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31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supplying wired/wireless power to electric vechi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supplying wired/wireless power to electric vech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2319B1 KR102042319B1 KR1020170173319A KR20170173319A KR102042319B1 KR 102042319 B1 KR102042319 B1 KR 102042319B1 KR 1020170173319 A KR1020170173319 A KR 1020170173319A KR 20170173319 A KR20170173319 A KR 20170173319A KR 102042319 B1 KR102042319 B1 KR 1020423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charging
- battery
- wired
- wirel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0 electromagnetic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02T90/121—
-
- Y02T90/12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의 유무선 충전 장치가, 전원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컨버터에 연결되어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력 라인 및 제2 전력 라인; 제1 전력라인에 연결되고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며, 제1 전력라인의 충전 전원을 픽업하는 픽업유니트와, 픽업된 충전 전원을 레귤레이팅하여 충전케이블을 통해 전기자동차에 공급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충전모듈; 그리고 제2 전력라인에 연결되고 전력 송신 패드를 포함하며, 전기 자동차의 수신 패드가 위치되면 송신 패드를 통해 전기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 wired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a converter for converting power supplied to a power supply device to charging power of an electric vehicle; A first power line and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to the converter to supply charging power; A charging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and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a pickup unit for picking up the charging power of the first power line, and a regulator regulating the picked up charging power to supply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charging cable; At least one wired charging module comprising a;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line and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pad, when the receiving pad of the electric vehicle may include at least one wireless charging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transmission pad.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무선 전원을 선택적으로 전기 자동차에 공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선 및 무선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 장치 및 전기 자동차 장치의 충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lectively supplying wired or wireless power to an electric vehicl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capable of supplying a charging source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wired and wireless power sources, and a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apparatus.
자동차는 휘발유 또는 경유와 같이 석유연료를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 또는 석유 연료 및전기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등장했다. 전기자동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의미하며,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자동차를 구동시키는 자동차를 말한다. 전기자동차는 엔진 소음이 적고 진동이 적으며 상대적으로 자동차의 수명이 긴 장점을 가질 수 있다. Automobiles use petroleum fuel, such as gasoline or diesel, but recently, electric vehicles or hybrid vehicles using petroleum fuel and electricity have emerged. An electric vehicle refers to a vehicle using an electric battery and an electric motor without using petroleum fuel and an engine, and refers to a vehicle driving a vehicle by rotating the motor with electricity accumulated in the battery. An electric vehicle may have advantages of low engine noise, low vibration, and a relatively long service life of the vehicle.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은 무선 충전 또는 유선 충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의 충전시간이 석유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충전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The charging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may use a wireless charging or a wired charging method. However, electric vehicles have a problem that the charging time of the battery is relatively longer than that of petroleum fueled cars. Therefore,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shorten the charging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원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 자동차의 충전전원으로 변환하여 제1 전력 라인 및 제2 전력 라인에 인가하고, 제1 전력 라인에 유선 전원 충전 모듈을 설치하고 제2 전력 라인에 무선전원 충전모듈을 설치하여 유무선 전원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충전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r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charging power of the electric vehicle to apply to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second power line, install the wired power charging module in the first power line 2 is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in the power line to supply wired and wireless power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전 장치에서 제1 전력라인 및 제2 전력 라인에 공급되는 유선 및 무선 전원을 수신하여 제1 및 제2 배터리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that can receive the wired and wireless power supplied to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second power line in the charging device and selectively supply to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nd To provide a way.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유무선 충전 장치가, 전원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컨버터에 연결되어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력 라인 및 제2 전력 라인과, 제1 전력라인에 연결되고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며, 제1 전력라인의 충전 전원을 픽업하는 픽업유니트와, 픽업된 충전 전원을 레귤레이팅하여 충전케이블을 통해 전기자동차에 공급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충전모듈과, 제2 전력라인에 연결되고 전력 송신 패드를 포함하며, 전기 자동차의 수신 패드가 위치되면 송신 패드를 통해 전기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 wired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power supplied to a power supply device to charging power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first power line and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to the converter to supply charging power. And a charging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and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the pickup unit picking up the charging power of the first power line, and regulating the picked up charging power to supply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charging cable. At least one wired charging module including a regulator; and a power transmission pad connected to a second power line, wherein the reception pad of th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at least one wireless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transmission pad. It may include a charging module.
