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169B1 -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ne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ne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3169B1 KR102013169B1 KR1020180005696A KR20180005696A KR102013169B1 KR 102013169 B1 KR102013169 B1 KR 102013169B1 KR 1020180005696 A KR1020180005696 A KR 1020180005696A KR 20180005696 A KR20180005696 A KR 20180005696A KR 102013169 B1 KR102013169 B1 KR 1020131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film
- ethylene
- propylene
- polypropyle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가구 및 건축자제에 사용되는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열 접착이 가능한 보호필름(200) 및 상기 보호필름(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는 중심층(60), 상기 중심층(6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50 내지 99 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또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VA) 공중합체(비닐아세테이트 함량 3 내지 4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부 표면층(40) 및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30)을 포함하는 기재필름(300)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공한다.Disclosed are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for use in furniture and building material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veneer using the same. The heat-adhesive protective film 2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200 is formed, and is formed on the center layer 60, the upper layer of the center layer 60 to serve as a support layer to maintain the film form, Propylene homopolymer, propylene with at least one α-olefin copolymer (propylene content: 50-99 wt%), polyethylene or ethylene and at least one α-olefin copolymer (ethylene content: 30-95 wt%) or ethylene Vinyl acetate (VA) copolymer (vinyl acetate content of 3 to 40% by weight) and a mixture of the upper surface layer 40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inted layer 30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layer 40 It provides a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comprising a base film 300 compris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코시트 필름 제소시 가공성이 우수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 및 건축자재에 사용되는 데코필름의 생산시 가공성이 기존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대비 가공 공정 수를 낮춤으로써 PVC 데코시트 생산 설비에서도 생산이 가능한 우수한 가공성을 가진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having excellent processability when deco sheet film fil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veneer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ability of a deco film used in furniture and building materials is improv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having excellent processability, which can be produced even in a PVC decor sheet production facility by reducing the number of processing processes compared to a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veneer using the same.
데코시트용 필름은 가구 외면에 사용될 때, 인쇄면의 보호가 중요하다. 그러나 인쇄성능을 최대한 상승 시키더라도 표면의 충격에 의해 인쇄면이 벗겨 질 수도 있고, 가공 및 적재 시 충격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가 있어서 인쇄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상단에 투명필름을 접착하여, 충격에 의한 인쇄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부여해 준다. When decorative film is used on the exterior of furniture, the protection of the printing surface is important. However, even if the printing performance is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the printing surface may be peeled off by the impact of the surface,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scratch may be generated by the impact during processing and loading. There is such a problem, by attaching a transparent film on the top of the printed polypropylene decorative sheet film, it gives a rol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printing surface by the impact.
상기 폴리프로필렌 보호필름은 별도의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수분의 방어막(Barrier) 성능 등이 상대적으로 여타의 재질에 비해 우수하나, 접착을 위해 사용될 때에는 표면 저항이 낮은 편으로, 접착하는데 있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접착력 문제 해결을 위해서, 종래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접착면에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여 표면을 개질 한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인쇄필름과 접착했다. 이러한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 제10-0804826 B1호에 데코시트용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에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0-0622894 B1호에는 변성폴리에틸렌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합하여, 인쇄필름과 보호필름을 열 합지를 통해 접착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4-0007639호에는 보호필름과 인쇄필름 간의 접착 시, 우레탄 접착제 도포 후 열간 압착을 통한 접착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The polypropylene protective film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does not discharge additional harmful substances, but the barrier performance of water is relatively superior to other materials, but when used for adhesion, the surface resistance is low,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In order to solve such an adhesion problem, conventionally, a surface was modified by applying a primer to an adhesive surface of a polypropylene film, and then bonded to a printing film using an adhesive. Such a metho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804826 B1 for an olefin resin composition for decor sheet and a decor sheet using the same, and Korean Patent No. 10-0622894 B1 mixes a modified polyethylene resin and a polyurethane resin. Thus, a method of adhering a printing film and a protective film through thermal lamination is disclosed.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07639 discloses a method for bonding through hot pressing after the urethane adhesive is applied wh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rinting film is bonded.
