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977B1 - Mar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ark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9977B1 KR102039977B1 KR1020170131536A KR20170131536A KR102039977B1 KR 102039977 B1 KR102039977 B1 KR 102039977B1 KR 1020170131536 A KR1020170131536 A KR 1020170131536A KR 20170131536 A KR20170131536 A KR 20170131536A KR 102039977 B1 KR102039977 B1 KR 1020399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k
- needle
- main body
- forth
- electric mo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electrically or magnetically activated writing-poi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기둥형의 본체부; 일측이 상기 개구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저장부; 일측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잉크 저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연장된 타측은 마킹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잉크 저장부의 잉크를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잉크 도포부; 및 상기 잉크 도포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표시 대상물에 마찰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표시 대상물에 상기 마찰부재가 마찰된 후 상기 잉크 도포부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기둥형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인체의 표피에 기계적 자극을 가하도록 전후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니들(needle); 상기 니들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잉크저장부; 및 상기 니들 및 잉크저장부를 둘러싸며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전동기; 및 상기 전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을 상기 니들에 전달하여 상기 니들을 전후 왕복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마킹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can grip the columnar body portion includ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n ink storage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one side thereof faces the opening and storing ink; An ink applicator configured to allow one side to be connected to the ink reservoir through the opening and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contact a marking object and apply ink to the ink reservoir; And a friction member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applicator to rub against the display object, wherein the marking device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ink applicator after the friction member is rubbed on the display object. To provide.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the pillar-shaped body portion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And a head part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wherein the head part comprises: a needle configur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to apply a mechanical stimulus to the epidermis of the human body; An ink storag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needle and configured to store ink therein; And a housing includ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nd surrounding the needle and the ink storage unit, wherein the main body comprises: an electric moto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ans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ctric motor to the needle to enable the needle to move back and forth.
Description
마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marking devic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es not constitute a prior art.
의료분야에서는 수술 전에 정확한 수술 부위를 표시하거나 진단영상촬영 등 진단 및 치료과정에 중요한 체내해부학적 구조물을 표시하기 위해서 혹은 피부봉합 등에 피부를 정합하기 위해서 피부표면에 선이나 점의 형태로 표시를 한다. 현재 이러한 용도로 펜, 문신 등의 "의료용 체외표시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간단한 수술의 경우 표시가 수분간 유지되면 족하지만, 방사선치료 등의 경우는 수 주간 유지될 필요가 있다. 피부 표면에 표시된 잉크는 세안, 샤워 등의 일상생활에서의 세척작용으로부터 수 일이면 제거되기 때문에, 수 일(대략 2-3일)을 주기로 계속 표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는, 수 일동안 계속 표시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 경우 환자는 수 주동안 세안, 샤워 등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렵게 될 수도 있다.In the medical field, markings are made in the form of lines or dots on the surface of the skin in order to mark the correct surgical site before surgery, to mark anatomical structures that are important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ss such as diagnostic imaging, or to match the skin to skin sutures. . Currently, "medical in vitro indicators" such as pens and tattoos are widely used for this purpose. In the case of simple surgery, the indication is sufficient for several minutes, but in the case of radiation therapy, it needs to be maintained for several weeks. Since the ink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skin is removed in a few days from washing in daily life such as washing and showering, it is inconvenient to continuously mark it every few days (about 2-3 days). Or, if the situation can not be displayed for several days, the patient may be difficult to carry out normal daily life, such as face wash, shower for several weeks.
종래기술인 샤프펜슬형 고체형광펜(공개특허 제 2013-0116130호)은 고체형광심이 샤프펜슬형 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마킹하기 쉬운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어떠한 표시대상물의 표면에만 잉크를 도포하는 것이므로, 그 표시가 장기간 유지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The prior art mechanical pencil-type solid-state fluorescent pen (Patent No. 2013-0116130)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the solid fluorescent core is coupled to the mechanical pencil-type body, which is easy for the user to mark. However, since the ink is applied only to the surface of any display object, the display is difficult to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다른 종래기술인 반영구 화장 및 문신용 니들 또는 약물 침투용 니들을 전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 머신장치는 니들을 직선운동케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아 제작시간 및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 단점이다.Another prior art semi-permanent make-up and tattoo needle or drug penetrating needle back and forth drive machine device discloses a technique for straightening the needle. However,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are high.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잉크를 표시대상물의 표피의 내부층까지 스며들게 하여 피부표피층이 자연적으로 탈락되어도 그 마킹을 오래토록 유지할 수 있게 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표시 대상이 인체의 피부이므로 멸균 가능하거나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netrate the ink to the inner layer of the epidermis of the display object so that the marking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even if the skin epidermal layer is naturally detached, and the display object has a simple structure. The skin is to provide a marking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sterile or disposable.