다양한 실시에들에 따른 전기 자동차 장치가,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와, 충전케이블을 포함하며, 충전케이블로부터 유선 충전 전원을 수신하는 유선전원 수신모듈과, 전력 수신 패드를 구비하며, 충전장치의 송신패드에서 공급되는 무선 충전 전원을 수신하는 무선전원 수신모듈과, 유선전원 수신모듈, 무선전원 수신모듈과 배터리 사이에 위치되는 전원 스위치와, 무선전원 수신모듈 및/또는 유선전원 수신모듈에서 충전전원이 수신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전원스위치를 제어하여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lectric vehicle apparatus includes a battery including a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a charging cable, a wired power receiv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wired charging power from a charging cable, and a power receiving pad.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wireless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a transmitting pad of a charging device, a wired power receiving module, a power switch located betwe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a battery,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 or a wired power source. When receiving the charging power from the receiving module analyze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for apply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by controlling the power switch.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방법이, 충전장치의 제1 전력라인의 전력 케이블이 접속되면 유선 전원의 접속을 인식하는 단계와, 충전장치의 제2 전력라인의 송신 패드 및 전기 자동차의 수신 패드의 비접촉 전원을 인식하는 단계와, 유선 또는 무선 전원의 접속인 인식되면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 충전량이 적은 배터리에 수신되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력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recognizing a connection of a wired power source when a power cable of a first power line of a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transmitting pads of a second power line of the charging device and an electric vehicle. Recognizing the contactless power of the receiving pad, and analyz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connection of the wire or wireless power, and the power received by the battery with a low battery charg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Controlling the power switch to be suppl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장치가 전원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 자동차의 충전전원으로 변환하여 제1 전력 라인 및 제2 전력 라인에 인가하고, 제1 전력 라인에 유선 전원 충전 모듈을 설치하고 제2 전력 라인에 무선전원 충전모듈을 설치하여 유무선 전원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전기자동차들이 선택적으로 유선전원 및/또는 무선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device conver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to the charging powe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pplies it to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second power line, and installs the wired power charging module in the first power line. And by installing a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on the second power line can supply wired and wireless power at the same time, electric vehicles can be selectively charged using wired power and / or wireless pow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자동차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구비하며, 충전 장치에서 제1 전력라인 및 제2 전력 라인에 공급되는 유선 및 무선 전원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선택하여 제1 및/또는 제2 배터리의 충전량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a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and selects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power supplies supplied to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second power line in the charging device. May be selectively supplied based on the charge amount of the first and / or second battery.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버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선충전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충전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rt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d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consider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the concept of ter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는 상용전원장치(110),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120), 컨버터(130), 제1 전력라인(140), 유선충전모듈(150), 제2 전력라인(160) 및 무선충전모듈(1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harging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a commercial
상용전원 장치(110)는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용전원장치(110)는 GRID일 수 있다. GRID는 전력 송전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력을 송전네트워크에 송전하는 것일 수 있다. 전국의 발전과 송전 설비를 모두 그물망 구조로 연결하여 전력수요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발전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GRID는 이런 송수전력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The commercial
ESS(12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며, 전력이 필요한 시점에서 충전된 전원을 방전시킬 수 있다. ESS(120)의 충전 전원은 상용전원이 될 수 있으며, 태양열, 지열, 풍력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ESS(120) 생산된 전력을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 등을 포함한 각각의 연계 시스템에 저장 후,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선택적·효율적 사용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전원장치일 수 있다. The ESS 120 may include a battery, charge the generated electricity to the battery, and discharge the charged power when the power is needed. The charging power of the ESS 120 may be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may be used by converting energy generated by solar, geothermal, and wind power into power. The ESS 120 may be a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energy efficiency through selective and efficient use of electric power after storing the power produced in each associated system including a power plant, substation, and transmission line.