그러나 상기에 기술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전처리 방법과 그 접착방법에 의하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보호필름을 사용함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접착력, 강도 및 지속력이 낮아서 접착 표면에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호필름의 후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다. 상기 전처리된 보호필름과 인쇄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간의 접착을 위해서 별도의 접착제 도포 공정 또는 별도의 폴리우레탄 수지나, 폴리우레탄 혼합 접착제의 선 도포 공정이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보호필름과 인쇄필름 간의 접착을 위해 보다 자세하게, 종래의 방법인 보호필름 후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일정한 표면 접착력을 부여하고, 상기 프라이머로 도포된 보호필름 후면에 폴리우레탄 및 혼합 접착제 또는 별도의 접착제를 필름에 도포하여 인쇄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를 접착하여 무늬목을 제작하였다. 상기 종래의 방법으로 무늬목을 제작할 때, 별도의 필름 전처리 공정이 소모되며, 보호필름과 인쇄필름 접착 시 별도의 접착제 도포 공정 및 열간 압착, 용매형 접착제의 휘발 공정을 별도로 수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treatment method of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and its bonding method, it is not limited to using the protective film made of polypropylene material, and the adhesion, strength and durability are low to protect to increase the adhesion to the adhesive surface. There is a need for a pretreatment process that applies a primer to the back of the film. For adhesion between the pretreated protective film and the print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a separate adhesive application process or a separate polyurethane resin or a pre-application process of a polyurethane mixed adhesive was essential. In order to bon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rinting film in more detail, by applying a primer on the protective film in the conventional method to give a constant surface adhesion, and a polyurethane and a mixed adhesive or a separate adhesive on the protective film coated with the primer Was applied to the film to adhere the printed polypropylene decor sheet to prepare a veneer. When the veneer is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a separate film pretreatment process is consumed, and wh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rint film are adhered,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adhesive application process, hot pressing, and a volatilization process of a solvent type adhesive are involved.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0-2011-0075774호에는 종이에 인쇄된 인쇄층을 보호하기 위해서, 다중 접착층을 가진 연신 공압출 필름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공압출한 후, 폴리올레핀 수지층 위에 에틸렌초산비닐 수지(EVA)를 적층하여 접착 대상물과 접착하는 써멀 라미네이션(thermal lamination) 방법으로 대체가 가능한 필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중 접착층을 가진 연신 공압출 필름은 종이와는 그 접착력이 우수하나,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인쇄용 데코시트필름과는 가열 접착만으로 접착이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No. 10-2011-0075774, in order to protect a printed layer printed on paper, a polyolefin resin is coextruded in a stretched coextruded film having multiple adhesive layers, and then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EVA) is formed on the polyolefin resin layer.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ilm that can be replaced by a thermal lamination method of laminating a laminate to bond an adhesive object. The stretched coextruded film having such a multi-adhesive layer has excellent adhesive strength with paper, but has a problem in that adhesion is not performed only by heat adhesion with a printing decor sheet film made of polypropylen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프라이머(Primer) 등의 표면처리가 없고, 보호필름과 인쇄된 기재필름을 열간 압착만으로도 합지가 가능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which can be laminated by only hot pressing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rinted base film without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prim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제적이고 생산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이용한 무늬목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eer using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which is economical and has improved productiv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 접착이 가능한 보호필름(200) 및 상기 보호필름(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는 중심층(60), 상기 중심층(6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50 내지 99 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또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VA) 공중합체(비닐아세테이트 함량 3 내지 4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부 표면층(40) 및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30)을 포함하는 기재필름(300)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열 접착이 가능한 보호필름(20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는 중심층(60), 상기 중심층(6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50 내지 99 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또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VA) 공중합체(비닐아세테이트 함량 3 내지 4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부 표면층(40) 및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30)을 포함하는 기재필름(300)의 조성물을 시트형태로 공압출하여 기재필름(30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재필름(300)의 상부 표면층(40)에 인쇄기로 무늬를 인쇄하여 인쇄층(3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30)을 포함한 기재필름(200)과 보호필름(200)을 가열 압착하여 보호필름(200)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을 포함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하부 표면층(80) 하부에 접착층(90)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90)이 적층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합판(100)을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늬목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manufacturing a heat-adhesive
본 발명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기존의 프라이머 도포공정, 접착제 도포공정, 용매휘발 공정 등의 제조공정들을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가열 압착(열간 압착)만을 통해 무늬목을 제조하며, 경제적이고 생산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이용한 무늬목을 제조할 수 있다.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process by omitting conventional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primer coating process, adhesive coating process, solvent volatilization process, and manufactures veneer by heat pressing (hot pressing), It is possible to produce veneers using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s which are economical and have improved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합판의 접착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including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a printed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dhes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ative sheet film and plywood containing a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hat are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필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200)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열합지가 가능한 보호필름(200)과 상기 보호필름(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재필름(300)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필름(200)과 기재필름(300)은 열간압착하여 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including a
