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625B1 - Rear camera apparatus - Google Patents
Rear camera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0625B1 KR102020625B1 KR1020120095823A KR20120095823A KR102020625B1 KR 102020625 B1 KR102020625 B1 KR 102020625B1 KR 1020120095823 A KR1020120095823 A KR 1020120095823A KR 20120095823 A KR20120095823 A KR 20120095823A KR 102020625 B1 KR102020625 B1 KR 1020206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terminal
- cover
- holder
- embl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후방카메라로 작동 전원을 공급하고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케이블이 삭제된 후방 카메라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방 카메라 장치는, 제1 단자가 배치된 후방카메라와, 상기 후방카메라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단자와 항시 접촉되는 제2 단자가 배치된 카메라홀더와, 상기 카메라홀더가 드나드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 내에 상기 제2 단자와 항시 접촉되는 제3 단자가 배치된 카메라하우징을 포함한다.Provided is a rear camera apparatus in which a cable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rear camera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is eliminated.
To this end, the rear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holder having a rear camera having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coupled to the rear camera and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and the And a camera housing in which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camera holder enters and exits is formed, and a third terminal which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is disposed in the guide hole.
Description
본 발명은 후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 카메라가 자동차의 엠블럼 내부에 배치되는 후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camera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 camera apparatus in which a rear camera is disposed inside an emblem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동차 제조사를 상징하는 엠블럼이 배치된다.In general, emblems representing car manufacturers ar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통상적으로, 상기 엠블럼은 자동차 전방에서 엔진룸을 개폐하는 후드에 배치되거나, 자동차 후방에서 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테일게이트에 배치된다.Typically, the emblem is arranged on a hood that opens and closes the engine room at the front of the vehicle or at a tailgate that opens and closes the trunk room at the rear of the vehicle.
상기 후드 및 테일게이트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바, 최근에는 상기 잠금장치를 상기 엠블럼과 연동되도록 통합하여, 자동차의 구조를 간소화함과 아울러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The hood and tailgate are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In recent years, the locking device is integrated with the emblem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and improve the exterior design of the vehicle.
또한, 자동차의 후진시에 후방을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자동차의 후방에는 후방카메라가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며, 상기 후바카메라 역시 상기 엠블럼의 내부에 배치하여, 자동차 후진시에 상기 후방카메라가 상기 엠블럼을 회전시키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서,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In addition, a rear camera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so that the rear can be viewed on a screen when the vehicle is reversed, and the rear camera is also disposed inside the emblem, and the rear camera is the emblem when the vehicle is reversed. By rotating the wheels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 exterior design of the vehicle is improved.
그런데, 상기 후방카메라는 케이블을 통해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작동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후방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신호 또한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된 후, 차실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후방카메라가 상기 자동차의 외부로 수차례 드나드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이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에 의해 피복이 벗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rear camera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a cable to receive operating power, and the image signal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is also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cable, and then output to the screen through a display monitor disposed in the cabin. As a result, the cable is peeled off by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in the process of the rear camera entering and exiting the vehicle several times.
또한, 상기 엠블럼과 상기 후방카메라가 통합됨으로써, 상기 엠블럼 내부에 상기 후방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엠블럼 및 후방카메라가 설치되는 구성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mblem and the rear camera are integrated, it is required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the rear camera inside the emblem,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emblem and the rear camera are installed.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후방카메라로 작동 전원을 공급하고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케이블이 삭제된 후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camera apparatus in which a cable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a rear camera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is deleted.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방 카메라 장치는, 제1 단자가 배치된 후방카메라와, 상기 후방카메라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단자와 항시 접촉되는 제2 단자가 배치된 카메라홀더와, 상기 카메라홀더가 드나드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 내에 상기 제2 단자와 항시 접촉되는 제3 단자가 배치된 카메라하우징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ar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camera is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the camera having a second terminal coupled to the rear camera and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is disposed And a camera housing having a holder, and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camera holder is introduced, and a third terminal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at all times.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카메라 장치는, 제1 단자가 배치된 후방카메라와, 상기 후방카메라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단자와 항시 접촉되는 제2 단자가 배치된 카메라홀더와, 상기 카메라홀더가 드나드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 내에 상기 제2 단자와 항시 접촉되는 제3 단자가 배치된 카메라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후방카메라로 작동 전원을 공급하고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케이블이 필요치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rear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camera having a first terminal disposed thereon, a camera holder having a second terminal coupled to the rear camera and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and a guide through which the camera holder enters and exits. Since the camera housing includes a camera housing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and a third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at all times, the cable does not need a cable for supplying operation power to the rear camera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It is effective.