컨버터(130)는 상용전원장치(110) 또는 ESS(1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차의 충전전원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충전전원을 제1 전력라인(140)에 제1 충전전원으로 공급하고, 제2 전력 라인(160)에 제2 충전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
유선충전모듈(150)은 복수 유선충전기(151-15N)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충전기(151-15N)의 각각은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며, 제1 전력라인에 공급되는 제1 충전전원을 픽업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전원으로 레귤레이팅할 수 있으며, 충전케이블이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면 변환된 제1 충전전원을 전기자동차의 충전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무선충전모듈(170)은 복수 무선충전기(171-17M)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충전기(171-17M)의 각각은 전기 자동차에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전원 송신부를 포함하며, 전기자동차의 무선전원 수신부가 근접 위치되면 제2 전력라인에 공급되는 제2 충전전원을 비접촉 방식으로 변환된 제2 충전전원을 전기자동차의 충전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자동차는 유선 및 무선전원 수신모듈들을 구비하고, 충전장치는 제1 및 제2 전력라인에 각각 유선 및 무선전원 수신모듈들에 각각 대응되는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유선 및 무선 충전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유선충전모듈(150) 및/또는 무선충전모듈(170)에 유선 및 무선전원 수신모듈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의 사용자(운전자)가 유선 및 무선전원 수신모듈들을 유선충전모듈(150) 및/또는 무선충전모듈(170)에 동시에 위치시키면, 충전장치는 제1 전력라인(140) 및 제2 전력라인(160)에 동시에 인가되는 제1 충전전원 및 제2 충전전원을 각각 유선충전모듈(150) 및/또는 무선충전모듈(170)을 통해 동시에 공급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는 이에 기반하여 유선 및 무선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wired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s, and the charging device may supply wired power corresponding to wired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s, respectively,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And wireless charging modules. The electric vehicle may selectively connect the wired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o the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컨버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rt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2를 참조하면, 컨버터(130)는 AC/DC변환기(130) 및 DC/AC 변환기(2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AC/DC 변환모듈(210)은 AC/DC 정류회로 및 부스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AC/DC 변환 모듈(210)은 상용전원장치(110)의 220V - 240V/60Hz의 AC 전원을 정류할 수 있으며, DC/AC 변환기(220)은 AC/DC 변환기(210)에서 출력되는 정류된 전원을 85KHz의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1 전력라인(140) 및 제2 전력라인(16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ESS(120)의 충전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DC/AC 변환기(220)은 AC/DC 변환기(220)에서 출력되는 정류된 전원을 85KHz의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1 전력라인(140) 및 제2 전력라인(160)에 출력할 수 있다. 컨버터(130)는 부스터(booster module)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부스터는 ESS(12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부스팅한 후 AC/DC변환기(220)에 인가할 수 있다. The AC /
상용전원장치(110)에서 AC 220~240V 60Hz의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컨버터(130)의 AC/DC 변환 모듈(210)은 220V - 240V/60Hz의 AC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DC/AC 변환기(220)은 정류된 전원을 85KHz의 AC 충전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전력라인(140, 160)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컨버터(130)은 AC 상용 전원을 전기 자동차의 충전용 AC 전원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ESS(120)에 저장되는 전원은 DC 전원일 수 있다. 따라서 ESS(120)의 전원을 전기 자동차의 충전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AC/DC 변환 동작은 생략하고, ESS 전원을 자동차 충전용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전력라인(140, 160)에 공급할 수 있다. When commercial power of
컨버터(130)는 상용전원 또는 ESS 전원이 공급되면, 자동차의 충전용 AC 전원 85KHz로 변환하여 제1 및 제2 전력라인(140, 160)에 공급할 수 있다. 컨버터(130)는 AC/DC로 전환하는 기능 및 DC/AC로 변환하는 인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컨버터(130)는 2 라인의 전력 라인들에 변환된 자동차 충전용 AC 전원을 공급하여 무선과 유선을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Whe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or the ESS power is supplied, the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선충전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d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3을 참조하면, 유선충전모듈은 롤러(310), 픽업 유니트(320) 및 레귤레이터(330) 및 충전케이블(3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ired charging module may include a
