탕 위사(11)와 경사(12)로는 40s 면사를 2합한 후, S방향으로 600TM으로 연사한 것을 사용하고, 상기 돌출 위사(21)로는 10수 면사를 2합하여 S방향으로 200TM으로 연사한 것을 사용하여 제직한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ase weft yarn 11 and the
그리고 이때, 상기 돌출 위사(21)가 배열되는 간격은 예컨대 바닥 위사(11)가 5번 배열되고 돌출 위사(21)가 한 번 배열되는 식으로, 돌출 위사는 바닥 위사들이 배열된 조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돌출 위사(21) 간의 이격 간격은 일정한 것이 보통이지만, 좁았다 넓었다 하는 식으로 불규칙적으로 또는 규칙적으로 또는 경방향으로 변화되게 반복하는 등의 다양한 조직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intervals at which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돌출 위사(21)는 바닥 위사(11)와 경사(12)가 교차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경사(12)와 교차하여 조직을 형성하지 않고, 특별한 방식으로 경사(12)들과 교차하도록 직조되어, 돌출 조직부(22)를 형성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is protruding
즉, 상기 돌출 위사(21)와 경사(12)가 교차되는 부분에서는, 경사(12)가 서로 이웃하여 배열된 2가닥 이상의 돌출 위사(21)들의 위를 가로지르는 상부 교차(22A)와, 경사(12)가 상기 돌출 위사(21)들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돌출 위사(21)들 사이에 배치된 바닥 위사(11)들과 교차하면서 직조되는 하부 교차(22B)가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돌출 조직부(22)를 형성한다. That is, at the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상기 상부 교차와 하부교차의 비율은 1:1로 할 수도 있고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교차와 하부 교차를 1:1로 교대하지 않고 2:1로 배열하여, 교차점이 적은 돌출 위사(21)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돌출이 더 선명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The ratio of the upper intersection to the lower intersection may be 1: 1 or may be variously designed. Howev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intersection and the lower intersection are arranged in 2: 1 without alternating 1: 1 and thus the intersection point. The less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 조직부(22)를 돌출 위사(21)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하지 않고 소정 폭(L)으로 형성하고, 돌출 조직부(22) 사이를 소정 간격(D)씩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이격된 돌출 조직부(22)들 사이에는, 상기 돌출 위사(21)가 상기 바닥 위사와 경사가 교차된 조직의 위로 실 상태로 노출된 돌출 위사 노출부(23)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 위사 노출부(23)는 사실상 하부 교차(22B) 상태가 소정 폭으로 이어져서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이 돌출 위사 노출부(23)에서는 돌출 위사(21)가 소정 폭 동안 그대로 노출되므로, 이 돌출 위사(21)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소재를 변경하면 돌출 위사에 의한 독특한 색상이나 기능성을 발현할 수 있다.In the protruding
또한, 이 돌출 위사 노출부(23)는 피부에 접촉 가능성이 높으므로, 돌출 위사(22)를 용도에 맞는 다양한 소재를 채택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HDPE(고밀도폴리에틸렌) 등의 열전도성이 좋은 소재의 실을 사용하여 냉감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고, 레이온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땀 흡수와 냉감 부여에 효과적이어서 여름철에 특히 유용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otruding weft-expos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 조직부(22)를 형성함에 있어서, 이웃한 돌출 위사들 사이에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돌출 위사(21A)를 중심으로, 그 상부(21B) 또는 그 하부(21B)에 배열된 돌출 위사와 교대로 짝을 이루어 소정 폭씩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forming the protruding
이와 같이 하나의 돌출 위사(21A)가 그 위와 아래의 돌출 위사와 교대로 각각 짝을 이루도록 돌출 조직을 형성하면, 수축에 의해 각 돌출 위사(21A)의 위쪽과 아래쪽의 돌출 조직부가 교대로 수축되면서 돌출 위사(21A)가 수축이 이루어진 돌출 조직부(22) 쪽으로 당겨져 굴곡이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otruding tissues are formed such that one protruding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둑형상의 돌출부(20)가 벌집모양의 둑으로 바닥 조직(10)을 둘러싼 형태의 요철을 반복 형성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by constructing in this way, the webbing-shaped
이러한 형태로 제직이 완료되어, 정련이나 염색 등의 공정에서 수축이 이루어질 때, 부위에 따라 수축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경/위사들의 교차에 의한 굴곡이 많지만 사의 밀도가 낮은 하부 교차가 이루어진 부분은 크게 수축되고, 굴곡은 많지만 사의 밀도가 높아 형태 유지성이 높은 바닥 조직(10)은 중간 정도의 수축이 일어나고, 교차에 의한 굴곡이 거의 없는 돌출 위사(21)와 상부 교차(22A)가 이루어진 부분은 수축이 거의 없어, 돌출 위사 노출부(23)와 상부 교차(22A)가 이루어진 부분은, 바닥 조직(10)이나 많이 수축된 상기 하부 교차(22B) 부분 위로 둑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When weaving is completed in such a form, and shrinkage occurs in a process such as refining or dyeing, a difference in shrinkage degree occurs depending on a part. That is, the portion of the lower intersection where the cross is hard due to the crossing of the warp / weft is low but the density of the yarn is low, the contraction is large, and the