또한, 엠블럼커버 및 카메라커버가 동축상에서 회전되도록 카메라하우징에 결합되기 때문에, 전체 패키지의 사이즈가 축소되고, 액츄에이터의 적은 작동력으로도 카메라홀더가 엠블럼 내부에서 외부로 쉽게 돌출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mblem cover and the camera cover are coupled to the camera housing so as to rotate coaxially, the size of the entire package is reduced, and the camera holder can easily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emblem to the outside even with a small actuation force of the actuato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방 카메라 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방 카메라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엠블럼커버의 배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커버와 가이더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홀더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하우징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tailgate of a vehicle in which a rear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ar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of the emblem cover shown in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mera cover and the guider shown i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camera holder shown in FIG. 3;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illustrated in FIG. 3.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방 카메라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rear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방 카메라 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ilgate of a vehicle in which a rear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방 카메라 장치(100)는, 자동차의 후방에 배치된 테일게이트(1)의 후방에 설치된다. 여기서, 테일게이트(1)는 트렁크 룸을 개폐시키는 도어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1, the
후방 카메라 장치(100)는 자동차 제조사를 상징하는 엠블럼(5)을 포함한다. 엠블럼(5)은 테일게이트(1)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방 카메라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방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엠블럼커버의 배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rear view of the emblem cover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방 카메라 장치(100)는, 엠블럼커버(10)와, 카메라커버(20)와, 카메라하우징(30)과, 카메라홀더(40)와, 액츄에이터(50) 및 후방카메라(80)를 포함한다.2 to 3, the
엠블럼커버(1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테일게이트(1)로 삽입 배치된다. 엠블럼커버(10)에는 엠블럼(5)이 배치된다. 엠블럼커버(10)는 카메라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엠블럼커버(10)가 카메라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카메라하우징(30)에는 제1 결합부(32)가 돌출 형성되고, 엠블럼커버(10)에는 테일게이트(1)로 삽입되는 배면에 제2 결합부(12)가 돌출 형성된다.The
힌지핀(60)이 제1 결합부(32) 및 제2 결합부(1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엠블럼커버(10)는 카메라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s the
카메라하우징(30)의 중앙부에는 카메라홀더(40)가 드나드는 가이드홀(35)이 형성된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카메라커버(20)는 엠블럼커버(10)와 카메라하우징(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엠블럼커버(10)보다 작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테일게이트(1)의 외부에서 볼 때 카메라커버(20)는 엠블럼커버(10)에 의해 가리어진다.The
카메라커버(20)도 엠블럼커버(10)와 마찬가지로 카메라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홀(35)을 개폐시킨다.Like the
카메라커버(20)가 카메라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카메라커버(20)의 상측에는 제3 결합부(22)가 형성된다.A
힌지핀(60)은 제1 결합부(32), 제2 결합부(12) 및 제3 결합부(22)를 관통하여서, 제1 결합부(32) 및 제2 결합부(12)뿐만 아니라 제3 결합부(22)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가 카메라하우징(30)에 동축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The