제1 전력라인 (140)은 85 KHz의 AC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롤러(310)는 제1 전력라인(140) 상에서 유선충전모듈(15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픽업유니트(320)는 제1 전력라인에 접촉 또는 비접촉될 수 있으며, 제1 전력라인(140)에 인가되는 충전용 AC 전원을 픽업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330)는 픽업유니트(320)에서 픽업되는 충전전원을 자동차의 충전전원 레벨(예를들면 DC 450V)로 레귤레이팅할 수 있다. 충전케이블(340)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에 연결될 수 있으며, 레귤레이터(330)에서 레귤레이팅되는 충전전원을 전기자동차에 공급할 수 있다. The
유선충전모듈(150)는 픽업유니트(320), 레귤레이터(33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롤러(310)을 통해 유선충전모듈(150)을 이동하면서 전기자동차에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유선충전모듈(150)은 컨버터(130)에서 제1 전력라인(140)에 공급되는 전력을 픽업유니트(320)를 통해 자기 유동방식으로 Pick-up할 수 있으며, 레귤레이터(330)을 통해 픽업된 전력을 레귤레이팅하여 충전케이블(340)을 통해 DC 450V 급속으로 전기 자동차에 공급할 수 있다. 유선충전모듈(150)은 비접촉 방식으로 제1 전력라인(140)에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픽업할 수 있다. 또한 유선충전모듈(150)을 고정시킨 상태가 아니라 이동시키면서 전기자동차에 충전케이블(340)의 길이 및 제1 전원유선으로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선충전모듈(150)은 고정식이 아니라 충전케이블(340)의 길이 및 제1 전력라인(140)의 길이만큼 유선충전모듈(150)의 충전전원의 공급 거리를 연장할 수 있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선충전모듈(150)은 제1 전력라인(140) 상에서 이동하면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유선충전기들을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충전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전력라인(160)에 복수의 전력 송신패드(4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전력 송신패드(410)는 전기자동차의 전력 수신패드(420)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어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용전원장치(110)에서 AC 220~240V 60Hz의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컨버터(130)는 상용전원을 AC 85KHz로 충전용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2 전력라인(160)에 공급할 수 있다. 무선충전모듈(170)의 전력 송신패드(410)는 전기자동차의 전력 수신패드(420)가 근접 위치되면, 제2 전력라인(160)의 충전전원을 전력 수신패드(420)에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력라인(160)에 복수의 전력 송신패드들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는 복수의 전력 송신패드들 중에 하나의 패드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가지 방법은 코일을 여러번 감아서 고주파수의 전류를 코일에 흘려 한 방향으로 강하게 자계가 유기시키고, 비슷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코일을 근접시켜 자계 커플링 방식으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안테나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계와 자계가 서로 영향을 주면서 방사가 일어나는 전자계 방사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한가지 방법은 공진기를 사용하는 자계 커플링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충전모듈(170)은 위와 같은 무선전력 송수신 방법들 중의 한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무선전력 송수신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One method may be a method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in a magnetic field coupling method by winding a coil several times to induce a strong magnetic field in one direction by flowing a high frequency current through the coil, and by proximity of a coil resonating at a similar frequency. Another method may be a method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by using an electromagnetic radiation method in which radiation occurs while an electric field and a magnetic field that change with time influence each other using an antenna. In addition, one method may use a magnetic field coupling method using a resonator. The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자동차는 제어모듈(500), 유선전원 수신모듈(510), 무선전원 수신모듈(520), 스위치(530), 배터리(540), 메모리(550), 주행모듈(560), 표시모듈(57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540)는 독립적으로 수신되는 두개의 충전전원들에 의해 각각 충전될 수 있는 제1 배터리(590) 및 제2 배터리(59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a