이때, 돌출 위사(21)를 바닥 위사(11)보다 수축률 자체가 더 작은 사를 사용하면, 둑형상의 돌출부(20)의 형성에 더욱 유리하다.At this time, if the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요철 직물에 있어서, 수축에 의해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작용을 보여주는 모식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설명하면, 최초 제직 상태에서는 도 2a에서와 같이 돌출위사(21)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고, 돌출 조직부(22)에서 경사(12)와 상부교차 또는 하부교차만 이루어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직 장력이 제거되고, 수축 공정에서 수축이 이루어지면, 도 2b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수축률이 높은 돌출 조직부(22)가 강하게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돌출 조직부(22)와 돌출 위사(21)가 노출된 위사 노출부(23)가 바닥 조직 위로 돌출되어 둑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요철 직물이 형성된다.Figures 2a to 2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ction of forming the weft-shaped protrusions by the shrinkage in the une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scribed further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as shown in Figure 2a in the initial weaving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d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요철 직물(1)을 2개의 표면층(1A, 1B)을 갖도록 접결된 이중직 형태의 직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들 2개의 표면층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내층이 형성된 다중직 형태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D,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후의 2개의 표면층(1A, 1B)에 형성된 둑형상의 돌출부(20)들은 양면의 표면층에 동일한 위치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2개의 바닥 조직이 서로 접결된 부분보다 훨씬 톡톡하고 두꺼우며, 바닥 조직 부위는 유연성을 나타내게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eir-shap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b와 도 1c에서 보듯이, 전후의 2개의 표면층(1A, 1B)의 돌출 위사(21)의 색상을 적색과 청색으로 서로 다르게 사용하여, 양면이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B and 1C, the colors of the protruding
1 : 요철 직물
10 : 바닥 조직
11 : 바닥 위사
12 : 경사
20 : 둑형상의 돌출부
21 : 돌출 위사
22 : 돌출 조직부
23 : 돌출 위사 노출부1: uneven fabric
10: floor tissue
11: floor weft
12: slope
20: weeping protrusion
21: protrusion weft
22: protrusion tissue
23: exposed protrusion weft
Claims (6)
상기 바닥 위사보다 2배 이상 굵은 돌출 위사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반복 배열되고,
상기 돌출 위사와 경사가 교차되는 부분에,
경사가 서로 이웃하여 배열된 2가닥 이상의 돌출 위사들의 위를 가로지르는 상부 교차와, 경사가 상기 돌출 위사들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돌출 위사들 사이에 배치된 바닥 위사들과 교차하면서 직조되는 하부 교차가 교대로 이루어진 돌출 조직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 조직과 돌출 위사 및 돌출 조직부 사이의 수축률 차이에 의해, 상기 돌출 조직부가 바닥 조직보다 돌출하여,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요철 직물.The floor tissue is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bottom weft and the slope,
Protruding weft yarn thicker than twice the bottom weft yarn is repeated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intersection of the protrusion weft and the inclination,
An upper intersection crossing over two or more protruding weft yarns incli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lower crossing interwoven with the bottom wefts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wefts while inclining through the lower portions of the protruding wefts Alternating protrusions are formed,
By the difference in shrinkage between the bottom tissue and the protrusion weft and the protrusion tissue portion, the protrusion tissue portion protrudes more than the bottom tissue, the weave-shaped protrus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are formed.
상기 돌출 조직부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조직부들 사이는 이격되어, 상기 돌출 위사가 상기 바닥 위사와 경사가 교차된 조직의 위로 실 상태로 노출된 돌출 위사 노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요철 직물.The method of claim 1,
The projecting tissue port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Weft-shaped protrusions formed irregular projection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between the protruding weft exposed portion of the protruding weft yarn exposed in a yarn state of the tissue intersected with the bottom weft yarns.
상기 돌출 조직부는,
하나의 돌출 위사를 중심으로, 그 상부와 그 하부에 배열된 돌출 위사와 교대로 짝을 이루어 소정 폭씩 반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요철 직물.The method of claim 2,
The protruding tissue portion,
A concave-convex fabric with a weave-shaped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repeating a predetermined width, alternately paired with a protruding weft yarn arrang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weft yarn.
상기 돌출 위사는 상기 바닥 위사보다 수축율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요철 직물.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rotruding weft is irregular fabric formed with a weir-shaped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hrinkage is smaller than the bottom weft.
상기 요철 직물은 2개의 표면층을 포함한 2개 이상의 직물층이 상호 접결되어 이루어진 다중직 형태의 직물이고,
상기 둑형상의 돌출부가 2개의 표면층의 동일한 위치에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요철 직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neven fabric is a multi-woven fabric consisting of two or more fabric layers including two surface lay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mbossed fabric with embossed projections, wherein the embossed projections are formed symmetrically at the same positions of the two surface layers.
