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664B1 - Apparatus for Informing Door Opening and Indicating Position of Panic Ba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forming Door Opening and Indicating Position of Panic B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6664B1 KR102026664B1 KR1020190041699A KR20190041699A KR102026664B1 KR 102026664 B1 KR102026664 B1 KR 102026664B1 KR 1020190041699 A KR1020190041699 A KR 1020190041699A KR 20190041699 A KR20190041699 A KR 20190041699A KR 102026664 B1 KR102026664 B1 KR 1020266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bar
- handle
- switch
- le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9—Locks with audio features
- E05B17/0083—Sound emitting devices, e.g. loudspeak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6—Panic ba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반대편에 있는 사람 특히 장애인에게 도어가 개방됨을 알려줌으로써 개방되는 도어와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화재발생시 패닉바의 위치가 용이하게 시인될 수 있어 도어를 신속하게 열고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notification and panic bar position display device, by informing the person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especially the disabled, the door is opened effectively prevents the collision with the door that is opened and facilitates the location of the panic bar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a door open notification and panic bar locator that can be visualized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evacuated quickly.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닉 디바이스에 의해 개방되는 도어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주어 충돌을 방지하고 패닉바의 위치를 알려주는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notification and a panic bar position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door that is opened by the panic device to inform people on the opposite side that the door is opened to prevent collisions and to position the panic b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notification and a panic bar indicating device.
패닉(Panic) 디바이스는 푸쉬바를 밀어 도어를 열수 있도록 하는 푸쉬 작동 방식의 도어 개방 장치로서, 손잡이나 레버를 회전시켜 도어를 여는 회전 작동 방식에 비해 작동이 간편하여 건물의 비상구나 방화문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The Panic device is a push-operated door opening device that opens the door by pushing the push bar.It is easier to operate than the rotary operation method of opening the door by rotating the handle or lever. have.
그런데, 이러한 패닉 디바이스에 의해 개방되는 도어는 여닫이 형태의 도어로서 사무실 등의 내외부에서 동시에 도어를 여는 경우 도어가 외부로 회동됨에 따라 외부에 있던 사람이 도어와 충돌되어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은 도어가 열리는 것을 신속하게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으므로 도어와의 충돌을 피하기가 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door opened by such a panic device is a case of door type, and when the door is opened at the same time inside and outside the office, the door is rotated to the outside. have. In particular, the visually impaired or the hearing impaired are not easily aware of the door being opened quickly, so it is more difficult to avoid collision with the door.
한편, 화재발생시 연기에 의해 도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도어의 위치를 알려주는 표지판이 있기는 하지만, 이 표지판은 도어의 상측에 위치되므로 패닉바의 위치까지는 알려주지는 못하기 때문에, 연기에 의해 앞이 거의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패닉바를 찾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도어를 열고 신속하게 대피하지 못하여 연기에 질식하게 되는 화재 사고를 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ig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oor in case the fire can not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oor in the event of a fire, but since this sig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does not tell the position of the panic ba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find the panic bar in a situation where the front is almost invisible by the acting.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fire accident that suffocates smoke by not opening the door quickly evacuat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반대편에 있는 사람 특히 장애인에게 도어가 개방됨을 알려줌으로써 개방되는 도어와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화재발생시 패닉바의 위치가 용이하게 시인될 수 있어 도어를 신속하게 열고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form the person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in particular to the disabled by opening the door effectively prevents the collision with the door is opened and the position of the panic bar in the event of fi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opening notification and panic bar indicat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visualized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evacuated quickly.