제어모듈(500)은 자동차의 전기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550)는 전기자동차의 전기적인 동작 및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 및 충전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주행모듈(560)은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동작 전원에 의해 자동차의 주행 동작을 구동할 수 있다. 표시모듈(570)은 자동차의 주행 및/또는 충전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배터리(540)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으며, 충전된 전원을 방전할 수 있다. 배터리(540)은 복수의 충전전원들에 각각 대응되어 충전할 수 있는 복수의 배터리들을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540)는 유선 및 무선 수신되는 충전전원들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2개의 배터리(590, 595)들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유선충전 수신모듈(510)은 충전장치의 유선충전모듈(예를들면 도 1의 유선충전모듈(150)에서 공급되는 충전전원을 유선 수신할 수 있다. 무선충전모듈(510)은 충전장치의 무선충전모듈(예를들면 도 1의 무선충전모듈(170)에서 공급되는 충전전원을 무선 수신할 수 있다. 스위치(530)는 제어모듈(500)의 제어하에 유선전원 수신모듈(510) 및/또는 무선전원 수신모듈(520)에서 인가되는 유선 전원 및/또는 무선전원을 스위칭하여 제1배터리(590) 및/또는 제2 배터리(595)에 스위칭 연결할 수 있다. The wired
배터리(540)을 충전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운전자)는 충전케이블을 자동차에 연결하거나 또는 무선전원 수신모듈(520)을 충전장치의 무선충전모듈에 근접 위치시킬 수 있다. 충전케이블이 연결되면, 제어모듈(500)은 유선전원 수신모듈(510)을 통해 유선전원 수신모듈(510)과 충전장치의 유선충전모듈의 연결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원 수신모듈(520)이 충전장치의 무선충전모듈에 근접 위치되면, 제어모듈(500)은 무선전원 수신모듈(520)을 통해 무선전원 수신모듈(520)과 충전장치의 무선충전모듈의 연결을 인식할 수 있다. 유선전원 또는 무선전원의 수신이 인식되면, 제어모듈(500)는 제1 배터리(590) 및 제2 배터리(595)의 충전량(잔량)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모듈(500)은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 충전량이 더 적은 배터리에 충전 전원이 인가되도록 스위치(53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또한 유선전원 및 무선전원이 모두 수신되는 경우, 제어모듈(500)는 제1 배터리(590) 및 제2 배터리(595)의 충전량(잔량)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유선 전원은 무선 전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속 충전을 할 수 있는 전원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모듈(500)은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 충전량이 더 적은 배터리에 유선 충전 전원이 인가되고 배터리 충전량이 더 많은 배터리에 무선 충전 전원이 인가되도록 스위치(530)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both the wired power and the wireless power are received,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충전장치는 상용전원 또는 ESS 전원을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1 전력라인 및 제2 전력 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충전장치는 제1 충전라인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선충전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유선충전기들을 충전 케이블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충전라인의 충전전원을 비접촉 방식으로 픽업할 수 있으며, 충전 케이블이 자동차에 연결되면 픽업되는 전원을 전기자동차의 유선 충전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충전장치는 제2 충전라인에 설치되는 복수의 무선충전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무선충전기들은 전기 자동차의 전력 수신패드(무선충전 수신모듈)이 위치되면 제 2 전력라인의 전원을 전기자동차의 유선 충전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는 복수의 배터리들로 구성딜 수 있으며, 복수의 충전전원들이 인가될 때 복수의 배터리들이 인가되는 전원들에 의해 각각 충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harging device may convert commercial power or ESS power into AC power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supply the same to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second power line. The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red chargers installed in the first charging line, each wired charger may include a charging cable, and may pick up the charging power of the first charging line in a non-contact manner, and a charging cable. When connected to the vehicle, the picked-up power can be supplied as an electric vehicle wired charging power. The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ers installed in the second charging line, and each of the wireless chargers may supply power to the second power line when the power receiving pad (wireless charging receiving module) of th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Can be supplied by charging power.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ies, and when the plurality of charging power sources are applied, the batteries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charged by the power sources to which the plurality of batteries are applied.
