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181B1 - Organic wast smart recycling system - Google Patents
Organic wast smart recycl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3181B1 KR102043181B1 KR1020180116527A KR20180116527A KR102043181B1 KR 102043181 B1 KR102043181 B1 KR 102043181B1 KR 1020180116527 A KR1020180116527 A KR 1020180116527A KR 20180116527 A KR20180116527 A KR 20180116527A KR 102043181 B1 KR102043181 B1 KR 1020431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main body
- manure
- sewage
- discharge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상가에서 발생되는 각종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은 각각의 가정(1)에서 배출된 하수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정화처리하고, 각 가정(1)에서 배출된 하수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각각 관리하여 제어수단(110)에 구축된 DB(111)에 저장함으로써, 가정(1)에서 배출된 폐기물의 양에 따라 적절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음으로,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of a new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recycle and manage various wastes generated at home or a mall.
The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nd cleans sewage, manure and food waste discharged from each household (1), cleansing and discharging sewage, manure and food waste discharged from each household (1). By managing the amount of each is stored in the DB 111 built in the control means 110, the appropriate cost can be char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ste discharged from the home (1), the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manage the waste There is this.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정이나 상가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기성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 하기 위한 것으로, 분뇨나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수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정화처리하며, 폐기물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recycle various organic wastes generated in homes and stores, and to manage and purify manure, food waste or sewage, and organic waste that can be appropriately char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ste. It relates to a smart recycling system.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분뇨나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수등 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기성 폐기물이 발생된다.In general, households generate a variety of organic waste, including manure, food waste or sewage.
그리고, 이와 같이 발생된 분뇨는 정화조에 수집한 후, 분뇨수거차를 이용하여 정해진 곳으로 운반하여 처리하게 된다.Then, the manure generated in this way is collected in a septic tank, and then transported to a predetermined place using a manure collection truck for processing.
그리고, 음식물쓰레기는 가정에서 수집하여 배출을 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을 이용하여 정해진 곳으로 운반하여 처리하게 된다.Then, when the food waste is collected and discharged at home, the food waste is transported to a predetermined place using a food waste collection vehicle for disposal.
또한, 화장실에서 발생된 오수나 생활오수는 그냥 하수구를 통해 배출된다.In addition, sewage or household sewage generated in the toilet is just discharged through the sewer.
이와 같이, 가정에서 발생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각각 별도의 과정을 거쳐 수집과 운반 및 처리하게 됨으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되고, 처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될 뿐 아니라, 유기성 폐기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악취와 부가적인 오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As such, the organic waste generated at home is collected, transported, and disposed of separately through separate processes, thereby increasing the cost of treating the organic waste, and taking a long time to process the organic waste.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cause odor and addition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 of transport.
특히, 가정에서 발생되는 오수는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하수구를 통해 배출하게 됨으로, 수질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particular, the sewage generated in the home is discharged through the sewer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treatment process, a problem that water pollution occurs.
이러한 문제점은 일반적인 가정 뿐 아니라,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상가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되었다.This problem has occurred not only in general assumptions, but also in shopping malls used by many people.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26752호 ‘자연순환형 혐기소화액 자원화 시스템’에서는 바이오가스 생산공정을 수행한 혐기소화액을 이용하여 자원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혐기소화액을 포집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로부터 혐기소화액을 전달받아 고형물과 액상분뇨를 분리하는 고액분리기와, 상기 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분뇨를 포집하고 액상분뇨에 산소를 공급하여 액상분뇨의 유기물을 산화시키는 산화조와, 상기 산화조에 저장된 액상분뇨를 일부 유입하여 순산소에 의해 용존산소동도를 증가시킨 후 산화조로 재공급하는 용존산소시스템과, 상기 산화조로부터 액상분뇨를 공급받아 다단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는 액비화가 이루어지는 액비화조와, 상기 액비화조에서 발효가 완료된 액비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액비저장조와, 상기 액비저장조의 액비를 공급받아 잔량의 고형이물질과 가스를 제거하여 정제된 액비를 포집하는 정제조와, 상기 산화조와 액비화조 전단 수용부에 미생물공급라인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배양기와, 상기 산화조와 액비화조 액비저장조에 폭기라인을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해 폭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블로워와, 상기 액비화조 후단 수용부의 액비 일부를 산화조 또는 액비화조 전단수용부로 재공급하는 제1반송라인과, 상기 액비저장조의 액비 일부를 산화조 또는 액비화조 전단수용부로 재공급하는 제2반송라인 및 상기 액비화조의 