본 개시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기둥형의 본체부; 일측이 상기 개구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저장부; 일측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잉크 저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연장된 타측은 마킹 대상물에 접촉하여 상기 잉크 저장부의 잉크를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잉크 도포부; 및 상기 잉크 도포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표시 대상물에 마찰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표시 대상물에 상기 마찰부재가 마찰된 후 상기 잉크 도포부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can grip the columnar body portion includ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n ink storage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one side thereof faces the opening and storing ink; An ink applicator configured to allow one side to be connected to the ink reservoir through the opening and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contact a marking object and apply ink to the ink reservoir; And a friction member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k applicator to rub against the display object, wherein the marking applicator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ink applicator after the friction member is rubbed on the display object. To provide.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기둥형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인체의 표피에 기계적 자극을 가하도록 전후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니들(needle); 상기 니들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잉크저장부; 및 상기 니들 및 잉크저장부를 둘러싸며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전동기; 및 상기 전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을 상기 니들에 전달하여 상기 니들을 전후 왕복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마킹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the pillar-shaped body portion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And a head part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wherein the head part comprises: a needle configur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to apply a mechanical stimulus to the epidermis of the human body; An ink storag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needle and configured to store ink therein; And a housing includ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nd surrounding the needle and the ink storage unit, wherein the main body comprises: an electric moto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ans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ctric motor to the needle to enable the needle to move back and forth.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Additional solution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part in the description which follows, and in part will be readily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r may be learned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본 개시에 따른 마킹 장치에 의하면, 인체의 표피층의 내부로 잉크를 주입하여 잘 지워지지 않고 장기간 표시가 지속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k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epidermal layer of the human body so that the display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erased well.
본 개시에 따른 마킹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소요되는 생산시간 및 비용이 적다.According to the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it has a simple structure, it takes less production time and cost.
도 1은 종래의 마커를 이용한 표시가 지속되는 기간을 실험한 실험자료이다.
도 2는 종래의 마커 및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를 적용했을 때의 과정 및 결과를 비교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마킹 장치를 적용했을 때와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형광 발생기간을 비교하여 실험한 실험자료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를 사용하여 마킹을 할 때의 모습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의 마찰부재의 마찰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의 개념도이다.1 is an experimental data for experimenting the duration of the display using a conventional marker.
2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a process and a result when applying a conventional marker and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experimental data obtained by comparing the fluorescence generation period when the mark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pplied and not applied.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tate when marking using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n exemplary view of a friction surface of a friction member of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개시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owever, in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종래의 마커를 이용한 표시가 지속되는 기간을 실험한 실험자료이다.1 is an experimental data for experimenting the duration of the display using a conventional marker.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마커를 이용하여 인체의 피부에 표시한 후 그 표시가 얼마나 지속되는 지 파악할 수 있다. 종래의 마커를 이용해 표시한 후 세척 직후에는 표시가 남아 있으나, 2일째 에는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을 만큼 완전히 지워졌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마커는, 의료용 목적으로 수 일 ~ 수 주간 표시가 지속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t is possible to grasp how long the display is displayed after marking on the skin of a human body using a conventional marker. After marking using a conventional marker, the marking remains immediately after washing, but on the second day, the marking was completely invisible to the naked eye. Such conventional markers may be unsuitable for use in situations where a display of several days to weeks is required for medical purposes.
도 2는 종래의 마커 및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를 적용했을 때의 과정 및 결과를 비교한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a process and a result when applying a conventional marker and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본 개시의 마킹 장치를 적용했을 때와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형광 발생기간을 비교하여 실험한 실험자료이다.3 is experimental data obtained by comparing the fluorescence generation period when the mark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pplied and not applied.
도 2를 참조하면, 도 2(a)는 종래의 마커를 이용하여 표시했을 때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했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종래의 마커는 피부의 표면에 잉크가 도포되는 것으로, 피부의 각질층 내부로 잉크가 주입되는 것은 아니므로 세척 후에는 잉크의 형광발색 성분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을 수 있다. 남아있다 하더라도,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수 일 내로 잉크가 탈락되어 육안으로 식별하기 힘들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FIG. 2 (a) illustrates when displaying using a conventional marker, and FIG. 2 (b) illustrates when displaying using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Referring to FIG. 2 (a), since the ink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kin, the ink is not injected into the stratum corneum of the skin, and thus the fluorescent component of the ink may hardly remain after washing. . Even if it remains, the ink may be dropped within a few days of daily life,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with the naked eye.