제어모듈(예를들면 도 5의 제어모듈(500))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수신모듈이 충전장치에 연결되거나 근접위치되면, 충전장치에서 공급되는 충전전원을 수신할 수 있으며, 충전전원이 수신되면 611 단계에서 충전 모드의 수행을 인식할 수 있다. 충전모드를 인식하면, 제어모듈은 613단계에서 충전 방식을 분석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충전, 무선 충전 또는 유무선 충전 중에 하나가 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for example, the
유선충전 수신모듈을 통해 충전 전원의 수신이 인식되면, 제어모듈은 615단계에서 유선충전모드임을 인식하고, 617 단계에서 유선충전 수신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배터리에 인가되도록 전력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은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잔량을 분석하고, 배터리의 잔량이 적은 배터리에 충전전원이 인가되도록 전력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충전 경로가 설정되면, 제어모듈은 619 단계에서 유선충전 수신모듈에서 수신되는 전원이 배터리에 공급되고, 배터리가 수신되는 유선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유선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유선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충전 동작의 정지 요청이 인식되면, 제어모듈은 유선충전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When the reception of the charging power is recognized through the wired charging receiving module, the control module recognizes the wired charging mode in
무선충전 수신모듈을 통해 충전 전원의 수신이 인식되면, 제어모듈은 621단계에서 무선충전모드임을 인식하고, 623 단계에서 무선충전 수신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배터리에 인가되도록 전력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은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잔량을 분석하고, 배터리의 잔량이 적은 배터리에 충전전원이 인가되도록 전력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충전 경로가 설정되면, 제어모듈은 625 단계에서 무선충전 수신모듈에서 수신되는 전원이 배터리에 공급되고, 배터리가 수신되는 무선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무선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충전 동작의 정지 요청이 인식되면, 제어모듈은 무선충전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When the reception of the charging power is recogniz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module, the control module recognizes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e in
유선충전 수신모듈 및 무선충전 수신모듈을 통해 충전 전원의 수신이 인식되면, 제어모듈은 621단계에서 유무선충전모드임을 인식할 수 있다. 유무선충전모드이면, 제어모듈은 631 단계에서 유선충전 수신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 및 무선충전 수신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각각 대응되는 배터리에 인가되도록 전력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충전 수신모듈에서 수신되는 충전전원은 무선전력 수신모듈에서 수신되는 충전전원보다 더 큰 전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유선충전전원은 급속 충전전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유선전원 및 무선전원이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유선전원은 배터리 용량이 더 큰 배터리 또는 배터리 충전량이 더 적은 배터리에 공급되도록 충전경로를 제어하면 배터리의 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유무선 충전모드에서 제어모듈은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잔량을 분석하고, 배터리의 잔량이 적은 배터리(예를들면 제1 배터리)에 유선 충전전원이 인가되고, 배터리 잔량이 많은 배터리(예를들면 제2 배터리)에 무선 충전전원이 인가되도록 전력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충전 경로가 설정되면, 제어모듈은 633단계에서 유선충전 수신모듈 및 무선충전 수신모듈에서 각각 수신되는 충전 전원들을 전력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충전경로를 통해 배터리들에 공급하여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유무선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충전 동작의 정지 요청이 인식되면, 제어모듈은 유무선충전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If the reception of the charging power is recognized through the wired charging receiving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module, the control module may recognize the wired / wireless charging mode in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s such,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according to equival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전원장치;
상기 전원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력 라인 및 제2 전력 라인;
상기 제1 전력 라인의 충전 전원을 픽업하는 픽업유니트와, 상기 픽업된 충전 전원을 레귤레이팅하여 충전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에 공급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력 라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충전모듈; 및
상기 전기 자동차의 전력 수신 패드가 위치되면 전력 송신 패드를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2 전력 라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유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유선 전원 및 무선 전원 중 하나가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전기 자동차에 포함된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충전 상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중 충전량이 적은 배터리에 상기 유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유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유선 전원 및 무선 전원이 함께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전기 자동차에 포함된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충전 상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중 충전량이 적은 배터리에 상기 유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유선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중 나머지 배터리에 상기 유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무선 전원을 인가하는
유무선 충전 장치.