액상분뇨를 펌핌 또는 외부 상수를 공급받아 액비화조 상부에 살수하여 거품을 제거하는 살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26752 'Natural Circulation Anaerobic Digestion Resource Recycling System' in a system for recycling by using an anaerobic digestion liquid that has undergone a biogas production process, a collecting tank for collecting anaerobic digestion liquid, and anaerobic from the collection tank A solid-liquid separator separating solids and liquid manure by receiving a digestive liquid, an oxidizing tank for collecting liquid manure separated from the solid-liquid separator and supplying oxygen to the liquid manure to oxidize the organic matter of the liquid manure, and liquid manure stored in the oxidizing tank. The liquid oxygenation fermented by aerobic microorganisms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dissolved oxygen system which partially inflows and increases the dissolved oxygen mobility by pure oxygen and then resupplys it to the oxidizing tank, and receives the liquid manure from the oxidizing tank in a sequential order. Liquefaction tank made of, and fermentation is completed in the liquefaction tank A microbial supply line for collecting a liquid fertilization tank for receiving and storing a liquid fertilizer, a refining tank for collecting purified liquid fertilizer by removing the remaining amount of solid foreign matter and gas from the liquid fertilizer of the liquid fertilizer storage tank, A microbial incubator for supplying microorganisms, a blower for supplying oxygen to the oxidizing tank and the liquid liquefaction tank liquid storage tank by using an aeration line, and a portion of the liquid ratio of the rear end accommodating part of the liquefaction tank for oxidizing tank or liquefaction tank shearing The first conveying line for resupply to the negative electrode, the second conveying line for resupplying part of the liquid fertilizer of the liquid fertilizer storage tank to the oxidizing tank or the liquid liquefaction tank front receiving portion, and the liquid manure of the liquid quenching tank are supplied with a pump or an external consta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quefaction tan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aying line for spraying to remove bubbles.
한편,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5442호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처리 시스템’에서는 유기성 폐기물을 액비 및 퇴비화하는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 및 하수 슬러지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음폐수 또는 축산폐수도 포함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반입받아 고상 폐기물과 액상 폐수로 분리하는 반입부 폐수 처리용 조성물을 담아둔 다단 폭기조를 구비하고, 반입부로부터 공급받는 액상 폐수를 다단 폭기조로 폭기하며 호기 발효시킨 후에 상등수와 침전슬러지로 분리하여 상등 수를 액비화하고, 침전슬러지를 상기 다단 폭기조로 반송하건, 아니면 침전슬러지에 미생물 혼합균주를 투여하여 농축화한 후에 상기 다단 폭기조로 반송하는 액비시스템과 상기 반입부로부터 고상 폐기물을 공급받아 고상 폐기물 처리용 조성물과 교반한 후에 발효시켜서 퇴비화하는 퇴비화시스템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5442 'organic waste recycling treatment system' in the organic waste recycling process system to liquidize and compost organic waste, at least any one of food waste, livestock manure and sewage sludge It includes a multi-stage aeration tank containing the composition for the inlet wastewater treatment to receive the organic waste, which may include a waste water or livestock wastewater, and separated into solid waste and liquid wastewater, and multi-stage liquid wastewater supplied from the inlet After aeration with aeration tank and aerobic fermentation, the supernatant is liquefied by separating into supernatant and sedimentation sludge, and the sedimentation sludge is returned to the multi-stage aeration tank, or concentrated by administering microbial mixed strain to sedimentation sludge. Solid waste disposal from the liquid fertilizer system Comprises a composting system that is supplied with water and stirred with a composition for treating solid waste and then fermented by fermentation.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에서는 수거되는 폐자원을 단순히 회수하여 처리하고 재활용하는 구성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폐기물의 수거부터 재처리 등의 일련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merely provides a configuration for simply collecting, processing and recycling waste resources collec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mprehensively manage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waste collection and reprocessing.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정이나 상가에서 발생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having a new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recycling organic waste generated in a home or a shopping mal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가정(1)이나 상가의 하수구(4)에 연결되어 하수를 배출하는 하수배출관(10)과, 각 가정(1)이나 상가의 화장실에 연결되어 분뇨를 배출하는 분뇨배출관(20)과, 각 가정(1)이나 상가에 구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며 분쇄한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와, 상기 음식분쇄기에 연결되어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과, 상기 하수배출관(10)에 연결되어 하수배출관(10)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를 정화처리하여 저수탱크(51)로 공급하는 하수처리수단(50)과, 상기 분뇨배출관(20) 및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에 연결되어 분뇨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고 분뇨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면서 발생된 바이오가스와 퇴비를 가스탱크(61)와 퇴비저장탱크(62)에 저장하는 바이오처리수단(60)과, 상기 하수배출관(10)에 연결되어 각각의 가정(1)이나 상가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양을 측정하는 하수량측정수단(90)과, 각 