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727B1 - Body Fat Disintegra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Body Fat Disintegration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2727B1 KR102012727B1 KR1020170139904A KR20170139904A KR102012727B1 KR 102012727 B1 KR102012727 B1 KR 102012727B1 KR 1020170139904 A KR1020170139904 A KR 1020170139904A KR 20170139904 A KR20170139904 A KR 20170139904A KR 102012727 B1 KR102012727 B1 KR 1020127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air
- members
- driving
- body f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구조로 이루어진 구동유닛부와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링크부재 및 슬라이드 이동하는 거치부재를 통해 기존의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보다 소음이 적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의 결합간의 튀틀림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기구적으로 안정적인 구동이 실현되고, 팔뚝살이나 허벅지살 등과 같은 신체부위에 관성운동에너지에 의한 강한 털림을 유발함으로써, 단기간에 체지방이 용이하게 분해되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도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noise than conventional body fat disassembly exercise mechanism through the link unit and the sliding member for moving the drive unit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ear structure in a linear motion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tween the coupling of the components By preventing flipping, mechanically stable driving is realized, and by causing strong tearing by inertia kinetic energy on body parts such as forearm and thigh,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xercise effect that the body fat is easily decomposed in a short tim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not use the body freely to obtain the exercise eff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안착부(110)가 형성되고, 상부에 통과공(120, 120`)이 대칭으로 형성되는 본체하우징(100);과,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부(200);와, 상기 구동유닛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구동유닛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작동여부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캠부재(400, 400`);와, 각각의 캠부재(400, 4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한 쌍의 링크부재(500, 500`);와, 각각의 링크부재(500, 500`)에 연결되어 좌, 우 대칭으로 직선이동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고 각각의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결합되어 각각의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이동가이드부재(700, 70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통과공(120, 120`)을 통해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연결되는 한 쌍의 거치부재(800, 8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device, the
일반적으로 표준치보다 체중이 많이 나가면 비만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좀 더 정확한 비만의 정의는 인체내에 체지방(Body fat mass;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남아 있는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자신의 신장에서 100을 뺀 값에 0.9를 곱하면 자신의 키에 적당한 표준체중이 나온다.In general, if a person weighs more than the standard value, it is easy to think of it as obesity, but a more accurate definition of obesity refers to a state in which an excessive amount of body fat mass (fat that remains in the body without decomposition) is accumulated and one's height is increased. Multiplying by 100 and multiplying by 0.9 yields the appropriate standard weight for your height.
하지만, 이러한 표준체중보다 체중이 많이 나간다고 하더라도 인체내에 체지방의 양이 많지 않다면 비만이라 할 수 없으며, 이와는 반대로 표준체중보다 적은 체중이 나간다고 하더라도 체지방의 양이 많으면 비만이라 할 수 있다.However, even if the body weight is higher than the standard weight, the amount of body fat in the human body does not have a large amount of obesity. On the contrary, even if the body weight is less than the standard body weight, the amount of body fat can be called obesity.
따라서, 인체내에 체지방이 얼마나 축적되어 있는가를 나타낸 체지방율이 비만치료의 기준이 되는데, 대개 남성의 경우는 체지방율 25%를 상한선으로 하고, 여성의 경우는 28~30%를 상한선으로 하여, 이보다 높으면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것으로 판단하여 각종 성인병 예방을 위한 비만 치료가 필요하다.Therefore, the percentage of body fat, which indicates how much body fat is accumulated in the human body, is a criterion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n general, the body fat percentage is 25% for men and the upper limit is 28-30% for women. Judging from excessive accumulation, it is necessary to treat obesity to prevent various adult diseases.
이와 같이 비만의 원인이 되는 체지방은 혈액에 흘러들어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고지혈증 등과 같은 각종 성인병의 주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제거해야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As such, body fat, which causes obesity, flows into the blood and becomes a main cause of various adult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diabetes, and hyperlipidemia, and thus must be removed to maintain health.