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도어(1)의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바(1001)와, 스프링작용을 통해 상기 베이스바(1001)에 대해 압입/복원되는 푸쉬바(100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패닉바(1000); 상기 도어(1)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2)과, 상기 베이스판(12)에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레버(15)와, 상기 손잡이 레버(15)의 단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14)을 따라 배치된 플런저(1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부 손잡이(11); 상기 패닉바(1000) 및 외부 손잡이(11) 사이에서 상기 도어(1)의 내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바(1002)에 의해 회동되는 리프트 암(2001) 및 상기 플런저(19)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리프트 암(2001)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캠(200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푸쉬바(1002)의 압입/복원 또는 상기 손잡이 레버(15)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프트 암(2001)이 데드볼트(22)를 회동 출몰시켜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락(20); 상기 도어락(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411)이 상기 데드볼트(22)의 후면돌출부(221)의 회동반경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푸쉬바(1002)를 누르거나 상기 손잡이 레버(15)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22)의 후면돌출부(221)에 일단(411)이 접촉되어 회동되는 스위치 레버(410) 및, 상기 스위치 레버(41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 레버(410)의 타단(412)에 위치한 자석(413)이 접근하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드 센서(420)로 구성되는 스위치(40); 상기 외부 손잡이(11)와 상기 도어락(20) 사이에서 상기 도어(1)의 외부면에 구비된 외측링부재(50); 상기 외측링부재(50)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 손잡이(11)의 둘레부에 구비된 경고용 발광모듈(60); 및 상기 스위치(40)의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고용 발광모듈(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어(1)의 내부면과 상기 패닉바(1000)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화재에 의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80); 및 상기 푸쉬바(100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바(1002)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용 발광모듈(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락(20)의 내부에 스위치(40)가 구비되고, 도어(1)와 외부 손잡이(11) 사이에 경고용 발광모듈(60)이 설치된 외측링부재(50)가 구비됨으로써, 스위치(40)가 데드볼트(22)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여 경고용 발광모듈(60)이 발광되므로, 외부 사람은 개방되는 도어(1)와 충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위치(40) 및 경고용 발광모듈(60)과 같이 경고를 위한 구성품이 도어락(20) 내부 및 외부 손잡이(11)와 연장된 형태처럼 보이는 외측링부재(50)에 구비되므로, 도어의 상단, 외측 및 손잡이 등에 나뉘어져 설치되고 전선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것에 비해, 외관이 깔끔하고 기존의 패닉 디바이스가 구비된 도어(1)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설치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스위치(40)가 데드볼트(22)의 후면돌출부(221)에 접촉되어 회동되는 스위치 레버(410)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되므로, 전자식 센서의 오작동의 염려가 없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도어(1)의 내부면과 패닉바(1000) 중 어느 일측에 화재감지센서(80)를 구비하고, 푸쉬바(1002)의 외측에 위치된 위치표시용 발광모듈(90)을 구비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위치표시용 발광모듈(90)이 발광되어 연기로 인해 시야확보가 어렵더라도 푸쉬바(1002)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어 도어(1)를 열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having 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 알림장치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작동((a)스위치 오프, (b)스위치 온)을 보인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제1사용상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제2사용상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oor opening notification device and the panic bar posi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embodiment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2 ((a) switch off and (b) switch on)
4 is a first use state diagram of the embodiment
5 is a second use state diagram of the embodimen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는 도어(1)의 내외부면에 각각 설치되는 패닉바(1000) 및 외부 손잡이(11)와, 이 패닉바(1000) 및 외부 손잡이(11) 사이에서 도어(1)의 내부면에 구비된 도어락(20)과, 상기 도어락(20)에 설치된 스위치(40)와, 상기 외부 손잡이(11)와 도어락(20) 사이에서 도어(1)의 외부면에 구비된 외측링부재(50)와, 이 외측링부재(50)에 구비되어 발광하는 경고용 발광모듈(60)과, 상기 스위치(40)의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고용 발광모듈(60)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어(1)에는 외부 손잡이(11)가 장착되는 삽입공(2)이 관통하며, 도어(1)는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동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1 to 5 are views illustrating a door opening notification and panic bar posi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door opening notification and panic bar posi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패닉바(100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도어(1)의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바(1001)와, 스프링작용을 통해 상기 베이스바(1001)에 대해 압입/복원되는 푸쉬바(10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 손잡이(11)는 도어(1)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2)과, 이 베이스판(12)에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레버(15)와, 이 손잡이 레버(15)의 단부에서 돌출되며 회전축(14)을 따라 배치된 플런저(19)를 포함한다.The