다만, 도 2(b)를 참조하면, 피부 각질층 또는 피부 표피층을 가볍게 긁은 후(prick), 잉크를 도포하면, 피부 각질층 또는 피부 표피층의 내부로 잉크가 스며들게 되므로 세척 후에도 형광발색 성분이 피부 각질층 또는 피부 표피층의 내부에 잔류할 수 있다. 이는, 피부 각질층 또는 표피층이 세포탈락 주기가 도래하여 탈락되기 전까지는 형광발색 성분의 잔류가 지속될 수 있다.However, referring to FIG. 2 (b), after lightly scraping the skin stratum corneum or skin epidermal layer, the ink is a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skin stratum corneum or skin epidermal layer, so that the fluorescence component after washing May remain inside the skin epidermal layer. This may persist the fluorescence component until the skin stratum corneum or epidermal layer is eliminated due to the cell depletion cycle.
도 3을 참조하면, 피부 표면을 긁지 않고 잉크를 도포한 것과 피부 표면을 긁고 잉크를 도포한 것을 비교하고 실험한 결과를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s of experiments were compared with the application of ink without scratching the surface of the skin and the application of ink with scratching the surface of the skin.
피부 표면을 긁지 않고 잉크를 도포한 경우, 3일까지 형광이 발생되어 해당 부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다만, 4일째에는, 형광이 희미하게 유지되기는 하나, 표시된 해당 부위를 명확하게 식별하기엔 무리가 있다.If the ink is applied without scratching the surface of the skin, fluorescence is generated up to 3 days so that the site can be easily identified. On the fourth day, however, the fluorescence remains faint, but it i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marked site.
피부 표면을 긁고 잉크를 도포한 경우, 4일째에도 형광이 유지되었고, 표시된 해당 부위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피부 표면을 긁고 잉크를 도포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했을 때, 시작부터 형광 발생도의 차이가 있다. 1일째에는 형광 발생정도에서 차이가 크지 않으나, 3일째부터는 그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남을 알 수 있다. 4일째에는 피부 표면을 긁지 않고 잉크를 도포한 예에서는 형광을 관찰할 수 없지만, 피부 표면을 긁고 잉크를 도포한 예 에서는 여전히 형광이 발생되고 해당부위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surface of the skin was scratched and ink was applied, fluorescence was maintained on
위의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피부의 표면을 가볍게 긁은 경우에 형광 발생성분이 피부 각질층 또는 피부 표피층의 내부로 침투하여 장기간 잔류하기에 용이한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형광 발생성분의 극히 일부가 피부 표면에 잔류할 뿐이고 그마저도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수 일내에 탈락될 수 있다. 즉, 피부 표면을 어떠한 마찰부재를 이용하여 긁는 행위(prick)가 피부 각질층 또는 피부 표피층을 와해시킬 수 있고, 와해된 자리에 잉크가 도포되면 잉크가 피부 각질층 또는 피부 표피층의 내부로 스며들어 피부 각질층의 세포조각들과 형광 발생성분이 뒤엉키게 되므로 피부 표면을 세척하는 등의 일상생활에 의해서 형광 발생성분이 쉽게 탈락되지 않아 표시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when the surface of the skin is lightly scratched, the fluorescence generating component penetrates into the stratum corneum or skin epidermal layer and is easy to remain for a long time. It remains on the surface and can even be eliminated in the course of daily life. In other words, the rubbing of the skin surface using any friction member (prick) may disintegrate the skin stratum corneum or skin epidermis, and when ink is applied to the ruptured spot, ink penetrates into the skin stratum corneum or the skin epidermal layer and Cell fragments and fluorescence generating components are entangled, so the fluorescence generating components are not easily eliminated by daily life, such as washing the surface of the skin, so that the display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의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를 사용하여 마킹을 할 때의 모습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of a state when marking using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의 마찰부재의 마찰면의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of a friction surface of a friction member of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100)의 개념도이다.4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arking
도 4(b)는 잉크 도포부(300)와 마찰부재(400)의 저면도이다.4B is a bottom view of the
도 4(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100)는 본체부(200), 잉크 저장부(250), 잉크 도포부(300) 및 마찰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marking