상기 보호필름(200)은 보호층(10)과 인쇄필름(30)을 접착하는 접착층(20)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기재필름(300)은 인쇄층(30), 상부 표면층(40), 중심층(60)으로 구성되고, 하부표면층(80)을 더욱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과 중심층(60) 사이의 중간층(50,70)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부 표면층(40) 위에 인쇄필름(30)을 더욱 포함할 수 있어, 3층 혹은 5층 또는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The
상기 보호필름(200)은 상부 표면층(40)의 일면에 위치하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에 인쇄된 인쇄층(30)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이다. 상기 보호필름(200)은 폴리프로필렌층과 폴리에틸렌층을 포함하는 보호층(10)과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EVA) 단독 또는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EVA)와 다른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용제형 접착제로 구성된 접착층(20)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층(10)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BOPP필름의 일면에 폴리에틸렌을 공압출하여 제조된 필름으로 보호층(10)을 구성한다. 상기 보호층(10)의 폴리에틸렌층 하부에 에틸렌초산비닐 수지(EVA)를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접착층(20)을 형성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층(30)과 열간압착하여 접착된다. 상기 보호층(10)의 폴리에틸렌이 공압출된 반대면에는 프로필렌 수지, 에틸렌 수지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층은 프로필렌 수지, 에틸렌 수지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폴리에틸렌층은 에틸렌수지, 에틸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에틸렌과 비닐에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과 비닐알콜 공중합체, 에틸렌과 비닐아세틱엑시드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The
상기 보호층(10)은 기존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만 이루어졌다. 그로 인해 상기 보호층(10)과 인쇄층(30)의 접착능력이 감소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층(30)과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에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보호층(10)의 하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접착제(20)를 도포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층(30)과 접착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라이머는 유기용제에 접착력이 있는 고형분을 희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프라이머 도포시 유기용제에 인체가 노출될 수 있으며, 또한 합지 후에도 필름에 유기용제가 함침되어 있어 완성된 데코시트에도 프라이머 처리에 사용된 유기 용제성분이 남아있게 된다.The
본 발명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에틸렌 수지와 공압출하여 BOPP필름(10)을 제조하고, 에틸렌 초산비닐 수지를 접착층(20)으로 라미네이팅하여 보호필름(200)을 제작한다. 이를 통하여 기존에는 인쇄층과 BOPP 필름간에는 접착성능이 낮아서 별도의 전 처리 작업을 해야 했으나, 열간 압착만을 통해 인쇄필름(30)위에 보호필름(200)을 접착 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기존의 프라이머 도포공정, 접착제 도포 공정 및 접착제 용매 휘발 공정 등의 단계를 생략하여, 보호필름과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층(30)을 보호필름(200)과 열간 압착만으로 접착할 수 있어, 그 가공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a
상기 접착층(20)은 상기 보호필름(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의 인쇄층(30)과 접착되는 층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보호필름(200)은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를 라미네이팅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층(30)과 가열접착(열간 접착)으로 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무용제형 접착제(Hot-melt Lami, 20)를 적층하여,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층(30)과 가열 접착(열간 접착)으로 상기 인쇄층(30)의 무늬를 보호한 무늬목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EVA) 단독 또는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EVA)와 다른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용제형 접착제를 사용한며, 무용제형 접착제뿐만 아니라, 기존의 용제형 접착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초산비닐계(PVA), 라텍스계, 아크릴(Acryl)계, EVA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0.1㎛ 내지 5㎛ 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이다. 상기 접착제가 너무 적으면 층간 박리 문제가 있고, 너무 많으면 눌려서 옆면으로 접착제가 이탈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공정 및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200)을 얻을 수 있다.The
상기 인쇄층(30)은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일반적으로 인쇄기를 통하여 무늬가 인쇄되거나 인쇄된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상기 인쇄층(30)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층간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별도의 에틸렌초산비닐 수지(EVA)를 적층(라미네이트)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인쇄층(30)에 무늬가 인쇄되고, 상기 인쇄층(30)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가열 압착(열간 압착)만으로 보호필름(200)과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0)은 열합지가 가능한 인쇄용 필름으로써, 인쇄적성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부 표면층(40)의 재질이 폴리올레핀 수지들과의 표면과 인쇄성에 유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표면층(40)은 중심층(60)의 일면으로 인쇄층(30)과 중심층(60)의 사이에 위치하며, 기재필름의 생산시 외부로 노출되는 층으로써, 용도에 따라 인쇄적성, 평활성, 내마모성 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표면층은(40)의 조성물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50 내지 99 중량%),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30 내지 95 중량%) 또는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EVA)(비닐아세테이트 함량 3 내지 4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에틸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함량: 5 내지 70 중량%) 또는 에틸렌 초산비닐 수지(EVA)(초산비닐 함량: 3 내지 40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을 에틸렌, 프로필렌, 1-부탄,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상부 표면층(40)이 열접착이 가능한 연신 공압출 필름으로써, 특히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EVA)와 접착력이 우수하여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EVA)층을 가진 보호필름과 써멀 라미네이션(Thermal Lamination)공정에서 우수한 접착력을 보여준다. 상기 상부 표면층(40) 조성물의 융점 피크온도는 70 내지 135 ℃이며, 용융지수(ASTM D 1238, 190, 2.16Kg)가 0.5 내지 20.0이다.The
상기 하부 표면층(80)은 중심층(60)의 다른 일면으로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층이다. 상기 하부 표면층(80)의 조성물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50 내지 99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폴리에틸렌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메트(MATTE) 컴파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은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1-부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표면층(80)의 하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무늬목 제작시 합판의 상부에 용매형 접착제를 도포하여 데코시트를 합판에 고정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 혹은 양쪽 표면층 모두는, 필요로 하는 특성에 따라 산화방지제, UV안정제, UV흡수제, 대전방지제, 활제, 안티블로킹제, 충진제, 방담제, 가소제, 상용화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사용량은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을 구성하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첨가제의 사용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너무 많으면 표면층의 물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표면층(40,80) 혹은 양면의 표면층의 필요에 따라 코로나 등의 표면처리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쇄 적성 개선 및 접착력 개선 등의 추가 특징을 부여 할 수 있으며, 30 내지 60 dyne/cm의 표면장력을 가질 수도 있다. The upper and lower surface layers 40 and 80, or both surface layers, may be selected from antioxidants, UV stabilizers, UV absorbers, antistatic agents, lubricants, antiblocking agents, fillers, antifog agents, plasticizers, compatibilizers and Additives, such as mixtures thereof, may be further included. The amount of the additive used is 0 to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 layers 40 and 80. Here, if the amount of the additive used is too small, the use effect of the additive may not be obtained, and if it is too lar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rface layer may be rather deteriora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layer (40,80) or both surfaces of the surface layer can be surface treatment, such as corona, it can be given additional features, such as print aptitude improvement and adhesion improvement, 30 to 30 It may have a surface tension of 60 dyne / cm.