상기 도어락(20)은 주지된 바와 같이 푸쉬바(1002)에 의해 회동되는 리프트 암(2001) 및 손잡이 레버(15)의 플런저(19)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리프트 암(2001)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캠(200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푸쉬바(1002)의 압입/복원 또는 손잡이 레버(15)의 회전에 따라 리프트 암(2001)이 데드볼트(22)를 회동 출몰시켜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도 1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2003은 상기 리프트 암(2001), 리프트 캠(2002), 데드볼트(22) 및 스위치(40)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락(20)을 도어(1)의 내부면에 결합하는 샤시 플레이트이고, 도면부호 2004는 상기 리프트 암(2001), 리프트 캠(2002), 데드볼트(22) 및 스위치(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샤시 플레이트(2003)에 결합되는 도어락 커버를 나타낸다. 상기 도어락 커버(2004)에는 데드볼트(22)가 출몰되는 출몰공(2005)이 마련되어 있다.In FIG. 1,
상기 스위치(40)는 일단(411)이 데드볼트(22)의 후면돌출부(221)의 회동반경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푸쉬바(1002)를 누르거나 손잡이 레버(15)를 회전시킴에 따라 데드볼트(22)의 후면돌출부(221)에 일단(411)이 접촉되어 회동되는 스위치 레버(410) 및 상기 스위치 레버(41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 레버(410)의 타단(412)에 위치한 자석(413)이 접근하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드(Reed) 센서(420)로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스위치 레버(410)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자석(413)이 위치한 타단(412)이 리드 센서(4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또한 회동시 상기 스위치 레버(410)의 일단(411)이 리프트 암(2001) 및 리프트 캠(2002)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 및 크기로 도어락(20)의 내부에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한편, 상기 스위치(40)는, 도 2와 같이, 상기 스위치 레버(410)와 리드 센서(420)가 설치된 PCB(430)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이때, 상기 PCB(430)는 스위치 레버(410)의 일단(411)이 리프트 암(2001) 및 리프트 캠(2002)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설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441) 상에 지지봉(442)에 의해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441)가 상기 도어락(20)의 샤시 플레이트(2003)에 결합됨으로써 도 2와 같은 모듈 형태의 스위치(40)가 도어락(20)의 내부에 설치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PCB 430 has a
도 2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443은 스위치 레버(410)의 회동축이고, 도면부호 444는 베이스 플레이트(441)에 결합되어 스위치(40)의 외관을 형성하는 스위치 커버를 나타내며, 상기 스위치 커버(444)에는 스위치 레버(410)의 일단(411)이 돌출되는 돌출공(445)이 마련되어 있다.In FIG. 2,
상기 경고용 발광모듈(60)은 외측링부재(50)에 구비되되 외부 손잡이(11)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도어(1)가 개방되는 것을 외부의 사람에게 알려줌으로써, 외부에 있는 사람이 개방되는 도어(1)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이러한 경고용 발광모듈(60)은 외측링부재(50)에 설치된 경고용 LED(61)와, 외측링부재(5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별체로 이루어져서 결합되어 경고용 LED(61)에서 조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경고용 투광부(6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일반인 뿐 아니라 청각장애인도 도어(1)가 열리는 것을 용이하게 알아차릴 수 있다.The warning
한편, 외측링부재(50)에는 도어(1)가 개방되는 것을 알려주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6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도 도어(1)가 열리는 것을 용이하게 알아차릴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는 도어(1)의 내부면과 패닉바(1000)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80)와, 푸쉬바(1002)의 외측에 구비되어 푸쉬바(1002)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용 발광모듈(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Door opening notification and panic bar posi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상기 위치표시용 발광모듈(90)은 위치표시용 LED(91)와 위치표시용 LED(91)에서 조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위치표시용 투광부(92)로 구성되며, 푸쉬바(1002)의 외측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시 푸쉬바(1002)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푸쉬바(1002)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어 도어(1)를 열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position display
또한, 패닉바(1000)에는 푸쉬바(1002)의 위치를 알려주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9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도 화재발생시 푸쉬바(1002)의 위치를 용이하게 알아차릴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경고용 발광모듈(60)은 외부 손잡이(11) 측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표시용 발광모듈(90)은 패닉바(1000)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경고용 발광모듈(60) 및 위치표시용 발광모듈(90)은 외부 손잡이(11) 및 패닉바(1000) 측의 어디에도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rning
상기 제어부(70)는 스위치(40)에서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용 발광모듈(6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70)는 도 1과 같이 푸쉬바(1002)의 작동범위에 있지 않는 베이스바(1001)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위치(40)와 커넥터(미도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1001)에는 제어부(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notification and panic bar posi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사무실 등 내부에 있는 사람이 푸쉬바(1002)를 눌러 도어(1)를 개방시킬 때, 도 3과 같이 스위치 레버(410)의 일단(411)이 데드볼트(22)의 후면돌출부(221)에 접촉되어 회동되면서 스위치 레버(410)의 타단(412)에 위치한 자석(413)이 리드 센서(420)에 접근하면 작동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70)에 의해 경고용 발광모듈(60)이 작동된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외부 손잡이(11)의 둘레부에 위치된 경고용 LED(61)가 발광함으로써, 사무실 등의 외부에 있는 사람은 도어(1)가 열리는 것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64)를 통해 도어(1)가 개방되니 조심하라는 음성까지 흘러나오므로, 일반인은 물론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 모두 개방되는 도어(1)와의 충돌을 용이하게 피할 수 있게 된다.When a person inside the office or the like pushes the