본체부(2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중공 기둥형이며,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00)는 내부에 잉크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잉크 저장부(250)는 중공 기둥형으로 내부에 잉크를 저장할 수 있다. 잉크 저장부(250)는 일측이 상기 개구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잉크 저장부(250)는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잉크 도포부(300)는 잉크 저장부(250)의 개구를 통해 잉크 저장부(250)의 내부에 저장되는 잉크와 접촉될 수 있다.The
잉크 도포부(300)는 본체부(200)의 개구를 통해 잉크 저장부(250)에 연결되고, 잉크 도포부(300)의 일측은 잉크 저장부(250)의 개구를 통해 잉크 저장부(250)의 내부의 잉크와 접촉될 수 있다. 잉크 도포부(300)의 타측은 본체부(20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이는 마킹 대상물, 예를 들면 인체의 표피에 접촉하여 잉크 저장부(250)에 저장된 잉크를 도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잉크 도포부(300)는 펠트(felt)재질로 이루어져 잉크를 흡수하여 흡수된 잉크가 인체의 표피에 도포될 수 있다. 다만, 잉크 도포부(3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잉크를 흡수하여 머금을 수 있고 마킹 대상물에 잉크를 도포할 수 있는 재질이면 공지의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The
마찰부재(400)는 잉크 도포부(30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400)는 표시 대상물에 마찰되어 표시 대상물의 표면을 가볍게 긁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찰부재(400)에 의하여 긁힌 표시 대상물의 표면은 기본 단계의 구성요소 간 와해에 의해 틈이 생기게 되고, 이 때 와해된 표면에 잉크 도포부(300)에 의해 잉크가 도포될 수 있다. 마찰부재(400)는 표시 대상물, 예를 들어 인체의 표피와 마찰되는 마찰면을 포함할 수 있고, 마찰면은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는 인체의 표피를 긁어 세포 간 응집력을 와해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마찰부재(400)와 잉크 도포부(300)는 일체로서 결합될 수 있고,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200)에 마찰부재(400)와 잉크 도포부(300) 결합체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카트리지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본 개시에 따른 마킹 장치를 오래 사용할 수 있다. The
마찰부재(400)는 인체의 표피를 가볍게 긁어서 피부 각질층 또는 피부 표피층에 가벼운 상처를 낼 수 있어야 하므로 일정 수준의 경도를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잉크가 피부 내부로 스며들 수 있을 만큼 인체의 표피를 가볍게 긁어 세포 간 응집력을 와해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공지의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The
마찰부재(400)는 잉크 도포부(300)의 경도보다 큰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를 사용하여 표시 대상물에 마킹을 할 수 있다. 이 때, 마찰부재(400)가 표시 대상물과 마찰되는 마찰면(450)은 기계적 긁힘(mechanical prick)이 발생되고, 잉크 도포부(300)가 마찰되는 접촉면(350)은 화학적 침투(chemical penetration)가 발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marking object may be marked using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t this time, the mechanical surface of the
마찰부재(400)가 잉크 도포부(300) 보다 먼저 표시 대상물에 마찰될 수 있다. 표시행위는, 먼저 마찰부재(400)가 표시 대상물을 기계적으로 긁고 지나간 뒤, 그 긁고 지나간 길에 잉크 도포부(300)가 잉크를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마찰부재(400)가 표시 대상물, 예를 들어 인체의 표피의 각질층 또는 표피층을 이루는 세포 간 응집력을 와해시켜 틈을 발생시키고, 이 때 잉크가 도포되어 잉크가 그 틈을 통해 각질층 또는 표피층의 내부로 침투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찰부재(400)는 잉크 도포부(300)가 먼저 표시 대상물에 접촉한 후에 마찰될 수 있다.The
도 6을 참조하면, 마찰부재(400)는 다양한 형태의 마찰면(450)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a)의 경우에는 마찰부재(400)의 마찰면(450)이 표시 대상물과 더 넓은 마찰면적을 점유할 수 있어 표시 대상물의 표면을 긁기에 효과적일 수 있다. (b)의 경우에는 마찰면적은 비교적 적지만, 마찰면(450)이 비교적 날카롭게 형성되므로 표시 대상물에 가해지는 압력은 비교적 강하여 표시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긁을 수 있다.6 (a) and 6 (b), in the case of (a), the
도 6(c)를 참조하면, 마찰면(450)은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는 표시 대상물과 마찰면(450)사이에서 표시 대상물과 마찰면(450)간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표시 대상물, 예를 들어 인체의 피부 각질층 또는 표피층을 효과적으로 긁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6C, the
마찰면(450)에 형성되는 돌기는 마찰부재(400), 마찰면(450)의 형상 및 경사방향에 상관없이 표시 대상물과 마찰부재(400)가 마찰되는 모든 곳에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의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110)는 본체부(200) 및 헤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marking
본체부(2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중공 기둥형이며,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본체부(200)는 전동기(미도시) 및 구동력 전달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동기는 본체부(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구동력 전달수단(230)는 전동기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헤드부의 니들(520)을 전후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The