In a wire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Power supply;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device to the charging power of the electric vehicle;
A first power line and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to the converter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A pickup unit for picking up the charging power of the first power line, and a regulator for regulating the picked up charging power and supplying the electric vehicle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a charging cable, the at least o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Wired charging module; And
When the power receiving pad of th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the electric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pad, and comprises at least one wireless charging modul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line,
The electric vehicle,
When one of wired and wireless power is supplied from the wired /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state of charge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is analyzed, and the first battery and A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wired / wireless charging device to a battery having a small charge amount among the second batteries,
When wired power and wireless power are supplied together from the wired /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charging state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is analyzed and the first battery and the based on the charge state analysis result. Applying wired power supplied from the wired / wireless charging device to a battery having a low charge amount among second batteries, and applying wireless power supplied from the wired / wireless charging device to the remaining batteries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Wire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선충전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선충전모듈이 상기 제1 전력 라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력 라인과 상기 픽업유니트 사이에 롤러를 더 구비하는
유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wired charging module,
Further comprising a roller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pickup unit so that the at least one wired charging module can move along the first power line.
Wire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
충전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케이블로부터 유선 충전 전원을 수신하는 유선전원 수신모듈;
전력 수신 패드를 포함하며, 충전장치의 전력 송신 패드로부터 공급되는 무선 충전 전원을 수신하는 무선전원 수신모듈;
상기 유선전원 수신모듈 및 상기 무선전원 수신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에 연결되는 전력 스위치; 및
상기 무선전원 수신모듈 및 상기 유선전원 수신모듈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전원 및 상기 유선 충전 전원 중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분석하며 상기 충전 상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중 충전량이 적은 배터리에 상기 무선 충전 전원 및 상기 유선 충전 전원 중 수신된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전원 수신모듈 및 상기 유선전원 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전원 및 상기 유선 충전 전원이 함께 수신되면,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분석하며 상기 충전 상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중 충전량이 적은 배터리에 상기 유선 충전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중 나머지 배터리에 상기 무선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전기 자동차 장치.
In the electric vehicle device,
A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A wired power receiving module including a charging cable and receiving wired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cable;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ncluding a power receiving pad and receiving wireless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a power transmitting pad of the charging device;
A power switch connected to the wired power receiving module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And
When one of the wireless charging power and the wired charging power is received through on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the wired power receiving module, the charging state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analyzed and the charging state analysis result is obtained. And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switch to apply the received power of the wireless charging power and the wired charging power to a battery having a small charge amount amo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The control module
When the wireless charging power and the wired charging power are received together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the wired power receiving module, the charging state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analyzed and based on a result of the charging state analysis. Controlling the power switch to apply the wired charging power to a battery having a small amount of charge amo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and to apply the wireless charging power to the remaining battery of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Electric vehicle device.
충전장치에 포함된 제1 전력 라인의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면, 유선 전원의 수신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충전장치의 제2 전력 라인의 전력 송신 패드를 포함하는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전기 자동차의 전력 수신 패드를 포함하는 무선전원 수신모듈이 연결되면, 무선 전원의 수신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유선 전원 및 상기 무선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이 인식되면,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상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중 충전량이 적은 배터리에 상기 유선 전원 및 상기 무선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인가되도록 상기 전기 자동차에 포함된 전력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유선 전원 및 상기 무선 전원 중 하나의 수신이 인식되면, 상기 충전 상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중 충전량이 적은 배터리에 상기 유선 전원 및 상기 무선 전원 중 수신된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력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유선 전원 및 상기 무선 전원이 함께 수신되는 것이 인식되면, 상기 충전 상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중 충전량이 적은 배터리에 상기 유선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배터리 중 나머지 배터리에 상기 무선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력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방법.