통상적으로 체지방은 인체의 복부에 잘 축적되는 바, 종래에는 복부에 축적된 체지방을 분해 제거하기 위한 제거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고, 그 일실시예로 하기 특허문헌 1의 “복부체지방 감량기구(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209호)”가 게시되어 있다.In general, body fat is well accumulated in the abdomen of the human body, and in the related art, various removal apparatuses for decomposing and removing body fat accumulated in the abdomen have been widely used and widely used. Reduction Organizatio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86209) ”is posted.
또한, 이 외에 훌라후프, 줄넘기, 아령(Dumbbell) 등과 같은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체지방을 제거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removing body fat by using an exercise device such as a hula hoop, a jump rope, a dumbbell, or the like has been widely used.
그러나, 이러한 운동기구를 이용하는데는 장기간에 걸쳐 매일 일정시간동안 운동을 수행해야만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 대부분의 사용자는 바쁜 일과에 쫓기다 보면 운동에 소홀해져 그 운동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며, 사용자의 근력이 어느 정도 요구되는 바,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과 같이 신체를 자유로이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에게는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use of such exercise equipment can be achieved only by exercis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ry day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most users are hard to get the exercise effect because they are neglected when they are chased by a busy routine. As the user's strength is required to some ext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 is limited to a user who cannot use the body freely, such as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구조로 이루어진 구동유닛부와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링크부재 및 슬라이드 이동하는 거치부재를 통해 기존의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보다 소음이 적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의 결합간의 튀틀림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기구적으로 안정적인 구동이 실현되고, 팔뚝살이나 허벅지살 등과 같은 신체부위에 관성운동에너지에 의한 강한 털림을 유발함으로써, 단기간에 체지방이 용이하게 분해되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도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rive the body unit of the gear structure and the link member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to linear motion and the slide member through the moving member than the conventional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mechanism Low noise,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d prevents the phenomena between the coupling of the components, so that stable driving is realized mechanically, and strong induction by inertial kinetic energy on the body parts such as forearm and thigh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dy fat decomposing exercise apparatus that can not only obtain an exercise effect in which body fat is easily decomposed in a short time, but also a user who cannot use the body free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는,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안착부(110)가 형성되고, 상부에 통과공(120, 120`)이 대칭으로 형성되는 본체하우징(100);과,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부(200);와, 상기 구동유닛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구동유닛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작동여부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캠부재(400, 400`);와, 각각의 캠부재(400, 4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한 쌍의 링크부재(500, 500`);와, 각각의 링크부재(500, 500`)에 연결되어 좌, 우 대칭으로 직선이동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고 각각의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결합되어 각각의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이동가이드부재(700, 70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통과공(120, 120`)을 통해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연결되는 한 쌍의 거치부재(800, 8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구동유닛부(200)는, 모터안착부(211) 및 제1, 2 기어안착부(212, 213)가 각각 형성되는 구동하우징(210)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안착부(211)에 안착되되, 회전샤프트(221) 및 상기 회전샤프트(221)의 전면에 형성되는 웜기어(222)를 포함하는 모터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기어안착부(2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웜기어(222)의 양측에 각각 맞물리되, 중앙에 제1 샤프트(231, 231`)가 형성되는 웜기어휠(230, 23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기어안착부(213)에 안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윔기어휠(230, 230`)에 각각 맞물리되, 중앙에 제2 샤프트(241, 241`)가 형성되는 헬리켈기어(240, 240`)가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캠부재(400, 400`)는 각각의 상기 제2 샤프트(241, 241`)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각각의 상기 링크부재(500, 500`)의 선단은 상기 슬라이드이동부재(600, 6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링크부재(500, 500`)의 말단은 상기 캠부재(400, 4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무게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또한, 상기 이동가이드부재(700, 70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710, 7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ement guide member (700, 70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guide rails (710, 710`) spac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s formed.