상기 중심층(60)은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고,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를 연신하여 가공할 때, 연신되지 않는 입자 형태를 유지하는 무기 또는 유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기 또는 유기 첨가제의 함량 조절을 통하여 밀도와 은폐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심층(60)은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또는 분산된 무기 또는 유기 첨가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는 프로필렌 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이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 함량 50 내지 99 중량%)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다. 여기서 프로필렌 함량은 전체 중합체 중량에 대한 프로필렌 단위의 중량을 나타낸다. 상기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α-올레핀은,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고, 상기 α-올레핀은 프로필렌 공중합체에 열접착성 및 점착성 등의 기능을 부여한다. The
상기 중심층(60)에 분산되는 무기 또는 유기 첨가제는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가 연신될 때, 내부 스페이서로 작용하여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에 기공 또는 공극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가 연신될 때, 폴리프로필렌과 상용성이 낮고 연신이 안 되는 성분이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에 기공을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상기 무기 또는 유기 첨가제의 크기, 물성 등에 따라 기공크기 및 중심층(60)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고, 중심층(60)성분들의 굴절률 차이에 따라 중심층(60)의 은폐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inorganic or organic additive dispersed in the
상기 무기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등의 무기계 백색 안료, 충진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탄산칼슘(CaCO3),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카올리나이트(kalinite), 마이카(mica), 헥토라이트(hectorite), 불화헥토라이트(fluoro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베이델라이트(beide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스티븐사이트(stevens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할로사이트(hallosite), 볼콘스코이트(volkonskoite), 석코나이트(suconite), 마가다이트(magadite), 케냐라이트(kenyalite) 등 이들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product that can be used as the inorganic additive may include inorganic white pigments such as titanium dioxide and fillers. Specific examples of the filler include calcium carbonate (CaCO3), montmorillonite, montmorillonite, bentonite, kaolinite, mica, hectorite, hectorite, fluorohectorite, saponite (saponite), beidelite, nontronite, stevensite, vermiculite, halosite, volkonskoite, suconite, magadai And mixtures thereof, such as magadite and kenyalite.
상기 유기 첨가제로는 프로필렌 중합체와 상용성이 낮은 비폴리프로필렌계 유기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융점(일반적으로 약 160℃) 보다 높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높은 융점(Tm)을 가지거나, 프로필렌 중합체와의 표면 저항(Surface tension, 폴리프로필렌의 표면 저항: 약 30 내지 31 mN/m) 차이가 2 mN/m 이상, 바람직하게는 3 m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N/m 이상인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As the organic additive, a non-polypropylene-based organic polymer having low compatibility with the propylene polymer may be used, preferably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ropylene polymer (generally about 160 ° C), preferably 5 ° C or more, and more preferably. Has a high melting point (Tm) of 10 ° C. or higher, or a surface tension with a propylene polymer (surface tension of polypropylene: about 30 to 31 mN / m) is 2 mN / m or more, preferably 3 mN / m or more, more preferably 5 mN / m or more synthetic resin can be used.
또한, 유기 첨가제인 합성수지로는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드(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미드(Nylon, 4/6, 6/6, 6/10, 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PET-G), 폴리페닐렌설파이트(PPS), 폴리메틸펜탄(PMP), 폴리이미드(PI),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synthetic resin which is an organic additive, polystyrene (P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polycarbonate (PC),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amide (Nylon, 4/6, 6/6, 6/10, 6),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lastomer, Polyester Copolymer (PET-G), Polyphenylene Sulfite (PPS), polymethyl pentane (PMP), polyimide (PI), a mixture thereof, etc. can be illustrated.
그리고 상기 무기계 백색 안료, 충진제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유기계 백색 안료,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활제, 안티블로킹제, 방담제, 가소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the inorganic white pigment and the filler, an organic white pigment, an antioxidant, an antistatic agent, a lubricant, an antiblocking agent, an antifogging agent, and a plasticizer may be used.