이와 같이, 엠블럼커버(10)의 회전중심과 카메라커버(20)의 회전중심이 같도록 카메라하우징(30)에 결합되기 때문에,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를 따로 카메라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우에 비해, 카메라하우징(30)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패키지의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홀더(40)가 가이드홀(35)을 통해 돌출될 때, 카메라커버(20) 및 엠블럼커버(10)가 카메라홀더(40)에 의해 밀리면서 동축상에서 회전되므로,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를 회전시키는 힘이 적게 소요된다. 따라서, 카메라홀더(40)가 가이드홀(35)을 통해 돌출될 수 있도록 카메라홀더(40)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50)의 작동력도 적게 소요되므로, 적은 작동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로 대체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패키지의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한편, 후방카메라(80)는 자동차로부터 후방을 촬영하여 차실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화면으로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후방카메라(80)는 테일게이트(1)의 외부로 노출되기 위해 카메라홀더(40)에 결합된 채로 가이드홀(35) 내에 배치되고, 카메라홀더(40)는 액츄에이터(50)의 작동력에 의해 가이드홀(35)을 통해 돌출되면서 카메라커버(20)를 밀어내고, 이로 인해, 카메라커버(20)가 카메라홀더(40)에 의해 밀려 회전되면서 엠블럼커버(10)를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홀더(40)는 회전된 엠블럼커버(10)와 테일게이트(1) 사이에 배치되어 후방카메라(8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액츄에이터(50)는 카메라홀더(40)와 연결되어, 카메라홀더(40)를 전진/후진 시킨다. 카메라홀더(40)는, 액츄에이터(50)의 작동력에 의해 후방으로 전진되면서, 가이드홀(35)을 통해 돌출되어 테일게이트(1)의 외부로 노출되고, 액츄에이터(50)의 반대방향의 작동력에 의해 후진되면서 가이드홀(35)의 내부로 들어간다.The
액츄에이터(50)의 내부에는, 전기모터(미도시)와, 상기 전기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기어조립체(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기어조립체와 연결되어 상기 기어조립체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이동되는 랙기어(52)가 액츄에이터(5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카메라홀더(40)와 연결되는, 통상의 전기 액츄에이터로 구비되어, 상기 전기모터가 회전/역회전됨에 따라 랙기어(52)가 전진/후진됨으로써, 카메라홀더(40)를 전진/후진시킬 수 있다.An electric motor (not shown) and a gear assembly (not shown) rotated in connection with the electric motor are disposed in the
한편,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는, 가이드홀(35)을 통해 돌출되는 카메라홀더(40)에 의해 회전된 후, 카메라홀더(40)가 가이드홀(35)로 들어갈 때 원위치로 복원되어야 한다. 따라서,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가 회전된 후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카메라하우징(30) 내에는 카메라커버(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70)와, 엠블럼커버(1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72)가 더 배치된다.Meanwhile, the
제1 탄성부재(70) 및 제2 탄성부재(72)는 힌지핀(60)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된다. 엠블럼커버(10)가 제2 탄성부재(72)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되면서 카메라하우징(30)에 부딪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엠블럼커버(10)의 배면에는 고무와 같은 완충부재(14)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제1 탄성부재(70) 및 제2 탄성부재(72)는 각각, 카메라홀더(40)가 가이드홀(35)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가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가 닫히는 방향으로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As for the first
따라서, 카메라홀더(40)가 가이드홀(35)을 통해 돌출되면서 카메라커버(20) 및 엠블럼커버(10)를 차례로 밀어낼 때에, 카메라홀더(40)는 제1 탄성부재(70) 및 제2 탄성부재(72)의 탄성력을 받게 된다. 즉, 카메라홀더(40)가 가이드홀(35)을 통해 돌출되기 위해서는 제1 탄성부재(70) 및 제2 탄성부재(72)의 탄성력보다 큰 액츄에이터(50)의 작동력이 요구된다.Therefore, when the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가 힌지핀(60)을 통해 카메라하우징(30)에 동축상에 결합되기 때문에,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가 따로 카메라하우징(30)에 결합되는 경우에 비해, 카메라홀더(40)는 제1 탄성부재(70) 및 제2 탄성부재(72)로부터 보다 큰 탄성력을 받게 되어, 카메라홀더(40)가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를 밀어내지 못할 우려가 있다.However, since the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홀더(40)가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를 적은 힘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가이드홀(35)의 내벽에 카메라홀더(40)를 카메라커버(20)로 안내하는 가이더(3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더(37)는 가이드홀(35)의 양측 내벽에 긴 홈 형태로 형성되고, 가이더(37)에 대응되는 카메라홀더(40)의 양측에는 가이더(37)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돌기(47)가 형성된다. 