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부(310)가 포함되고, 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상기 회로부(31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구동유닛부(200)를 작동시키는 조정기(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구조로 이루어진 구동유닛부와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링크부재 및 슬라이드 이동하는 거치부재를 통해 기존의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보다 소음이 적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의 결합간의 튀틀림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기구적으로 안정적인 구동이 실현되고, 팔뚝살이나 허벅지살 등과 같은 신체부위에 관성운동에너지에 의한 강한 털림을 유발함으로써, 단기간에 체지방이 용이하게 분해되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도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unit made of a gear structure and the link member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into linear motion and the slide member mounting member is less noise than conventional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mechanism, semi-permanent use By preventing the phenomena between the coupling of the components, mechanically stable driving is realized, and body fat is facilita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inducing strong tearing by inertial kinetic energy on the body parts such as the forearm or the thigh. Not only can the exercise effect be decomposed easily, but the user who cannot use the body freely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the exercis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의 구성 중 본체하우징의 상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의 구성 중 구동유닛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의 평면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의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의 작동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housing of the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rive uni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plan view of the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of FIG. 5
7 to 10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body fat
도 1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1)는 크게, 본체하우징(100), 구동유닛부(200), 제어부(300), 캠부재(400, 400`), 링크부재(500, 500`), 슬라이드이동부(600, 600`), 이동가이드부재(700, 700`) 및 거치부재(800, 800`)으로 구성된다.1 or 3, the body fat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1)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 중 일부의 도면은 구성요소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fo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ody fat
먼저, 본체하우징(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하우징(100)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 하로 분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주요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일종의 하우징으로서, 안착부(110), 통과공(120, 120`), 조정기(130) 및 손잡이부(140)로 이루어진다.First, the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일종의 공간으로서, 상기 안착부(110)에는 후술할 구동유닛부(200), 이동가이드부재(700, 700`)가 상기 안착부(1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통과공(120, 120`)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일종의 통공으로서, 상기 안착부(110)에 설치되는 후술할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의 돌출부(610, 610`)가 통과되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후술할 거치부재(800, 800`)와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through
한편, 상기 통과공(120, 120`)은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의 특성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가 좌, 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610, 610`) 보다 큰 단면적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상기 조정기(13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0)의 상기 회로부(31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구동유닛부(200)를 작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작동모드버튼(131), 전원버튼(132) 및 오토버튼(133) 및 이 형성된다.The
상기 작동모드버튼(131)는 상기 거치부재(800, 800`)의 강도를 조절하는 버튼으로서, 강도는 일실시예로 8단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300)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상기 작동모드버튼(131)의 조작에 대한 일실시예로는 상기 작동모드버튼(131)을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후술할 모터부(220)의 구동속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부(220)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기 거치부재(800, 800`)가 빠른 속도로 좌, 우 반복하여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800, 800`)에 거치된 사용자의 팔, 다리 등에 강한 관성에너지가 전달되어 강한 털림효과가 유발되고, 상기 작동모드버튼(131)을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모터부(220)의 구동속도가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부(220)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기 거치부재(800, 800`)가 느린 속도로 좌, 우 반복하여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800, 800`)에 거치된 사용자의 팔, 다리 등에 약한 관성에너지가 전달되어 약한 털림효과가 유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for the operation of the
또한, 상기 작동모드버튼(131)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어부(300)에 시간을 기설정하여 상기 모터부(220)의 구동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if the
상기 전원버튼(132)은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구동을 멈추거나 구동을 실행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상기 오토버튼(133)는 상기 제어부(300)에 기설정된 다양한 마사지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The
한편, 상기 조정기(130)는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있도록 LED, 램프 등의 조명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손잡이부(140)는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좌, 우측에 함몰형성된 공간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1)의 이동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The
한편, 상기 조정기(130)은 별도의 리모컨(미도시)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다음으로, 구동유닛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유닛부(200)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구동하우징(210), 모터부(220), 웜기어휠(230, 230`), 헬리켈기어(240, 240`) 및 베어링(250)으로 이루어진다.Next, the