가정(1)이나 상가의 화장실에 연결되어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분뇨의 양을 측정하는 분뇨량측정수단(100)과, 상기 하수량측정수단(90)과 분뇨량측정수단(100) 및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에 연결되어 상기 하수량측정수단(90)과 분뇨량측정수단(100) 및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에 의해 측정된 하수의 양과 분뇨의 양 및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저장하는 제어수단(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ewage discharge pipe (10) connected to each household (1) or the sewer (4) of the shopping mall to discharge the sewage, and connected to the toilet of each home (1) or shopping mall Manur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스탱크(61)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탱크(61)에 저장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발전수단(70)과, 상기 발전수단(70)에 연결되며 발전수단(70)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차충전기(7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ower generation means 70 is connected to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수탱크(51)와 각 가정(1)이나 상가의 화장실에 구비된 변기(6)를 연결하며 중간부에는 급수펌프(81)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51)에 저장된 물을 변기(6)로 공급하는 급수관(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이오처리수단(60)은 분뇨나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처리하여 메탄가스가 발생되도록 하고 발생된 메탄가스를 상기 가스탱크(61)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전수단(70)은 상기 메탄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bio-processing means 60 is configured to ferment the manure or food waste to generate methane gas and to store the generated methane gas i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하단에는 각각 투입구(31a)와 배출구(31b)가 형성되며 각 가정(1)이나 상가에 구비된 싱크대(3)의 배출구(3a)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이 연결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2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투입구(31a)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날(32)과, 상기 싱크대(3)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32a)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제어스위치(33)와, 상기 본체(31)의 상단에 결합되어 본체(31)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34)와,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31)의 내부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쇄날(32)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하는 수집통(35)과, 상기 수집통(35)에 연결되어 수집통(35)에 수집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6)과, 상기 본체(3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31)의 상단에 덮개(34)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는 덮개감지수단(37)과, 상기 본체(31)의 내부에 상기 분쇄날(3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80)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11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급수관(80)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본체(31)의 내부로 분사하여 상기 본체(31)와 분쇄날(32)을 세척하는 세척노즐(38)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통(35)은 상하단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3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관체(35a)와, 상기 승강관체(35a)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11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승강관체(35a)의 하단을 개폐하는 댐퍼(35b)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110)은 상기 제어스위치(33)와 덮개감지수단(37) 및 무게측정수단(36)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제어스위치(33)를 on시켜 상기 본체(31)의 내부로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한 후 제어스위치(33)를 off시키면, 상기 무게측정수단(3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사용자가 상기 덮개(34)를 본체(31)에 결합하여 본체(31)의 상단을 닫으면, 상기 세척노즐(38)을 개방하여 상기 본체(31)의 내부로 물이 분쇄되어 본체(31)의 내부와 분쇄날(32)이 세척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35b)를 개방하여 상기 수집통(35)에 수집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disclosed technology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may be named a first component as a second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은 각각의 가정(1)에서 배출된 하수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정화처리하고, 각 가정(1)에서 배출된 하수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각각 관리하여 제어수단(110)에 구축된 DB(111)에 저장함으로써, 가정(1)에서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의 양에 따라 적절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음으로, 유기성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nd cleans sewage, manure and food waste discharged from each household (1), cleansing and discharging sewage, manure and food waste discharged from each household (1). By managing the amount of each and stored in the DB 111 built in the control means 110,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appropriate cost according to the amount of organic waste discharged from the home (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organic waste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의 음식물쓰레기분쇄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의 음식물쓰레기분쇄기의 회로구성도,
도 5 및 도 6은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의 음식물쓰레기분쇄기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food waste crusher of an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4 is a circuit diagram of a food waste crusher of an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5 and 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od waste crusher of the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아파트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1 to 6 illustrate an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the application to the apartment.