물론, 가이더(37)가 돌기형태로 형성되고, 가이드돌기(47)가 긴 홈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커버와 가이더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amera cover and the guider shown in FIG. 3.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홀더(40)가 제1 탄성부재(70) 및 제2 탄성부재(7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를 밀어낼 수 있도록, 가이더(37)는 카메라커버(20)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져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더(37)가 수평하게 형성되어 카메라홀더(40)가 카메라커버(20)를 직선으로 밀어내는 경우에 비해, 카메라홀더(40)가 제1 탄성부재(70) 및 제2 탄성부재(72)로부터 탄성력을 적게 받게 되므로, 액츄에이터(50)의 적은 작동력으로도 카메라홀더(40)가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를 회전시키면서, 테일게이트(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3 and 5, the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홀더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하우징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camera holder shown in Figure 3,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camera housing shown in FIG.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후방카메라(80)의 후면에는 제1 단자(84)가 배치된다. 제1 단자(84)는 전원(+)단자(84a)와, 전원(GROUND)단자(84b)와, 영상(+)단자(84c)와, 영상(GROUND)단자(84d)를 포함한다. 제1 단자(84)는 후방카메라(80)의 외부케이스를 성형할 때 금형에 인서트되어 후방카메라(80)의 외부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3, 6, and 7, the
카메라홀더(40)에는 제1 단자(84)와 항시 접촉되는 제2 단자(44)가 배치된 다. 즉, 제2 단자(44)는 후방카메라(80)의 전원(+)단자(84a)와 일단이 항시 접촉되는 전원(+)단자(44a)와, 후방카메라(80)의 전원(GROUND)단자(84b)와 일단이 항시 접촉되는 전원(GROUND)단자(44b)와, 후방카메라(80)의 영상(+)단자(84c)와 일단이 항시 접촉되는 영상(+)단자(44c)와, 후방카메라(80)의 영상(GROUND)단자(84d)와 일단이 항시 접촉되는 영상(GROUND)단자(44d)를 포함한다. 제2 단자(44)는 카메라홀더(40)를 성형할 때 금형에 인서트되어 카메라홀더(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카메라하우징(30)에는 가이드홀(35) 내에 제2 단자(44)와 항시 접촉되는 제3 단자(34)가 배치된다. 즉, 제3 단자(34)는 카메라홀더(40)의 전원(+)단자(44a)의 타단이 항시 접촉되는 전원(+)단자(34a)와, 카메라홀더(40)의 전원(GROUND)단자(44b)의 타단이 항시 접촉되는 전원(GROUND)단자(34b)와, 카메라홀더(40)의 영상(+)단자(44c)의 타단이 항시 접촉되는 영상(+)단자(34c)와, 카메라홀더(40)의 영상(GROUND)단자(44d)의 타단이 항시 접촉되는 영상(GROUND)단자(34d)를 포함한다. 제3 단자(34)는 카메라하우징(30)을 성형할 때 금형에 인서트되어 카메라하우징(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카메라홀더(40)에는 제2 단자(44)가 관통하는 슬릿(45)이 형성되며, 제2 단자(44)는 슬릿(45)을 관통하여, 일단이 카메라홀더(40)의 내부에서 제1 단자(84)와 항시 접촉되고, 타단은 카메라홀더(40)의 외부에서 제3 단자(34)와 항시 접촉된다.A slit 45 through which the
카메라홀더(40)가 가이드홀(35)을 드나들 때 제2 단자(44)가 제3 단자(34)와 항시 접촉될 수 있도록, 제2 단자(44)의 타단은 절곡 형성됨으로써, 제2 단자(44)는 가이드홀(35) 내에서 제3 단자(34)와 탄성력을 가지고 접촉된다.When the
제3 단자(34)의 일단은 카메라하우징(30)의 외부로 돌출되며, 이 돌출된 제3 단자(34)의 일단에는 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제3 단자(34)를 컨트롤러(미도시)와 연결함으로써, 후방카메라(80)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작동 전원을 공급받아 자동차의 후방을 촬영할 수 있게 되고, 후방카메라(80)가 촬영한 영상신호는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된 후 차실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hird terminal 34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카메라 장치(100)는, 제1 단자(84)가 배치된 후방카메라(80)와, 후방카메라(80)와 결합되고 제1 단자(84)와 항시 접촉되는 제2 단자(44)가 배치된 카메라홀더(40)와, 카메라홀더(40)가 드나드는 가이드홀(35)이 형성되고 가이드홀(35) 내에 제2 단자(44)와 항시 접촉되는 제3 단자(34)가 배치된 카메라하우징(30)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후방카메라(80)로 작동 전원을 공급하고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케이블이 필요치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엠블럼커버(10) 및 카메라커버(20)가 동축상에서 회전되도록 카메라하우징(30)에 결합되기 때문에, 전체 패키지의 사이즈가 축소되고, 액츄에이터(50)의 적은 작동력으로도 카메라홀더(40)가 엠블럼(5) 내부에서 외부로 쉽게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테일게이트 5: 엠블럼