상기 2개의 표면층의 돌출 위사는 각기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둑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요철 직물.The method of claim 5,
Protruding weft of the two surface layer is irregular fabric formed with a weave-shaped protrusion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different color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96225A KR102011841B1 (en) | 2018-08-17 | 2018-08-17 | Embossed fabric with dike-shaped protru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96225A KR102011841B1 (en) | 2018-08-17 | 2018-08-17 | Embossed fabric with dike-shaped protrus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11841B1 true KR102011841B1 (en) | 2019-08-19 |
Family
ID=6780702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96225A Active KR102011841B1 (en) | 2018-08-17 | 2018-08-17 | Embossed fabric with dike-shaped protrus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11841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030322A (en) * | 2020-10-03 | 2020-12-04 | 福建荣荣新材料股份有限公司 | Novel woven fabric structure with weft yarn wave effec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
| CN115627578A (en) * | 2022-08-31 | 2023-01-20 |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 Wavy woven fabric and weaving process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11461U (en) * | 1998-12-03 | 2000-07-05 | 유득길 | Weave for Shirt |
| KR20040004296A (en) | 2003-12-13 | 2004-01-13 | 나종일 | Ventilation fabric paper |
| JP2010261116A (en) * | 2009-04-30 | 2010-11-18 | Toyota Boshoku Corp | Woven fabric |
| JP2013019069A (en) * | 2011-07-09 | 2013-01-31 | Tb Kawashima Co Ltd | Woven or knit fabric for automobile interior |
| KR101478176B1 (en) | 2013-12-24 | 2014-12-31 | (주)풍전티.티 | Method of manufacturing bedding cloth with crinckle effect and bedding cloth |
| KR101590285B1 (en) | 2011-12-26 | 2016-01-29 |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 Electric-wire protecting pipe, and wire harness |
-
2018
- 2018-08-17 KR KR1020180096225A patent/KR10201184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11461U (en) * | 1998-12-03 | 2000-07-05 | 유득길 | Weave for Shirt |
| KR20040004296A (en) | 2003-12-13 | 2004-01-13 | 나종일 | Ventilation fabric paper |
| JP2010261116A (en) * | 2009-04-30 | 2010-11-18 | Toyota Boshoku Corp | Woven fabric |
| JP2013019069A (en) * | 2011-07-09 | 2013-01-31 | Tb Kawashima Co Ltd | Woven or knit fabric for automobile interior |
| KR101590285B1 (en) | 2011-12-26 | 2016-01-29 | 가부시키가이샤 오토네트웍스 테크놀로지스 | Electric-wire protecting pipe, and wire harness |
| KR101478176B1 (en) | 2013-12-24 | 2014-12-31 | (주)풍전티.티 | Method of manufacturing bedding cloth with crinckle effect and bedding cloth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030322A (en) * | 2020-10-03 | 2020-12-04 | 福建荣荣新材料股份有限公司 | Novel woven fabric structure with weft yarn wave effec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
| CN115627578A (en) * | 2022-08-31 | 2023-01-20 |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 Wavy woven fabric and weaving proces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196352B2 (en) | Knitted fabric and its knitting method | |
| TWI715914B (en) | Multi-color spacer fabrics and garment made of the same | |
| WO2019116674A1 (en) | Inclined sheet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inclined sheet material, and emboss molding material | |
| US20070034277A1 (en) | Fabric | |
| KR102011841B1 (en) | Embossed fabric with dike-shaped protrusion | |
| WO2017002867A1 (en) | Knitted fabric and method for knitting same | |
| JPH03130449A (en) | Web-shaped inserting material | |
| JP4853781B2 (en) | Double knitted fabric | |
| KR100732209B1 (en) | Jacquard, its weaving structure and weaving method | |
| JP2006241603A (en) | Multi-layered towel woven fabric | |
| WO2018123533A1 (en) | Fiber structure | |
| JP2006342436A (en) | Artificial leather and vehicle upholstery | |
| CN112575439B (en) | A warp knitted jacquard fabric with a pattern dynamically displayed as the tensile strength changes | |
| JP4773786B2 (en) |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having irregulariti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 JP2019166171A (en) | Bedding fabric | |
| KR100590277B1 (en) | Jacquard, its weaving structure and weaving method | |
| CN216838433U (en) | A flocked warp knitted jacquard fabric with 3D effect | |
| JP3560802B2 (en) | Textile products exhibiting interference fringes | |
| JP3165313U (en) | Body towel made of knitted fabric with uneven pattern | |
| JP4126429B2 (en) | Chenille yarn and fabric | |
| JPH11350300A (en) | Double towel cloth and its weaving | |
| KR200353664Y1 (en) | double-faced pile fabric having suede-like visual impressions | |
| JP6681637B1 (en) | Fabrics and products | |
| JPH11279908A (en) | Material cloth and textile product | |
| JP3161657U (en) | Body towe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