상기 무기 첨가제는 프로필렌 중합체의 마스터배치(M/B) 형태로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에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의 사용량은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부이다. 상기 무기 첨가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상기 중심층(60)에 기공이 불충분하게 형성되어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밀도를 충분히 조절하지 못하며, 상기 무기 첨가제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중심층(60)의 강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의 입자 크기는 통상 0.1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이다. 상기 무기 첨가제의 입자 크기가 너무 작으면, 충분한 크기의 기공이 형성되지 못할 우려가 있고, 너무 크면 기공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져, 중심층(60)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inorganic additive may be mixed with the propylene polymer resin in the form of a masterbatch (M / B) of the propylene polymer. The amount of the inorganic additive used is 1 to 60 parts by weight, preferably 2 to 50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5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opylene polymer resin. If the amount of the inorganic additive is too small, insufficient porosity is formed in the
필요에 따라, 상기 중심층(60)에 유기 개질제를 첨가하여 상기 무기 첨가제와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의 상용성 및 기공 크기를 더욱 조절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중심층(60)에 기공이 필요치 않으면, 상기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고 안료만으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첨가제와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의 상용성 증가시키는 유기 개질제로는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EE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PE-g-MA), 폴리프로필렌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PP-g-M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EPR-g-M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고무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EPDM-g-MA), 폴리에틸렌 그래프트아크릴산(PE-g-A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그래프트아크릴산(EPR-g-AA), 에틸렌-옥텐 고무 그래프트무수말레익산(EOR-g-MA),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고무 그래프트아크릴산(EPDM-g-AA),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유기 개질제의 사용량은, 프로필렌 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유기 개질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상용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너무 많으면, 특별한 이익이 없이 중심층(60)의 물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If necessary, the organic modifier may be added to the
상기 중간층(50,70)은 표면층(40,80) 및 중심층(60)만으로 부족한 은폐력, 두께부족 등의 특성을 더욱 보조하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연신되지 않는 입자 형태를 유지하는 무기 또는 유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기 또는 유기 첨가제의 함량 조절을 통하여 밀도와 은폐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50, 70)은 표면층(40, 80) 또는 중심층(60)과 성분이 동일할 수도 있고 보완적인 구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3층 구조로 제작할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3층 이상의 다층구조로 제작할 경우에는 은폐력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 등의 무기계 백색 안료, 유기계 백색 안료,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활제, 안티블로킹제, 충진제, 방담제, 가소제 등이 추가로 처방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50, 70)의 수지 조성물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α-올레핀 공중합체, 3종 이상의 α-올레핀을 사용한 공중합체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되는 α-올레핀은,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The
상기 접착층(90)은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합판의 접착을 도와주는 층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 표면층(80)의 하부에 무용제형 접착제(Hot-melt Lami)를 적층하여, MDF 또는 PB 등의 합판과 가열 접착으로 무늬목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무용제형 접착제로는 에틸렌초산비닐 수지(EV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1,2액형 반응형우레탄 접착제(PU) 등이 있다. 또한, 무용제형 접착제로 한정되지 않고, 기존의 용제형 접착제도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초산비닐계(PVA), 라텍스계, 아크릴(Acryl)계, EVA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사용량은 1㎛ 내지 200㎛ 이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이다. 상기 접착제가 너무 적으면 층간 박리 문제가 있고, 너무 많으면 눌려서 옆면으로 접착제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The
상기 인쇄층(30), 상부 표면층(40), 중심층(60), 하부 표면층(80) 및 중간층(50, 70)으로 구성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전체 두께는 제품의 용도 및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생산성, 가격 경쟁력, 물성 등을 고려하면 통상 20 내지 500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60)의 두께는 통상 전체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두께의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다. 상기 중심층(6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압출 및 연신 과정에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형성이 곤란할 우려가 있다. 상기 표면층(40) 및 중간층(50,70)의 두께도 제품의 용도 및 설계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나, 은폐력 조절, 인쇄적성, 내열성 등을 고려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은 중심층(60)의 두께 대비 0.1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중간층(50, 70)은 중심층(60)의 두께 대비 0.1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인쇄층(30)의 두께는 통상 1㎛ 또는 그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90)은 상기 중심층(30)의 두께 대비 통상 5 내지 4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0%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 중간층(50,70) 및 중심층(60)은 기능 및 용도에 따라, 단층뿐만 아니라 2층, 3층 등의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최소 3층의 다층 구조를 가지며, 설계에 따라 5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200)의 두께는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두께의 10 내지 200%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20 %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보호필름(200)의 하부에 위치한 접착층(20)은 통상 보호필름(200) 전체의 두께에서 30 내지 80 %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상기 중심층(60)의 두께는 20 내지 200 ㎛이고, 보호필름(200)의 두께는 상기 중심층(60)의 두께의 10 내지 400 %이고, 접착층(20)은 상기 중심층(60)의 두께의 2 내지 300 %이고, 상부 표면층(40)의 두께는 상기 중심층(60)의 두께의 0.1 내지 30 %이고, 하부 표면층(80)은 상기 중심층(60)의 두께의 0.1 내지 30 %이다.The overall thickness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composed of the printed
본 발명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각 수지 성분들을 각기 다른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한다. 상기 용융된 수지는 적층된 폴리프로필렌 시트(Sheet)형태로 공압출한 후, 연신시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용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층(60) 수지조성물, 상기 상부 및 하부 표면층(40,80) 수지 조성물, 및 필요에 따라 상기 중간층(50,70)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및 혼련하여, 상기 상부 표면층(40), 중간층(50) 중심층(60), 중간층(70) 및 하부 표면층(8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적층체를 티다이(T-Die) 내부에서 형성 및 단일 쉬트(Sheet)형태로 공압출하여 기재필름(300)을 제조하고, 이를 연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적층체는 기계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축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BOPP,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의 상부 표면층(40)에 인쇄기로 무늬를 인쇄하여 인쇄필름(30)을 제조하고, 상기 기재필름(300)과 보호필름(200)을 가열 압착하여 보호필름(200)이 포함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200)을 포함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하부 표면층(80)의 하부에 프라이머를 칠한 후 접착층(90)을 적층하여 합판(100)과 가열 압착한다.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elted by putting each resin component into different extruders. The molten resin may be co-extruded in the form of a laminated polypropylene sheet, and then stretched to prepare a film for polypropylene decor sheet. Specifically, the
본 특허에 의하여 제작된 무늬목은 도 2에 더욱 상세하게 표현 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이 포함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합판의 접착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The veneer produced by this patent is represented in more detail in FIG. 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and the plywood containing a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제조 Example 1 Preparation of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Containing a Protective Film
하기 표 1에서 나타낸 조성의 수지를 각기 다른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하였다. 용융된 수지를 T-다이로 공합출하여 시트를 형성한 다음, 형성된 시트를 냉각하고 기계방향으로 5배, 폭 방향으로 9.5배 연신하여 이축연신된 백색 불투명 필름(White Opaque Film) 형태의 5층구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60 ㎛)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보호필름(10)은 프로필렌 수지와 에틸렌 수지를 공압출한 필름의 하부에 에틸렌초산비닐 수지를 라미네이팅하여 보호필름(10,20)을 제조하였다. 보호필름(10,20)을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인쇄층(30)과 열접착하였다. 이를 통하여, 인쇄필름 60 ㎛ 및 보호필름 30 ㎛으로 구성된 전체 90 ㎛로 구성된 인쇄층(30)이 보호된 데코시트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물성평가결과와 필름 간의 접착력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냈다.The resin of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was put into different extruders and melted. The melted resin is co-extruded with a T-die to form a sheet, and then the formed sheet is cooled and stretched 5 times in the machine direction and 9.5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biaxially stretched white opaque film. A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decorate film (60 μm) was produced. Subsequently, the
layer
(㎛)thickness
(Μm)
Example 1
Protective film
Protective layer
20
Base Film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oly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oly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oly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실시예 2]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제조 Example 2 Preparation of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Containing a Protective Film
하기 표 2에서 나타낸 조성의 수지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물성평가결과와 필름 간의 접착력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냈다.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resin having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2.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prepared as in Example and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films are shown in Table 7 below.
