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902B1 - 포스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버튼 구조체 - Google Patents
포스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버튼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9902B1 KR102029902B1 KR1020180074955A KR20180074955A KR102029902B1 KR 102029902 B1 KR102029902 B1 KR 102029902B1 KR 1020180074955 A KR1020180074955 A KR 1020180074955A KR 20180074955 A KR20180074955 A KR 20180074955A KR 102029902 B1 KR102029902 B1 KR 1020299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ce touch
- fingerprint recognition
- module
- recognition module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06K9/00006—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돔 스위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마련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내부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는바 돔 스위치 구조와 달리 반 영구적 수명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구조체의 외관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구조체(1000A)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 구조체(1000B)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 구조체(1000C)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 구조체(1000D)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 구조체(1000E)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 터치 이벤트 발생 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버튼 구조체(1000B)는 상기 포스 터치 모듈(400)로 전달된 압력에 기초하여 발생된 전원을 상기 지문 인식 모듈(200)로 전달하는 회로 배선을 포함하는 제1 PCB(800)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PCB 기판(800)의 회로 배선은 전원 커넥터(outlet connector)(910)에 연결된다. 즉, 상기 포스 터치 모듈(400) 및 전원 커넥터(910)는 제1 PCB 기판(80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1 PCB 기판(800)은 판 스프링(700-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판 스프링(700-1, 700-2)은 포스 터치 이벤트에 의해 가압된 구조물들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PCB 기판(800)을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구성하여, 기기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커넥터(910)에는 상기 지문 인식 모듈(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920)가 삽입된다. 지문 인식 모듈(200)은 제2 PCB 기판(810)의 회로 배선을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9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 구조체(1000B)는, 포스 터치 모듈(400)이 포스 터치 이벤트로 발생된 압력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압력에 기초하여 발생한 전원을 상기 전원 커넥터(910) 및 플러그 커넥터(920)를 통해 상기 지문 인식 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커넥터(910) 및 플러그 커넥터(920)는 기기 내에 설치된 메인보드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스 터치 모듈(400)로 전달된 압력에 기초하여 발생된 전원을 상기 지문 인식 모듈(200)로 전달하는 전원 커넥터(outlet connector)(910)가 연결된 제1 PCB 기판(Printed Circuit Board)(800)을 구비하고, 상기 PCB 기판(800)의 바닥면에 상기 PCB 기판(800)을 지지하는 판 스프링(plate spring)(700-1)이 구비되어, 상기 포스 터치 모듈(400)이 상기 판 스프링(700-1)의 바닥면에 부착된 형태이다. 즉, 상기 포스 터치 모듈(200)이 상기 하우징 바닥면 아래쪽으로 부착되어 배치된 형태이다.
100 : 하우징 110 : 하우징 바닥면
200 : 지문 인식 모듈
300 : 푸셔 310 : 돌출부
400 : 포스 터치 모듈
500A, 500B, 500C : 방수 테이프
600 : 러버(Rubber) 610 : 돌출부
700-1, 700-2 : 판 스프링(plate spring)
800, 810, 820 :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
910 : 전원 커넥터(outlet connector)
920 :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Claims (21)
- 바닥면과 버튼 홀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버튼 홀 사이에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버튼 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지문 인식 모듈;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문 인식 모듈에 가해진 포스 터치 이벤트를 센싱하는 포스 터치 모듈;
상기 지문 인식 모듈에 부착되어, 상기 지문 인식 모듈로의 포스 터치 이벤트로 발생한 압력을 상기 포스 터치 모듈로 전달하는 푸셔(pusher);
상기 지문 인식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전원 커넥터; 및
상기 지문 인식 모듈과 상기 포스 터치 모듈과 상기 전원 커넥터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 터치 모듈에서 센싱한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전원을 상기 PCB 기판, 전원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상기 지문 인식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터치 모듈은 상기 푸셔와 상기 하우징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상기 하우징과 단차를 같게 하거나 아래로 내려가 있는 형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구조체는, 물의 침투를 막는 방수 테이프가 상기 지문 인식 모듈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pusher)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포스 터치 모듈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바닥면과 버튼 홀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버튼 홀 사이에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버튼 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지문 인식 모듈;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포스 터치 이벤트로 발생된 압력을 센싱하는 포스 터치 모듈;
상기 포스 터치 이벤트로 발생된 압력을 상기 포스 터치 모듈에 전달하기 위한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러버(Rubber);
상기 지문 인식 모듈에 부착되어, 상기 지문 인식 모듈로의 포스 터치 이벤트로 발생한 압력을 상기 러버(Rubber)로 전달하는 푸셔(pusher);
상기 지문 인식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전원 커넥터; 및