이때, 상기 아파트의 지하에는 기계실(5)이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은 각 가정(1)의 하수구(4)에 연결되어 하수를 배출하는 하수배출관(10)과, 각 가정(1)의 화장실에 연결되어 분뇨를 배출하는 분뇨배출관(20)과, 각 가정(1)에 구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며 분쇄한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와, 상기 음식분쇄기에 연결되어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과, 상기 하수배출관(10)에 연결되어 하수배출관(10)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를 정화처리하여 저수탱크(51)로 공급하는 하수처리수단(50)과, 상기 분뇨배출관(20) 및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에 연결되어 분뇨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고 분뇨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면서 발생된 바이오가스와 퇴비를 가스탱크(61)와 퇴비저장탱크(62)에 저장하는 바이오처리수단(60)과, 상기 가스탱크(61)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탱크(61)에 저장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발전수단(70)과, 상기 발전수단(70)에 연결되며 발전수단(70)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차충전기(71)와, 상기 저수탱크(51)와 각 가정(1)의 화장실에 구비된 변기(6)를 연결하며 중간부에는 급수펌프(81)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51)에 저장된 물을 변기(6)로 공급하는 급수관(80)과, 상기 하수배출관(10)에 연결되어 각각의 가정(1)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양을 측정하는 하수량측정수단(90)과, 각 가정(1)의 화장실에 연결되어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분뇨의 양을 측정하는 분뇨량측정수단(100)과, 상기 하수량측정수단(90)과 분뇨량측정수단(100) 및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에 연결된 제어수단(110)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ewer (4) of each household (1) and the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수구(4)는 싱크대(3)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제외한 세면대나 욕조 또는 화장실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일반적으로 세면이나 목욕 등에 사용되는 오염도가 낮은 물을 배출하는 구멍을 의미한다.In detail, the
상기 하수배출관(10)은 상기 아파트의 벽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각 가정(1)의 하수구(4)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기부(11)가 형성되어, 각 가정(1)의 하수구(4)를 통해 배출되는 하수를 수집하여 상기 하수처리수단(5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분뇨배출관(20)은 상기 아파트의 벽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각 가정(1)의 변기(6)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기부(21)가 형성되어, 각 가정(1)의 변기(6)에서 발생되는 분뇨를 수집하여 상기 바이오처리수단(6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하단에는 각각 투입구(31a)와 배출구(31b)가 형성되며 각 가정(1)에 구비된 싱크대(3)의 배출구(3a)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이 연결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2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투입구(31a)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날(32)과, 상기 싱크대(3)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32a)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제어스위치(33)와, 상기 본체(31)의 상단에 결합되어 본체(31)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34)와,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31)의 내부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쇄날(32)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하는 수집통(35)과, 상기 수집통(35)에 연결되어 수집통(35)에 수집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6)과, 상기 본체(3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31)의 상단에 덮개(34)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는 덮개감지수단(37)과, 상기 본체(31)의 내부에 상기 분쇄날(3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80)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11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급수관(80)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본체(31)의 내부로 분사하여 상기 본체(31)와 분쇄날(32)을 세척하는 세척노즐(38)로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본체(31)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수집통(35)이 걸리는 걸림턱(31c)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제어스위치(33)는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32a)를 on-off시키는 토글스위치를 이용한다.The
상기 수집통(35)은 상하단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3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관체(35a)와, 상기 승강관체(35a)의 하단에 구비되며 작동에 따라 상기 승강관체(35a)의 하단을 개폐하는 댐퍼(35b)로 구성된다.The collecting
상기 승강관체(35a)는 중간부 외주면에 상기 걸림턱(31c)의 상면에 걸리는 돌출턱(35c)이 형성된다.The lifting pipe (35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rojection protruding jaw (35c)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31c).