10: 엠블럼커버 12: 제2 결합부
14: 완충부재 20: 카메라커버
22: 제3 결합부 30: 카메라하우징
32: 제1 결합부 34: 제3 단자
35: 가이드홀 37: 가이더
40: 카메라홀더 44: 제2 단자
45: 슬릿 47:가이드돌기
50: 액츄에이터 52: 랙기어
60: 힌지핀 70: 탄성부재
80: 후방카메라 84: 제1 단자1: tailgate 5: emblem
10: emblem cover 12: second coupling portion
14: buffer member 20: camera cover
22: third coupling portion 30: the camera housing
32: first coupling portion 34: third terminal
35: guide hole 37: guider
40: camera holder 44: second terminal
45: slit 47: guide protrusion
50: Actuator 52: Rack Gear
60: hinge pin 70: elastic member
80: rear camera 84: first terminal
Claims (11)
상기 후방카메라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단자와 항시 접촉되는 제2 단자가 배치된 카메라홀더; 및
상기 카메라홀더가 드나드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 내에 상기 제2 단자와 항시 접촉되는 제3 단자가 배치된 카메라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의 일단은 상기 제1 단자와 항시 접촉되고, 상기 제2 단자의 타단은 상기 제3 단자와 항시 접촉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3 단자의 일단은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커넥터와 결합되는 것인 후방 카메라 장치.A rear camera having a first terminal;
A camera holder coupled to the rear camera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And
And a camera housing having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camera holder enters and out, and a third terminal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at all times in the guide hole.
One end of the second terminal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erminal is bent to be in contact with the third terminal at all times,
One end of the third terminal protrudes out of the camera housing, and is coupled to a connector for transmitting power.
상기 카메라홀더에는 상기 제2 단자가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는 후방 카메라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holder is formed with a slit through the second terminal penetrating the camera device.
상기 제2 단자의 일단은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카메라홀더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단자와 항시 접촉되고,
상기 제2 단자의 타단은
상기 카메라홀더의 외부에서 상기 제3 단자와 항시 접촉되는 것인 후방 카메라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ne end of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slit and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inside the camera holde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erminal
The rear camera device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third terminal from the outside of the camera holder.
상기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3 단자는 각각, 전원(+)단자와, 전원(GROUND)단자와, 영상(+)단자와, 영상(GROUND)단자를 포함하는 후방 카메라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each include a power supply (+) terminal, a power supply (GROUND) terminal, a video (+) terminal, and a video (GROUND) terminal.
상기 카메라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드나드는 상기 카메라홀더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을 개폐하는 카메라커버;와, 엠블럼이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드나드는 상기 카메라홀더에 의해 회전되는 엠블럼커버;를 더 포함하는 후방 카메라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camera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guide hole by the camera holder entering and exiting the guide hole, and an emblem is dispos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amera housing to move in and out of the guide hole. And an emblem cover rotated by the camera holder.