상기 구동하우징(210)은 일종의 하우징으로서, 상기 모터부(220)가 안착되는모터안착부(211)가 형성되고, 한 쌍의 웜기어휠(230, 230`)가 안착되는 제1 기어안착부(212) 및 한 쌍의 헬리켈기어(240, 240`)가 각각 안착되는 제2 기어안착부(213)가 각각 형성된다.The
상기 모터부(220)는 상기 모터안착부(211)에 안착되어 상기 웜기어휠(230, 230`) 및 상기 헬리켈기어(240, 24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전면에는 회전축 역할을 하는 회전샤프트(22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221)의 전면에는 한 쌍의 상기 웜기어휠(230, 230`)와 맞물리는 웜기어(222)가 형성된다.The
상기 웜기어휠(230, 2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기어로서, 각각의 상기 웜기어휠(230, 230`)의 중심축에는 제1 샤프트(231, 23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어안착부(212)에 안착되며, 각각의 웜기어휠(230, 230`) 사이에 상기 웜기어(222)가 맞물리게 형성된다.The
상기 헬리켈기어(240, 2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기어로서, 각각의 상기 헬리켈기어(240, 240`)의 중심축에는 제2 샤프트(241, 24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어안착부(213)에 안착되며, 각각의 상기 헬리켈기어(240, 240`)는 각각의 상기 웜기어휠(230, 230`)과 맞물리게 형성된다.The helical gears 240 and 240 ′ are a pair of gears, and
즉, 상기 모터부(220)가 구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은 상기 웜기어(222)를 통해 상기 웜기어휠(230, 230`)에 전달되고, 각각의 상기 웜기어휠(230, 230`)과 연동된 상기 헬리켈기어(240, 240`)에 전달된다.That i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driving the
한편, 상기 웜기어휠(230, 230`)과 상기 헬리켈기어(240, 240`)의 구성을 통해 이중기어구조를 이룸으로써, 기어비를 최적화하여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해 주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by forming a double gear structur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worm gear wheels (230, 230`) and the helical gear (240, 240`),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drive by optimizing the gear ratio.
한편, 상기 웜기어휠(230, 230`)과 상기 헬리켈기어(240, 240`)의 상, 하부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2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다음으로, 제어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유닛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부(310)가 포함되고, 상기 회로부(310)는 상기 구동유닛부(200) 및 상기 조정기(13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DC잭(미도시)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습받게 되며, DC잭(미도시)를 통해 상기 회로부(310)로 인가된 전원으로 상기 모터부(220) 및 LED, 램프 등의 조명이 작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다음으로, 캠부재(400, 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캠부재(400, 400`)는 도 3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유닛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작동여부에 따라 회전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한 쌍의 링크부재(500, 5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가이드 해 준다.Next, the
다음으로, 링크부재(500, 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링크부재(500, 500`)는 도 3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캠부재(400, 4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각각의 상기 링크부재(500, 500`)의 선단은 상기 슬라이드이동부재(600, 6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링크부재(500, 500`)의 말단은 상기 캠부재(400, 4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무게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다음으로,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는 도 7 또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쌍의 이루어져 각각의 링크부재(500, 500`)에 연결되어 좌, 우 대칭으로 직선이동되는 구성요소로서, 돌출부(610, 610`), 가이드레일안착부(620, 620`) 및 연결돌기(630, 630`)로 이루어진다.Next, the
상기 돌출부(610, 610`)는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가 상기 안착부(110)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통과공(120, 120)을 통과하여 상기 거치부재(800, 800`)와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가이드레일안착부(620, 620`)는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일종의 공간으로서, 상기 안착부(110)에 설치된 이동가이드부재(700, 700`)의 가이드레일(710, 71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710, 710`)을 따라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가 직선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해 준다.The guide
상기 연결돌기(630, 630`)는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의 선단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링크부재(500, 500`)의 말단에 결합되는 일종의 축으로서, 상기 연결돌기(630, 630`)는 각각의 상기 링크부재(500, 500`)가 직선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부재(500, 500`)가 직선운동과 함께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The connecting
다음으로, 이동가이드부재(700, 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재(700, 700`)는 도 7 또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고 각각의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결합되어 각각의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원형봉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이동가이드부재(700, 70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710, 71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Next, the
다음으로, 상기 거치부재(800, 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거치부재(800, 800`)는 도 1, 도 8 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통과공(120, 120`)을 통해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의 직선운동에 따라 함게 직선운동을 하여 반복적인 직선운동을 통해 발생하는 관성력을 거치된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등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Next, the mounting members (800, 80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FIG. 8, or 10, the mounting
한편, 상기 거치부재(800, 800`)의 표면에는 상기 거치부재(800, 800`)에 거치된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등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고무플레이트(810, 81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ubber plate (810, 81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800, 800`) to prevent the sliding of the user's arm or leg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800, 800`), etc. It is preferable that `) is formed respectively.