상기 지문 인식 모듈과 상기 포스 터치 모듈과 상기 전원 커넥터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 터치 모듈에서 센싱한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전원을 상기 PCB 기판, 전원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상기 지문 인식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터치 모듈이 상기 러버와 상기 하우징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 모듈은 상기 하우징과 단차를 같게 하거나 아래로 내려가 있는 형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구조체는, 물의 침투를 막는 방수 테이프가 상기 지문 인식 모듈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Rubber)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포스 터치 모듈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pusher)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러버(Rubber)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CB 기판의 바닥면에 상기 PCB 기판을 지지하는 판 스프링(plate spring)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터치 모듈이 상기 하우징 바닥면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바닥면과 버튼 홀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버튼 홀 사이에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버튼 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지문 인식 모듈;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포스 터치 이벤트로 발생된 압력을 센싱하는 포스 터치 모듈;
상기 지문 인식 모듈에 부착되고, 상기 지문 인식 모듈로의 포스 터치 이벤트로 발생한 압력을 상기 포스 터치 모듈로 전달하는 푸셔(pusher);
상기 지문 인식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전원 커넥터; 및
상기 지문 인식 모듈과 상기 포스 터치 모듈과 상기 전원 커넥터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 터치 모듈에서 센싱한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전원을 상기 PCB 기판, 전원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상기 지문 인식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터치 모듈은 상기 푸셔와 상기 하우징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터치 모듈은 상기 푸셔와 상기 지문 인식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pusher)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포스 터치 모듈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74955A KR102029902B1 (ko) | 2018-06-28 | 2018-06-28 | 포스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버튼 구조체 |
| PCT/KR2019/004487 WO2020004787A1 (ko) | 2018-06-28 | 2019-04-15 |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버튼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74955A KR102029902B1 (ko) | 2018-06-28 | 2018-06-28 | 포스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버튼 구조체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29902B1 true KR102029902B1 (ko) | 2019-10-10 |
Family
ID=6820643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74955A Expired - Fee Related KR102029902B1 (ko) | 2018-06-28 | 2018-06-28 | 포스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버튼 구조체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29902B1 (ko)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96926B1 (ko) * | 2020-03-02 | 2021-09-02 | 일진디스플레이(주) | 감도가 높은 포스-터치 센서 및 버튼리스 단말기 |
| KR20230109804A (ko) | 2022-01-13 | 2023-07-21 | 주식회사 비에스테크닉스 | Mid와 mdm을 적용한 led 터치 버튼모듈 및 그 제조방법 |
| KR20230109803A (ko) | 2022-01-13 | 2023-07-21 | 주식회사 비에스테크닉스 | Mid를 적용한 광학 및 터치 기능의 자동차 버튼 노브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40046167A (ko) * | 2012-10-10 | 2014-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 KR20150099295A (ko) * | 2014-02-21 | 2015-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물리적 키를 포함하는 포터블 전자 장치 |
| KR20180039012A (ko) * | 2016-09-17 | 2018-04-17 |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터치 압력 감지 모듈 및 장치 |
| KR20180049916A (ko) * | 2016-11-04 | 2018-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
2018
- 2018-06-28 KR KR1020180074955A patent/KR10202990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40046167A (ko) * | 2012-10-10 | 2014-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 KR20150099295A (ko) * | 2014-02-21 | 2015-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물리적 키를 포함하는 포터블 전자 장치 |
| KR20180039012A (ko) * | 2016-09-17 | 2018-04-17 |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터치 압력 감지 모듈 및 장치 |
| KR20180049916A (ko) * | 2016-11-04 | 2018-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96926B1 (ko) * | 2020-03-02 | 2021-09-02 | 일진디스플레이(주) | 감도가 높은 포스-터치 센서 및 버튼리스 단말기 |
| KR20230109804A (ko) | 2022-01-13 | 2023-07-21 | 주식회사 비에스테크닉스 | Mid와 mdm을 적용한 led 터치 버튼모듈 및 그 제조방법 |
| KR20230109803A (ko) | 2022-01-13 | 2023-07-21 | 주식회사 비에스테크닉스 | Mid를 적용한 광학 및 터치 기능의 자동차 버튼 노브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029902B1 (ko) | 포스 터치 모듈을 포함하는 버튼 구조체 | |
| CN107851177B (zh) | 指纹模组及电子设备 | |
| CN212783169U (zh) | 壳体组件及电子设备 | |
| US20130288081A1 (en) |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 KR101136180B1 (ko) | 정전기 방지 부품 및 그 제작방법 | |
| CN105048203B (zh) | 连接器 | |
| CN106775118B (zh) | 一种压力感应装置及设备 | |
| CN207802612U (zh) | 一种壳体组件及电子设备 | |
| US8667851B2 (en) | Touch sensor mechanical interface | |
| KR102547818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 JP6499762B2 (ja) | ボタン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端末 | |
| CN114121530B (zh) | 壳体组件及电子设备 | |
| WO2017142320A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 | |
| KR102031762B1 (ko) | 포스 터치 기능이 융합된 버튼 구조체 | |
| KR100528680B1 (ko) | 정전 용량 감지 스위치 | |
| KR101543779B1 (ko) | 정전 용량 터치 인식 장치 | |
| JP2010277914A (ja) | 静電容量型入力デバイス | |
| CN207460303U (zh) | 侧键装置及电子终端 | |
| CN203851941U (zh) | 用于具有触摸屏的电子设备的保护套 | |
| US20090301848A1 (en) | Ke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CN107069302A (zh) | 一种usb插座及移动终端 | |
| CN114916161A (zh) | 电子设备及控制方法 | |
| WO2020004787A1 (ko) |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버튼 구조체 | |
| CN112005200A (zh) | 信号输入装置及包括其的便携式终端设备 | |
| HK1244089B (zh) | 指纹模组及电子设备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10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