구동력 전달수단(230)은 헤드부(500)의 연동부(540)와 접촉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동력 전달수단(230)은 전동기에 편심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 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캠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후술하는 연동부(540)는 전후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연동부(540)에 연결된 니들(520)은 연동부(540)의 운동에 따라 역시 전후 왕복 운동할 수 있다.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230 may be connected in contact with the interlocking
헤드부(500)는 하우징(510), 니들(needle, 520), 잉크 저장부(530) 및 연동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하우징(510)은 니들(520)과 잉크 저장부(530)를 둘러쌀 수 있다. 하우징(510)은 일측에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니들(520)은 이 개구를 통해 전후 왕복 운동할 수 있다.The
니들(520)은 후술하는 연동부(540)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력 전달수단(230)은 연동부(540)에 연결되어 연동부(540)가 구동력 전달수단(230)에 의해 작동되고, 연동부(540)가 작동됨에 의해 니들(520)이 전후 왕복 운동할 수 있다.The
니들(520)은 잉크 저장부(530)와 결합될 수 있다. 잉크 저장부(530)는 니들(5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니들(520)은 중공형이고, 그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멍(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잉크 저장부(530) 역시 니들(520)과 결합되는 부위에 하나 이상의 연결구멍(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구멍을 통해 잉크 저장부(530)의 잉크가 니들(5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니들(520)는 피부 표면에 하나 이상의 미세천공을 생성할 수 있다. 니들(520)의 끝부분은 외부로 잉크가 배출될 수 있게 미세구멍이 형성될 수 있어, 잉크가 이 미세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표시 대상물에 생성된 미세천공을 통해 표시 대상물의 내부로 도포될 수 있다. 잉크 저장부(530)의 연결구멍과 니들(520)의 연결구멍은, 니들(520)이 하우징(510)의 내부로 들어와 있는 경우에는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니들(520)이 하우징(510)의 외부로 돌출될 때 니들(520)의 연결구멍과 잉크 저장부(530)의 연결구멍이 일치할 수 있고, 이 때 잉크가 니들(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니들(5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대상물에 미세 천공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공지의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The
잉크 저장부(530)는 전술하였듯이 니들(5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연동부(540)는 니들(520)과 연결될 수 있다. 연동부(540)는 구동력 전달수단(230)과 접촉할 수 있다. 연동부(54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연질 플라스틱, 탄성 높은 고무 등의 재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력 전달수단(230)으로부터 전달받는 구동력을 니들(520)에 전달하여 니들(520)을 전후 왕복 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The
헤드부(500)는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카트리지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본 개시에 따른 마킹 장치를 오래 사용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will be possible.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illustrate, not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deemed equivalent or equivalent thereto shall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마킹 장치
200: 본체부
300: 잉크 도포부
400: 마찰부재
500: 헤드부100: marking device
200: main body
300: ink coating portion
400: friction member
500: head
Claims (8)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인체의 표피에 기계적 자극을 가하여 하나 이상의 미세천공이 생성되도록 전후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니들(needle);
상기 니들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잉크저장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니들의 일측에 배치되는 연동부; 및
상기 니들 및 잉크저장부를 둘러싸며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타측은 상기 연동부에 의해 밀봉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전동기; 및
상기 전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을 상기 니들에 전달하여 상기 니들을 전후 왕복 이동가능하게 하되, 상기 연동부가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니들이 전후 왕복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구동력 전달수단
을 포함하는 마킹 장치.A pillar-shaped main body which the user can grip; And
Head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ncluding,
The head portion,
A needle configured to reciprocate back and forth to apply mechanical stimulation to the epidermis of the human body to produce one or more micropores;
An ink storag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needle and configured to store ink therein;
Interlocking portion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needle; And
A housing surrounding the needle and the ink storage unit, the opening being form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ealed by the linkage unit.