한편, 상기 거치부재(800, 800`)에는 상기 거치부재(800, 800`)에 사용자의 팔을 올려 놓은 경우, 올려 놓은 팔이 관성운동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으로 움켜 쥘 수 있는 거치봉(미도시)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arm is placed on the mounting member (800, 800`) to the mounting member (800, 800`), it can be grasped by the user's hand so as not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by the inertial movement It is possible to form a mounting rod (not shown),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7 to 10, i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body fat
먼저, 상기 모터부(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웜기어(222)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웜기어(222)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웜기어(220)와 연결된 한 쌍의 상기 웜기어휠(230, 230`) 또한 회전하게 된다.First, the
또한, 각각의 상기 웜기어휠(230, 230`)가 맞물린 각각의 상기 헬리켈기어(240, 240`)도 회전하게 되고, 각각의 상기 헬리켈기어(240, 240`)와 연결된 각각의 상기 캠부재(400, 400`) 또한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한편, 상기 캠부재(400, 400`)와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500, 500`)는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각각의 상기 거치부재(800, 800`)를 왕복직선운동시키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기 링크부재(500, 500`)의 선단은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각각의 연결돌기(630, 6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링크부재(500, 500`)의 말단은 각각의 상기 헬리켈기어(240, 240`)의 중심축에 설치되는 각각의 상기 제2 샤프트(241, 241`)와 연결된 상기 캠부재(400, 400`)의 무게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도 7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는 상기 링크부재(500`)에 의해 상기 헬리켈기어(240)의 중심축에 위치되는 상기 캠부재(400`)와 연동되고, 도 7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는 상기 링크부재(500)에 의해 상기 헬리켈기어(240)의 중심축에 위치되는 상기 캠부재(400`)와 연동된다.That is, the
또한, 각각의 상기 캠부재(400, 400`)는 무게중심이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캠부재(400, 400`)의 무게중심은 회전되는 중심축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cam members (400, 400`) are install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each other, the center of gravity of each of the cam members (400, 400`) is spaced apart from a central axis to rotate a certain distance Formed in position.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부(220)의 구동으로 각각의 헬리켈기어(240, 240`)가 회전할 경우,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직선이동되거나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Thus, when the
즉, 도 7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상기 캠부재(400`)의 무게중심이 좌측에 위치되면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캠부재(400)의 무게중심은 우측으로 위치되어 각각의 상기 캠부재(400, 400`)가 회전하면,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는 서로 근접하다가 근접한 위치에 위치된 후 멀어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하여,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가 각각의 상기 이동가이드부재(700, 700`)를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방향을 전환하는 순간, 관성에너지가 발생하게 되고, 이 관성에너지가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연결된 각각의 상기 거치부재(800, 800`)에 전달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거치부재(800, 800`)에 거치된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등의 신체일부에 진동과 같은 털림현상을 유발함으로써, 신체에 축척된 체지방을 자극하여 제거할 뿐만 아니라 모세혈관 등이 확장되어 체지방이 용이하게 분해되며,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신진대사량이 증가됨에 따라 면역력이 증가된다.Through this operation, the moment of inertia energy is generated when the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
100: 본체하우징
110: 안착부 120, 120`: 통과공
130: 조정기 131: 작동모드버튼
132: 전원버튼 133: 오토버튼
140: 손잡이부
200: 구동유닛부
210: 구동하우징 211: 모터안착부
212: 제1 기어안착부 213: 제2 기어안착부
220: 모터부 221: 회전샤프트
222: 웜기어
230, 230`: 웜기어휠 231, 231`: 제1 샤프트
240, 240`: 헬리켈기어 241, 241`: 제2 샤프트
250, 베어링
300: 제어부 310: 회로부
400, 400`: 캠부재
500, 500`: 링크부재
600, 600`: 슬라이드이동부
610, 610`: 돌출부 620, 620`: 가이드레일안착부
630, 630`: 연결돌기
700, 700`: 이동가이드부재 710, 710`: 가이드레일
800, 800`: 거치부재 810, 810`: 고무플레이트1: body fat breakdown exercise equipment
100: main unit housing
110: seating
130: regulator 131: operation mode button
132: power button 133: auto button
140: handle portion
200: drive unit
210: drive housing 211: motor seat
212: first gear seating portion 213: second gear seating portion
220: motor portion 221: rotary shaft
222: worm gear
230, 230`:
240, 240`:
250, bearing
300: control unit 310: circuit unit
400, 400`: cam member
500, 500`: link member
600, 600`: slide moving part
610, 610`:
630, 630`: connecting protrusion
700, 700`: Moving
800, 800`: Mounting
Claims (5)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부(200);