In the charging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wired power receiving module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Recognizing reception of wired power when a charging cable of a first power line included in a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Recognizing reception of wireless power when a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ing a power transmission pad of a second power line of the charging device and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including a power reception pad of the electric vehicle are connected;
Analyzing a state of charge of a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when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wired power source and the wireless power source is recognized; And
Controlling a power switch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wired power source and the wireless power source is applied to a battery having a low charge amount amo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based on a result of the state of charge analysis. and,
The controlling step,
When the reception of one of the wired power source and the wireless power source is recognized, the received power of the wired power source and the wireless power source is stored in a battery having a small charge amount amo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based on a result of the state of charge analysis. Controlling the power switch to be applied; And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wired power source and the wireless power source are received together, the wired power source is applied to a battery having a smaller amount of charge among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based on a result of the state of charge analysis. Controlling the power switch to apply the wireless power to the remaining batteries of a second battery;
Charging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73319A KR102042319B1 (en) | 2017-12-15 | 2017-12-15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supplying wired/wireless power to electric vech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73319A KR102042319B1 (en) | 2017-12-15 | 2017-12-15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supplying wired/wireless power to electric vechi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72706A KR20190072706A (en) | 2019-06-26 |
| KR102042319B1 true KR102042319B1 (en) | 2019-11-08 |
Family
ID=6710501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73319A Active KR102042319B1 (en) | 2017-12-15 | 2017-12-15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supplying wired/wireless power to electric vechi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4231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525247B (en) * | 2019-08-27 | 2021-11-23 | 中兴新能源汽车有限责任公司 | Charging circuit, method and equipment |
| JP7367708B2 (en) * | 2021-01-06 | 2023-10-2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program an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
| KR102857927B1 (en) | 2021-09-02 | 2025-09-16 | (주)와이파워원 |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multi-charging |
| CN116111693A (en) * | 2023-03-07 | 2023-05-12 | 深圳市千分一智能技术有限公司 | Charging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active capacitive pen and active capacitive p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1015548A (en) | 2009-07-02 | 2011-01-20 | Toyota Motor Corp | Electric vehicle |
| JP2011015520A (en) | 2009-07-01 | 2011-01-20 | Toyota Motor Corp | Vehicle control device |
| JP2012100481A (en) * | 2010-11-04 | 2012-05-24 | Panasonic Corp | Charging stand |
| JP6135513B2 (en) | 2012-01-30 | 2017-05-3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Vehicle power receiv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231440B2 (en) * | 2012-04-18 | 2016-01-05 | Samsung Sdi Co., Ltd. | Pow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865855B1 (en) * | 2016-05-20 | 2018-07-16 | 한국과학기술원 |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Capable of Charging Power |
-
2017
- 2017-12-15 KR KR1020170173319A patent/KR10204231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1015520A (en) | 2009-07-01 | 2011-01-20 | Toyota Motor Corp | Vehicle control device |
| JP2011015548A (en) | 2009-07-02 | 2011-01-20 | Toyota Motor Corp | Electric vehicle |
| JP2012100481A (en) * | 2010-11-04 | 2012-05-24 | Panasonic Corp | Charging stand |
| JP6135513B2 (en) | 2012-01-30 | 2017-05-3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Vehicle power receiv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72706A (en) | 2019-06-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970477B2 (en) | Charging device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mechanism in automobile | |
| KR10204231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supplying wired/wireless power to electric vechile | |
| KR101466442B1 (en) |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 KR101746177B1 (en) |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 |
| US20130049674A1 (en) | Integrated photo voltaic solar plant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 |
| KR101974506B1 (en) | Hybrid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car | |
| US10464428B2 (en) | Battery-backed DC fast charging system | |
| US797342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ractive effort with interface to other apparatus | |
| EA023215B1 (en) | ELECTRIC CHARGING DEVICE | |
| KR101974507B1 (en) | Multi phas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car | |
| CN110649685A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high-voltage cable of inspection unmanned aerial vehicle | |
| CN211508726U (en) | Mobile seat charging system and automobile | |
| CN109733215B (en) | Highway developments wireless charging system based on solar energy light-storage is integrative | |
| JP5677948B2 (en) | Recharging device for power storage system including two power storage elements and related use of such recharging device | |
| CN109747444A (en) | Autonomous mixed power generation platform | |
| KR101865855B1 (en) |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Capable of Charging Power | |
| KR20160122918A (en) | Apparatus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 |
| US20160176302A1 (en) | Interconnected wireless battery charging and regenerative braking systems for an electric vehicle | |
| CN105340154B (en) |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 |
| KR101714148B1 (en) | Wireless charger and method for eco friendly vehicle | |
| CN102163868B (en) | Energy bidirectional flowing non-contact charging device for electrical automobiles | |
| JP2010172093A (en) | Onboard battery charger | |
| CN104104139A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ased mining electric locomotive charging device and method | |
| JP5999576B2 (en) | Power supply system for houses, houses and electric vehicles | |
| WO2012176943A1 (en) |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2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