그리고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센서(80)가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면 제어부(70)에 의해 위치표시용 발광모듈(90)이 작동된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푸쉬바(1002)의 외측에 위치된 위치표시용 LED(91)가 발광함으로써, 사무실 등의 내부에 있는 사람은 연기에 의해 앞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도 푸쉬바(1002)를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어 도어(1)를 열고 신속히 대피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한편, 상기 위치표시용 발광모듈(90)은 화재발생시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상시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displa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 : 도어 11 : 외부 손잡이
20 : 도어락 22 : 데드볼트
40 : 스위치 50 : 외측링부재
60 : 경고용 발광모듈 70 : 제어부
80 : 화재감지센서 90 : 위치표시용 발광모듈
221: 후면돌출부 410 : 스위치 레버
413 : 자석 420 : 리드 센서
1000 : 패닉바 1001 : 베이스바
1002 : 푸쉬바 2001 : 리프트 암
2002 : 리프트 캠1: Door 11: External Handle
20: door lock 22: dead bolt
40: switch 50: outer ring member
60: warning light emitting module 70: control unit
80: fire detection sensor 90: light emitting module for position display
221: rear projection 410: switch lever
413: magnet 420: reed sensor
1000: panic bar 1001: base bar
1002: push bar 2001: lift arm
2002: Lift Cam
Claims (2)
상기 도어(1)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2)과, 상기 베이스판(12)에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레버(15)와, 상기 손잡이 레버(15)의 단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14)을 따라 배치된 플런저(1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부 손잡이(11);
상기 패닉바(1000) 및 외부 손잡이(11) 사이에서 상기 도어(1)의 내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바(1002)에 의해 회동되는 리프트 암(2001) 및 상기 플런저(19)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리프트 암(2001)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캠(200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푸쉬바(1002)의 압입/복원 또는 상기 손잡이 레버(15)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프트 암(2001)이 데드볼트(22)를 회동 출몰시켜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락(20);
상기 도어락(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411)이 상기 데드볼트(22)의 후면돌출부(221)의 회동반경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푸쉬바(1002)를 누르거나 상기 손잡이 레버(15)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22)의 후면돌출부(221)에 일단(411)이 접촉되어 회동되는 스위치 레버(410) 및, 상기 스위치 레버(41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 레버(410)의 타단(412)에 위치한 자석(413)이 접근하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드 센서(420)로 구성되는 스위치(40);
상기 외부 손잡이(11)와 상기 도어락(20) 사이에서 상기 도어(1)의 외부면에 구비된 외측링부재(50);
상기 외측링부재(50)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 손잡이(11)의 둘레부에 구비된 제1 경고용 발광모듈(60); 및
상기 스위치(40)의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경고용 발광모듈(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며,
상기 패닉바(1000)에는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제2 경고용 발광모듈(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레버(410)는 그 회동축(443)을 중심으로 상기 일단(411)의 길이가 상기 타단(4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A panic bar 1000 including a base bar 1001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1 and a push bar 1002 press-fitted / restored with respect to the base bar 1001 through a spring action;
A base plate 12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 a handle lever 15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2 about a rotating shaft 14, and held by a user, and the handle An outer handle 11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lever 15 and including a plunger 19 disposed along the rotary shaft 14;
I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 between the panic bar 1000 and the outer handle 11, coupled to the lift arm 2001 and the plunger 19 rotated by the push bar 1002 And a lift cam 2002 that rotates and lifts the lift arm 2001, such that the lift arm 2001 is pushed / restored by the push bar 1002 or the handle lever 15 rotates. A door lock 20 which roams the dead bolts 22 so that locking / unlocking is performe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door lock 20, one end 411 is provided 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rear projection 221 of the dead bolt 22, the user presses the push bar (1002) or the handle lever 15 1) the switch lever 410 is rotated by one end 411 in contact with the rear projection 221 of the dead bolt 22 and the switch lever 410 by the rotation of the switch lever 410. A switch 40 composed of a reed sensor 420 which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when the magnet 413 located at the other end 412 of FIG.