상기 구동유닛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상기 구동유닛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작동여부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캠부재(400, 400`);
각각의 캠부재(400, 4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부(20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한 쌍의 링크부재(500, 500`);
각각의 링크부재(500, 500`)에 연결되어 좌, 우 대칭으로 직선이동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이동부(600, 600`);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고 각각의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결합되어 각각의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이동가이드부재(700, 700`);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통과공(120, 120`)을 통해 각각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연결되는 한 쌍의 거치부재(800, 800`);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유닛부(200)는,
모터안착부(211) 및 제1, 2 기어안착부(212, 213)가 각각 형성되는 구동하우징(210)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안착부(211)에 안착되되, 회전샤프트(221) 및 상기 회전샤프트(221)의 전면에 형성되는 웜기어(222)를 포함하는 모터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기어안착부(2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웜기어(222)의 양측에 각각 맞물리되, 중앙에 제1 샤프트(231, 231`)가 형성되는 웜기어휠(230, 23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기어안착부(213)에 안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윔기어휠(230, 230`)에 각각 맞물리되, 중앙에 제2 샤프트(241, 241`)가 형성되는 헬리켈기어(240, 240`)가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캠부재(400, 400`)는 각각의 상기 제2 샤프트(241, 241`)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1).A main body housing 100 in which a seating part 110 formed of a space is formed and a through hole 120 and 120 ′ are formed symmetrically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 driving unit part 200 provided at the seating part 110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A control unit 300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0 to control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00;
A pair of cam members 400 and 400`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0 and rotating according to whether the driving unit 200 is operated;
A pair of link members 500 and 500`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am members 400 and 400`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generated from the driving unit 200 into linear motion;
A pair of slide moving parts 600 and 600` connected to each link member 500 and 500` and linearly moved in left and right symmetry;
A pair of moving guide members 700 and 700 'provided in the seating part 110 and coupled to the respective slide moving parts 600 and 600`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respective slide moving parts 600 and 600`. ;
A pair of mounting members 800 and 800` formed in a pair of upper parts of the main housing 100 and connected to the slide moving parts 600 and 600` through respective through holes 120 and 120`. );
The drive unit unit 200,
A driving housing 210 in which the motor seat 211 and the first and second gear seats 212 and 213 are formed, respectively, is formed.
The motor unit 220 is mounted on the motor seat 211, and includes a rotary shaft 221 and a worm gear 22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ry shaft 221.
The worm gear wheels 230 and 230 ′, which are engaged with both sides of the worm gear 222 while being seated on the first gear seating part 212, are formed with first shafts 231 and 231 ′ in the center thereof. Each is formed,
The helical gear 240 is engaged with each of the wheel gears 230 and 230`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second gear seat 213, and the second shafts 241 and 241` ar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 240`), respectively,
Each of the cam members (400, 4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econd shaft (241, 241`)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각각의 상기 링크부재(500, 500`)의 선단은 상기 슬라이드이동부(600, 6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링크부재(500, 500`)의 말단은 상기 캠부재(400, 4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무게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1).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link members 500 and 500`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slide moving parts 600 and 600`,
End of each of the link member (500, 500`)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gravity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m member (400, 400`) ( One).