상기 댐퍼(35b)는 상기 제어수단(110)에 연결되어 제어수단(110)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승강관체(35a)를 개폐하는 전자식 댐퍼를 이용한다. The
상기 무게측정수단(36)은 상기 걸림턱(31c)과 돌출턱(35c)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걸림턱(31c)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집통(35)의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을 이용한다.The weight measuring means 36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상기 덮개감지수단(37)은 상기 본체(31)의 상측 둘레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덮개(34)를 본체(31)의 상단에 결합하면 이를 감지하는 푸쉬스위치를 이용한다.The
상기 세척노즐(38)은 상기 본체(31)의 내주면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110)에 의해 개방되면 상기 급수관(8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분쇄날(32)의 상부로 분사하여 분쇄날(32)과 본체(31)의 내주면에 남아있는 음식물쓰레기찌거기를 세척하도록 구성된다.The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본체(31)의 투입구(31a)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어스위치(33)를 조작하여 구동모터(32a)를 구동시키면, 상기 분쇄날(32)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잘게 분쇄된 후 상기 수집통(35)으로 배출되어 저장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operates the
이때, 상기 무게측정수단(36)은 상기 수집통(35)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110)을 전송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35b)가 개방되면 상기 수집통(35)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을 통해 상기 바이오처리수단(60)으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weight measuring means 36 measures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stored in the collecting
상기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은 상기 아파트의 벽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 다수개의 분기부(41)가 형성되어, 각 가정(1)의 싱크대(3)에 구비된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에 의해 잘게 분쇄되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하여 상기 바이오처리수단(60)으로 배출한다.The food
상기 하수처리수단(50)은 상기 지하의 기계실(5)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수배출관(10)을 통해 배출된 하수를 필터링하고, 탈취 및 살균처리하여 일반적으로 허드렛일에 사용되는 용수수준으로 정화하여 상기 저수탱크(51)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The sewage treatment means 50 is provided in the
상기 바이오처리수단(60)은 상기 지하의 기계실(5)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분뇨배출관(20)을 통해 배출된 분뇨와, 상기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을 통해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처리하는 것으로, 이때, 바이오가스, 특히, 매탄가스와 퇴비가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바이오가스와 퇴비를 각각 상기 가스탱크(61)와 퇴비저장탱크(62)로 분리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The bio-processing means 60 is provided in the
이러한 바이오처리수단(60)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bio-processing means 60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various kind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때, 상기 가스탱크(61)에 저장된 바이오가스는 상기 발전수단(70)의 동력으로 사용하며, 상기 퇴비저장탱크(62)에 저장된 퇴비는 별도로 수거하여 작물용 퇴비로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biogas stored in the
상기 발전수단(70)은 상기 가스탱크(61)에 저장된 바이오가스, 특히, 메탄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를 이용한다.The power generation means 70 uses a fuel cell that generates electricity using biogas stored in the
상기 급수관(80)은 상기 아파트의 벽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각 가정(1)의 변기(6)와 음식물쓰레기의 세척노즐(38)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기부(82)가 형성되어,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면 상기 저수탱크(51)에 저장된 물이 고압으로 가압되어, 상기 변기(6)와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의 세척노즐(38)로 공급된다.The
상기 하수량측정수단(90)은 각각의 가정(1)의 하수구(4)에 연결된 하수배출관(10)의 분기부(11)에 각각 구비되어, 각 가정(1)에서 하수구(4)를 통해 배출되는 하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기를 이용한다.The sewage amount measuring means 90 is provided at each
상기 분뇨량측정수단(100)은 각각의 가정(1)의 변기(6)에 연결된 분뇨배출관(20)의 분기부(21)에 구비되어, 각 가정(1)의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분뇨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기를 이용한다.The manure amount measuring means 100 is provided in the
상기 제어수단(110)은 상기 하수량측정수단(90)과 분뇨량측정수단(100) 및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의 신호를 수신하여, 각 가정(1)에서 배출되는 하수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means 110 receives the signal of the sewage measuring means 90, the manure amount measuring means 100 and the
이를 위해, 상기 제어수단(110)에는 각 가정(1)에서 배출되는 하수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저장하는 DB(111)가 구축된다.To this end, the control means 110 is built a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 재활용 및 통합관리시스템을 운영 및 관리하는 관리자는 상기 DB(111)에 저장된 각 가정(1)에서 배출되는 하수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의 양에 따라, 각 가정(1)에 폐기물 처리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nager operating and managing the organic waste recycl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amount of sewage, manure and food waste discharged from each
또한, 상기 제어수단(110)은 상기 제어스위치(33)와 덮개감지수단(37) 및 무게측정수단(36)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제어스위치(33)를 on시켜 상기 본체(31)의 내부로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한 후 제어스위치(33)를 off시키면, 상기 무게측정수단(3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110 is connected to the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덮개(34)를 본체(31)에 결합하여 본체(31)의 상단을 닫으면, 상기 세척노즐(38)을 개방하여 상기 본체(31)의 내부로 물이 분쇄되어 본체(31)의 내부와 분쇄날(32)이 세척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35b)를 개방하여 상기 수집통(35)에 수집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6, when the user closes the upper end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유기성 폐기물 재활용 및 통합관리시스템은 각각의 가정(1)에서 배출된 하수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정화처리하고, 각 가정(1)에서 배출된 하수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각각 관리하여 제어수단(110)에 구축된 DB(111)에 저장함으로써, 가정(1)에서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의 양에 따라 적절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음으로, 유기성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organic waste recycl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in this way manages and cleans sewage, manure and food waste discharged from each household (1), cleans it, and discharges sewage, manure and food waste discharged from each household (1). By managing the amount of each and stored in the
그리고, 상기 가스탱크(61)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탱크(61)에 저장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발전수단(70)과, 상기 발전수단(70)에 연결되며 발전수단(70)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차충전기(71)가 구비되어,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wer generation means 70 is connected to the
또한, 상기 저수탱크(51)와 각 가정(1)의 화장실에 구비된 변기(6)를 연결하며 중간부에는 급수펌프(81)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51)에 저장된 물을 변기(6)로 공급하는 급수관(80)이 더 구비되어, 가정(1)에서 배출된 오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수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바이오처리수단(60)은 분뇨나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처리하여 메탄가스가 발생되도록 하고 발생된 메탄가스를 상기 가스탱크(61)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전수단(70)은 상기 메탄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를 이용함으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때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io-processing means 60 is configured to ferment manure or food waste so that methane gas is generated and store the generated methane gas in the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한 후,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여, 각 가정(1)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식물쓰레기의 분쇄가 완료된 후, 세척노즐(38)을 이용하여 본체(31)의 내부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가정(1)에 구비된 하수구(4)나 싱크대(3) 또는 변기(6)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재활용 및 통합관리시스템은 상가건물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can be done.