상기 카메라커버의 회전중심과 상기 엠블럼커버의 회전중심이 같도록, 상기 카메라커버 및 엠블럼커버를 상기 카메라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을 더 포함하는 후방 카메라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And a hinge pin rotatably coupling the camera cover and the emblem cover to the camera housing such th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mera cover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emblem cover are the same.
상기 카메라커버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엠블럼커버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핀은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후방 카메라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first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camera cov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emblem cover,
The hinge pin is a rear camera device penetrating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상기 가이드홀의 내벽에는 상기 카메라홀더를 상기 카메라커버로 안내하는 가이더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홀더가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카메라커버 및 엠블럼커버를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가이더는 상기 카메라커버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후방 카메라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A guider for guiding the camera holder to the camera cover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And the guider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amera cover such that the camera holder can push the camera cover and the emblem cover against the elastic forces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상기 카메라홀더가 상기 가이드홀을 드나들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홀더를 전후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후방 카메라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ctuator configured to move the camera holder back and forth so that the camera holder can enter and exit the guide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95823A KR102020625B1 (en) | 2012-08-30 | 2012-08-30 | Rear camera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95823A KR102020625B1 (en) | 2012-08-30 | 2012-08-30 | Rear camera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28766A KR20140028766A (en) | 2014-03-10 |
| KR102020625B1 true KR102020625B1 (en) | 2019-09-10 |
Family
ID=5064209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95823A Active KR102020625B1 (en) | 2012-08-30 | 2012-08-30 | Rear camera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206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291879B2 (en) | 2014-08-25 | 2016-03-22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Hidden camera system for vehicl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54310A (en) * | 2001-05-28 | 2002-12-06 | Fuji Photo Film Co Ltd | Cradle device of camera |
| JP2007001334A (en) * | 2005-06-21 | 2007-01-11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Car camera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25726B1 (en) * | 2010-07-12 | 2012-03-27 | 동아전장주식회사 | Camera apparatus for vehicle |
-
2012
- 2012-08-30 KR KR1020120095823A patent/KR1020206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54310A (en) * | 2001-05-28 | 2002-12-06 | Fuji Photo Film Co Ltd | Cradle device of camera |
| JP2007001334A (en) * | 2005-06-21 | 2007-01-11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Car camera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28766A (en) | 2014-03-1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362670B2 (en) | Charge connector locking apparatus | |
| JP3056993B2 (en) |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for instrument panel harness | |
| CN114096731B (en) | Electronic lock latch for vehicle door | |
| JP6454907B2 (en) | Vehicle door latch device | |
| KR101382759B1 (en) | Liner type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 |
| US9888904B2 (en) | Housing and connector for door using the same | |
| JP2010148299A (en) | Charging port device | |
| KR20180105296A (en) | Charging device for vehicle | |
| KR20120138407A (en) | Connecto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 |
| KR20210003262A (en) | Display device | |
| KR102020625B1 (en) | Rear camera apparatus | |
| JP2002058149A (en) | Wire harness excess length absorption device | |
| KR20130019625A (en) | Rear camera apparatus | |
| KR101431411B1 (en) | Lever type connector | |
| CN113530379B (en) | Mechanical lock body structure and car | |
| CN102957044B (en) | Ejection mechanism and electric connector utilizing same | |
| CN106715197B (en) | Adjustment devices, exterior mirror units, motor vehicles | |
| KR20130048535A (en) | Rear camera apparatus | |
| US9847699B2 (en) | Electric motor | |
| KR20130053307A (en) | Overhead console of vehicle | |
| KR101125726B1 (en) | Camera apparatus for vehicle | |
| US9447614B2 (en) | Lid lock apparatus | |
| KR101234336B1 (en) | Charging connector locking apparatus | |
| KR101285871B1 (en) | Charging connector locking apparatus | |
| WO2011003536A1 (en) |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a vehicle do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8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