layer
(㎛)thickness
(Μm)
Example 2
Protective film
Base Film
(2) LDPE(용융온도: 105℃) 100 wt%(1) 100 wt% EVA (melting temperature: 83 ° C)
(2) 100 wt% of LDPE (melting temperature: 105 ° C)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1) 85 wt% of poly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oly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oly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실시예 3]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제조 Example 3 Preparation of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Containing a Protective Film
하기 표 3에서 나타낸 조성의 수지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물성평가결과와 필름 간의 접착력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냈다.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resin having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3 below.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prepared as in Example and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films are shown in Table 7 below.
layer
(㎛)thickness
(Μm)
Example 3
Protective film
Base Film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1) 100 wt% of propylene and α-olefin copolymer (melting temperature: 125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oly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oly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비교예 1]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제조 Comparative Example 1 Preparation of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Containing a Protective Film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보호필름과 인쇄필름면에 아크릴계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그 사이에 EVA계 용제형 접착제를 도포하여 두 필름을 접착시켰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5층구조의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인쇄필름의 두께는 실시예의 필름과 동일하게 60 ㎛로 설정하였고, 보호필름의 두께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30 ㎛로 구성하였으며, 전체 데코시트층의 두께는 90 ㎛로 제조하였다. 액상으로 구성된 프라이머 층과 접착제층은 도포부위에 따라 건조되는 시간 또는 분포에 따라 일부 두께에 편차가 있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물성평가결과와 필름 간의 접착력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냈다.As shown in Table 4 below, an acrylic primer was applied to the existing polypropylene protective film and the printed film surface, and an EVA solvent adhesive was applied therebetween to bond the two films.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having a 5-layer structure was prepared and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xample. 30 μm in thickness,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decor sheet layer was prepared in 90 μm. The primer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composed of the liquid phase may vary in thickness depending on the time or distribution of drying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site.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prepared as in Example and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films are shown in Table 7 below.
layer
(㎛)thickness
(Μm)
1
Comparative example
One
필름protect
film
필름
materials
film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oly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oly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oly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비교예 2] 보호필름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제조 Comparative Example 2 Preparation of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Containing a Protective Film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보호필름과 비교예 1에서 사용된 인쇄필름의 기재필름에 아크릴계 프라이머를 도포하지 않은 기존 합성지 구조의 인쇄필름을 제작하여 열합지하였다. 인쇄필름의 두께는 실시예의 필름과 동일하게 60 ㎛로 설정하였고, 보호필름의 두께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30 ㎛로 구성하였으며, 전체 데코시트층의 두께는 90 ㎛로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물성평가결과와 필름 간의 접착력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냈다.As shown in Table 5, the polypropylene protective film used in the Example and the base film of the printing film used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prepared by thermally laminating the printing film of the conventional synthetic paper structure not coated with an acrylic primer. The thickness of the print film was set to 60 μm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lm of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was composed of 30 μm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and the thickness of the entire decor sheet layer was prepared to be 90 μm.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prepared as in Example and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films are shown in Table 7 below.
layer
(㎛)thickness
(Μm)
Comparative Example 2
Protective film
Base Film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85 wt%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비교예 3] 보호필름을 포함하지 않은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제조 Comparative Example 3 Preparation of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without Protective Film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보호필름을과 사용하지 않았으며, 상기 비교예 1에서 사용된 인쇄필름의 기재필름에 아크릴계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바로 인쇄를 실시하여 인쇄필름을 제작하였다. 인쇄필름의 두께는 실시예의 필름과 동일하게 60 ㎛로 설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필름의 물성평가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냈다.As shown in Table 6, the polypropylene protective film used in the Example was not used, and the acrylic film was applied to the base film of the printing film used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immediately printed to print the print film. Produced. The thickness of the printing film was set to 60 µm in the same manner as the film of the example. Evaluation results for the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is shown in Table 7.
division
(㎛)thickness
(Μm)
Comparative Example 3
필름
materials
film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2) 이산화티타늄(TiO2)50wt% 함유 Master Batch 10 wt%
(3) 탄산칼슘(CaCO3) 70 wt% 함유 Master Batch 5%(1) 85 wt% of propylene resin (melting temperature: 157 ° C)
(2) 50 wt% of titanium dioxide (TiO2)
(3) Master Batch 5% with 70 wt% of calcium carbonate (CaCO3)
상기 기술된 실시예와 비교예의 데코시트 필름의 물성평가결과와 필름간 접착 후 접착력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와 같다.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decorative sheet films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adhesion strength after the adhesion between the films are shown in Table 7 below.