10. 하수구배출관 20. 분뇨배출관
30. 음식물쓰레기분쇄기 40. 음식물쓰레기배출관
50. 하수처리수단 60. 바이오처리수단
70. 발전수단 80. 급수관
90. 하수량측정수단 100. 분뇨량측정수단
110. 제어수단10.
30.
50. Sewage treatment means 60. Bio treatment means
70.
90. Sewage measuring means 100. Manure measuring means
110. Control means
Claims (5)
상기 제어수단(110)은 각 가정(1)에서 배출되는 상기 하수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의 양에 따라 폐기물 처리비용이 청구되도록 각 가정(1)에서 배출되는 상기 하수와 분뇨 및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저장되는 DB(111)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하단에는 각각 투입구(31a)와 배출구(31b)가 형성되며 각 가정(1)이나 상가에 구비된 싱크대(3)의 배출구(3a)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이 연결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2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투입구(31a)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날(32)과, 상기 싱크대(3)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32a)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제어스위치(33)와, 상기 본체(31)의 상단에 결합되어 본체(31)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34)와,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31)의 내부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쇄날(32)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하는 수집통(35)을 포함하며,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는 상기 수집통(35)에 연결되어 수집통(35)에 수집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6)과, 상기 본체(31)의 상측 둘레부에 푸쉬스위치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31)의 상단에 덮개(34)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는 덮개감지수단(37)과, 상기 본체(31)의 내부에 상기 분쇄날(3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80)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11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급수관(80)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본체(31)의 내부로 분사하여 상기 본체(31)와 분쇄날(32)을 세척하는 세척노즐(38)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통(35)은 상하단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3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관체(35a)와, 상기 승강관체(35a)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11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승강관체(35a)의 하단을 개폐하는 댐퍼(35b)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31)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수집통(35)이 걸리는 걸림턱(31c)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강관체(35a)이 상기 걸림턱(31c)의 상면에 걸리도록 승강관체(35a)의 상측 외측면에 돌출턱(35c)이 형성되며, 상기 무게측정수단(36)은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31c)과 돌출턱(35c)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집통(35)의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가 측정되며,
상기 제어수단(110)이 상기 제어스위치(33)와 덮개감지수단(37) 및 무게측정수단(36)과 연결되어 제어스위치(33)가 on되면 제어수단(110)이 상기 본체(31)의 내부로 공급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도록 제어하고, 스위치(33)가 off되면, 상기 무게측정수단(3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분쇄기(3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가 측정되도록 하며,
상기 덮개(34)가 본체(31)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이 상기 덮개감지수단(37)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수단(110)에 의해 상기 세척노즐(38)이 개방되어 상기 본체(31)의 내부로 물이 분사되고, 본체(31)의 내부와 분쇄날(32)이 세척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댐퍼(35b)가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수집통(35)에 수집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음식물쓰레기배출관(40)을 통해 바이오처리수단(60)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
A sewage discharge pipe (10) connected to each household (1) or a shopping mall sewer (4) to discharge sewage; and a manure discharge pipe (20) connected to each home (1) or a shopping mall and discharge manure; Food waste grinder 30 is provided in the home (1) or a shopping mall and configured to measure the amount of the food waste that is pulverized and the food waste grinder 30 is connected to the food waste grinder 30. Sewage treatment means for discharging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food waste discharge pipe 40 and the sewage discharge pipe 10 connected to the sewage discharge pipe 10 to purify the sewage discharged through the sewage discharge pipe 10 to supply to the storage tank 51. (50), and connected to the manure discharge pipe 20 and the food waste discharge pipe 40 to treat the manure and food waste, and the biogas and compost generated while processing the manure and food waste gas tank 61 and compost storage Tank (62 Bioprocessing means for storing in the (60), the power generation means 70 is connected to the gas tank 61 to generate power using the biogas stored in the gas tank 61, and the water storage tank 51 And a toilet (6) connected to each toilet (1) or a bathroom in a shopping mall, and a water supply pump (81) is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51) to the toilet (6). 80), the sewage amount measuring means (90) connected to the sewage discharge pipe (1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ewage discharged from each household (1), and the manure discharged from the toilet connected to the toilet of each household (1) It includes a manure amount measuring means 10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he control means 110 connected to the sewage amount measuring means 90 and the manure amount measuring means 100 and the food waste crusher 30,