상기 이동가이드부재(700, 70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710, 7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1).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ovement guide member (700, 700`) is a body fat decomposition exercise mechanism (1),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guide rails (710, 710`) spac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s formed.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유닛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부(310)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상기 회로부(31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구동유닛부(200)를 작동시키는 조정기(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1).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circuit unit 31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e unit unit 200,
Body regulator (1)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regulator (130) for operating the drive unit unit 200 by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circuit unit (310).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39904A KR102012727B1 (en) | 2017-10-26 | 2017-10-26 | Body Fat Disintegration Equipment |
| PCT/KR2018/012603 WO2019083265A1 (en) | 2017-10-26 | 2018-10-24 | Body fat burning exercis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39904A KR102012727B1 (en) | 2017-10-26 | 2017-10-26 | Body Fat Disintegration Equipmen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46290A KR20190046290A (en) | 2019-05-07 |
| KR102012727B1 true KR102012727B1 (en) | 2019-10-21 |
Family
ID=6624683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39904A Active KR102012727B1 (en) | 2017-10-26 | 2017-10-26 | Body Fat Disintegration Equipment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12727B1 (en) |
| WO (1) | WO2019083265A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83058B1 (en) * | 2004-01-13 | 2006-05-26 | (주) 쉬즈텍 | Body fat breakdown exercise equipment |
| KR100595012B1 (en) | 2004-11-16 | 2006-06-30 | (주)휴먼메덱스텍 | Exercising apparatus for body lipolysis and strengthening muscles |
| JP2008154879A (en) | 2006-12-25 | 2008-07-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Exercise assistance device |
| KR101632273B1 (en) | 2015-07-01 | 2016-06-21 | 주식회사 파미고 | Exercising Apparatus for the Lower Part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86209Y1 (en) | 2005-01-07 | 2005-06-13 | 함인엽 | Abdominal Fat Loss Apparatus |
| JP5122941B2 (en) * | 2007-12-28 | 2013-01-1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Standing-type passive exercise equipment |
| WO2009122559A1 (en) * | 2008-03-31 | 2009-10-08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xercise aiding apparatus |
-
2017
- 2017-10-26 KR KR1020170139904A patent/KR102012727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10-24 WO PCT/KR2018/012603 patent/WO2019083265A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83058B1 (en) * | 2004-01-13 | 2006-05-26 | (주) 쉬즈텍 | Body fat breakdown exercise equipment |
| KR100595012B1 (en) | 2004-11-16 | 2006-06-30 | (주)휴먼메덱스텍 | Exercising apparatus for body lipolysis and strengthening muscles |
| JP2008154879A (en) | 2006-12-25 | 2008-07-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Exercise assistance device |
| KR101632273B1 (en) | 2015-07-01 | 2016-06-21 | 주식회사 파미고 | Exercising Apparatus for the Lower Par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9083265A1 (en) | 2019-05-02 |
| KR20190046290A (en) | 2019-05-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159889B2 (en) | Spinal rehabilitation device | |
| WO2016208256A1 (en) | Massage mechanism, and legless chair type massage machine provided with said massage mechanism | |
| CN108926466A (en) | Rehabilitation physical therapy integrates body device | |
| CN111035537B (en) | A hom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with continuously rising traction weight | |
| CN203591564U (en) | Multifunctional body-building machine | |
| KR101490323B1 (en) | Apparatus for ankle joint exercise | |
| JP2020054573A (en) | Heel dropping machine | |
| JP2003250895A (en) | Chair-type message machine | |
| KR102012727B1 (en) | Body Fat Disintegration Equipment | |
| CN113908484B (en) | A training component and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apable of meeting joint training requirements | |
| CN216148978U (en) | Novel recovered exercise of low limbs device | |
| KR102419520B1 (en) |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Leg and upper limb | |
| CN212998224U (en) | Lower limb strength exercise frame | |
| KR20080004148A (en) | Automatic waist exercise equipment | |
| CN219090045U (en) | Lower limb rehabilitation device for hemiplegic patients | |
| CN203841873U (en) | Lumbar disc herniation treatment device | |
| JP3132853U (en) | Betting equipment | |
| KR102397083B1 (en) | Belt type exercis apparatus | |
| CN115054487A (en) | Hemiplegia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 |
| CN110917567B (en) | A multifunctional fitness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 |
| KR20100109185A (en) | Fitness equipment | |
| CN209734486U (en) | A multifunctional massage machine | |
| CN204352123U (en) | A kind of lower limb maintenance training aids | |
| CN205083944U (en) | Exercise body -building machine | |
| CN114246763B (en) | Walking simulation device for rehabilitation of spinal nerve injur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