(g/cm3)density
(g / cm3)
(%)Transmittance
(%)
(열간접착 110 내지 120 )Film-to-film adhesion
(Hot adhesion 110 to 120)
(하중 0.3, 각도45도)Pencil hardness
(Load 0.3, angle 45 degrees)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밀도는 ASTM D 150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신공정 중 내부에 미세공극(Micro Void)을 형성시키고, 이를 통해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The density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s prepared by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using ASTM D 1505. As shown in Table 5, in the case of using the inorganic additive, microvoids are formed inside the stretching process, thereby lowering the density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상기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은폐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투광도를 평가하였으며, 투광도는 ASTM D 1003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상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기 첨가제를 사용하여 공극(void)이 형성되면 공극면과 수지면의 굴절률 차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투광도가 낮아져 은폐력이 향상된다. 보호필름을 사용하였을 때 은폐력이 소폭 상승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과 기재 필름을 110 내지 120의 온도 사이에서 열간 압착하였고, 그 접착 강도를 필름을 직접 떼어서 접착여부를 평가 하였으며, 보호필름과 기재필름 접착부위에서 필름이 찢어지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Transmittance was evaluated to evaluate the hiding power of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and the transmittance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1003,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As shown in Table 7, when the voids are formed by using the inorganic additive,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void surface and the water surface is increased, and thus the light transmittance is lowered, thereby improving hiding power. When using a protective film, a slight increase in hiding power can be observed.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se film were hot pressed between the temperatures of 110 to 120, the adhesive strength was directly peeled off the film to evaluate the adhesion, it was observed that the film is torn o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se film adhesion.
또한, 연필경도(Pencil hardness)는 하중 0.3㎏, 각도 45°로 연필을 고정시킨 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연필 경도 별로 긁어 육안으로 긁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보호필름 없이 연필경도 측정 시, 일반적으로 H 이하가 측정되는 결과와 비교해보면, 보호필름으로 인해 표면 내스크래치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pencil hardness (Pencil hardness) was fixed to the pencil at a load 0.3kg, angle 45 ° and then determined whether the scratches with the naked eye to scratch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for each pencil hardness. When measuring the hardness of the pencil without the protective film, compared with the results that are generally measured below H, it can be seen that the scratch resistance is increased due to the protective film.
상기 표 7에서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은 기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동일한 물성과 접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기존의 공정단계를 생략하고도 좋은 물성의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얻을 수 있어, 단순화된 공정을 통하여 경제적이고 향상된 생산력을 가진 무늬목을 제작할 수 있다.By comparing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 Table 7,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produc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and adhesive strength as the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prepared by the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having good physical properties without omitting the existing process step,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veneer with economical and improved productivity through a simplified process.
Claims (13)
상기 보호필름(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는 중심층(60), 상기 중심층(6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함량이 50 내지 99 중량%인 프로필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함량이 30 내지 95 중량%인 에틸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VA) 함량이 3 내지 40 중량%인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부 표면층(40) 및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30)을 포함하는 기재필름(300); 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Heat-adhesive, polypropylene lay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ene resin, ethylene resin or propylene polymer with propylene and ethylene content of 5 to 70% by weight and mixtures thereof, ethylene resin and ethylene content of 30 to 95% by weight Phosphorus ethylene and one or more α-olefin copolymers, ethylene and vinyl acetate copolymers, ethylene and vinyl alcohol copolymers, ethylene and vinylacetic acid copolymers, and mixtures thereof. A protective film 200 including an adhesive layer 20 composed of a solvent-free adhesive made of a protective layer 10 and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EVA) alone or a mixture of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EVA) and other mixtures; And
It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200, the main layer 60, which serves as a support layer for maintaining the film form, is formed on the top of the center layer 60, propylene homopolymer, propylene content 50 to 99 weight % Propylene and one or more α-olefin copolymers, polyethylene or ethylene with an ethylene content of 30 to 95% by weight and one or more α-olefin copolymers or an ethylene and vinyl acetate (VA) content of 3 to 40% by weight A base film 300 including an upper surface layer 40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acetate copolymers and mixtures thereof and a printed layer 30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layer 40;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comprising a.