The control means 110 is the amount of sewage, manure and food waste discharged from each household (1) so that waste treatment costs are char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ewage, manure and food waste discharged from each household (1) DB (111) is stored,
The food waste crusher 30 is configur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let 31a and the outlet 31b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in the outlet (3a) of the sink (3) provided in each household (1) or shopping mall The main body 3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the food waste discharge pipe 4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31,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31 and driven by the driving motor 32a to feed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inlet 31a. A grinding blade 32 to be pulverized, a control switch 33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ink 3 to drive the driving motor 32a by a user, and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31. The cover 34 is coupl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31, and the upper e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coupled to the elevating lower side inside the main body 31 is crushed by the grinding blade 32 Collecting bin 35 for collecting food waste,
The food waste crusher 30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container 35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35 and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of the main body 31. It is provided as a push switch cover detecting means 37 for detecting that the cover 34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31, so as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inding blade 32 inside the main body 31; The water supply pipe 80 is connected and operated by the control means 110 to spray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80 into the main body 31 to the main body 31 and the grinding blade A washing nozzle (38) for washing (32),
The collecting cylinder 35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of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opened, and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elevating pipe 35a and the elevating pipe body 35a coupled to the elevating inside of the main body 31, and the control means. Operationally controlled by 110, and includes a damper (35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pipe (35a),
The low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31 is formed so that the catching jaw 31c to which the collecting cylinder 35 is caught protrudes inward, and the lifting pipe 35a is caugh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tching jaw 31c. Protruding jaw (35c)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35a), the weight measuring means 36 includes a load cell, is installed between the catching jaw (31c) and the protruding jaw (35c) collecting tank ( The weight of food waste stored inside 35) is measured,
When the control means 1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witch 33, the cover detecting means 37 and the weight measuring means 36, the control switch 33 is turned on, the control means 110 is the main body 31 of the When the food waste supplied to the inside is controlled to be pulverized and the switch 33 is turned off,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pulverized by the food waste crusher 30 is measured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weighing means 36. ,
When it is detected by the cover detecting means 37 that the cover 34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31, the cleaning nozzle 38 is opened by the control means 110 to open the main body 31. Water is injected into the inside,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1 and the grinding blade 32 to be washed at the same time the damper (35b) is controlled to open so that the food wast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35 is the food waste Smart waste recyc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ischarged to the bio-processing means (60) through the discharge pipe (40).
상기 바이오처리수단(60)은 분뇨나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처리하여 메탄가스가 발생되도록 하고 발생된 메탄가스를 상기 가스탱크(61)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io-processing means (60) is an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erment the manure or food waste to generate methane gas and to store the generated methane gas in the gas tank (61).
상기 발전수단(70)은 메탄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generation means 70 is an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fuel cell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methane gas.