Including;
The main body portion,
An electric motor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ans connected to the moto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ctric motor to the needle to enable the needle to move back and forth, and the linkage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needle moves back and forth.
Mark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전동기에 편심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 캠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은 상기 회전 캠부재가 회전함에 의해 전후 왕복이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ans,
Rotating cam member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electric motor to rotate
Including;
The needle is moved back and forth by rotating the rotary cam member
Ma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연동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 캠부재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 캠부재와 연동됨에 따라 탄성변형됨으로써 전후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니들의 전후 왕복이동을 가능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linkage unit,
At least a portion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rotary cam member,
It is possible to move back and forth by elastic deformation as interlocked with the rotary cam member to allow the needle to move back and forth.
Ma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니들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전후 왕복이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needle,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ng through the opening in the housing
Ma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31536A KR102039977B1 (en) | 2017-10-11 | 2017-10-11 | Marking Apparatus |
| PCT/KR2018/011665 WO2019074230A2 (en) | 2017-10-11 | 2018-10-01 | Mark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31536A KR102039977B1 (en) | 2017-10-11 | 2017-10-11 | Mark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40788A KR20190040788A (en) | 2019-04-19 |
| KR102039977B1 true KR102039977B1 (en) | 2019-11-04 |
Family
ID=6610137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31536A Active KR102039977B1 (en) | 2017-10-11 | 2017-10-11 | Mark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39977B1 (en) |
| WO (1) | WO2019074230A2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89398B1 (en) * | 2006-08-11 | 2007-12-28 | 봄텍전자 주식회사 | Tattooing apparatus |
| JP2008537693A (en) | 2005-03-31 | 2008-09-25 | サイテ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 Internal biopsy marking |
| US20140100474A1 (en) | 2011-05-27 | 2014-04-10 | Ira D Shandles | Palpatory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496304A (en) * | 1994-07-20 | 1996-03-05 |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 Surgical marking pen |
| KR101380189B1 (en) * | 2012-06-27 | 2014-04-17 | 방시열 | Needle unit for skin procedure |
-
2017
- 2017-10-11 KR KR1020170131536A patent/KR102039977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10-01 WO PCT/KR2018/011665 patent/WO2019074230A2/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537693A (en) | 2005-03-31 | 2008-09-25 | サイテ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 Internal biopsy marking |
| KR100789398B1 (en) * | 2006-08-11 | 2007-12-28 | 봄텍전자 주식회사 | Tattooing apparatus |
| US20140100474A1 (en) | 2011-05-27 | 2014-04-10 | Ira D Shandles | Palpatory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9074230A2 (en) | 2019-04-18 |
| WO2019074230A3 (en) | 2019-06-06 |
| KR20190040788A (en) | 2019-04-1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724034B2 (en) | Skin stimulus | |
| KR101369271B1 (en) | Needle unit for skin procedure | |
| US20190060627A1 (en) | Iontophoret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of the skin | |
| KR101539664B1 (en) | Drug injection device for skin treatment | |
| CA289395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timulating hair growth and/or preventing hair loss | |
| US20240358301A1 (en) | Puncture Needle, Puncture Device, and Blood Sampling Device | |
| KR200466691Y1 (en) | Module for skin treatment | |
| US9271805B2 (en) | Isomark needle | |
| KR102039977B1 (en) | Marking Apparatus | |
| KR20200140018A (en) | Microneedle tattoo patch | |
| KR101380189B1 (en) | Needle unit for skin procedure | |
| CN107223064B (en) | Micropenetrator device for penetrating biological barriers | |
| CN209405474U (en) | A new drug inje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 |
| JP2005087521A5 (en) | ||
| KR200467516Y1 (en) | Thread needle a insertion depth marked | |
| JP2022178516A (en) | Device for beauty therapy | |
| CN206730221U (en) | A kind of intervertebral disc puncture injection needle | |
| JP2021020033A (en) | Puncture aid | |
| KR102450117B1 (en) | A device for skin tattooing, and a tip mounted on the device for skin tattooing | |
| WO2015059958A1 (en) | Medical needle and medical instrument | |
| KR20200017915A (en) | MTS device | |
| RU177286U1 (en) | Puncture needle for obtaining bone marrow punctate in cattle | |
| Villar et al. | The Next Generation of Microneedles: Harnessing a Billion Years of Evolution | |
| US20190358413A1 (en) | Device for reduction of perceived pain in patients | |
| RU68898U1 (en) | NEEDLE MEDICAL COMBINE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