상기 보호필름(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필름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 역할을 하는 중심층(60), 상기 중심층(6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함량이 50 내지 99 중량%인 프로필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함량이 30 내지 95 중량%인 에틸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VA)의 함량이 3 내지 40 중량%인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부 표면층(40) 및 상기 상부 표면층(40)의 상부에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30)을 포함하는 기재필름(300)의 조성물을 시트형태로 공압출하여 기재필름(30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재필름(300)의 상부 표면층(40)에 인쇄기로 무늬를 인쇄하여 인쇄층(3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30)을 포함한 기재필름(200)과 보호필름(200)을 가열 압착하여 보호필름(200)을 포함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을 포함한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의 하부 표면층(80) 하부에 접착층(90)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90)이 적층된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과 합판(100)을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늬목 제조방법.A polypropylene layer, ethylene resin, and ethylene content of 30 to 95% by weight of the propylene resin, ethylene resin or propylene polymer having a propylene and an ethylene polymer having a ethylene content of 5 to 70% by weight, and a mixture thereof. Phosphorus ethylene and one or more α-olefin copolymers, ethylene and vinyl acetate copolymers, ethylene and vinyl alcohol copolymers, ethylene and vinylacetic acid copolymers, and mixtures thereof. Preparing a protective film 200 including an adhesive layer 20 composed of a solvent-free adhesive made of a protective layer 10 and an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EVA) alone or a mixture of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EVA) and other mixtures;
It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200, the main layer 60, which serves as a support layer for maintaining the film form, is formed on the top of the center layer 60, propylene homopolymer, propylene content 50 to 99 weight % Propylene and one or more α-olefin copolymers, polyethylene or ethylene with an ethylene content of 30 to 95% by weight and 3 or 40% by weight of an ethylene and one or more α-olefin copolymers or ethylene and vinyl acetate (VA) A composition of the base film 300 comprising an upper surface layer 40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osphorus vinyl acetate copolymer and a mixture thereof and a printing layer 30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layer 40. Manufacturing the base film 300 by co-extrusion into a sheet form;
Manufacturing a printed layer 30 by printing a pattern on a top surface layer 40 of the base film 300 with a printing machine;
Manufacturing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including a protective film by heating and compressing the base film 200 and the protective film 200 including the print layer 30;
Stacking an adhesive layer 90 under the lower surface layer 80 of the polypropylene decor sheet film including the protective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a veneer wood comprising the step of heat-compressing the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rative sheet film and the plywood 100 is laminated the adhesive layer (90).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rinting layer 30 is printed with a printing machin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05696A KR102013169B1 (en) | 2018-01-16 | 2018-01-16 |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neer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05696A KR102013169B1 (en) | 2018-01-16 | 2018-01-16 |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neer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87202A KR20190087202A (en) | 2019-07-24 |
| KR102013169B1 true KR102013169B1 (en) | 2019-08-22 |
Family
ID=6748101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05696A Active KR102013169B1 (en) | 2018-01-16 | 2018-01-16 |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neer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1316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699000A (en) * | 2019-10-11 | 2020-01-17 | 上海固柯胶带科技有限公司 | Film material for grinding and packaging semiconductor |
| KR102599402B1 (en) | 2021-08-25 | 2023-11-07 | 주식회사 피엔씨코리아 | Deco sheet protective film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CN116039198B (en) * | 2023-01-09 | 2023-10-10 | 咏麦可思(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 PC/PET blend film for automobile inner and outer ornament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069729A (en) * | 2008-09-18 | 2010-04-02 | Okamoto Ind Inc | Heat molding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5256722B2 (en) * | 2007-12-12 | 2013-08-07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Decorative plate manufactur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58558B1 (en) * | 2014-12-26 | 2016-09-22 | 대림산업 주식회사 | deco-sheet using the Polypropylene multilayer film |
-
2018
- 2018-01-16 KR KR1020180005696A patent/KR10201316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5256722B2 (en) * | 2007-12-12 | 2013-08-07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Decorative plate manufacturing method |
| JP2010069729A (en) * | 2008-09-18 | 2010-04-02 | Okamoto Ind Inc | Heat molding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87202A (en) | 2019-07-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6660300B (en) | Embossed and hot melt laminated multilayer composite film | |
| US6333094B1 (en) | Multilayer thermoformable composite synthetic veneer film for furni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 |
| US6352784B1 (en) | Wood decorative material coated with resin composit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 ES2483994T3 (en) | Procedure for laminating plastic sheets on substrates of wood-derived material, in particular for the generation of high gloss surfaces | |
| EP2716453B1 (en) | Multi-layer print media made by extrusion coating | |
| US8613824B2 (en) | Multi-layer, substantially polyvinyl chloride- and polyolefin-free composite film | |
| KR102013169B1 (en) |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neer using the same | |
| CN117836119B (en) | Edge banding and production method of edge banding | |
| CN111770838B (en) | Method of forming ceramic tiles using low temperature thermal lamination | |
| KR102148271B1 (en) | Polyolefin based film compoistion and decoration sheet having characteristics of high adhesive propertiy comprising the same | |
| KR101996363B1 (en) | Th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containing a protective film and a method for preparing wood pattern using the same | |
| KR102013168B1 (en) | Th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deco sheet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wood pattern using the same | |
| CN112789165B (en) |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aterial using same | |
| US11325361B2 (en) | Multilayered polyolefin films | |
| KR102127492B1 (en) |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includ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 using the same | |
| US20090280321A1 (en) | Edge Banding | |
| JP6900733B2 (en) | Exterior decorative sheet | |
| JP7626061B2 (en) | Decorative materials and decorative components | |
| JP4154767B2 (en) | Decorative sheet | |
| KR101763823B1 (en) | Biaxially oriented whit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 JP4601783B2 (en) |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 KR200487238Y1 (en) | Biaxially oriented white opaque film having uneven surface | |
| KR102380387B1 (en) | Polyolefin based film compoistion and decoration sheet of high weather-proof comprising the same | |
| JP4478305B2 (en) |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 JP2001088257A (en) | Decorative sheet and composite decorative material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