상기 발전수단(70)에 연결되며 발전수단(70)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기차충전기(7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스마트리사이클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rganic waste smart recyc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ectric car charger (71)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means (70)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using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means (7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16527A KR102043181B1 (en) | 2018-09-28 | 2018-09-28 | Organic wast smart recycl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16527A KR102043181B1 (en) | 2018-09-28 | 2018-09-28 | Organic wast smart recycling syste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43181B1 true KR102043181B1 (en) | 2019-12-02 |
Family
ID=6884759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16527A Active KR102043181B1 (en) | 2018-09-28 | 2018-09-28 | Organic wast smart recycling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4318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30464A (en) * | 2020-04-22 | 2021-11-01 | 한국지역난방공사 |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food waste |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54588A (en) * | 2000-06-13 | 2000-09-05 | 김세창 | Device for treatment of night soil, food waste and house sewage and a method of treating night soil, food waste and house sewage using the device |
| JP2001229955A (en) * | 2000-02-14 | 2001-08-24 | Toto Ltd | Power generation system |
| KR20110055442A (en) | 2009-11-17 | 2011-05-25 | (주)동광이앤아이 | Organic Waste Resource Treatment System |
| JP2014505874A (en) * | 2011-01-17 | 2014-03-06 | クレバーガス・ホールディング・ソシエテ・アノニム | Fluid leak detection system |
| KR20140037637A (en) * | 2012-09-19 | 2014-03-27 | 클리오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disposing of waste of food |
| KR101626752B1 (en) | 2014-07-29 | 2016-06-02 | 태양그린 주식회사 | Recycling System for anaerobic digestive fluid |
| KR101771603B1 (en) * | 2016-12-01 | 2017-08-25 | (주)이젠프리텍 | food waste crusher |
| KR101865639B1 (en) * | 2018-01-17 | 2018-06-12 | 임채수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and Weight Measuring Food Wastes |
-
2018
- 2018-09-28 KR KR1020180116527A patent/KR1020431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29955A (en) * | 2000-02-14 | 2001-08-24 | Toto Ltd | Power generation system |
| KR20000054588A (en) * | 2000-06-13 | 2000-09-05 | 김세창 | Device for treatment of night soil, food waste and house sewage and a method of treating night soil, food waste and house sewage using the device |
| KR20110055442A (en) | 2009-11-17 | 2011-05-25 | (주)동광이앤아이 | Organic Waste Resource Treatment System |
| JP2014505874A (en) * | 2011-01-17 | 2014-03-06 | クレバーガス・ホールディング・ソシエテ・アノニム | Fluid leak detection system |
| KR20140037637A (en) * | 2012-09-19 | 2014-03-27 | 클리오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disposing of waste of food |
| KR101626752B1 (en) | 2014-07-29 | 2016-06-02 | 태양그린 주식회사 | Recycling System for anaerobic digestive fluid |
| KR101771603B1 (en) * | 2016-12-01 | 2017-08-25 | (주)이젠프리텍 | food waste crusher |
| KR101865639B1 (en) * | 2018-01-17 | 2018-06-12 | 임채수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and Weight Measuring Food Wastes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30464A (en) * | 2020-04-22 | 2021-11-01 | 한국지역난방공사 |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food waste |
| KR102454660B1 (en) | 2020-04-22 | 2022-10-17 | 한국지역난방공사 | Energy utilization system using food wast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220073015A (en) | Anaerobic Digestion System for Circulation and Mixed Crossing Operation with High-Efficiency Pyrolysis Reactor for Treating High-Concentration Organic | |
| CN107986583A (en) | Zero-emission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method for pollutants in commercial and residential districts | |
| CN103008322A (en) | Kitchen wast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 JP2008246373A (en) | 厨 芥 Treatment system | |
| CN104722556A (en) | Efficient household garbage leaching treatment reactor adopting double-helix stirring | |
| CN201333463Y (en) | Automatic controllable biochemical liquid-feeding organic garbage disposer | |
| CN101538109B (en) | Anaerobic fermentation technical method of septic tank sediments by assist of industrial waste heat | |
| CN201372246Y (en) | Dropping pollution-free treatment and reuse device | |
| US7108788B2 (en) | On-site treatment method of food waste generated from collective residence or institutional food service facilities | |
| KR102043181B1 (en) | Organic wast smart recycling system | |
| KR20140100824A (en) | Continuous dewatering type's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 |
| KR101999269B1 (en) | Waste resource smart recycl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
| US20130175374A1 (en) | Water saving foodwaste disposer system | |
| KR2010001380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naerobic composting of high solid organic waste collected by pneumatic collection system | |
| JP2006512192A (en) | Method to process crushed garbage at generation site | |
| KR200425486Y1 (en) | Food waste fermentation maturation drying device that can be loaded on arm roll truck | |
| JP2005125185A (en) | Biogas generator and biogas power generation system | |
| CN214919128U (en) | A domestic waste integrated processing system for offshore oil production platform | |
| CN217512520U (en) | Perishable garbage treatment integrated system | |
| JP2001225047A (en) | Method and device for methane fermentation treatment | |
| CN215049736U (en) | Household kitchen garbage biochemical decomposition machine | |
| JP2011167604A (en) | Method for removing calcium-containing foreign matter, calcium-containing foreign matter removal part, methane fermentation pretreatment system, and methane fermentation system | |
| JP2000024630A (en) | Garbage treating system | |
| CN113042509A (en) | Comprehensive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method for domestic garbage for offshore oil production platform | |
| CN203108922U (en) | Kitchen waste treatment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