An outer ring member 50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oor 1 between the outer handle 11 and the door lock 20;
A first warning light emitting module 60 provided on the outer ring member 50 and provided on a circumference of the outer handle 11; And
And a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warning light emitting module 60 by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witch 40.
The panic bar 1000 further includes a second warning light emitting module 60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70.
The switch lever 410 is a door opening notification and panic bar posit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one end (411) around the rotation shaft (443)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other end (412).
상기 도어(1)의 내부면과 상기 패닉바(1000)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화재에 의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80); 및 상기 푸쉬바(100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바(1002)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용 발광모듈(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fire detection sensor (80) provided at any one of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1) and the panic bar (1000) to detect heat or smoke due to a fire; And a position display light emitting module (90)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push bar (1002)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push bar (1002).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9/004253 WO2019199044A1 (en) | 2018-04-11 | 2019-04-10 | Door opening notification and door handle/panic bar position indication device |
| KR1020190041699A KR102026664B1 (en) | 2019-04-10 | 2019-04-10 | Apparatus for Informing Door Opening and Indicating Position of Panic B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41699A KR102026664B1 (en) | 2019-04-10 | 2019-04-10 | Apparatus for Informing Door Opening and Indicating Position of Panic Ba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26664B1 true KR102026664B1 (en) | 2019-09-30 |
Family
ID=680986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41699A Active KR102026664B1 (en) | 2018-04-11 | 2019-04-10 | Apparatus for Informing Door Opening and Indicating Position of Panic Ba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26664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97873Y1 (en) | 2023-11-14 | 2024-03-19 | 양운규 | Display device for the door |
| KR102681328B1 (en) | 2024-01-22 | 2024-07-04 | 주식회사 미다스엔지니어링 | Panic bar module for a fire door and the connector for the sam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57878A (en) * | 2002-05-20 | 2002-07-12 | 장용운 | Panic exit device |
| KR101934231B1 (en) * | 2018-04-11 | 2018-12-31 | (주)아이디게이트 | Apparatus for informing door opening and indicating position of door handle |
-
2019
- 2019-04-10 KR KR1020190041699A patent/KR1020266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57878A (en) * | 2002-05-20 | 2002-07-12 | 장용운 | Panic exit device |
| KR101934231B1 (en) * | 2018-04-11 | 2018-12-31 | (주)아이디게이트 | Apparatus for informing door opening and indicating position of door handl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97873Y1 (en) | 2023-11-14 | 2024-03-19 | 양운규 | Display device for the door |
| KR102681328B1 (en) | 2024-01-22 | 2024-07-04 | 주식회사 미다스엔지니어링 | Panic bar module for a fire door and the connector for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A2629047C (en) | Exit alarm escutcheon | |
| KR102026664B1 (en) | Apparatus for Informing Door Opening and Indicating Position of Panic Bar | |
| US6950033B1 (en) | Door bolt alarm | |
| JP2008513628A (en) | Electronic door bolt bracket mechanism | |
| KR101258310B1 (en) | Door control device | |
| KR101849386B1 (en) | Window locking device with lock identification and security means | |
| US5539378A (en) | Lock with remote alarm | |
| US4236148A (en) | Theft deterring and signalling device for portable fire extinguishers | |
| US20050046554A1 (en) | System and device for locking an automobile steering axis | |
| JP2008274669A (en) | Opening section locking structure | |
| KR20180034648A (en) | Electric strike system with keeper monitoring | |
| CN111954744B (en) | Door open notification and door handle/anti-boom position indication device | |
| JP2010514042A (en) | Alarm device to prevent theft of fire protection equipment | |
| JP2002109646A (en) | Alarm device with anti-theft function | |
| KR100710902B1 (en) | Warning Locker for window | |
| CN213234800U (en) | Anti-theft door with impact alarm function | |
| JP2012185860A (en) | Security apparatus | |
| KR101087277B1 (en) | Window lock | |
| JP5035148B2 (en) | Security equipment | |
| EP2695778B1 (en) | Remote control system | |
| JP5173177B2 (en) | Closed sensor device | |
| WO2019199044A1 (en) | Door opening notification and door handle/panic bar position indication device | |
| KR101552565B1 (en) | Doorlock for sensing a invader | |
| KR101517847B1 (en) | Eletronic locking apparatus with air tightness improved | |
| JP3167389B2 (en) | Bicycle anti-theft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